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1116A -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1116A
KR20110111116A KR1020100030519A KR20100030519A KR20110111116A KR 20110111116 A KR20110111116 A KR 20110111116A KR 1020100030519 A KR1020100030519 A KR 1020100030519A KR 20100030519 A KR20100030519 A KR 20100030519A KR 20110111116 A KR20110111116 A KR 20110111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shielding film
fixture
heigh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545B1 (ko
Inventor
허영구
조미호
허다솜
허채헌
Original Assignee
(주) 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0273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11111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원 filed Critical (주) 시원
Priority to KR1020100030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54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1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42Details of the shape consisting of two h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having a cylindrical implant connec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100)는 픽스츄어에 나사결합되고 픽스츄어와 치조골 주변에 새로운 골이 이식되는 원하는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픽스츄어로부터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차폐막을 설치하기 위한 하부몸체(110) 및 하부몸체(110)에 나사결합되고 하부몸체(110)에 실장되는 차폐막을 고정하기 위한 상부몸체(150)를 포함한다. 하부몸체(110)는 일체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뒤집어진 원추모양의 몸체부(111), 긴 원기둥모양의 하부수결합부(112) 및 짧은 원기둥모양의 상부수결합부(113)로 구성되고, 원추모양의 몸체부(111)는 픽스츄어의 안에 완전히 들어가는 매몰원추면(111a) 및 픽스츄어의 밖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노출원추면(111b)을 갖는다.

Description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ABUTMENT FOR HOLDING BARRIER MEMBRANE}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치조골의 결손 정도에 맞게 임플란트에 필요한 골이식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상실된 치아를 대신하는 것으로, 치조골에 식립되는 치근에 해당하는 픽스츄어, 픽스츄어 위로 잇몸에 노출 또는 비노출되게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 위에 결합되는 인공치아로 나누어진다. 성공적인 임플란트는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얼마나 견고하게 식립되는지에 달려 있는 데, 예를 들어, 치주염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치조골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결손된 경우에는 픽스츄어를 제대로 식립할 수 없어 임플란트 시술의 실패의 원인이 된다.
이를 위해 차폐막을 사용하여 픽스츄어를 식립하려는 위치에 골을 이식하는 기술이 연구 개발되어 왔다. 그 대표적인 예가 미국등록특허 제6,171,106호의 「치아 임플란트용 커버스크류(COVER SCREW FOR DENTAL IMPLANT)」에 개시되어 있고, 도 1 및 도 2에 그 대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버스크류(2)는 주몸체(3)과 고정스크류(4)로 이루어져 있다.
주몸체(3)는 픽스츄어(1)에 형성된 나사산공(1a)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3a), 차폐막(5)이 실장되는 실장면(3b) 및 고정스크류(4)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3c)를 갖고 있다.
고정스크류(4)는 차폐막(5)을 잡아 주는 머리(4a), 렌치와 같은 체결공구가 연결되는 연결부(4b) 및 주몸체(3)의 암나사(3c)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4c)를 갖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골에 식립된 픽스츄어(1)의 나사산공(1a)에 주몸체(3)의 수나사(3a)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실장면(3b) 위에 하악골의 상부 일부를 덮게 차폐막(5)이 실장되어 있다. 고정스크류(4)의 수나사(4c)는 주몸체(3)의 암나사(3c)에 나사결합되어 그 사이에 개재된 차폐막(5)이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커버스크류(2)는 하악골과 차폐막(5) 사이에 아주 좁은 공간만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골의 결손 정도가 작은 경우에는 무리없이 임플란트가 가능하지만, 이와 달리 골의 결손 정도가 큰 경우에는 충분한 골을 생성할 만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여 충분한 골이식이 어렵게 된다. 이로 인해 픽스츄어가 골에 제대로 확고하게 식립하기 어렵게 되어 성공적인 임플란트를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의 커버스크류(2)는 고정스크류(4)가 차폐막(5)와 직접 강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차폐막(5)을 시술자가 좁은 공간에서 도구를 사용하여 잡더라고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고정스크류(4)를 끝까지 돌릴 때 차폐막(5)이 함께 돌아가게 되어 차폐막(5)을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기 어려웠다.
