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080B1 -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 - Google Patents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080B1
KR101209080B1 KR1020120092052A KR20120092052A KR101209080B1 KR 101209080 B1 KR101209080 B1 KR 101209080B1 KR 1020120092052 A KR1020120092052 A KR 1020120092052A KR 20120092052 A KR20120092052 A KR 20120092052A KR 101209080 B1 KR101209080 B1 KR 101209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sk
support
portabl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복만
Original Assignee
조복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복만 filed Critical 조복만
Priority to KR1020120092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용 가림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림판을 접고 펼 수 있도록 하면서 책상에 손쉽게 장탈착 할 수 있도록 하여 미 사용시 접어서 가방에 보관하다가 필요시 언제든지 펼쳐서 책상에 장착하여 가림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경계부에 의해 한 쌍의 정면판이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가림판과; 가림판의 단부에 끼워지는 슬라이드 홈을 형성하여 가림판으로부터 수평 이동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축 결합되어 회동하도록 하고, 일면과 양측면이 개방되어 책상의 상판 모서리에 끼워지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가림판을 접었다 펼 수 있고 책상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미사용시에는 접어서 가방에 보관하였다가 필요시 언제든지 책상에 설치할 수 있고, 탄성을 갖는 고정수단을 책상 단부에 밀어 끼우고 당기는 방법에 의해 장탈착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고정수단을 회동시키면 접혀진 가림판이 펼쳐지지 않아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shield plate of desk}
본 발명은 책상용 가림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림판을 접고 펼 수 있도록 하면서 책상에 손쉽게 장탈착 할 수 있도록 하여 미 사용시 접어서 가방에 보관하다가 필요시 언제든지 펼쳐서 책상에 장착하여 가림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책을 올려놓기 위한 상판이 수평으로 구비되고 그 하부에 다리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책상은 상판의 하부가 개방됐기 때문에 치마를 입은 여학생의 경우 하체가 맞은편의 학생이나 선생님에게 노출되어 수업의 집중력을 떨어트린다.
또한, 학교나 학원에서 자율학습을 할 경우 책상의 상부가 완전히 오픈됐기 때문에 집중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수업 중에는 선생님 말씀을 들어야 하므로 독서실의 책상과 같은 가림판을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하는 책상이 출원되었는바 등록실용신안 제20-0428651호가 대표적인 것으로, 책상을 받치는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치마 가림판을 설치하고 치마 가림판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여학생의 경우 가림판을 설치하고 남학생의 경우 가림판을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책상은 여학생의 하체를 가리는 가림판의 기능만 할 뿐 독서실의 책상과 같은 독립적인 공간을 만들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951043호는 상판의 정면과 측면에 전면 패널과 측면 패널을 힌지 결합하여 절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모든 패널을 하부로 늘어트리면 치마 가림판으로 사용되고 상부로 위치시키면 독서실과 같이 독립적인 공간을 가질수 있도록 하여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책상은 전면 패널 및 측면 패널이 절첩되는 구조이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앞쪽과 양쪽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학교와 같이 많은 책상이 밀집된 경우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면 패널과 측면 패널을 고정하는 수단이 필히 구비되어야 하며 이들을 조작해야 하고 조작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901243호는 상판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베이스판을 구비하고 베이스 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가림판을 구비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전환 조작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여기서 가림판의 승하강 하는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베이스판의 가장자리 즉 전면과 양측에 수평의 체결볼트를 구비하고 가림판에는 삽입홈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삽입홈에 체결볼트가 삽입되면 그 타측에서 체결너트를 체결하여 가림판을 가압하여 고정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책상은 반복되는 사용 전환에 의해 삽입홈의 마모가 빨리 진행되고 가림판의 무게에 의해 체결볼트에 하중이 집중되어 변형이 발생하는 등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림판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한 손으로 무거운 가림판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체결너트를 조여야 하기 때문에 여학생의 경우 매우 힘들고 체결너트가 가림판을 강제 가압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자국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가림판의 삽입홈이 그대로 노출되고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가 돌출됨으로써 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조잡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치마 가림판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림판을 하부로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가림판이 그대로 낙하하여 큰 소음 및 충격이 발생하여 