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09018A1 -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 Google Patents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09018A1
WO2013109018A1 PCT/KR2013/000197 KR2013000197W WO2013109018A1 WO 2013109018 A1 WO2013109018 A1 WO 2013109018A1 KR 2013000197 W KR2013000197 W KR 2013000197W WO 2013109018 A1 WO2013109018 A1 WO 201310901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ental membrane
seating surface
dental
fixing member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01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문종훈
정시영
이향길
엄태관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310901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090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03Bones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and a cover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and cover member that can prevent the dental membrane covering the bone graft from damaging or penetrating from the surrounding gingiva It is about.
  • the dental membrane used is an absorbent or nonabsorbent material, and in particular, when a lot of bone defects are generated, a material having strength and elasticity is used for space making of the bone defect site.
  • Dental membrane using materials with strength and elasticity prevents bone grafts from covering the bone defects to the outside during bone regeneration, as well as removes fluctuations from external forces such as chewing force from the outside, resulting in good bone formation. Play a role.
  • the main cause of the occurrence of the dental membrane covering the bone graft through the gingival or damaging the gingival is frequently as follows.
  • bending and trimming are performed in order to produce a dental membrane in a shape suitable for bone defect shape, which is caused by wrinkles and wrinkles of the dental membrane. That is, wrinkles and wrinkles are formed in the dental membrane during bending and trimming. The wrinkles and wrinkles cause sharp edges to be formed on the dental membrane, thereby damaging the gingival or tearing and protruding gingiva.
  • the dental membrane M is to cover the bone graft (BG) filling the defects of the alveolar bone (B).
  • the dental membrane M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seating surface 31 of the abutment 30 and the seating surface 41 of the cover cap 40, respectively, where the seating surfaces 31 and 41 are flat. After fixing the membrane (M), the dental membrane is maintained in a flat shape, or after bending and trimming to maintain the final shape produced.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more particularly,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and cover for preventing the dental membrane from damaging or piercing the gingiva around the gingival during alveolar bone regeneration.
  • An object is to provide a member.
  •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dental membrane to induce alveolar bone production by covering the bone graft material, a fixture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 abutment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ture, the lower screw portion having a male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body portion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lower thread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male screw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 An abutment including a thread; And a cover member provided with a female screw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upper threaded portion, the cover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abutment to fix the dental membrane.
  • a first seating surface extending to increase in height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end and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is provided, and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member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ing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And a second seat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 a first horizontal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and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first seating surface to the upper threaded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 a lower horizontal surface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and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and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second seating surface to the female screw groove.
  • the first seating surface may extend from an edge to the upper threaded portion.
  • a gap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dental membran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eating surface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 the first seating surface may extend to have any one of a straight or round shape.
  • the upper screw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groove which is formed downward from the top and has a polygonal cross section.
  • the fixture is of an internal type including a fastening groov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op, the abutment, the lower screw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groove.
  • the fixture is an external type having an upper protrusion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end and an inner fasten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 center of an upper end of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abutment
  •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cludes a lower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rotrusion, the lower screw portion of the abutment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fastening portion and coupled.
  • the upper screw portion and the lower screw portion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body portion may be made upside down conical shape.
  • the upper screw portion and the lower screw portion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upper screw portion and the lower screw portion.
  •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dental membrane to cover the bone graft material to induce alveolar bone production,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d the abutment is integral
  • An abutment integrated fixture including a fixture body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n upper thread portion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protruding from an upper center portion of the fixture body portion; And a cover member provided with a female thread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upper threaded portion, the cover member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abutment integrated fixture to fix the dental membrane.
  • a first seating surface extending to increase in height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end and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is provided, and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member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ing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And a second seat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 a first horizontal plane may be furthe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xture body part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and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first seating surface to the upper threaded portion.
  • a lower horizontal surface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and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and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second seating surface to the female screw groove.
  • the first seating surface may extend from the edge to the upper threaded portion.
  • a gap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dental membran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eating surface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 the first seating surface may extend to have any one of a straight or round shape.
  •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dental membrane to cover the bone graft material to induce alveolar bone production,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d directed downward from the upper center
  • Fixture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groove;
  • a cover member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a fixing body portion disposed above the coupling screw portion, the cover member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ture to fix the dental membrane.
  •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extends from the edge toward the upper center to increase the height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seat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ing surface at the bottom of the fixing body part.
  • a second seating surface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 a first horizontal plane may be furthe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xture to contact a low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and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first seating surface to the fastening groove.
  • a lower horizontal surface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and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second seating surface to the coupling screw.
  • the first seating surface may extend from the edge to the fastening groove.
  • a gap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dental membran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eating surface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 the first seating surface may extend to have any one of a straight or round shape.
  •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s a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dental membrane to induce alveolar bone production by covering the bone graft material, a fixture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 abutment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ture, the abutment including a lower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xture, a body portion disposed above the lower coupling portion, and an upper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Treatment; And an inner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part, the cover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abutment to fix the dental membrane, wherein the abutment body part has an upper center from an edge to an upper end of the abutment body part.
  • a first seating surface extending to increase in height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the first seating surface being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ing surface at the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 a second seating surface may be provided.
  •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dental membrane to cover the bone graft material to induce alveolar bone production,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d the abutment is integral
  • An abutment-integrated fixture including a fixture body portion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n upper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a center of an upper end of the fixture body portion; And a cover member having an inner coupling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coupling portion, the cover member detachably coupled to the abutment integrated fixture to fix the dental membrane, and including an edge at an upper end of the fixture body portion.
  • the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Extending from the height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end and provided with a first seat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the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ing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A second seat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 the cov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a cover member for fixing the dental membrane for fixing the dental membrane to cover the bone graft material to induce alveolar bone formation, combined with the implant insert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 a cover member for fixing a dental membrane wherein the implan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mplant inser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eating surfac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implant insert.
  • the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by being coupled to the insert to fix the dental membrane together with the implant insert, and the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and from the edge
  • the branch has a second seating surface.
