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195B1 - 접이식 탁자 - Google Patents

접이식 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195B1
KR101776195B1 KR1020170104390A KR20170104390A KR101776195B1 KR 101776195 B1 KR101776195 B1 KR 101776195B1 KR 1020170104390 A KR1020170104390 A KR 1020170104390A KR 20170104390 A KR20170104390 A KR 20170104390A KR 101776195 B1 KR101776195 B1 KR 101776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horizontal support
upper plate
top pl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현
Original Assignee
최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현 filed Critical 최석현
Priority to KR1020170104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4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lexible roll-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상판의 일측면에 보조상판이 힌지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판; 일측이 상기 고정상판의 저면에 고정된 한쌍의 고정다리; 상기 고정다리와 함께 상기 상판을 균형있게 지지하기 위한 가변다리가 장착된 한쌍의 수평지지판; 일측부는 상기 수평지지판에 고정결합되어 있고, 타측부는 상기 상판에 체결되어 회동되게 힌지결합되어 구성된 한쌍의 회전지지수단; 상기 회전지지수단을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일측부는 상기 수평지지판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타측부는 상기 상판에 체결되어 회동되게 힌지결합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한쌍의 가변지지수단; 으로 구성된 접이식 탁자를 제공함으로서, 상판이 고정상판과 보조상판으로 힌지결합 구성으로 되어 있어 접철할 수 있고, 고정상판에 고정다리가 형성되어 있고, 실내분위기 및 사용공간에 따라 비교적 간단한 구조와 용이한 사용방법으로 가변다리를 작동하여 지지함으로서 탁자의 전개 방식이 편리하고 견고하며 안전성이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탁자{Folding table}
본 발명은 접이식 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탁자를 접거나 펼쳐 사용시 다리의 위치를 간편한 동작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탁자의 상판을 더욱 튼튼하게 지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자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다리가 받치는 평평한 상판으로 이루어진 가구로서, 주로 장방형과 원형 형태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식탁으로 사용되거나, 거실 및 서재의 공간에 장식의 기능과 함께 애완품이나 책, 화병, 향로, 다완 등을 올려 놓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요즈음은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기능을 가진 탁자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탁자들을 실내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탁자의 배치를 다양한 형태로 배치를 하고 있지만, 사용처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 그 배치가 곤란하고 특히 원형 및 타원형 탁자는 실내의 벽면에 밀착되지 않아 비효율적으로 사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이식탁자가 많이 제안되었으나, 상기 종래의 접이식 탁자의 경우 기존의 상판에 보조상판을 슬라이드 형태로 구성하거나, 공개실용신안 제1999-012600호와 같이 특허4개의 지주봉에 승강할 수 있는 승강부재를 설치하여 승강부재에 지지횡편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횡편은 상판지지봉과 연결된 이동부재와 회동가능하게 고정하고, 상판지지봉은 이동부재와 봉체고정부재의 통공에 고정되고, 상판지지봉 상부에 상판을 결합 구성 방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식은 그 구성이 조잡하고 미려하지 못하여 실내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고 견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실용신안공개공보 : 20-1999-012600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분위기 및 사용공간에 따른 탁자의 배치함에 있어서, 탁자의 상판을 접고 펼쳤을 때, 비교적 간단한 구조와 용이한 사용방법으로 탁자의 전개 방식이 편리하고 견고하며 안전성이 있는 접이식 탁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고정상판의 일측면에 보조상판이 힌지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일측이 상기 고정상판의 저면에 고정된 한쌍의 고정다리와, 상기 고정다리와 함께 상기 상판을 균형있게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가변다리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탁자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변다리를 접철하기 위한 접철수단은 회전지지수단과 가변지지수단과 길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고정상판의 저면 일측에 형성된 축볼트과, 상기 축볼트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형성된 회전지지축브라켓과, 상기 회전지지축브라켓의 일측에 결합되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판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수평회전지지축이 돌출되고 가변다리가 고정된 수평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지지수단은 힌지브라켓에 의해 절첩이 가능한 제1가변수평지지대와 제2가변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변수평지지대의 일측은 수평지지판에 형성된 수평지지회전축에 회전가능토록 체결되고, 제2가변수평지지대의 