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275A - 고압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압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275A
KR20110114275A KR1020100033832A KR20100033832A KR20110114275A KR 20110114275 A KR20110114275 A KR 20110114275A KR 1020100033832 A KR1020100033832 A KR 1020100033832A KR 20100033832 A KR20100033832 A KR 20100033832A KR 20110114275 A KR20110114275 A KR 20110114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unit
high pressure
conductive unit
pressur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진우
박철현
김태원
조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컴
Priority to KR1020100033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4275A/ko
Publication of KR20110114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6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constructed of plastics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2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vessels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09Shape cylindrical with exteriorly curved end-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34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 F17C2203/0658Synthetics
    • F17C2203/066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1Shaping processes
    • F17C2209/2109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열가소성 복합재료에 의해 제조되는 고압용기 및 고압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압용기는, 열가소성 복합재료로 이루어지고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삼차원 형태를 가지면서 일면이 개방된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와 대칭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케이스와 마주보는 부분의 일부가 서로 겹치면서 결합하는 제2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겹쳐지는 부분에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가공성과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비 및 조립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압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High Pressure Container and maun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압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직조한 원단을 유도가열에 의해 접합한 고압용기 및 고압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압용기는 내부 공간에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가지는 액체 또는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이다. 상기 고압용기에는 내부 공간에 저장된 액체 또는 가스를 외부 공간으로 분출하기 위한 배출구 또는 밸브를 가진다.
상기 배출구 또는 밸브를 통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가지는 내부 압력에 의해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액체 또는 가스가 외부 공간으로 분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 또는 밸브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분출되는 액체 또는 가스를 사용자가 사용하게 된다.
상기 고압용기는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액체 또는 가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가장 일반적으로는 액화석유가스(LPG)를 저장하는 고압용기가 있다.
또한, 상기 고압용기는 일반적으로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긴 원통 형태를 가지도록 제작되며, 이는 내부 공간의 압력을 잘 견디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고압용기는 인장 강도가 큰 금속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용기는 내부 공간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내부 압력에 상당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제작되며, 금속재료를 이용하여 주조 방식 또는 철판 벤딩 후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에 따라, 제작 비용이 증가하고 제작 공정이 까다로우며 용기의 소형화에도 한계가 있다.
상기 고압용기의 다른 제작 방법으로는 주로 이음매가 없는 관을 이용하여 열간 스피닝 방법에 의해 파이프 양쪽 끝 부분을 봉합하는 방법도 사용된다. 이처럼, 상기 고압용기는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액체 또는 가스의 종류나 그 양에 따라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작된다.
한편, 상기 고압용기는 금속재료가 아닌 강화된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되기도 한다. 내부 공간의 압력을 견디도록 강화된 플라스틱을 다양한 방향에서 여러 겹으로 권취하면서 외면을 감싸도록 제조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다만, 강화된 플라스틱을 여러 겹으로 권취하여 제조하기 위해서는 강화된 플라스틱을 권취하기 위한 공정과, 권취하기 위한 장치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직조된 원단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고압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유도 가열에 의하여 접합되는 고압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열가소성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직조된 원단을 유도 가열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제조되는 고압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압용기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삼차원 형태를 가지면서 일면이 개방된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와 대칭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케이스와 마주보는 부분의 일부가 서로 겹치면서 결합하는 제2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겹쳐지는 부분에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고압용기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면서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삼차원 형태로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와 상하 또는 좌우 대칭 형태로 형성되고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케이스와 마주보는 부분이 서로 접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가 접하는 부분의 외면에 위치하는 도전유닛; 및 상기 도전유닛의 외측을 따라 제공되는 연결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고압용기의 제조방법은, 열가소성 수지로 직조된 원단을 몰드에 주입하여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일면이 개방된 형태의 케이스를 만드는 케이싱공정; 및 상기 케이스를 유도가열에 의해 상기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결합공정;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고압용기에 의하면, 강화섬유 및 열가소성 복합재료에 의하여 고압용기가 제조됨으로써 가공성이 용이하고, 생산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열가소성 복합재료에 의해 제조됨에 따라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생산 시간 및 가공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생산 및 가공 시간의 절감으로 인해, 효율적인 에너지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고압용기의 외형을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고압용기의 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고압용기의 단면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고압용기의 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고압용기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블럭도.
