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068B1 -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068B1
KR101029068B1 KR1020100054646A KR20100054646A KR101029068B1 KR 101029068 B1 KR101029068 B1 KR 101029068B1 KR 1020100054646 A KR1020100054646 A KR 1020100054646A KR 20100054646 A KR20100054646 A KR 20100054646A KR 101029068 B1 KR101029068 B1 KR 101029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abutment
coupling portion
fric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미호
허영구
Original Assignee
(주) 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원 filed Critical (주) 시원
Priority to KR1020100054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068B1/ko
Priority to PCT/KR2011/004134 priority patent/WO2011155746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having a cylindrical implant connec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61C8/0071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with a self-locking taper, e.g. morse t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100)는 상부에 마련되어 보철물(4)과 결합되는 보철물결합부(110)와, 보철물결합부(110)와 하나로 이어지게 하부에 마련되어 임플란트(3)의 상부가 마찰 결합되는 임플란트결합부(130)를 포함하며, 임플란트결합부(130)는 치조골(1)에 식립된 임플란트(3)에 결합되었을 때 하단이 치조골(1)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되고 상단이 잇몸(2)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Description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FRICTIONAL ABUTMENT}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마찰 결합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결손된 자연치아를 대신할 인공치아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주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 픽스츄어 상부에 형성되는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 위에 연결되는 보철물을 포함한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고, 이 픽스츄어에 나사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를 고정되게 결합한 후, 어버트먼트에 인공치아를 시멘트를 사용하여 고정되게 씌우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현재까지는 어버트먼트를 대게 나사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방식은 여러가지 이유로 어버트먼트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이 작업이 쉽지 않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출원인은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를 상호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기술을 2010년 6월 7일 특허출원 제10-2010-0053635호호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에 개시하였다. 그 대표 구성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500)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식립체(510)와 어버트먼트와 결합되는 어버트먼트결합체(550)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식립체(510)는 치조골에 쉽게 식립되게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어버트먼트결합체(550)는 마찰결합부(552)와 목부(553)로 구성되어 있다.
마찰결합부(552)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고, 치과용 임플란트(500)가 치조골에 식립되었을 때 상단이 잇몸의 상단에 근접하고 하단이 치조골의 상단에 근접하게 위치할 정도의 높이를 갖고 있다.
목부(553)는 식립체(510)와 마찰결합부(552)를 자연스럽게 하나로 이어주게 오목한 곡면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립체(510)가 치조골(1)에 완전히 식립된 상태에서 식립체(510)의 상단이 치조골(1) 상단에 근접하게 위치해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결합체(550)의 목부(553)는 치조골(1)의 상단 위에 위치하여 잇몸(2)과 맞닿아 있고 마찰결합부(552)는 하단이 치조골(1)의 상단 위 또는 잇몸(2)의 하단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상단은 잇몸(2)의 상단에 근접하게 위치해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잘 맞게 적용할 수 있는 어버트먼트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특허출원 제10-2010-005363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에 쉽게 잘 맞게 마찰 결합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또는 특히 별도의 거상도구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마련되어 보철물과 결합되는 보철물결합부와, 보철물결합부과 하나로 이어지게 하부에 마련되어 임플란트의 상부가 마찰 결합되는 임플란트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는 임플란트결합부가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에 결합되었을 때 하단이 치조골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되고 상단이 잇몸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임플란트결합부가 원통 및/또는 육각기둥모양의 외형을 갖는 것과, 임플란트결합부가 