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016B1 - 치과용 힐링 어번트먼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힐링 어번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016B1
KR102551016B1 KR1020220147983A KR20220147983A KR102551016B1 KR 102551016 B1 KR102551016 B1 KR 102551016B1 KR 1020220147983 A KR1020220147983 A KR 1020220147983A KR 20220147983 A KR20220147983 A KR 20220147983A KR 102551016 B1 KR102551016 B1 KR 102551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ing abutment
dental
fixture
alveolar bon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천석
Original Assignee
이노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016B1/ko
Priority to PCT/KR2023/017718 priority patent/WO20241018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2008/0084Provisional implants or abu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치아인 크라운이 씌워지는 어버트먼트를 장착하기 전에 잇몸이 치유되는 동안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임시로 고정되는 힐링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쉽게 달라붙지 않도록 비점착성을 갖는 불소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비점착성 막이 표면에 형성(coating)되거나, 또는 비점착성 캡이 상부에 씌워지는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힐링 어번트먼트{HEALING ABUTMENT FOR DENTAL}
본 발명은 인공치아인 크라운이 씌워지는 어버트먼트를 장착하기 전에 잇몸이 치유되는 동안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임시로 고정되는 힐링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쉽게 달라붙지 않도록 비점착성을 갖는 불소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비점착성 막이 표면에 형성(coating)되거나, 또는 비점착성 캡이 상부에 씌워지는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fixture)와, 픽스쳐에 고정되고 저작작용시 가해지는 교합력에 대응하여 측방 또는 수평의 압력을 지탱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 지주대)와, 어버트먼트의 상부를 덮어 수복하여 자연치아와 유사하게 미적 아름다움을 회복시켜주는 크라운(인공치아)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환자의 치조골에 픽스쳐를 식립한다. 이후 환자의 구강 내 환경에 맞추어 원하는 형태의 어버트먼트를 장착할 수 있도록 잇몸을 절개하여 원하는 형태의 어버트먼트에 맞게 잇몸을 형성하는 힐링 어버트먼트를 장착한 후 약 2~4주 정도, 또는 픽스쳐를 식립하고 바로 힐링 어버트먼트를 결합 고정하는 경우에는 2개월 이상 구강 내에 존재하게 되고, 그 동안 잇몸 회복기간을 갖는다. 이후 잇몸 회복기간이 지나면 힐링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서 분리하고 제작된 어버트먼트를 결합한 후 그 상부에 크라운을 씌워 시술을 완료한다.
KR 10-2082414 B1, 2020. 02. 21. KR 10-1779111 B1, 2017. 09. 11. KR 10-2017-0106064 A, 2017. 09. 20.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가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체결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과 같이, 힐링 어버트먼트(2)는 잇몸(1)을 안정화시켜 잇몸(1)을 치유하고, 잇몸(1) 내부의 공간을 보호하여 잇몸(1) 또는 치조골 내부로 이물질이나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힐링 어버트먼트(2)는 도 1과 같이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가 잇몸(1)의 상부에 위치되어 구강 내로 노출된다. 이로 인해 음식물 등을 섭취할 때 음식물에 노출되어 오염되기 쉬운 환경에 놓여 있다. 특히 종래에는 티타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사용하여 힐링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데, 티타늄 등과 같은 금속재질은 음식물이 쉽게 달라붙고, 치태 또한 쉽게 쌓이는 특성이 있다. 이로 인해 힐링 어버트먼트의 주변에 염증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목적)는 음식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쉽게 달라붙지 않도록 비점착성을 갖는 불소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비점착성 막이 표면에 형성되거나, 비점착성 캡이 상부에 씌워지는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를 통해 기재된 기술들을 통해 다양한 목적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잇몸이 치유되는 동안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임시로 결합 고정되는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불소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비점착성 막이 외면에 형성되거나, 불소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비점착성 캡이 씌워져 외면을 덮는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는 상기 픽스쳐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점착성 막은 상기 몸체부의 외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점착성 캡은 상기 몸체부의 외면을 덮도록 씌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하부의 직경에 비해 상부의 직경이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픽스쳐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드라이버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점착성 캡은 상기 드라이버 홈에 대응하는 부위에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는 둘레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홈에는 상기 치조골의 결손 부위에 이식된 이식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식재를 덮도록 설치되는 치과용 차폐막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점착성 캡에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된 후 걸림되어 상기 몸체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에 따르면, 비점착성을 갖는 불소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비점착성 막이 표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표면을 덮도록 비점착성 캡이 설치됨으로써 음식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표면에 쉽게 달라붙거나, 또는 치태 등이 쉽게 쌓이는 등의 현상을 사전에 차단하여 힐링 어버트먼트의 주변에 염증 등이 유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에 따르면, 비점착성을 갖는 불소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비점착성 막이 표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표면을 덮도록 비점착성 캡이 설치됨으로써 우수한 내열성, 내약품성 및 내후성을 통해 치과에서 고압 멸균기 등을 사용하여도 어버트먼트의 성질이나 외형 변화없이 살균 소독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힐링 어버트먼트가 픽스쳐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의 설치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5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각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은 크기 및 형상이 과도하게 도시될 수도 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A 및/또는 B'라 기재된 경우 A와 B 모두를 의미하거나, 또는 A 또는 B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의 설치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10)는 잇몸(6)이 치유되는 동안 치조골(4)에 식립된 픽스쳐(5)에 임시로 결합 고정되는 힐링 어버트먼트로서, 그 외면에는 음식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쉽게 달라붙지 않도록 비점착성을 갖는 불소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비점착성 막(13)이 형성된다.
