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246A -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246A
KR20200137246A KR1020190063281A KR20190063281A KR20200137246A KR 20200137246 A KR20200137246 A KR 20200137246A KR 1020190063281 A KR1020190063281 A KR 1020190063281A KR 20190063281 A KR20190063281 A KR 20190063281A KR 20200137246 A KR20200137246 A KR 20200137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ring
abutment
elastic coupling
shape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홍
Original Assignee
(주) 코웰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웰메디 filed Critical (주) 코웰메디
Priority to KR1020190063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7246A/ko
Publication of KR20200137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의 결합부위에 탄성결합이 적용됨에 따라 크라운의 추가보정시술 또는 교환 시에 크라운이 결합부위의 파손없이 어버트먼트로부터 더욱 신속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으며 크라운이 외력에 의한 회동이나 유동없이 어버트먼트에 결합될 수 있는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치조골에 매립고정되고 체결공이 형성되는 픽스쳐와,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볼트삽입공이 관통형성되고 상측 둘레에는 제 1 안착단턱과 제 2 안착단턱이 이격형성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체결볼트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픽스쳐의 체결공에 체결되면서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기 픽스쳐에 가압고정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제 1 안착단턱에 안착고정되고 원주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 1 슬릿이 이격형성되며 상기 제 1 슬릿 사이에는 제 1 탄성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제 1 링형스프링과, 상기 어버트먼트의 제 2 안착단턱에 안착고정되고 원주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 2 슬릿이 이격형성되며 하단 둘레에는 외주면에 제 2 탄성결합돌기가 형성된 지지다리가 이격형성되는 제 2 링형스프링과, 내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링형스프링이 결합된 어버트먼트에 끼워져 결합되는 착탈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결합홈 내에는 상기 제 1 링형스프링의 제 1 탄성결합돌기와 상기 제 2 링형스프링의 제 2 탄성결합돌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탄성결합홈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입형성되며 외부에는 크라운이 일체로 형성되는 크라운캡을 포함하는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DUAL BUSHING TYPE DENTAL IMPLANT WHICHOF CROWN IS DETACHED EASILY}
개시된 내용은 치조골에 고정되어 결손된 치아를 보충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음식물을 잘게 부수거나 갈아서 소화가 잘 되도록 도와주는 저작기능을 담당하는 신체조직이다. 이러한 치아가 예를 들어 충치로 인한 발치 등에 의해 소실될 경우에는 저작기능 상의 문제가 초래되어 음식을 제대로 씹을 수 없고 소화가 잘 안 되므로, 음식을 마음껏 먹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영양분의 원활한 섭취도 곤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치아는 예로부터 신체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왔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통상 인간은 상악에 16개의 치아와 하악에 16개의 치아를 포함하여 총 32개의 치아를 가지며, 유아기에 생성된 유치가 아동기에 1회에 걸쳐 영구치로 교체된 후 평생동안 영구치를 이용하여 구강활동을 수행한다.
인간의 치아는 아동기에 1회에 걸쳐 영구치로 교체된 이후에는 치아를 상실하게 되더라도 더 이상 새로운 치아가 생겨나지 않으므로, 치과에서 보철치료를 통해 상실된 치아나 그 주위조직을 수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브릿지, 부분틀니, 틀니 등과 같은 보편적인 보철의 경우에는 이물감 등에 의해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치아 결손시 주위의 치아나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거의 자연치아와 동일한 모든 기능과 외관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가 각광을 받고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크게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쳐(fixture)와, 이 픽스쳐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와, 이 어버트먼트에 일체로 결합되는 크라운(crown)으로 이루어진다. 픽스쳐는 치조골 속에 매립고정되는 인공치근에 해당하고, 어버트먼트는 픽스쳐와 크라운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크라운은 자연치아와 동일한 형태 및 기능을 재현하는 인공치아에 해당된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픽스쳐와 어버트먼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임플란트고정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어머트먼트를 픽스쳐에 체결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가 어버트먼트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어버트먼트와 별개로 분리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경우에는 인공치아에 해당하는 크라운의 추가보정시술 또는 교환을 위해 크라운을 임플란트고정체 또는 어버트먼트로부터 분리해야 할 필요가 종종 있다.