미국등록특허 제6,171,10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폐막을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의 상단과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지게 위치시킴으로써 골의 결손 정도에 맞게 원하는 양의 골을 충분히 이식할 수 있는 골이식공간을 제대로 확보할 수 있는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차폐막이 개재되는 위치에 차폐막의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의 원하는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좁은 작업 공간에서도 도구 사용에 따른 차폐막의 움직임 없이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 차폐막을 고정시킬 수 있는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손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픽스츄어와 치조골 주변에 새로운 골이 이식되는 원하는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픽스츄어로부터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차폐막을 설치하기 위한 하부몸체와, 하부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몸체에 실장되는 차폐막을 고정하기 위한 상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는 하부몸체가 픽스츄어와 나사결합되고, 상부몸체가 하부몸체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하부몸체가 상부몸체에 실장된 부위에는 차폐막의 두께와 대응하는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는 하부몸체가 일체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뒤집어진 원추모양의 몸체부, 긴 원기둥모양의 하부수결합부 및 짧은 원기둥모양의 상부수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원추모양의 몸체부는 픽스츄어의 안에 완전히 들어가는 매몰원추면과, 픽스츄어의 밖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노출원추면을 갖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노출원추면의 높이는 0.3㎜~5.0㎜, 바람직하게는 0.5㎜~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추모양의 몸체부는 상단에 상부몸체가 실장되는 환형의 안쪽실장면과 차폐막이 실장되는 환형의 바깥쪽실장면이 형성되고, 바깥쪽실장면은 안쪽실장면 보다 낮게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단차진 높이는 차폐막의 두께와 같거나 큰 것과, 안쪽실장면의 외경 또는 바깥쪽실장면의 내경은 차폐막에 형성된 체결공의 직경과 같은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부몸체는 돔모양에 가까운 몸체부를 갖고, 몸체부의 높이는 0.5㎜~6.0㎜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몸체부의 높이는 상부몸체가 커버스크류일 때에 0.5㎜~2.0㎜이고, 힐링어버트먼트일 때에는 2.0㎜~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는 하부몸체가 일체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중간부위가 잘린 뒤집어진 원추모양의 몸체부, 긴 원기둥모양의 하부수결합부 및 짧은 원기둥모양의 상부수결합부를 포함하 것을 특징으로 하고, 원추모양의 몸체부는 전체가 픽스츄어의 위쪽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의 높이는 0.3㎜~5.0㎜, 바람직하게는 0.5㎜~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몸체에 상부몸체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하부몸체에 형성된 실장면과 상부몸체에 형성된 차폐막접촉면 사이에 차폐막의 두께만큼의 높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는 하부몸체가 일체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2단의 뒤집어진 원추모양의 몸체부, 긴 원기둥모양의 하부수결합부 및 짧은 원기둥모양의 상부수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원추모양의 몸체부는 픽스츄어의 안에 완전히 들어가는 매몰원추면과 픽스츄어의 밖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노출원추면을 갖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노출원추면의 높이는 0.3㎜~5.0㎜, 바람직하게는 0.5㎜~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는 하부몸체가 중간부위가 잘린 뒤집어진 원추모양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몸체부는 전체가 픽스츄어의 위쪽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의 높이는 0.3㎜~5.0㎜, 바람직하게는 0.5㎜~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몸체는 돔모양에 가까운 몸체부를 갖고, 몸체부의 높이는 0.5㎜~6.0㎜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몸체부의 높이는 상부몸체가 커버스크류일 때에 0.5㎜~2.0㎜이고, 힐링어버트먼트일 때에는 2.0㎜~6.0㎜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하부몸체에 상부몸체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하부몸체에 형성된 실장면과 상부몸체에 형성된 차폐막접촉면 사이에 차폐막의 두께만큼의 높이가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는 하부몸체가 중간부위가 잘린 2단의 뒤집어진 원추모양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몸체부는 픽스츄어의 안에 완전히 들어가는 매몰원추면과 픽스츄어의 밖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노출원추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출원추면의 높이는 0.3㎜~5.0㎜, 바람직하게는 0.5㎜~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손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수결합부를 갖는 하부와, 하부 위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를 포함하며, 하부와 상부가 이어지는 둘레에는 픽스츄어와 치조골 주변에 새로운 골이 이식되는 원하는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픽스츄어로부터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차폐막이 삽입되는 차폐막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를 제공한다. 하부와 상부를 포함한 전체 높이는 0.3㎜~5.0㎜, 바람직하게는 0.5㎜~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수결합부가 차폐막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관통하여 하부의 바닥면에 닿기 시작하면 체결공 주변이 밀리면서 변형이 되다가 차폐막삽입홈에 이르러 삽입되게 되면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돌아갈 정도로 하부의 바닥면의 직경은 차폐막삽입홈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부의 높이는 상부가 커버스크류일 때에 0.5㎜~2.0㎜이고, 힐링어버트먼트일 때에는 2.0㎜~6.0㎜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는 차폐막이 픽스츄어의 상단과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지게 위치되기 때문에 골의 결손 정도에 맞게 원하는 양의 골을 충분히 이식할 수 있는 골이식공간을 제대로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의 위쪽으로 충분한 양의 골이 생성되게 되면 치조골 결손에 앞서 이미 결손된 치간치조골도 원하는 양만큼 충분히 새롭게 생성되고 치간치조골를 감싸는 치간유두도 새롭게 생성되기 때문에 임플란트 시술 후에도 자연 치아에서 볼 수 있는 우수한 심미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치간치조골이 형성될 만큼 충분한 양의 치조골이 생성되기 때문에 임플란트 시술 후 가해질 수 있는 교합력에 따른 픽스츄어에 집중되는 하중을 잘 견딜 수 있다. 이로 인해 얇은 치조골에서 발생할 수 있는 흡수 또는 파괴가 발생하지 않아 성공적인 임플란트 시술을 이룰 수 있으며 유지 및 관리 또한 매우 쉬울 수 있다.