일측은 고정상판의 고정다리 안쪽에 인접하게 형성된 가변지지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체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신축가능한 길이조절대와, 상기 길이조절대 양단에 형성된 길이조절축브라켓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의 길이조절축브라켓은 어느 하나의 수평지지판에 형성된 수평회전지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타측의 길이조절축브라켓은 다른 하나의 수평지지판에 형성된 수평회전지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지지수단는 상기 상판과 밀착되는 상기 회전지지수단의 일측면에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밀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지지수단에 형성된 힌지브라켓의 일측면에 이탈방지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상판이 고정상판과 보조상판으로 힌지결합 구성으로 되어 있어 접철할 수 있고, 고정상판에 고정다리가 형성되어 있고 보조상판의 사용여부에 따라 가변다리를 작동하여 지지함으로서, 실내분위기 및 사용공간에 따라 탁자의 배치를 달리 할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와 용이한 사용방법으로 인해 탁자의 전개 방식이 편리하고 견고하며 안전성이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의 상판을 펼쳤을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의 저면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의 회전지지수단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의 가변지지수단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의 길이조절수단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의 상판을 펼쳤을 때의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의 상판을 접었을 때의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탁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의 상판을 펼쳤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의 저면에서 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의 회전지지수단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의 가변지지수단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의 길이조절수단수단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의 상판을 펼쳤을 때의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의 상판을 접었을 때의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탁자는, 고정상판(110)의 일측면에 보조상판(120)이 힌지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판(100)과, 일측이 상기 고정상판(110)의 저면에 고정된 한쌍의 고정다리(111)와, 상기 고정다리(111)와 함께 상기 상판을 균형있게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가변다리(200)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탁자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변다리(210)를 접철하기 위한 접철수단은 회전지지수단(300)과 가변지지수단(400)과 길이조절수단(500)으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지지수단(300)은 고정상판(11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된 축볼트(20)과, 상기 축볼트(20)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형성된 회전지지축브라켓(310)과, 상기 회전지지축브라켓(3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수평지지대(320)와, 상기 수평지지대(32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판(100)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수평회전지지축(331,332)이 돌출되고 가변다리(200)가 고정된 수평지지판(3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지지수단(400)은 힌지브라켓(412,422)에 의해 절첩이 가능한 제1가변수평지지대(410)와 제2가변수평지지대(4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변수평지지대(410)의 일측은 수평지지판(330)에 형성된 수평지지회전축(331)에 회전가능토록 체결되고, 제2가변수평지지대(420)의 일측은 고정상판(110)의 고정다리(111) 안쪽에 인접하게 형성된 가변지지회전축(430)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체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조절수단(500)은 신축가능한 길이조절대(510)와, 상기 길이조절대(510) 양단에 형성된 길이조절축브라켓(51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의 길이조절축브라켓(511)은 어느 하나의 수평지지판(330)에 형성된 수평회전지지축(331)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타측의 길이조절축브라켓(512)은 다른 하나의 수평지지판(330)에 형성된 수평회전지지축(331)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100)은 고정상판(110)과 상기 고정상판(110)의 일측에 다수의 경첩(130)으로 힌지결합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보조상판(120)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경첩(130)의 위치가 고정상판(110)의 일측 상부면 또는 측면, 저면에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조상판(120)이 회전하여 상기 고정상판(110)의 상부에 겹쳐지거나, 상기 고정상판(120)의 측면에서 회전하여 하부로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100)을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고정다리(111)는 상기 고정상판(110)의 저면에 고정된다.
