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672A -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 - Google Patents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672A
KR20110112672A KR1020100031919A KR20100031919A KR20110112672A KR 20110112672 A KR20110112672 A KR 20110112672A KR 1020100031919 A KR1020100031919 A KR 1020100031919A KR 20100031919 A KR20100031919 A KR 20100031919A KR 20110112672 A KR20110112672 A KR 20110112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tube
tape
wound
adhesive
adhesiv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철
박정후
Original Assignee
한기철
박정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기철, 박정후 filed Critical 한기철
Priority to KR102010003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2672A/ko
Publication of KR20110112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characterized by perforations in the adhesive tape

Landscapes

  • Adhesive Tape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의 코어튜브와,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접착제가 외측을 향하도록 코어튜브 상에 롤 형상으로 권취되는 테이프를 구비하는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에 있어서, 테이프에는, 코어튜브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테이프를 폭방향에 대해 복수 분할시키는 수직절단선이 마련되며, 수직절단선에 수직 교차된 상태로 코어튜브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형성되어, 테이프를 길이방향에 대해 복수 분할시키는 수평절단홈이 형성된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는, 테이프가 코어튜브에 권취된 상태에서, 코어튜브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수직절단선이 형성되며, 수직절단선에 수직 교차되게 수평절단홈을 형성한다. 코어튜브에 권취된 테이프의 최외측부분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에 대해 항상 복수개로 분할됨으로 인해 이물질을 부착한 후, 사용자가 이물질이 부착된 부분만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Adhesive tape cleaner}
본 발명은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의 먼지나 머리카락 등을 점착 제거하는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P(Polypropylene),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재질의 폴리머(Polymer)로 이루어진 청소포는 폴리머 자체의 정전기를 활용하여 머리카락이나 먼지를 흡착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청소포는 재질 자체의 정전기만으로 흡착시키는 바, 무거운 먼지나 부스러기의 흡착력이 약하여 청소를 깨끗이 하기 어렵다. 따라서, 근래에는 모재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접착제의 점착력을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점착식 크리너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점착식 크리너는 도 1과 같이 머리카락 및 먼지를 부착시키는 접착력을 갖는 접착테이프(1)가 롤 형으로 권취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접착테이프(1)를 자루(2)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착테이프(1)에는 횡방향으로 띄움식 절취선(3)이 형성되어, 머리카락 및 먼지가 접착된 면을 절단하여 벗겨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는, 상기 띄움식 절취선(3)을 횡방향에 대해서만 형성하여, 머리카락과 같이 길이가 긴 이물질이 상기 접착테이프(1)의 감김방향, 즉 종방향으로 부착된 경우, 상기 절취선(3)을 따라 절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종방향으로의 절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절취선(3)의 각 홈들이 띄움식으로 형성되어 절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물질이 부착된 테이프에 대해 제거가 필요한 부분만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절단 이탈할 수 있게 하는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통형의 코어튜브와,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상기 접착제가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코어튜브 상에 롤 형상으로 권취되는 테이프를 구비하는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에는, 상기 코어튜브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테이프를 폭방향에 대해 복수 분할시키는 수직절단선이 마련되며, 상기 수직절단선에 수직 교차된 상태로 상기 코어튜브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형성되어, 상기 테이프를 길이방향에 대해 복수 분할시키는 수평절단홈이 형성된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평절단홈은 테이퍼 진 형상으로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절단홈은 상기 코어튜브의 원주방향에 대해 한 쌍이 상호 180°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는, 테이프가 코어튜브에 권취된 상태에서, 코어튜브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수직절단선이 형성되며, 수직절단선에 수직 교차되게 수평절단홈을 형성한다. 따라서, 코어튜브에 권취된 테이프의 최외측부분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에 대해 항상 복수개로 분할됨으로 인해 이물질을 부착한 후, 제거가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이물질이 부착된 부분만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점착식 크리너를 나타낸 도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테이프의 펼침상태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는, 코어튜브(100), 테이프(2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코어튜브(100)는 상기 테이프(200)를 롤 형상으로 권취하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코어튜브(100)는 상기 테이프(200)를 권취한 상태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 또는 펄프재질로 제작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테이프(200)는 상기 코어튜브(100) 상에 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상기 코어튜브(100)를 회전시 대응되게 회전하면서, 바닥에 있는 먼지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부착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200)는 부직포류나 펄프류로 제작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200)의 일면에는 상기 이물질을 부착되게 하도록 접착제(210)가 도포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210)는 아크릴산(Acrylic acid)을 사용하거나, 아크릴계 점착제(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공지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일면에 상기 접착제(210)가 도포된 상기 테이프(200)는 상기 접착제(210)를 외측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로 상기 코어튜브(100)에 권취된다. 여기서, 상기 코어튜브(100)에 권취된 상기 테이프(200)에는 상기 코어튜브(100)에 권취되는 방향, 즉 상기 테이프(200)의 길이방향 중심 축 선상으로 수직절단선(30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절단선(300)은 상기 코어튜브(100)에 권취된 상기 테이프(200)의 최외층으로부터 상기 코어튜브(100) 외측면에 접촉되는 최내층부분까지 연결 상태로 형성된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절단선(300)이 하나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5와 같이 상기 코어튜브(100)에 권취된 상기 테이프(200)의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같이, 상기 수직절단선(300)에 의해 상기 코어튜브(100)에 권취된 상기 테이프(200)는 폭방향에 대해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수직절단선(300)이 1개 형성될 경우, 상기 테이프(200)의 폭방향에 대해 2개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수직절단선(300)이 2개 형성될 경우, 상기 테이프(200)의 폭방향에 대해 3개로 형성되는 식으로 분할된다. 그러나, 상기 수직절단선(300)이 2개 이상 형성될 경우, 이물질을 부착시킨 후 제거가 필요할 경우 분할된 상기 테이프(100)를 여러 개 분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1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튜브(100)에 권취된 상기 테이프(200)에는 상기 수직절단선(300)에 수직 교차되게 수평절단홈(40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수평절단홈(400)은 상기 테이프(200)를 상기 코어튜브(100)에 권취한 상태에서, 상기 코어튜브(100)에 권취되는 방향, 즉 상기 코어튜브(100)의 원주방향에 대해 상호 이격되게 복수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절단홈(400)은 상기 코어튜브(100)에 권취된 상기 테이프(200)의 최외층으로부터 상기 코어튜브(100) 외측면에 접촉되는 최내층부분까지 연결 상태로 요입 형성되며, 상기 수평절단홈(400)은 테이퍼 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수평절단홈(400)이 테이퍼 진 형상으로 요입 형성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테이프(2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상기 수평절단홈(400)에 의해 상기 코어튜브(100)에 권취되는 상기 테이프(200)는 길이방향에 대해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할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절단홈(400)은 상기 코어튜브(100)의 원주방향에 대해 상호 180°간격으로 한 쌍이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어튜브(100)의 권취된 상태의 상기 테이프(200)를 최외측부분에서 항상 길이방향에 대해 2개씩 분할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수평절단홈(400)도 앞서 설명한 상기 수직절단선(3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코어튜브(100)에 권취된 상기 테이프(200)의 원주방향에 대해 상호 이격되게 2개를 초과하여 형성될 경우, 이물질을 부착시킨 후 제거가 필요할 경우 분할된 상기 테이프(100)를 여러 개 분리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상호 이격되게 2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는, 상기 테이프(200)가 상기 코어튜브(100)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튜브(100)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절단선(300)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절단선(300)에 수직 교차되게 수평절단홈(400)을 형성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상기 코어튜브(100)에 권취된 상기 테이프(200)의 최외측부분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에 대해 항상 복수개로 분할됨으로 인해 이물질을 부착한 후, 제거가 필요할 경우 사용자가 이물질이 부착된 부분만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코어튜브 200: 테이프
300: 수직절단선 400: 수평절단홈

