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790A -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 - Google Patents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790A
KR20110113790A KR1020100033060A KR20100033060A KR20110113790A KR 20110113790 A KR20110113790 A KR 20110113790A KR 1020100033060 A KR1020100033060 A KR 1020100033060A KR 20100033060 A KR20100033060 A KR 20100033060A KR 20110113790 A KR20110113790 A KR 20110113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verter
time
delay
coarse
td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구
이석원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3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3790A/ko
Publication of KR2011011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7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10/00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electric means
    • G04F10/005Time-to-digital converters [TD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logic circuit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03Astable circuits
    • H03K3/0315Ring oscill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5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time reference signals, e.g. 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4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phase shifting device being digitally control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하여 딜레이 미스매치(delay mismatch)를 줄인 고해상도 시간-디지털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1) 직렬로 접속되는 N개의 버퍼 지연 체인을 포함하는 코어스(coarse) 시간-디지털 변환기; 및 (2) 상기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연관된 코어스 스테이지에 연결되고, 버니어 지연단을 포함하는 파인(fine) 시간-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에서는 위상 차이를 버퍼 딜레이를 이용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남은 위상 차이를 상기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에 전달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에 따르면, N:1 멀티플렉서와 듀얼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함으로써, 딜레이 미스매치를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공정, 전압, 온도 변화에 상관없이 일정한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omitted}
본 발명은 시간-디지털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하여 딜레이 미스매치(delay mismatch)를 줄인 고해상도 시간-디지털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짧은 시간 측정(short time measurement)을 위한 전자 측정기는 우주로부터 들어오는 우주선(cosmic ray)을 고해상도로 측정하거나 사람이 직접 측정하기 곤란한 장소까지의 측정을 위한 Laser range-finiding system에서 사용되며, 특히 고(高)에너지 입자 물리학 실험에서 두 입자 빔(particle beam) 사이의 충돌 지점에서부터 분산된 전하를 띤 입자의 궤적(Time of Flight)을 측정함으로써 입자의 정체성을 알아내기 위한 검출기로 사용된다. 이러한 측정을 위해서는 높은 해상도를 갖는 시간-디지털 변환기(Time-to-Digital Converter; TDC)의 설계가 중요하다.
시간-디지털 변환기는 두 입력 신호(START STOP Signal)의 시간 차이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는 장치이다. 여기서 입력 신호는 펄스 형태가 될 수도 있고 각기 다른 신호원(source)으로부터의 단순한 상승 신호(Rising signal)일 수도 있다. 짧은 시간 간격 측정을 위한 TDC 알고리즘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지만 그 중에서 몇 가지 일반에게 소개된 방식을 살펴보면, 낮은 시스템 클록을 여러 단계를 거친 후 디지털 메모리 소자를 통해서 입력신호의 입력시점을 검출함으로써 높은 해상도를 얻어내는 디지털 인터폴레이션(Digital Interpolation) 방식과, 입력신호가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일정한 회로를 여러 번 순환시킴으로써 그 순환 횟수를 측정하는 순환방식(cyclic method), 및 Analog to Digital Converter(ADC)를 이용한 아날로그 인터폴레이션 방식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들은 복잡도나 변환시간(conversion time) 및 해상도 등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한편,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하여 시간-디지털 변환기(TDC)를 구현할 수도 있는데,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기존의 시간-디지털 변환기는 고해상도를 얻을 수는 있으나, 공정, 전압, 온도 변화에 의해 딜레이 미스매치가 발생할 수 있고, 해상도가 증가함에 따라 칩 면적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N:1 멀티플렉서와 듀얼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함으로써, 딜레이 미스매치를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공정, 전압, 온도 변화에 상관없이 일정한 해상도를 얻을 수 있는 시간-디지털 변환기(TDC)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Time-to-Digital Converter; TDC)는,
(1) 직렬로 접속되는 N개의 버퍼 지연 체인을 포함하는 코어스(coarse) 시간-디지털 변환기; 및
(2) 상기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연관된 코어스 스테이지에 연결되고, 버니어 지연단을 포함하는 파인(fine) 시간-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에서는 위상 차이를 버퍼 딜레이를 이용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남은 위상 차이를 상기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에 전달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연 셀의 딜레이를 제어하는 듀얼 지연 고정 루프(Dual DLL)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연 셀은,