연결부위의 파손이 급격히 진행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가림판이 제10-1083716호로 특허 등록되었는바 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판 및 상판을 받치는 다리로 구성된 책상에 결합되는 가림판으로서, 상판 또는 다리의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되며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된 수직의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과, 전면판 및 전면판의 양측에 회동하도록 연결된 측판이 접힌 상태로 브라켓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판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가림판은 평상시 책상의 하부에 위치시켜 치마 가림용으로 사용하고 자율학습시 상부로 위치시켜 측판을 펼침으로써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여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림판은 책상에 한 번 설치하면 그 책상에서 계속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연장이 없는 한 탈착이 어렵고 탈착하더라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부피가 커서 먼 곳의 다른 책상에 설치하기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다른 곳의 책상에 가림판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또 하나의 가림판을 구입하여 설치할 수밖에 없으므로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실용신안 제20-0428651호(2006.10.04) KR 등록특허 제10-0951043호(2010.03.26) KR 등록특허 제10-0901243호(2009.05.29) KR 등록특허 제10-1083716호(2011.11.0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책상으로부터 손쉽게 장탈착되도록 하면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미 사용시 휴대하다가 필요시 언제든지 책상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은,
가림판;
가림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일면과 양측면이 개방되어 책상의 상판 모서리에 끼워지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림판은 한 쌍의 정면판과 양 정면판 사이에 구비되어 양 정면판을 연결하는 경계부로 구성되며 경계부를 기준으로 양 정면판이 접힘과 펼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림판에 지지대를 설치하고 지지대에 고정수단을 축 결합하되, 지지대는 가림판의 단부에 끼워지는 슬라이드 홈을 형성하여 가림판으로부터 수평 이동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 정면판은 측면판 및 보조판을 구비하되 경계부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양단으로 돌출되는 고정편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축공은 장공으로 형성하여 고정수단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가림판이 설치된 책상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림판을 접었다 펼 수 있고 책상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미사용시에는 접어서 가방에 보관하였다가 필요시 언제든지 책상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탄성을 갖는 고정수단을 책상 단부에 밀어 끼우는 방식으로 장착이 완료되고, 고정수단을 당기면 탈착되므로 장탈착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책상의 하부에 설치하면 치마 가림판으로 사용할 수 있고, 책상의 상부에 설치하면 독서용 가림판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회동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접혀진 가림판이 펼쳐지지 않아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다섯째, 휴대용으로써 필요시에만 사용하면 되므로 두껍게 제조할 필요 없고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무게도 가벼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을 도시한 측면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가림판이 치마 가림판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가림판이 독서용 가림판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a, 6b, 6c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가림판을 휴대하기 위해 접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7a,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책상용 가림판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책상용 가림판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고정수단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책상용 가림판의 측면도이고, 도 4a, 4b는 치마 가림판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독서용 가림판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a, 6b, 6c는 휴대하기 위해 접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은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가림판(10)과, 가림판(10)의 일단에 설치되는 고정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림판(10)은 한 쌍의 정면판(11)과, 정면판(11)의 양측에 구비된 측면판(12)으로 이루어지며, 정면판(11)과 측면판(12)의 경계부(15)는 서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연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정면판(11)과 측면판(12)은 딱딱한 재질로 성형하고, 경계부(15)는 연질로 성형하여 연질 부위가 자유롭게 휘어짐으로써 정면판(11)과 측면판(12)이 경계부(15)를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게 된다. 