  • the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may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top of the insert of the implant to protrude outward than the implant insert.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in which the height of the first seating surface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dental membrane increases from the edge toward the center thereof is fixed. Covering the bone graft to have a round sha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inimize damage to the surrounding gingival or protruding through the gingival.
  • FIG. 1 is a view showing a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and 4 are views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FIG.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ation of FIG.
  • FIG 6 and 7 are views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having the configuration of Figures 6 and 7.
  • FIG 9 and 10 are views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having the configuration of FIG.
  • FIG. 13 to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Figures 2 to 5, covering the bone graft (BG; Bone Graft) dental membrane (M; B) to induce alveolar bone (B; Bone) regeneration ) Is for fixing.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ture 110, abutment 120 and cover member 130.
  • the fixture 110 has an internal type structure,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B, and the thread 11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an artificial tooth root.
  • the fixture 110 may be a material of a titanium alloy harmless when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aterials may be used.
  • the fixture 11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groove 111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end toward the lower end.
  • a female thread 112 is formed in the fastening groove 111 to allow the abutment 120 to be coupled thereto.
  • the fixture 110 is made of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has a shape that decreases in diameter somewhat toward the bottom and the cutting edge 113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alveolar bone (B).
  • the abutment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ture 110 to support the dental membrane M from the lower side.
  • the abutment 120 includes a lower threaded portion 121, a body portion 122, and an upper threaded portion 123.
  • the lower threaded portion 121 protrudes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122, and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 the lower threaded portion 121 has a male screw 121a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is configured to be screw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11 of the fixture 110.
  • the body part 122 has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fixture 110 and an upper port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fixture 110 to space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100 from the fixture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low enough space for (BG) to be filled.
  • This body portion 122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inverted cone shape.
  • the low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22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screw portion 121, the upp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22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screw portion 123.
  • a first horizontal surface 122b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threaded portion 123 is provided.
  • the first seating surface 122a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of the portion closer to the center side is higher than the edge, and has a substantially convex round shape.
  • the shape of the first seating surface 122a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straight shape, or may have a concave round shape.
  • the upper threaded portion 123 is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22 and the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 the upper threaded portion 123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screwed with the cover member 130.
  • the upper threaded portion 123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groove 123a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end and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 the fastening groove 123a is a portion into which a tool for rotation can be inserted, and allows the abutment to rotate with the tool when the tool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23a.
  • a shape having a hexagonal cross-section it is not limited to this, as long as it has a polygonal cross-section is possible of course any cross-section.
  • the cover member 130 is to be detachably fixed to the abutment 120, to fix the dental membrane (M).
  • the cover member 130 is made of a substantially disk shape, but the upper edge is rounded.
  • a female thread groove 13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threaded portion 123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130.
  •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3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ing surface 122a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132 and a second horizontal plan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122b.
  • 133 is formed. That is, the second seating surface 132 extends so as to increase in height toward the center from the edge, and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122b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second seating surface 132 to the female screw groove 131. It is configured to be.
  •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 the abutment 120 is fastened to the fixture 110 while the fixture 110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B for regeneration of the alveolar bone B. After filling the bone graft material (BG) necessary for the defect in the alveolar bone (B) and then cover the dental membrane (M) to cover the bone graft (BG). Thereafter, by fastening the cover member 130 to the abutment 120, the dental membrane M can be fixed, and the peripheral gingiva G is pulled to seal the bone defect.
  • BG bone graft material
  • M dental membrane
  • the dental membrane M is fixed in a position wher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entral portion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seating surface 122a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132.
  • the edges of the first seating surface 122a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132 are low and a portion close to the center is formed high, so that the dental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abutment 120 to surround the bone defect site.
  • the side of the membrane (M) has a shape that gradually descends away from the abutment (120). In other words, the portion surrounding the bone defect portion in the dental membrane (M) is to form a shield shape falling while having a round shape as a whole.
  • the edge end portion of the dental membrane M naturally wraps a bone defect and is gingival in the process of suturing the gingival (G). ) To prevent damage or protruding dental membrane (M) through the gingival (G).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FIGS. 6 to 8 is generally similar to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100 disclosed in FIGS. 2 to 5, but is in contact with the dental membrane. There is some difference in structure.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200 includes a fixture 210, an abutment 220, and a cover member 230.
  • the fixture 210 has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cutting blade 213 is provided, and a fastening groove 211 is provided from the top center toward the bottom, and is the same as the fixtures disclosed in FIGS. 2 to 5.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abutment 2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ture 210 to support the dental membrane M from the lower side, and includes a lower thread part 221, a body part 222, and an upper thread part 223. ). Since the lower threaded portion 221 and the upper threaded portion 223 are similar to those shown in FIGS. 2 to 5,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body portion 222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thread portion 221 and the upper thread portion 223, the overall shape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ures 2 to 5.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is increased from the upper edge toward the upper center, and the first seating surface 222a,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M, extends to the upper thread part 223. In this respect,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Figs.
  • the cover member 230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FIGS. 2 to 5 in the overall configuration, but the difference is that the second seating surface 232 extends from the bottom edge to the female thread groove 231.
  • first seating surface 222a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232 may have any one of a straight or round shape.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FIGS. 9 to 11 is generally similar to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100 disclosed in FIGS. 2 to 5 but is in contact with the dental membrane.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shape of the abutment.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300 includes a fixture 310, an abutment 320, and a cover member 330.
  • the fixture 310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utting blade is provided and the fastening groove 311 is provided from the upper center to the lower end, the structure is the same as the fixtures disclosed in Figs. Omit.
  • the abutment 3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ture 310 to support the dental membrane M from the lower side, and includes a lower thread part 321, a body part 322, and an upper thread part 323. ). Since the lower threaded portion 321 and the upper threaded portion 323 are similar to the configurations disclosed in FIGS. 2 to 5,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body portion 322 is formed in a two-stage cylindrical shape, specifically, the lower body portion 322 ′′ and the upper body portion 322 ′.
  • the lower body portion 322 ′′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screw portion 321 and has a cylindrical shape.
  • the lower threaded portion 321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center of the lower body portion 322 ''.
  •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body portion 322 ''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screw portion 321.