또한, 차폐막이 개재되는 위치에 차폐막의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의 원하는 간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좁은 작업 공간에서 도구를 사용하여 차폐막을 잡지 않고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어버트먼트를 꽉 체결하여도 차폐막의 움직임 없이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 차폐막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아임플란트용 커버스크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버스크류에 의해 차폐막이 픽스츄어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단면도;
도 5는 도 4의 어버트먼트에 의해 치조골에 차폐막이 설치된 상태를 예를 들어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단면도; 및
도 11은 도 10의 어버트먼트에 의해 치조골에 차폐막이 설치된 상태를 예를 들어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10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몸체(110)와 상부몸체(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어버트먼트(100)는, 예를 들어, 인터널(internal)형태의 픽스츄어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하부몸체(110)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차폐막을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픽스츄어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하부몸체(110)는 일체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뒤집어진 원추모양의 몸체부(111), 긴 원기둥모양의 하부수결합부(112) 및 짧은 원기둥모양의 상부수결합부(113)를 포함한다.
몸체부(111)는 도 4에서 점선으로 가상 분할된 하부수결합부(112)와 가까운 절반의 매몰원추면(111a)은 픽스츄어의 안에 완전히 들어가게 되는 반면, 상부수결합부(113)와 가까운 나머지 절반의 노출원추면(111b)은 픽스츄어의 밖으로 완전히 노출되게 된다. 노출원추면(111b)의 높이(h1)는 약 0.3㎜~5.0㎜, 바람직하게는 약 0.5㎜~3.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2.0㎜이다.
또한,몸체부(111)는 상단에 상부몸체(150)가 실장되는 환형의 안쪽실장면(114)과, 차폐막이 실장되는 환형의 바깥쪽실장면(115)이 형성된다. 바깥쪽실장면(115)은 안쪽실장면(114)과 단차를 갖게 다소 낮게 형성되며, 단차진 높이(h2)는 차폐막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클 수 있다. 안쪽실장면(114)의 외경 또는 바깥쪽실장면(115)의 내경(d1)은 차폐막에 형성된 체결공의 직경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수결합부(112)는 매몰원추면(111a)의 하단에 곧게 세워지게 형성되고, 픽스츄어와 다소 강하게 나사결합되도록 픽스츄어의 체결공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면(116)을 갖는다. 다소 강하면서 원활한 나사결합을 위해서 하부수결합부(112)는 체결공과 같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체결공과 같거나 다소 작은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상부수결합부(113)는 노출원추면(111b)의 상단에 곧게 세워지게 형성되고, 상부몸체(15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면(117)을 갖는다. 상단부에는 하부몸체(110)를 픽스츄어에 체결할 때 사용되는 도구가 삽입되는 도구삽입홈(118)이 축중앙에 위치하게 형성되고, 상단면은 편평하게 형성된다. 도구삽입홈(118)은 도구와의 확고한 체결을 위해 사각, 육각 또는 팔각과 같은 다양한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몸체(150)는 하부몸체(110)에 부분적으로 실장된 차폐막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몸체(110)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상부몸체(150)는 돔모양에 가까운 몸체부(151) 및 하부암결합부(1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몸체(150)의 적용예로 상부몸체(150)가 잇몸 밖으로 노출되는 넌서브머지드(non-submerged) 형태인 힐링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를 도시하였다.
몸체부(151)는 잇몸과 접촉하여 잇몸에 의해 감싸지게 되는 매끄러운 잇몸접촉면(153)이 둘레에 형성되고, 하부몸체(110)의 몸체부(111)에 형성된 안쪽실장면(114)에 실장되는 환형의 실장면(154) 및 바깥쪽실장면(115)에 실장되고 차폐막과 직접 접촉하거나 약간 거리를 두고 마주되게 되는 차폐막접촉면(155)이 하단에 형성된다. 몸체부(151)의 상단부에는 상부몸체(150)를 하부몸체(110)에 체결할 때 사용되는 도구가 삽입되는 도구삽입홈(156)이 축중앙에 위치하게 형성되고, 상단면은 둥그스럼하게 형성된다. 도구삽입홈(156)은 도구와의 확고한 체결을 위해 사각, 육각 또는 팔각과 같은 다양한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151)의 높이(h3)는 약 0.5㎜~6.0㎜ 정도일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몸체(150)가 잇몸 밖으로 노출되는 넌서브머지드 형태인 힐링어버트먼트인 경우에는 약 2.0㎜~6.0㎜ 정도가 바람직하고, 약 3.0㎜가 더욱 바람직한 반면, 상부몸체(150)가 잇몸 속으로 완전히 매몰되는 서브머지드(submerged) 형태인 커버스크류(cover screw)인 경우에는 약 0.5㎜~2.0㎜ 정도가 바람직하다.