하단에서 상단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지고 테이퍼진 각은 중심축에 대해 1°~ 4°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며, 테이퍼진 각은 중심축에 대해 2°~ 3°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임플란트결합부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는 1㎜~5㎜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며, 높이가 2㎜~4㎜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는 임플란트결합부의 하단의 직경이 2㎜~6㎜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하단의 직경이 3㎜~5㎜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는 보철물결합부의 설측 또는 협측 중 어느 한 측을 관통하여 중심축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도구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도구삽입부가 임플란트결합부 상단과 측면에 걸쳐서 이어지고 중심축을 넘을 정도로 비교적 길게 형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는 보철물결합부의 중심축상에 임플란트결합부쪽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위치결정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위치결정돌기부가 보철물결합부에 형성되는 결합홈 및 결합홈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며, 결합돌기의 머리가 비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과 결합돌기가 0.5㎜~1.0㎜의 돌출높이를 갖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철물결합부의 설측 또는 협측 중 어느 한 측을 관통하여 중심축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도구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도구삽입부가 임플란트결합부 상단과 측면에 걸쳐서 이어지고 중심축에 닿지 않을 정도로 비교적 짧게 형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철물결합부의 설측 또는 협측 중 어느 한 측을 관통하여 중심축에 하향 경사하게 형성되는 도구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도구삽입부 임플란트결합부의 상단과 측면에 걸쳐서 이어지고 중심축에 닿지 않을 정도로 비교적 짧게 형성되는 것과 도구삽입부가 임플란트결합부의 측면과 이어지고 중심축에 닿지 않을 정도로 비교적 짧게 형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는 보철물결합부의 중심축상에 임플란트결합부를 향하게 형성되는 위치결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에 따르면, 마찰력만에 의해 어버트먼트가 치과용 임플란트에 강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어버트먼트 및/또는 보철물이 시멘트 결합된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에 쉽게 결합될 수 있고 그 작업 시간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가 외력이나 특히 별도의 거상도구에 의해 임플란트로부터 쉽게 들려져 분리되기 때문에 여러가지 이유로 어버트먼트 및/또는 보철물이 시멘트 결합된 어버트먼트를 임플란트로부터 분리해야하는 경우 그 작업이 쉽고 작업 시간 또한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어버트먼트의 교합면에 구멍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어버트먼트의 손상이나 파손될 우려가 없게 되고 이로 인해 그 수명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찰결합식 임플란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2의 임플란트가 식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및
도 14는 도 13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100)는 보철물결합부(110), 임플란트결합부(130) 및 잇몸접촉부(150)를 포함한다.
보철물결합부(110)는 보철물과 시멘트 결합되며, 어버트먼트(100)의 상부에 마련된다. 보철물결합부(110)는 하단부가 바깥쪽으로 확장되게 펼쳐지고 상단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진다. 이런 구조로 인해 보철물결합부(110)에 보철물이 보다 쉽고 안정되게 시멘트 결합될 수 있다.
임플란트결합부(130)는 임플란트의 상부와 마찰 결합되며, 어버트먼트(100)의 하부에 마련된다. 임플란트결합부(130)는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에 결합될 때 하단이 치조골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되고 상단이 잇몸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임플란트결합부(130)는 원통 및/또는 육각기둥모양의 외형을 갖는 임플란트의 상부와 대응하게 원통 및/또는 육각기둥모양을 가지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진다. 테이퍼진 각은 중심축에 대해 1°~ 4°인 것이 바람직하고, 2°~ 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임플란트결합부(13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h1)는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2㎜~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임플란트결합부(130)의 하단의 직경(d)은 2㎜~6㎜인 것이 바람직하고, 3㎜~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잇몸접촉부(150)는 보철물결합부(110)와 임플란트결합부(130)를 하나로 이어주며, 임플란트결합부(130) 주변에 마련된다. 잇몸접촉부(150)는 하단이 임플란트결합부(130)의 하단과 같은 위치에 있고 상단이 임플란트결합부(130)의 상단 부근에 위치해 있다.
도 3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100)는 임플란트결합부(130)가 치조골(1)에 식립된 임플란트(3)의 상부에 마찰 결합되어 있고 보철물결합부(110)에는 보철물(4)가 시멘트를 매개로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다. 어버트먼트(100)의 잇몸접촉부(150)는 상단이 잇몸(2)의 상단 아래에 위치할 정도로 전체가 잇몸(2)과 접촉해 있다.
