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987A - 연결부 회전각도를 확장한 시트파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및 교량보호공 - Google Patents

연결부 회전각도를 확장한 시트파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및 교량보호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987A
KR20110113987A KR1020100033367A KR20100033367A KR20110113987A KR 20110113987 A KR20110113987 A KR 20110113987A KR 1020100033367 A KR1020100033367 A KR 1020100033367A KR 20100033367 A KR20100033367 A KR 20100033367A KR 20110113987 A KR20110113987 A KR 20110113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ile
bent
support wall
sheet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석
Original Assignee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3987A/ko
Publication of KR20110113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9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6Fitted piles or 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losing gaps between two sheet piles or between two walls of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8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파일과 관련하여 그 구조를 교량보호공에 적합한 구조로 개선하여 시트파일의 연결부위의 회전각도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보호공 등의 곡선부의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 회전각도를 확장한 시트파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한편, 기존 시트파일에 비해 회전반경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및 그를 적용한 교량보호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결부 회전각도를 확장한 시트파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및 교량보호공{sheet pi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sheet pile assembly and bridge prot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트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립호안이나 안벽, 옹벽, 연직 차수벽과 같은 영구 구조물용으로 사용되거나 차수벽, 가물막이, 흙막이 토류벽등 가설 공사용으로 사용되는 시트파일의 연결부 회전각도 확장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널말뚝'이라고 불리는 시트파일(Sheet Pile)은 토목공사시 필수적인 제품인데 주로 차수벽과 토류벽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시트파일은 구조용 고장력강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내구성이 우수하여 반복사용이 가능하며, 연성 벽체로 지진 및 침하상황에서도 탄성 범위 내에서 변위를 허용하므로 영구 구조물로 널리 사용된다.
상기 시트파일은 영구 구조물용(PERMANENT)의 경우, 차수면적당 공사비가 저렴하고 확실한 차수특성을 가지므로 제방의 파이핑(PIPING)현상 방지를 위한 연직차수벽, 쓰레기매립장의 침출수 차단을 위한 연직차수벽, 직립호안, 안벽 등에 주로 사용한다.
그리고, 가설용(TEMPORARAY)의 경우, 시트파일은 그 자체가 수밀성으로 물막이, 흙막이 공사에 주로 사용되며, 특히 관로가시설, 2열가물막이, 대형구조물 터파기 가(假)시설 등의 경우 경제성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도 1은 기존의 시트파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로서, 통상 U-타입 시트파일이라고 불리는 기존의 시트파일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시트파일은 지지벽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를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대략 'U'자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상기 시트파일은 공장에서 고도의 품질관리하에 규격화되어 생산되므로 재질이 균질하고 품질이 우수하며, 큰 휨모멘트를 부담하는 부분 및 국부 좌굴의 우려가 있는 단면의 두께는 두껍게 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휨모멘트와 전단력을 부담하는 부분의 두께는 얇게 하여 공학적으로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설계 및 생산된다.
도 3은 시트파일의 연결시 표준 회전각도를 예시한 것으로서, 기존의 시트파일은 동형(同型)의 시트파일을 연결시, 연결부위인 커넥터부에서의 회전각도(θ)( θ = 6°)가 모두 일정한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장에서 규격화되어 생산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국내에서는 열간압연에 의해 시트파일을 생산하는 업체로 현대제철(주)이 유일한데, 상기 현대제철(주)에서 생산하는 시트파일의 연결부의 회전각도는 상하 각각 6도로 규격화되어있고, 국내에서 냉간성형에 의해 시트파일을 생산하는 업체는 NI스틸(주)이 있는데, 상기 NI스틸(주)에서 생산되는 시트파일 역시 연결부의 회전각도는 규격화되어 있다.
한편, 도 4는 기존 시트파일이 적용된 교량보호공의 구조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교량보호공의 사이즈는 작으면 작을수록 하천의 흐름을 덜 방해하게 되므로 교량보호공의 곡선부 회전반경(R)(도 9 및 도 11 참조)을 줄여 교량보호공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는 시트파일 구조가 요구되나, 현실적으로는 그렇지 못한 실정이다.
