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458B1 -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 Google Patents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3458B1 KR101433458B1 KR1020120099592A KR20120099592A KR101433458B1 KR 101433458 B1 KR101433458 B1 KR 101433458B1 KR 1020120099592 A KR1020120099592 A KR 1020120099592A KR 20120099592 A KR20120099592 A KR 20120099592A KR 101433458 B1 KR101433458 B1 KR 1014334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partition
- bracket assembly
- frame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4—Writing-tables with secret or fireproof compartments ; Trays or the like countersunk in the table top and obturable, e.g. by means of a roller or sliding shut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12—Vanity or modesty pan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이 개시된다. 상기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은, 특정위치의 연결대상물에 고정되어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파티션의 테두리 모양을 결정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를 가로지르면서 상기 외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커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연결대상물 사이에 결합되거나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연결대상물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파티션을 상기 연결대상물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책상이나 탁자 등 가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티션을 책상이나 탁자 등의 임의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브라켓어셈블리가 구비된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칸막이)은 사무실 등의 실내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실내공간을 구획함으로써 개개인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거나 각 부서 간의 공간을 차단하여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티션은 주로 책상의 전방이나 좌우측방에 세워진 상태에서 실내 바닥면에 고정구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다수개의 파티션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함께 설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파티션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가 필요하거나 또는 다수개의 파티션을 책상 사이에 끼워 간이로 고정시켜야 하고, 또 다른 예로는 다수개의 파티션을 'ㄱ'자 또는 'ㄷ'자 형태 등으로 연결시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파티션은 간편하게 설치하기 어려운 면이 있었고, 설치 후에 위치나 방향을 변경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파티션을 기설치된 책상 등에 고정시키는 방식이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20-2009-0005809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발명의 경우에도 파티션의 하방에 안정적인 직립을 위한 다리부가 구비되어야 하고, 체결부재가 파티션에 단순히 걸어지는 방식이므로 파티션의 견고한 고정이 어려우며, 체결볼트가 기존의 책상에 체결되어야 하므로 책상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티션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이와 동시에 책상과 같은 기설치된 가구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이에 고정되어 파티션을 다양한 방향과 다양한 높이로 가구에 연결시킬 수 있는 브라켓어셈블리가 구비된 파티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은, 특정위치의 연결대상물에 고정되어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파티션의 테두리 모양을 결정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를 가로지르면서 상기 외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커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연결대상물 사이에 결합되거나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연결대상물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파티션을 상기 연결대상물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어셈블리는, 하우징, 상기 브라켓어셈블리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일측 또는 상기 내부프레임을 결합하는 결합편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연결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줄여 상기 브라켓어셈블리와 상기 연결대상물을 결합하는 회전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편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접하여 고정되기 위한 양단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절곡되어 상기 외부프레임 또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는 결합채널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편은 상기 하우징에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편 양단의 지지부에는 각각 2개씩의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제 1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4개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복수의 체결구들 각각이 대응하는 상기 제1체결공과 상기 제2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편이 상기 하우징에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편이 배면에 결합되는 중앙판 및 상기 중앙판의 양단에 각각 직교하게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는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바는 상기 하판을 통과하여 그 일단이 상기 상판과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판을 향한 상기 회전바의 일단에는 접촉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접촉플레이트의 상면 또는 이와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 상판의 저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흠집방지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하판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바의 