하부암결합부(152)는 하부몸체(110)의 상부수결합부(113)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고, 바닥면(157)은 상부수결합부(113)의 상단면(119)과 거의 맞닿거나 다소 거리를 두고 마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어버트먼트에 의해 치조골에 차폐막이 설치된 상태를 도 5에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조골(10)에 식립된 픽스츄어(20)에 어버트먼트(100)의 하부몸체(110)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하부몸체(110)의 바깥쪽실장면(115)에 차폐막(30)이 실장된 상태로 상부몸체(150)가 하부몸체(110) 위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하부몸체(110)의 몸체부(111)에 형성된 매몰원추면(111a)은 픽스츄어(20)에 완전히 매립되어 있는 반면, 노출원추면(111b)은 픽스츄어(20)의 위쪽으로 완전히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노출원추면(111b)이 픽스츄어(20)의 위쪽으로 노출됨으로써 몸체부(111)의 차폐막(30)이 실장되는 바깥쪽실장면(115) 또한 픽스츄어(20)의 위쪽에 노출원추면(111b)의 높이만큼의 거리를 두고 노출되게 된다. 차폐막(30)이 픽스츄어(20)에서 거리를 두고 떨어지게 되면, 차폐막(30)과 픽스츄어(20) 사이에는 차폐막(30)의 아래주변과 픽스츄어(20)의 외부주변의 사방으로 빈 공간(40)이 형성되게 된다. 이 빈 공간(40)에는 결손된 치조골을 대신할 새로운 골이 주입되어 이식되게 된다.
상부몸체(150)의 몸체부(111)에 형성된 실장면(154)은 하부몸체(110)의 안쪽실장면(114)과 밀착되어 있고, 안쪽실장면(114)에 대해 차폐막(30)의 두께만큼 아래로 단차지게 형성된 바깥쪽실장면(115) 덕분에 차폐막접촉면(155)은 차폐막(30)의 상면을 살짝 누르게 차폐막(30)과 접촉되어 있다. 상부몸체(150)는 둘레에 형성된 잇몸접촉면(153)이 잇몸(50)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있고, 상단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노출원추면(111b)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차폐막(30)이 실장되는 바깥쪽실장면(115)과 픽스츄어(20)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골을 이식할 수 있는 공간을 원하는 만큼 충분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쪽실장면(114)과 바깥쪽실장면(115)을 차폐막(30)의 두께만큼 아래로 단차지게 형성함으로써 차폐막접촉면(155)이 차폐막(30)의 상면을 살짝 누르게만 접촉되어 있어, 도구를 사용하여 상부몸체(150)를 강하게 조일 때에도, 차폐막(30)이 상부몸체(15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하부몸체(110)에 실장된 위치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 도 6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20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몸체(210)와 상부몸체(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어버트먼트(200)는, 예를 들어, 익스터널(external)형태의 픽스츄어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하부몸체(210)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차폐막을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픽스츄어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하부몸체(210)는 일체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중간부위가 잘린 뒤집어진 원추모양의 몸체부(211), 긴 원기둥모양의 하부수결합부(212) 및 짧은 원기둥모양의 상부수결합부(213)를 포함한다.
몸체부(211)는 원추면(212) 전체가 픽스츄어의 위쪽으로 완전히 노출되게 된다. 몸체부(211) 또는 원추면(212)의 높이(h4)는 약 0.3㎜~5.0㎜, 바람직하게는 약 0.5㎜~3.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2.0㎜이다.
또한, 몸체부(211)는 상단에 상부몸체(250)가 실장되는 환형의 실장면(214)이 형성되고, 하부에 픽스츄어의 상부돌기부가 완전히 삽입되는 환형의 삽입홈(215)이 하부수결합부(212)를 에워싸게 형성된다. 실장면(214)의 내경(d2)은 차폐막에 형성된 체결공의 직경과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수결합부(212)는 몸체부(211)의 하단에 곧게 세워지게 형성되고, 픽스츄어와 다소 강하게 나사결합되도록 픽스츄어의 체결공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부분적으로 형성된 외주면(216)을 갖는다. 다소 강하면서 원활한 나사결합을 위해서 하부수결합부(212)는 체결공과 같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체결공과 같거나 다소 작은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상부수결합부(213)는 몸체부(211)의 상단에 곧게 세워지게 형성되고, 상부몸체(25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면(217)을 갖는다. 상단부에는 하부몸체(210)를 픽스츄어에 체결할 때 사용되는 도구가 삽입되는 도구삽입홈(218)이 축중앙에 위치하게 형성되고, 상단면은 편평하게 형성된다. 도구삽입홈(218)은 도구와의 확고한 체결을 위해 사각, 육각 또는 팔각과 같은 다양한 다각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몸체(250)는 하부몸체(210)에 부분적으로 실장된 차폐막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몸체(210)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상부몸체(250)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상부몸체(150)와 하부암결합부(252)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같기 때문에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상부몸체(150)의 하부암결합부(152)에 형성된 바닥면(157)이 하부몸체(110)의 상부수결합부(113)에 형성된 상단면(119)과 거의 맞닿거나 다소 거리를 두고 마주하게 형성되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몸체(250)의 하부암결합부(252)에 형성된 편평한 바닥면(257)이 하부몸체(210)의 상부수결합부(213)에 형성된 상단면(219)과 밀착되게 형성된다. 또한, 하부몸체(210)의 상부수결합부(213)의 높이는 상부몸체(250)의 하부암결합부(252)의 깊이 보다 다소 크게, 바람직하게는 차폐막의 두께만큼 크게 형성된다.
