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1322A - 연속 증기 발생기의 제조 방법 및 연속 증기 발생기 - Google Patents

연속 증기 발생기의 제조 방법 및 연속 증기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1322A
KR20110111322A KR1020117020224A KR20117020224A KR20110111322A KR 20110111322 A KR20110111322 A KR 20110111322A KR 1020117020224 A KR1020117020224 A KR 1020117020224A KR 20117020224 A KR20117020224 A KR 20117020224A KR 20110111322 A KR20110111322 A KR 20110111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enerator
continuous steam
pipe
classification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0905B1 (ko
Inventor
루돌프 크랄
요아힘 프랑케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10111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04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and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use of special steel allo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101Tubes having fins or ribs
    • F22B37/102Walls built-up from finned 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증기 압력에서 작동될 수 있는 연속 증기 발생기(1)를 제조하는 적절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방법은 비용 효율적이고 간단한 기술을 포함한다. 이는 제 1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다수의 파이프 세그먼트(18)로 달성되며 증기 발생기 파이프(12)를 형성하도록 설계되고 다수의 모듈(17)로 조합된다. 각각의 모듈(17)은 부가 모듈(17)을 연결하도록 설계되는 다수의 연결 지점에서 각각의 어댑터(19)가 구비되고 상기 어댑터는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된다.

Description

연속 증기 발생기의 제조 방법 및 연속 증기 발생기 {METHOD FOR PRODUCING A CONTINUOUS STEAM GENERATOR AND CONTINUOUS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기밀 방식으로 서로 용접되는 증기 발생기 파이프로 형성되는 주위 벽을 가지는, 연속 증기 발생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벽은 작업장에서 모듈로 미리 제조되며, 상기 모듈은 최종 조립 동안 서로 용접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같은 방법에 의해 특히 적절히 제조될 수 있는 연속 증기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연속 증기 발생기에서, 함께 연소 챔버의 기밀 주위 벽을 형성하는, 다수의 증기 발생기 파이프는 하나의 통로에 있는 증기 발생기 파이프에서 유체 매체를 완전히 증발시키기 위해 가열된다. 유체 매체-일반적으로 물은 증발 후 증기 발생기 파이프 다음에 연결되는 과열기 파이프로 공급되어 과열된다. 연속 증기 발생기의 증기 발생기 파이프는 수직하게 또는 나선 방식으로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자연 순환 증기 발생기와 비교하면, 연속 증기 압력이 물의 임계 압력(Pkrit = 221 bar) 위의 생 증기 압력을 위해 설계될 수 있도록, 연속 증기 발생기의 압력이 제한되지 않는데, 물의 임계 압력에서, 물과 증기 상 사이를 차별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상 분리가 가능하지 않다. 높은 생 증기 압력은 높은 수준의 열 효율을 선호하여 화석 연료 발전소로부터의 CO2 배출을 낮추게 된다.
예를 들면 100MWel 이상의 설계 출력을 가진 연속 증기 발생기용, 대형 연소 챔버의 주위 벽은 수송 이유 때문에 작업장에서 전체가 제조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최종 조립이 실제 배치 장소에서 요구되며, 최종 조립 공정 동안 연소 챔버의 주위 벽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부품들 또는 심지어 모듈들이 현장에서 서로 직접 용접된다. 제조를 용이하게 하도록, 모듈 구조물이 제공될 있으며 주위 벽이 모듈에서 미리 제조되고 최종 조립 동안 서로 용접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물은 상대적으로 높은 열 및 기계적 부하를 받는 재료를 이용할 때 용접시 후속 열 처리가 필수적이 되므로, 이용될 수 있는 재료의 선택이 상당히 제한된다.
용접 시임의 후속 열 처리는 상당한 기술적 비용이 소요되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최종 조립 동안 현장에서가 아닌 작업장에서만 착수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까지 연속 증기 발생기의 대형 연소 챔버용 주위 벽을 제조할 때 용접 시임의 후속 열 처리를 요구하지 않는 재료만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효율을 증가시켜 화석 연료 발전소의 CO2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특히 높은 생 증기 압력 및 온도용으로 연속 증기 발생기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속 증기 발생기의 제조는 높은 증기 온도 및 이에 따른 높은 재료 온도에서 높은 열 유동 밀도에 의한 부하를 견디는 재료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는 용접 시임의 후속 열 처리를 요구하는 재료이다.