따라서 화살표방향과 같이 어버트먼트(100)를 위로 들어 올리거나 한 쪽으로 미는 동작을 통해 보철물(4)과 어버트먼트(100)가 임플란트(3)로부터 어렵지 않게 분리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200)는 보철물결합부(210), 임플란트결합부(230), 잇몸접촉부(250) 및 도구삽입부(270)를 포함한다.
보철물결합부(210)는 보철물과 시멘트 결합되며, 어버트먼트(200)의 상부에 마련된다. 보철물결합부(210)는 하단부가 바깥쪽으로 확장되게 펼쳐지고 상단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진다. 이런 구조로 인해 보철물결합부(210)에 보철물이 보다 쉽고 안정되게 시멘트 결합될 수 있다.
임플란트결합부(230)는 임플란트의 상부와 마찰 결합되며, 어버트먼트(200)의 하부에 마련된다. 임플란트결합부(230)는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에 결합될 때 하단이 치조골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되고 상단이 잇몸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임플란트결합부(230)는 원통 및/또는 육각기둥모양의 외형을 갖는 임플란트의 상부와 대응하게 원통 및/또는 육각기둥모양을 가지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진다. 테이퍼진 각은 중심축에 대해 1°~ 4°인 것이 바람직하고, 2°~ 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임플란트결합부(23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h1)는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2㎜~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임플란트결합부(230)의 하단의 직경(d)은 2㎜~6㎜인 것이 바람직하고, 3㎜~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잇몸접촉부(250)는 보철물결합부(210)와 임플란트결합부(230)를 하나로 이어주며, 임플란트결합부(230) 주변에 마련된다. 잇몸접촉부(250)는 하단이 임플란트결합부(230)의 하단과 같은 위치에 있고 상단이 임플란트결합부(230)의 상단 부근에 위치해 있다.
도구삽입부(270)는 보철물결합부(210)의 설측 또는 협측 중 어느 한 측, 바람직하게는 설측을 관통하여 중심축에 직교하게 형성된다. 도구삽입부(270)는 임플란트결합부(230) 상단에, 바람직하게는 상단과 측면에 걸치게 이어지고, 중심축을 약간 넘을 정도로 비교적 길게 형성된다.
도 5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200)는 임플란트결합부(230)가 치조골(1)에 식립된 임플란트(3)의 상부에 마찰 결합되어 있고 보철물결합부(210)에는 보철물(4)가 시멘트를 매개로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다. 어버트먼트(200)의 잇몸접촉부(250)는 상단이 잇몸(2)의 상단 아래에 위치할 정도로 전체가 잇몸(2)과 접촉해 있다.
따라서 어버트먼트(200)는 도구삽입부(270)에 점선으로 가상으로 예시한 거상도구가 끼워지고 이 거상도구에 화살표방향과 같이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바람직하게는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어버트먼트(200)가 임플란트(3)로부터 들리면서 보다 쉽게 분리되게 된다.
제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300)는 보철물결합부(310), 임플란트결합부(330), 잇몸접촉부(350) 및 위치결정돌기부(390)를 포함한다.
보철물결합부(310)는 보철물과 시멘트 결합되며, 어버트먼트(300)의 상부에 마련된다. 보철물결합부(310)는 하단부가 바깥쪽으로 확장되게 펼쳐지고 상단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진다. 이런 구조로 인해 보철물결합부(310)에 보철물이 보다 쉽고 안정되게 시멘트 결합될 수 있다.