이런 구조에 의해, 상부몸체(250)가 하부몸체(210)에 완전히 결합될 때, 상부몸체(250)의 차폐막접촉면(255)과 하부몸체(210)의 실장면(214) 사이에 차폐막의 두께만큼의 높이(h5)가 형성되게 된다. 이 덕분에 차폐막접촉면(255)은 차폐막의 상면을 살짝 누르게 차폐막과 접촉되게 된다.
제3실시예
다음, 도 7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30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몸체(310)와 상부몸체(3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어버트먼트(300)는, 예를 들어, 인터널 형태의 픽스츄어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하부몸체(310)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차폐막을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픽스츄어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하부몸체(310)는 일체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2단의 뒤집어진 원추모양의 몸체부(311), 긴 원기둥모양의 하부수결합부(312) 및 짧은 원기둥모양의 상부수결합부(313)로 구성된다.
몸체부(311)에서, 도 7에서 점선으로 가상 분할된 하부수결합부(312)와 가까운 꺽인 절반의 매몰원추면(311a)은 픽스츄어의 안에 완전히 들어가게 되는 반면, 상부수결합부(313)와 가까운 나머지 절반의 노출원추면(311b)은 픽스츄어의 밖으로 완전히 노출되게 된다. 노출원추면(311b)의 높이(h6)는 약 0.3㎜~5.0㎜, 바람직하게는 약 0.5㎜~3.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2.0㎜이다.
또한, 몸체부(311)는 상단에 상부몸체(350)가 실장되는 환형의 실장면(314)이 형성되고, 실장면(314)의 내경(d3)은 차폐막에 형성된 체결공의 직경과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수결합부(312)는 몸체부(311)의 하단에 곧게 세워지게 형성되고, 픽스츄어와 다소 강하게 나사결합되도록 픽스츄어의 체결공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면(316)을 갖는다. 다소 강하면서 원활한 나사결합을 위해서 하부수결합부(312)는 체결공과 같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체결공과 같거나 다소 작은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상부수결합부(313)와 상부몸체(350)의 구성 및 연결관계는 바로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의 상부수결합부(213)와 상부몸체(250)의 구성 및 연결관계와 완전히 같기 때문에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
다음,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40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몸체(410)와 상부몸체(4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어버트먼트(400)는, 예를 들어, 익스터널 형태의 픽스츄어에 바람직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하부몸체(410)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차폐막을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픽스츄어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하부몸체(410)는 중간부위가 잘린 뒤집어진 원추모양의 몸체부(411)를 포함한다.
몸체부(411)는 원추면(412) 전체가 픽스츄어의 위쪽으로 완전히 노출되게 된다. 몸체부(411) 또는 원추면(412)의 높이(h7)는 약 0.3㎜~5.0㎜, 바람직하게는 약 0.5㎜~3.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2.0㎜이다.
몸체부(411)는 상단에 상부몸체(450)가 실장되는 환형의 실장면(414)이 형성되고, 실장면(414)의 내경(d3)은 차폐막에 형성된 체결공의 직경과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411)의 상단부 중앙에는 상부몸체(450)의 하부수결합부(452)가 픽스츄어에 체결되도록 관통되는 원형의 관통공(416)이 형성되고, 하단부 중앙에는 픽스츄어의 상부돌기부가 완전히 삽입되는 원형의 삽입공(415)이 원형의 관통공(416)과 완전히 이어지게 형성된다. 삽입공(415)의 직경은 관통공(416)의 직경 보다 다소 크다.
상부몸체(450)는 하부몸체(410)에 부분적으로 실장된 차폐막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몸체(410)에 분리 가능하게 관통결합된다. 상부몸체(450)는 돔모양에 가까운 몸체부(451) 및 하부수결합부(4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몸체(450)의 적용예로 상부몸체(450)가 잇몸 속으로 완전히 매몰되는 서브머지드(submerged) 형태인 커버스크류(cover screw)를 도시하였다.
몸체부(451)는 잇몸과 접촉하여 잇몸에 의해 감싸지게 되는 매끄러운 잇몸접촉면(453)이 둘레에 형성되고, 하부몸체(410)의 몸체부(411)에 형성된 실장면(414)에 실장되는 차폐막과 직접 접촉하거나 약간 거리를 두고 마주되게 되는 차폐막접촉면(455)이 하단에 형성된다. 몸체부(451)의 상단부에는 상부몸체(450)를 픽스츄어에 체결할 때 사용되는 도구가 삽입되는 도구삽입홈(456)이 축중앙에 위치하게 형성되고, 상단면은 둥그스럼하게 형성된다. 도구삽입홈(456)은 도구와의 확고한 체결을 위해 사각, 육각 또는 팔각과 같은 다양한 다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451)의 높이(h8)는 약 0.5㎜~6.0㎜ 정도일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몸체(450)가 잇몸 속으로 완전히 매몰되는 서브머지드 형태인 커버스크류인 경우에는 약 0.5㎜~2.0㎜ 정도가 바람직한 반면, 상부몸체(450)가 잇몸 밖으로 노출되는 넌서브머지드 형태인 힐링어버트먼트인 경우에는 약 2.0㎜~6.0㎜ 정도가 바람직하고, 약 3.0㎜가 더욱 바람직하다.
