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5092A - 생체 정보 측정장치,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의 조명방법, 및 생체 정보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생체 정보 측정장치,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의 조명방법, 및 생체 정보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092A
KR20110115092A KR1020110034206A KR20110034206A KR20110115092A KR 20110115092 A KR20110115092 A KR 20110115092A KR 1020110034206 A KR1020110034206 A KR 1020110034206A KR 20110034206 A KR20110034206 A KR 20110034206A KR 20110115092 A KR20110115092 A KR 20110115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light source
light
user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시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크레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5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5Details of handling test elements, e.g. dispensing or storage,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06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specially shaped apparatus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43Modula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95Strip shaped analyte sensors for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145 or A61B5/15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조명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측정장치로서의 소비 전력의 증가를 가급적으로 억제한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로서,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가 탈착되는 탈착부와, 장치 본체 내에서 탈착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탈착부 이외의 생체 정보 측정장치의 구성을 위한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광원부와, 광원부에 의해서 조사된 빛을, 센서가 탈착되는 탈착부 근방의 소정 위치까지 유도하는 도광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생체 정보 측정장치,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의 조명방법, 및 생체 정보 측정방법{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Illumination Method in a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and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장치,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의 조명방법 및 생체 정보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 환자 등, 건강 관리상, 그 혈당치를 측정하여, 식사량이나 운동량을 컨트롤해야 하는 사용자에게는, 그 측정장치의 조작성이나, 측정에 요하는 준비 등은 극히 큰 문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혈당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휴대형의 측정장치가 개발되었고, 여기에는 혈당치 관리를 돕는 여러가지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형의 측정장치에서는, 그 센서는 일회용이며, 측정할 때마다 새로운 센서를 측정장치에 부착하여, 측정을 위한 혈액의 센서에의 점착(点着)을 행한다. 그리고, 야간 등의 비교적 어두운 장소에서의 측정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혈액의 점착을 행하는 영역의 근방을 비추는 조명장치를 구비한 측정장치의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측정장치에서는, 발광 다이오드 등을 이용하여, 채혈을 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스폿라이트식으로 조명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2006-284481호
혈당치 등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장치가 사용되는 상황을 살펴보면, 그것은 주간에 한정되지 않고 야간 등의 주위가 비교적 어두운 상황하에서 사용되는 기회도 많다. 그 때문에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장치 본체에 탈착할 때, 사용자의 편리성은, 측정장치 자체의 조작성에 직결되는 과제이다. 한편, 휴대형의 측정장치에서는 특수하다고 할 수 있지만, 측정장치 자체의 소비 전력을 가능한 한 억제하는 것이 작금의 환경 인식의 고조로부터 요구되고 있다.
즉, 종래 기술과 같이, 채혈 장소를 조명하는 조명장치(발광 다이오드 등)를 측정장치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은 향상하지만, 그 반면 소비 전력이 상승하여, 휴대형의 측정장치의 전원 수명이 단축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조명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측정장치로서의 소비 전력의 증가를 가급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 있어서 이미 어떠한 구성을 위한 광원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광원부로부터 나오는 빛을, 도광부재를 통하여, 측정을 위한 센서가 탈착되는 소정 장소로 유도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센서의 탈착을 위해서 새로이 광원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측정장치에서의 소비 전력이 불필요하게 상승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로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가 탈착되는 탈착부와, 상기 장치 본체 내에서 상기 탈착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탈착부 이외의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의 구성을 위한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 의해서 조사된 빛을, 상기 센서가 탈착되는 상기 탈착부 근방의 소정 위치까지 유도하는 도광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 측정장치는, 예를 들면, 측정을 위한 센서가, 장치 본체의 탈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센서에 대해서 측정을 위한 시료를 점착, 흡수시키는 것 등에 의해, 센서로부터 측정 대상의 생체 정보에 관한 신호가 장치 본체에 전해진다. 이 신호를 바탕으로, 장치 본체측에서 최종적으로 구해질 수 있는 생체 정보의 생체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는, 사용자는 소망의 생체 정보의 측정을 행할 때에는, 센서를 탈착부에 장착시키고, 또한 측정이 종료했을 때에는 그 센서를 빼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측정장치를 조작하는데 있어서, 센서의 장치 본체에의 탈착 조작은, 측정장치의 조작성, 사용자의 편리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고 생각된다.
여기서,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는, 광원부가, 탈착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탈착부 이외의 생체 정보 측정장치의 구성을 위한 광원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즉, 상기 광원부는, 이미 생체 정보 측정장치의 하나의 구성으로서 조립하여 넣어진 것이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새로이 장치 내에 조립하여 넣은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생체 정보계 장치에 있어서, 이미 조립되어 넣어져, 어떠한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구성은, 상기 광원부에 상당한다.