임플란트결합부(330)는 임플란트의 상부와 마찰 결합되며, 어버트먼트(300)의 하부에 마련된다. 임플란트결합부(330)는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에 결합될 때 하단이 치조골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되고 상단이 잇몸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임플란트결합부(330)는 원통 및/또는 육각기둥모양의 외형을 갖는 임플란트의 상부와 대응하게 원통 및/또는 육각기둥모양을 가지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진다. 테이퍼진 각은 중심축에 대해 1°~ 4°인 것이 바람직하고, 2°~ 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임플란트결합부(33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h1)는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2㎜~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임플란트결합부(330)의 하단의 직경(d)은 2㎜~6㎜인 것이 바람직하고, 3㎜~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잇몸접촉부(350)는 보철물결합부(310)와 임플란트결합부(330)를 하나로 이어주며, 임플란트결합부(330) 주변에 마련된다. 잇몸접촉부(350)는 하단이 임플란트결합부(330)의 하단과 같은 위치에 있고 상단이 임플란트결합부(330)의 상단 부근에 위치해 있다.
위치결정돌기부(390)는 보철물결합부(310)에 형성되는 결합홈(391)과 이 결합홈(391)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돌기(393)로 구성된다. 결합홈(391)은 임플란트결합부(330)쪽에서 중심축상에 보철물결합부(310) 일부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결합돌기(393)의 머리는 결합홈(391)에 결합되지 않고 임플란트결합부(330)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어버트먼트(300)가 임플란트에 결합될 때 임플란트 상단부에 형성되게 되는 위치결정홈에 끼워지게 된다. 결합돌기(393)의 머리는 비원형이면 충분하고, 예를 들어, 삼각, 사각, 오각, 육각 등의 다각형이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육각형의 결합돌기(393)를 제시하였다. 또한 결합돌기(393)는 0.5㎜~1.0㎜의 돌출높이(h2)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버트먼트(300)의 임플란트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위치결정돌기부(390)를 제안하였지만, 이와 달리 도 7a와 같이, 임플란트결합부(330')쪽에서 중심축상에 보철물결합부(310') 일부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위치결정홈(390')이 제안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임플란트의 상단에는 이와 대응하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될 것이다. 위치결정홈(390')은 비원형이면 충분하고, 예를 들어, 삼각, 사각, 오각, 육각 등의 다각형이어도 좋다.
도 7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300)는 임플란트결합부(330)가 치조골(1)에 식립된 임플란트(3)의 상부에 마찰 결합되어 있고 보철물결합부(310)에는 보철물(4)이 시멘트를 매개로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다. 어버트먼트(300)의 잇몸접촉부(350)는 상단이 잇몸(2)의 상단 아래에 위치할 정도로 전체가 잇몸(2)과 접촉해 있다. 위치결정돌기부(390)는 임플란트(3) 상단에 형성된 위치결정홈(5)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화살표방향과 같이 어버트먼트(300)를 위로 들어 올리거나 한 쪽으로 미는 동작을 통해 보철물(4)과 어버트먼트(300)가 임플란트(3)로부터 어렵지 않게 분리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400)는 보철물결합부(410), 임플란트결합부(430), 잇몸접촉부(450), 도구삽입부(470) 및 위치결정돌기부(490)를 포함한다.
보철물결합부(410)는 보철물과 시멘트 결합되며, 어버트먼트(400)의 상부에 마련된다. 보철물결합부(410)는 하단부가 바깥쪽으로 확장되게 펼쳐지고 상단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진다. 이런 구조로 인해 보철물결합부(410)에 보철물이 보다 쉽고 안정되게 시멘트 결합될 수 있다.
임플란트결합부(430)는 임플란트의 상부와 마찰 결합되며, 어버트먼트(400)의 하부에 마련된다. 임플란트결합부(430)는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에 결합될 때 하단이 치조골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되고 상단이 잇몸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임플란트결합부(430)는 원통 및/또는 육각기둥모양의 외형을 갖는 임플란트의 상부와 대응하게 원통 및/또는 육각기둥모양을 가지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진다. 테이퍼진 각은 중심축에 대해 1°~ 4°인 것이 바람직하고, 2°~ 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임플란트결합부(43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h1)는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2㎜~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임플란트결합부(430)의 하단의 직경(d)은 2㎜~6㎜인 것이 바람직하고, 3㎜~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잇몸접촉부(450)는 보철물결합부(410)와 임플란트결합부(430)를 하나로 이어주며, 임플란트결합부(430) 주변에 마련된다. 잇몸접촉부(450)는 하단이 임플란트결합부(430)의 하단과 같은 위치에 있고 상단이 임플란트결합부(430)의 상단 부근에 위치해 있다.
