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704B1 - 야전 침대 - Google Patents

야전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704B1
KR101706704B1 KR1020150049042A KR20150049042A KR101706704B1 KR 101706704 B1 KR101706704 B1 KR 101706704B1 KR 1020150049042 A KR1020150049042 A KR 1020150049042A KR 20150049042 A KR20150049042 A KR 20150049042A KR 101706704 B1 KR101706704 B1 KR 101706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axis
frame
transverse
axis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0045A (ko
Inventor
이춘기
Original Assignee
이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기 filed Critical 이춘기
Priority to KR1020150049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704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70Travelling or camp beds the bed frame being foldable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47C17/74Travelling or camp beds the bed being foldable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부와 세로부가 각각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시킨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소형으로 절첩되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며, 연결프레임의 하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폭조절너트를 구비함으로써, 침대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를 야전 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야전침대는, 제1가로부(110)와, 상기 제1가로부(110)의 하부에 세워지게 연결된 제1세로부(120)를 구비한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가로부(110)와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2가로부(210)와, 상기 제2가로부(210)의 하부에 세워지게 연결된 제2세로부(220)를 구비한 제2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을 상호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00); 을 포함하되, 상기 제1가로부(110)는, 제1고정브라켓(111);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의 양단에 각각 하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1가로축(112) 및 제1-2가로축(113);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세로부(120)는, 상기 제1-1가로축(1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1회전브라켓(121); 상기 제1-2가로축(1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2회전브라켓(122); 상기 제1-1회전브라켓(121)에 하방향으로 세워지게 고정 장착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1세로축(123); 상기 제1-2회전브라켓(122)에 하방향으로 세워지게 고정 장착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2세로축(124);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에 하방향으로 세워지게 고정 장착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3세로축(125); 상기 제1-1세로축(123), 상기 제1-2세로축(124) 및 상기 제1-3세로축(125)의 수나사부에 체결되며,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절첩 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폭을 조절하는 제1폭조절너트(126);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야전 침대 {Camp bed}
본 발명은 야전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가 간편하도록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며, 야외에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야전 침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국민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주 5일제 시행으로 인해 주말이나 연휴에 야외에서 휴가를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야외에서 취사하기 위한 다양한 캠핑 용품 등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캠핑 용품에는 텐트뿐만 아니라 접이식 식탁, 의자, 간이침대 또는 야전침대 등으로 세트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캠핑 용품은 차량을 이용해 운반한 후, 적정 캠핑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된다.
특히, 야외에서 취침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가 용이하면서 어느 곳에서나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야전 침대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야전 침대는 사용자의 키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하는 구조상의 특성에 의해 그 부피가 상당하게 되며, 이로 인해 차량에 수납하거나 보관할 때의 곤란성이 제기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6759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337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로부와 세로부가 각각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시킨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소형으로 절첩되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며,연결프레임의 하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폭조절너트를 구비함으로써, 침대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를 야전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야전침대는, 제1가로부와, 상기 제1가로부의 하부에 세워지게 연결된 제1세로부를 구비한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가로부와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2가로부와, 상기 제2가로부의 하부에 세워지게 연결된 제2세로부를 구비한 제2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을 상호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제1가로부는, 제1고정브라켓; 상기 제1고정브라켓의 양단에 각각 하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1가로축 및 제1-2가로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세로부는, 상기 제1-1가로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1회전브라켓; 상기 제1-2가로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2회전브라켓; 상기 제1-1회전브라켓에 하방향으로 세워지게 고정 장착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1세로축; 상기 제1-2회전브라켓에 하방향으로 세워지게 고정 장착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2세로축; 상기 제1고정브라켓에 하방향으로 세워지게 고정 장착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3세로축; 상기 제1-1세로축, 상기 제1-2세로축 및 상기 제1-3세로축의 수나사부에 체결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연결프레임의 절첩 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폭을 조절하는 제1폭조절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세로부는, 상기 제1-1세로축, 상기 제1-2세로축 및 상기 제1-3세로축의 하단에 각각 상하 이동되게 삽입되며, 외측에 다수개의 높이조절공을 갖는 제1높이조절축; 상기 제1-1세로축, 상기 제1-2세로축 및 상기 제1-3세로축의 하단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높이조절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핀이 구비된 제1높이고정수단; 상기 제1높이조절축의 하단에 고정 장착되는 제1높이조절너트; 상기 제1높이조절축의 하단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높이조절너트에 체결되는 제1미세높이조절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높이고정수단는, 상기 제1-1세로축, 