그러나, 이 광원부와 탈착부 근방의 소정 위치의 사이에 도광부재가 배치됨으로써, 본래는 탈착부용의 조명이 아닌 광원부의 빛을, 탈착부 근방으로 유도하여, 탈착부에의 센서의 장착, 탈착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이 도광부재에 의해서 유도된 빛은, 주위가 어두운 환경하에서의 사용자의 센서 탈착 조작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동시에, 해당 지원을 위한 발광용으로 직접적으로 전력을 소비하는 구성은 아니기 때문에, 생체 정보 측정장치로서의 소비 전력을 불필요하게 상승시키는 경우는 없다. 또한, 소정 위치는, 소위 도광부재에 의해 전해진 빛이 거기로부터 조사되어, 센서의 탈착 조작을 지원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디라도 좋다. 이러한 소정 위치는, 예를 들면, 상기 지원에 적절한 탈착부 근방의 위치이다. 한편, 이 소정 위치에는, 탈착부 그 자체의 위치도 포함되어도 좋다.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생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그 경우, 상기 광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백라이트라도 좋다. 상기 백라이트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상의 표시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한 광원으로, 즉 측정장치내에 이미 조립되어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가진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는, 백라이트가 발광하는 빛을 도광부재에 의해서 상기 소정 위치까지 유도하는 것에 의해, 새로이 광원을 마련하지 않고, 상기 소정 위치의 조명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탈착부는, 상기 장치 본체의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도광부재는, 상기 백라이트의 빛을 상기 소정 위치로 유도하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즉, 도광부재의 길이를 적절한 것으로 하는 것에 의해, 백라이트의 빛을, 탈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떨어진 위치로 확실하게 옮길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그 경우, 상기 조작부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상기 광원부에 의한 발광이 이루어지고, 상기 도광부재에 의해서 상기 소정 위치로 그 빛이 유도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즉, 사용자가 조작부를 통하여 생체 정보 측정장치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그 조작부에의 접촉을 계기로 하여 발광부에 의한 발광을 행하게 되므로, 센서의 탈착부에의 장착, 그로부터의 탈착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탈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광원부에 의한 발광이 이루어져, 상기 도광부재에 의해서 상기 소정 위치로 그 빛이 유도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센서의 장착 후에 도광부재를 통하여 소정 위치로 빛이 유도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장착 후의 센서에 대한 처치, 예를 들면 생체 시료의 점착 등을 행하기 쉬워진다. 한편, 이러한 경우의 광원부에 의한 발광은, 센서가 탈착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혹은 장착 후에 행하여지면 좋다.
또한, 상술한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혈당치를 측정하는 장치이며, 그 경우, 상기 탈착부에는, 사용자의 혈액이 점착되어 그 혈당치에 따른 전류 출력을 내보내는 혈당치 측정용 센서가 탈착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장치여도 좋다. 이들은 일례이며,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 측정장치는, 이들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본 발명을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의 조명방법의 측면에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장치 본체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가, 장치 외부로부터 상기 장치 본체에 탈착되는 탈착부를 가지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 상기 탈착부 근방을 조명하는 조명방법으로서, 상기 장치 본체 내에서 상기 탈착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탈착부 이외의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의 구성을 위한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광원부를 발광시키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에서, 상기 광원부에 의해서 조사된 빛을, 상기 센서가 탈착되는 상기 탈착부 근방의 소정 위치와 상기 광원부의 사이에 마련된 도광부재를 통하여, 상기 소정 위치까지 유도하는 제2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방법에서도,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센서의 탈착용으로 새로운 광원을 마련하지 않고, 센서의 탈착시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의 소비 전력을 불필요하게 상승시키는 경우 없이, 장치의 조작성을 향상하여, 편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 대하여 개시한 기술적 사상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조명방법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을 생체 정보 측정장치를 이용한 생체 정보의 측정방법의 측면에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장치 본체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가, 장치 외부로부터 상기 장치 본체에 탈착되는 탈착부를 가진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방법으로서, 상기 장치 본체 내에서 상기 탈착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탈착부 이외의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의 구성을 위한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광원부를 발광시키는 발광 스텝과, 상기 발광 스텝에서의 상기 광원부가, 상기 탈착부 근방의 소정 위치와 상기 광원부의 사이에 마련된 도광부재에 대하여 발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탈착부에의 상기 센서의 장착을 받아들이는 장착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정방법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소정 위치에의 조명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센서의 장치 본체에의 탈착이 용이하게 행하여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다른 생체 정보 측정방법의 측면에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장치 본체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가, 장치 외부로부터 상기 장치 본체에 탈착되는 탈착부를 가지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방법으로서, 상기 탈착부에의 상기 센서의 장착을 받아들이는 장착 스텝과, 상기 장착 스텝에서 상기 센서의 장착이 받아들여지면, 상기 장치 본체 내에서 상기 탈착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탈착부 이외의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의 구성을 위한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광원부를, 상기 탈착부 근방의 소정 위치와 상기 광원부의 사이에 마련된 도광부재에 대하여 발광시키는 발광 스텝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센서의 장착을 받아들이는 것을 기점으로 하여 도광부재에 대한 발광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센서의 장착 후에도 도광부재를 통하여 소정 위치로 빛이 유도되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장착 후의 센서에 대한 처치, 예를 들면 생체 시료의 점착 등을 행하기 쉬워진다. 한편, 이러한 경우의 광원부에 의한 발광은, 센서가 탈착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혹은 장착을 받아들인 후의 어느 타이밍에 이루어져도 좋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조명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측정장치로서의 소비 전력의 증가를 가급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 본 발명에 따른 혈당치 측정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제1의 도면이다.