도구삽입부(470)는 보철물결합부(410)의 설측 또는 협측 중 어느 한 측, 바람직하게는 설측을 관통하여 중심축에 직교하게 형성된다. 도구삽입부(470)는 임플란트결합부(430) 상단에, 바람직하게는 상단과 측면에 걸치게 이어지고 중심축에 닿지 않을 정도로 비교적 짧게 형성된다.
위치결정돌기부(490)는 보철물결합부(410)에 형성되는 결합홈(491)과 이 결합홈(491)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돌기(493)로 구성된다. 결합홈(491)은 임플란트결합부(430)쪽에서 중심축상에 보철물결합부(410) 일부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결합돌기(493)의 머리는 결합홈(491)에 결합되지 않고 임플란트결합부(430)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어버트먼트(400)가 임플란트에 결합될 때 임플란트 상단부에 형성되게 되는 위치결정홈에 끼워지게 된다. 결합돌기(493)의 머리는 비원형이면 충분하고, 예를 들어, 삼각, 사각, 오각, 육각 등의 다각형이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육각형의 결합돌기(493)를 제시하였다. 또한 결합돌기(493)는 0.5㎜~1.0㎜의 돌출높이(h2)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 10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400)는 임플란트결합부(430)가 치조골(1)에 식립된 임플란트(3)의 상부에 마찰 결합되어 있고 보철물결합부(410)에는 보철물(4)가 시멘트를 매개로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다. 어버트먼트(400)의 잇몸접촉부(450)는 상단이 잇몸(2)의 상단 아래에 위치할 정도로 전체가 잇몸(2)과 접촉해 있다. 위치결정돌기부(490)는 임플란트(3) 상단에 형성된 위치결정홈(5)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어버트먼트(400)는 도구삽입부(470)에 점선으로 가상으로 예시한 거상도구가 끼워지고 이 거상도구에 화살표방향과 같이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바람직하게는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어버트먼트(200)가 임플란트(3)로부터 들리면서 보다 쉽게 분리되게 된다.
제5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500)는 보철물결합부(510), 임플란트결합부(530), 잇몸접촉부(550), 도구삽입부(570) 및 위치결정돌기부(590)를 포함한다.
보철물결합부(510)는 보철물과 시멘트 결합되며, 어버트먼트(500)의 상부에 마련된다. 보철물결합부(510)는 하단부가 바깥쪽으로 확장되게 펼쳐지고 상단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진다. 이런 구조로 인해 보철물결합부(510)에 보철물이 보다 쉽고 안정되게 시멘트 결합될 수 있다.
임플란트결합부(530)는 임플란트의 상부와 마찰 결합되며, 어버트먼트(500)의 하부에 마련된다. 임플란트결합부(530)는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에 결합될 때 하단이 치조골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되고 상단이 잇몸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임플란트결합부(530)는 원통 및/또는 육각기둥모양의 외형을 갖는 임플란트의 상부와 대응하게 원통 및/또는 육각기둥모양을 가지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진다. 테이퍼진 각은 중심축에 대해 1°~ 4°인 것이 바람직하고, 2°~ 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임플란트결합부(53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h1)는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2㎜~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임플란트결합부(530)의 하단의 직경(d)은 2㎜~6㎜인 것이 바람직하고, 3㎜~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잇몸접촉부(550)는 보철물결합부(510)와 임플란트결합부(530)를 하나로 이어주며, 임플란트결합부(530) 주변에 마련된다. 잇몸접촉부(550)는 하단이 임플란트결합부(530)의 하단과 같은 위치에 있고 상단이 임플란트결합부(530)의 상단 부근에 위치해 있다.
