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541B1 -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 Google Patents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541B1
KR101261541B1 KR1020120006812A KR20120006812A KR101261541B1 KR 101261541 B1 KR101261541 B1 KR 101261541B1 KR 1020120006812 A KR1020120006812 A KR 1020120006812A KR 20120006812 A KR20120006812 A KR 20120006812A KR 101261541 B1 KR101261541 B1 KR 101261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membrane
seating surface
fixing member
dental
abu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훈
정시영
이향길
엄태관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6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541B1/ko
Priority to PCT/KR2013/000197 priority patent/WO201310901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03Bones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로서,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하부 나사부와, 상기 하부 나사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상부 나사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상부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이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부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Fixing member for dental membrane and cover member}
본 발명은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 이식재를 덮는 치과용 멤브레인이 주변 치은을 손상시키거나 치은으로부터 뚫고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에 대한 것이다.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자 할 때, 주변 골이 충분한 경우에는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력 높아지고 이후 장기 안전성 등의 시술 예후가 높아진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변 골이 충분하지 못하고 골 결손이 발생한 경우에는 임플란트 식립 후 예후가 불안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골 증대 시술을 통해 치조골을 충분히 증대시키는 시술을 시행하게 된다. 이러한 골 증대 시술은 골 결손부위에 필요한 만큼의 골 이식재를 쌓은 후에 그 골 이식재를 치과용 멤브레인으로 덮고 그 위에 치은으로 봉합함으로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치과용 멤브레인은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소재를 이용하게 되고 특히 골 결손이 많이 발생된 경우에는 골 결손 부위의 스페이스 메이킹(space making)을 위해 강도와 탄성을 가진 소재를 사용하게 된다.
강도와 탄성을 가진 소재를 이용한 치과용 멤브레인은 골 재생 기간 중 골 결손부위를 덮고 있는 골 이식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저작력 등 외력으로부터 동요도를 없애 골 형성이 잘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골 증대시술과정에서 골 이식재를 덮고 있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이 치은을 뚫고 나오거나 치은은 손상시키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그 주요한 원인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멤브레인을 골 결손 형상에 맞는 형태로 제작하기 위하여 벤딩과 트리밍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구김 및 주름이 한 원인이다. 즉, 벤딩과 트리밍을 하는 과정에서 치과용 멤브레인에 구김 및 주름이 만들어지는데, 구김 및 주름은 치과용 멤브레인에 날카로운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하여 치은을 손상시키거나 치은을 찢고 돌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치은의 손상 또는 노출 현상이 발생되는 또 다른 원인으로는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해 어버트먼트와, 커버 캡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종래 제품들은 어버트먼트와 커버 캡 사이에서 치과용 멤브레인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평평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치과용 멤브레인의 가장자리가 치은을 손상시키거나 치은을 뚫고 나는데 기인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를 이용하여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기 위하여, 어버트먼트(30)를 픽스쳐(20)에 체결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30)와 커버 캡(40) 사이에서 치과용 멤브레인(M)의 중앙부분을 끼워넣게 된다. 이때, 치과용 멤브레인(M)은 치조골(B)의 결손부위를 채우고 있는 골 이식재(BG)를 덮고 있게 된다. 치과용 멤브레인(M)은 어버트먼트(30)의 안착면(31)과 커버 캡(40)의 안착면(41)에 각각 접촉되어 고정되는데, 각각의 안착면(31, 41)이 평평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멤브레인(M)을 고정한 후에도 치과용 멤브레인이 평면 형상으로 그대로 유지되어 있거나, 벤딩과 트리밍한 후 제작된 최종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골 이식이 끝난 후에는 치은을 봉합하기 위해 치은을 서로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멤브레인의 일부, 특히 치과용 멤브레인(M)의 가장자리 영역이 치은을 긁거나 또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강성으로 인해 심하게는 치은을 뚫고 나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원인으로 인하여 치과용 멤브레인이 치은을 손상시키거나 치은을 뚫고 돌출하는 경우에는 골 형성 기간 중 그 손상된 부위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 또는 세균이 치은 내부로 침투하거나, 치은 자체의 염증 내지 치은 내세균 감염으로 인해 궁극적으로는 골 재생을 실패할 염려가 있게 된다.