왜냐하면, 기존의 시트파일을 이용하여 교대 및 교각을 보호하는 하천구조물인 교량보호공 시공을 함에 있어서 시트파일의 연결부위(즉, 커넥터부)에서의 회전각도가 규격화되어 있으므로 교량보호공의 곡선부 회전반경이 시트파일 연결부의 회전각도 허용하는 범위 이내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즉, 기존의 시트파일은 규격 제작에 의해 연결부위의 회전각도가 표준화되어 있어 교량보호공의 곡선부 회전반경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교량보호공의 사이즈를 줄이는데에도 한계가 있어 원치않는 사이즈로 시공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시공되는 교량보호공은 강이나 하천에서 물 흐름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교량보호공의 사이즈는 작으면 작을수록 통수 단면적이 넓어져 물의 흐름이 좋아지므로 교량보호공의 곡선부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시트파일에 대한 요구가 절실하나, 기존의 시트파일은 형상 및 치수가 규격화된 상태에서 공장제작되고, 일단 생산된 시트파일은 그 재질의 강도 특성 및 대략 'U'자형 단면의 길고 좁게 생긴 형상 특성상 일단 제작된 상태에서는 절단 외에는 구조 변형이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 있어, 현재까지는 기존 시트파일을 그대로 이용하여 규격 내의 제한된 회전각도 범위에서의 연결을 통해 교량보호공을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파일과 관련하여 그 구조를 교량보호공에 적합한 구조로 개선하여 시트파일의 연결부위의 회전각도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보호공 등의 곡선부의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 회전각도를 확장한 시트파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조의 시트파일을 이용하여 기존 시트파일에 비해 회전반경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및 교량보호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지벽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파일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지지벽 중앙에 형성되거나, 중앙을 벗어나 중앙에서 편심된 지점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지지벽의 중앙에서 편심된 지점에 형성되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 중앙에서 편심된 좌우 양측에 절곡부를 형성할 경우, 상기 좌우 양측의 절곡 각도가 동일한 값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 중앙에서 편심된 좌우 양측에 절곡부를 형성할 경우, 상기 좌우 양측의 절곡 각도의 합은 지지벽 일측에만 절곡부를 둘 경우와 동일한 각을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지지벽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파일에 있어서; 상기 시트파일의 지지벽 영역에 절곡부를 형성하되, 상기 절곡부를 프레스를 이용한 냉간 벤딩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지지벽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되, 상기 지지벽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가지는 시트파일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가 제공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속되는 시트파일 중에서, 커넥터부를 서로 잇는 선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시트파일의 지지벽은 커넥터부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내측에 위치하는 시트파일의 지지벽은 커넥터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수평한 지지벽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시트파일과, 상기 제1시트파일의 커넥터부에 연결되며 지지벽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가지는 제2시트파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시트파일 및 제2시트파일이 서로 차례를 바꾸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지지벽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되, 상기 지지벽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가지는 시트파일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와; 상기 시트파일 연결조립체 외부를 둘러 감싸는 띠장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보호공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수평한 지지벽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시트파일과, 상기 제1시트파일의 커넥터부에 연결되며 지지벽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가지는 제2시트파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시트파일 및 제2시트파일이 서로 차례를 바꾸어 연결되는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와; 상기 시트파일 연결조립체 외부를 둘러 감싸는 띠장;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보호공이 제공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및 띠장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트랙형 중 어느 한 형태를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파일과 관련하여 그 구조를 교량보호공에 적합한 구조로 개선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시트파일의 연결부위의 회전각도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보호공 등의 곡선부의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천등에 있어서의 교량보호공의 경우 통수단면적 확보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타 곡선부를 갖는 구조물의 경우, 구조물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교량보호공 등에 있어서 곡선부의 회전반경을 줄일 수 있는 시트파일 제작에 적합한 시트파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일반적인 시트파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트파일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기존 시트파일의 표준 회전각도를 설명하는 참고도
도 4는 기존 시트파일이 적용된 교량보호공의 구조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본 발명에 따른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와 기존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를 비교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본 발명에 따른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와 기존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를 비교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교량보호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교량보호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벽(100)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110)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120)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파일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100)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130)가 형성되되, 특히 지지벽(100) 중앙부에 절곡부(130)가 형성된다.