타단에는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가 상기 회전바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양면을 감싸면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의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모서리들에 상기 커버의 앞면과 뒷면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일 면 중 상기 브라켓어셈블리가 상기 외부프레임 또는 상기 내부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는 위치들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일 면에 형성된 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홀들은 수평 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은, 복수의 상기 파티션들의 외부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파티션들을 연결하는 파티션 연결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은 파티션을 바닥에 고정하거나 또는 벽면과 가구 사이에 눌려 지지되지 않더라도 브라켓어셈블리에 의해 기존에 설치된 가구 등에 용이하게 고정되어 직립할 수 있으므로 설치편의성이 향상되고, 가구 등 기존의 시설물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성도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파티션을 고정하는 브라켓어셈블리의 결합편이 각각 직교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어 파티션을 기존의 시설물에 결합시키는 방향이 가변될 수 있고 브라켓어셈블리를 외부프레임 또는 내부프레임에 결합하여 파티션을 기존의 시설물에 결합시키는 높이 역시 가변될 수 있어, 이에 따라 설치장소의 환경 등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한 방향 및 다양한 높이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자유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파티션을 고정하기 위하여 책상과 같은 기존의 가구에 체결구를 체결하기 위한 구멍을 내지 않고도 브라켓어셈블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시설물을 훼손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치장소 등에 따라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파티션이 필요한 경우에도, 다수개의 파티션을 연결하여 일종의 병풍처럼 활용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파티션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커버를 씌워 구성되는데, 별도의 봉합과정 없이 파티션 프레임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색상와 재질의 커버로 용이하게 교체가능한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에 커버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브라켓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과 같이 결합되는 브라켓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파티션과 연결대상물을 결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와 같이 결합되는 브라켓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파티션과 연결대상물을 결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b의 파티션을 복수개 이용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에 커버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브라켓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과 같이 결합되는 브라켓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파티션과 연결대상물을 결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와 같이 결합되는 브라켓어셈블리를 이용하여 파티션과 연결대상물을 결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b의 파티션을 복수개 이용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10)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10)에 커버(30)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브라켓어셈블리(5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50)를 구비하는 파티션(10, 이하 '파티션'이라 함)의 외관 및 골격은 프레임(2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20)은 파티션(10)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게 함과 동시에 브라켓어셈블리(50)가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봉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20)은 외부프레임(21) 및 적어도 하나의 내부프레임(23)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프레임(21)은 파티션(10)의 테두리 모양을 결정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단위 프레임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내부프레임(23)은 외부프레임(21)의 내부를 가로지르면서 외부프레임(21)에 결합되어, 프레임(10)의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브라켓어셈블리(50)가 다양한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수직방향의 외부프레임(21)을 가로질러 두 개의 내부프레임(23)이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개수의 내부프레임(23)이 외부프레임(21)을 가로질러 결합되거나 수평방향의 외부프레임(21)을 가로질러 적어도 하나의 내부프레임(23)이 결합될 수도 있다.
프레임(20)에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어셈블리(50)가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어셈블리(50)는 파티션(10)을 상기 연결대상물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프레임(21)의 일측과 상기 연결대상물 사이에 결합되거나 내부프레임(23)과 상기 연결대상물 사이에 결합되어 파티션(10)을 상기 연결대상물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대상물이라 함은, 파티션(10)과 결합되어 파티션(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 설치된 탁자나 책상과 같은 가구나 또는 벽에 돌출된 부분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브라켓어셈블리(5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듯이, 그 골격이 하우징(51, 52, 5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51, 52, 5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중앙의 중앙판(51)과, 중앙판(51)의 양단에 각각 직교하게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는 상판(53) 및 하판(52)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판(51)의 배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편(55)이 결합되고, 하판(52)에는 후술할 회전바(60)가 통과하여 그 일부가 상판(53)방향으로 돌출된다. 하우징(51, 52, 53)의 재질은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질로 될 수 있다.