미국등록특허 제6,171,010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조골 재생과정에서 치과용 멤브레인이 주변의 치은을 손상시키거나 치은을 뚫고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는,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로서,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하부 나사부와, 상기 하부 나사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상부 나사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상부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이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부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1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2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암나사홈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수평면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과 제2안착면의 사이에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은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상부 나사부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며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체결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픽스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체결용 홈을 포함하는 인터널 타입이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하부나사부가 상기 체결용 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픽스쳐는,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상부 돌출부와, 상기 상부돌출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내부체결부를 가지는 익스터널 타입이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상기 상부 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의 하부나사부가 상기 내부 체결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상부 나사부 및 하부 나사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는 뒤집어진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상부 나사부 및 하부 나사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상부 나사부 및 하부 나사부보다 직경이 큰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는,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며 어버트먼트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픽스쳐 몸체부와,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나사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 및
상기 상부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이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1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2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암나사홈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수평면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은,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과 제2안착면의 사이에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은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는,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며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체결용 홈이 마련되는 픽스쳐; 및
상기 체결용 홈에 삽입되는 결합용 나사부와, 상기 결합용 나사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 몸체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된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픽스쳐의 상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1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체결용 홈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2안착면으로부터 상기 결합용 나사부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수평면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은,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체결용 홈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과 제2안착면의 사이에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은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는,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로서, 상기 픽스쳐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상부 결합부와 결합되는 내부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부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는,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며 어버트먼트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픽스쳐 몸체부와,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 및
상기 상부 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내부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버부재는,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을 위한 커버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과 결합되어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커버부재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이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의 상단에 마련된 제1안착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결합됨으로서 커버부재의 하단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과 함께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안착면이 마련된다.
상기 커버부재에서,
커버부재의 하단은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보다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임플란트의 삽입물 상단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위치고정하기 위한 제1안착면 및 제2안착면이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위치고정된 치과용 멤브레인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도록 골 이식재를 덮고, 이에 따라서 주변 치은을 손상시키거나 치은을 뚫고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의 분리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주요 구성의 도면.
도 5는 도 2의 결합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의 주요 구성의 도면.
도 8은 도 6 및 7의 구성을 가지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의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의 주요 구성의 도면.
도 11은 도 9의 구성을 가지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의 단면도.
도 13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0)는, 골 이식재(BG; Bone Graft)를 덮어 치조골(B;Bone) 재생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0)는, 픽스쳐(110), 어버트먼트(120) 및 커버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스쳐(110)는 인터널 타입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치조골(B)에 식립되며 외주면에 나사산(1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픽스쳐(110)는 인체에 삽입되었을 때 무해한 티타늄 합금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가 사용가능하다. 