Claims (3)

  1. 원통형의 코어튜브와,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상기 접착제가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코어튜브 상에 롤 형상으로 권취되는 테이프를 구비하는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에는,
    상기 코어튜브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테이프를 폭방향에 대해 복수 분할시키는 수직절단선이 마련되며,
    상기 수직절단선에 수직 교차된 상태로 상기 코어튜브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형성되어, 상기 테이프를 길이방향에 대해 복수 분할시키는 수평절단홈이 형성된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절단홈은 테이퍼 진 형상으로 요입 형성된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절단홈은 상기 코어튜브의 원주방향에 대해 한 쌍이 상호 180°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
KR1020100031919A 2010-04-07 2010-04-07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 KR20110112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919A KR20110112672A (ko) 2010-04-07 2010-04-07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919A KR20110112672A (ko) 2010-04-07 2010-04-07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672A true KR20110112672A (ko) 2011-10-13

Family

ID=4502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919A KR20110112672A (ko) 2010-04-07 2010-04-07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26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0640A (ko) * 2015-05-14 2015-06-03 이수용 이물질 제거용 점착 롤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06079A (ko) 2014-07-08 2016-01-18 주식회사 탑세기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82358Y1 (ko) * 2015-07-28 2017-01-13 이주희 이미용용 롤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079A (ko) 2014-07-08 2016-01-18 주식회사 탑세기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60640A (ko) * 2015-05-14 2015-06-03 이수용 이물질 제거용 점착 롤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0482358Y1 (ko) * 2015-07-28 2017-01-13 이주희 이미용용 롤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726B1 (ko) 테이프 클리너
JP2016527012A (ja) テープクリーナ
US20130283558A1 (en) Mop
KR20110112672A (ko) 점착식 테이프 크리너
JP2006095154A (ja) 清掃用シート
JP2018009797A (ja) 巻尺テープ用クリーナー
JP3169356U (ja) 粘着テープロール用剥離切断補助具
KR102557950B1 (ko) 테이프 클리너용 점착테이프 롤을 포함하는 테이프 클리너
KR102646226B1 (ko) 점착테이프의 부분 제거가 가능한 롤 클리너
KR20220000325U (ko) 테이프
JP6718165B1 (ja) 清掃具
KR200470016Y1 (ko) 회전 밀대용 벨크로 패드
KR200465892Y1 (ko) 사용이 편리한 접착테이프
JP2018033499A (ja) 洗浄具
KR20220016560A (ko) 다회용 손수건
JP3863910B2 (ja) 床材
JP5823885B2 (ja) 清掃具
KR20220077786A (ko) 보호구가 포함된 클리너용 테이프
JP3175712U (ja) 接着固定手段
KR200316709Y1 (ko) 먼지 제거기
JP3195980U (ja) たわし及びたわし連結体
KR20150143033A (ko) 테이프절취가 용이하도록 절취선 보호구가 구비된 롤테이프
KR20130002793U (ko) 접착테이프 홀더
JP3161903U (ja) 粘着テープカッター用補助具および粘着テープディスペンサー用補助具
JP2006130276A (ja) 粘着テープクリー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