비점착성 막(13)은 음식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달라붙지 않도록 비점착성을 갖는 불소 수지 재질을 사용하여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10)의 외면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불소 수지는 플루오린을 포함한 올레핀을 중합시켜 얻어진 합성수지로서, 내열성, 내약품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고, 비점착성과 윤활성 등이 다른 재질에 비해 우수하다. 또한 치과에서 사용하는 고압 멸균기 등에서도 성질 변화없이 살균(멸균) 소독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불소 수지로는 PTFE(Polytetrafluroethylene),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copolmer), PFA(Perfluoroalkoxy), PVDF(Polyvinyliden Fluoride), PEEK(Poly ether ketone), ETFE(Ethylene Tetra Fluoro Ethylene) 등 불소를 함유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공지된 불소를 함유한 수지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10)는 픽스쳐(5)에 결합되는 결합부(11)와, 결합부(11)의 상부에 형성된 몸체부(12)를 포함한다. 결합부(11)와 몸체부(12)는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10)의 베이스 몸체로서, 쉽게 파절되지 않도록 소정의 강도를 위해 티타늄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을 사용할 수 있다.
비점착성 막(13)은 도 2의 (b)와 같이, 결합부(11)와 몸체부(12)의 외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거나, 또는 결합부(11)를 제외한 몸체부(12)의 외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몸체부(12)에서도 도 3과 같이, 잇몸(6)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결합부(11)는 도 3과 같이, 치조골(4)에 식립된 픽스쳐(5)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11)는 픽스쳐(5)의 중앙에 형성된 암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면에 숫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는 도 2와 같이, 몸체부(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일례로서, 결합부와 몸체부를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제작한 후 이들을 나사 결합방식 등을 통해 조립할 수도 있다.
몸체부(12)는 도 3과 같이, 결합부(11)가 픽스쳐(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일부가 잇몸(6)의 상측으로 노출(돌출) 된다. 그리고 잇몸(6)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몸체부(12)의 상면에는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10)를 픽스쳐(5)에 조립하거나 분리하기 위해 드라이버 공구(미도시)가 삽입되는 드라이버 홈(12a)이 형성된다.
드라이버 공구가 삽입되는 몸체부(12)의 드라이버 홈(12a)은 헥사형, 일자형 또는 십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12)는 하부 직경이 상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2)는 하부, 즉 결합부(11)의 상단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한다.
실시 예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20)는 실시 예1과 마찬가지로, 결합부(21)와 몸체부(22)를 포함한다. 다만 실시 예2에서는 실시 예1과 다르게 몸체부(22)의 외면에 비점착성 막이 코팅(coating) 방식으로 형성되는 대신에 독립적으로 불소 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비점착성 캡(23)을 몸체부(22)에 씌워 힐링 어버트먼트(20)의 외면에 비점착성 특성을 부가한다.
비점착성 캡(23)은 실시 예1에 따른 비점착성 막(13)과 동일하게 불소 수지 재질로 형성한다. 이러한 비점착성 캡(23)에는 도 4의 (b)와 같이, 몸체부(22)의 상부에 형성된 드라이버 홈(22a)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에 관통구멍(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비점착성 캡(23)은 몸체부(22)의 외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탄성을 갖는 불소 수지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비점착성 캡(23)이 결합부(21)를 제외한 몸체부(22)의 외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결합부(21)의 외면까지 확장될 수도 있다.