하우징(51, 52, 53)에는 결합편(55)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편(55)은 하우징(51, 52, 53)의 중앙판(51) 배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고정되어 브라켓어셈블리(50)를 프레임(2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결합편(55)은 하우징(51, 52, 53)의 일면인 중앙판(51)과 외부프레인(21)의 일측 또는 내부프레임(23)을 결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3 및 도 4에서 보듯이, 결합편(55)은 상기 하우징의 중앙판(51) 배면에 접하여 고정되기 위한 양단의 지지부(55b)와, 상기 지지부(55b) 사이에 절곡되어 프레임(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는 결합채널(56)이 형성되는 결합부(55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채널(56)은 그 횡단면이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나 이는 외부프레임(21) 또는 내부프레임(23)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양단의 지지부(55b)에는 각각 2개씩의 제1체결공(체결구(B)에 의해 가려짐)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중앙판(51)의 외면)에는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4개의 제2체결공(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구(B)들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제1체결공과 대응하는 제2체결공(51')에 삽입되어 결합편(55)을 상기 하우징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편(55)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결합채널(56)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결합편(55)을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여 수평방향의 외부프레임(21) 또는 내부프레임(23)과 상기 하우징을 결합시키거나, 도 4와 같이 결합채널(56)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결합편(55)을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여 수직방향의 외부프레임(21) 또는 내부프레임(23)과 상기 하우징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편(55)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상기 4개의 제1체결공들과 상기 4개의 제2체결공(51')들은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4개의 제1체결공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4개의 제2체결공(51')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은 각각 정사각형상을 이루는 것인데, 이에 따라 상기 결합편(55)을 직교하게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51')이 서로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상기 결합편(55)은 수평방향(도 3에 도시된 방향) 또는 수직방향(도 4에 도시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4개의 제1체결공과 상기 4개의 제2체결공(51')은 각각 정사각형상으로 형성하는 실시예는 결합편(55)을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는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편(55)을 상기 하우징에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회전바(60)가 결합될 수 있다. 회전바(60)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연결대상물 사이의 간격(S)을 줄여 브라켓어셈블리(50)와 연결대상물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바(60)는 상기 하우징의 하판(52)을 통과하여 그 일단이 상판(53)과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회전바(60)가 회전되어 그 일단과 상판(53) 사이 간격(S)이 좁아지면 상기 연결대상물이 그 사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회전바(6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일종의 볼트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판(52)에 형성된 구멍(도면부호 미부여)의 내주면에는 이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바(60)의 일단과 상판(53) 사이 간격(S)이 좁아지면서 상기 연결대상물이 그 사이에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판(53)을 향한 상기 회전바(60)의 일단에는 접촉플레이트(63)가 구비될 수 있다. 접촉플레이트(63)는 접시 형상으로 넓게 형성되어 회전바(60)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연결대상물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접촉플레이트(63)의 상면 또는 이와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 상판(53)의 저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흠집방지패드(53')가 구비될 수 있다. 흠집방지패드(53')는 접촉플레이트(63)와 하우징의 상판(53) 사이에 연결대상물이 압착되는 과정에서 연결대상물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흠집방지패드(53')는 고무나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과 같이 어느 정도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하판(52)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바(60)의 타단에는 회전바(60)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65)가 회전바(60)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손잡이부(65)에 의해 회전모멘트를 작게 하여 사용자가 회전바(6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파티션(10)은 프레임(20)을 감싸도록 프레임(20)에 커버(30)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30)는 프레임(20)을 감싸 상기 파티션(10)이 공간을 구획하여 시야를 가릴 수 있도록 한다. 커버(30)는 직물이나 피혁, 합성피혁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물론, 커버(30)는 반투명 재질로 만들어지거나 두 가지 이상의 색상이나 재질이 합쳐져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커버(30)는 프레임(20)의 양면을 감싸면서 프레임(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커버(30)의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모서리들에 커버(30)의 앞면과 뒷면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와 같이 커버(30)의 상단 양 쪽 모서리들에 상기 탈부착수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30)를 프레임(20)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탈부착수단을 이용하여 커버(30)의 상단을 개방한 후 커버(3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프레임(20)에 커버(30)를 결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30)를 프레임(20)에 결합하는 방법은 다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b에는 상기 탈부착수단이 지퍼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다른 다양한 수단(예를 들어, 단추, 버튼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커버(30)의 일 면 중 브라켓어셈블리(50)가 외부프레임(21) 또는 내부프레임(23)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들에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브라켓어셈블리(50)들은 홀(H)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된 내부프레임(23)에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도 1b에 도시된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홀(H)의 위치도 도 1b에 도시된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30)의 일 면에 형성된 홀(H)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홀들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홀들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어야 파티션(10)이 상기 연결대상물에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결합되기 때문이다. 다만, 파티션(10)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상기 연결대상물에 결합하고자 한다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에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방향으로 일렬로 홀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파티션(10)을 브라켓어셈블리(50)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대상물에 결합하는 실시예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도 3과 같이 결합되는 브라켓어셈블리(50)를 이용하여 파티션(10)과 연결대상물(T)을 결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와 같이 결합되는 브라켓어셈블리(50)를 이용하여 파티션(10)과 연결대상물(T)을 결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b의 파티션(10)을 복수개 이용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도 1b의 파티션(10)을 상기 연결대상물에 연결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의 브라켓어셈블리(50)를 이용하여 파티션(10)과 연결대상물인 테이블(T)을 결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브라켓어셈블리(50)들을 내부프레임(23')에 결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외부프레임(21)의 수직기둥 또는 수평기둥에 결합하여 파티션(10)과 테이블(T)을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실시예에서는 테이블(T)의 하단을 완전히 가리기 위하여 내부프레임들 중 위쪽의 내부프레임(23')에 브라켓어셈블리(50)들을 결합하고 있으나, 테이블(T)의 상단을 보다 높게 가리기 위하여 내부프레임들 중 아래쪽의 내부프레임(23'')에 브라켓어셈블리(50)들을 결합할 수도 있다.