하부수결합부(452)는 몸체부(451)의 하단에 곧게 세워지게 형성되고, 픽스츄어와 다소 강하게 나사결합되도록 픽스츄어의 체결공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부분적으로 형성된 외주면(457)을 갖는다. 다소 강하면서 원활한 나사결합을 위해서 하부수결합부(452)는 체결공과 같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고, 하부수결합부(452)는 체결공의 길이 보다 차폐막의 두께만큼 긴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런 구조에 의해, 하부몸체(410)와 상부몸체(450)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하부몸체(410)의 몸체부(411)에 형성된 차폐막실장면(414)과 상부몸체(450)의 몸체부(451)에 형성된 차폐막접촉면(455) 사이에 차폐막의 두께만큼의 높이(h9)가 형성되게 된다. 이 덕분에 차폐막접촉면(455)은 차폐막의 상면을 살짝 누르게 차폐막과 접촉되게 된다.
제5실시예
다음, 도 9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50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몸체(510)와 상부몸체(5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어버트먼트(500)는, 예를 들어, 인터널 형태의 픽스츄어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하부몸체(510)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차폐막을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픽스츄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결합된다. 하부몸체(510)는 중간부위가 잘린 2단의 뒤집어진 원추모양의 몸체부(511)를 포함한다.
몸체부(511)는, 도 9에서 점선으로 가상 분할된 것처럼, 픽스츄어의 안에 완전히 들어가게 되는 꺽인 하부 절반의 매몰원추면(511a)과, 픽스츄어의 밖으로 완전히 노출되게 되는 상부 절반의 노출원추면(511b)을 갖는다. 노출원추면(511b)의 높이(h10)는 약 0.3㎜~5.0㎜, 바람직하게는 약 0.5㎜~3.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2.0㎜이다.
몸체부(511)는 상단에 상부몸체(550)가 실장되는 환형의 실장면(514)이 형성되고, 실장면(514)의 내경(d4)은 차폐막에 형성된 체결공의 직경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511)는 상단부 중앙에 상부몸체(550)의 하부수결합부(552)가 픽스츄어에 체결되도록 관통되는 원형의 관통공(516)이 형성된다. 관통공(516)의 상부 일부에는 상부몸체(551)의 하부수결합부(552)가 나사결합되며 관통되게 나사면이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에는 나사면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부몸체(550)의 구성과 하부몸체(510)과의 위치관계는 상부몸체(550)의 하부수결합부(552)에 형성된 나사산의 위치만 다를 뿐 바로 앞서 설명한 제4실시예의 상부몸체(450)의 구성과 하부몸체(410)과의 위치관계와 같기 때문에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6실시예
다음, 도 10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600)는 전체적으로 돔모양에 가까운 일체로 이어지는 하부(601)와 상부(60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어버트먼트(600)는, 예를 들어, 익스터널 형태의 픽스츄어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도면에서 점선으로 가상 분할된 아래쪽이 하부(601)이고, 위쪽이 상부(602)이다. 하부(601)와 상부(602)의 사이에는 전체 둘레를 따라 차폐막이 다소 여유를 갖고 자유롭게 삽입되는 차폐막삽입홈(603)이 형성된다. 하부(601)와 상부(602)를 포함한 어버트먼트(600)의 전체 높이(h11+h12+h13)는 약 0.3㎜~5.0㎜, 바람직하게는 약 0.5㎜~3.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2.0㎜이다. 또한, 차폐막삽입홈(603)의 높이(h12)는 삽입되는 차폐막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고, 내경(d4)는 차폐막에 형성된 체결공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601)는 하단 중앙에 픽스츄어에 나사결합되는 하부수결합부(604)가 곧게 세워지게 형성되고, 하부수결합부(604)를 에워싸게 픽스츄어의 상부돌기부가 완전히 삽입되는 환형의 삽입홈(605)이 형성된다.