상기 한쌍의 가변다리(210)를 접철하기 위한 접철수단은 회전지지수단(300)과 가변지지수단(400)과 길이조절수단(5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판(100)의 저면에 한쌍으로 대칭 구성된다
상기 회전지지수단(300)은 상기 고정상판(110)의 저면 일측에 축볼트(20)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축브라켓의 상부에 힌지결합공(10)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결합공(10)을 관통한 상기 축볼트(20)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되고, 상기 회전지지축브라켓(310)의 일측에 결합홈(30)이 형성되며, 결합홈(30)의 수직양측면에 결합공(40)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대(32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40a))과 일치되게 체결구(50)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수평지지대(320)의 타측에는 상판(100)을 지지하기 위한 수평지지판(330)이 볼트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수평지지판(330)에는 한쌍의 수평회전지지축(331,332)이 돌출되고, 가변다리(200)가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지지수단(300)은 상기 상판(100)의 저면과 대응되는 상기 회전지지수단의 회전지지축브라켓(310)과 수평지지대(320)와 수평지지판(330)의 일측면이 상기 상판(100)의 저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일률적으로 수평하게 결합 형성되며, 이때 상기 회전지지수단(300)의 상기 상판(100)과 밀착되는 일측면에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부드러운 천재질의 밀착부재(333)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지지수단(3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해주며, 충격 및 소음완화, 상판과 회전지지수단의 마찰에 의한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가변지지수단(400)은 상기 제1가변수평지지대(410)의 일측에 상기 수평지지판(330)에 형성된 수평지지회전축(331)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가변지지축브라켓(411)과 상기 제1가변수평지지대(410)의 타측에 힌지브라켓이(412)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가변수평지지대(410)의 힌지브라켓(412)에 상대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힌지브라켓(422)이 상기 제2가변수평지지대(42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가변수평지지대(420)의 일측에 상기 고정상판(110)의 고정다리(111) 안쪽에 인접하게 형성된 고정된 가변지지회전축(430)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가변지지축브라켓(421)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가변수평지지대(410)의 가변지지축브라켓(411)은 상부에 힌지결합공(10)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결합공(10)을 관통한 상기 수평지지회전축(331)와 결합된 축볼트(20)에 의해 회전이 되고, 상기 제2가변수평지지대(420)의 가변지지축브라켓(421)은 상부에 힌지결합공(10)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결합공(10)을 관통한 상기 가변지지회전축(430)과 결합된 축볼트(20)에 의해 회전이 되며, 상기 가변지지축브라켓(411,421)의 일측에 상기 제1가변수평지지대(411)와 제2가변수평지지대(421)의 타측부가 각각 삽입되도록 결합홈(3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0)의 수직양측면에 상기 제1가변수평지지대(411)와 제2가변수평지지대(421)의 타측부의 축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을 따라 돌일선상에 놓이는 결합공(4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가변수평지지대(411)와 제2가변수평지지대(421)의 타측부에 형성된 결합공(40)과 일치되게 체결구(50)에 의해 각각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브라켓(412,422)은 상부에 힌지결합공(10)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결합공(10)을 관통한 축볼트(20)에 의해 회전이 되고, 상기 힌지브라켓(412,422)의 상부 일측에 이탈방지턱(412a,4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턱(412a)과 힌지브라켓(412,422)의 일측면에 결합홈(3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0)의 수직양측면에 결합공(40)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가변수평지지대(411)와 제2가변수평지지대(421)의 일측부에 형성된 결합공(40)과 일치되게 체결구(50)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가변수평지지대(410)의 힌지브라켓(412)과 제2가변수평지지대(420)의 힌지브라켓(422))이 상호작용하여 각각의 힌지브라켓(412,422)의 이탈방지턱(412a,422a)이 맞물리면 상기 회전지지수단(300)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며 멈추게 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500)은 신축가능한 길이조절대(510)의 일측부와 타측부가 각각의 상기 수평지지판(230)에 형성된 수평지지회전축(332)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보조상판(120)을 펼치고 회전지지수단(3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수평지지판(230)이 보조상판(120) 하부에 위치할 때 길이조절부(510)가 더 이상 줄어들지 않으면서, 회전지지수단의 각도가 좁혀지지 않게 되고, 상기 보조상판을 접고 회전지지수단(3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수평지지판(230)을 고정상판의 위치로 이동될 시 길이조절부가 늘어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축브라켓(511)은 상부에 힌지결합공(10)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결합공(10)을 관통한 수평지지판(230)에 형성된 수평지지회전축(332)과 축볼트에 의해 회전이 되며, 상기 길이조절축브라켓(511)의 일측에 결합홈(3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0)의 수직양측면에 결합공(40)이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대(510)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공(40)과 일치되게 체결구(50)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대(510)는 길이조절파이프(510a) 내측에 길이조절봉(510b)이 삽입되어 신축가능하게끔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500)은 보조상판(120)을 펼치고 사용시 가변다리(200)의 위치가 보조상판(120)의 하부에 위치함으로서 길이조절대(510)의 길이가 줄어들고, 보조상판(120)을 접고 사용시 가변다리(200)의 위치가 고정상판(110)의 하부에 위치함으로서 길이조절대(510)의 길이가 늘어난다.