도 6의 실시예는, 도 4의 브라켓어셈블리(50)를 이용하여 파티션(10)과 연결대상물인 테이블(T)을 결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브라켓어셈블리(50)들을 내부프레임들(23)에 결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외부프레임(21)의 수직기둥 또는 수평기둥에 결합하여 파티션(10)과 테이블(T)을 결합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테이블(T)의 하단을 완전히 가리기 위하여 외부프레임 중 위쪽의 수평기둥에 브라켓어셈블리(50)들을 결합하거나, 테이블(T)의 상단을 보다 높게 가리기 위하여 외부프레임 중 아래쪽의 수평기둥에 브라켓어셈블리(50)들을 결합할 수도 있다.
도 7의 실시예는, 도 4와 같이 결합되는 브라켓어셈블리(50)를 이용하여 파티션(10')과 연결대상물(T)의 전면부를 결합하고, 도 3과 같이 결합되는 브라켓어셈블리(50)를 이용하여 파티션(10'')과 연결대상물(T)의 좌우측면부를 결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파티션들(10', 10'')의 높이는 브라켓어셈블리(50)가 프레임(20) 중 어느 부분에 연결되는지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는, 도 3과 같이 결합되는 브라켓어셈블리(50)를 이용하여 파티션(10)들과 연결대상물(T)의 전면부 및 좌우측면부를 결합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파티션들(10)의 높이는 브라켓어셈블리(50)가 프레임(20) 중 어느 부분에 연결되는지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서 브라켓어셈블리(50)들을 이용하여 상기 파티션들과 연결대상물(T)을 결합함과 동시에, 파티션 연결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파티션들 사이에도 연결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파티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파티션들의 인접한 외부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파티션 연결수단은 상기 파티션들을 연결하는 다양한 수단(예를 들어, 힌지결합수단, 연결끈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파티션들의 외부프레임이 접하는 경우에는, 브라켓어셈블리(50)를 상기 파티션들의 내부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파티션들과 연결대상물(T)을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도 9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파티션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파티션들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파티션들을 병풍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향과 다양한 높이로 연결대상물에 결합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고정식 파티션에 비하여 활용도가 월등하게 높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 특정위치의 연결대상물에 고정되어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테두리 모양을 결정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를 가로지르면서 상기 외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커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연결대상물 사이에 결합되거나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연결대상물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파티션을 상기 연결대상물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일 면 중 상기 브라켓어셈블리가 상기 외부프레임 또는 상기 내부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는 위치들에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들의 위치는 상기 브라켓어셈블리에 의하여 상기 파티션이 상기 연결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 특정위치의 연결대상물에 고정되어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의 테두리 모양을 결정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를 가로지르면서 상기 외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커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연결대상물 사이에 결합되거나 상기 내부프레임과 상기 연결대상물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파티션을 상기 연결대상물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일 면 중 상기 브라켓어셈블리가 상기 외부프레임 또는 상기 내부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는 위치들에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어셈블리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파티션이 상기 연결대상물에 결합되는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어셈블리는,
하우징;
상기 브라켓어셈블리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일면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일측 또는 상기 내부프레임을 결합하는 결합편;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연결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줄여 상기 브라켓어셈블리와 상기 연결대상물을 결합하는 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은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접하여 고정되기 위한 양단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절곡되어 상기 외부프레임 또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는 결합채널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편은 상기 하우징에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 양단의 지지부에는 각각 2개씩의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제 1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4개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복수의 체결구들 각각이 대응하는 상기 제1체결공과 상기 제2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편이 상기 하우징에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편이 배면에 결합되는 중앙판; 및