이러한 재료에 대한 가능한 선택예는 니켈 기재 재료이며 니켈 기재 재료는 높은 열 부하를 견디는 능력에도 불구하고 용접 시임의 후속 열 처리가 요구되지 않으며 니켈 기재 재료의 이용은 제조가 상당히 복잡하여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 효율적이고 간단한 기술을 포함하여 높은 증기 압력으로 작동될 수 있는 연속 증기 발생기를 제조하기 위해 상술된 타입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제조를 위한 적절한 연속 증기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에 대해, 이러한 목적은 증기 발생기 파이프를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고 제 1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다수의 파이프 세그먼트가 다수의 모듈로 조합되고, 각각의 모듈은 추가 모듈로의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다수의 연결 지점에 어댑터가 제공되고, 상기 모듈은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연속 증기 발생기를 제조할 때 기술적 배치 및 비용이 낮게 유지할 수 있는 고려를 기초로 하며, 연속 증기 발생기는 상이하게 처리되는 고가의 니켈 기재 재료가 아닌 종래의 재료의 결과적인 처리를 위해 설계된다. 제조되는 연속 증기 발생기는 높은 생 증기 압력 및 온도에 의한 부하에 대해 적절한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주요한 고려는 주위 벽을 형성하는 증기 발생기 파이프의 필수적인 부품이 이러한 목적에 적절한 재료로 제조된다는 사실에 의해 주어진다.
여전히 비용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연속 증기 발생기는 작업장에서 특히 많은 정도로 미리 제조되어, 용접 시임을 위해 요구되는 특히 소정의 후속 열 처리가 상대적으로 간단한 상태로 그리고 작업장에서 이용가능한 다수의 수단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제조된 모듈은 높은 증기 압력 및 온도에 적절한 재료의 파이프 세그먼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에 대해, 적절한 방식으로 미리 제조되는, 모듈을 최종 조립하여, 결론적으로 후속 처리에 대한 요구를 피할 수 있도록, 모듈에는 용접 시임의 후속 열 처리 없이 최종 조립 동안 용접을 허용하는, 대응하는 어댑터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파이프 세그먼트에 비해, 어댑터는 대응하는 상이한 특징을 가진 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유용한 실시예가 종속항에 제시된다.
한편으로는 파이프 세그먼트 및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재료로 형성된 어댑터 또는 어댑터로 형성된 어댑터 유닛용 재료가 용접 시임의 후속 열 처리가 요구되는 지를 기준과 관련하여 특별히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료가 용접 시임의 후속적인 열 처리를 요구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특히 적절한 기준은 소위 비커스 굳기(Vickers hardness)(DIN 50 133)이다.
따라서 높은 열 유동 밀도에 의한 높은 수준의 부하를 받는 연속 증기 발생기의 연소 챔버 벽 부분은 제 1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며, 제 1 재료 분류의 비커스 굳기는 낮은 수준의 부하를 받는 연소 챔버 벽 부분의 비커스 굳기 보다 높다. 연소 챔버 벽 부분은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고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의 비커스 굳기 HV10은 약 350 내지 400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 매체의 유동에 평행하게 연결된 인접한 증기 발생기 파이프는 특히 증기 발생기 파이프로의 높은 비열 입력을 보장하도록 핀을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핀은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하다. 증명된 바와 같이, 핀이 유동이 없는 연속 증기 발생기의 부품이기 때문에, 핀은 내부 압력의 부족으로 인한 과도한 부하를 받지 않아, 핀에 관련된 재료 사양은 비교적 그다지 엄격하지 않다. 이러한 엄격하지 않은 재료 사양은 또한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에 의해 충족된다. 연속 증기 발생기의 파이프가 수직일 때, 이 같은 핀은 또한 개별 모듈이 최종 조립 동안 수평 방향으로 어떠한 문제점도 없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반폭의 핀은 작업자에서 다른 모듈로의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지점에서 모듈로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최종 조립 동안 연결 목적을 위해 이용된다.