  • the upper body portion 322 ′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crew portion 323 and the lower body portion 322 ′′,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lower body portion 322 ′′; Is done. At this time, the upper threaded portion 323 protrudes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body portion 322 '.
  • first seating surface 322a and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322b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322,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cover member 3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abutment 320 to fix the dental membrane (M), and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over member 130 disclosed in FIGS. 2 to 5. Description is omitted.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400 disclosed in FIGS. 12 and 13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dental membrane 300 disclosed in FIGS. 9 to 11, but differs slightly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dental membrane M is seated. .
  • the fixture 410, the abutment 420 and the cover member 430 is configured.
  • the fixture 410 th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cutting blade is provided and the fastening groove 411 is provide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because it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disclosed in Figures 9 to 11 do.
  • the abutment 420 includes a lower thread 421, a body 422, and an upper thread 423, wherein the lower thread 421 and the upper thread 423 are illustrated in FIGS. 9 to 11.
  • the body portion 422 is the same as the upper body portion and lower body portion disclosed in Figs. 9 to 11 also in that the upper body portion 422 'and the lower body portion 422' '.
  • the height is increased from the upper edge toward the upper center and the first seating surface 422a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M extends to the upper threaded portion 423. In this respect,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Figs.
  • cover member 430 is also similar to the cover member disclosed in FIGS. 9 to 11 as a whole, except that the second seating surface 432 extends from the edge to the female screw groove 431.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500 disclosed in FIG. 14 differs in that the fixture and abutment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unlike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100 disclosed in FIGS. 2 to 5.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500 is a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dental membrane to cover the bone graft to induce alveolar bone formation, the abutment integrated fixture 510, the cover And a member 530.
  • the abutment integrated fixture 5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ture body portion 511 and an upper threaded portion 512.
  • the fixture body portion 511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the thread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abutmen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body portion 511 extends from the edge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end to increase in height and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and the first seating surface 511a from the first seating surface 511a.
  •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511b extending horizontally to the upper threaded portion 512 is provided.
  • the cover member 530 has a female thread groove 53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threaded portion 512 is extend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abutment integrated fixture 510.
  • the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53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ing surface 511a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532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532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 a second horizontal surface 533 is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to the female thread groove 531.
  • a gap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dental membran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eating surface 511a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532.
  • the bone member after implanting the abutment-integrated fixture in the alveolar bone, the bone member is filled in the missing alveolar bone and the dental membrane is disposed on the bone graft, and then the cover member is attached to the abutment. It is to fix the dental membrane while coupling to the one-piece fixture.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600 disclosed in FIG. 15 is similar to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500 disclosed in FIG. 14,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dental membrane mounting method.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600 includes an abutment integrated fixture 610 and a cover member 630.
  • the abutment integrated fixture 610 is a fixture body portion 611 that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the thread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abutment is formed integrally, and a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body portion It is the same as the abutment integrated fixture disclosed in FIG. 14 in that it includes an upper threaded portion 612 protruding from the center.
  • the abutment integrated fixture 610 is somewhat different in that the first seating surface 611a extends from the edge to the upper threaded portion 612.
  • the cover member 630 is provided with a female thread groove 63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threaded portion 61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abutment integrated fixture 610 is the dental membrane (M) ) Is similar to the cover member disclosed in FIG. However,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at the second seating surface 632 extends from the edge to the female screw groove 631 at the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630.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700 disclosed in FIG. 16 includes a fixture 710 and a cover member 720 for fixing the dental membrane M to cover the bone graft material and induce alveolar bone formation.
  • the fixture 710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the thread 713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astening groove 712 is provided toward the lower side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end, and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710 extends from the edge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end and increases the height from the first seating surface 711a and the first seating surface 711a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 a first horizontal plane 711b extending horizontally to 712 is provided.
  • the first seating surface 711a may have any one of a straight shape and a round shape.
  • the cover member 720 includes a coupling threaded portion 722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712 and an upper body portion 721 disposed above the coupling threaded portion 722.
  • the cover member 7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ture 710 to fix the dental membrane (M).
  • the coupling screw portion 722 is configured to include a screw portion provided with a male screw in the lower portion and a cylindrical portion extending in the form of a cylinder.
  •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portion 72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ing surface 711a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seating surface 711a and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M) And a second seating surface 721a and a second horizontal surface 721b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second seating surface 721a to the coupling threaded portion 722.
  • a gap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dental membrane M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eating surface 711a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721a.
  • the cover member is coupled to the fixture while To fix the membrane.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800 disclosed in FIG. 17 is similar to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700 disclosed in FIG. 16, but differs slightly in a dental membrane mounting method.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800 includes a fixture 810 and a cover member 820.
  • the fixture is the same as the fixture disclosed in FIG. 16 in that the implant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the thread 813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astening groove 812 is provided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end.
  • the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omewhat different in that the first seating surface 811a extends from the edge to the fastening groove 812.
  • the cover member 820 includes a coupling screw portion 822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812, and an upper body portion 821 disposed above the coupling screw portion 822, the fixture Removably coupled to 810 to secure the dental membrane (M) is similar to the cover member disclosed in FIG. However,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at the second seating surface 821a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over member 820 extends from the edge to the coupling threaded portion 822.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900 disclosed in FIG. 18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dental membrane disclosed in FIGS. 2 to 5, and is somewhat different in that the fixture is of an external type.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900 includes a fixture 910, an abutment 920, and a cover member 930.
  • the fixture 910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d the thread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upper projection 912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protruding upward at the top, and the groov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projection 912
  • An external type of fixture including an inner fastening part 911.
  • the abutment 920 is an abutment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ture.
  • the abutment 920 includes a lower screw portion 921 having a male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body portion 922 disposed above the lower screw portion 921. And an upper screw portion 923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922 and having male thread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upper end of the body 922 extending from the edge to increase in height toward the upper center. And a first seating surface 922a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 the cover member 930 is provided with a female thread groove 93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upper screw portion 923,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abutment 920 to fix the dental membrane.
  • a second seating surface 93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ing surface 922a and contacting an upp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930.