2개의 인버터 및 n-타입의 MOS 버랙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 사이에 복수 개의 nMOS 소자와 하나의 pMOS 소자로 구성된 N:1 멀티플렉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력 코드를 결정하는 아비터 회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에 따르면, N:1 멀티플렉서와 듀얼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함으로써, 딜레이 미스매치를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공정, 전압, 온도 변화에 상관없이 일정한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디지털 변환기(TDC)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지연 고정 루프(Dual DLL)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지연 고정 루프(Dual DLL)의 지연 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하고 있는 N:1 멀티플렉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디지털 변환기(TDC)에 아비터 회로를 사용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디지털 변환기(TDC)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지연 고정 루프(Dual DLL)의 모의실험 결과에서 각각 제어 전압 및 VCDL의 이득(gain)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니어 지연단에서 두 가지의 다른 딜레이 값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니어 지연단에서 INL과 DNL 값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디지털 변환기(TDC)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디지털 변환기(TDC)는, 코어스(coarse) 시간-디지털 변환기(TDC)와 높은 해상도를 얻기 위한 파인(fine) 시간-디지털 변환기(TDC)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디지털 변환기(TDC)에서,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coarse TDC)는 버퍼 지연 체인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fine TDC)는 고해상도를 얻기 위해서 버니어 지연단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coarse TDC)에서는 위상 차이를 버퍼 딜레이를 이용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남은 위상 차이를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fine TDC)에 전달한다. 검출 가능한 최대 위상 차이는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N은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coarse TDC)에 사용되는 버퍼 체인단의 수이며, Tbuffer와 Tresidue는 각각 버퍼 딜레이와 남은 위상 차이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coarse TDC)의 해상도는 T1이며,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fine TDC)의 해상도는 (T1-T2)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시간-디지털 변환기(TDC)는 버니어 지연단의 딜레이 미스매치를 줄이기 위하여 다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첫 번째 방법으로서, 듀얼 지연 고정 루프(Dual DLL)를 이용하여 공정, 전압,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지연 셀의 딜레이를 제어하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fine TDC)에서 고해상도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지연 고정 루프(Dual DLL)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지연 고정 루프(Dual DLL)의 지연 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열 지연 고정 루프(Dual DLL)의 지연 셀은 모두 동일하며, 2개의 인버터와 n-타입의 MOS 버랙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전압 Vcont1과 Vcont2는 버니어 지연단의 지연 셀을 제어하게 된다. 위쪽의 지연 체인에서는 위상 검출기가 레퍼런스 클록과 N번째 지연 클록을 비교하여 Tref/N = T1의 지연(delay)을 얻을 수 있다. 아래쪽 체인에서는 위상 검출기가 레퍼런스 클록과 (N+1)번째 지연 클록을 비교하여 Tref/(N+1) = T2의 딜레이를 얻는다. 서로 다른 두 딜레이에 의하여 버니어 지연단의 해상도는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된다.
Figure pat00002
두 번째 방법으로서,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coarse TDC)와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fine TDC) 사이에, 복수 개의 nMOS 소자와 하나의 pMOS 소자로 구성된 N:1 멀티플렉서를 사용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하고 있는 N:1 멀티플렉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1 멀티플렉서를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coarse TDC)와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fine TDC) 사이에 구비할 수 있는데, OUT_b 노드와 입력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의 전하 공유를 피하기 위해 작은 풀업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coarse-fine 구조는 버퍼 체인의 출력을 버퍼 체인으로부터 버니어 지연단으로 보내기 위하여 2개의 2:1 멀티플렉서를 버니어 지연단의 각 단마다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위쪽 멀티플렉서의 팬 아웃과 아래쪽 멀티플렉서의 팬 아웃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딜레이 미스매치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구조에서는 버니어 지연단에 2:1 멀티플렉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딜레이 미스매치가 발생하지 않는다. N:1 멀티플렉서의 입력은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coarse TDC)의 각 버퍼 체인의 각 단의 출력이 된다. N:1 멀티플렉서의 선택 신호는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coarse TDC)의 출력을 이용하여 만든 디지털 로직에 의해 만들어진다. 그 디지털 로직은
Figure pat00003