하부수결합부(604)는 픽스츄어와 다소 강하게 나사결합되도록 픽스츄어의 체결공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면(606)을 갖는다. 다소 강하면서 원활한 나사결합을 위해서 하부수결합부(604)는 체결공과 같거나 다소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체결공과 같거나 다소 작은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하부(601)는 바닥면의 직경(D)이 차폐막삽입홈(603)의 내경(d4) 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하부수결합부(604)가 차폐막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관통하고 차폐막이 하부(601)의 바닥면에 닿기 시작하면, 체결공 주변이 밀려면서 다소 변형이 되다가 차폐막삽입홈(603)에 이르러 삽입되면 차폐막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상부(602)는 잇몸과 접촉하여 잇몸에 의해 감싸지게 되는 매끄러운 잇몸접촉면(607)이 둘레에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어버트먼트(600)를 픽스츄어에 체결할 때 사용되는 도구가 삽입되는 도구삽입홈(608)이 축중앙에 위치하게 형성되고, 상단면은 둥그스럼하게 형성된다. 도구삽입홈(608)은 도구와의 확고한 체결을 위해 사각, 육각 또는 팔각과 같은 다양한 다각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602)의 높이(h13)는 약 0.5㎜~6.0㎜ 정도일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본 실시예와 같이 상부(602)가 잇몸 밖으로 노출되는 넌서브머지드 형태인 힐링어버트먼트인 경우에는 약 2.0㎜~6.0㎜ 정도가 바람직하고, 약 3.0㎜가 더욱 바람직한 반면, 상부(602)가 잇몸 속으로 완전히 매몰되는 서브머지드 형태인 커버스크류인 경우에는 약 0.5㎜~2.0㎜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어버트먼트에 의해 치조골에 차폐막이 설치된 상태를 도 11에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도 11은 도 10의 어버트먼트에 의해 치조골에 차폐막이 설치된 상태를 예를 들어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조골(10)에 식립된 픽스츄어(20)에 어버트먼트(600)의 하부수결합부(604)가 나사결합되어 있고, 하부(601)와 상부(602)의 사이에 형성된 차폐막삽입홈(603)에는 차폐막(30)이 삽입되어 있다. 픽스츄어(20)의 상부돌기부(21)는 하부수결합부(604)에 형성된 환형의 삽입홈(605)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다.
어버트먼트(600)는 전체가 픽스츄어(20)의 위쪽으로 완전히 노출되어 있어, 차폐막삽입홈(603)은 픽스츄어(20)의 상단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다. 이 덕분에, 차폐막(30)은 픽스츄어(20)의 상단에서 이격되어 위치하고, 차폐막(30)과 픽스츄어(20) 사이에는 차폐막(30)의 아래주변과 픽스츄어(20)의 외부주변 사이에 3차원적인 빈 공간(40)이 형성되게 된다. 이 빈 공간(40)에는 결손된 치조골을 대신할 새로운 골이 주입되어 이식되게 된다.
상부(602)는 둘레에 형성된 잇몸접촉면(607)이 잇몸(50)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있고, 상단면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버트먼트(600)의 하부(601)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차폐막(30)이 삽입되는 차폐막삽입홈(603)과 픽스츄어(20)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골을 이식할 수 있는 공간을 원하는 만큼 충분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어버트먼트(600)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어 앞서 설명한 제1 내지 제5실시예의 어버트먼트와는 다른 작업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수정 또는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100~600 :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110~510: 하부몸체 150~550: 상부몸체
601 : 하부 602 : 상부
111: 원추모양의 몸체부 112 : 하부수결합부
113 : 상부수결합부 111a : 매몰원추면
111b : 노출원추면 114 : 환형의 안쪽실장면
115 : 환형의 바깥쪽실장면 151 : 돔모양에 가까운 몸체부
152 : 하부암결합부 153 : 잇몸접촉면
154 : 환형의 실장면 155 : 차폐막접촉면

Claims (29)

  1. 결손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픽스츄어와 치조골 주변에 새로운 골이 이식되는 원하는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픽스츄어로부터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차폐막을 설치하기 위한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차폐막을 고정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픽스츄어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하부몸체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가 결합하는 부위에는 상기 차폐막의 두께와 대응하는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일체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뒤집어진 원추모양의 몸체부, 긴 원기둥모양의 하부수결합부 및 짧은 원기둥모양의 상부수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모양의 몸체부는 상기 픽스츄어의 안에 완전히 들어가는 매몰원추면과, 상기 픽스츄어의 밖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노출원추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원추면의 높이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모양의 몸체부는 상단에 상기 상부몸체가 실장되는 환형의 안쪽실장면과 상기 차폐막이 실장되는 환형의 바깥쪽실장면이 형성되고, 상기 바깥쪽실장면은 상기 안쪽실장면 보다 낮게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진 높이는 상기 차폐막의 두께와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실장면의 외경 또는 상기 바깥쪽실장면의 내경은 상기 차폐막에 형성된 체결공의 직경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는 돔모양에 가까운 몸체부를 갖고, 상기 몸체부의 높이는 0.5㎜~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높이는 상기 상부몸체가 커버스크류(cover screw)일 때에 0.5㎜~2.0㎜이고, 힐링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일 때에는 2.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일체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중간부위가 잘린 뒤집어진 원추모양의 몸체부, 긴 원기둥모양의 하부수결합부 및 짧은 원기둥모양의 상부수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모양의 몸체부는 전체가 상기 픽스츄어의 위쪽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높이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에 상기 상부몸체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된 실장면과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된 차폐막접촉면 사이에 상기 차폐막의 두께만큼의 높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일체로 이어지게 형성되는 2단의 뒤집어진 원추모양의 몸체부, 긴 원기둥모양의 하부수결합부 및 짧은 원기둥모양의 상부수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모양의 몸체부는 상기 픽스츄어의 안에 완전히 들어가는 매몰원추면과, 상기 픽스츄어의 밖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노출원추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원추면의 높이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중간부위가 잘린 뒤집어진 원추모양의 몸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전체가 픽스츄어의 위쪽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높이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는 돔모양에 가까운 몸체부를 갖고, 상기 몸체부의 높이는 0.5㎜~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높이는 상기 상부몸체가 커버스크류일 때에 0.5㎜~2.0㎜이고, 힐링어버트먼트일 때에는 2.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에 상기 상부몸체가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된 실장면과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된 차폐막접촉면 사이에 상기 차폐막의 두께만큼의 높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중간부위가 잘린 2단의 뒤집어진 원추모양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픽스츄어의 안에 완전히 들어가는 매몰원추면과 상기 픽스츄어의 밖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노출원추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원추면의 높이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26. 결손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수결합부를 갖는 하부; 및