  • a first horizontal surface 922b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eating surface 922a and the upper screw portion 923, and a second horizontal plane 933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eating surface 932 and the female thread groove 931. It is prepared.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1000 shown in FIG. 19 is similar to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disclosed in FIG. 18, except that only the first seating surface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are disclosed without the first horizontal plane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ne. There is a difference.
  • the dental membrane fixing member 1100 including the fixture 1110, the abutment 1120 and the cover member 1130, and has the same structure as in FIG. Is omitted.
  • the cover member 1130 is a cover member for fixing the dental membrane for fixing the dental membrane (M) to cover the bone graft material (BG) to induce alveolar bone formation, it is coupled with the implant insert placed in the alveolar bone Cover member for fixing the dental membrane (M).
  • the cover member 11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mplant inserts 1110 and 11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M is on top of the abutment 1120 of the implant inserts 1110 and 1120.
  • the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113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M by being coupled to the abutment 1120 of the implant inserts 1110 and 1120.
  • the dental membrane M is fixed together with the implant insert 1110. 1120.
  • a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1130 may protrude out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abutment 1120 of the implant 1110 and 1120.
  • a second having a larger outer diameter the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113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M) and has a shape that increases in height toward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member 1130 from the edge
  • a seating surface 1132 is provided.
  • the second seating surface 1132 is disposed at a posit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implant insert.
  • a second horizontal surface 1133 extending horizontally is provided at a lower e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abutment 1120 of the implant 1110 and 1120 in the cover member, and the implant insert 1110.
  • a first horizontal plane 1122b extending horizontally is also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abutment 1120 of 1120.
  • the cover member 1130 and the implant inserts 1110 and 1120 support the dental membrane M horizontally at portions disposed at both sides with the dental membrane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cover member 1130 is pressed down the upper surface of the dental membrane.
  • the dental membrane (M) has a curved shape while being rounded downward by the second seating surface 1132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ver member protruding radially outward (or outward to leftward and rightward outward). Will be.
  • the term “insert implant” refers to a combination of fixtures and abutm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o mention only the abutment integrated fixture or the fixtures themselves.
  • the cover member has a larger outer diameter so as to protrude radially outward than the upper end (or the first seating surface) of the abutment 1120 of the implant inserts 1110 and 1120. It is not intended that the same or somewhat smaller outer diameter be considered.
  • th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convex shapes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f the structure can be easily fused with the surrounding alveolar bone. Of course, various shapes are possible.
  • the upper screw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dy portion of the abutment and the lower screw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and having the male screw formed there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f the abutment is coupled to the cover member or the abutment is a fastening means for engaging the fixture,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n upper protrusion having a known structure, such as a female screw that can be coupled to the cover member,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lower coupling portion having a known structure, such as a female screw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fixture It is possible to b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로서,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하부 나사부와, 상기 하부 나사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상부 나사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상부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이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부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본 발명은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골 이식재를 덮는 치과용 멤브레인이 주변 치은을 손상시키거나 치은으로부터 뚫고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에 대한 것이다.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자 할 때, 주변 골이 충분한 경우에는 임플란트의 초기 고정력 높아지고 이후 장기 안전성 등의 시술 예후가 높아진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변 골이 충분하지 못하고 골 결손이 발생한 경우에는 임플란트 식립 후 예후가 불안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골 증대 시술을 통해 치조골을 충분히 증대시키는 시술을 시행하게 된다. 이러한 골 증대 시술은 골 결손부위에 필요한 만큼의 골 이식재를 쌓은 후에 그 골 이식재를 치과용 멤브레인으로 덮고 그 위에 치은으로 봉합함으로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치과용 멤브레인은 흡수성 또는 비흡수성 소재를 이용하게 되고 특히 골 결손이 많이 발생된 경우에는 골 결손 부위의 스페이스 메이킹(space making)을 위해 강도와 탄성을 가진 소재를 사용하게 된다.
강도와 탄성을 가진 소재를 이용한 치과용 멤브레인은 골 재생 기간 중 골 결손부위를 덮고 있는 골 이식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발생되는 저작력 등 외력으로부터 동요도를 없애 골 형성이 잘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골 증대시술과정에서 골 이식재를 덮고 있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이 치은을 뚫고 나오거나 치은은 손상시키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그 주요한 원인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멤브레인을 골 결손 형상에 맞는 형태로 제작하기 위하여 벤딩과 트리밍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구김 및 주름이 한 원인이다. 즉, 벤딩과 트리밍을 하는 과정에서 치과용 멤브레인에 구김 및 주름이 만들어지는데, 구김 및 주름은 치과용 멤브레인에 날카로운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하여 치은을 손상시키거나 치은을 찢고 돌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치은의 손상 또는 노출 현상이 발생되는 또 다른 원인으로는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해 어버트먼트와, 커버 캡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종래 제품들은 어버트먼트와 커버 캡 사이에서 치과용 멤브레인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평평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치과용 멤브레인의 가장자리가 치은을 손상시키거나 치은을 뚫고 나는데 기인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를 이용하여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기 위하여, 어버트먼트(30)를 픽스쳐(20)에 체결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30)와 커버 캡(40) 사이에서 치과용 멤브레인(M)의 중앙부분을 끼워넣게 된다. 이때, 치과용 멤브레인(M)은 치조골(B)의 결손부위를 채우고 있는 골 이식재(BG)를 덮고 있게 된다. 치과용 멤브레인(M)은 어버트먼트(30)의 안착면(31)과 커버 캡(40)의 안착면(41)에 각각 접촉되어 고정되는데, 각각의 안착면(31, 41)이 평평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멤브레인(M)을 고정한 후에도 치과용 멤브레인이 평면 형상으로 그대로 유지되어 있거나, 벤딩과 트리밍한 후 제작된 최종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골 이식이 끝난 후에는 치은을 봉합하기 위해 치은을 서로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멤브레인의 일부, 특히 치과용 멤브레인(M)의 가장자리 영역이 치은을 긁거나 또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강성으로 인해 심하게는 치은을 뚫고 나오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원인으로 인하여 치과용 멤브레인이 치은을 손상시키거나 치은을 뚫고 돌출하는 경우에는 골 형성 기간 중 그 손상된 부위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 또는 세균이 치은 내부로 침투하거나, 치은 자체의 염증 내지 치은 내세균 감염으로 인해 궁극적으로는 골 재생을 실패할 염려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조골 재생과정에서 치과용 멤브레인이 주변의 치은을 손상시키거나 치은을 뚫고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는,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로서,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하부 나사부와, 상기 하부 나사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상부 나사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상부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이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부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1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2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암나사홈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수평면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과 제2안착면의 사이에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은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상부 나사부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며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체결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픽스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체결용 홈을 포함하는 인터널 타입이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하부나사부가 