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4067A - 공냉식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공냉식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4067A
KR20110114067A KR1020100033489A KR20100033489A KR20110114067A KR 20110114067 A KR20110114067 A KR 20110114067A KR 1020100033489 A KR1020100033489 A KR 1020100033489A KR 20100033489 A KR20100033489 A KR 20100033489A KR 20110114067 A KR20110114067 A KR 20110114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 exchanger
air
cooled hea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차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이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이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이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033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4067A/ko
Publication of KR20110114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3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 F28F1/3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the means being helically wound fins or wire spir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4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both outside and inside the tubular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6Fastening; 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냉식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 외주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따라 나선형을 이루고서 방사바깥방향으로 뻗어 있는 핀을, 외접시키고, 핀의 나선형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서로에 일정 간격을 두고서 복수개 절결부를 형성시키어, 핀이 방사상 길이를 국소적으로 짧게 하는 수단을 공냉식 열교환기에 제공하여, 열교환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냉식 열교환기{air cooled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냉식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냉식 열교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리로 된 원형의 파이프(1)를, 알루미늄합금재의 박판인 핀(2)의 관통구멍에 관통시켜 끼운 후, 기계적인 힘이나 유압에 의해 파이프를 확관함으로써 핀에 파이프를 밀착시켜 그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외부의 공기가 핀과 부딪치게 되면, 핀을 가운데 두고 경계층인 2개의 공기흐름층이 발생되고, 상기 2개의 공기흐름층과 핀이 접촉하여 열이 핀에서 파이프로 또는 파이프에서 핀으로 열전달이 잘 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된 공냉식 열교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2)이 파이프(1)에 대하여 방사바깥방향으로 뻗어 있되, 그 외곽테두리가 장방형으로 되게 뻗어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테두리의 모서리에 위치된 핀부분(2a)이 다른 외곽테두리에 위치된 핀부분(2b)보다도 파이프의 외주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게 되어 있다.
모서리에 위치된 핀부분(2a)이 파이프의 외주면에 대하여 멀어지면 멀어질 수로록 외부공기가 핀에 접촉하였을 때 핀을 가운데 두고 발생되는 경계층인 2개의 공기흐름층(3) 간의 간격이 더욱 더 벌어지게 되어, 종래의 공냉식 열교환기는 열전달효율이 낮아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공냉식 열환기는 파이프(1)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파이프(1) 내에서는 열교환될 피처리액이 중력에 의해 한쪽으로 즉, 바닥쪽으로 쏠려 파이프(1)의 둘레방향으로 골고루 분포되지 않아, 파이프의 둘레방향에서 골고루 핀(2)과의 열전달이 제대로 이루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 외주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따라 나선형을 이루고서 방사바깥방향으로 뻗어 있는 핀을, 외접시키고, 핀의 나선형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서로에 일정 간격을 두고서 복수개 절결부를 형성시키어, 핀이 방사상 길이를 국소적으로 짧게 하는 제1수단을 공냉식 열교환기에 제공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파이프 내부에 열십자형 단면을 갖는 격벽 봉을 삽입하여, 파이프 내의 열교환될 피처리액이 파이프 내에서 둘레방향으로 골고루 분포되게 하는 제2수단을 공냉식 열교환기에 제공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인 제1수단에 의해, 핀의 방사상 길이를 종래보다 전체적으로 짧게 함과 동시에 국소적으로도 짧게 하여서, 경계층인 공기흐름층과 핀 간의 폭을 감소시켜 열전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인 제2수단에 의해, 파이프 내의 열교환될 피처리액이 파이프 내에서 둘레방향으로 골고루 분포되게 하여 열전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수단을 공냉식 열교환기에 제공함으로써, 종래보다 더욱 더 열전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냉식 열교환기에 구비된 파이프와 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핀의 방사상 길이에 따른 경계층인 공기흐름층 간의 거리를 도식적으로 설명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냉식 열교환기에 구비된 파이프와 핀을 도시한 도면, 및
도 4는 도 3의 파이프에 내장된 격벽봉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공냉식 열교환기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에는 본 실시예의 공냉식 열교환기가 부호 100으로 지시되어 있다.
