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453B1 -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453B1
KR102075453B1 KR1020170118280A KR20170118280A KR102075453B1 KR 102075453 B1 KR102075453 B1 KR 102075453B1 KR 1020170118280 A KR1020170118280 A KR 1020170118280A KR 20170118280 A KR20170118280 A KR 20170118280A KR 102075453 B1 KR102075453 B1 KR 102075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dental implant
implant system
fixtur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0817A (ko
Inventor
허영구
김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7011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453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뼈에 고정되게 식립되는 고정체(210), 고정체(210)에 동요 있게 결합되고 그 위에 인공치아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지대주(230), 고정체(210) 상단에 결합되는 탄성체(270)를 포함하고, 고정체(210)는 외주면이 하향으로 경사진 기둥부(213)를 갖고, 기둥부(213)는 지대주(230) 속에 밀착되게 삽입되며, 탄성체(270)는 지대주(230)의 안쪽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DENTAL IMPLANT SYSTEM}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공치아가 얹히는 지대주가 턱뼈에 식립되는 고정체에 미세한 동요를 갖게 결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턱뼈에 심어서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수술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은 고정체(11), 지대주(12) 및 연결나사(13)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체(11)는 자연치아가 없어진 자리의 턱뼈에 식립되는 부위로, 식립과 고정이 잘 되도록 외부면에 외부나사산(1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체(11)는 중심축을 따라 속에 공간(11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에 의해 형성된 내부면에는 내부나사산(11c)이 형성되어 있다.
지대주(12)는 인공치아가 얹히는 부위로, 고정체(11) 위에 결합되게 되고, 결합을 위해 중심축을 관통하게 구멍(12a)이 형성되어 있다. 인공치아는 시멘트 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되게 얹히게 된다.
연결나사(13)는 지대주(12)를 고정체(11) 위에 고정되게 결합하는 부위로, 결합이 이루어지면, 머리를 포함한 상부는 지대주(12)에 있는 구멍(12a)을 관통한 후 지대주(12) 속에 남게 되고 나머지 하부는 고정체(11)의 공간(11b)에 있는 내부나사산(11c)과 나사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은 지대주(12)가 연결나사(13)에 의해 고정체(11)에 고정되게 결합되기 때문에, 저작운동 시 지대주(12)에 다양한 하중이 가해질 때 이 하중이 그대로 고정체(11)로 전달되게 되고, 이는 고정체(12)의 고정력 저하로 이어지거나 심한 경우 고정체(12)의 손상으로 이어지고 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29068호(2011.04.15.)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9113호(2002.03.18.)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4717호(2015.09.16.)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0987호(2010.07.1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연치아의 동요와 같은 수준의 미세한 동요를 갖게 지대주를 고정체에 결합함으로써 저작운동 시 지대주에 가해지는 다양한 하중이 고정체로 전달되지 않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턱뼈에 고정되게 식립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에 동요 있게 결합되고 그 위에 인공치아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지대주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외주면이 하향으로 경사진 기둥부를 갖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지대주 속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지대주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6각형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체는 공구가 체결되는 공구체결부가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공구체결부는 6각형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체는 잇몸과 접촉되는 잇몸접촉부가 상기 턱뼈에 식립되는 식립부와 상기 기둥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잇몸접촉부는 오목하거나 또는 평평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체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입안에 존재하게 되는 이물질, 박테리아, 세균 등이 식립부쪽으로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환형의 밀봉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대주는 상기 고정체의 홈부에 끼워지는 환형의 밀봉재를 압박하는 밀봉재압박부가 그 안쪽 하단부에 위치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밀봉재압박부는 상기 지대주의 내주면을 따라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턱뼈에 고정되게 식립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에 동요 있게 결합되고 그 위에 인공치아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지대주, 및 상기 고정체 상단에 결합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외주면이 하향으로 경사진 기둥부를 갖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지대주 속에 밀착되게 삽입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대주의 안쪽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지대주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회전방지부는 6각형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체는 공구가 체결되는 공구체결부가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공구체결부는 6각형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체는 잇몸과 접촉되는 잇몸접촉부가 상기 턱뼈에 식립되는 식립부와 상기 기둥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잇몸접촉부는 오목하거나 또는 평평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대주는 상기 고정체의 홈부에 밀착되는 홈부밀착부가 그 안쪽 하단부에 위치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홈부밀착부는 상기 지대주의 내주면을 따라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대주에 삽입되는 원판형의 머리와 상기 고정부 속에 삽입되는 원기둥형의 몸체를 갖는 것과, 상기 고정체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입안에 존재하게 되는 이물질, 박테리아, 세균 등이 식립부쪽으로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환형의 밀봉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따르면, 자연치아의 동요와 같은 수준의 미세한 동요를 갖게 지대주가 고정체에 결합되기 때문에, 저작운동 시 지대주에 가해지는 다양한 하중이 고정체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고정체의 고정력 저하 또는 손상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의 종래의 일반적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예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제1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얻어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제2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C-C선을 따라 얻어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제3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D-D선을 따라 얻어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단면도; 및
도 13a 및 도 13b는 제4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100)은 고정체(110)와 지대주(150)를 포함한다.