상기 제1-2세로축 및 상기 제1-3세로축의 하단에 고정되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에 상기 높이조절공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높이조절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고정핀; 상기 고정핀을 상기 높이조절공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고정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가로부와 상기 제1세로부가 임의로 회전하여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회전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가로부와 상기 제2가로부에 장착되어 상부를 덮는 덮개수단;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수단은, 상기 제1가로부에 장착되며, 길이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덮개프레임; 상기 제2가로부에 장착되며, 길이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덮개프레임; 양측이 상기 제1덮개프레임과 상기 제2덮개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덮개부재; 양측이 상기 제1덮개프레임과 상기 제2덮개프레임의 타측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제1덮개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덮개부재; 상기 제1가로부와 상기 제2가로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덮개프레임과 상기 제2덮개프레임을 각각 상기 제1가로부와 상기 제2가로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덮개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야전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이 3단계에 의해 좌우 너비 및 길이가 줄어들도록 절첩 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하고, 별도의 장비 없이 쉽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1세로축, 상기 제1-2세로축 및 상기 제1-3세로축의 하단에 상기 제1폭조절너트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하 높이에 따라 절첩 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1세로축, 상기 제1-2세로축 및 상기 제1-3세로축과 각각의 하단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된 상기 제1높이조절축들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는 상기 제1높이고정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침대의 전체적인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는 상기 제1덮개프레임과 상기 제2덮개프레임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미사용시 부피를 최소화 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이 일부가 절첩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전체가 절첩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전체가 절첩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제1높이고정수단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제1고정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덮개수단이 분리된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C-C에서 바라본 덮개부재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제1덮개부재와 제2덮개부재의 분리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제1덮개부재와 제2덮개부재의 접힘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제1덮개부재와 제2덮개부재의 접힘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이 일부가 절첩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전체가 절첩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전체가 절첩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제1높이고정수단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제1고정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덮개수단이 분리된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C-C에서 바라본 덮개부재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제1덮개부재와 제2덮개부재의 분리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제1덮개부재와 제2덮개부재의 접힘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제1덮개부재와 제2덮개부재의 접힘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제1덮개부재와 제2덮개부재의 접힘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은 제1지지프레임, 제2지지프레임, 연결프레임(300) 및 덮개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가로부(110)와, 상기 제1가로부(110)의 하부에 세워지게 연결된 제1세로부(120) 및 상기 제1가로부(110)와 상기 제1세로부(120)가 임의로 회전하여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회전고정수단(130)으로 이루어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가로부(110)는 제1고정브라켓(111), 제1-1가로축(112) 및 제1-2가로축(1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은 대략 사각형 형상이며, 중심부가 후술할 상기 제2가로부(2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제1-1가로축(112)과 상기 제1-2가로축(113)이 각각 하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며, 중심부에는 후술할 상기 제1세로부(120)의 제1-3세로축(125)이 하방향으로 세워지게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1-1가로축(112)과 상기 제1-2가로축(113)은 단면이 사각형인 프로파일로 이루어지며, 길이가 동일하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즉 일자를 이루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1가로축(112)과 상기 제1-2가로축(113)은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하방향으로 회전되고, 세로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게 절첩된다.
상기 제1세로부(120)는 상기 제1가로부(110)에서 하방향으로 세워지게 장착되며, 상기 제1가로부(110)를 지면에 세워지게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세로부(120)는 제1-1회전브라켓(121), 제1-2회전브라켓(122), 제1-1세로축(123), 제1-2세로축(124), 제1-3세로축(125), 제1폭조절너트(126), 제1높이조절축(127), 제1높이고정수단(128), 제1높이조절너트(129) 및 제1미세높이조절축(129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1회전브라켓(121)은 상기 제1-1가로축(112)의 좌측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1세로축(123)이 고정 장착되고, 측부에는 후술할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제1연결축(310)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1-1회전브라켓(121)은 상기 제1-1세로축(123) 및 상기 제1연결축(310)과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1-1가로축(112)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여 절첩 되도록 한다.
상기 제1-2회전브라켓(122)은 상기 제1-2가로축(113)의 우측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2세로축(124)이 고정 장착되고, 측부에는 후술할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제1연결축(310)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1-2회전브라켓(122)은 상기 제1-1회전브라켓(121)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2세로축(124)과 상기 제1연결축(310)을 상기 제1-2가로축(113)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여 절첩 되도록 한다.
상기 제1-1세로축(123)은 원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1회전브라켓(121)의 하부에 세워지게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1-1회전브라켓(1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1가로축(112)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절첩된다.