이러한 크라운의 착탈을 용이게 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69348호(2018.06.20. 공고)에는 치조골에 매식되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잇몸식립부와 상기 잇몸식립부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부결합체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상부결합부를 포함하는 하부고정체와, 상기 상부결합부와 체결되도록 상부결합부수용부를 포함하되, 외주면에 크라운이 결합되는 상부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잇몸식립부는 상기 잇몸식립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커팅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결합부는 상부결합체의 제 2 체결부와 체결되기 위해 형성되며, 상부결합부의 일측 둘레를 따라 홈이 길게 형성되는 제 1 체결부와, 상부결합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되, 치조골에 매식된 하부고정체가 역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결합부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고, 뾰족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잇몸에 식립되기 위한 식립역방향이탈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결합체는 상기 하부고정체의 제 1 체결부와 체결되기 위해 형성되되, 볼 형태의 제 2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고정체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33258호(2016.06.27. 공고)에는 임플란트 상부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이 부착되며, 상기 어버트먼트 상부와 결합되는 크라운결합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임플란트와 결합되는 임플란트결합부와, 크라운결합구조물과 결합되는 결합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구조체에는, 어버트먼트 상부 외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볼이 안착되는 볼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크라운결합구조물에는, 크라운이 부착되는 크라운부착부와, 어버트먼트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버트먼트결합부는, 상기 결합구조체가 인입되는 어버트먼트결합부몸체와, 다수개의 어버트먼트고정볼과, 일측이 절개된 고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어버트먼트결합부몸체에는, 내부방향으로 갈수록 반경이 점점 줄어들도록 형성된 다수의 어버트먼트고정볼홀이 형성되며, 상기 어버트먼트고정볼홀은 상기 어버트먼트고정볼과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어버트먼트고정볼은 어버트먼트고정볼홀에 수용되며, 상기 고정링은, 상기 어버트먼트고정볼이 수용된 다수의 어버트먼트고정볼홀 외부에 형성되고, 어버트먼트와 결합시, 어버트먼트고정볼이 볼안착부에 고정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이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경우에는 임플란트고정체 또는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의 결합부위에 볼과 이 볼에 대응되는 볼안착부만 개시될 뿐 적절한 탄성결합이 고려되지 않아 크라운의 분리시에 볼과 같은 결합부분이 파손됨으로 인해 크라운의 재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69348호(2018.06.20. 공고)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33258호(2016.06.27. 공고)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의 결합부위에 탄성결합이 적용됨에 따라 크라운의 추가보정시술 또는 교환 시에 크라운이 결합부위의 파손없이 어버트먼트로부터 더욱 신속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크라운이 외력에 의한 회동이나 유동없이 어버트먼트에 결합될 수 있는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치조골에 매립고정되고 체결공이 형성되는 픽스쳐와,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볼트삽입공이 관통형성되고 상측 둘레에는 제 1 안착단턱과 제 2 안착단턱이 이격형성되는 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체결볼트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픽스쳐의 체결공에 체결되면서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기 픽스쳐에 가압고정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제 1 안착단턱에 안착고정되고 원주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 1 슬릿이 이격형성되며 상기 제 1 슬릿 사이에는 제 1 탄성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제 1 링형스프링과, 상기 어버트먼트의 제 2 안착단턱에 안착고정되고 원주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 2 슬릿이 이격형성되며 