고정체(110)는 턱뼈에 고정되게 식립되는 것으로, 식립부(111), 기둥부(112), 회전방지부(113), 공구체결부(114), 잇몸접촉부(115) 및 홈부(116)로 되어 있다.
식립부(111)는 턱뼈에 식립되는 부위로, 식립과 고정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기둥부(112)는 지대주(150)가 결합되는 부위로, 외주면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회전방지부(113)는 지대주(150)의 회전을 방지하는 부위로, 기둥부(112)의 상단에 6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구체결부(114)는 고정체(110)를 식립하는 공구가 체결되는 부위로, 기둥부(112)의 상단부에 6각형의 홈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잇몸접촉부(115)는 고정체(110)가 식립되었을 때 잇몸과 접촉되는 부위로 식립부(111)와 기둥부(112) 사이에 위치하고, 접촉면적을 넓히게 위해 오목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잇몸접촉부(115)는 오목하게 형성하였지만, 평평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홈부(116)는 환형의 밀봉재(117)가 끼워지는 부위로 잇몸접촉부(115) 바로 위에 위치한다. 밀봉재(117)는 입안에 존재하게 되는 이물질, 박테리아, 세균 등이 식립부(111)쪽으로 침투하지 못하게 한다.
지대주(150)는 인공치아(보철물)이 시멘트 등의 접착물질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인공치아결합부(151), 회전방지부결합부(152) 및 밀봉재압박부(153)로 되어 있다.
인공치아결합부(151)는 인공치아가 결합되는 부위로, 결합을 좋게 하기 위해 원주를 따라 가는 층층히 결들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부결합부(152)는 고정체(110)의 6각형의 회전방지부(113)가 결합되는 부위로, 6각형의 홈형태로 되어 있고, 지대주(150)의 안쪽 상단부에 위치한다.
밀봉재압박부(153)는 고정체(110)에 있는 환형의 밀봉재(116)를 압박하는 부위로, 내주면을 따라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고, 지대주(150)의 안쪽 하단부에 위치한다.
다음, 도 4a 및 도 4b를 참조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제1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작 운동에 의해 도면에서 오른쪽에 보다 큰 힘이 작용할 때, 인공치아가 고정되게 결합되게 되는 지대주(150)는 화살표와 같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살짝 회전하게 된다.
이때, 지대주(150)의 도면에서 우측에 있는 부위가 기둥부(112)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좌측에 있는 부위는 기둥부(112)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윗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지대주(150)는 약간 벌어지는 형상이 된다.
한편,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작 운동에 의해 도면에서 왼쪽에 보다 큰 힘이 작용할 때, 인공치아가 고정되게 결합되게 되는 지대주(150)는 화살표와 같이 왼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살짝 회전하게 된다.
이때, 지대주(150)의 도면에서 좌측에 있는 부위가 기둥부(112)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우측에 있는 부위는 기둥부(112)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윗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지대주(150)는 약간 벌어지는 형상이 된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얻어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200)은 고정체(210), 지대주(230), 연결나사(250) 및 탄성체(270)를 포함한다.