이하에서는 상기되는 바와 같은 과제와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고압용기 및 고압용기의 제조 방법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상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 예를 통해 액화석유가스(LPG)를 저장하는 고압용기 및 고압용기의 제조 방법을 살펴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강화섬유 및 열가소성 소재를 직조하여 형성되는 원단을 이용한 고압용기와 유도 가열에 의해 접합하여 제조되는 고압용기의 제조 방법에 모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액화석유가스(LPG)가 저장되는 고압용기와 내부케이스가 상하 방향으로 접하면서 결합력을 가지는 고압용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압용기를 나타낸 부분 절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고압용기의 내부케이스 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고압용기(1)는 외형을 이루는 외부케이스(10)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내부 공간을 가지는 내부케이스(20)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0)는 상기 내부케이스(2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상기 내부케이스(20)의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세로 방향으로 긴 원통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상단부에는 상기 고압용기(1)의 운반을 위하여 운반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1)가 제공된다.
상기 내부케이스(20)는 열가소성 복합재료로 이루어지면서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의 대칭 형태로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부분의 일부가 서로 겹치면서 결합하는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30)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면서 전체적으로 하면이 개방되는 반구(半球)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케이스(40)는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면서 전체적으로 상면이 개방되는 반구(半球)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여 서로 접합으로써 상기 내부케이스(20)가 전체적으로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원통 형태를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케이스(30)에는 상기 내부케이스(2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고압의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내용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31)는 상기 내부케이스(20)의 내부 공간에 저장하기 위한 고압의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내용물을 주입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주입구(31)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주입구(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마개가 더 제공되기도 한다. 상기 마개는 상기 주입구(31)를 통해 상기 내부케이스(20)의 내부 공간으로 저장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주입한 다음 상기 주입구(31)를 차폐하여 상기 내부케이스(20)의 내부 공간을 전체적으로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31)의 측면에는 상기 마개에 의해 개방 정도가 조절되는 배출구(32)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32)는 호스 또는 파이프 등과 연결되어 상기 내부케이스(20)에 저장되는 내용물을 원하는 배출량으로 호스 또는 파이프 등을 통해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마개에 의해 상기 내부케이스(20)가 밀폐되고, 상기 배출구(32)의 개방 정도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내부케이스(2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배출량이 조절되면서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케이스(30)의 개방된 하면의 내면 지름은 상기 제2케이스(40)의 개방된 상면의 외면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되면 상기 제1케이스(30)의 개방된 하면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제2케이스(40)의 개방된 상면이 인입되면서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의 측면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부케이스(20)는 상기 제1케이스(30)의 개방된 하면의 내면과 상기 제2케이스(40)의 개방된 상면 외면은 서로 끼움 결합되면서 측면 일부가 접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케이스(30)의 하단부의 내면과 상기 제2케이스(40)의 상단부 외면이 서로 겹치면서 측면 일부가 접하면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30)의 개방된 하면의 내면 또는 상기 제2케이스(40)의 개방된 상면 외면에는 상기 제1,2케이스(30,40)의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형성되기도 한다.