또한, 상기 제1-1세로축(123)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후술할 상기 제1폭조절너트(126)가 체결된다.
상기 제1-2세로축(124)은 상기 제1-1세로축(123)과 동일한 형상과 길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후술할 상기 제1폭조절너트(126)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2세로축(124)은 상기 제1-2회전브라켓(122)의 하부에 세워지게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1-1회전브라켓(1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2가로축(113)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절첩된다.
상기 제1-3세로축(125)은 상기 제1-1세로축(123)과 동일한 형상과 길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에 하방향으로 세워지게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1폭조절너트(126)는 일반적인 너트로 상기 제1-1세로축(123), 상기 제1-2세로축(124) 및 상기 제1-3세로축(125)의 수나사부에 체결되어 회전시 상하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1폭조절너트(126)는 상기 제1-1세로축(123), 상기 제1-2세로축(124) 및 상기 제1-3세로축(125)에 각각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술할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상하 높이에 따라 절첩 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폭을 조절한다.
상기 제1높이조절축(127)은 원형의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제1-1세로축(123), 상기 제1-2세로축(124) 및 상기 제1-3세로축(125)의 하단에 각각 상하 이동되게 삽입되며, 외측에 상하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높이조절공(127a)을 갖는다.
상기 제1높이고정수단(128)은 상기 제1-1세로축(123), 상기 제1-2세로축(124) 및 상기 제1-3세로축(125)의 하단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높이조절공(127a)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1세로축(123), 상기 제1-2세로축(124) 및 상기 제1-3세로축(125)의 높이를 조절한다.
하기에서는 상기 제1-1세로축(123)에 장착된 상기 제1높이고정수단(128)을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높이고정수단(128)은 고정몸체(128a), 고정핀(128b), 탄성부재(129c) 및 조절레버(129d)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몸체(128a)는 대략 원형의 고리 형상이며, 내부에 상기 높이조절공(127a)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1세로축(123)의 하단 외주면을 감싸게 고정 장착된다.
상기 고정핀(128b)은 상기 고정몸체(128a)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공(127a)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높이조절공(127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몸체(128a)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탄성부재(129c)는 일반적인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상기 고정핀(128b)의 타단과 상기 설치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상기 고정핀(128b)을 상기 높이조절공(127a)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조절레버(129d)는 직사각형의 막대 형상이며, 일단이 상기 고정핀(128b)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조절레버(129d)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부분이 가로로 눕혀지게 회전되면 상기 고정핀(128b)이 상기 높이조절공(127a)에서 이탈되어 상기 제1높이조절축(127)이 자유롭게 상하 이동되게 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부분이 세로로 세워지게 회전되면 상기 고정핀(128b)이 상기 높이조절공(127a)에 삽입되어 상기 제1높이조절축(127)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높이고정수단(128)은 상기 제1-1세로축(123), 상기 제1-2세로축(124) 및 상기 제1-3세로축(125)과 각각의 하단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된 상기 제1높이조절축(127)들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침대의 전체적인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높이조절너트(129)는 일반적인 너트와 같이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높이조절축(127)의 하단에 각각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1높이조절너트(129)에는 상기 제1미세높이조절축(129a)이 상하 이동되게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미세높이조절축(129a)은 일반적인 볼트로 상단이 상기 제1높이조절축(127)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제1높이조절너트(129)에 체결되어 회전시 상기 제1높이조절축(127)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높이조절너트(129)와 상기 제1미세높이조절축(129a)의 나사산의 간격이 상기 높이조절공(127a)보다 촘촘하기 때문에 상기 제1높이조절축(127)보다 미세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미세높이조절축(129a)의 하단에는 바닥면과 접하는 받침패드(129b)가 장착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1회전고정수단(130)은 상기 제1높이고정수단(128)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가로부(110)와 상기 제1세로부(12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1회전브라켓(121),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의 양단 및 상기 제1-2회전브라켓(122)에 각각 장착된다.