고정체(210)는 턱뼈에 고정되게 식립되는 것으로, 식립부(211), 공구체결부(212), 기둥부(213), 삽입부(214), 회전방지부(215), 잇몸접촉부(216) 및 홈부(217)로 되어 있다.
식립부(211)는 턱뼈에 식립되는 부위로, 식립과 고정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공구체결부(212)는 식립부(211)를 식립하는 공구가 체결되는 부위로, 식립부(211)의 안쪽에 6각형의 홈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기둥부(213)는 지대주(230)가 결합되는 부위로, 외주면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삽입부(214)는 식립부(211)에 삽입되는 부위로, 식립부(211)의 안쪽에 형성된 6각형의 공구체결부(212)에 삽입되게 된다.
회전방지부(215)는 지대주(230)의 회전을 방지하는 부위로, 기둥부(213)의 상단에 6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잇몸접촉부(216)는 식립부(211)가 식립되었을 때 잇몸과 접촉되는 부위로, 기둥부(213) 밑에 위치하고, 접촉면적을 넓히게 위해 오목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잇몸접촉부(216)는 오목하게 형성하였지만, 평평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홈부(217)는 잇몸접촉부(216) 바로 위에 위치하게 형성되어 있다.
지대주(230)는 인공치아(보철물)이 시멘트 등의 접착물질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인공치아결합부(231), 회전방지부결합부(232), 탄성체머리삽입부(233) 및 홈부밀착부(234)로 되어 있다.
인공치아결합부(231)는 인공치아가 결합되는 부위로, 결합을 좋게 하기 위해 원주를 따라 가는 층층히 결들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부결합부(232)는 6각형의 회전방지부(215)가 결합되는 부위로, 6각형의 홈형태로 되어 있고, 지대주(230)의 안쪽 상단부에 위치한다.
탄성체머리삽입부(233)는 탄성체(270)의 머리(271)가 삽입되는 부위로, 회전방지부결합부(232) 바로 위에 형성되어 있다.
홈부밀착부(234)는 홈부(217)에 밀착되는 부위로, 내주면을 따라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고, 지대주(230)의 안쪽 하단부에 위치한다.
연결나사(250)는 지대주(230)를 고정체(210)에 고정되게 연결하는 것이다.
탄성체(270)는 지대주(230)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머리(271)와 몸체(272)로 되어 있다. 원판형의 머리(271)는 지대주(230)에 형성된 탄성체머리삽입부(233)에 삽입되게 되고, 원기둥형의 몸체(272)는 기둥부(213) 속에 형성된 구멍(218)에 삽입되게 된다.
다음, 도 7a 및 도 7b를 참조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제2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작 운동에 의해 도면에서 오른쪽에 보다 큰 힘이 작용할 때, 인공치아가 고정되게 결합되게 되는 지대주(230)는 화살표와 같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살짝 회전하게 된다.
이때, 지대주(230)의 도면에서 우측에 있는 부위가 기둥부(213)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좌측에 있는 부위는 기둥부(213)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윗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지대주(230)는 약간 벌어지는 형상이 된다. 또한, 탄성체(270)의 머리(271)가 압축되게 된다.
한편,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작 운동에 의해 도면에서 왼쪽에 보다 큰 힘이 작용할 때, 인공치아가 고정되게 결합되게 되는 지대주(230)는 화살표와 같이 왼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살짝 회전하게 된다.
이때, 지대주(230)의 도면에서 좌측에 있는 부위가 기둥부(213)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우측에 있는 부위는 기둥부(213)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윗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지대주(230)는 약간 벌어지는 형상이 된다. 또한, 탄성체(270)의 머리(271)가 압축되게 된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9는 도 8의 C-C선을 따라 얻어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300)은 고정체(310), 지대주(330) 및 탄성체(350)를 포함한다.
고정체(310)는 턱뼈에 고정되게 식립되는 것으로, 식립부(311), 기둥부(312), 공구체결부(313), 회전방지부(314), 잇몸접촉부(315) 및 홈부(316)로 되어 있다.