경계부(15)는 힌지 기능을 가지는 경첩 등의 부품이 이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측면판(12)은 정면판(11)보다 좁게 형성하여 접을시 지지대(30)의 양측에 그 단부가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20)은 가림판(10)의 일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면과 양측면이 개방된 집게나 클립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부위를 통해 책상(1)의 상판(2) 모서리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수단(20)은 자체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면서 개방된 입구가 내부보다 좁게 형성하여 책상(1)의 상판(2)에 끼워졌을 때 상판(2)의 상하면을 조임으로써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고정수단(20)은 강제로 당기는 방법에 의해 탈착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수단(20)은 지지대(30)를 매개로 하여 가림판(10)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30)는 수직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상하단이 이단 절곡됨에 따라 형성되는 슬라이드 홈(31)이 구비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홈(31)은 가림판(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끼워져 가림판(10)으로부터 지지대(30)가 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지지대(30)는 일면의 양측에 축공(32)을 형성하되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고정수단(20)은 양 축공(32)에 끼워지는 축(22)이 돌출 형성되어 지지대(30)와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20)은 지지대(30)로부터 회동 가능하며 기다란 축공(32)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도 가능하다. 아울러 지지대(30)의 일면에는 고정편(33)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회동함에 따라 지지대(30)의 양단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을 치마 가림판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가림판(10)을 수평으로 펼친 다음 정면판(11)과 정면판(11) 사이의 경계부(15)에 지지대(30)를 위치시키면 슬라이드 홈(31)에 경계부(15)가 위치하면서 양 정면판(11)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양 측면판(12)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판(11)과 포개어지도록 접으면 양 단부가 지지대(30)의 양측에 위치된다. 이때 지지대(30)의 고정편(33)을 회동시켜 수평으로 위치시키면 접혀진 측면판(12)은 고정편(33)에 의해 접힌 상태를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20)을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책상(1)의 상판(2) 선단부에 밀어 끼우면 고정수단(20)의 선단이 살짝 확장되면서 상판(2)의 삽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고정수단(20)의 장착이 완료되면 고정수단(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판(2) 상하면을 압박함으로써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판(2)의 하부에 가림판(10)이 수직으로 위치함으로써 치마를 입은 학생의 하체 노출을 방지하여 수업에 집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책상용 가림판을 독서용 가림판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0)를 양 정면판(11)의 경계부(15)에 위치시켜 정면판(11)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양 측면판(12)을 정면판(11)과 90°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책상(1)의 상판(2) 위에 올려놓으면 스스로 자립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책상(1)의 정면과 측면이 주변으로부터 차단되어 공부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책상용 가림판을 사용하다가 미사용으로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0)를 일측으로 밀어 어느 한쪽의 정면판(11)에 위치시킨다. 이때, 지지대(30)의 슬라이드 홈(31) 내에 경계부(15)가 벗어나도록 하여 정면판(11)이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측면판(12)을 접어 정면판(11)과 측면판(12)이 포개지도록 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의 정면판(11)과 측면판(12)도 접어 모든 판(11)(12)들이 포개어지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20)을 회동시키고 수직으로 이동시켜 가장 외측의 측면판(12)을 덮음으로써 가림판(10)이 접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접혀진 가림판을 책상에 넣거나 가방에 넣어 보관하면 필요시 언제든지 꺼내어 설치할 수 있다.
도 7a,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책상용 가림판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판(13)을 더 구비하여 측면판(12)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측면판(12)에 보조판(13)을 더 구비하고 이 보조판(13) 또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연질의 경계부(15)에 의해 연결된다. 아울러 측면판(12)과 보조판(13)의 경계부(15)를 선택적으로 덮는 고정구(40)가 설치된다. 고정구(40)는 'ㄷ' 모양의 단면적을 가지며 내측면에 돌부(41)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측면판(12)이나 보조판(13) 어느 일면에 수평의 장홈(42)을 형성하여 고정구(40)의 돌부(41)가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고정구(40)가 경계부(15)로 이동하면 고정구(40)의 양단이 측면판(12)과 보조판(13)에 위치함으로써 측면판(12)과 보조판(13)은 수평 상태가 유지된다. 만약 보조판(13)을 접고자 한다면 고정구(40)를 이동시켜 경계부(15)가 노출되도록 하면 보조판(13)의 접힘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보조판(13)을 펼치면 독서용 가림판으로 사용시 더욱 넓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책상용 가림판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33)을 장탈착 가능토록 하면서 탈착된 고정편(33)을 측면판(12)과 보조판(13) 및 경계부(15)에 끼워 보조판(13)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편(33)은 'ㄷ' 모양의 단면적을 가지도록 하여 일단과 양 측단으로 개방되는 슬롯(36)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30)는 고정편(33)이 삽입될 수 있는 삽탈홈(34)을 형성하되 삽탈홈(34)의 내측면 상하부에 수평의 안내 돌기(35)를 형성한다.