즉, 상기 제1회전고정수단(130)은, 상기 제1-1회전브라켓(121)과 상기 제1-1가로축(112)의 일단,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의 일단과 상기 제1-1가로축(112)의 타단,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의 타단과 상기 제1-2가로축(113)의 일단 및 상기 제2회전브라켓(122)과 상기 제1-2가로축(113)을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기 제1회전고정수단(130)의 작동 원리는 상기 제1높이고정수단(128)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덮개고정수단(450)은 상기 제1높이고정수단(128)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후술할 상기 덮개수단(400)과 상기 제1가로부(11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1가로축(112)과 상기 제1-2가로축(113)에 각각 2개씩 이격 배치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덮개고정수단(450)의 작동 원리는 상기 제1높이고정수단(128)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300)을 중심으로 폭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제2가로부(210), 제2세로부(220) 및 제2회전고정수단(2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가로부(210)는 상기 연결프레임(3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가로부(110)와 나란하게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제2고정브라켓(211), 제2-1가로축(212) 및 제2-2가로축(2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고정브라켓(211)은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과 동일하게 대략 사각형 형상이며, 중심부가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1가로축(212)과 제2-2가로축(213)은 상기 제1-1가로축(112) 동일하게 사각형의 긴 프로파일로 이루어지며,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1가로축(212)과 상기 제2-2가로축(213)은 상기 제2고정브라켓(211)에 좌우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고정브라켓(211)에 힌지결합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게 절첩된다.
한편, 상기 제2세로부(220)는 상기 제2가로부(210)의 하부에 세워지게 연결되어 상기 제2세로부(220)를 지면에 세우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세로부(220)는 제2-1회전브라켓(221), 제2-2회전브라켓(222), 제2-1세로축(223), 제2-2세로축(224), 제2-3세로축(225), 제2폭조절너트(226), 제2높이조절축(227), 제2높이고정수단(228), 제2높이조절너트(229) 및 제2미세높이조절축(229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1회전브라켓(221)은 상기 제2-1가로축(212)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2-1세로축(223)이 고정 장착되고, 측부에는 후술할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제2연결축(320)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2-1회전브라켓(221)은 상기 제2-1세로축(223)과 상기 제2연결축(320)을 상기 제2-1가로축(212)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여 절첩 되게 한다.
상기 제2-2회전브라켓(222)은 상기 제2-2가로축(213)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2-2세로축(224)이 고정 장착되고, 측부에는 후술할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제2연결축(320)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2-2회전브라켓(222)은 상기 제2-2세로축(224)과 상기 제2연결축(320)을 상기 제2-2가로축(213)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여 절첩 되게 한다.
상기 제2-1세로축(223)은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후술할 상기 제2폭조절너트(226)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2-1세로축(223)은 상기 제2-1회전브라켓(221)의 하부에 세워지게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2-1회전브라켓(2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1가로축(212)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절첩된다.
상기 제2-2세로축(224)은 상기 제1-1세로축(123)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2회전브라켓(222)의 하부에 세워지게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2-1회전브라켓(2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2가로축(113)의 하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절첩된다.
상기 제2-3세로축(225)은 상기 제2-1세로축(223)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브라켓(211)에 하방향으로 세워지게 고정 장착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폭조절너트(226)는 일반적인 너트로 상기 제2-1세로축(223), 제2-2세로축(224) 및 제2-3세로축(225)의 수나사부에 체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2폭조절너트(226)는 상기 제2-1세로축(223), 제2-2세로축(224) 및 제2-3세로축(225)에 각각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술할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상하 높이에 따라 절첩 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폭을 조절한다.
상기 제2높이조절축(227)은 원형의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제2-1세로축(223), 제2-2세로축(224) 및 제2-3세로축(225)의 하단에 각각 상하 이동되게 삽입되며, 외측에 상하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높이조절공(127a)을 갖는다.
상기 제2높이고정수단(228)은 상기 제2-1세로축(223), 제2-2세로축(224) 및 제2-3세로축(225)의 하단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높이조절공(127a)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1세로축(223), 제2-2세로축(224) 및 제2-3세로축(225)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제2높이고정수단(228)은 상기 제1높이고정수단(128)과 장착되는 위치를 제외하고 모두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2높이조절너트(229)는 일반적인 너트와 같이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1높이조절축(127)의 하단에 각각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제2높이조절너트(229)에는 상기 제2미세높이조절축(229a)이 상하 이동되게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미세높이조절축(229a)은 일반적인 볼트로 상단이 상기 제2높이조절축(227)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제2높이조절너트(229)에 체결되어 회전시 상기 제2높이조절축(227)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높이조절너트(229)와 상기 제2미세높이조절축(229a)의 나사산의 간격이 상기 높이조절공보다 촘촘하기 때문에 상기 상기 제2높이조절축(227)보다 미세하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미세높이조절축(229a)의 하단에는 바닥면과 접하는 받침패드(229b)가 장착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2회전고정수단(230)은 상기 제2가로부(210)와 상기 제2세로부(22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1회전고정수단(130)과 대칭되게 장착 및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덮개고정수단(450)은 상기 제2가로부(210)에 장착되어 상기 덮개수단(400)의 타측을 탈착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덮개고정수단(450)과 좌우 대칭되게 장착 및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300)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을 상호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1연결축(310), 제2연결축(320), 제1연결브라켓(330) 및 제2연결브라켓(3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결축(310)은 사각형의 긴 프로프일로 이루어지며, 3개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각각 상기 제1-1회전브라켓(121), 제1-2회전브라켓(122) 및 제1고정브라켓(111)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2가로부(2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연결축(320)은 대략 사각형의 긴 프로파일로 이루어지며, 중심부에는 상기 제1연결축(310)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홈(3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축(310)과 교차되게 배치되어 중심부가 상기 제1연결축(310)에 힌지결합되어 회전된다.