상기 픽스쳐(110)는 그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체결용 홈(11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체결용 홈(111) 내에는 암나사산(112)이 형성되어 있어 어버트먼트(1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픽스쳐(110)는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단으로 갈수록 다소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며 하측에는 치조골(B) 내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커팅날(113)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어버트먼트(120)는 상기 픽스쳐(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치과용 멤브레인(M)를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어버트먼트(120)는, 하부 나사부(121), 몸체부(122), 및 상부 나사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나사부(121)는 상기 몸체부(122)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부 나사부(121)에는 외주면에 숫나사(12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픽스쳐(110)의 체결용 홈(111)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22)는 하부가 상기 픽스쳐(110) 내에 삽입되며 상부는 상기 픽스쳐(1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0)를 픽스쳐(110)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시켜 골이식재(BG)가 채워지기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시키게 한다. 이러한 몸체부(122)는 대략 뒤집어진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22)의 하단 직경은 상기 하부 나사부(121)의 외경보다도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22)의 상단 직경은 상기 상부 나사부(12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22)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Membrane)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122a) 및 상기 제1안착면(122a)으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123)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122b)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안착면(122a)은 가장자리보다 중앙측에 근접한 부분의 높이가 높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대략 볼록한 라운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다만,제1안착면(122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선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고, 오목한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 나사부(123)는, 상기 몸체부(122)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 나사부(123)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130)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부 나사부(123)에는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하여 연장되며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체결홈(123a)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123a)는 회전을 위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공구가 상기 체결홈(123a)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어버트먼트가 공구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각 단면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라면 어떠한 단면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상기 어버트먼트(1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됨으로서,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커버부재(130)는 대략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단 가장자리가 라운드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커버부재(130)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상부 나사부(123)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131)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30)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122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안착면(132) 및 상기 제1수평면(122b)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수평면(133)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안착면(132)은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상승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1수평면(122b)은 상기 제2안착면(132)으로부터 상기 암나사홈(131)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부재(130)가 상기 어버트먼트(120)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제1안착면(122a)과 제2안착면(132)은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과 접촉하여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는데, 이때 상기 제1안착면(122a)과 제2안착면(132)의 사이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치조골(B) 재생을 위하여 치조골(B)에 픽스쳐(110)가 식립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120)를 상기 픽스쳐(110)에 체결한다. 이후에 치조골(B)에서 결손된 부위에 필요한 골 이식재(BG)를 채운 후에 상기 골 이식재(BG)를 덮도록 치과용 멤브레인(M)을 덮는다. 이후에 커버부재(130)를 상기 어버트먼트(120)에 체결함으로서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이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주변 치은(G)을 당겨서 골 결손부위를 봉합한다.
이때, 치과용 멤브레인(M)은, 중앙 부분의 상하면이 제1안착면(122a)과 제2안착면(132)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위치고정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안착면(122a)과 제2안착면(132)의 가장자리측은 낮고 중앙과 근접한 부분은 높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어버트먼트(120)로부터 돌출되어 골 결손부위를 감싸는 치과용 멤브레인(M)의 측면은 상기 어버트먼트(12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하강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즉, 치과용 멤브레인(M)에서 골 결손부위를 감싸는 부분은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상을 가지면서 하강하는 방패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치과용 멤브레인(M)이 방패형상(또는 우산형상)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서 치과용 멤브레인(M)의 가장자리 끝단부는 골 결손부위를 자연스럽게 감싸게 되고 치은(G) 봉합을 하는 과정에서 치은(G)이 손상되거나 치과용 멤브레인(M)이 치은(G)을 뚫고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치과용 멤브레인(M)을 감싸는 치은(G)이 손상되지 않고 찢어짐이 없음에 따라서 외부의 이물질이 골 결손부위 내에 침투하거나 세균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치조골(B) 재생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은이 멤브레인에 긁힐 염려가 없어 치은에 염증이 발생할 염려가 없게 된다.
도 6 내지 8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200)는,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0)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치과용 멤브레인과 접촉되는 안착구조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200)는, 픽스쳐(210), 어버트먼트(220) 및 커버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스쳐(2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커팅날(213)이 마련되며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체결용 홈(211)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픽스쳐와 구조상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어버트먼트(220)는, 상기 픽스쳐(2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치과용 멤브레인(M)을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나사부(221), 몸체부(222) 및 상부 나사부(223)를 포함한다. 하부 나사부(221) 및 상부 나사부(223)는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구성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몸체부(222)는 상기 하부 나사부(221)와 상기 상부 나사부(223)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인 형상은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구성과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Membrane)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222a)이 상부 나사부(223)까지 연장되어 있는 점에 있어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구성과 차이가 있다.
상기 커버부재(230)도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구성과 유사하나, 제2 안착면(232)이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암나사홈(231)까지 연장되어 있는 점이 다소 차이가 있다.