상기 공냉식 열교환기(100)는, 열교환될 피처리액이 유동하게 되는 파이프배관부(110)와, 외부공기와 접촉하여 파이프배관부(110)의 수평자세의 파이프(111) 내의 피처리액을 열교환시키기 위해, 선단이 방사바깥방향으로 뻗어 있고 기단이 상기 수평자세의 파이프(111) 각각에 외접된 복수개의 핀(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파이프배관부(110)는, 종래와 같이, 서로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평자세의 파이프(111)와, 상기 복수개의 수평자세의 파이프(111)를 서로 유통가능하게 접속시키기 위해 2개의 수평자세의 파이프(111)의 일단 간을 또는 타단 간을 서로 이음하는 복수개의 U자형 파이프(1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핀(120)은, 종래의 핀과 달리, 전체적으로 띠형으로 되어 있는 판재가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111) 각각의 길이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누비고 나가서, 판재의 기단이 상기 파이프(111)의 외주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판재의 선단이 상기 파이프(111)의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핀(120)에는 파이프(111)의 둘레방향으로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복수개의 절결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자세의 파이프(111)내에는 상기 파이프(111)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갖고서 상기 파이프(111)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열십자형 단면의 격벽봉(11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격벽봉(115)의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4개의 돌출편(115a)의 선단은 상기 파이프(111)에 유밀적으로 내접되어 있어서, 상기 격벽봉(115)과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과 협력하여 상기 파이프(111) 내에 4개의 공간(S)이 구획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봉(115)는 상기 실시예에서 열십자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5개의 균등 공간을 갖게 단면을 갖을 수 있으며, 더욱이 열전달의 촉진을 위해, 상기 파이프(11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나선형으로 꼬여들어 가는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냉식 열교환기는 상기 복수개의 핀(120)이 별개로 되어, 복수개의 파이프(111) 각각에 나선형으로 외접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장방형 판재에 복수개의 파이프가 삽입되어 있는 종래의 공냉식 열교환기와 달리, 파이프에 대하여 현저하게 멀리 배치된 핀부분이 없어서, 그리고 절결부(121)로 인하여 국소적으로도 파이프에 대하여 가깝게 배치된 핀부분을 가지고 있어서, 경계층인 공기흐름층과 핀 간의 폭을 감소시켜 종래의 공냉식 열교환기보다 열전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냉식 열교환기는 상기 격벽봉(115)과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과 협력하여 상기 파이프(111) 내에 구획형성된 4개의 공간(S) 내에, 상기 파이프(111) 내로 유동되는 열교환될 피처리액을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어서, 자중에 의해 파이프의 바닥쪽에만 상기 피처리액이 존재하여 파이프의 바닥쪽에만 배치된 핀부분에 의해 상기 피처리액이 열교환되는 공냉식 열교환기보다도, 둘레방향으로 배치된 핀(120)부분 모두에 의해서 상기 균등하게 분포된 피처리액과 열교환되고, 아울러, 일정 둘레 길이당 핀이 열교환시킬 피처리액이 종래의 공냉식 열교환기보다도 작게되어 열절단효율을 종래보다도 증대시킬 수 있다.