상기 체결용 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픽스쳐는,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상부 돌출부와, 상기 상부돌출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내부체결부를 가지는 익스터널 타입이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상기 상부 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의 하부나사부가 상기 내부 체결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상부 나사부 및 하부 나사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는 뒤집어진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상부 나사부 및 하부 나사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상부 나사부 및 하부 나사부보다 직경이 큰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는,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며 어버트먼트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픽스쳐 몸체부와,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나사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 및 상기 상부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이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1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2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암나사홈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수평면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은,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과 제2안착면의 사이에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은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는,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며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체결용 홈이 마련되는 픽스쳐; 및 상기 체결용 홈에 삽입되는 결합용 나사부와, 상기 결합용 나사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 몸체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된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픽스쳐의 상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1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체결용 홈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2안착면으로부터 상기 결합용 나사부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수평면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은,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체결용 홈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과 제2안착면의 사이에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에서, 상기 제1안착면은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는,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로서, 상기 픽스쳐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상부 결합부와 결합되는 내부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부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는,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며 어버트먼트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픽스쳐 몸체부와,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 및 상기 상부 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내부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버부재는,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을 위한 커버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과 결합되어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커버부재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이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의 상단에 마련된 제1안착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결합됨으로서 커버부재의 하단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과 함께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안착면이 마련된다.
상기 커버부재에서, 커버부재의 하단은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보다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임플란트의 삽입물 상단보다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위치고정하기 위한 제1안착면 및 제2안착면이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위치고정된 치과용 멤브레인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도록 골 이식재를 덮고, 이에 따라서 주변 치은을 손상시키거나 치은을 뚫고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의 분리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주요 구성의 도면.
도 5는 도 2의 결합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의 주요 구성의 도면.
도 8은 도 6 및 7의 구성을 가지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의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의 주요 구성의 도면.
도 11은 도 9의 구성을 가지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의 단면도.
도 13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0)는, 골 이식재(BG; Bone Graft)를 덮어 치조골(B;Bone) 재생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0)는, 픽스쳐(110), 어버트먼트(120) 및 커버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스쳐(110)는 인터널 타입의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치조골(B)에 식립되며 외주면에 나사산(1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인공치근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픽스쳐(110)는 인체에 삽입되었을 때 무해한 티타늄 합금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가 사용가능하다. 상기 픽스쳐(110)는 그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연장되는 체결용 홈(11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체결용 홈(111) 내에는 암나사산(112)이 형성되어 있어 어버트먼트(1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픽스쳐(110)는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단으로 갈수록 다소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며 하측에는 치조골(B) 내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커팅날(113)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어버트먼트(120)는 상기 픽스쳐(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치과용 멤브레인(M)를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어버트먼트(120)는, 하부 나사부(121), 몸체부(122), 및 상부 나사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나사부(121)는 상기 몸체부(122)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부 나사부(121)에는 외주면에 숫나사(12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픽스쳐(110)의 체결용 홈(111)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22)는 하부가 상기 픽스쳐(110) 내에 삽입되며 상부는 상기 픽스쳐(1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0)를 픽스쳐(110)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시켜 골이식재(BG)가 채워지기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시키게 한다. 이러한 몸체부(122)는 대략 뒤집어진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22)의 하단 직경은 상기 하부 나사부(121)의 외경보다도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22)의 상단 직경은 상기 상부 나사부(12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22)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Membrane)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122a) 및 상기 제1안착면(122a)으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123)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122b)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안착면(122a)은 가장자리보다 중앙측에 근접한 부분의 높이가 높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대략 볼록한 라운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다만,제1안착면(122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선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고, 오목한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 나사부(123)는, 상기 몸체부(122)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 나사부(123)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130)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부 나사부(123)에는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향하여 연장되며 다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체결홈(123a)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123a)는 회전을 위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공구가 상기 체결홈(123a)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어버트먼트가 공구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각 단면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라면 어떠한 단면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커버부재(130)는, 상기 어버트먼트(1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됨으로서,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커버부재(130)는 대략 원판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단 가장자리가 라운드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커버부재(130)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상부 나사부(123)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131)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30)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122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안착면(132) 및 상기 제1수평면(122b)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수평면(133)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안착면(132)은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높이가 상승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1수평면(122b)은 상기 제2안착면(132)으로부터 상기 암나사홈(131)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부재(130)가 상기 어버트먼트(120)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제1안착면(122a)과 제2안착면(132)은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과 접촉하여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는데, 이때 상기 제1안착면(122a)과 제2안착면(132)의 사이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치조골(B) 재생을 위하여 치조골(B)에 픽스쳐(110)가 식립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120)를 상기 픽스쳐(110)에 체결한다. 이후에 치조골(B)에서 결손된 부위에 필요한 골 이식재(BG)를 채운 후에 상기 골 이식재(BG)를 덮도록 치과용 멤브레인(M)을 덮는다. 이후에 커버부재(130)를 상기 어버트먼트(120)에 체결함으로서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이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주변 치은(G)을 당겨서 골 결손부위를 봉합한다.