물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케이스(30)의 개방된 하면의 내면 또는 상기 제2케이스(40)의 개방된 상면의 외면이 다른 측면보다 더 크거나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가 상하 방향으로 끼움 결합될 때 걸림턱의 형태로 제공되기도 하며,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는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직조물로 이루어진다.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직조물로 형성되는 상기 제1,2케이스(30,40)에 의하여 상기 고압용기(1)의 재활용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직조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2케이스(30,40)의 가공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2케이스(30,40)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복합재료 직조물인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폴리프로필렌은 전기 전도성이 좋으며, 가볍고 가공이 용이한 이점으로 인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상기 제1,2케이스(30,40)는 열가소성 수지의 하나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강화섬유로 직조된 원단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물론, 다른 수지도 가능하나 상기 고압용기(1)의 내부 공간에 액화석유가스(엘피지:LPG)가 저장되는 경우 액화석유가스의 내부 압력을 견디면서 가공성이 좋은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고압용기의 내부케이스 접합 부분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고압용기의 내부케이스 접합 부분 확대도이다.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의 겹쳐지는 부분에서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의 사이에는 도전유닛(50)이 위치한다. 상기 도전유닛(50)은 열 전도율이 좋은 금속 재질의 유닛으로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이 사용된다.
상기 도전유닛(50)은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를 접합시키고자 할 때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된다. 유도가열에 의해 상기 도전유닛(50)이 가열됨으로써 상기 도전유닛(50)을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가 서로 융착된다.
다시 말해, 서로 겹치면서 접하는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 사이에 상기 도전유닛(50)을 위치시킨다. 상기 도전유닛(50)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도전유닛(50)이 위치하는 부분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케이스(30)의 외측을 감싸도록 유도가열 장치를 설치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도가열 장치의 내부로 상기 내부케이스(20)를 삽입하여 상기 도전유닛(50)이 위치하는 부분이 가열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20)를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유도가열 장치는 전자 유도에 의해 피 가열물에 맴돌이 전류를 일으키게 하여 여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방법으로 고주파 전류의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고주파 전자기장 속에서 금속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이때, 사용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맴돌이 전류는 금속의 표면에만 흐르고 내부로 침입하지 않게 되므로 용해를 위해서는 비교적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고, 금속의 표면만을 가열할 때는 비교적 높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러한 유도가열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을 국부적으로 가열 또는 용해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유도가열 장치에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전류를 공급하면 상기 도전유닛(50)의 표면에 맴돌이 전류가 발생하고 이와 같은 맴돌이 전류에 의해 상기 도전유닛(50)의 표면이 가열된다.
상기 도전유닛(50)의 표면이 가열되면, 가열되는 상기 도전유닛(50)의 온도에 의해 열가소성 복합재료로 직조된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가 상기 도전유닛(50)의 표면에서 융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30)의 하단부와 상기 제2케이스(40)의 상단부가 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도전유닛(50)을 중심으로, 상기 제1케이스(30)의 내면과 상기 제2케이스(40)의 외면이 상기 도전유닛(50)의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융착되어 서로 결합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가 접하는 부분이 융착되면서 결합력을 가지게 되면, 내부 공간을 가지는 상기 내부케이스(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부케이스(20)의 상기 주입구(31)를 제외한 나머지 내부 공간은 밀폐된다.
밀폐되는 상기 내부케이스(20)의 내부 공간에 고압의 액체 또는 기체가 상기 주입구(31)를 통해 주입되고, 상기 마개에 의해 상기 주입구(31)가 차폐되면서 상기 주입구(31)의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구(32)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배출량으로 고압의 액체 또는 기체를 상기 내부케이스(20)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고압용기(1)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고압용기의 내부케이스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케이스(30)의 개방된 하면과 상기 제2케이스(40)의 개방된 상면이 마주보면서 서로 접하고,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가 접하는 부분의 외측에는 상기 도전유닛(50)이 위치한다.