개별 모듈은 다수의 어댑터 및 필요한 경우 부가 벤딩 커플링을 포함하는 어댑터 유닛을 경유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면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어댑터는 작업장에서 제 1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파이프 세그먼트로 용접된다. 최종 조립 동안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두 개의 파이프 세그먼트는 예를 들면 직접 또는 벤딩 커플링에 의해 연결되며, 벤딩 커플링은 또한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된다. 최종 조립 동안 적용되는 용접 시임은 후속 열 처리를 겪을 필요가 없으며, 이는 이용된 재료가 후속 열 처리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연속 증기 발생기에 대해 상기 목적은 유체 매체 측부 상에서 적어도 일부의 증기 발생기 파이프 각각이 차례로(one behind the other) 연결되는 다수의 파이프 세그먼트로 형성되고 유동 방향으로 차례로(one after the other) 연결되는 증기 발생기 파이프의 파이프 세그먼트는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어댑터 유닛을 경유하여 각각 연결된다.
어댑터 유닛은 다수의 어댑터 및 소정의 경우 벤딩 커플링을 포함하며 추가 부품으로 어댑터를 연결하기 위해 적용되는 용접 시임이 파이프 세그먼트에 의해 제공된 벽면 외부에 있도록 배치된다.
인접한 증기 발생기 파이프는 핀을 경유하여 기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핀은 또한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으로 달성되는 장점은 특히 연소 챔버의 주위 벽, 즉 한편으로는 파이프 세그먼트 및 다른 한편으로는 어댑터 및 어댑터로 형성되는 어댑터 유닛에 대해 상이한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증기 발생기 파이프의 각각의 열 부하로 조정되는 특징으로, 높은 증기 압력용 연속 증기 발생기의 제조 방법은 특히 간단하게 될 수 있다. 재료의 상이한 타입의 이용 및 조합은 증기 발생기 파이프가 모듈을 형성하도록 용접되고 후속 열 처리되는 제 1 재료 분류의 재료로 작업장에서 미리 제조되고 후속 열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어댑터가 조립 동안 다른 모듈로의 연결이 제공되는 지점에 제공된다. 높은 열 유동 밀도로 노출되는 영역 외부에 이러한 어댑터의 적절한 배치는 재료가 과도한 부하를 받는 것을 방지한다.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 만이 최종 조립 동안 용접되어야 하기 때문에, 조립 동안 개별 모듈을 서로 용접하여 형성된 용접 시임은 후속 열 처리가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일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수직으로 배치된 증발기 파이프를 구비한 연속 증기 발생기의 개략도이며,
도 2는 어댑터 유닛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파이프 세그먼트이며,
도 3은 어댑터 유닛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파이프 세그먼트를 보여주며,
도 4는 어댑터 유닛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파이프 세그먼트를 보여주며,
도 5는 핀을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는 증발기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동일한 부품은 도면 모두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었다.
도 1은 연속 증기 발생기(1)의 개략도로서, 주위 벽(4)에 의해 둘러 싸이고 연소 챔버를 형성하는 수직 가스 덕트를 보여주며 하단부에 벨형 베이스(6)를 구비한다. 베이스(6)는 재를 위한 유출 개구(8)를 둘러싼다.
가스 덕트의 영역(A)에서, 하나 만이 도시된 다수의 버너(10)는 수직으로 배치된 증기 발생기 파이프(12)에 형성된 연소 챔버의 주위 벽에 부착된다. 수직으로 배치된 증기 발생기 파이프(12)는 핀(14)을 경유하여 기밀 주위 벽(4)에 서로 용접된다.