이때, 치과용 멤브레인(M)은, 중앙 부분의 상하면이 제1안착면(122a)과 제2안착면(132)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위치고정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안착면(122a)과 제2안착면(132)의 가장자리측은 낮고 중앙과 근접한 부분은 높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어버트먼트(120)로부터 돌출되어 골 결손부위를 감싸는 치과용 멤브레인(M)의 측면은 상기 어버트먼트(12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적으로 하강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즉, 치과용 멤브레인(M)에서 골 결손부위를 감싸는 부분은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상을 가지면서 하강하는 방패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치과용 멤브레인(M)이 방패형상(또는 우산형상)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서 치과용 멤브레인(M)의 가장자리 끝단부는 골 결손부위를 자연스럽게 감싸게 되고 치은(G) 봉합을 하는 과정에서 치은(G)이 손상되거나 치과용 멤브레인(M)이 치은(G)을 뚫고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치과용 멤브레인(M)을 감싸는 치은(G)이 손상되지 않고 찢어짐이 없음에 따라서 외부의 이물질이 골 결손부위 내에 침투하거나 세균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치조골(B) 재생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은이 멤브레인에 긁힐 염려가 없어 치은에 염증이 발생할 염려가 없게 된다.
도 6 내지 8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200)는,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0)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치과용 멤브레인과 접촉되는 안착구조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200)는, 픽스쳐(210), 어버트먼트(220) 및 커버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스쳐(2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커팅날(213)이 마련되며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체결용 홈(211)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픽스쳐와 구조상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어버트먼트(220)는, 상기 픽스쳐(2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치과용 멤브레인(M)을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나사부(221), 몸체부(222) 및 상부 나사부(223)를 포함한다. 하부 나사부(221) 및 상부 나사부(223)는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구성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몸체부(222)는 상기 하부 나사부(221)와 상기 상부 나사부(223)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인 형상은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구성과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Membrane)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222a)이 상부 나사부(223)까지 연장되어 있는 점에 있어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구성과 차이가 있다.
상기 커버부재(230)도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구성과 유사하나, 제2 안착면(232)이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암나사홈(231)까지 연장되어 있는 점이 다소 차이가 있다.
이때, 제1안착면(222a)과 제2안착면(232)은 직선형 또는 라운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안착면(222a)이 가장자리로부터 상부 나사부(223)까지 길게 연장됨에 따라서 치과용 멤브레인(M)을 확실하게 방패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외 다른 장점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구성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9 내지 도 11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300)는,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0)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치과용 멤브레인과 접촉되는 어버트먼트의 형상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이에 대해서 설명하면,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300)는, 픽스쳐(310), 어버트먼트(320) 및 커버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스쳐(3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커팅날이 마련되며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체결용 홈(311)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픽스쳐와 구조상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어버트먼트(320)는, 상기 픽스쳐(3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치과용 멤브레인(M)을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나사부(321), 몸체부(322) 및 상부 나사부(323)를 포함한다. 하부 나사부(321) 및 상부 나사부(323)는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구성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몸체부(322)는, 2단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부 몸체부(322'')와 상부 몸체부(3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몸체부(322'')는, 상기 하부 나사부(321)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부 몸체부(322'')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기 하부 나사부(321)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부 몸체부(322'')의 외경은 상기 하부 나사부(321)의 외경보다 큰 것이 좋다.
상기 상부 몸체부(322')는, 상기 상부 나사부(323)와 상기 하부 몸체부(322'')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 몸체부(322'';)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 나사부(323)는 상기 상부 몸체부(322')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322)의 상단에 제1안착면(322a) 및 제1수평면(322b)이 마련되어 있는 것은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몸체부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 커버부재(330)는 상기 어버트먼트(3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커버부재(13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400)는, 도 9 내지 도 11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300)과 거의 유사하나 치과용 멤브레인(M)을 안착하는 구조에서 다소 차이가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400)는, 픽스쳐(410), 어버트먼트(420) 및 커버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스쳐(4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커팅날이 마련되며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체결용 홈(411)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9 내지 도 11에 개시된 픽스쳐와 구조상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어버트먼트(420)는, 하부 나사부(421), 몸체부(422) 및 상부 나사부(423)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부 나사부(421), 상부 나사부(423)는 도 9 내지 도 11에 개시된 상부 나사부 및 하부 나사부와 동일하다. 또한, 몸체부(422)가 상부 몸체부(422')와 하부 몸체부(422'')로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도 도 9 내지 도 11에 개시된 상부 몸체부 및 하부 몸체부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Membrane)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422a)이 상부 나사부(423)까지 연장되어 있는 점에 있어 도 9 내지 도 11에 개시된 구성과 차이가 있다.
또한, 커버부재(430)도 전체적으로 도 9 내지 도 11에 개시된 커버부재와 유사하나, 제2 안착면(432)이 가장자리로부터 암나사홈(431)까지 연장되어 있다는 점이 다소 차이가 있다.