식립부(311)는 턱뼈에 식립되는 부위로, 식립과 고정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기둥부(312)는 지대주(330)가 결합되는 부위로, 외주면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공구체결부(313)는 식립부(311)를 식립하는 공구가 체결되는 부위로, 식립부(311)의 안쪽에 6각형의 홈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부(314)는 지대주(330)의 회전을 방지하는 부위로, 기둥부(312)의 상단에 6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잇몸접촉부(315)는 식립부(311)가 식립되었을 때 잇몸과 접촉되는 부위로, 기둥부(312) 밑에 위치하고, 접촉면적을 넓히게 위해 오목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잇몸접촉부(315)는 오목하게 형성하였지만, 평평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홈부(316)는 잇몸접촉부(315) 바로 위에 위치하게 형성되어 있다.
지대주(330)는 인공치아(보철물)이 시멘트 등의 접착물질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인공치아결합부(331), 회전방지부결합부(332), 탄성체머리삽입부(333) 및 홈부밀착부(334)로 되어 있다.
인공치아결합부(331)는 인공치아가 결합되는 부위로, 결합을 좋게 하기 위해 원주를 따라 가는 층층히 결들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부결합부(332)는 6각형의 회전방지부(314)가 결합되는 부위로, 6각형의 홈형태로 되어 있고, 지대주(330)의 안쪽 상단부에 위치한다.
탄성체머리삽입부(333)는 탄성체(350)의 머리(351)가 삽입되는 부위로, 회전방지부결합부(332) 바로 위에 형성되어 있다.
홈부밀착부(334)는 홈부(316)에 밀착되는 부위로, 내주면을 따라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고, 지대주(330)의 안쪽 하단부에 위치한다.
탄성체(350)는 지대주(330)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머리(351)와 몸체(352)로 되어 있다. 원판형의 머리(351)는 지대주(330)에 형성된 탄성체머리삽입부(433)에 삽입되게 되고, 원기둥형의 몸체(352)는 기둥부(312) 속에 형성된 공구체결부(313)에 삽입되게 된다.
다음,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3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작 운동에 의해 도면에서 오른쪽에 보다 큰 힘이 작용할 때, 인공치아가 고정되게 결합되게 되는 지대주(330)는 화살표와 같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살짝 회전하게 된다.
이때, 지대주(330)의 도면에서 우측에 있는 부위가 기둥부(312)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좌측에 있는 부위는 기둥부(312)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윗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지대주(230)는 약간 벌어지는 형상이 된다. 또한, 탄성체(350)의 머리(351)가 압축되게 된다.
한편,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작 운동에 의해 도면에서 왼쪽에 보다 큰 힘이 작용할 때, 인공치아가 고정되게 결합되게 되는 지대주(330)는 화살표와 같이 왼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살짝 회전하게 된다.
이때, 지대주(330)의 도면에서 좌측에 있는 부위가 기둥부(312)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우측에 있는 부위는 기둥부(312)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윗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지대주(330)는 약간 벌어지는 형상이 된다. 또한, 탄성체(350)의 머리(351)가 압축되게 된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12는 도 11의 D-D선을 따라 얻어진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400)은 고정체(410), 지대주(430) 및 탄성체(450)를 포함한다.
고정체(410)는 턱뼈에 고정되게 식립되는 것으로, 식립부(411), 기둥부(412), 공구체결부(413), 회전방지부(414), 잇몸접촉부(415) 및 홈부(416)로 되어 있다.
식립부(411)는 턱뼈에 식립되는 부위로, 식립과 고정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기둥부(412)는 지대주(430)가 결합되는 부위로, 외주면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공구체결부(413)는 식립부(411)를 식립하는 공구가 체결되는 부위로, 식립부(411)의 안쪽에 6각형의 홈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부(414)는 지대주(430)의 회전을 방지하는 부위로, 기둥부(412)의 상단에 6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잇몸접촉부(415)는 식립부(411)가 식립되었을 때 잇몸과 접촉되는 부위로, 기둥부(412) 밑에 위치하고, 접촉면적을 넓히게 위해 오목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잇몸접촉부(415)는 오목하게 형성하였지만, 평평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홈부(416)는 환형의 밀봉재(417)가 끼워지는 부위로 잇몸접촉부(415) 바로 위에 위치한다. 밀봉재(417)는 입안에 존재하게 되는 이물질, 박테리아, 세균 등이 식립부(411)쪽으로 침투하지 못하게 한다.