연속 증기 발생기(1)의 작동 동안 화석 연료의 연소 동안 연소 챔버에 불꽃(16) 본체가 형성된다. 이러한 불꽃(16)의 본체는 연속 증기 발생기의 작동 동안 연소 증기 발생기(1)의 A로 표시된 영역을 매우 높은 열 유동 밀도에 노출된다. 불꽃(16)의 본체는 버너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수직 방향으로 감소하는, 온도 프로파일을 가진다. 영역(A) 아래 불꽃으로부터 원격에 있는 영역(B)이 있으며 영역(A) 위에는 불꽃으로부터 또한 원격에 있는 추가의 영역(C)이 있으며, 두 영역 모두 결과적인 온도 프로파일에 의해 열의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에 노출된다.
연속 증기 발생기(1)는 높은 생 증기 압력 및 온도에서의 작동되도록 적절하게 설계되어 심지어 매우 제한된 제조 비용을 가진 특히 높은 수준의 효율에 적절하게 설계된다. 이를 위해 증기 발생기 파이프(12), 특히 높은 열 유동 밀도의 영역 및 높은 재료 온도에서, 높은 열 유동 밀도에 의한 부하에 견디는 재료로 제조된다. 제조 지출 및 비용을 동시에 낮게 유지하도록, 연소 챔버의 주위 벽(4)은 작업장에서 모듈(17)로 미리 제조된다. 작업장에서 모듈(17)의 미리 제조되는 동안 다수의 수단이 추가 지출 없이 이용가능하다는 사실로 특별히 이용하게 되어, 특히 용접 시임의 후속 열 처리 동안 관련된 지출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단의 열 부하를 받는 재료를 특히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듈(17)을 제조하기 위해 특히 높은 수준의 열 부하를 받는, 제 1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완성 파이프 세그먼트(18)가 서로 용접된다. 파이프 세그먼트(18)는 최종 조립 후 각각의 유체 매체 측부 상에서 차례로 연결되는 다수의 파이프 세그먼트(18)가 증기 발생기 파이프(12)를 형성하도록 선택된다.
모듈(17)의 최종 조립 동안 후속적인 열 처리를 피하기 위해, 상기 모듈(17)은 여전히 작업장에서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된 어댑터(19)를 구비한 추가의 모듈(17)로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다.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는 후속 열 처리 없이 용접에 적절하도록 선택된다. 각각의 할당된 파이프 세그먼트(18)에 대한 부착 동안- 또한 여전히 작업장에서-, 각각의 파이프 세그머트(18)를 형성하는 재료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용접 시임은 후속적으로 열 처리된다.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는 제 1 재료 분류의 재료 보다 더 낮은 비커스 굳기를 가진다.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된 부품 만이 후속 열 처리가 요구되지 않도록 서로 연결되면서, 현장에서의 최종 조립 동안 개별 모듈(17)은 어댑터(19)를 경유하여 각각 수평 조인트(20) 및 수직 조인트(21)에서 서로 최종적으로 용접된다.
수직 조인트(21)에서 서로 용접되는 다수의 어댑터(19)로 형성되는 어댑터 유닛(22)을 경유하여 수평 조인트(20) 및 핀(14)을 경유하여 연결된다.
도 2는 불꽃에 근접한 영역(A)에서 이용하기에 특히 적절한, 수평 조인트(20)에서 변화 영역의 전형적인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열 유동 밀도가 특히 높은, 영역(A)에서 이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두 개의 증기 발생 파이프(12)는 유동 방향으로 어댑터 유닛(22)을 경유하여 연결된다. 어댑터 유닛(22)은 두 개의 어댑터(19) 및 벤딩 커플링(23)을 포함하고 각각은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된다. 제 1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두 개의 커넥터(24)가 증기 발생 파이프(12)로 어댑터(22)를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파이프 세그먼트(18)와 커넥터(24) 사이의 용접 시임(25)은 파이프 세그먼트(18)의 재료의 특성에 의해 후속 열 처리를 요구하기 때문에, 작업장에서 수행되며, 커넥터(24)와 어댑터(19) 사이의 용접 시임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어댑터(19)와 벤딩 커플링(23)의 재료 특성에 의해 후속하는 열 처리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어댑터(19)와 한편으로는 벤딩 커플링(23) 사이의 용접 시임(27)이 최종 조립 동안 수행될 수 있다.