하단 둘레에는 외주면에 제 2 탄성결합돌기가 형성된 지지다리가 이격형성되는 제 2 링형스프링과, 내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링형스프링이 결합된 어버트먼트에 끼워져 결합되는 착탈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결합홈 내에는 상기 제 1 링형스프링의 제 1 탄성결합돌기와 상기 제 2 링형스프링의 제 2 탄성결합돌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탄성결합홈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입형성되며 외부에는 크라운이 일체로 형성되는 크라운캡을 포함하는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제 1 링형스프링의 제 1 탄성결합돌기와 상기 제 2 링형스프링의 제 2 탄성결합돌기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크라운캡의 제 1 및 제 2 탄성결합홈은 상기 제 1 링형스프링의 제 1 탄성결합돌기와 상기 제 2 링형스프링의 제 2 탄성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링형스프링의 상측에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육각돌출부가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는,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캡의 결합부위에 제 1 및 제 2 링형스프링이 개재되어 크라운캡이 어버트먼트에 탄성적으로 결합가능하되 일정 크기 이상의 힘에 의해서만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크라운이 일체로 형성되는 크라운캡이 결합부위의 파손없이 어버트먼트로부터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는, 제 1 링형스프링의 제 1 탄성결합돌기와 제 2 링형스프링의 제 2 탄성결합돌기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크라운캡의 하향 결합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되 크라운의 추가보정시술 또는 교환 시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상부방향으로 가해질 경우에만 크라운캡이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는, 어버트먼트와 크라운캡의 결합부위에 2개의 링형스프링, 즉 제 1 및 제 2 링형스프링이 동시에 개재됨에 따라 크라운이 외력에 의한 회동이나 유동없이 어버트먼트에 결합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의 단면구조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의 단면구조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치조골에 매립고정되고 체결공(11)이 형성되는 픽스쳐(10)와,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볼트삽입공(21)이 관통형성되고 상측 둘레에는 제 1 안착단턱(23)과 제 2 안착단턱(25)이 이격형성되는 어버트먼트(20)와, 어버트먼트(20)의 체결볼트삽입공(21)을 관통하여 픽스쳐(10)의 체결공(11)에 체결되면서 어버트먼트(20)를 픽스쳐(10)에 가압고정하는 체결볼트(30)와, 어버트먼트(20)의 제 1 안착단턱(23)에 안착고정되고 원주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 1 슬릿(41)이 이격형성되며 제 1 슬릿(41) 사이에는 제 1 탄성결합돌기(43)가 형성되는 제 1 링형스프링(40)과, 어버트먼트(20)의 제 2 안착단턱(25)에 안착고정되고 원주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 2 슬릿(51)이 이격형성되며 하단 둘레에는 외주면에 제 2 탄성결합돌기(53)가 형성된 지지다리(55)가 이격형성되는 제 2 링형스프링(50)과, 내부에는 제 1 및 제 2 링형스프링(40, 50)이 결합된 어버트먼트(20)에 끼워져 결합되는 착탈결합홈(61)이 형성되고 착탈결합홈(61) 내에는 제 1 링형스프링(40)의 제 1 탄성결합돌기(43)와 제 2 링형스프링(50)의 제 2 탄성결합돌기(53)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탄성결합홈(63, 65)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입형성되며 외부에는 크라운(미도시)이 일체로 형성되는 크라운캡(60)을 포함한다.
여기서, 픽스쳐(10)는 치조골에 매립고정되는 인공치근에 해당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치조골 내에 매립고정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어버트먼트(20)의 체결고정을 위한 체결공(11)이 형성된다.
픽스쳐(10)의 구조, 재질 및 제조방법은 이미 치과용 임플란트 분야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픽스쳐(10)에는 어버트먼트(20)가 가압고정된다. 어버트먼트(20)는 치조골에 매립되는 픽스쳐(10)와 인공치아에 해당하는 크라운이 일체로 형성된 크라운캡(6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하측은 픽스쳐(10)에 가압고정되고 상측에는 크라운캡(6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어버트먼트(20)의 내부에는 체결볼트(30)의 관통결합을 위한 체결볼트삽입공(21)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다. 또한 어버트먼트(20)의 상측 둘레에는 제 1 링형스프링(40)이 안착결합되는 제 1 안착단턱(23)과, 제 2 링형스프링(50)이 안착결합되는 제 2 안착단턱(25)이 이격형성된다.