상기 도전유닛(50)의 외측에는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의 접합을 위한 연결유닛(60)이 위치한다. 상기 연결유닛(60)은 상기 제1,2케이스(30,4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유닛(60)의 외측에서 유도 가열하는 경우 상기 도전유닛(50)이 가열되고, 가열되는 상기 도전유닛(50)의 열에 의해 상기 제1,2케이스(30,40)가 접하는 부분과 상기 연결유닛(60)은 상기 도전유닛(50)을 중심으로 융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전유닛(50)을 중심으로 상기 제1,2케이스(30,40)와 상기 연결유닛(60)이 융착되어,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가 결합력을 가지게 되면서 하나의 상기 내부케이스(20)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2케이스(30,40)와 상기 연결유닛(60)은 서로 동일한 재질의 열가소성 복합재료 즉,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고압용기(1)의 제조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고압용기(1)의 제조 방법은 열가소성 복합재료로 직조된 원단을 몰드에 주입하여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일면이 개방된 형태의 케이스를 만드는 케이싱공정(S10); 및 상기 케이싱공정(S10)에서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를 유도가열에 의해 결합시키는 결합공정(S3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공정(S10)에서는 몰드에 열가소성 복합재료로 직조된 원단을 위치시킨 다음 압력을 가하여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상기 제1,2케이스(30,40)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몰드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압력을 가하면서 상기 제1,2케이스(30,40)를 제조하게 된다. 이는 소정의 열을 가하면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의 특성으로 인해 더 빠른 시간으로 상기 제1,2케이스(30,40)를 제조하기 위함이다.
상기 케이싱공정(S10) 후에는 상기 제1케이스(30)에 상기 주입구(31)를 형성하는 주입구공정(S21)이 진행된다. 상기 주입구공정(S21)에 의해 상기 주입구(31)가 상기 제1케이스(30)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의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동일한 몰드에서 가압하여 생성되는 상기 제1,2케이스(30,40)는 일면이 개방된 동일한 형태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삼차원 형태로 생성되므로, 상기 주입구공정(S21)이 진행되지 않으면,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는 구분되지 않게 된다.
상기 주입구공정(S21)에 의해 상기 제1케이스(30)에 상기 주입구(31)가 형성되면,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 사이 또는 상기 제1,2케이스(30,40)와 상기 연결유닛(60) 사이에 상기 도전유닛(50)을 위치시키는 유닛접합공정(S22)이 진행된다.
물론, 상기 도전유닛(50)이 상기 제1,2케이스(30,40)의 외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도전유닛(50)의 외측을 따라 상기 연결유닛(60)을 위치시키는 연결공정(S23)이 더 진행된다.
어떠한 경우라도, 상기 도전유닛(50)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부분에 의해 양 측면이 감싸지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 유닛접합공정(S22) 또는 상기 연결공정(S23) 이후에는 상기 결합공정(S30)이 진행된다. 상기 결합공정(S30)은 상기 도전유닛(50)이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도전유닛(50)을 유도가열함으로써 가열되는 상기 도전유닛(50)에 의해 상기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2케이스(40) 또는 상기 제1,2케이스(30,40)와 상기 연결유닛(60) 사이의 결합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다른 많은 실시 예가 제안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다양한 실시 예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고압용기 및 고압용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열가소성 복합재료에 의해 가공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한 고압용기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고압용기 및 고압용기의 제조 방법은 다양한 장점을 가지게 되므로 고압용기의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1. 고압용기 10. 외부케이스
20. 내부케이스 30. 제1케이스
31. 주입구 32. 배출구
40. 제2케이스 50. 도전유닛
60. 연결유닛 S10. 케이싱공정
S21. 주입구공정 S22. 유닛접합공정
S23. 연결공정 S30. 결합공정

Claims (12)

  1. 열가소성 복합재료로 이루어지고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삼차원 형태를 가지면서 일면이 개방된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와 대칭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케이스와 마주보는 부분의 일부가 서로 겹치면서 결합하는 제2케이스; 및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겹쳐지는 부분에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압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상기 제2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고압의 내용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는 고압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도전유닛의 유도가열에 의해 결합력을 가지는 고압용기.
  4. 열가소성 복합재료로 이루어지면서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삼차원 형태로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와 상하 또는 좌우 대칭 형태로 형성되고 열가소성 복합재료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케이스와 마주보는 부분이 서로 접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가 접하는 부분의 외면에 위치하는 도전유닛; 및
    상기 도전유닛의 외측을 따라 제공되는 연결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케이스와 상기 연결유닛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고압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케이스와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도전유닛의 유도가열에 의해 결합력을 가지는 고압용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상기 제2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내용물을 주입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주입구가 형성되는 고압용기.
