KR101583262B1 - 낚시대 받침기구 - Google Patents

낚시대 받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262B1
KR101583262B1 KR1020150020023A KR20150020023A KR101583262B1 KR 101583262 B1 KR101583262 B1 KR 101583262B1 KR 1020150020023 A KR1020150020023 A KR 1020150020023A KR 20150020023 A KR20150020023 A KR 20150020023A KR 101583262 B1 KR101583262 B1 KR 101583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fixing member
bar
transverse
horizont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진
Original Assignee
배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진 filed Critical 배성진
Priority to KR1020150020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2Fishing rod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2Plural, selectively usable, article engag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터에서 여러 대의 낚시대를 물에 드리울 수 있도록 하는 낚시대 받침기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막대 형태의 횡대; 상기 횡대의 저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횡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막대 형태의 다리부재; 상기 횡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횡대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낚시대 거치대를 포함하는 낚시대 받침기구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거치대는; 낚시대의 손잡이부가 얹혀져 안착될 수 있도록 낚시대 안착부를 제공하는 받침바; 상기 받침바와 상기 횡대를 연결하되 상기 받침바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받침바와 횡대와의 사잇각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횡대에 고정 설치되는 원판 형태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게끔 상기 고정부재 상면에 면접촉되게끔 설치되는 원판 형태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대 받침기구{Support Apparatus for Fishing Rods}
본 발명은 낚시대 받침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터에서 여러 대의 낚시대를 물에 드리울 수 있도록 하는 낚시대 받침기구에 관한 것이다.
낚시터의 개인 좌대에는 낚시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무로 된 고정대가 설치되기도 하지만 사용이 불편하기도 하고 고정성이 좋지 않은 경우도 있고, 여러 대의 낚시대를 고정시킬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많은 경우 낚시터 사용자들은 여러 대의 낚시대를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낚시대 받침기구를 구비하고 다닌다. 낚시대 받침기구의 형태도 여러 가지가 있다. 고가의 장비는 사용이 편리하기도 하고 여러모로 좋기는 하지만 부피가 커서 소지하고 다니기에 불편한 단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낚시대 받침대에는 낚시대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하는 낚시대 걸이대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대어낚시에서는 낚시대 걸이대가 하나의 낚시대 받침대에 5~10개가 설치된다. 이러한 낚시대 걸이대는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8-001553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낚시대 받침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 형태로 낚시대를 설치할 수 있게끔 장착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낚시대 걸이대의 설치방향을 조정할 필요가 있기도 하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낚시대의 설치방향을 조정하기 위하여는 낚시대 걸이대의 연장방향을 조정해야 하는데, 이 경우 나비너트 등 손으로 조정할 수 있는 너트를 이완시킨 다음 낚시대 걸이대의 설치 방향을 조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여러 개의 낚시대 걸이대를 각각 조절하는 것은 부담이 크다. 일일이 너트를 조이고 풀어야 하기 때문이다. 낚시대 걸이대의 설치 개수가 클수록 그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다.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8-0015530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대 걸이대를 구비하는 낚시대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낚시대 걸이대의 설치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하는 낚시대 받침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막대 형태의 횡대; 상기 횡대의 저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횡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막대 형태의 다리부재; 상기 횡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횡대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낚시대 거치대를 포함하는 낚시대 받침기구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거치대는;
낚시대의 손잡이부가 얹혀져 안착될 수 있도록 낚시대 안착부를 제공하는 받침바(bar); 상기 받침바와 상기 횡대를 연결하되 상기 받침바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받침바와 횡대와의 사잇각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횡대에 고정 설치되는 원판 형태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게끔 상기 고정부재 상면에 면접촉되게 설치되는 원판 형태의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결수단은 록킹수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착홈; 상기 고정부재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돌출하면서 상기 안착홈에 끼워져 안착되는 록킹볼; 상기 록킹볼이 상기 고정부재를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록킹볼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부재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횡대는 활처럼 만곡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횡대와 같은 곡률로 만곡되어 있으며 접이식으로 상기 횡대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다리부재의 양측에는 팩을 이용하여 상기 다리부재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팩홀이 수직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낚시대를 여러 개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낚시대의 설치방향을 미세하게 그리고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는 낚시대 받침기구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종래의 것처럼 볼트 등을 이완시키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낚시대(F)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횡대와 다리부재의 구성이 간이하여 접었을 경우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낚시대 받침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낚시대 받침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낚시대 받침기구의 낚시대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낚시대 받침기구의 연결수단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5는 정면 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기본적으로 참조하겠으며 필요시 다른 도면을 더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낚시대 받침기구는 한 자리에서 여러 대의 낚시대를 동시에 물에 드리울 수 있게끔 하는 기구이다. 설치할 수 있는 낚시대의 개수는 정해진 것은 아니나 통상 5 ~10대가 될 수 있다.