[도 1b] 본 발명에 따른 혈당치 측정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제2의 도면이다.
[도 2] 도 1에 도시한 혈당치 측정장치에 형성되는 각 기능부에 의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 도 1에 도시한 혈당치 측정장치의 액정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도 1에 도시한 혈당치 측정장치의 시험편 삽입 홈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5] 도 1에 도시한 혈당치 측정장치의 표면측의 패널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상면도이다.
[도 6] 도 5에 도시한 혈당치 측정장치의 A-A단면도이다.
[도 7] 변형예에 따른 혈당치 측정장치의 수평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변형예에 따른 혈당치 측정장치의 연직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 상당하는, 혈당치 측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형태의 구성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혈당치 측정장치의 개략>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혈당치 측정장치(1)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혈당치 측정장치(1)는, 당뇨병 사용자가 스스로 그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형의 측정장치이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혈당치 측정장치(1)는 사용자의 손바닥 정도의 크기의 가늘고 긴 상자체(2)(장치 본체)를 가지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 결과의 적절하고 신속한 관리, 표시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혈당 관리에 이바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a에 혈당치 측정장치(1)의 표면측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1b에 그 이면측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자체(2)의 표면측의 패널(3) 상에는, 측정 결과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화면(4)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자체(2)의 단부에는, 혈당치 측정장치(1)에서 사용되는 측정용의 시험편(후술하는 도 5에 도시함)을 꽂아 넣는 시험편 삽입 홈(10)(본 발명에 따른 탈착부에 상당함)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시험편에는, 사용자로부터 채취된 혈액중의 글루코오스와 반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가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혈당치 측정시에 이 센서에 자기의 혈액을 점착시켜, 혈당치 측정장치(1)에 의한 측정을 행하게 된다. 해당 센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 환원 효소로서 글루코오스옥시타아제(GOD)를 이용하여 과산화수소 전극을 신호 출력용의 전극으로 한 센서를 채용할 수 있다. 한편, 시험편 그 자체의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핵심은 아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자체(2)의 이면측의 패널(3)의 측면에, 혈당치 측정장치(1)를 장치하기 위한 조작 버튼(7)과 혈당치 측정장치(1)와 외부의 장치, 예를 들면 외부에 배치된 컴퓨터 등을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통신 포트(8)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 버튼(7)은, 사용자에 의한 누름 조작, 슬라이드 조작, 누름 상태 유지 조작 등의 여러 가지 조작의 조합에 의해, 혈당치 측정장치(1)로 행하여지는 모든 처리를 위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에 상당한다.
또한, 혈당치 측정장치(1)의 내부는, 거기서 행하여지는 여러 가지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마련되어 있다. 혈당치 측정장치(1)에서의 주된 제어부로서는, 도 2에 이미지화되어 있듯이, 측정 제어부(20), 관리 제어부(30), 표시 제어부(40), 외부 통신부(5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각 제어부는, 혈당치 측정장치 (1) 내에서 형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CPU,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한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액정 화면(4), 조작 버튼(7), 통신 포트(8)도, 도 2에 도시한 각 제어부에 적절히 접속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의 측정 결과의 표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시의 측정장치에의 전달, 혈당치 측정장치(1) 내에서 축적된 데이터의 외부에의 통신 등에 관한 프로그램 처리가 실행된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혈당치 측정장치(1)의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혈당치 측정장치(1)의 제어부는, 주로 혈당치의 측정에 관한 측정 제어를 행하는 측정 제어부(20), 측정 결과에 관한 관리 제어를 행하는 관리 제어부(30), 측정 결과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부(40), 측정장치 외부와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외부 통신부(50)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이외의 제어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상세하게는, 측정 제어부(20)는, 시험편 확인부(21), 혈당치 측정부(22), 측정 결과 기록부(23), 저혈당 알람부(24)를 가지고 있다. 시험편 확인부(21)는, 상술한 혈당치 측정을 위한 시험편이 혈당치 측정장치(1)측에 세트되어 측정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확인을 행하는 기능부이며, 혈당치 측정부(22)는, 확인된 시험편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혈당치를 측정하는 기능부이다. 또한, 측정 결과 기록부(23)는, 혈당치 측정부(22)에 의해서 측정된 결과를, 혈당치 측정장치(1)내의 기록 장치(메모리)에 데이터 보존, 기록하기 위한 기능부이다. 또한, 저혈당 알람부(24)는, 측정된 결과가, 적정 혈당치에 관한 기준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사용자에 대해서 저혈당인 것을 알람으로 알리는 기능부이다.