어버트먼트(20)는 제 1 안착단턱(23)과 제 2 안착단턱(25)이 이격형성되는 것만 제외하고는 통상의 어버트먼트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어버트먼트(20)는 체결볼트삽입공(21)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픽스쳐(10)의 체결공(11)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볼트(30)에 의해 픽스쳐(10)에 가압고정된다. 체결볼트(30)의 구성, 재질 및 체결방법 등은 통상의 임플란트용 체결볼트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어버트먼트(20)의 제 1 안착단턱(23)에는 제 1 링형스프링(40)이 자체 탄성에 의해 안착고정된다. 제 1 링형스프링(40)은 어버트먼트(20)의 상측에 크라운캡(6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결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크라운캡(60)이 임의이탈되지 않도록 파지하는 일종의 리텐션 스프링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링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링형스프링(40)의 원주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 1 슬릿(41)이 이격형성된다. 제 1 링형스프링(40)의 제 1 슬릿(41)은 180도 각도간격으로 각각 1개씩 총 2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20도 각도간격으로 각각 1개씩 총 3개가 이격되어 형성되거나 90도 각도간격으로 각각 1개씩 총 4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슬릿(41)은 제 1 링형스프링(40)의 상단에서 하측에 이르기까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슬릿(41) 사이, 즉 제 1 링형스프링(40)의 원주 둘레에서 제 1 슬릿(41)을 제외한 부분에는 제 1 탄성결합돌기(43)가 형성된다. 제 1 탄성결합돌기(43)는 어버트먼트(20)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크라운캡(6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 1 링형스프링(40)의 외주면에 동일원 상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 1 링형스프링(40)의 제 1 탄성결합돌기(43)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이에 결합되는 크라운캡(60)의 제 1 탄성결합홈(63)은 제 1 링형스프링(40)의 제 1 탄성결합돌기(4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크라운캡(60)이 어버트먼트(20)에 하향 결합될 경우에는 제 1 탄성결합돌기(43)의 하향 경사부분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되되 크라운의 추가보정시술 또는 교환을 위해 크라운캡(60)을 어버트먼트(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 1 탄성결합돌기(43)의 반경방향 내측절곡 부분에 의해 탄성 걸림턱이 형성됨에 따라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상부방향으로 가해질 경우에만 크라운캡(60)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어버트먼트(20)의 제 2 안착단턱(25)에는 제 2 링형스프링(60)이 자체 탄성에 의해 안착고정된다. 제 2 링형스프링(50)은 어버트먼트(20)의 상측에 크라운캡(6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결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크라운캡(60)이 임의이탈 또는 임의 회동되지 않도록 파지하는 일종의 리텐션 스프링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확장되는 링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링형스프링(50)의 원주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 2 슬릿(51)이 이격형성된다. 제 2 링형스프링(50)의 제 2 슬릿(51)은 120도 각도간격으로 각각 1개씩 총 3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180도 각도간격으로 각각 1개씩 총 1개가 이격되어 형성되거나 90도 각도간격으로 각각 1개씩 총 4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슬릿(51)은 제 2 링형스프링(50)의 상단에서 하측에 이르기까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링형스프링(50)의 하단 둘레에는 외주면에 제 2 탄성결합돌기(53)가 형성된 지지다리(55)가 이격형성된다. 이 때 지지다리(55)는 90도 각도간격으로 각각 1개씩 총 4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90도 각도간격으로 각각 1개씩 총 4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60도 각도간격으로 각각 1개씩 총 6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다리(55)에 형성되는 제 2 탄성결합돌기(53)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크라운캡(60)의 제 2 탄성결합홈(65)은 제 2 링형스프링(50)의 제 2 탄성결합돌기(5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크라운캡(60)이 어버트먼트(20)에 하향 결합될 경우에는 제 2 탄성결합돌기(53)의 하향 경사부분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되되 크라운의 추가보정시술 또는 교환을 위해 크라운캡(60)을 어버트먼트(2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 2 탄성결합돌기(53)의 반경방향 내측절곡 부분에 의해 탄성 걸림턱이 형성됨에 따라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상부방향으로 가해질 경우에만 크라운캡(60)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 1 및 제 2 링형스프링(40, 50)이 결합된 어버트먼트(20)에는 크라운캡(6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크라운캡(60)은 인공치아를 형성하는 크라운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링형스프링(40)의 제 1 탄성결합돌기(43)와 제 2 링형스프링(50)의 제 2 탄성결합돌기(53)에 의해 어버트먼트(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크라운캡(60)의 내부에는 제 1 및 제 2 링형스프링(40, 50)이 결합된 어버트먼트(20)의 상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착탈결합홈(61)이 형성되는데, 이 착탈결합홈(61)은 어버트먼트(20)의 상측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상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착탈결합홈(61) 내에는 제 1 링형스프링(40)의 제 1 탄성결합돌기(43)와 제 2 링형스프링(50)의 제 2 탄성결합돌기(53)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탄성결합홈(63, 65)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입형성된다.