낚시대 받침기구는 막대 형태의 횡대(10), 횡대(10)의 저부에 설치되는 다리부재(20) 및 횡대(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낚시대 거치대(30)를 포함한다.
횡대(10)는 파이프 형태, 채널 형태 또는 봉 형태일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횡대(10)는 단면이 사각인 파이프(11)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횡대(10)는 활처럼 만곡되어 있는데 이는 낚시대를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낚시대 받침기구는 횡대(10)의 볼록한 부위가 물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낚시대에 의한 무게에 의해 횡대(10)가 물을 향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횡대(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막대 형태의 다리부재(20)가 설치된다. 다리부재(20) 역시 단면이 사각인 파이프(21)로 되어 있다.
부피를 줄이기 위해 횡대(10)와 다리부재(20)는 접이식으로 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나비너트(22)를 풀거나 조임으로써 다리부재(20)와 횡대(10)를 펼치거나 접을 수 있다. 다리부재(20) 역시 횡대(10)와 마찬가지로 활처럼 만곡되어 있는데 곡률이 횡대(10)와 같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접었을 경우 부피가 최소가 되도록 겹쳐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다리부재(20)의 양측에는 팩(텐트설치용 팩)을 이용하여 다리부재(20)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팩홀(23)이 수직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팩은 햄머 등에 의해 지면에 타입될 수 있다.
낚시대 거치대는 횡대(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낚시대 거치대(30)를 설치하기 위해 횡대(10)에는 자신의 연장방향을 따라 거치대설치공(12, 도 1 참조)이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으로 관통되게끔 마련되어 있다.
낚시대 거치대(30)는 낚시대(F)가 얹혀지는 받침바(31)와, 받침바(31)와 횡대(10)를 매개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받침바(31)는 낚시대(F)의 손잡이부가 얹혀져 안착될 수 있도록 낚시대 안착부를 제공한다. 낚시대 안착부는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세로봉(32)과, 세로봉(32)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낚시대(F)의 저면을 받치도록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반원 형태의 받침봉(33)과, 세로봉(32)의 후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낚시대(F)의 상면을 누르도록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반원 형태의 누름봉(34)을 포함한다. 세로봉(32)의 후단에는 후술되는 연결수단과의 연결을 위한 레그부(35, leg portion)가 형성된다.
연결수단은 받침바(31)와 횡대(2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받침바(31)에 측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도 4의 화살표 방향) 받침바(31)와 횡대(20)와의 사잇각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것처럼 볼트 등을 이완시키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받침바(31)의 설치각도, 결과적으로 낚시대(F)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하, 연결수단을 도 3 내지 도 5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원판 형태의 고정부재(60)가 횡대(10)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부재(60)의 중심에는 중심축(41)이 수직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이 중심축(41)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너트가 결합될 수 있다.
원판 형태의 회전부재(50)가 고정부재(60)에 포개진 상태에서 중심축(41)을 축(X)으로 하여 고정부재(60)에 대하여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게끔 설치된다. 회전부재(50)와 고정부재(60)는 맷돌과 유사하게 서로 면접촉한 상태로 고정된다. 회전부재(50)는 고정부재(60) 상면에 중심축(41)을 축(X)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는 중심축(41)이 회전부재(50)와 고정부재(60)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게끔 설치되기 때문이다. 중심축(41)은 거치대설치공(12)에 끼워져 횡대(10)를 관통한 다음 너트(미도시됨)로써 고정될 수 있다.