한편, 시트파일의 절곡부(130)의 절곡방향은 후술하는 [실시예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연결위치를 고려하여 정해져야 하며, 커넥터부(120)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거나, 커넥터부(12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시트파일(1)은 기존 시트파일의 연결부위의 회전각도(θ)(예; θ = 6°)에 더하여 지지벽(100) 중앙부에 형성된 절곡부(130)의 절곡각도(β)가 더해지므로, 시트파일(1) 간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부의 회전반경(R1)이 기존 시트파일을 연결했을 때의 회전반경(R)에 비해 현저히 축소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를 포함한 후술하는 모든 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에 있어서, 지지벽(100) 영역에 형성되는 절곡부(130)는 프레스를 이용한 냉간 벤딩에 의해 형성된다.
참고로, 프레스를 이용한 냉간 벤딩은 후육관 제조에 주로 이용되는 벤딩 방법으로서, 철판을 프레스로 두드림에 따라 원하는 절곡각도를 얻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2]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벽(100)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110)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120)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파일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100)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130)가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130)는 지지벽(100) 중앙을 벗어나 중앙에서 편심된 지점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시트파일(1)은 기존 시트파일의 연결부위의 회전각도(예: 6도)에 더하여 지지벽(100)에 형성된 절곡부(130)의 절곡각도(β)가 더해지므로, 시트파일(1) 간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부의 회전반경이 기존 시트파일을 연결했을 때에 비해 현저히 축소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시트파일(1) 구조에 따르면, 지지벽(100)에 형성되는 절곡부(130)가 바이브로 햄머의 척(chuck)이 파지하는 부위인 중앙부를 피해 형성됨으로 인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3]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벽(100)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110)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120)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파일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100)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130)가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130)는 지지벽(100) 중앙을 벗어나 중앙에서 편심된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벽(100) 중앙에서 편심된 좌우 양측에 절곡부(130)를 형성할 경우, 상기 좌우 양측의 절곡 각도를 같게 하고 양측 절곡 각도의 합(β1+β2)이 지지벽(100) 좌우측 중 일측에만 절곡부(130)를 둘 경우와 동일한 각(β1+β2=β)을 이루도록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좌우측 절곡부(130)의 절곡각도를 달리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시트파일(1)은 기존 시트파일의 연결부위의 회전각도(예: 6도)에 더하여 지지벽(100)의 중앙을 벗어난 좌우측에 형성된 절곡부(130)의 절곡각도(β1+β2=β)가 더해지므로, 시트파일(1) 간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부의 회전반경이 기존 시트파일을 연결했을 때에 비해 현저히 축소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시트파일(1) 구조에 따르면, 지지벽(100)에 형성되는 절곡부(130)가 바이브로 햄머의 척이 파지하는 부위인 중앙부를 피해 형성됨으로 인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벽(100)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절곡부(130)의 절곡 각도의 합이 일측에만 절곡부(130)를 둘 경우와 동일한 각을 이루도록 할 경우, 프레스를 이용한 냉간 벤딩시 각 절곡부(130)가 받는 응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실시예4]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와 기존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를 비교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는, 지지벽(100)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110)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120)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되, 상기 지지벽(100)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130)를 가지는 시트파일(1)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속되는 시트파일(1) 중에서, 커넥터부(120)를 서로 잇는 선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시트파일의 지지벽은 커넥터부(120)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내측에 위치하는 시트파일의 지지벽은 커넥터부(12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는 곡선부 회전반경을 기존에 비해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는 각 단위 시트파일(1)의 연결부위 회전각도가 기존 시트파일의 연결부위의 회전각도(θ)(예: 6°)에다가 지지벽(100) 중앙부에 형성된 절곡부(130)의 절곡각도(β)만큼 더해진 상태이고, 이들이 다시 연결된 구조이므로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의 곡선부의 회전반경(R1)이 기존 시트파일을 연결했을 때의 회전반경(R)에 비해 현저히 축소되며, 이는 도 9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5]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와 기존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를 비교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는, 수평한 지지벽(100)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110)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120)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시트파일(1a)과; 상기 