지대주(430)는 인공치아(보철물)이 시멘트 등의 접착물질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인공치아결합부(431), 회전방지부결합부(432), 탄성체머리삽입부(433) 및 밀봉재압박부(434)로 되어 있다.
인공치아결합부(431)는 인공치아가 결합되는 부위로, 결합을 좋게 하기 위해 원주를 따라 가는 층층히 결들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부결합부(432)는 6각형의 회전방지부(414)가 결합되는 부위로, 6각형의 홈형태로 되어 있고, 지대주(430)의 안쪽 상단부에 위치한다.
탄성체머리삽입부(433)는 탄성체(450)의 머리(451)가 삽입되는 부위로, 회전방지부결합부(432) 바로 위에 형성되어 있다.
밀봉재압박부(434)는 고정체(410)에 있는 환형의 밀봉재(417)를 압박하는 부위로, 내주면을 따라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고, 지대주(430)의 안쪽 하단부에 위치한다.
탄성체(450)는 지대주(430)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머리(451)와 몸체(452)로 되어 있다. 원판형의 머리(451)는 지대주(430)에 형성된 탄성체머리삽입부(433)에 삽입되게 되고, 원기둥형의 몸체(452)는 기둥부(412) 속에 형성된 공구체결부(413)에 삽입되게 된다.
다음,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제4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작 운동에 의해 도면에서 오른쪽에 보다 큰 힘이 작용할 때, 인공치아가 고정되게 결합되게 되는 지대주(430)는 화살표와 같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살짝 회전하게 된다.
이때, 지대주(430)의 도면에서 우측에 있는 부위가 기둥부(412)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좌측에 있는 부위는 기둥부(412)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윗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지대주(430)는 약간 벌어지는 형상이 된다. 또한, 탄성체(450)의 머리(451)가 압축되게 된다.
한편,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작 운동에 의해 도면에서 왼쪽에 보다 큰 힘이 작용할 때, 인공치아가 고정되게 결합되게 되는 지대주(430)는 화살표와 같이 왼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살짝 회전하게 된다.
이때, 지대주(430)의 도면에서 좌측에 있는 부위가 기둥부(412)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우측에 있는 부위는 기둥부(412)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윗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지대주(430)는 약간 벌어지는 형상이 된다. 또한, 탄성체(450)의 머리(451)가 압축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100,200,300,400 :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110,210,310,410 : 고정체 111,211,311,411 : 식립부
112,213,312,412 : 기둥부 113,215,314,414 : 회전방지부
114,212,313,413 : 공구체결부 115,216,315,415 : 잇몸접촉부
116,217,316,416 : 홈부 150,230,330,430 : 지대부
151,231,331,431 : 인공치아결합부 152,232,332,432 : 회전방지부결합부
153,434 : 밀봉재압박부 233,333,433 : 탄성체머리삽입부
234,334 : 홈부밀착부 250 : 연결나사
270,350,450 : 탄성체 271,351,451 : 머리
272,352,452 : 몸체

Claims (21)

  1. 턱뼈에 고정되게 식립되는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에 동요 있게 결합되고 그 위에 인공치아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지대주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외주면이 하향으로 경사진 기둥부를 갖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지대주 속에 밀착되게 삽입되고,
    상기 고정체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환형의 밀봉재가 끼워지고,
    상기 지대주는 상기 밀봉재를 압박하는 밀봉재압박부가 그 안쪽 하단부에 위치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지대주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는 6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공구가 체결되는 공구체결부가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구체결부는 6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잇몸과 접촉되는 잇몸접촉부가 상기 턱뼈에 식립되는 식립부와 상기 기둥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잇몸접촉부는 오목하거나 또는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압박부는 상기 지대주의 내주면을 따라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11. 턱뼈에 고정되게 식립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에 동요 있게 결합되고 그 위에 인공치아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지대주; 및
    상기 고정체 상단에 결합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체는 외주면이 하향으로 경사진 기둥부를 갖고, 상기 기둥부는 상기 지대주 속에 밀착되게 삽입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대주의 안쪽면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대주에 삽입되는 원판형의 머리와 상기 고정체 속에 삽입되는 원기둥형의 몸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지대주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는 6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공구가 체결되는 공구체결부가 상기 기둥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공구체결부는 6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잇몸과 접촉되는 잇몸접촉부가 상기 턱뼈에 식립되는 식립부와 상기 기둥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잇몸접촉부는 오목하거나 또는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대주는 상기 고정체의 홈부에 밀착되는 홈부밀착부가 그 안쪽 하단부에 위치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홈부밀착부는 상기 지대주의 내주면을 따라 볼록하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20. 삭제