핀(14)은 유체 매체로부터 내부 압력을 받지 않아 핀이 영역(A)에 있는 경우 조차,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핀(14)들 사이의 용접 시임(28)은 최종 조립 동안 어떠한 문제점도 없이 실행될 수 있다.
도 3은 또한 영역(A)에서 이용될 수 있는, 어댑터 유닛(22)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며,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두 개의 어댑터(19)를 포함한다. 파이프 세그먼트(18)가 모듈(17)을 형성하도록 조합되는 파이프 세그먼트(18)에 의해 형성된 표면으로부터 만곡되도록 파이프 세그먼트(18)는 최종 조립 동안 용접이 제공되는 지점에서 벤딩된다. 따라서 개별 커넥터(24)는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예가 요구되지 않는다. 두 개의 어댑터(19)들 사이의 용접 시임(27)이 최종 조립 동안 실행될 수 있는 동안, 후속 열 처리가 요구되기 때문에 파이프 세그먼트(18)와 어댑터(19) 사이의 용접 시임(26)은 작업장에서 실행된다. 유체 매체로부터 내부 압력의 부족이 후속 열 처리를 요구하지 않는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핀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핀(14)은 또한 최종 조립 동안 용접 시임(28)에서 어떠한 문제점도 없이 여기서 서로 용접될 수 있다.
도 4는 영역(B 및 C)에 부착될 수 있는, 어댑터 유닛(22)을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파이프 세그먼트(18)를 보여준다. 어댑터 유닛(22)은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두 개의 어댑터(19)를 포함한다. 파이프 세그먼트(18)와 어댑터(19) 사이의 용접 시임(26)은 작업장에서 실행되며, 후속 열 처리를 요구하지 않는 제 2 재료 분류의 두 개의 재료들 사이에 있기 때문에, 용접 시임(27)은 최종 조립 동안 실행될 수 있다. 불꽃으로부터 원격에 있는 영역(B 및 C)에서 열 입력이 낮고 벽의 실제 평면에서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부품의 배열이 허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어댑터 유닛(22)은 어댑터(19)가 파이프 세그먼트(18)에 의해 제공되는 벽면 외부의 평면에 서로 용접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도 5는 핀(14)을 경유하여 함께 연결되고 증기 발생기 파이프(12)를 형성하는, 모듈(17)로 조합되는 파이프 세그먼트(18)를 통과하는 단면을 보여준다. 증기 발생기 파이프(12)는 제 1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반면, 핀(14)은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된다. 용접 시임(29)이 증기 발생기 파이프(12)의 재료 특성에 의한 후속 열 처리를 요구하기 때문에, 증기 발생기 파이프(12) 및 핀(14) 사이의 용접 시임(29)은 작업장에서 수행된다. 비교하면, 요접 시임(30)이 후속 열 처리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용접 시임(30)을 경유하여 두 개의 모듈(17)이 수직 조인트(21)에서 서로 연결되는 용접 시임(30)은 최종 조립 동안 실행될 수 있다. 최종 조립 동안 두 개의 모듈(17)은 반폭의 핀(13)을 경유하여 수직 조인트(21)에서 서로 용접된다.

Claims (7)

  1. 연속 증기 발생기(1)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기밀 방식으로 서로 용접되는 증기 발생기 파이프(12)로 형성되는 주위 벽(4), 제 1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고 다수의 모듈(17)로 조합되는 상기 증기 발생기 파이프(12)를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다수의 파이프 세그먼트(18)를 가지며, 상기 다수의 모듈(17) 각각에는 추가 모듈(17)로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다수의 연결 지점에서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어댑터(19)가 각각 제공되며,
    상기 다수의 파이프 세그먼트(18)는 상기 다수의 모듈(17)로 조합되어 상기 다수의 모듈(17) 각각이 각각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표면으로부터 각각의 어댑터(19)가 만곡되어 두 개의 인접한 모듈(17)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상기 어댑터(19)가 각각의 상기 표면에 대해 오프셋되는 평면에서 서로 용접될 수 있는,
    연속 증기 발생기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재료 분류의 재료는 상기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 보다 더 높은 비커스 굳기를 가지는,
    연속 증기 발생기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증기 발생기 파이프(12)는 핀(14)을 경유하여 기밀 방식으로 서로 용접되고, 상기 핀(14)은 상기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연속 증기 발생기 제조 방법.