크라운캡(60)에 일체로 형성되는 크라운은 단일 크라운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브릿지형 크라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크라운캡(60)에 일체로 형성되는 크라운이 단일 크라운으로 형성될 경우에 제 2 링형스프링(50)의 상측에는 어버트먼트(20)가 외력에 의해 임의 회전되거나 좌우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육각돌출부(5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라운캡(60)에 일체로 형성되는 크라운이 브릿지형 크라운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2개 이상의 고정부위에 의해 크라운의 임의회전이 자동으로 방지되므로, 육각돌출부(57)가 형성될 필요없이 일반적인 링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어버트먼트(20)에 대한 크라운캡(60)의 기밀적 결합을 위해 어버트먼트(20)의 상측 둘레에는 패킹링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버트먼트(20)의 상측 둘레에는 패킹링결합홈이 형성되고 크라운캡(60)의 착탈결합홈(61) 내에는 패킹링이 삽입되는 패킹링홈이 반경방향으로 함입형성된다.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순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순서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픽스쳐(10)가 치조골 내에 매립고정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링형스프링(40)을 어버트먼트(20)에 끼워 결합한 후 제 2 링형스프링(50)을 어버트먼트(20)에 끼워 결합한다. 그 다음에 어버트먼트(20)의 하부를 픽스쳐(10)의 상측에 끼워넣은 후 체결볼트(30)를 어버트먼트(20)의 체결볼트삽입공(21)을 통해 픽스쳐(10)의 체결공(11)에 체결고정한다.
제 1 및 제 2 링형스프링(40, 50)이 결합된 어버트먼트(20)에 크라운(미도시)이 일체로 형성된 크라운캡(60)을 하부로 가압하여 끼워넣게 되면, 크라운캡(60)의 착탈결합홈(61) 내에 형성된 제 1 탄성결합홈(63)에 제 1 링형스프링(40)의 제 1 탄성결합돌기(43)가 결합됨과 동시에 크라운캡(60)의 착탈결합홈(61) 내에 형성된 제 2 탄성결합홈(66)에 제 2 링형스프링(50)의 제 2 탄성결합돌기(53)가 결합되면서 크라운캡(6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후에 크라운의 추가보정시술 또는 교환이 필요할 경우에는 크라운캡(60)의 분리를 위한 툴을 끼워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게 되면, 크라운캡(60)의 착탈결합홈(61) 내에 형성된 제 1 탄성결합홈(63)으로부터 제 1 링형스프링(40)의 제 1 탄성결합돌기(43)가 분리됨과 동시에 크라운캡(60)의 착탈결합홈(61) 내에 형성된 제 2 탄성결합홈(66)에 제 2 링형스프링(50)의 제 2 탄성결합돌기(53)가 분리되면서 크라운캡(60)이 분리될 수 있으며, 전술한 결합과정을 통해 크라운이 추가보정시술되거나 교체된 크라운캡(60)이 다시 결합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어버트먼트(20)와 크라운캡(60)의 결합부위에 제 1 링형스프링(40) 및 제 2 링형스프링(50)이 개재되어 크라운캡(60)이 어버트먼트(20)에 탄성적으로 결합가능하되 일정 크기 이상의 힘에 의해서만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크라운이 일체로 형성된 크라운캡(60)이 어버트먼트(20)에 대해 결합부위의 파손없이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제 1 링형스프링(40)의 제 1 탄성결합돌기(43)와 제 2 링형스프링(50)의 제 2 탄성결합돌기(53)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크라운캡(60)의 하향 결합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되 크라운의 추가보정시술 또는 교환 시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상부방향으로 가해질 경우에만 크라운캡(60)이 분리될 뿐, 통상의 저작환경에서는 크라운캡(60)이 임의로 분리될 수 없게 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어버트먼트(20)와 크라운캡(60)의 결합부위에 2개의 스프링, 즉 제 1 및 제 2 링형스프링(40, 50)이 동시에 개재됨에 따라 크라운이 외력에 의한 임의 회동이나 유동없이 어버트먼트(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픽스쳐
11 : 체결공
20 : 어버트먼트
21 : 체결볼트삽입공
30 : 체결볼트
40 : 제 1 링형스프링
41 : 제 1 슬릿
43 : 제 1 탄성결합돌기
50 : 제 2 링형스프링
51 : 제 2 슬릿
53 : 제 2 탄성결합돌기
55 : 지지다리
57 : 육각돌출부
60 : 크라운캡
61 : 착탈결합홈
63 : 제 1 탄성결합홈
65 : 제 2 탄성결합홈

Claims (6)

  1. 치조골에 매립고정되고 체결공이 형성되는 픽스쳐;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볼트삽입공이 관통형성되고 상측 둘레에는 제 1 안착단턱과 제 2 안착단턱이 이격형성되는 어버트먼트;
    상기 어버트먼트의 체결볼트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픽스쳐의 체결공에 체결되면서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기 픽스쳐에 가압고정하는 체결볼트;
    상기 어버트먼트의 제 1 안착단턱에 안착고정되고 원주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 1 슬릿이 이격형성되며 상기 제 1 슬릿 사이에는 제 1 탄성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제 1 링형스프링;
    상기 어버트먼트의 제 2 안착단턱에 안착고정되고 원주 둘레에는 반경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제 2 슬릿이 이격형성되며 하단 둘레에는 외주면에 제 2 탄성결합돌기가 형성된 지지다리가 이격형성되는 제 2 링형스프링; 및