이때, 제1안착면(222a)과 제2안착면(232)은 직선형 또는 라운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안착면(222a)이 가장자리로부터 상부 나사부(223)까지 길게 연장됨에 따라서 치과용 멤브레인(M)을 확실하게 방패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외 다른 장점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구성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9 내지 도 11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300)는,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0)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치과용 멤브레인과 접촉되는 어버트먼트의 형상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300)는, 픽스쳐(310), 어버트먼트(320) 및 커버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스쳐(3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커팅날이 마련되며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체결용 홈(311)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픽스쳐와 구조상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어버트먼트(320)는, 상기 픽스쳐(3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치과용 멤브레인(M)을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나사부(321), 몸체부(322) 및 상부 나사부(323)를 포함한다. 하부 나사부(321) 및 상부 나사부(323)는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구성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몸체부(322)는, 2단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부 몸체부(322'')와 상부 몸체부(3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몸체부(322'')는, 상기 하부 나사부(321)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부 몸체부(322'')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기 하부 나사부(321)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부 몸체부(322'')의 외경은 상기 하부 나사부(321)의 외경보다 큰 것이 좋다.
상기 상부 몸체부(322')는, 상기 상부 나사부(323)와 상기 하부 몸체부(322'')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 몸체부(322'';)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 나사부(323)는 상기 상부 몸체부(322')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322)의 상단에 제1안착면(322a) 및 제1수평면(322b)이 마련되어 있는 것은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몸체부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 커버부재(330)는 상기 어버트먼트(3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커버부재(13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400)는, 도 9 내지 도 11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300)과 거의 유사하나 치과용 멤브레인(M)을 안착하는 구조에서 다소 차이가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400)는, 픽스쳐(410), 어버트먼트(420) 및 커버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스쳐(4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커팅날이 마련되며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체결용 홈(411)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9 내지 도 11에 개시된 픽스쳐와 구조상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어버트먼트(420)는, 하부 나사부(421), 몸체부(422) 및 상부 나사부(423)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 나사부(421), 상부 나사부(423)는 도 9 내지 도 11에 개시된 상부 나사부 및 하부 나사부와 동일하다. 또한, 몸체부(422)가 상부 몸체부(422')와 하부 몸체부(422'')로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도 도 9 내지 도 11에 개시된 상부 몸체부 및 하부 몸체부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Membrane)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422a)이 상부 나사부(423)까지 연장되어 있는 점에 있어 도 9 내지 도 11에 개시된 구성과 차이가 있다.
또한, 커버부재(430)도 전체적으로 도 9 내지 도 11에 개시된 커버부재와 유사하나, 제2 안착면(432)이 가장자리로부터 암나사홈(431)까지 연장되어 있다는 점이 다소 차이가 있다.
도 14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500)는,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0)와 달리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서로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 있어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500)는, 골 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510)와, 커버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510)는, 픽스쳐 몸체부(511)와, 상부 나사부(5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스쳐 몸체부(511)는 치조골에 식립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되며 어버트먼트가 상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픽스쳐 몸체부(511)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511a) 및, 상기 제1안착면(511a)으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512)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511b)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530)는, 상부 나사부(51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531)이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5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부재(530)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511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532) 및, 상기 제2안착면(532)으로부터 상기 