또한, 관리 제어부(30)는, 상태 플래그 설정부(31), 경과시간 설정부(32), 파라미터 설정부(33)를 가지고 있다. 상태 플래그 설정부(31)는, 사용자의 혈당치에 영향을 미치는 혈당치 측정시의 몸 상태에 관한 플래그를 설정하는 기능이며, 상기 기능에 의해, 사용자의 혈당치 관리를 효율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몸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로서 운동 후, 식전, 식후에 관한 상태 플래그가 채용된다. 이 상태 플래그의 설정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조작 버튼(7)을 조작하여, 액정 화면(4)에 표시되는 내용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상태 플래그로서, 운동 후 플래그, 식전 플래그, 식후 플래그, 상태 플래그 없음의 4개로부터 버튼 조작에 의해 선택을 행하여, 그 선택에 따른 상태 플래그가, 측정 혈당치와 관련되어 혈당치 측정장치(1)내에 기록되게 된다. 이들 상태 플래그는, 사용자의 혈당치에 강한 관련성이 있는 몸 상태에 관한 플래그이기 때문에, 이와 같이 측정된 혈당치에 상태 플래그를 관련짓는 것은, 혈당치 관리상 극히 유용하다.
한편, 이들 상태 플래그의 액정 화면(4)에서의 표시는, 표시부 제어부(4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 표시 제어부(40)는, 측정 제어부(20)에 의한 혈당치의 측정 결과나 관리 제어부(30)에 의해 설정된 상태 플래그 등을, 혈당치 측정장치(1)의 액정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제어부이다. 도 3에, 표시 제어부(40)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액정 화면(4) 상의 표시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표시 화면예에서는, 설명을 위해서 아이콘이나 수치를 모두 정리하여 표시하고 있다. 액정 화면(4)의 왼쪽에는, 사각 형상의 표시 영역으로서, 측정 결과를 그래프 표시하는 그래프 표시 영역 (DR1)이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측정된 혈당치 등을 표시하는 측정 수치 표시 영역(DR2)이 형성되며, 이 측정 수치 표시 영역(DR2)의 주위에,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진 아이콘 및 소정의 경과시간을 표시하는 아이콘 표시 영역(DR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아이콘 표시 영역(DR3)에 표시되는 아이콘에는, 저혈당 알람용의 아이콘 「HYPO」, 상술한 상태 플래그로서의 운동 후 플래그용 아이콘 Ic1, 식전 플래그용 아이콘 Ic2, 식후 플래그용의 제1 아이콘 Ic3, 제2 아이콘 Ic4가 포함된다. 또한, 아이콘 표시 영역(DR3)에서, 식후 플래그용의 제1 및 제2 아이콘에 인접하여, 식후 경과시간 Et가 표시된다. 한편, 표시 제어부(40)에 의한 표시 제어 자체는,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태 플래그 설정부(31)에 의해서 설정된 상태 플래그가, 식후 플래그인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관한 혈당치 측정장치(1)에서는, 식사로 섭취한 식사량에 관한 정보도 사용자는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주관으로, 배가 부른 양의 식사를 섭취했을 때를 100%로 했을 때, 50%, 80%, 100%의 3종류 중에서 하나를 식사량으로서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혈당치 측정장치(1)에서는, 이 식후 플래그의 선택은, 도 3의 아이콘 표시 영역(DR3)에서 식후 플래그용의 제1 아이콘 Ic3의 표시로 나타나고, 식사량에 관한 표시는, 식후 플래그용의 제2 아이콘 Ic4의 표시와 함께, 상기 아이콘내에 표시되는 바(봉)의 수를 변경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식사량이 100%인 경우는 바의 수는 3개이며(도 3에 도시한 상태), 80%, 50%의 경우는 각각 바의 수는, 2개, 1개가 된다. 이와 같이 식사량에 관한 데이터를 식후 플래그와 관련짓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어떠한 양의 식사를 섭취했을 때의 혈당치가 측정되었는지를 알 수 있으며, 식사량과 혈당치의 관련을 이해하는 동시에 식사량의 조정 등, 혈당치에 관한 건강 관리를 행하기 쉬워진다.