의 로직 게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시간-디지털 변환기(TDC) 회로는 출력 코드를 결정하기 위해 플립플롭이나 아비터(arbiter) 회로를 사용한다. 센스앰프 플립플롭과 같은 기존의 플립플롭은 데이터와 클록의 전달 패스의 길이가 다르며, 그 결과 딜레이 미스매치가 발생한다. 또한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fine TDC)에서는 매우 작은 시간 차이를 측정하기 때문에 원치 않는 출력이 나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디지털 변환기(TDC)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비터 회로를 사용한다. 아비터는 두 신호의 입력에서 출력까지의 전달 경로가 같기 때문에 같은 딜레이를 가지며, 그 결과 시간-디지털 변환기(TDC)에서 아비터로 인한 딜레이 미스매치는 발생하지 않는다. 2개의 NAND 게이트로 구성된 래치는 다음 클록 에지까지 출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디지털 변환기(TDC)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시간-디지털 변환기(TDC) 회로는 Cadence Spectre를 이용하였고, 0.18u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할 수 있다. 우선,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coarse TDC)가 위상 차이를 받아 디지털화할 수 있다. 그리고 남은 위상 차이가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coarse TDC)의 해상도보다 작아지면, 멀티플렉서를 통해 버퍼 체인의 출력을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fine TDC)에 전달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지연 고정 루프(Dual DLL)의 모의실험 결과에서 각각 제어 전압 및 VCDL의 이득(gain)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듀얼 지연 고정 루프(Dual DLL)의 제어 전압은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fine TDC)의 버니어 지연단에 공급된다. 그리고 공정, 전압, 온도 변화에 상관없이 딜레이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준다. 전체 구조는 80ps의 해상도를 가지는 8비트의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coarse TDC)와 11.1ps의 해상도를 가지는 8비트의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fine TDC)로 되어 있다. 최대 검출 범위는 728.8ps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니어 지연단에서 두 가지의 다른 딜레이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INL과 DNL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fine TDC)의 해상도는 11.1㎰이고, INL은 ±0.29 LSB, DNL 은 +0.15 LSB에서 0.29 LSB로 측정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코어스-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coarse-fine TDC)를 제안하였으며, 버니어 지연단의 단점인 딜레이 미스매치를 줄이기 위하여, N:1 멀티플렉서와 듀얼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코어스-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coarse-fine TDC)는, 딜레이 미스매치를 줄임으로써, 공정, 전압, 온도 변화에 상관없이 일정한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다음 표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시간-디지털 변환기(TDC)의 성능을 요약한 것이다.
공정 CMOS 0.18 ㎛
입력 전압 728.8 ㎰
코어스 해상도 80 ㎰
파인 해상도 11.1 ㎰
INL 0.29 ~ +0.25
DNL 0.29 ~ +0.15
공급 전압 1.8V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oarse TDC: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
Fine TDC: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
Dual DLL: 듀얼 지연 고정 루프
MUX: 멀티플렉스

Claims (5)

  1.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Time-to-Digital Converter; TDC)에 있어서,

    (1) 직렬로 접속되는 N개의 버퍼 지연 체인을 포함하는 코어스(coarse) 시간-디지털 변환기; 및
    (2) 상기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연관된 코어스 스테이지에 연결되고, 버니어 지연단을 포함하는 파인(fine) 시간-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에서는 위상 차이를 버퍼 딜레이를 이용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남은 위상 차이를 상기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지연 셀의 딜레이를 제어하는 듀얼 지연 고정 루프(Dual DLL)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셀은,
    2개의 인버터 및 n-타입의 MOS 버랙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스 시간-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파인 시간-디지털 변환기 사이에 복수 개의 nMOS 소자와 하나의 pMOS 소자로 구성된 N:1 멀티플렉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출력 코드를 결정하는 아비터 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
KR1020100033060A 2010-04-11 2010-04-11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 KR20110113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060A KR20110113790A (ko) 2010-04-11 2010-04-11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060A KR20110113790A (ko) 2010-04-11 2010-04-11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790A true KR20110113790A (ko) 2011-10-19

Family

ID=4502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060A KR20110113790A (ko) 2010-04-11 2010-04-11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379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8972B1 (en) 2012-07-04 2013-12-3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nalog-to-digital signal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N103516367A (zh) * 2012-06-20 2014-01-15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一种时间数字转换器