  4. 기밀 방식으로 서로 용접되고 유체 매체가 통과되도록 평행하게 연결되는 증기 발생기 파이프(12)로 형성된 주위 벽을 구비하는 연속 증기 발생기(1)로서,
    상기 증기 발생기 파이프(12)의 적어도 일부가 유체 매체 측부 상에 차례로 연결되고 1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다수의 파이프 세그먼트(18)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증기 발생기 파이프(12)의 다수의 파이프 세그먼트(18)가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어댑터 유닛(22)을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는 유동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며,
    상기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다수의 파이프 세그먼트(18)에 의해 제공되는 벽면으로부터 외부로 만곡되는 다수의 어댑터(19)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어댑터 유닛(22)이 배치되어 상기 어댑터 유닛(22)의 두 개의 어댑터(19)가 서로 연결되도록 적용되는 용접 시임이 상기 다수의 파이프 세그먼트(18)에 의해 제공되는 벽면 외부에 있는,
    연속 증기 발생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재료 분류의 재료는 상기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 보다 더 높은 비커스 굳기를 가지는,
    연속 증기 발생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수직 배관을 포함하는 연소 챔버 벽을 더 포함하는,
    연속 증기 발생기.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증기 발생기 파이프(12)가 핀(14)을 경유하여 기밀 방식으로 서로 용접되고, 상기 핀(14)이 제 2 재료 분류의 재료로 제조되는,
    연속 증기 발생기.
KR1020117020224A 2002-12-02 2003-11-03 연속 증기 발생기의 제조 방법 및 연속 증기 발생기 KR101260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26797A EP1429073A1 (de) 2002-12-02 2002-12-02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und Durchlaufdampferzeuger
EP02026797.7 2002-12-02
PCT/EP2003/012250 WO2004051142A1 (de) 2002-12-02 2003-11-03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und durchlaufdampferzeug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993A Division KR20050086899A (ko) 2002-12-02 2003-11-03 연속 증기 발생기의 제조 방법 및 연속 증기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322A true KR20110111322A (ko) 2011-10-10
KR101260905B1 KR101260905B1 (ko) 2013-05-06

Family

ID=323195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993A KR20050086899A (ko) 2002-12-02 2003-11-03 연속 증기 발생기의 제조 방법 및 연속 증기 발생기
KR1020117020224A KR101260905B1 (ko) 2002-12-02 2003-11-03 연속 증기 발생기의 제조 방법 및 연속 증기 발생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993A KR20050086899A (ko) 2002-12-02 2003-11-03 연속 증기 발생기의 제조 방법 및 연속 증기 발생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2) EP1429073A1 (ko)
JP (2) JP2006508321A (ko)
KR (2) KR20050086899A (ko)
CN (1) CN100354564C (ko)
AR (1) AR042147A1 (ko)
AU (1) AU2003278171B2 (ko)
BR (1) BR0316974A (ko)
CA (1) CA2507821C (ko)
DK (1) DK1570208T3 (ko)
ES (1) ES2402100T3 (ko)
MX (1) MXPA05005849A (ko)
NO (1) NO20053238D0 (ko)
PL (1) PL206759B1 (ko)
RU (1) RU2317484C2 (ko)
TW (1) TWI292808B (ko)
WO (1) WO20040511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6268B2 (en) 2007-10-01 2012-01-17 Riley Power Inc. Municipal solid waste fuel steam generator with waterwall furnace platens
EP2119880A1 (de) 2008-02-15 2009-11-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nfahren eines Durchdampferzeugers
DE102008047784A1 (de) 2008-07-02 2010-01-07 Hitachi Power Europe Gmbh Membranwand eines Großdampferzeugers
DE102008037085B3 (de) 2008-08-08 2009-08-06 Alstom Technology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ampferzeuger-Rohrwänden bestehend aus überwiegend 9-12% chromhaltigen, martensitischen Stählen