이어서, 경과시간 설정부(32)는, 상태 플래그 설정부(31)로 식후 상태 플래그가 설정되었을 때의, 식사 종료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설정하는 기능부이다. 경과시간 설정부(32)는, 측정에 앞서, 식사 종료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자동적으로 카운트하는 경과시간 카운터를 설정하여, 상기 카운터에 의해 카운트된 경과시간을, 그 시점에서의 측정 결과의 혈당치에 관련짓는다. 한편, 이 경과시간은, 도 3의 아이콘 표시 영역(DR3)에서 식후 경과시간 Et으로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식사량에 더하여, 식사 종료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했을 때의 측정 혈당치인지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혈당치에 관한 건강 관리를 더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파라미터 설정부(33)는, 혈당치 측정장치(1)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제어용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기능부이다. 상기 파라미터로서는, 혈당치 측정장치(1) 내에서 이용되는 일시나 후술하는 시험편의 용기 개봉일 등이 있다. 이러한 관리 제어부(30)가 가진 기능부에 의해서, 사용자는 자기의 혈당치에 관한 측정 결과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부 통신부(50)는, 특히 측정 제어부(20)에 의해서 측정된 결과나, 관리 제어부(30)에 의해서 관리된 상태 플래그 등의 정보를, 혈당치 측정장치(1) 외부에 송신하는 제어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혈당치 측정장치(1)에서는, 외부 통신부(50)에 의한 통신 제어는 핵심을 이루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외부 통신부(50)에 의해서 외부 통신 기능이 발휘되는 것을 기재함에 있어, 그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여기서, 혈당치 측정장치(1)에 혈당치 측정을 위한 시험편이 삽입되는 시험편 삽입 홈(10) 근방의 구성에 대해서, 도 4∼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시험편 삽입 홈(10) 근방의 혈당치 측정장치(1)의 외관의 확대도이고, 도 5는, 혈당치 측정장치(1)에서 표면측의 패널(3)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상기 장치의 상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의 A-A의 단면도이다{패널(3)에 대해서는 점선으로 표시된다}. 혈당치 측정장치(1)에는, 액정 화면(4)의 배면에 백라이트(4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백라이트(41)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혈당치 측정장치(1)에서의 혈당치 측정을 위한 전원으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아 발광한다. 백라이트(41)는, 혈당치 측정장치(1)의 길이방향의 시험편 삽입 홈(10)과 반대측의 단부측에 광원을 가진 에지 라이트 방식의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원부에 상당한다.
여기서, 혈당치 측정장치(1)의 상자체(2)의 길이방향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시험편 삽입 홈(10)의 위쪽{액정 화면(4)이 배치되는 장치 표면측 방향}에는, 조명 개구부(4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조명 개구부(45)에는, 도광부재(42)의 일단 (42a)이 노출하도록, 상기 도광부재(42)가 혈당치 측정장치(1)내에 마련된다. 도광부재(42)는, 빛이 입출 가능한 단부(42a,42b)를 가진 가늘고 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일단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나머지의 일단으로부터 출사하는 것이 가능한 부재이다. 그리고, 도광부재(42)의 측부(단부 이외의, 길이방향으로 연이어지는 부분)는, 내부에 입사된 빛이 그 측부로부터 빠져나오기 어렵도록 표면 처리가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도광부재(42)는, 그 일단(42b)이, 백라이트(41)로부터 나오는 빛이 입사 가능해지도록,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41)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한편, 나머지의 일단(42a)이, 조명 개구부(45)에서 혈당치 측정장치(1)의 외부에 노출하도록 배치된다. 즉, 도광부재(42)는,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측의 패널(3)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액정 화면 (4)의 백라이트(41)와 상자체(2)의 옆쪽에 배치되는 조명 개구부(45)를 연결하도록, 혈당치 측정장치(1)내에 배치되게 된다.