도 14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500)는,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0)와 달리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서로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 있어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500)는, 골 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510)와, 커버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510)는, 픽스쳐 몸체부(511)와, 상부 나사부(5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스쳐 몸체부(511)는 치조골에 식립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되며 어버트먼트가 상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픽스쳐 몸체부(511)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511a) 및, 상기 제1안착면(511a)으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512)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511b)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530)는, 상부 나사부(51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531)이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5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부재(530)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511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532) 및, 상기 제2안착면(532)으로부터 상기 암나사홈(531)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수평면(533)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안착면(511a)과 제2안착면(532)의 사이에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는, 치조골에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를 식립한 후에 결손된 치조골에 골 이식재를 채우고 그 골 이식재 위에 치과용 멤브레인을 배치시킨 후에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에 결합하면서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효과면에서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600)는, 도 14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500)와 유사하나 치과용 멤브레인 안착방식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600)는,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610)와, 커버부재(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610)는, 치조골에 식립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되며 어버트먼트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픽스쳐 몸체부(611)와,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나사부(612)를 포함하는 점에 있어서는 도 14에 개시된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610)는, 제1안착면(611a)이 가장자리로부터 상부 나사부(612)까지 연장되어 있다는 점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또한, 커버부재(630)가 상기 상부 나사부(61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631)을 마련하고,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6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는 점에 있어서는 도 14에 개시된 커버부재와 유사하다. 다만, 커버부재(630)의 하단에 제2안착면(632)이 가장자리로부터 암나사홈(631)까지 연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도 16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700)는,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픽스쳐(710)와 커버부재(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스쳐(710)는, 치조골에 식립되고 나사산(713)이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체결용 홈(712)이 마련되는 것으로서,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픽스쳐(710)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되도록 연장되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되는 제1안착면(711a) 및 상기 제1안착면(711a)으로부터 상기 체결용 홈(712)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711b)이 마련된다. 이때, 제1안착면(711a)은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720)는, 상기 체결용 홈(712)에 삽입되는 결합용 나사부(722)와, 결합용 나사부(722)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몸체부(7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커버부재(720)는 상기 픽스쳐(7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용 나사부(722)는 하부에 숫나사가 마련되는 나사부와 원기둥형태로 연장된 원기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몸체부(721)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711a)과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제1안착면(711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721a) 및, 상기 제2안착면(721a)으로부터 상기 결합용 나사부(722)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수평면(721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안착면(711a)과 제2안착면(721a)의 사이에는 치과용 멤브레인(M)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는, 치조골에 픽스쳐를 식립한 후에 결손된 치조골에 골 이식재를 채우고 그 골 이식재 위에 치과용 멤브레인을 배치시킨 후에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픽스쳐에 결합하면서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효과면에서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800)는, 도 16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700)와 유사하나 치과용 멤브레인 안착방식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800)는, 픽스쳐(810)와, 커버부재(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픽스쳐는, 치조골에 식립되고 나사산(813)이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체결용 홈(812)이 마련되는 점에 있어서는 도 16에 개시된 픽스쳐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는, 제1안착면(811a)이 가장자리로부터 체결용 홈(812)까지 연장되어 있다는 점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또한, 커버부재(820)가 상기 체결용 홈(812)에 삽입되는 결합용 나사부(822)와, 상기 결합용 나사부(822)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몸체부(821)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8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는 점에 있어서는 도 16에 개시된 커버부재와 유사하다. 다만, 커버부재(820)의 하단에 배치된 제2안착면(821a)이 가장자리로부터 결합용 나사부(822)까지 연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도 18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900)는, 도 2 내지 5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픽스쳐가 익스터널(external) 타입으로 이루어진 점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900)는, 픽스쳐(910), 어버트먼트(920) 및 커버부재(9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픽스쳐(910)는 치조골에 식립되고 나사산이 외주면에 마련되되, 상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상부 돌출부(912)와, 상기 상부돌출부(912)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홈 형태의 내부체결부(9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익스터널 타입의 픽스쳐이다.
상기 어버트먼트(920)는, 상기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로서,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하부 나사부(921)와, 상기 하부 나사부(921)의 상측에 배치되는 몸체부(922)와, 상기 몸체부(922)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상부 나사부(923)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922)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922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930)는, 상기 상부 나사부(923)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931)이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9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부재(930)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922a)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932)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제1안착면(922a)과, 상부 나사부(923) 사이에는 제1수평면(922b)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2안착면(932)과 암나사홈(931) 사이에는 제2수평면(933)이 마련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000)는, 도 18에 개시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와 유사하지만, 제1수평면 및 제2수평면이 없이 제1안착면과 제2안착면만이 개시되어 있는 점이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1100)는, 픽스쳐(1110), 어버트먼트(1120) 및 커버부재(1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술한 차이점 이외에도 도 18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에 개시된 도면은, 치과용 멤브레인의 커버부재(1130)가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때, 커버부재(1130)는 골이식재(BG)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을 위한 커버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과 결합되어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하기 위한 커버부재이다. 이러한 커버부재(1130)는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치과용 멤브레인(M)의 하면이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의 어버트먼트(1120) 상단에 마련된 제1수평면(1122b)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의 어버트먼트(1120)에 결합됨으로서 커버부재(1130)의 하단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과 함께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을 고정한다. 이때, 커버부재(1130)의 하단은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의 어버트먼트(1120) 상단보다 바깥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의 어버트먼트(1120) 상단보다 큰 외경을 가지되, 상기 커버부재(1130)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M)의 상면과 접촉하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커버부재(1130)의 하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안착면(1132)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2안착면(1132)은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커버부재에서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의 어버트먼트(1120) 상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하단에는 수평하게 연장된 제2수평면(1133)이 마련되어 있으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의 어버트먼트(1120) 상단에도 수평하게 연장된 제1수평면(1122b)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커버부재(1130)와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이 치과용 멤브레인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된 부분에는 수평하게 치과용 멤브레인(M)을 지지하고 있으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로부터 벗어난 구간에서는 상기 커버부재(1130)만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을 하측으로 누르게 된다. 이때, 치과용 멤브레인(M)은 상기 반경방향 외측(또는 바깥방향 내지 좌우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커버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제2안착면(1132)에 의하여 하측방향으로 라운드되면서 굴곡진 형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 "임플란트용 삽입물"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를 합쳐서 언급하는 용어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 또는 픽스쳐 자체만을 언급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20에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1110, 1120)의 어버트먼트(1120) 상단(또는 제1안착면)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큰 외경을 가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하거나 다소 작은 외경을 가지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픽스쳐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변 치조골과 골융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수의 볼록형상이 외주면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며 기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어버트먼트의 몸체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숫나사가 형성된 상부 나사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며 숫나사가 형성된 하부 나사부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어버트먼트가 커버부재와 결합하거나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컨데, 몸체부의 상측에는 커버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 등 공지의 구조를 가지는 상부 돌출부가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며, 몸체부의 하측에는 픽스쳐와 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 등 공지의 구조를 가지는 하부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다.