CN102607008B (zh) * 2012-02-06 2013-10-23 上海锅炉厂有限公司 一种超超临界塔式锅炉水冷壁螺旋段上部材料选择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14175A (fr) * 1962-01-23 1963-01-04 Cloisons étanches ou suffisamment étanches pour chambres d'échanges thermiques
DE1246761B (de) * 1962-03-08 1967-08-10 Babcock & Wilcox Dampfkessel W Flossenrohr fuer Rohrwaende, insbesondere von Dampferzeugern
FR1332576A (fr) * 1962-04-17 1963-07-19 Fives Lille Cail Perfectionnements à la réalisation de panneaux tubulaires de chaudières
BE759112A (fr) * 1969-11-18 1971-04-30 Babcock & Wilcox Co Perfectionnements aux ecrans de tubes
US4041907A (en) * 1976-08-02 1977-08-16 Combustion Engineering, Inc. Spacer arrangement for steam generator
JPH08334187A (ja) * 1995-06-07 1996-12-17 Mitsubishi Heavy Ind Ltd 炉壁管の補修方法
JP3926932B2 (ja) 1998-09-30 2007-06-06 株式会社東芝 給水加熱器の組立方法
US6321691B1 (en) * 1999-01-14 2001-11-27 The Babcock & Wilcox Company Oxidation resistant low alloy attachments for boiler components
JP2001324103A (ja) * 2000-05-15 2001-11-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ボイラ炉壁パネル製造方法
CN2466509Y (zh) * 2001-02-27 2001-12-19 天津宝成集团有限公司 环形锅筒立式水管锅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13671A (en) 2004-08-01
PL206759B1 (pl) 2010-09-30
KR101260905B1 (ko) 2013-05-06
WO2004051142A1 (de) 2004-06-17
AR042147A1 (es) 2005-06-08
ES2402100T3 (es) 2013-04-29
AU2003278171B2 (en) 2008-11-20
EP1429073A1 (de) 2004-06-16
DK1570208T3 (da) 2013-03-11
CN1732357A (zh) 2006-02-08
MXPA05005849A (es) 2005-08-26
BR0316974A (pt) 2005-10-25
CA2507821A1 (en) 2004-06-17
EP1570208A1 (de) 2005-09-07
KR20050086899A (ko) 2005-08-30
PL375591A1 (en) 2005-11-28
AU2003278171A1 (en) 2004-06-23
NO20053238L (no) 2005-07-01
TWI292808B (en) 2008-01-21
RU2005120741A (ru) 2006-03-20
JP4901778B2 (ja) 2012-03-21
RU2317484C2 (ru) 2008-02-20
CA2507821C (en) 2011-07-05
EP1570208B1 (de) 2012-12-26
NO20053238D0 (no) 2005-07-01
JP2006508321A (ja) 2006-03-09
JP2008134053A (ja) 2008-06-12
CN100354564C (zh)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905B1 (ko) 연속 증기 발생기의 제조 방법 및 연속 증기 발생기
US59147A (en) Improvement in steam-generators
EP0791158B1 (en) Furnace superheater and a fluidized bed reactor provided with a furnace superheater
CZ386697A3 (cs) Blokový parní kotel o jednotné konstrukci
US486017A (en) Steam-boiler
US84607A (en) Improvement in steam-generators
US461454A (en) Steam-generator
KR100694581B1 (ko) 화실 경판과 그 가공 방법
US761719A (en) Steam-generator.
US601485A (en) Island
US338805A (en) Steam-boiler
US414297A (en) Steam-generator
US351652A (en) Steam-boiler and furnace
US602501A (en) Water-tube boiler
US165690A (en) Improvement in syeaivj-boiler furnaces
US676485A (en) Water-tube boiler.
US111159A (en) Improvement in steam-generators
US1290096A (en) Water-tube boiler.
US341048A (en) Fire-arch for boilers
US615458A (en) Island
US483905A (en) Feed-water heater and circulating system
US233624A (en) Steam-generator
US274824A (en) Sectional steam-generator
US541539A (en) Steam-generator
US759463A (en) Water-tube bo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