암나사홈(531)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수평면(533)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안착면(511a)과 제2안착면(532)의 사이에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는, 치조골에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를 식립한 후에 결손된 치조골에 골 이식재를 채우고 그 골 이식재 위에 치과용 멤브레인을 배치시킨 후에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에 결합하면서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효과면에서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600)는, 도 14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500)와 유사하나 치과용 멤브레인 안착방식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600)는,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610)와, 커버부재(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610)는, 치조골에 식립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되며 어버트먼트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픽스쳐 몸체부(611)와,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나사부(612)를 포함하는 점에 있어서는 도 14에 개시된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610)는, 제1안착면(611a)이 가장자리로부터 상부 나사부(612)까지 연장되어 있다는 점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또한, 커버부재(630)가 상기 상부 나사부(61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631)을 마련하고,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6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는 점에 있어서는 도 14에 개시된 커버부재와 유사하다. 다만, 커버부재(630)의 하단에 제2안착면(632)이 가장자리로부터 암나사홈(631)까지 연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도 16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700)는,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픽스쳐(710)와 커버부재(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스쳐(710)는, 치조골에 식립되고 나사산(713)이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체결용 홈(712)이 마련되는 것으로서,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픽스쳐(710)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되도록 연장되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되는 제1안착면(711a) 및 상기 제1안착면(711a)으로부터 상기 체결용 홈(712)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711b)이 마련된다. 이때, 제1안착면(711a)은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720)는, 상기 체결용 홈(712)에 삽입되는 결합용 나사부(722)와, 결합용 나사부(722)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몸체부(7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커버부재(720)는 상기 픽스쳐(7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용 나사부(722)는 하부에 숫나사가 마련되는 나사부와 원기둥형태로 연장된 원기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몸체부(721)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711a)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안착면(711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721a) 및, 상기 제2안착면(721a)으로부터 상기 결합용 나사부(722)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수평면(721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안착면(711a)과 제2안착면(721a)의 사이에는 치과용 멤브레인(M)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는, 치조골에 픽스쳐를 식립한 후에 결손된 치조골에 골 이식재를 채우고 그 골 이식재 위에 치과용 멤브레인을 배치시킨 후에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픽스쳐에 결합하면서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효과면에서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800)는, 도 16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700)와 유사하나 치과용 멤브레인 안착방식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800)는, 픽스쳐(810)와, 커버부재(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스쳐는, 치조골에 식립되고 나사산(813)이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체결용 홈(812)이 마련되는 점에 있어서는 도 16에 개시된 픽스쳐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는, 제1안착면(811a)이 가장자리로부터 체결용 홈(812)까지 연장되어 있다는 점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또한, 커버부재(820)가 상기 체결용 홈(812)에 삽입되는 결합용 나사부(822)와, 상기 결합용 나사부(822)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몸체부(821)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8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는 점에 있어서는 도 16에 개시된 커버부재와 유사하다. 다만, 커버부재(820)의 하단에 배치된 제2안착면(821a)이 가장자리로부터 결합용 나사부(822)까지 연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도 18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900)는, 도 2 내지 5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픽스쳐가 익스터널(external) 타입으로 이루어진 점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900)는, 픽스쳐(910), 어버트먼트(920) 및 커버부재(9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픽스쳐(910)는 치조골에 식립되고 나사산이 외주면에 마련되되, 상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상부 돌출부(912)와, 상기 상부돌출부(912)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홈 형태의 내부체결부(9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익스터널 타입의 픽스쳐이다.