도구삽입부(570)는 보철물결합부(510)의 설측 또는 협측 중 어느 한 측, 바람직하게는 설측을 관통하여 중심축에 하향 경사하게 형성된다. 도구삽입부(570)는 임플란트결합부(530)의 상단에, 바람직하게는 상단과 측면에 걸치게 이어지고 중심축에 닿지 않을 정도로 비교적 짧게 형성된다.
위치결정돌기부(590)는 보철물결합부(510)에 형성되는 결합홈(591)과 이 결합홈(591)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돌기(593)로 구성된다. 결합홈(591)은 임플란트결합부(530)쪽에서 중심축상에 보철물결합부(510) 일부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결합돌기(593)의 머리는 결합홈(591)에 결합되지 않고 임플란트결합부(530)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어버트먼트(500)가 임플란트에 결합될 때 임플란트 상단부에 형성되게 되는 위치결정홈에 끼워지게 된다. 결합돌기(593)의 머리는 비원형이면 충분하고, 예를 들어, 삼각, 사각, 오각, 육각 등의 다각형이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육각형의 결합돌기(593)를 제시하였다. 또한 결합돌기(593)는 0.5㎜~1.0㎜의 돌출높이(h2)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 12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500)는 임플란트결합부(530)가 치조골(1)에 식립된 임플란트(3)의 상부에 마찰 결합되어 있고 보철물결합부(510)에는 보철물(4)가 시멘트를 매개로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다. 어버트먼트(500)의 잇몸접촉부(550)는 상단이 잇몸(2)의 상단 아래에 위치할 정도로 전체가 잇몸(2)과 접촉해 있다. 위치결정돌기부(590)는 임플란트(3) 상단에 형성된 위치결정홈(5)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어버트먼트(500)는 도구삽입부(570)에 점선으로 가상으로 예시한 거상도구가 끼워지고 이 거상도구에 화살표방향과 같이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바람직하게는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어버트먼트(500)가 임플란트(3)로부터 들리면서 보다 쉽게 분리되게 된다.
제6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600)는 보철물결합부(610), 임플란트결합부(630), 잇몸접촉부(650), 도구삽입부(670) 및 위치결정돌기부(690)를 포함한다.
보철물결합부(610)는 보철물과 시멘트 결합되며, 어버트먼트(600)의 상부에 마련된다. 보철물결합부(610)는 하단부가 바깥쪽으로 확장되게 펼쳐지고 상단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진다. 이런 구조로 인해 보철물결합부(610)에 보철물이 보다 쉽고 안정되게 시멘트 결합될 수 있다.
임플란트결합부(630)는 임플란트의 상부와 마찰 결합되며, 어버트먼트(600)의 하부에 마련된다. 임플란트결합부(630)는 치조골에 식립된 임플란트에 결합될 때 하단이 치조골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되고 상단이 잇몸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임플란트결합부(630)는 원통 및/또는 육각기둥모양의 외형을 갖는 임플란트의 상부와 대응하게 원통 및/또는 육각기둥모양을 가지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진다. 테이퍼진 각은 중심축에 대해 1°~ 4°인 것이 바람직하고, 2°~ 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임플란트결합부(63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의 높이(h1)는 1㎜~5㎜인 것이 바람직하고, 2㎜~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임플란트결합부(630)의 하단의 직경(d)은 2㎜~6㎜인 것이 바람직하고, 3㎜~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잇몸접촉부(650)는 보철물결합부(610)와 임플란트결합부(630)를 하나로 이어주며, 임플란트결합부(630) 주변에 마련된다. 잇몸접촉부(650)는 하단이 임플란트결합부(630)의 하단과 같은 위치에 있고 상단이 임플란트결합부(630)의 상단 부근에 위치해 있다.
도구삽입부(670)는 보철물결합부(610)의 설측 또는 협측 중 어느 한 측, 바람직하게는 설측을 관통하여 중심축에 하향 경사하게 형성된다. 도구삽입부(670)는 임플란트결합부(630)의 측면과 이어지고 중심축에 닿지 않을 정도로 비교적 짧게 형성된다.