한편, 혈당치 측정장치(1)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부재(42)가 약간 경사져 있도록, 즉 도 6에서 일단 42b가 일단 42a보다 약간 높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광부재(42) 내를 유도되는 빛의 방향이 획정(劃定)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는, 이 경사에 의해, 일단(42a)으로부터의 빛은, 도 6에서의 약간 아래쪽, 즉 시험편이 존재하는 쪽으로 조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도광부재(42)의 경사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일단(42a)으로부터의 빛의 조사 범위를 어느 정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험편 삽입 홈(10)은, 그 아래쪽에, 장치의 외부에 약간 돌출한 돌출부를 가진 가이드 부재(43)가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 가이드 부재(43)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시험편을 시험편 삽입 홈(10) 내에 용이하게 미끄러지듯 넣을 수 있다. 한편, 시험편 삽입 홈(10) 내에 삽입된 시험편은, 홈의 안쪽에 마련된 접속부(4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상술한 시험편 확인부(21)에 의한 시험편의 삽입 확인이나, 시험편에서의 측정 결과의 장치 본체에의 전달, 즉 혈당치 측정부(22)에 의한 혈당치 측정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혈당치 측정장치(1)에서는, 액정 화면(4)의 광원인 백라이트(41)의 빛이, 도광부재(42)를 따라 전해져, 조명 개구부(45)로부터, 장치 외부에 조사되게 된다. 조명 개구부(45)의 아래쪽에는 가이드 부재(43)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조명에 의해 시험편 삽입 홈(10)의 입구 부분 근방을 비추게 되어, 이 결과, 혈당치 측정장치(1)에의 시험편의 장착을 용이하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야간 등의 어슴푸레한 실내에서 혈당치를 측정하고자 할 때는, 이 도광부재(42)를 통한 백라이트(41)의 빛을 이용한 조명방법은, 극히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혈당치 측정장치(1)에서는, 시험편 삽입을 위한 전용의 조명장치를 그 내부에 마련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도광부재(42)를 통하여, 어디까지나 액정 화면(4)의 백라이트의 빛을 유효하게 활용하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측정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조명에 요하는 소비 전류를 실질적으로 요하지 않기 때문에 측정장치의 구동 전원의 확보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특히, 휴대형의 혈당치 측정장치(1)에서는, 구동 전원의 확보와 사용자의 조작성 향상을 양립하기 위해서, 실용적으로 바람직한 기술임을 이해받고자 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백라이트(41)와 도광부재(42)가 별도로 구성되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 대신에, 백라이트(41)와 도광부재(42)를 연속된 1매의 판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여기서, 백라이트에 의한 발광은, 사용자의 조작 버튼(7)의 조작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버튼(7)을 누르고, 슬라이드 등을 함으로써, 백라이트(41)를 점등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백라이트(41)로부터의 발광은 도광부재 (42)를 따라 전해져 조명 개구부(45)로부터 조사되게 된다. 즉, 이 조작 버튼(7)은,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 각 제어를 행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지시를 전달하는 버튼이며, 또한 상기 조명 개구부(45)로부터의 빛의 조사를 행하기 위한 버튼이기도 하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시험편의 장착시에의 조명 개구부(45)로부터의 조명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지만, 장착된 시험편을 떼어낼 때에도 조작 버튼(7)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조명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시험편에의 사용자의 혈액의 점착은, 시험편의 장착 전에 행하여도 좋고, 시험편을 장착한 후에 행하여도 좋다. 후자의 경우에는, 시험편 삽입 홈(10)에 시험편이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버튼(7)을 조작하여 백라이트(41)를 발광시켜, 조명 개구부(45)로부터 빛을 조사시키는 것에 의해, 시험편에서의 혈액의 점착부분을 비출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혈액 점착 작업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시험편의 장착시의 조명의 유무에 관계없이, 시험편이 시험편 삽입 홈(10)에 장착되는 동시에, 혹은 장착 후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타이밍에, 자동적으로 백라이트(41)를 발광시켜도 좋다.
여기서, 백라이트(41)는, 소비 전력 억제의 관점으로부터 상시 점등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작 버튼(7)에 대해서 어떠한 조작을 행하고 나서 소정 시간만큼만 백라이트(41)가 점등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백라이트(41)에 의한 소비 전력을 억제하도록 해도 좋다. 한편, 사용자의 센서 탈착 조작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조명 개구부(45)에서의 광도가 1μCd/㎡∼10000Cd/㎡인 것이 바람직하고, 1mCd/㎡∼2000Cd/㎡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Cd/㎡∼100Cd/㎡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정 화면(4)의 광원인 백라이트(41)로부터의 빛을, 도광부재(42)를 이용하여, 시험편 삽입을 위한 광원으로 한 것이지만, 혈당치 측정장치(1)에 있어서 백라이트(41) 이외의 광원이 있는 경우, 그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도광부재에 의해서 조명 개구부(45)로 유도하는 구성으로 해도, 상기 구성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혈당치 측정장치(1)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변형예에 관한 측정장치(1)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혈당치 측정장치(1)에 관한 수평 단면(횡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동 측정장치(1)에 관한 연직 단면(종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서의 혈당치 측정장치(1)는, 이 혈당치 측정장치(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6), 조작부(46)를 라이트 업하기 위한 광원(47), 및 광원(47)의 빛을 시험편 삽입 홈(10')으로 유도하기 위한 도광부재(42')를 가진다. 