상기 체결구(50)는 스프링핀으로서, 대체재로 힌지핀, 분할핀, 볼트와 너트조합으로도 가능하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상판
110: 고정탁자 111: 고정다리
120: 보조탁자 130: 경첩
200: 가변다리
300: 회전지지수단 310: 회전지지축브라켓
320,: 수평지지대 330: 수평지지판
331, 332: 수평지지회전축 333: 밀패부재
400: 가변지지수단 410: 제1가변수평지지대
411, 421: 가변지지축브라켓 412,422: 힌지브라켓
420: 제2가변수평지지대 430: 가변지지회전축
500: 길이조절수단 510: 길이조절대
511: 길이조절축브라켓

Claims (3)

  1. 고정상판의 일측면에 보조상판이 힌지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일측이 상기 고정상판의 저면에 고정된 한쌍의 고정다리와, 상기 고정다리와 함께 상기 상판을 균형있게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가변다리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탁자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변다리를 접철하기 위한 접철수단은 회전지지수단과 가변지지수단과 길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고정상판의 저면 일측에 형성된 축볼트와, 상기 축볼트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형성된 회전지지축브라켓과, 상기 회전지지축브라켓의 일측에 결합되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판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수평회전지지축이 돌출되고 가변다리가 고정된 수평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지지수단은 힌지브라켓에 의해 절첩이 가능한 제1가변수평지지대와 제2가변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변수평지지대의 일측은 수평지지판에 형성된 수평지지회전축에 회전가능토록 체결되고, 제2가변수평지지대의 일측은 고정상판의 고정다리 안쪽에 인접하게 형성된 가변지지회전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체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신축가능한 길이조절대와, 상기 길이조절대 양단에 형성된 길이조절축브라켓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의 길이조절축브라켓은 어느 하나의 수평지지판에 형성된 수평회전지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고, 타측의 길이조절축브라켓은 다른 하나의 수평지지판에 형성된 수평회전지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상기 상판과 밀착되는 상기 회전지지수단의 일측면에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밀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탁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지수단에 형성된 힌지브라켓의 일측면에 이탈방지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탁자.
KR1020170104390A 2017-08-17 2017-08-17 접이식 탁자 KR101776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390A KR101776195B1 (ko) 2017-08-17 2017-08-17 접이식 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390A KR101776195B1 (ko) 2017-08-17 2017-08-17 접이식 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195B1 true KR101776195B1 (ko) 2017-09-19

Family

ID=6003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390A KR101776195B1 (ko) 2017-08-17 2017-08-17 접이식 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1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772A (ko) 2018-05-21 2019-11-29 김병무 접이식 회전 탁자
KR20200039462A (ko) 2018-10-05 2020-04-16 김태형 탁자 연장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2373A (ja) 2015-02-04 2016-08-08 陳 徳隆 折畳み可能な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2373A (ja) 2015-02-04 2016-08-08 陳 徳隆 折畳み可能な支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772A (ko) 2018-05-21 2019-11-29 김병무 접이식 회전 탁자
KR20200039462A (ko) 2018-10-05 2020-04-16 김태형 탁자 연장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3819B1 (en) Folding/unfolding mechanism, frame and table having same
US10806246B1 (en) Retainers and foldable table having same
KR101776195B1 (ko) 접이식 탁자
JP3109781U (ja) 板付きフラットウォーカーの構造
US11617448B2 (en) Bed frame
US7921785B1 (en) Furniture with foldable support
KR101209080B1 (ko)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
KR101755304B1 (ko) 휴대용 다용도 접이식 거치대
US7607397B2 (en) Device for a wiggle-free table
KR101082697B1 (ko) 야외용 접이식 테이블
WO2020093659A1 (zh) 一种一键收合式床架以及游戏床
KR101410678B1 (ko) 접철식 테이블
KR101297844B1 (ko) 접이식 힌지장치
JP3221288U (ja) 天板拡縮型昇降テーブル
US1981052A (en) Combined table and screen
CN208957115U (zh) 升降桌
KR101166559B1 (ko) 접이식 식탁
US2815257A (en) Extension slide for table tops
KR101162964B1 (ko) 다용도 받침대
KR20100002233U (ko) 세탁물 건조대의 접이식 다리
KR20180017960A (ko) 접이식 테이블
RU206442U1 (ru) Подъемная кровать
CN216907559U (zh) 一种折叠架
CN208481139U (zh) 一种户外用折叠式烧烤机
CN209031402U (zh) 一种折叠桌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