록킹수단은 회전부재(50)가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6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록킹수단은 고정부재(60)의 상면, 즉 회전부재(50)와의 접촉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착홈(61)과; 고정부재(60)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돌출하면서 안착홈(61)에 끼워져 안착되는 록킹볼(51)과; 록킹볼(51)이 고정부재(60)를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록킹볼(51)에 지지되고 타단은 회전부재(50)에 지지되는 스프링(52)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연하지만 안착홈(61)과 록킹볼(51)의 설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사용자가 스프링(52)의 탄성력보다 강한 힘으로 회전부재(50)를 회전시키면 록킹볼(51)이 안착홈(61)으로부터 벗어나 고정부재(50)의 접촉면을 구르게 된다. 즉 이로써 '찰칵찰칵' 소리와 함께 낚시대 거치대(30)의 설치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안착홈(61)의 간격 및 안착홈의 개수에 의해 낚시대의 설치 가능한 각도 및 각 설치각도 간의 간격이 결정된다. 안착홈(61)의 간격이 좁을수록 낚시대(F)의 설치각도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안착홈(61)의 설치 각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록킹볼(51)과 스프링(51)은 하나만이 도시되었지만 서로 대칭되게끔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낚시대 거치대(30)에 2배의 힘을 가하여야만 그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록킹수단은 도시된 것과는 다른 방식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고정부재(60)와 회전부재(50)의 접합면에 치형을 형성하여 서로 치합되게 하고, 고정부재(60)와 회전부재(50)를 탄성력으로써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62는 회전부재(50)와 고정부재(60)의 상대적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수단이다. 즉 회전부재(50)는 120 ~180°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부재(50)에 설치되는 도면부호 43은 받침바(31)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바설치대이다. 받침바설치대(43)와 받침바(31)는 힌지축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받침바(31)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끝이 회전되어 들려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낚시대(F)의 수직방향으로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횡대 12 : 거치대 설치공
20 : 다리부재 23 : 팩홀
30 : 낚시대 거치대 31 : 받침바
32 : 세로봉 33 : 받침봉
34 : 누름봉 35 : 레그부
41 : 중심축 50: 회전부재
51 : 록킹볼(locking ball) 60 : 고정부재

Claims (4)

  1. 활처럼 만곡된 막대 형태의 횡대;
    상기 횡대와 같은 곡률로 만곡되고, 상기 횡대와 교차하도록 상기 횡대의 저부에 설치되되, 접이식으로 상기 횡대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쳐진 막대 형태의 다리부재; 및
    상기 횡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횡대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낚시대 거치대; 를 포함하되,
    상기 낚시대 거치대는 낚시대의 손잡이부가 얹혀져 안착될 수 있도록 낚시대 안착부를 제공하는 받침바와, 상기 받침바와 상기 횡대를 연결하되 상기 받침바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받침바와 횡대와의 사잇각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중심부에 상기 횡대의 거치대 설치공에 결합되는 중심축이 수직으로 관통함에 따라 상기 횡대에 고정 설치되는 원판 형태의 고정부재와, 중심부에 상기 중심축이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중심축을 축으로 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 상면에 면접촉되는 원판 형태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의 원주방향을 따라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 개의 안착홈과, 상기 고정부재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돌출하면서 상기 안착홈에 끼워져 안착되는 록킹볼과, 상기 록킹볼이 상기 고정부재를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록킹볼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부재에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간의 상대적 회전각도를 120~180°로 제한하는 제한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재의 양측에는 팩을 이용하여 상기 다리부재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팩홀이 수직방향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20023A 2015-02-10 2015-02-10 낚시대 받침기구 KR101583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023A KR101583262B1 (ko) 2015-02-10 2015-02-10 낚시대 받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023A KR101583262B1 (ko) 2015-02-10 2015-02-10 낚시대 받침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262B1 true KR101583262B1 (ko) 2016-01-08