이러한 상기 제2연결축(320)은 상기 제1연결축(310)과 마찬가지로 3개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각각 상기 제2-1회전브라켓(221), 제2-2회전브라켓(222) 및 제2고정브라켓(211)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1연결브라켓(330)은 3개로 이루어지며, 3개의 상기 제1연결축(310)의 하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브라켓(330)은 상기 제2세로부(220)의 하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브라켓(330)에는 끼움홀(331)이 각각 1개씩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축(310)이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각각의 상기 끼움홀(331)에 상기 제2-1세로축(223), 상기 제2-2세로축(224) 및 상기 제2-3세로축(225)이 삽입된다.
즉, 3개의 상기 제1연결브라켓(330)은 각각 상기 제2-1세로축(223), 상기 제2-2세로축(224) 및 상기 제2-3세로축(225)에 끼워져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연결브라켓(340)은 3개로 이루어지며, 3개의 상기 제2연결축(320)의 하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세로부(120)의 하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제2연결브라켓(340)에는 상기 제1연결브라켓(330)과 마찬가지로 끼움홀(341)이 각각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끼움홀(341)에 상기 제1-1세로축(123), 제1-2세로축(124) 및 제1-3세로축(125)이 삽입되어 상기 제1-1세로축(123), 제1-2세로축(124) 및 제1-3세로축(125)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덮개수단(400)은 상기 제1가로부(110)과 상기 제2가로부(210)에 장착되어 상부를 덮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1덮개프레임(410), 제2덮개프레임(420), 제1덮개부재(430), 제2덮개부재(440) 및 덮개고정수단(4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은 가로로 긴 납작한 철편으로 이루어지며, 3층으로 적층되어 결합되되, 가운데에 배치된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은 후술할 상기 제1덮개부재(430) 및 상기 제2덮개부재(440)과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는 2개로 이루어지고, 각각 후술할 상기 제1덮개부재(430)의 일측과 상기 제2덮개부재(440)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은 상기 제1가로부(110)의 외측에 후술할 상기 덮개고정수단(450)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덮개프레임(420)은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과 동일하게 3층의 납작한 철편으로 이루어지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덮개부재(430)의 타측 및 상기 제2덮개부재(440)의 타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2덮개프레임(420)은 상기 제2가로부(110)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1덮개부재(430)는 직사각형의 천으로 이루어지며, 양측이 2개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과 상기 제2덮개프레임(420)에 각각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덮개부재(440)는 직사각형의 천으로 이루어지며, 양측이 2개 중 나머지 어느 하나의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과 상기 제2덮개프레임(420)에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제1덮개부재(430)와 상기 제2덮개부재(440)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의 상부에 장착될 때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일단이 서로 결합되며, 접어서 보관할 시에는 서로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덮개부재(430)의 상,하면과 상기 제2덮개부재(440)의 상면에는 상호 결합되는 밸크로부재(46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덮개수단(400)을 전개하여 사용할 때에는 상기 제1덮개부재(430)와 상기 제2덮개부재(440)가 상기 밸크로부재(460)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다가, 상기 덮개수단(400)을 접을 때에는 상기 제1덮개부재(430)와 상기 제2덮개부재(440)를 분리한 후, 상기 제1덮개부재(430)의 일단을 접어 하면에 형성된 밸크로부재(460)를 상면에 형성된 밸크로부재(460)에 결합시킨다.
이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과 상기 제2덮개프레임(420)을 길이 방향으로 반으로 접어 부피를 최소화하고, 보관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상기 제1덮개부재(430)와 상기 제2덮개부재(440)는 천이 아닌 단단한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덮개부재(430)와 상기 제2덮개부재(440)가 철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제1덮개부재(430)와 상기 제2덮개부재(440)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2등분된다.