실시 예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3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30)는 실시 예2와 마찬가지로, 결합부(31), 몸체부(32) 및 비점착성 캡(33)을 포함한다. 다만 실시 예3에서는 실시 예2와 다르게 비점착성 캡(33)이 몸체부(32)의 외면 전체를 덮지 않고 잇몸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몸체부(32)의 노출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비점착성 캡(33) 또한 실시 예2에 따른 비점착성 캡(23)과 동일하게 불소 수지 재질로 형성한다. 그리고 비점착성 캡(33)에는 도 5의 (b)와 같이, 몸체부(32) 형성된 드라이버 홈(32a)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구멍(33a)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 예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4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40)는 실시 예3과 마찬가지로, 결합부(41), 몸체부(42) 및 비점착성 캡(43)을 포함한다. 다만 실시 예4에서는 실시 예3과 다르게 비점착성 캡(43)이 몸체부(4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도 6의 (b)와 같이 걸림턱(43b)이 더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몸체부(42)의 외면 둘레에도 걸림턱(43b)이 삽입되는 걸림홈(42b)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 예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5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5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50)는 실시 예1과 마찬가지로, 결합부(51), 몸체부(52) 및 비점착성 막(53)을 포함한다. 다만 실시 예5에서는 실시 예1과 다르게 도 7의 (b)와 (c)와 같이, 몸체부(52)의 상부 둘레에 치과용 차폐막(8)이 삽입되는 둘레홈(52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이외에는 실시 예1에 따른 결합부(11)와 몸체부(12)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치과용 차폐막(8)은 치조골(7)이 결손된 부위에 이식재(인공 뼈 등)(7')를 채운 후 이식된 부위를 덮어 이식된 이식재(7')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잇몸(9)이 성장하여 치조골(7)의 결손 부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결손된 치조골(7)이 온전하게 회복되도록 하기 위하여 치조골(7)과 이식재(7')를 덮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치과용 차폐막(8)은 흡수성 차폐막과 비흡수성 차폐막의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흡수성 차폐막은 사용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흡수되기 때문에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치조골이 완벽하게 재생하는 기간 동안 형태가 유지되지 않으면 원하는 치조골을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비흡수성 차폐막은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녹아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원하는 치조골 형태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추가로 제거 수술을 통해 제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치조골 형태를 얻기 위해 비흡수성 차폐막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들 중 비흡수성 차폐막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첫째, 흡수되지 않아야 한다. 그 이유는 이식된 이식재가 본연의 형태를 유지하고 그 형태에 대응하여 치조골이 복원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 시간이 지나도 녹아 흡수되지 않아야 한다. 셋째, 인체에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종래의 비흡수성 차폐막으로는 어느 정도 딱딱한(단단한) 소재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2에서는, 치과용 차폐막(8)으로 비흡수성 차폐막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으로는 티타늄 메시나 불소 수지 재질,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합성 고무는 불소를 함유한 불소 고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소 고무로는 FKM(Fluoro Elastomers) 또는 FFKM(perFluoro Elastomers)일 수 있다. 또한 치과용 차폐막(8)은 단층막 또는 2층 이상의 적층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치과용 차폐막(8)에는 굽힘성을 갖는 단일 금속 뼈대 또는 합금 금속 뼈대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의 (b)와 같이, 치조골(7)의 결손 부위에 이식재(7')를 채운 후 치조골(7)과 이식재(7')를 덮도록 치과용 차폐막(8)을 덮는다. 치과용 차폐막(8)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5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50)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은 몸체부(52)의 직경보다 크고 둘레홈(52b)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 예5에 따른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50)의 결합부(51)를 치과용 차폐막(8)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픽스쳐(5)의 중앙에 형성된 암 나사부로 삽입시킨 후 조임방향으로 회전시켜 픽스쳐(5)에 안정적으로 체결 고정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 6, 9 : 잇몸
2, 10, 20, 30, 40, 50 : 힐링 어버트먼트
3, 5 : 픽스쳐
4, 7 : 치조골
7' : 이식재
8 : 치과용 차폐막
11, 21, 31, 41, 51 : 결합부
12, 22, 32, 42, 52 : 몸체부
12a, 22a, 32a, 42a, 52a : 드라이버 홈
13, 53 : 비점착성 막
23, 33, 43 : 비점착성 캡
23a, 33a, 43a : 관통구멍
42b : 걸림홈
43b : 걸림턱
52b : 둘레홈

Claims (11)

  1. 잇몸이 치유되는 동안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에 임시로 결합 고정되는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는,
    상기 픽스쳐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면, 또는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는 음식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들러붙지 않도록 불소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비점착성 막이 코팅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하부의 직경에 비해 상부의 직경이 크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픽스쳐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비점착성 막에 덮혀지지 않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드라이버 홈이 형성된,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는 둘레홈이 형성된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홈에는 상기 치조골의 결손 부위에 이식된 이식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식재를 덮도록 설치되는 치과용 차폐막이 결합되는 치과용 힐링 어버트먼트.