    내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링형스프링이 결합된 어버트먼트에 끼워져 결합되는 착탈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결합홈 내에는 상기 제 1 링형스프링의 제 1 탄성결합돌기와 상기 제 2 링형스프링의 제 2 탄성결합돌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탄성결합홈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입형성되며 외부에는 크라운이 일체로 형성되는 크라운캡을 포함하는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형스프링의 제 1 슬릿은 180도 각도간격으로 각각 1개씩 총 2개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링형스프링의 제 2 슬릿은 120도 각도간격으로 각각 1개씩 총 3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형스프링의 제 1 탄성결합돌기와 상기 제 2 링형스프링의 제 2 탄성결합돌기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크라운캡의 제 1 및 제 2 탄성결합홈은 상기 제 1 링형스프링의 제 1 탄성결합돌기와 상기 제 2 링형스프링의 제 2 탄성결합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형스프링의 상측에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육각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형스프링의 지지다리는 상기 제 1 링형스프링 상에 안착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캡에 일체로 형성되는 크라운은 단일 크라운 또는 브릿지형 크라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190063281A 2019-05-29 2019-05-29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0137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281A KR20200137246A (ko) 2019-05-29 2019-05-29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281A KR20200137246A (ko) 2019-05-29 2019-05-29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246A true KR20200137246A (ko) 2020-12-09

Family

ID=73787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281A KR20200137246A (ko) 2019-05-29 2019-05-29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724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2581A (zh) * 2020-12-31 2021-05-28 深圳新致美精密齿研有限公司 二氧化锆全口牙缺失的种植修复装置
KR102435786B1 (ko) * 2022-03-31 2022-08-24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
KR102449647B1 (ko) * 2022-03-31 2022-09-30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
WO2023191419A1 (ko) * 2022-03-31 2023-10-05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58B1 (ko) 2016-01-21 2016-06-27 채희진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1869348B1 (ko) 2017-07-04 2018-06-20 (주) 코웰메디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임플란트 고정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58B1 (ko) 2016-01-21 2016-06-27 채희진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1869348B1 (ko) 2017-07-04 2018-06-20 (주) 코웰메디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임플란트 고정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2581A (zh) * 2020-12-31 2021-05-28 深圳新致美精密齿研有限公司 二氧化锆全口牙缺失的种植修复装置
KR102435786B1 (ko) * 2022-03-31 2022-08-24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
KR102449647B1 (ko) * 2022-03-31 2022-09-30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
WO2023191419A1 (ko) * 2022-03-31 2023-10-05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치과용 임플란트용 고정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 임플란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237B1 (ko) 탄성부싱을 이용한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1881421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20200137246A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3B1 (ko)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33259B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2198234B1 (ko)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316320B1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33258B1 (ko)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196640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194343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JP2012501217A (ja) 歯科用固定装置および方法
KR20010030908A (ko) 1단 임플란트
KR200467684Y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스크루 및 이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EP3995105A2 (en) Dental restoration system
KR20030089602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JP2018520831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20130097036A (ko)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KR20080049378A (ko) 충격흡수 임플란트 유닛
KR20210131600A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결합조립체
CA3050089C (en) Dental implant
KR102369161B1 (ko) 임플란트 크라운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대주
KR101331496B1 (ko) 임플란트 장치
KR20210012179A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듀얼스프링형 치과용 임플란트
KR1014868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US8926326B2 (en) Denture reten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