또한,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과 상기 제2덮개프레임(42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덮개부재(430)의 양측에 각각 2개씩, 상기 제2덮개부재(440)의 양측에 각각 2개씩, 총 8개가 구비된다.
경첩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과 상기 제2덮개프레임(420)은 일단이 상기 제1덮개부재(430)와 상기 제2덮개부재(440)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각각 상기 제1-1가로축(112), 제1-2가로축(113), 제2-1가로축(212), 제2-2가로축(213)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등분 된 상기 제1덮개부재(430)와 상기 제2덮개부재(440)는 서로 길이 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경첩(H)으로 결합되어 길이가 1/4로 줄어들도록 접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덮개부재(430)와 상기 제2덮개부재(440)가 철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길이가 1/4이 되도록 접을 수 있어 부피를 줄여 보관 및 휴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고정수단(450)은 상기 제1-1가로축(112), 제1-2가로축(113), 제2-1가로축(212) 및 제2-2가로축(213)에 각각 2개씩 장착되어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을 상기 제1-1가로축(112)과 제1-2가로축(113)에, 그리고 상기 제2덮개프레임(420)을 제2-1가로축(212) 및 제2-2가로축(213)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덮개고정수단(450)은 총 8개로 이루어지며, 장착되는 위치만 다를 뿐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상기 제1-1가로축(112)에 장착되는 상기 덮개고정수단(450)를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1가로축(112)에 장착되는 상기 덮개고정수단(450)은 고정핀(451), 탄성부재(452) 및 조절레버(45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핀(451)은 폭 방향으로 긴 축으로, 일단이 상기 제1-1가로축(112)을 관통하여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에 삽입되어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을 고정한다.
상기 탄성부재(452)는 상기 제1-1가로축(1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451)을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조절레버(453)는 직사각형의 막대 형상으로, 상기 고정핀(451)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조절레버(45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세워지게 회전되면 상기 고정핀(451)이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 또는 상기 제2덮개프레임(4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조절레버(453)를 가로로 눕혀지게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핀(451)이 상기 조절레버(453)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 또는 상기 제2덮개프레임(420)의 결합이 해제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절첩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의 펼쳐진 상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1가로축(112), 제1-2가로축(113), 제2-1가로축(212) 및 제2-2가로축(213)이 좌우 일자 형태로 펼쳐지고, 상기 제1-1세로축(123), 제1-2세로축(124), 제1-3세로축(125), 제2-1세로축(223), 제2-2세로축(224) 및 제2-3세로축(225)이 하방향으로 세워지게 펼쳐지며, 상기 제1연결축(310)과 제2연결축(320)은 대략 'X' 자 형상으로 교차되게 기울어진다.
이때, 3개의 상기 제1연결축(310)은 하단이 상기 제1연결브라켓(330)에 의해 제2-1세로축(223), 제2-2세로축(224) 및 제2-3세로축(225)의 하단에 각각 상하 이동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축(320)의 하단은 상기 제2연결브라켓(340)에 의해 상기 제1-1세로축(123), 제1-2세로축(124) 및 제1-3세로축(125)의 하단에 각각 상하 이동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야전 침대을 접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브라켓(330)과 상기 제2연결브라켓(340)을 상기 제1-1세로축(123), 제1-2세로축(124), 제1-3세로축(125), 제2-1세로축(223), 제2-2세로축(224) 및 제2-3세로축(225)에서 각각 분리시키며, 상기 제1연결축(310)과 제2연결축(320)의 상단과 하단이 끼리끼리 인접하게 접히도록 회전시킨다.
이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1회전브라켓(121)과 제1-2회전브라켓(12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1-2회전브라켓(122)과 제2-2회전브라켓(222)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때 상기 제1-1세로축(123)과 제2-1세로축(223)은 상기 제1-1가로축(112) 및 제2-1가로축(212)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2세로축(124) 및 제2-2세로축(224)은 상기 제2-1가로축(212) 및 제2-2가로축(213)과 각각 나란하게 배치되게 접는다.
또한, 상기 제1-1세로축(123)과 제2-1세로축(223) 사이에 장착된 상기 연결프레임(300)과 상기 제2-1세로축(223)과 상기 제2-2세로축(224) 사이에 장착된 상기 연결프레임(300)도 상기 제1-1가로축(112) 및 제1-2가로축(113)과 각각 나란하게 배치되게 회전된다.