Claims (27)

  1.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로서,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하부 나사부와, 상기 하부 나사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상부 나사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상부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이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의 몸체부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1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2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암나사홈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수평면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과 제2안착면의 사이에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6.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은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나사부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형성되며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체결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체결용 홈을 포함하는 인터널 타입이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하부나사부가 상기 체결용 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는,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상부 돌출부와, 상기 상부돌출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내부체결부를 가지는 익스터널 타입이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상기 상부 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하부홈부를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의 하부나사부가 상기 내부 체결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나사부 및 하부 나사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는 뒤집어진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나사부 및 하부 나사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상부 나사부 및 하부 나사부보다 직경이 큰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2.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며 어버트먼트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픽스쳐 몸체부와,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나사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 및
    상기 상부 나사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암나사홈이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1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2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암나사홈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수평면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은,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상부 나사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과 제2안착면의 사이에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7. 제13항, 제14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은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8.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며 상단 중앙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체결용 홈이 마련되는 픽스쳐; 및
    상기 체결용 홈에 삽입되는 결합용 나사부와, 상기 결합용 나사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고정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 몸체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의 상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1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체결용 홈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면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2안착면으로부터 상기 결합용 나사부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수평면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은,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체결용 홈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과 제2안착면의 사이에는 치과용 멤브레인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23. 제18항, 제19항 또는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면은 직선형 또는 라운드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24.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로서, 상기 픽스쳐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상부 결합부와 결합되는 내부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어버트먼트의 몸체부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25.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며 어버트먼트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픽스쳐 몸체부와,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상부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 및
    상기 상부 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내부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어버트먼트 일체형 픽스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픽스쳐 몸체부의 상단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상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1안착면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안착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2안착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26. 골이식재를 덮어 치조골 생성을 유도하는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을 위한 커버부재로서,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과 결합되어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기 위한 커버부재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치과용 멤브레인의 하면이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의 상단에 마련된 제1안착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에 결합됨으로서 커버부재의 하단이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과 함께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을 고정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치과용 멤브레인의 상면과 접촉하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 중앙을 향하여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2안착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27. 제26항에 있어서,
    커버부재의 하단은 상기 임플란트용 삽입물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임플란트의 삽입물 상단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PCT/KR2013/000197 2012-01-20 2013-01-10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WO201310901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812 2012-01-20
KR1020120006812A KR101261541B1 (ko) 2012-01-20 2012-01-20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9018A1 true WO2013109018A1 (ko) 2013-07-25

Family

ID=48665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0197 WO2013109018A1 (ko) 2012-01-20 2013-01-10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1541B1 (ko)
WO (1) WO201310901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5117A4 (de) * 2014-04-15 2015-06-15 Sonnleitner Dietmar Dr Zahnimplantatsystem
WO2020008138A1 (fr) * 2018-07-03 2020-01-09 Finelle Gary Pilier et dispositif de cicatrisation pour implant dentaire
WO2022154813A1 (en) * 2021-01-12 2022-07-21 Italo Lozada Inter dental implant
GB2603162A (en) * 2021-01-28 2022-08-03 Neoss Ltd Dental implant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88020B1 (en) * 2015-12-08 2020-08-26 Fims Co., Ltd. Membrane installation kit
KR102182882B1 (ko) * 2016-12-30 2020-11-2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돼지 진피-유래 치과용 차폐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2883B1 (ko) * 2016-12-30 2020-11-2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콜라겐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3471B1 (ko) 2020-11-30 2021-07-30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츄어 가이드 커버
KR102418760B1 (ko) * 2021-11-24 2022-07-0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1106B1 (en) * 1919-09-14 2001-01-09 Gc Corporation Cover screw for dental implant
US20030118968A1 (en) * 2001-12-20 2003-06-26 Massoud Yehia Aly Dental implant and method to regain interproximal bone and reconstruct the interdental papilla
KR20100102403A (ko) * 2009-03-11 2010-09-24 차현인 스크류를 이용한 초기고정 임플란트
KR101053052B1 (ko) * 2010-06-12 2011-08-01 임익준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KR20110111116A (ko) * 2010-04-02 2011-10-10 (주) 시원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1638B2 (ja) 2007-07-27 2009-08-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1106B1 (en) * 1919-09-14 2001-01-09 Gc Corporation Cover screw for dental implant
US20030118968A1 (en) * 2001-12-20 2003-06-26 Massoud Yehia Aly Dental implant and method to regain interproximal bone and reconstruct the interdental papilla
KR20100102403A (ko) * 2009-03-11 2010-09-24 차현인 스크류를 이용한 초기고정 임플란트
KR20110111116A (ko) * 2010-04-02 2011-10-10 (주) 시원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KR101053052B1 (ko) * 2010-06-12 2011-08-01 임익준 잇몸 봉합 부위 보호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5117A4 (de) * 2014-04-15 2015-06-15 Sonnleitner Dietmar Dr Zahnimplantatsystem
AT515117B1 (de) * 2014-04-15 2015-06-15 Dietmar Dr Sonnleitner Zahnimplantatsystem
WO2020008138A1 (fr) * 2018-07-03 2020-01-09 Finelle Gary Pilier et dispositif de cicatrisation pour implant dentaire
FR3083439A1 (fr) * 2018-07-03 2020-01-10 Gary Finelle Pilier et dispositif de cicatrisation pour implant dentaire
WO2022154813A1 (en) * 2021-01-12 2022-07-21 Italo Lozada Inter dental implant
US11766315B2 (en) 2021-01-12 2023-09-26 Italo Lozada Inter dental implant
GB2603162A (en) * 2021-01-28 2022-08-03 Neoss Ltd Dental implant assembly
GB2603162B (en) * 2021-01-28 2023-10-11 Neoss Ltd Dental implan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541B1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09018A1 (ko) 치과용 멤브레인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
WO2017146478A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WO2017204479A1 (ko) 나사풀림방지 구조를 갖춘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WO2014003484A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13077672A1 (ko) 힐링 어버트먼트
WO2020230917A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ES2819224T3 (es) Pilar
WO2013125924A1 (ko)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WO2022124666A1 (ko) 모래시계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이용한 크라운 제작방법
WO2011132843A2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WO2017126821A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WO2013095077A1 (ko) 치과용 멤브레인
WO2020179958A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15076530A1 (ko)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WO2022124667A1 (ko)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WO2015133733A1 (ko) 틀니 고정용 어태치먼트
WO2020230916A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WO2015105227A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21215851A1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결합조립체
WO2016024681A1 (ko) 임플란트용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드릴 장치
WO2019112195A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WO2020230918A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WO2015012430A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WO2019103294A1 (ko) 인조치아 고정장치
WO2011027975A2 (en) Dental implant assembly having settlement-preventing ste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380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380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