100; 공냉식 열교환기, 110; 파이프배관부, 111; 수평자세의 파이프, 112; U자형 파이프, 120; 핀, 121; 절결부, 115; 격벽봉 115a; 돌출편, S; 공간

Claims (3)

  1. 열교환될 피처리액이 유동하게 되는 파이프배관부(110)와, 외부공기와 접촉하여 파이프배관부(110)의 수평자세의 파이프(111) 내의 피처리액을 열교환시키기 위해, 선단이 방사바깥방향으로 뻗어 있고 기단이 상기 수평자세의 파이프(111) 각각에 외접된 복수개의 핀(120)를 포함하고 있는 공냉식 열교환기(100)로서,
    상기 파이프배관부(110)는, 서로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평자세의 파이프(111)와, 상기 복수개의 수평자세의 파이프(111)를 서로 유통가능하게 접속시키기 위해 2개의 수평자세의 파이프(111)의 일단 간을 또는 타단 간을 서로 이음하는 복수개의 U자형 파이프(112)를 포함하고 있는 공냉식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핀(120)은, 띠형으로 되어 있는 판재가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111) 각각의 길이방향 및 둘레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누비고 나가서, 판재의 기단이 상기 파이프(111)의 외주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판재의 선단이 상기 파이프(111)의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열교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120)에는 파이프(111)의 둘레방향으로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복수개의 절결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열교환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자세의 파이프(111)내에는 상기 파이프(111)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갖고서 상기 파이프(111)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열십자형 단면의 격벽봉(11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격벽봉(115)의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4개의 돌출편(115a)의 선단은 상기 파이프(111)에 유밀적으로 내접되어, 상기 격벽봉(115)과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과 협력하여 상기 파이프(111) 내에 4개의 공간(S)이 구획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냉식 열교환기.
KR1020100033489A 2010-04-12 2010-04-12 공냉식 열교환기 KR20110114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489A KR20110114067A (ko) 2010-04-12 2010-04-12 공냉식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489A KR20110114067A (ko) 2010-04-12 2010-04-12 공냉식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067A true KR20110114067A (ko) 2011-10-19

Family

ID=45029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489A KR20110114067A (ko) 2010-04-12 2010-04-12 공냉식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40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4127A (zh) * 2013-11-13 2014-02-19 南通曙光新能源装备有限公司 一种节能核电蒸发器
CN105910457A (zh) * 2016-04-14 2016-08-31 南通德瑞森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玻璃钢闭式冷却塔
CN109489453A (zh) * 2018-12-11 2019-03-19 河南龙成煤高效技术应用有限公司 换热单元、换热器及换热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4127A (zh) * 2013-11-13 2014-02-19 南通曙光新能源装备有限公司 一种节能核电蒸发器
CN105910457A (zh) * 2016-04-14 2016-08-31 南通德瑞森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玻璃钢闭式冷却塔
CN109489453A (zh) * 2018-12-11 2019-03-19 河南龙成煤高效技术应用有限公司 换热单元、换热器及换热设备
CN109489453B (zh) * 2018-12-11 2023-12-19 河南龙成煤高效技术应用有限公司 换热单元、换热器及换热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3351A1 (en) Shell and tube heat exchanger, finned tubes for such heat exchanger and corresponding method
WO2015174055A1 (ja) 熱交換器及びそれを用いた冷却装置
KR20110114067A (ko) 공냉식 열교환기
US10082343B2 (en) Fin for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having fin
ES2228189A1 (es) Tubo de refrigerante para intercambiadores de calor.
KR101815437B1 (ko) 열 교환기용 열 전달 파이프
KR20160034288A (ko) 열전달을 위한 튜브
CN104048543A (zh) 平齿纵向翅片管
US20120312515A1 (en) Apparatus for heat dissipation of transforming radiators
JP2015144196A (ja) 冷却装置及び冷却装置の製造方法
EP2724106A1 (en) Heat exchanger tube set
CN104048544A (zh) 扭齿纵向翅片管
KR20150092210A (ko) 열교환기 수단용 배관 요소
JP2012149859A (ja) 個々の伝熱管にフィンを取り付けたシェルアンドチューブ式の熱交換器
JP5569410B2 (ja) 熱交換器用チューブ及び熱交換器
KR100565505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WO2015114015A1 (en) Sectional uneven inner grooved tube
JP7145650B2 (ja) 熱交換器
JP5992693B2 (ja) 冷却器用薄板及びこれにて製作される冷却器の製法
CN215491257U (zh) 换热管、换热器及燃气热水器
JP5835907B2 (ja) 熱交換器
US20050121177A1 (en) Radiation tube structure
US11112191B2 (en) Heat exchanger with turbulating inserts
JP6565426B2 (ja) 多重管式凝縮熱交換器
JP5999628B2 (ja)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