  21.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입안에 존재하게 되는 이물질, 박테리아, 세균 등이 식립부쪽으로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환형의 밀봉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0170118280A 2017-09-15 2017-09-15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07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280A KR102075453B1 (ko) 2017-09-15 2017-09-15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280A KR102075453B1 (ko) 2017-09-15 2017-09-15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817A KR20190030817A (ko) 2019-03-25
KR102075453B1 true KR102075453B1 (ko) 2020-02-10

Family

ID=65907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280A KR102075453B1 (ko) 2017-09-15 2017-09-15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4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178B1 (ko) * 2019-09-02 2021-11-03 박연희 탈착이 가능한 어버트먼트
KR102264156B1 (ko) * 2019-11-25 2021-06-1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KR102264155B1 (ko) * 2019-11-25 2021-06-11 주식회사 디오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US11298214B2 (en) * 2019-10-18 2022-04-12 Dio Corporation Overdenture holder device
KR102305714B1 (ko) * 2020-12-30 2021-09-29 이노덴 주식회사 유동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113Y1 (ko) * 2001-12-21 2002-03-18 최성기 인공치아용 어버트먼트
JP2003052720A (ja) 2001-08-08 2003-02-25 Advance Co Ltd 歯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そのシステム
KR101029068B1 (ko) * 2010-06-10 2011-04-15 (주) 시원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174A (ja) * 1993-10-26 1995-05-09 Nikon Corp 骨内インプラント用の部材組み合わせ及び雄ネジ
US6030219A (en) * 1998-10-13 2000-02-29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KR100988355B1 (ko) 2009-01-05 2010-10-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인상 채득용 캡
KR101092311B1 (ko) * 2009-05-13 2011-12-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684684B1 (ko) 2014-03-06 2016-12-09 강대중 임플란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2720A (ja) 2001-08-08 2003-02-25 Advance Co Ltd 歯科用インプラント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269113Y1 (ko) * 2001-12-21 2002-03-18 최성기 인공치아용 어버트먼트
KR101029068B1 (ko) * 2010-06-10 2011-04-15 (주) 시원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817A (ko)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453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US20220061889A1 (en) Medical implant system
US5145371A (en) Distance member
US5040982A (en) Dental implant and conversion assembly
AU740669B2 (en) Bone-anchoring element
KR10097945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1173758B1 (ko)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US7866981B2 (en) Implant arrangement
KR102198237B1 (ko) 탄성부싱을 이용한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4B1 (ko)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30386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3B1 (ko)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US6394808B2 (en) Prosthetic device for intraosseous dental implants
JP6304895B2 (ja) クッションを備えた歯のインプラント
KR20100056465A (ko) 덴탈 임플란트
KR20080049378A (ko) 충격흡수 임플란트 유닛
AU716631B2 (en) Fixture, prosthesis anchoring device and prosthesis
KR101103545B1 (ko)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KR101503214B1 (ko) 항아리형 완충재 임플란트
KR20220052264A (ko) 교합력 완충기능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용 지대주
EP2057963A1 (en) Dental implant assembly with internal connection
KR20210076401A (ko) 임플란트 크라운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대주
KR102048659B1 (ko) 나사풀림방지기능을 갖는 임플란트조립체
KR102104765B1 (ko) 견고함을 갖는 치과 임플란트
CN105939689B (zh) 义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