위치결정돌기부(690)는 보철물결합부(610)에 형성되는 결합홈(691)과 이 결합홈(691)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돌기(693)로 구성된다. 결합홈(691)은 임플란트결합부(630)쪽에서 중심축상에 보철물결합부(610) 일부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결합돌기(693)의 머리는 결합홈(691)에 결합되지 않고 임플란트결합부(630)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어버트먼트(600)가 임플란트에 결합될 때 임플란트 상단부에 형성되게 되는 위치결정홈에 끼워지게 된다. 결합돌기(693)의 머리는 비원형이면 충분하고, 예를 들어, 삼각, 사각, 오각, 육각 등의 다각형이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육각형의 결합돌기(693)를 제시하였다. 또한 결합돌기(593)는 0.5㎜~1.0㎜의 돌출높이(h2)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의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가 임플란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 14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버트먼트(600)는 임플란트결합부(630)가 치조골(1)에 식립된 임플란트(3)의 상부에 마찰 결합되어 있고 보철물결합부(610)에는 보철물(4)가 시멘트를 매개로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다. 어버트먼트(600)의 잇몸접촉부(650)는 상단이 잇몸(2)의 상단 아래에 위치할 정도로 전체가 잇몸(2)과 접촉해 있다. 위치결정돌기부(690)는 임플란트(3) 상단에 형성된 위치결정홈(5)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어버트먼트(600)는 도구삽입부(670)에 점선으로 가상으로 예시한 거상도구가 끼워지고 이 거상도구에 화살표방향과 같이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바람직하게는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어버트먼트(600)가 임플란트(3)로부터 들리면서 보다 쉽게 분리되게 된다. 이때, 거상도구의 끝단은 임플란트(3)의 상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거상도구삽입홈(6)에 끼워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100, 200, 300, 400, 500, 600 :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110, 210, 310, 410, 510, 610 : 보철물결합부
130, 230, 330, 430, 530, 630 : 임플란트결합부
150, 250, 350, 450, 550, 650 : 잇몸접촉부
270, 470, 570, 670 : 도구삽입부
390, 490, 590, 690 : 위치결정돌기부

Claims (21)

  1. 상부에 마련되어 보철물과 결합되는 보철물결합부; 및
    상기 보철물결합부와 하나로 이어지게 하부에 마련되어 임플란트의 상부가 마찰 결합되는 임플란트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결합부는 치조골에 식립된 상기 임플란트에 결합되었을 때 하단이 상기 치조골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되고 상단이 잇몸 상단 부근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결합부는 원통 및/또는 육각기둥모양의 외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결합부는 상기 하단에서 상기 상단으로 좁아지게 테이퍼지고, 테이퍼진 각은 중심축에 대해 1°~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진 각은 중심축에 대해 2°~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결합부의 상기 하단으로부터 상기 상단까지의 높이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는 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결합부의 상기 하단의 직경은 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의 직경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10.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결합부의 설측 또는 협측 중 어느 한 측을 관통하여 중심축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도구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구삽입부는 상기 임플란트결합부 상단과 측면에 걸쳐서 이어지고 중심축을 넘을 정도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12.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결합부의 중심축상에 상기 임플란트결합부쪽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위치결정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돌기부는 상기 보철물결합부에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머리는 비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0.5㎜~1.0㎜의 돌출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결합부의 설측 또는 협측 중 어느 한 측을 관통하여 중심축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도구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구삽입부는 상기 임플란트결합부 상단과 측면에 걸쳐서 이어지고 중심축에 닿지 않을 정도로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결합부의 설측 또는 협측 중 어느 한 측을 관통하여 중심축에 하향 경사하게 형성되는 도구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구삽입부는 상기 임플란트결합부의 상단과 측면에 걸쳐서 이어지고 중심축에 닿지 않을 정도로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구삽입부는 상기 임플란트결합부의 측면과 이어지고 중심축에 닿지 않을 정도로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21.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결합부의 중심축상에 상기 임플란트결합부를 향하게 형성되는 위치결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KR1020100054646A 2010-06-10 2010-06-10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KR101029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646A KR101029068B1 (ko) 2010-06-10 2010-06-10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PCT/KR2011/004134 WO2011155746A2 (ko) 2010-06-10 2011-06-07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646A KR101029068B1 (ko) 2010-06-10 2010-06-10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068B1 true KR101029068B1 (ko) 2011-04-15