도 7에는, 혈당치 측정장치(1)에서의 조작부(46), 광원(47) 및 도광부재(42')의 평면적인 배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8은, 도 7의 직교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각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46)는, 혈당치 측정장치(1)의 상자체의 표면을 구성하는 패널(3')에 마련되어 있으며, 조작부(46)를 조사하기 위한 광원(47)은, 혈당치 측정장치(1)내의 기반(49) 상으로서, 또한 조작부(46)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47)과 시험편 삽입 홈(10')의 사이에는, 광원(47)의 빛이 시험편 삽입 홈(10')에 유도되도록 도광부재(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조작부(46)는, 광원(47)의 발광에 의해 밝게 드러나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광원(47)의 발광에 의해, 조작부(46)가 라이트 업되는 동시에, 광원(47)의 빛이 도광부재(42')에 의해 시험편 삽입 홈(10')까지 유도된다. 또한, 또 다른 변형예로서는, 상술한 통신 포트(8)를 조사하기 위한 광원을 가진 혈당치 측정장치(1)에 있어서, 이 광원의 빛을 시험편 삽입 홈으로 유도하기 위한 도광부재를 마련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각 변형예를 포함하여, 시험편 삽입용에 마련된 광원이 아닌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도광부재에 의해서 유도하는 구성인 한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도광부재에 의해서 광원으로부터 유도된 빛을, 조작 버튼(7)이나 통신 포트(8) 근방 위치에 조사할 수 있도록, 도광부재의 노출되는 단부를 적절히 배치해도 좋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버튼(7)의 조작이나 통신 포트(8)에의 액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
1‥‥혈당치 측정장치
2‥‥상자체
4‥‥액정 화면
7‥‥조작 버튼
10‥‥시험편 삽입 홈
20‥‥측정 제어부
30‥‥관리 제어부
40‥‥표시 제어부
41‥‥백라이트
42‥‥도광부재
43‥‥가이드 부재
45‥‥조명 개구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로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가 탈착되는 탈착부와,
    상기 장치 본체 내에서 상기 탈착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탈착부 이외의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의 구성을 위한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 의해서 조사된 빛을, 상기 센서가 탈착되는 상기 탈착부 근방의 소정 위치까지 유도하는 도광 부재를 구비한 생체 정보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생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백라이트인 생체 정보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장치 본체의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도광부재는, 상기 백라이트의 빛을 상기 소정 위치에 유도하는 길이를 가지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상기 광원부에 의한 발광이 이루어지고, 상기 도광부재에 의해서 상기 소정 위치로 그 빛이 유도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탈착부에 장착되면, 상기 광원부에 의한 발광이 이루어지고, 상기 도광부재에 의해서 상기 소정 위치로 그 빛이 유도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혈당치를 측정하는 장치이며,
    상기 탈착부에는, 사용자의 혈액이 점착되어 그 혈당치에 따른 전류 출력을 내보내는 혈당치 측정용 센서가 탈착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장치인 생체 정보 측정장치.
  8. 장치 본체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가, 장치 외부로부터 상기 장치 본체에 탈착되는 탈착부를 가지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 상기 탈착부 근방을 조명하는 조명방법으로서,
    상기 장치 본체 내에서 상기 탈착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탈착부 이외의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의 구성을 위한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광원부를 발광시키는 제1 스텝과,
    상기 제1 스텝에서, 상기 광원부에 의해서 조사된 빛을, 상기 센서가 탈착되는 상기 탈착부 근방의 소정 위치와 상기 광원부의 사이에 마련된 도광부재를 통하여, 상기 소정 위치까지 유도하는 제2 스텝을 포함한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의 조명방법.
  9. 장치 본체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가, 장치 외부로부터 상기 장치 본체에 탈착되는 탈착부를 가진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방법으로서,
    상기 장치 본체 내에서 상기 탈착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탈착부 이외의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의 구성을 위한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광원부를 발광시키는 발광 스텝과,
    상기 발광 스텝에서의 상기 광원부가, 상기 탈착부 근방의 소정 위치와 상기 광원부의 사이에 마련된 도광부재에 대하여 발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탈착부에의 상기 센서의 장착을 받아들이는 장착 스텝을 포함한 생체 정보 측정방법.
  10. 장치 본체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가, 장치 외부로부터 상기 장치 본체에 탈착되는 탈착부를 가진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방법으로서,
    상기 탈착부에의 상기 센서의 장착을 받아들이는 장착 스텝과,
    상기 장착 스텝에서 상기 센서의 장착이 받아들여지면, 상기 장치 본체 내에서 상기 탈착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탈착부 이외의 상기 생체 정보 측정장치의 구성을 위한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광원부를, 상기 탈착부 근방의 소정 위치와 상기 광원부의 사이에 마련된 도광부재에 대하여 발광시키는 발광 스텝을 포함한 생체 정보 측정방법.