제1시트파일(1a)의 커넥터부(120)에 연결되며 지지벽(100)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130)를 가지는 제2시트파일(1b);로 구성되되, 상기 제1시트파일(1a) 및 제2시트파일(1b)이 서로 차례를 바꾸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역시 곡선부 회전반경을 기존에 비해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4]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더 큰 회전반경을 갖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는 각 단위 시트파일의 연결부위 회전각도가 기존 시트파일의 연결부위의 회전각도(예: 6도)에다가 지지벽(100) 중앙부에 형성된 절곡부(130)의 절곡각도(β)만큼 더해진 상태이고, 이들이 하나 건너 하나씩 기존의 시트파일에 연결된 구조이므로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의 곡선부의 회전반경(R2)이 기존 시트파일만을 연결했을 때의 회전반경(R)에 비해 현저히 축소되며, 이는 도 11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 및 [실시예4]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이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위 시트파일로서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6]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교량보호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 보호공은, 지지벽(100)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110)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120)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되, 상기 지지벽(100)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130)를 가지는 시트파일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와; 상기 시트파일 연결조립체 외부를 둘러 감싸는 띠장(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및 띠장(2)의 전체적인 프로파일은 원형, 타원형, 트랙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띠장은 배면 토압에 대한 저항 및 벽체 전체가 일률적인 토압을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2의 확대부인 원(圓)안에 나타낸 시트파일은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을 예시한 것으로서,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점은 후술하는 제7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3은 교각을 나타내고, 미설명 부호 4는 시트파일과 교각 사이에 타설되는 무근 콘크리트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파일 조립 연결체의 회전반경이 기존에 비해 현저히 축소됨으로써 교량보호공 구조물의 전체 사이즈가 작아지게 되며, 이로써 하천의 통수 단면적을 기존 교량 보호공의 시공시에 비해 더욱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유수 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보호공에 있어서의 시트파일 조립 연결체의 구조는 전술한 제4실시예에서의 구조를 따르므로 교량보호공 곡선부 회전반경을 가장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실시예7]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교량보호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보호공은, 수평한 지지벽(100)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110)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120)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시트파일(1a)과, 상기 제1시트파일(1a)의 커넥터부(120)에 연결되며 지지벽(100)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130)를 가지는 제2시트파일(1b)로 구성되되, 상기 제1시트파일(1a) 및 제2시트파일(1b)이 서로 차례를 바꾸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와; 상기 시트파일 연결조립체 외부를 둘러 감싸는 띠장(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및 띠장의 전체적인 프로파일은 원형, 타원형, 트랙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보호공에 있어서의 시트파일 조립 연결체의 구조는 전술한 제5실시예에서의 구조를 따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파일 조립 연결체의 회전반경이 축소됨으로써 교량 보호공 구조물의 전체 사이즈가 작아지게 되며, 이로써 하천의 통수 단면적을 기존 교량 보호공의 시공시에 비해 더욱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유수 흐름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시트파일과 관련하여 그 구조를 교량보호공에 적합한 구조로 개선하여 시트파일의 연결부위의 회전각도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보호공 등의 곡선부를 갖는 토목구조물 시공에 있어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이다.
1:시트파일 100:지지벽
110:날개부 120:커넥터부
130:절곡부 1a:제1시트파일
1b:제2시트파일 2:띠장
3:교각 4:무근 콘크리트

Claims (13)

  1. 지지벽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파일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지지벽 중앙에 형성되거나, 중앙을 벗어나 중앙에서 편심된 지점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지지벽의 중앙에서 편심된 지점에 형성되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 중앙에서 편심된 좌우 양측에 절곡부를 형성할 경우, 상기 좌우 양측의 절곡 각도가 동일한 값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 중앙에서 편심된 좌우 양측에 절곡부를 형성할 경우, 상기 좌우 양측의 절곡 각도의 합은 절곡부를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만 절곡부를 둘 경우와 동일한 각을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절곡방향은 커넥터부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상기 커넥터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7. 지지벽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어지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 따른 시트파일에 있어서;
    상기 시트파일의 지지벽 영역에 절곡부를 형성하되, 상기 절곡부를 프레스를 이용한 냉간 벤딩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제조방법.