마지막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1가로축(112)과 제2-1가로축(21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1-2가로축(113)과 제1-2가로축(11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3세로축(125)과 나란하게 배치되게 접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전 침대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 및 연결프레임(300)이 3단계에 의해 좌우 너비 및 길이가 줄어들도록 절첩 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하고, 별도의 장비 없이 쉽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1세로축(123), 상기 제1-2세로축(124) 및 상기 제1-3세로축(125)의 하단에 상기 제1폭조절너트(126)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상하 높이에 따라 절첩 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1세로축(123), 상기 제1-2세로축(124) 및 상기 제1-3세로축(125)과 각각의 하단에 상하 이동되게 장착된 상기 제1높이조절축(127)들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는 상기 제1높이고정수단(128)이 구비됨으로써, 침대의 전체적인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400)는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과 상기 제2덮개프레임(420)이 절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미사용시 부피를 최소화 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10 : 제1가로부, 111 : 제1고정브라켓,
112 : 제1-1가로축, 113 : 제1-2가로축,
120 : 제1세로부, 121 : 제1-1회전브라켓,
122 : 제1-2회전브라켓, 123 : 제1-1세로축,
124 : 제1-2세로축, 125 : 제1-3세로축,
126 : 제1폭조절너트 127 : 제1높이조절축
128 : 제1높이고정수단 128a :고정몸체
128b : 고정핀 128c : 탄성부재
128d : 조절레버 129 : 제1높이조절너트
129a : 제2미세높이조절축 130 : 회전고정수단
210 : 제2가로부, 211 : 제2고정브라켓,
212 : 제2-1가로축, 213 : 제2-2가로축,
220 : 제2세로부, 221 : 제2-1회전브라켓,
222 : 제2-2회전브라켓, 223 : 제2-1세로축,
224 : 제2-2세로축, 225 : 제2-3세로축,
300 : 연결프레임, 310 : 제1연결축,
320 : 제2연결축, 330 : 제1연결브라켓,
340 : 제2연결브라켓. 400 : 덮개부재
410 : 제1덮개프레임 420 : 제2덮개프레임
430 : 제1덮개부재 440 : 제2덮개부재
450 : 덮개고정수단

Claims (5)

  1. 제1가로부(110)와, 상기 제1가로부(110)의 하부에 세워지게 연결된 제1세로부(120) 및 상기 제1가로부(110)와 상기 제1세로부(120)가 임의로 회전하여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회전고정수단(130)을 구비한 제1지지프레임;
    상기 제1가로부(110)와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는 제2가로부(210)와, 상기 제2가로부(210)의 하부에 세워지게 연결된 제2세로부(220)를 구비한 제2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제2지지프레임을 상호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프레임(300); 및
    상기 제1가로부(110)와 상기 제2가로부(210)에 장착되어 상부를 덮는 덮개수단(4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로부(110)는 제1고정브라켓(111)와,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의 양단에 각각 하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1가로축(112) 및 제1-2가로축(1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세로부(120)는 상기 제1-1가로축(1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1회전브라켓(121);
    상기 제1-2가로축(1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2회전브라켓(122);
    상기 제1-1회전브라켓(121)에 하방향으로 세워지게 고정 장착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1세로축(123);
    상기 제1-2회전브라켓(122)에 하방향으로 세워지게 고정 장착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2세로축(124);
    상기 제1고정브라켓(111)에 하방향으로 세워지게 고정 장착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3세로축(125);
    상기 제1-1세로축(123), 상기 제1-2세로축(124) 및 상기 제1-3세로축(125)의 수나사부에 체결되며,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절첩 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폭을 조절하는 제1폭조절너트(126);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수단(400)은 상기 제1가로부(110)에 장착되며, 길이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덮개프레임(410);
    상기 제2가로부(210)에 장착되며, 길이 방향으로 접힘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덮개프레임(420);
    양측이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과 상기 제2덮개프레임(420)의 일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덮개부재(430);
    양측이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과 상기 제2덮개프레임(420)의 타측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제1덮개부재(43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덮개부재(440);
    상기 제1가로부(110)와 상기 제2가로부(210)에 장착되어 상기 제1덮개프레임(410) 과 상기 제2덮개프레임(420)을 각각 상기 제1가로부(110)와 상기 제2가로부(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덮개고정수단(4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전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로부(120)는,
    상기 제1-1세로축(123), 상기 제1-2세로축(124) 및 상기 제1-3세로축(125)의 하단에 각각 상하 이동되게 삽입되며, 외측에 다수개의 높이조절공(127a)을 갖는 제1높이조절축(127);
    상기 제1-1세로축(123), 상기 제1-2세로축(124) 및 상기 제1-3세로축(125)의 하단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높이조절공(127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핀(128b)이 구비된 제1높이고정수단(128);
    상기 제1높이조절축(127)의 하단에 고정 장착되는 제1높이조절너트(129);
    상기 제1높이조절축(127)의 하단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높이조절너트(129)에 체결되는 제1미세높이조절축(129a);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전 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높이고정수단(128)는,
    상기 제1-1세로축(123), 상기 제1-2세로축(124) 및 상기 제1-3세로축(125)의 하단에 고정되는 고정몸체(128a);
    상기 고정몸체(128a)에 상기 높이조절공(127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높이조절공(127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몸체(128a)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고정핀(128b);
    상기 고정핀(128b)을 상기 높이조절공(127a)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29c);
    상기 고정핀(128b)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절레버(129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전 침대.