Family

ID=4405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646A KR101029068B1 (ko) 2010-06-10 2010-06-10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9068B1 (ko)
WO (1) WO2011155746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363A1 (ko) * 2017-03-30 2018-10-04 이광훈 임플란트 시스템
KR20190030817A (ko)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20190136480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메디덴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48156B1 (ko) * 2020-04-24 2020-08-27 신세기메디텍(주) 하이브리드 임플란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0219A (en) * 1998-10-13 2000-02-29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5839A (en) * 1990-09-28 1992-06-30 Abraham Ingber Dental implant system
KR100597389B1 (ko) * 2004-08-17 2006-07-10 이달호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및 랩 아날로그
KR100597393B1 (ko) * 2004-09-15 2006-07-10 이달호 치과 임플란트,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임프레션 코핑및 랩 아날로그
KR100597392B1 (ko) * 2004-08-20 2006-07-10 이달호 치과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및 랩 아날로그
KR100742739B1 (ko) 2005-07-15 2007-07-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직조가 쉬운 실 형태의 가변형 전지
KR100804411B1 (ko) 2006-01-17 2008-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이차전지
KR101066758B1 (ko) 2009-01-09 2011-09-21 최창하 다기능 헤어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0219A (en) * 1998-10-13 2000-02-29 Zest Anchors, Inc. Dental attachment assembly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363A1 (ko) * 2017-03-30 2018-10-04 이광훈 임플란트 시스템
KR20190030817A (ko)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075453B1 (ko) * 2017-09-15 2020-02-10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20190136480A (ko) *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메디덴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31972B1 (ko) 2018-05-31 2020-07-09 주식회사 메디덴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48156B1 (ko) * 2020-04-24 2020-08-27 신세기메디텍(주) 하이브리드 임플란트
WO2021215728A1 (ko) * 2020-04-24 2021-10-28 신세기메디텍(주) 하이브리드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5746A2 (ko) 2011-12-15
WO2011155746A3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34367B1 (en) Abutment
US20190117346A1 (en) Method of attaching a dental component to a dental implant
KR10230386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AU2003290474A1 (en) Device and arrangement for fixture installation
KR101029068B1 (ko)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CA2778874A1 (en) Supplementary stabilizing device for an endoosseous dental implant
JP4727333B2 (ja) 磁性アタッチメント用歯科インプラント
EP1985256A1 (en) Dental implant assembly and device for taking a dental impression
JP2015047195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
KR101155702B1 (ko) 일체형 임플란트
KR20120008672A (ko) 인공치근 및 이를 이용한 의치구조
TWI533846B (zh) 上部構造可拆卸的假牙裝置及相關的螺絲
US9700388B2 (en) One-part or multi-part implant system comprising a mounting element having one or more outer rings
KR20120010343A (ko) 마찰력이 향상된 마찰결합식 어버트먼트
JP2010252902A (ja) インプラント
KR101648742B1 (ko)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US11259900B2 (en) Cemented dental crown removal system
KR101077826B1 (ko)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
KR101072274B1 (ko) 분리형 치과용 임플란트
EP3020362B1 (en) Prosthodontic device with detachable suprastructure
KR20120009784A (ko) 마찰력이 향상된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
KR101935504B1 (ko) 일정 토크값을 갖는 임플란트 스크류
JP6120036B1 (ja) 歯科インプラント
KR101584886B1 (ko) 개량된 완충형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