  8. 지지벽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되, 상기 지지벽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가지는 시트파일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되는 시트파일 중에서, 커넥터부를 서로 잇는 선을 기준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시트파일의 지지벽은 커넥터부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내측에 위치하는 시트파일의 지지벽은 커넥터부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10. 수평한 지지벽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시트파일과;
    상기 제1시트파일의 커넥터부에 연결되며 지지벽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가지는 제2시트파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시트파일 및 제2시트파일이 서로 차례를 바꾸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11. 지지벽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되, 상기 지지벽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를 가지는 시트파일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와;
    상기 시트파일 연결조립체 외부를 둘러 감싸는 띠장;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보호공.
  12. 수평한 지지벽의 양측 끝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날개부를 형성하며, 양끝단에는 이웃하는 시트파일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시트파일과, 상기 제1시트파일의 커넥터부에 연결되며 지지벽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가지는 제2시트파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시트파일 및 제2시트파일이 서로 차례를 바꾸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와;
    상기 시트파일 연결조립체 외부를 둘러 감싸는 띠장;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보호공.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 중에 있어서,
    상기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및 띠장의 전체적인 프로파일은 원형, 타원형, 트랙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이루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보호공.
KR1020100033367A 2010-04-12 2010-04-12 연결부 회전각도를 확장한 시트파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및 교량보호공 KR201101139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367A KR20110113987A (ko) 2010-04-12 2010-04-12 연결부 회전각도를 확장한 시트파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및 교량보호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367A KR20110113987A (ko) 2010-04-12 2010-04-12 연결부 회전각도를 확장한 시트파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및 교량보호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987A true KR20110113987A (ko) 2011-10-19

Family

ID=4502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367A KR20110113987A (ko) 2010-04-12 2010-04-12 연결부 회전각도를 확장한 시트파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및 교량보호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39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975A1 (ko) * 2016-03-14 2017-09-21 손완규 신축 및 확장이 자유로운 시트파일
CN112854136A (zh) * 2021-03-03 2021-05-28 青岛西海岸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市政桥梁桥墩的浸泡腐蚀度防护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975A1 (ko) * 2016-03-14 2017-09-21 손완규 신축 및 확장이 자유로운 시트파일
CN112854136A (zh) * 2021-03-03 2021-05-28 青岛西海岸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市政桥梁桥墩的浸泡腐蚀度防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4370B2 (ja) 盛土の補強構造
JP2004197403A (ja) 鋼管矢板井筒基礎
JP2017504741A (ja) シートパイル
RU2701265C1 (ru) Шпунтовая стенка
KR20110113987A (ko) 연결부 회전각도를 확장한 시트파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연결 조립체 및 교량보호공
JP4705523B2 (ja) 基礎杭用の既成杭及びこれを用いた連続壁
JP6714307B2 (ja) 既設鋼矢板壁の補強工法
JP5256180B2 (ja) 鋼管矢板の継手構造および鋼管矢板基礎
JP2009235672A (ja) ハット形鋼矢板
US8425152B1 (en) Arched culver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4069004B2 (ja) 護岸構造
CN207348049U (zh) 一种先张法预应力混凝土c形板桩
KR20120073623A (ko) 벽강관말뚝의 연결구조체
JP5252220B2 (ja) 側方流動対策構造
JP4229056B2 (ja) 外圧対抗構造体、及び、その構築方法
JP2013159970A (ja) 不等厚鋼管及び不等厚鋼管を用いた構造体
JP6971874B2 (ja) 鋼構造物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続構造、その接続構造を有する構造壁および鋼構造物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続方法
JP6018804B2 (ja) セル本体の遮水構造
JP2012202042A (ja) 排水機能を有する組合せ鋼矢板および該鋼矢板を用いた壁体構造
KR20110132087A (ko) 조합형 강널말뚝의 연결구조
KR200459483Y1 (ko) 강관 병행 h?시트 파일을 이용한 시공구조
JP2006045814A (ja) 嵩上げ堤及び既設堤の嵩上げ方法
KR100666935B1 (ko) 강널말뚝 벽체의 선단지지력 보강구조
JP2020117960A (ja) 堤体の補強構造
JP2020117959A (ja) 堤体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