    상기 하부 위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와 상부가 이어지는 둘레에는 상기 픽스츄어와 치조골 주변에 새로운 골이 이식되는 원하는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픽스츄어로부터 원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차폐막이 삽입되는 차폐막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높이는 1.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결합부가 상기 차폐막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의 바닥면에 상기 차폐막이 닿기 시작하면, 체결공 주변이 밀려면서 변형이 되다가 상기 차폐막삽입홈에 이르러 삽입되게 되면,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돌아갈 정도로 상기 하부의 바닥면의 직경은 상기 차폐막삽입홈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높이는 상기 상부가 커버스크류일 때에 0.5㎜~2.0㎜이고, 힐링어버트먼트일 때에는 2.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KR1020100030519A 2010-04-02 2010-04-02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KR101103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519A KR101103545B1 (ko) 2010-04-02 2010-04-02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519A KR101103545B1 (ko) 2010-04-02 2010-04-02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1116A true KR20110111116A (ko) 2011-10-10
KR101103545B1 KR101103545B1 (ko) 2012-01-06

Family

ID=4502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519A KR101103545B1 (ko) 2010-04-02 2010-04-02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54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667A1 (ko) * 2011-06-07 2012-12-13 (주)시원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WO2013109018A1 (ko) * 2012-01-20 2013-07-2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KR101301694B1 (ko) * 2012-02-28 2013-08-3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용 어버트먼트
CN107260340A (zh) * 2017-05-31 2017-10-20 司家文 牙槽骨缺损植骨区的保护结构
EP3466368A1 (en) * 2017-10-04 2019-04-10 Dietmar Sonnleitner Dental implant system
CN113197691A (zh) * 2021-05-17 2021-08-03 瑞丰口腔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耐磨组合式全瓷义齿及加工工艺
KR102551016B1 (ko) * 2022-11-08 2023-07-05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힐링 어번트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008B1 (ko) 2012-05-15 2013-10-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용 어버트먼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003B1 (ko) * 1998-11-11 2005-11-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휴대용컴퓨터와그평판표시장치의결합방법
KR101033171B1 (ko) * 2008-09-11 2011-05-11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667A1 (ko) * 2011-06-07 2012-12-13 (주)시원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WO2013109018A1 (ko) * 2012-01-20 2013-07-25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KR101301694B1 (ko) * 2012-02-28 2013-08-3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용 어버트먼트
CN107260340A (zh) * 2017-05-31 2017-10-20 司家文 牙槽骨缺损植骨区的保护结构
EP3466368A1 (en) * 2017-10-04 2019-04-10 Dietmar Sonnleitner Dental implant system
US10321979B2 (en) 2017-10-04 2019-06-18 Dietmar SONNLEITNER Dental implant system
CN113197691A (zh) * 2021-05-17 2021-08-03 瑞丰口腔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耐磨组合式全瓷义齿及加工工艺
KR102551016B1 (ko) * 2022-11-08 2023-07-05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힐링 어번트먼트
WO2024101837A1 (ko) * 2022-11-08 2024-05-16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힐링 어번트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545B1 (ko) 201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545B1 (ko)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JP4959689B2 (ja) インプラント装置
EP2934367B1 (en) Abutment
KR102131972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20160067015A1 (en) Abutment for implant
US9308059B2 (en) Implant bite registration jig and bite impression fabrication method using the jig
JPH07275266A (ja)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
KR101261541B1 (ko)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KR102075453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US10470851B2 (en) Self-retaining dental screw
KR101953301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301694B1 (ko)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용 어버트먼트
KR101089069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KR20140003243A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62279B1 (ko) 임플란트의 풀림방지구조
US20110189633A1 (en) Dental implant with female frustoconical connector
KR20220032545A (ko) 픽스쳐 식립 및 제거장치
KR100979195B1 (ko) 임플란트용 치유 캡
KR102208556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WO2012169667A1 (ko)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KR20130049847A (ko) 중간부와 하부의 파지구조 매식구성을 갖는 임프란트 픽스쳐
KR101072274B1 (ko) 분리형 치과용 임플란트
WO2021078628A1 (fr) Pilier de cicatrisation de la gencive pour un implant dentaire
KR20230162851A (ko) 치과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202

Effective date: 2012092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000029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202

Effective date: 2012092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200010013;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1114

Effective date: 2013051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200010013;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1114

Effective date: 201305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