  11. 삭제
KR1020220147983A 2022-11-08 2022-11-08 치과용 힐링 어번트먼트 KR102551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983A KR102551016B1 (ko) 2022-11-08 2022-11-08 치과용 힐링 어번트먼트
PCT/KR2023/017718 WO2024101837A1 (ko) 2022-11-08 2023-11-07 치과용 힐링 어번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983A KR102551016B1 (ko) 2022-11-08 2022-11-08 치과용 힐링 어번트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016B1 true KR102551016B1 (ko) 2023-07-05

Family

ID=8715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983A KR102551016B1 (ko) 2022-11-08 2022-11-08 치과용 힐링 어번트먼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1016B1 (ko)
WO (1) WO20241018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837A1 (ko) * 2022-11-08 2024-05-16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힐링 어번트먼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2499A1 (en) * 2001-11-01 2003-05-01 Anders Halldin Components and method for improved impression making
KR20110111116A (ko) * 2010-04-02 2011-10-10 (주) 시원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KR20170096267A (ko) * 2016-02-15 2017-08-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적합성 불소계 세라믹 코팅층을 포함하는 금속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KR101779111B1 (ko) 2016-01-04 2017-09-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힐링 어버트먼트 조립체
KR20170106064A (ko) 2016-03-11 2017-09-20 (주)예스바이오테크 힐링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082414B1 (ko) 2017-09-29 2020-02-27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임플란트용 힐링 어버트먼트 장착을 위한 플래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102389090B1 (ko) * 2021-09-23 2022-04-20 배만영 조립형 힐링 어버트먼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016B1 (ko) * 2022-11-08 2023-07-05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힐링 어번트먼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2499A1 (en) * 2001-11-01 2003-05-01 Anders Halldin Components and method for improved impression making
KR20110111116A (ko) * 2010-04-02 2011-10-10 (주) 시원 차폐막 고정용 어버트먼트
KR101779111B1 (ko) 2016-01-04 2017-09-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힐링 어버트먼트 조립체
KR20170096267A (ko) * 2016-02-15 2017-08-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적합성 불소계 세라믹 코팅층을 포함하는 금속 임플란트의 제조방법
KR20170106064A (ko) 2016-03-11 2017-09-20 (주)예스바이오테크 힐링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082414B1 (ko) 2017-09-29 2020-02-27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임플란트용 힐링 어버트먼트 장착을 위한 플래닝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그 기록매체
KR102389090B1 (ko) * 2021-09-23 2022-04-20 배만영 조립형 힐링 어버트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837A1 (ko) * 2022-11-08 2024-05-16 이노덴 주식회사 치과용 힐링 어번트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1837A1 (ko) 202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46905A (en) Dental implant with expanded ptfe gingival interface
US5425639A (en) Dental implant with shock absorbent cushioned interface
EP3366259B1 (en) Dental implant for a jaw with reduced bone volume and improved osseointegration features
AU2012245763B2 (en) Healing abutment system for bone contouring
KR102551016B1 (ko) 치과용 힐링 어번트먼트
KR20160098105A (ko) 임플란트용 차폐막
US20120214128A1 (en) Porous Implant Device for Supporting a Denture
US20090061388A1 (en) Dental prosthetic device with soft tissue barrier promotion material
KR101984691B1 (ko) 발치 위치 재건을 위한 치과용 장치
EA030388B1 (ru) Пористый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KR101375154B1 (ko) 치아 형상에 대응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KR101163621B1 (ko) 임플란트용 픽스처
JPS61502866A (ja) 歯周疾患の治療用品
US1080654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untering gingival effects in dental restoration
US20160338836A1 (en) Preliminarily bonded multilayer film for covering a bone defect site
US20160302892A1 (en) Supraosseous dental implant
Goiato et al. Retention and processing methods of nasal prosthesis
EP3406223B1 (en) Dental abutment with porous soft tissue surface
KR20150133671A (ko) 임플란트용 차폐막
US20220273402A1 (en) Implant abutment
KR20190038697A (ko) 임플란트용 상부 구조물의 내부 홀 충진재
CN109758243B (zh) 一种避免牙种植体周边缘骨吸收的封闭装置
CN209984334U (zh) 一种生物陶瓷种植体
KR20150086699A (ko) 멀티플 어버트먼트
CN220213118U (zh) 一种防止晃动的基牙制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