  8. 열가소성 복합재료로 직조된 원단을 몰드에 주입하여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일면이 개방된 형태의 케이스를 만드는 케이싱공정; 및
    상기 케이스를 유도가열에 의해 상기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결합공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압용기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공정과 상기 결합공정 사이에는
    상기 케이스의 일부가 접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상기 케이스의 접하는 부분 사이에 도전유닛을 위치시키는 유닛접합공정이 더 포함되는 고압용기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공정과 상기 결합공정 사이에는
    상기 케이스를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다음 마주보는 부분의 외면에 각각 접하도록 도전유닛을 위치시키는 유닛접합공정이 더 포함되는 고압용기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접합공정과 상기 결합공정 사이에는
    상기 도전유닛의 외면에 열가소성 복합재료로 이루어지는 연결유닛을 위치시키는 연결공정이 더 포함되는 고압용기의 제조방법.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접합공정 전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케이스에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를 형성하는 주입구공정이 더 포함되는 고압용기의 제조방법.
KR1020100033832A 2010-04-13 2010-04-13 고압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10114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832A KR20110114275A (ko) 2010-04-13 2010-04-13 고압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832A KR20110114275A (ko) 2010-04-13 2010-04-13 고압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275A true KR20110114275A (ko) 2011-10-19

Family

ID=4502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832A KR20110114275A (ko) 2010-04-13 2010-04-13 고압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42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63105A (ja) * 2020-10-09 2022-04-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高圧タンク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63105A (ja) * 2020-10-09 2022-04-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高圧タンク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7356B2 (en) Engagement structure between a mouth member of a pressure vessel and a blow pin, mouth member structure of a pressure vessel having the engagement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 pressure vessel
CN106838602B (zh) 一种金属瓶口结构和lpg气瓶
CN102218810B (zh) 用于生产容器衬套的方法
JP5940991B2 (ja) ライナー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高圧ガスタンク
KR102503377B1 (ko) 복잡한 형상을 갖는 복합 부품 제조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4014049A1 (ja) 圧力容器
CN104477027A (zh) 连接油箱内部上下表面的刚性连接装置及油箱的生产方法
US20140144866A1 (en) Pressure vessel
CN102720901A (zh) 电磁感应熔接钢塑复合管连接套件
EP3200966B1 (en) Method for welding a heat shield during manufacturing of a vehicle component
KR20190061604A (ko) 차량용 고압용기
CN102494132B (zh) 一种法兰接口的玻璃纤维缠绕水容器及其制造方法
JP6915564B2 (ja) 高圧タンクの製造方法
KR20110114275A (ko) 고압용기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7407460A (zh) 高压气体容器和高压气体容器的制造方法
KR100969617B1 (ko) 측면 공기유도로를 구비하는 완충용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0059068A2 (e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of High-Pressure Container and a High-Pressure Container, Esupecially to Store Liquids and Gases under Higher Pressure
EP2112423A1 (en) Multilayer container for liquids and gases storing under the elevated pressure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KR20130083340A (ko) 복합 소재 고압 용기의 노즐 보스 결합 구조
CN110217098A (zh) 一种设置有加强组件的储箱及其生产方法
CN103196031A (zh) 高分子材料焊接内胆纤维缠绕复合材料高压气瓶及其制造方法
JP5083176B2 (ja) ライナの製造方法及び分割ライナ
CN202065563U (zh) 预承插感应加热熔接塑料管件
CN102338254A (zh) 预承插感应加热熔接塑料管件
KR101487872B1 (ko) 복합소재 lpg 실린더용 일체형 라이너 및 보스 제조방법,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복합소재 lpg 실린더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복합소재 lpg 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