Family

ID=5517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023A KR101583262B1 (ko) 2015-02-10 2015-02-10 낚시대 받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2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751B1 (ko) 2017-12-14 2019-05-13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제어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제어 장치
KR102019020B1 (ko) * 2019-03-12 2019-09-05 최성숙 스텝식 좌우각도조절이 가능한 낚싯대 거치대
KR20190114174A (ko) * 2018-03-29 2019-10-10 주식회사 유아이정밀 낚시대 받침유닛
KR102049880B1 (ko) * 2019-04-19 2019-11-28 김재곤 낚시 받침대 지지구
KR20200030991A (ko) * 2018-09-13 2020-03-23 손수성 각도 조절이 용이한 낚시 받침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492Y1 (ko) * 1989-02-10 1991-03-07 김진웅 릴낚시 지지구
KR19980031682A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에어 실린더의 각도 조절장치
KR20000015581U (ko) * 1999-01-11 2000-08-05 권태완 배수펌프용 수위조절기
KR200202725Y1 (ko) * 2000-04-24 2000-11-15 신중균 낚시 받침대
KR200445505Y1 (ko) 2008-07-14 2009-08-06 유창복 선반 및 조명장치가 구비된 낚시대 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492Y1 (ko) * 1989-02-10 1991-03-07 김진웅 릴낚시 지지구
KR19980031682A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에어 실린더의 각도 조절장치
KR20000015581U (ko) * 1999-01-11 2000-08-05 권태완 배수펌프용 수위조절기
KR200202725Y1 (ko) * 2000-04-24 2000-11-15 신중균 낚시 받침대
KR200445505Y1 (ko) 2008-07-14 2009-08-06 유창복 선반 및 조명장치가 구비된 낚시대 받침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751B1 (ko) 2017-12-14 2019-05-13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제어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제어 장치
KR20190114174A (ko) * 2018-03-29 2019-10-10 주식회사 유아이정밀 낚시대 받침유닛
KR102112778B1 (ko) * 2018-03-29 2020-05-19 주식회사 유아이정밀 낚시대 받침유닛
KR20200030991A (ko) * 2018-09-13 2020-03-23 손수성 각도 조절이 용이한 낚시 받침대
KR102095124B1 (ko) * 2018-09-13 2020-03-30 손수성 각도 조절이 용이한 낚시 받침대
KR102019020B1 (ko) * 2019-03-12 2019-09-05 최성숙 스텝식 좌우각도조절이 가능한 낚싯대 거치대
KR102049880B1 (ko) * 2019-04-19 2019-11-28 김재곤 낚시 받침대 지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262B1 (ko) 낚시대 받침기구
US3586367A (en) Multiple position tray apparatus
US9578969B1 (en) Adjustable footrest ring for chair
CA2704073C (en) Standalone, mobile and adjustable stand and tray
US20060278770A1 (en) AirDesk free standing and vehicle mounted 6-axis positionable tray, positionable shelf, cup-holder, stanchion apparatus and related systems
US20040245420A1 (en) Adjustable tilt mount
US9107518B2 (en) Apparatus for hanging plants
US20140191103A1 (en) Support For Variably Positioning A Holder Platform For Books Or Electric Devices
US10722052B2 (en) Articulating vanity mirror assembly
US3559942A (en) Article mounting means
US8632042B2 (en) Tilt and swivel mounting for monitors and other devices
US8347791B1 (en) Computer keyboard and mouse tray assembly
KR20170095001A (ko) 낚싯대 거치장치
US5647075A (en) Table for hammock stand
US9305529B1 (en) Guitar rest
US20110302750A1 (en) No Tools Quick Assembly Surface Fastening System
US10856698B2 (en) Ham stand
KR20120007765U (ko) 낚시받침대용 거치틀
US8590854B1 (en) Reading material support system
US20130105646A1 (en) Space-Saving Flat Screen Television Stand
KR200327124Y1 (ko) 낚싯대 받침구
US2755049A (en) Tree stand
KR20200087959A (ko) 관절식 팔 책 받침대
KR20080000419U (ko) 다용도 거치 장치
KR200284349Y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