상기 어버트먼트(920)는, 상기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로서,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하부 나사부(921)와, 상기 하부 나사부(921)의 상측에 배치되는 몸체부(922)와, 상기 몸체부(922)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상부 나사부(923)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922)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922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930)는, 상기 상부 나사부(923)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931)이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9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부재(930)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922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932)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제1안착면(922a)과, 상부 나사부(923) 사이에는 제1수평면(922b)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2안착면(932)과 암나사홈(931) 사이에는 제2수평면(933)이 마련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00)는, 도 18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와 유사하지만, 제1수평면 및 제2수평면이 없이 제1안착면과 제2안착면만이 개시되어 있는 점이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100)는, 픽스쳐(1110), 어버트먼트(1120) 및 커버부재(1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술한 차이점 이외에도 도 18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에 개시된 도면은, 치과용 멤브레인의 커버부재(1130)가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때, 커버부재(1130)는 골이식재(BG)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을 위한 커버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과 결합되어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기 위한 커버부재이다. 이러한 커버부재(1130)는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치과용 멤브레인(M)의 하면이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의 어버트먼트(1120) 상단에 마련된 제1수평면(1122b)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의 어버트먼트(1120)에 결합됨으로서 커버부재(1130)의 하단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과 함께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한다. 이때, 커버부재(1130)의 하단은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의 어버트먼트(1120) 상단보다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의 어버트먼트(1120) 상단보다 큰 외경을 가지되, 상기 커버부재(1130)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의 상면과 접촉하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커버부재(1130)의 하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안착면(1132)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2안착면(1132)은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커버부재에서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의 어버트먼트(1120) 상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하단에는 수평하게 연장된 제2수평면(1133)이 마련되어 있으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의 어버트먼트(1120) 상단에도 수평하게 연장된 제1수평면(1122b)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커버부재(1130)와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이 치과용 멤브레인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된 부분에는 수평하게 치과용 멤브레인(M)을 지지하고 있으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로부터 벗어난 구간에서는 상기 커버부재(1130)만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을 하측으로 누르게 된다. 이때, 치과용 멤브레인(M)은 상기 반경방향 외측(또는 바깥방향 내지 좌우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커버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제2안착면(1132)에 의하여 하측방향으로 라운드되면서 굴곡진 형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 "임플란트용 삽입물"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를 합쳐서 언급하는 용어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 또는 픽스쳐 자체만을 언급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20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의 어버트먼트(1120) 상단(또는 제1안착면)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큰 외경을 가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하거나 다소 작은 외경을 가지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픽스쳐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변 치조골과 골융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수의 볼록형상이 외주면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어버트먼트의 몸체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숫나사가 형성된 상부 나사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며 숫나사가 형성된 하부 나사부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어버트먼트가 커버부재와 결합하거나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컨데, 몸체부의 상측에는 커버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 등 공지의 구조를 가지는 상부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며, 몸체부의 하측에는 픽스쳐와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 등 공지의 구조를 가지는 하부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다.
100...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10...픽스쳐
111...체결용 홈 112...나사산
113...커팅날 120...어버트먼트
121...하부나사부 122...몸체부
122a...제1안착면 122b...제1수평면
123...상부나사부 130...커버부재
131...암나사홈 132...제2안착면
133...제2수평면 G...치은
M...멤브레인 B...치조골
BG...골이식재

Claims (27)

  1.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로서,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하부 나사부와, 상기 하부 나사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상부 나사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상부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이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의 몸체부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1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2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암나사홈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수평면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과 제2안착면의 사이에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6.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은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나사부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며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체결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체결용 홈을 포함하는 인터널 타입이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하부나사부가 상기 체결용 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는,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상부 돌출부와, 상기 상부돌출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내부체결부를 가지는 익스터널 타입이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상기 상부 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의 하부나사부가 상기 내부 체결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나사부 및 하부 나사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는 뒤집어진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나사부 및 하부 나사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상부 나사부 및 하부 나사부보다 직경이 큰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2.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며 어버트먼트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픽스쳐 몸체부와,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나사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 및