  4. 삭제
  5. 삭제
KR1020150049042A 2015-04-07 2015-04-07 야전 침대 KR101706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042A KR101706704B1 (ko) 2015-04-07 2015-04-07 야전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042A KR101706704B1 (ko) 2015-04-07 2015-04-07 야전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045A KR20160120045A (ko) 2016-10-17
KR101706704B1 true KR101706704B1 (ko) 2017-02-14

Family

ID=5725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042A KR101706704B1 (ko) 2015-04-07 2015-04-07 야전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155B1 (ko) 2022-12-14 2023-07-10 이춘기 다리 고정력이 향상되고 텐트 설치가 가능한 야전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507B1 (ko) * 2017-05-04 2019-04-17 정유진 조립식 침대
KR102486820B1 (ko) * 2020-12-07 2023-01-09 김인겸 경사대응형 야전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216Y1 (ko) * 2003-08-06 2003-10-30 김준용 조립식 평상
JP2007014685A (ja) * 2005-07-11 2007-01-25 Kawamura Cycle:Kk 歩行器
JP2010000209A (ja) * 2008-06-20 2010-01-07 Bizai Com Corp 折り畳みベッド
KR200474196Y1 (ko) * 2014-01-24 2014-09-23 이춘기 야전 침대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95Y1 (ko) 2011-06-07 2013-06-21 주식회사 케이에스엠 야전침대용 받침대
KR101273373B1 (ko) 2011-09-30 2013-06-11 (주)태영금속 캠핑용 간이 야전침대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216Y1 (ko) * 2003-08-06 2003-10-30 김준용 조립식 평상
JP2007014685A (ja) * 2005-07-11 2007-01-25 Kawamura Cycle:Kk 歩行器
JP2010000209A (ja) * 2008-06-20 2010-01-07 Bizai Com Corp 折り畳みベッド
KR200474196Y1 (ko) * 2014-01-24 2014-09-23 이춘기 야전 침대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155B1 (ko) 2022-12-14 2023-07-10 이춘기 다리 고정력이 향상되고 텐트 설치가 가능한 야전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045A (ko) 201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4089B1 (en) Foldable table top
US8919263B2 (en) Portable assembly-type flat bench
US9226588B2 (en) Knockdown bed
KR101706704B1 (ko) 야전 침대
US20130276228A1 (en) Framed Bed Foundation
CN106263817B (zh) 便携式婴儿床
KR102403156B1 (ko) 휴대용 스테이지 시스템
KR101636551B1 (ko) 조립식 야외테이블
US20160242549A1 (en) Ice shelter seat with removable storage
KR20130094667A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101832620B1 (ko) 접철식 캠핑용 그릴
KR101747884B1 (ko) 접이형 분해 조립식 편백나무 평상
KR20140005062A (ko) 조립식 테이블
US20070272638A1 (en) Device for a Wiggle-Free Table
KR101410678B1 (ko) 접철식 테이블
KR20170055781A (ko) 다용도 받침대
US20140259395A1 (en) Hammock
US20050011002A1 (en) Conversion kit for turning a cross-legged folding cot into a tiered cot
KR200474196Y1 (ko) 야전 침대 프레임
KR200457904Y1 (ko) 접이식 간이 테이블
KR200480114Y1 (ko) 레저용 접이식 상
KR200413274Y1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US8869323B2 (en) Combination bed that is assembled and disassembled easily and quickly
KR101565301B1 (ko) 테이블용 다리장치
AU2005100320A4 (en) Convertible Be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