KR1020110034206A 2010-04-14 2011-04-13 생체 정보 측정장치,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의 조명방법, 및 생체 정보 측정방법 KR201101150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93571 2010-04-14
JPJP-P-2010-093571 2010-04-14
JPJP-P-2011-057911 2011-03-16
JP2011057911A JP2011237408A (ja) 2010-04-14 2011-03-16 生体情報測定装置、生体情報測定装置における照明方法、および生体情報測定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092A true KR20110115092A (ko) 2011-10-20

Family

ID=4417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206A KR20110115092A (ko) 2010-04-14 2011-04-13 생체 정보 측정장치,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의 조명방법, 및 생체 정보 측정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257533A1 (ko)
EP (1) EP2377465B1 (ko)
JP (1) JP2011237408A (ko)
KR (1) KR20110115092A (ko)
CN (1) CN1022791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5977B2 (en) 2008-07-22 2013-06-18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ed test strip
JP5473862B2 (ja) * 2010-10-29 2014-04-16 アークレイ株式会社 分析装置
US9928573B2 (en) * 2011-12-27 2018-03-27 Panasonic Healthcare Holdings Co., Ltd. Biological sample measuring device
US9897565B1 (en) 2012-09-11 2018-02-20 Aseko,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insulin dosages for diabetic subjects
US9171343B1 (en) 2012-09-11 2015-10-27 Aseko, Inc. Means and method for improved glycemic control for diabetic patients
US8894262B2 (en) 2013-03-11 2014-11-25 Roche Diagnostic Operations, Inc. Blood glucose test strip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GB2513157B (en) * 2013-04-17 2016-01-06 Lifescan Scotland Ltd Hand-held test meter with display illumination adjustment circuit block
CN105164524A (zh) * 2013-05-10 2015-12-16 尼普洛株式会社 测量装置
USD752758S1 (en) * 2013-09-11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Blood glucose meter
US9486580B2 (en) 2014-01-31 2016-11-08 Aseko, Inc. Insulin management
US9898585B2 (en) 2014-01-31 2018-02-20 Aseko, Inc. Method and system for insulin management
US10036709B2 (en) 2014-05-20 2018-07-31 Roche Diabetes Care, Inc. BG meter illuminated test strip
JP1519885S (ko) * 2014-06-10 2015-03-23
EP3933845A3 (en) 2014-10-27 2022-06-22 Aseko, Inc. Subcutaneous outpatient management
US11081226B2 (en) 2014-10-27 2021-08-03 Aseko, Inc. Method and controller for administering recommended insulin dosages to a patient
JP6858751B2 (ja) 2015-08-20 2021-04-14 アセコ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糖尿病管理療法アドバイザ
JP7349433B2 (ja) * 2017-12-14 2023-09-22 エッセンリ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特にヘモグロビンのための、改善された光透過試料ホルダーおよび分析方法
TWI707662B (zh) * 2019-09-12 2020-10-21 華廣生技股份有限公司 用以讀取試片的生理感測裝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51A (en) * 1870-10-25 Improvement in horse hay-foxks
JP4085137B2 (ja) * 1998-02-20 2008-05-14 アークレイ株式会社 バイオセンサシステム
US6514460B1 (en) * 1999-07-28 2003-02-04 Abbott Laboratories Luminous glucose monitoring device
US7444173B2 (en) * 2000-12-29 2008-10-28 Vertu Ltd. Mobile telephone
JP4432818B2 (ja) 2005-04-01 2010-03-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4631028B2 (ja) 2005-04-04 2011-02-1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バイオセンサー検出部
JP5067228B2 (ja) * 2008-01-29 2012-11-07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ロータリジョイント
IL197532A0 (en) * 2008-03-21 2009-12-24 Lifescan Scotland Ltd Analyte testing method and system
JP5286512B2 (ja) * 2008-04-18 2013-09-11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レーザアニール方法及びレーザアニ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77465A1 (en) 2011-10-19
JP2011237408A (ja) 2011-11-24
US20110257533A1 (en) 2011-10-20
CN102279155A (zh) 2011-12-14
EP2377465B1 (en)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5092A (ko) 생체 정보 측정장치, 생체 정보 측정장치에서의 조명방법, 및 생체 정보 측정방법
US8894933B2 (en) Portable handheld medical diagnostic devices
CN1320357C (zh) 一种试验片条容器系统
EP2546650B1 (en) Method for lighted test strip
WO2010149389A2 (en) Episodic blood glucose monitoring system with an interactive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ethods thereof
WO2012127870A1 (ja) 生体情報測定装置
EP2559373A1 (en) Blood sugar level measurement device, blood sugar level measurement result display method, and blood sugar level measurement result display control program
JP2011064596A (ja) 血糖計
CN101036575A (zh) 生物体成分测定装置及生物体成分测定方法
JP5837570B2 (ja) 体液成分測定システム
KR20120123145A (ko) 고혈당 및 저혈당 경향 통지를 갖는 분석물 검사 방법 및 시스템
US7704747B2 (en) Dual blood glucose meter
CN102483775A (zh) 被分析物测试方法和系统
JP6126589B2 (ja) 血糖計
JP2000146777A (ja) 検体採取方法、検体採取装置、検体採取用容器、検体測定方法、検体測定装置および検体測定用容器
JP4844251B2 (ja) 血液検査装置
WO2013038826A1 (ja) 報知システム
WO2006132953A2 (en) Solar-powered integrated-diagnostic instrument
JP6455425B2 (ja) 測定装置
JP4085137B2 (ja) バイオセンサシステム
JP4352107B2 (ja) レンズ付き液体試料測定装置
JP2015212685A (ja) センサおよび測定装置
JP2009142418A (ja) 生体試料測定装置
CN102539396B (zh) 激光显影仪
JP200013126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