따라서 삽탈홈(34)으로 고정편(33)을 삽입하면 슬롯(36)으로 안내 돌기(35)가 끼워져 고정편(33)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편(33)의 슬롯(36)은 개방된 입구가 내부보다 좁게 형성하여 안내 돌기(35)를 압박하여 이동한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고정편(33)은 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지지대(30)의 양측으로 돌출되면 접혀진 측면판(12)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편(33)은 탈착하여 펼쳐진 보조판(1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40)로 대용될 수 있다. 즉, 펼쳐진 측면판(12)과 보조판(13) 및 경계부(15)에 고정편(33)의 끼움으로 슬롯(36)에 측면판(12)과 보조판(13)의 단부가 끼워져 보조판(13)이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고정구(40)를 고정편(33)으로 대용함으로써 별도의 고정구(40)를 제조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1 : 책상 2 : 상판 10 : 가림판
11 : 정면판 12 : 측면판 13 : 보조판
15 : 경계부 20 : 고정수단 22 : 축
30 : 지지대 31 : 슬라이드 홈 33 : 고정편
34 : 삽탈홈 35 : 안내 돌기 40 : 고정구
41 : 돌부 42 : 장홈

Claims (8)

  1. 가림판(10);
    가림판(10)의 단부에 끼워지는 슬라이드 홈(31)을 형성하여 가림판(10)으로부터 수평 이동하는 지지대(30);
    지지대(30)에 축(22) 결합되며 책상(1)의 상판(2) 모서리에 장착되는 고정수단(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판(10)은 한 쌍의 정면판(11)과 양 정면판(11) 사이에 구비되어 양 정면판(11)을 연결하는 경계부(15)로 구성되며 경계부(15)를 기준으로 양 정면판(11)이 접힘과 펼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0)은 책상(1) 상판(2)의 상하면을 강제 압박하여 고정하는 집게 또는 클립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정면판(11)은 측면판(12)을 각각 더 구비하되 정면판(11)과 측면판(12) 사이에 경계부(15)를 두어 측면판(12)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는 양단으로 돌출되는 고정편(33)을 구비하여 접혀진 측면판(12)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는 고정수단(20)의 축(22)이 삽입되는 축공(32)을 장공으로 형성하여 고정수단(20)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
  7. 삭제
  8. 삭제
KR1020120092052A 2012-08-23 2012-08-23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 KR101209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052A KR101209080B1 (ko) 2012-08-23 2012-08-23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052A KR101209080B1 (ko) 2012-08-23 2012-08-23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080B1 true KR101209080B1 (ko) 2012-12-06

Family

ID=47907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052A KR101209080B1 (ko) 2012-08-23 2012-08-23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08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606A (ko) 2014-04-16 2015-10-26 조인준 휴대용 접이식 가림판
KR20170003120U (ko) 2016-02-26 2017-09-0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가림판을 구비한 교실용 책상
CN110037454A (zh) * 2019-05-08 2019-07-23 得力集团有限公司 一种折叠式文件框
KR102175927B1 (ko) * 2020-07-24 2020-11-06 주식회사 동해 식탁용 가림막 장치
KR102219600B1 (ko) 2020-12-09 2021-02-23 박종혁 테이블용 가림막 기구
KR20230001165A (ko) * 2021-06-28 2023-01-04 류영후 고정 및 크기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가림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6898A (ja) * 2004-05-21 2006-01-12 Yamada Kogyo Kk 什器用支持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6898A (ja) * 2004-05-21 2006-01-12 Yamada Kogyo Kk 什器用支持具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9606A (ko) 2014-04-16 2015-10-26 조인준 휴대용 접이식 가림판
KR101636379B1 (ko) * 2014-04-16 2016-07-08 조인준 휴대용 접이식 가림판
KR20170003120U (ko) 2016-02-26 2017-09-0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가림판을 구비한 교실용 책상
CN110037454A (zh) * 2019-05-08 2019-07-23 得力集团有限公司 一种折叠式文件框
KR102175927B1 (ko) * 2020-07-24 2020-11-06 주식회사 동해 식탁용 가림막 장치
KR102219600B1 (ko) 2020-12-09 2021-02-23 박종혁 테이블용 가림막 기구
KR20230001165A (ko) * 2021-06-28 2023-01-04 류영후 고정 및 크기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가림판
KR102532134B1 (ko) * 2021-06-28 2023-05-12 류영후 고정 및 크기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가림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080B1 (ko) 휴대 가능한 책상용 가림판
US20150182021A1 (en) Television cabinet
US8020330B2 (en) Accessory for a display screen
KR102032188B1 (ko) 휴대용 가림판
KR20150119606A (ko) 휴대용 접이식 가림판
KR20110092436A (ko) 절첩식 지지대를 구비한 가구
KR102024231B1 (ko) 접이식 다용도 테이블
KR20130007433U (ko) 가구의 사선형 다리 부착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경첩
CN204263830U (zh) 一种双面画板
CN115005598B (zh) 一种多功能美术工作台
KR101083716B1 (ko) 책상용 가림판
KR20160044893A (ko) 접이식 테이블
KR101654910B1 (ko) 사단 접이식 테이블
KR101866934B1 (ko) 서랍장을 구비한 책상 조립체
KR101433458B1 (ko)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KR101337269B1 (ko) 복합기능 교탁
GB2534547A (en) Support assembly
KR20100054069A (ko) 휴대용 독서칸막이
KR200348852Y1 (ko) 절첩 기능을 갖는 휴대용 화이트보드
KR20110003025U (ko) 절첩식 탁자의 절첩장치
KR200419242Y1 (ko) 절첩식 책상 칸막이
KR200463119Y1 (ko) 이젤 거치대
KR101570458B1 (ko) 슬라이드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KR20140107941A (ko) 조립식 이젤
CN219042610U (zh) 可拼接桌体及组合露营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