CN103684437A (zh) * 2013-02-04 2014-03-26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延时链控制码自适应的快速延时锁定环路
CN103684467A (zh) * 2012-09-16 2014-03-26 复旦大学 一种两级时间数字转换器
US9124280B2 (en) 2013-06-14 2015-09-01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Time to digital converter
KR101957412B1 (ko) * 2017-12-06 2019-03-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새로운 버니어 지연선 디자인이 적용된 시간 디지털 변환기 및 보스트 회로 장치
KR102204827B1 (ko) * 2019-10-04 2021-01-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5ps 해상도를 갖는 펄스이동 시간 차 반복회로를 이용한 8비트 2단 시간-디지털 변환기
KR20230080866A (ko) * 2021-11-30 2023-06-07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증폭 피드백을 이용한 버니어 기반 시간-디지털 변환기 및 시간-디지털 변환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6367A (zh) * 2012-06-20 2014-01-15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一种时间数字转换器
CN103516367B (zh) * 2012-06-20 2016-09-28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一种时间数字转换器
US8618972B1 (en) 2012-07-04 2013-12-3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nalog-to-digital signal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N103532548A (zh) * 2012-07-04 2014-01-22 三星电机株式会社 模拟-数字信号转换方法及其装置
CN103684467A (zh) * 2012-09-16 2014-03-26 复旦大学 一种两级时间数字转换器
CN103684437A (zh) * 2013-02-04 2014-03-26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延时链控制码自适应的快速延时锁定环路
CN103684437B (zh) * 2013-02-04 2016-08-10 中国科学院电子学研究所 延时链控制码自适应的快速延时锁定环路
US9124280B2 (en) 2013-06-14 2015-09-01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Time to digital converter
KR101957412B1 (ko) * 2017-12-06 2019-03-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새로운 버니어 지연선 디자인이 적용된 시간 디지털 변환기 및 보스트 회로 장치
KR102204827B1 (ko) * 2019-10-04 2021-01-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5ps 해상도를 갖는 펄스이동 시간 차 반복회로를 이용한 8비트 2단 시간-디지털 변환기
KR20230080866A (ko) * 2021-11-30 2023-06-07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증폭 피드백을 이용한 버니어 기반 시간-디지털 변환기 및 시간-디지털 변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3790A (ko) 버니어 지연단을 이용한 시간-디지털 변환기
Christiansen An integrated high resolution CMOS timing generator based on an array of delay locked loops
US82193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delay chain
Wang et al. A multi-chain merged tapped delay line for high precision time-to-digital converters in FPGAs
Enomoto et al. A 16-bit 2.0-ps Resolution Two-Step TDC in 0.18-$\mu $ m CMOS Utilizing Pulse-Shrinking Fine Stage With Built-In Coarse Gain Calibration
Perktold et al. A fine time-resolution (≪ 3 ps-rms) time-to-digital converter for highly integrated designs
Wang et al. Anti-PVT-variation low-power time-to-digital converter design using 90-nm CMOS process
Szplet Time-to-digital converters
Perenzoni et al. Design and characterization of a 43.2-ps and PVT-resilient TDC for single-photon imaging arrays
Zhang et al. A high linearity TDC with a united-reference fractional counter for LiDAR
Zhang et al. High-resolution time-to-digital converters implemented on 40-, 28-, and 20-nm FPGAs
Bouyjou et al. A 32-channel 13-b ADC for space applications
Arvani et al. A reconfigurable 5-channel ring-oscillator-based TDC for direct time-of-flight 3D imaging
Parsakordasiabi et al. An efficient TDC using a dual-mode resource-saving method evaluated in a 28-nm FPGA
Yamaguchi et al. A CMOS flash TDC with 0.84–1.3 ps resolution using standard cells
Sesta et al. A novel sub-10 ps resolution TDC for CMOS SPAD array
Zhang et al. A ring-oscillator based multi-mode time-to-digital converter on Xilinx Kintex-7 FPGA
Yuan Metastability error correction for true single-phase clock dff with applications in vernier TDC
Kwiatkowski et al. Subpicosecond resolution time interval counter with multisampling wave union type B TDCs in 28 nm FPGA device
Russo et al. A 41 ps ASIC time-to-digital converter for physics experiments
US20120081141A1 (en) On-Chip Delay Measurement Through a Transistor Array
Kanoun et al. A 10-bit, 12 ps resolution CMOS time-to-digital converter dedicated to ultra-fast optical timing applications
US8055969B2 (en) Multi-strobe circuit
Kong et al. A 9-bit body-biased vernier ring time-to-digital converter in 65 nm CMOS technology
Jedari et al. A PVT resilient short-time measurement solution for on-chip t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