상기 중앙판의 양단에 각각 직교하게 연결되어 서로 마주보는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바는,
상기 하판을 통과하여 그 일단이 상기 상판과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판을 향한 상기 회전바의 일단에는 접촉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접촉플레이트의 상면 또는 이와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 상판의 저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흠집방지패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판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바의 타단에는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가 상기 회전바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프레임의 양면을 감싸면서 상기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의 적어도 두 개의 인접한 모서리들에 상기 커버의 앞면과 뒷면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탈부착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 면에 형성된 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홀들은 수평 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은,
복수의 상기 파티션들의 외부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파티션들을 연결하는 파티션 연결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0732 | 2012-01-31 | ||
KR20120000732 | 2012-01-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8714A KR20130088714A (ko) | 2013-08-08 |
KR101433458B1 true KR101433458B1 (ko) | 2014-08-22 |
Family
ID=4921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9592A KR101433458B1 (ko) | 2012-01-31 | 2012-09-07 |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3345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185929A (ja) * | 2020-05-25 | 2021-12-13 | 株式会社オカムラ | 天板付什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94591B1 (ko) * | 2021-07-27 | 2023-10-30 | 나윤채 | 카트 장착형 환자 보호용 가림판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04526B2 (ja) | 2001-06-20 | 2005-10-12 | 株式会社林製作所 | 簡易間仕切り |
JP2008113836A (ja) | 2006-11-02 | 2008-05-22 | Okamura Corp | テーブルにおけるパネル装置 |
JP4216389B2 (ja) | 1999-02-25 | 2009-01-28 | 株式会社岡村製作所 | 表皮材付きパネル |
JP2012143304A (ja) | 2011-01-07 | 2012-08-02 | Sanwa Supply Kk | 机用幕板及び幕板付き机 |
-
2012
- 2012-09-07 KR KR1020120099592A patent/KR1014334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16389B2 (ja) | 1999-02-25 | 2009-01-28 | 株式会社岡村製作所 | 表皮材付きパネル |
JP3704526B2 (ja) | 2001-06-20 | 2005-10-12 | 株式会社林製作所 | 簡易間仕切り |
JP2008113836A (ja) | 2006-11-02 | 2008-05-22 | Okamura Corp | テーブルにおけるパネル装置 |
JP2012143304A (ja) | 2011-01-07 | 2012-08-02 | Sanwa Supply Kk | 机用幕板及び幕板付き机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185929A (ja) * | 2020-05-25 | 2021-12-13 | 株式会社オカムラ | 天板付什器 |
JP7485544B2 (ja) | 2020-05-25 | 2024-05-16 | 株式会社オカムラ | 天板付什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8714A (ko) | 2013-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20418B2 (en) | Modular walls incorporating recessed, extendable furniture | |
WO2021043134A1 (zh) | 冰箱及其瓶座 | |
KR101433458B1 (ko) | 탈착가능한 결합방향가변형 브라켓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파티션 | |
KR101562796B1 (ko) | 조립식 파티션 | |
KR101420866B1 (ko) | 책상 | |
KR101721437B1 (ko) | 조립식 책꽂이 및 그 시공 방법 | |
WO2013065750A1 (ja) | ソファーユニット | |
CN201475610U (zh) | 用于平面显示屏组件的基座 | |
CN201017668Y (zh) | 薄型显示器结构 | |
CN202775338U (zh) | 一种旋转展示架 | |
KR102130053B1 (ko) | 확장이 편리한 다용도 진열대 | |
AU2020100205A4 (en) | A foldable buffet station | |
JP5288604B2 (ja) | システムキッチン | |
KR101437478B1 (ko) | 파티션과 책상의 고정구 | |
JP6899310B2 (ja) | ディスプレイ支持什器 | |
KR101293305B1 (ko) |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 |
KR100736938B1 (ko) | 텔레비젼 거치대 | |
KR101100150B1 (ko) | 양방향 조립식선반 | |
KR200470100Y1 (ko) | 액자 | |
CN205534957U (zh) | 一种壁挂装置及显示设备 | |
KR20190077847A (ko) | 가구 | |
KR20130085896A (ko) | 회전 접이식 ''탁자와 진열대 또는 조리대'' | |
KR101166559B1 (ko) | 접이식 식탁 | |
CN217603707U (zh) | 一种电视机底座 | |
JP7572804B2 (ja) | 間仕切り装置及び間仕切り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