    상기 상부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이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1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2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암나사홈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수평면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은,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과 제2안착면의 사이에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7. 제13항, 제14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은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8.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며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체결용 홈이 마련되는 픽스쳐; 및
    상기 체결용 홈에 삽입되는 결합용 나사부와, 상기 결합용 나사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 몸체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의 상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1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체결용 홈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2안착면으로부터 상기 결합용 나사부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수평면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은,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체결용 홈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과 제2안착면의 사이에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23. 제18항, 제19항 또는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은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24.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로서, 상기 픽스쳐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상부 결합부와 결합되는 내부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의 몸체부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25.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며 어버트먼트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픽스쳐 몸체부와,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 및
    상기 상부 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내부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26.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을 위한 커버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과 결합되어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커버부재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이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의 상단에 마련된 제1안착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결합됨으로서 커버부재의 하단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과 함께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안착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27. 제26항에 있어서,
    커버부재의 하단은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임플란트의 삽입물 상단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KR1020120006812A 2012-01-20 2012-01-20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KR101261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812A KR101261541B1 (ko) 2012-01-20 2012-01-20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PCT/KR2013/000197 WO2013109018A1 (ko) 2012-01-20 2013-01-10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812A KR101261541B1 (ko) 2012-01-20 2012-01-20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541B1 true KR101261541B1 (ko) 2013-05-07

Family

ID=48665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812A KR101261541B1 (ko) 2012-01-20 2012-01-20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1541B1 (ko)
WO (1) WO201310901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387A1 (ko) * 2015-12-08 2017-06-15 유한회사 핌스 멤브레인 핀 및 이의 설치키트
KR20180078625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콜라겐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8624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돼지 진피-유래 치과용 차폐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3471B1 (ko) 2020-11-30 2021-07-30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츄어 가이드 커버
KR102418760B1 (ko) * 2021-11-24 2022-07-0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5117B1 (de) * 2014-04-15 2015-06-15 Dietmar Dr Sonnleitner Zahnimplantatsystem
FR3083439B1 (fr) * 2018-07-03 2021-05-28 Gary Finelle Pilier et dispositif de cicatrisation pour implant dentaire
US11766315B2 (en) 2021-01-12 2023-09-26 Italo Lozada Inter dental implant
GB2603162B (en) * 2021-01-28 2023-10-11 Neoss Ltd Dental implant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970A (ja) 1998-09-14 2000-03-28 Gc Corp 歯科インプラント用カバースクリュー
US20090029318A1 (en) 2007-07-27 2009-01-29 Seiko Epson Corporation Dental im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8968A1 (en) * 2001-12-20 2003-06-26 Massoud Yehia Aly Dental implant and method to regain interproximal bone and reconstruct the interdental papilla
KR20100102403A (ko) * 2009-03-11 2010-09-24 차현인 스크류를 이용한 초기고정 임플란트
KR101103545B1 (ko) * 2010-04-02 2012-01-06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KR101053052B1 (ko) * 2010-06-12 2011-08-01 임익준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970A (ja) 1998-09-14 2000-03-28 Gc Corp 歯科インプラント用カバースクリュー
US20090029318A1 (en) 2007-07-27 2009-01-29 Seiko Epson Corporation Dental im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implan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387A1 (ko) * 2015-12-08 2017-06-15 유한회사 핌스 멤브레인 핀 및 이의 설치키트
KR20180078625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콜라겐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8624A (ko) * 2016-12-30 2018-07-10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돼지 진피-유래 치과용 차폐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2883B1 (ko) 2016-12-30 2020-11-2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콜라겐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2882B1 (ko) 2016-12-30 2020-11-2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돼지 진피-유래 치과용 차폐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3471B1 (ko) 2020-11-30 2021-07-30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츄어 가이드 커버
KR102418760B1 (ko) * 2021-11-24 2022-07-0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9018A1 (ko)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541B1 (ko)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KR101296741B1 (ko) 힐링 어버트먼트
ES2819224T3 (es) Pilar
KR101594095B1 (ko) 혈액 수용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2304797B1 (ko) 비접착식 사선 쐐기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KR102316320B1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US20090191508A1 (en) Mini implant
KR101126525B1 (ko) 픽스츄어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37246A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70574Y1 (ko) 오버덴쳐용 볼 타입 어태치먼트 장치
JP2017500957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10142720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매식체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155702B1 (ko) 일체형 임플란트
KR101953301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KR101259940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1301694B1 (ko)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용 어버트먼트
KR101089069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KR101144322B1 (ko) 치과용 멤브레인
US8926326B2 (en) Denture retention system
KR101662279B1 (ko) 임플란트의 풀림방지구조
KR20120008672A (ko) 인공치근 및 이를 이용한 의치구조
KR101707596B1 (ko)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KR20190002347U (ko) 픽스쳐 재활용 가능 치과용 임플란트
KR10120866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