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954A - 필름형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필름형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954A
KR20110109954A KR1020110027684A KR20110027684A KR20110109954A KR 20110109954 A KR20110109954 A KR 20110109954A KR 1020110027684 A KR1020110027684 A KR 1020110027684A KR 20110027684 A KR20110027684 A KR 20110027684A KR 20110109954 A KR20110109954 A KR 20110109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rug
preparation
organic solvent
polar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5414B1 (ko
Inventor
다이스께 아사리
미쯔히꼬 호리
다꾸야 시시도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8Bronchodi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0Expecto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lmonology (AREA)
  • Bird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에서의 신속한 용해 프로파일, 충분한 필름 강도를 갖고, 또한 외관 및 촉감이 우수한 필름형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 및 극성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가식성 고분자와, 극성 유기 용매에 불용성인 약물 입자를 함유하는 필름형 제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필름형 제제 및 그 제조 방법{FILM-FORM PREPAR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강 내에서 빠르게 용해되는 필름형 제제(필름형 약제)에 관한 것이며, 또한 상세하게는, 구강 내에서 빠르게 용해됨으로써, 소화기관 또는 구강 점막에 의해 약물을 흡수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경구 투여용의 약물 입자가 분산된 필름형 제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약제로서는 나정제, 피복 정제, 캡슐, 가루약, 과립제, 액제 등이 시판되고 있다.
또한, 구강 내에서 붕괴되고, 소화관에서 흡수되는 제제로서는 구강 내 붕괴정, 신속 용해형 구강 내 필름 제제가 이미 시판되고 있으며, 이들 중 신속 용해성의 관점에서 필름형 제제가 유용하다.
이러한 필름형 제제로서, 지금까지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와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혼합물, 탄닌 물질 및 약물을 포함하는 필름형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약물과,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필름형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3에는, 약물과,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필름형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4에는, 약물과,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필름형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5에는, 약물과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유기 용매에 용해 및 분산시킨 현탁액을 건조시켜 얻어진 정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6에는, 약물을 포함하는 필름형 제제에 있어서, 상기 제제가 수용성, 물 팽윤성, 물 불용성, 또는 그들의 조합인 중합체를 포함하여도 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7에는, 약물 입자를 갖는 필름형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필름형 제제는, 제제 중의 대부분의 약물이 용해 형태로 존재하거나, 또는 고체 형태로 존재한다고 해도 일단 용해된 후에, 제제 중에서 재결정된 고체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필름형 제제의 외관 및 촉감 등의 물리 특성이 만족스러운 것이 아니었다. 또한, 고체 형태로 약물이 제제 중에 존재하는 것에 있어서도, 제조 공정 중에서 약물이 일단 용해되기 때문에, 입자형의 약물을 제제 중에 함유시키고, 게다가 입자 직경을 제어하는 것은 매우 곤란했다.
일본 특허 제349672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6913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43450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07-52887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 11-116465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4/066986호 일본 특허 공표 제2002-523359호 공보
상기 현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구강 내에서의 신속한 용해 프로파일, 충분한 필름 강도를 갖고, 또한 외관 및 촉감이 우수한 필름형 제제 및 상기 필름형 제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약물 입자가 불용성인 용매를 사용하고, 그 용매에 가용성인 가식성 고분자를 선택하여 약물 입자를 포함하는 필름형 제제를 제조함으로써, 구강 내에서의 신속한 용해 프로파일, 충분한 필름 강도를 갖고, 또한 외관 및 촉감이 우수한 필름형 제제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물 및 극성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가식성 고분자와, 극성 유기 용매에 불용성인 약물 입자를 함유하는 필름형 제제이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에 있어서, 상기 약물 입자의 입자 직경이 0.1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식성 고분자는, 상온에서 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식성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은, 분자량이 2500 내지 30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는, 분자량이 1만 내지 115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는, 히드록시프로폭실기의 치환도가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극성 유기 용매는, 용해 파라미터가 9.7 이상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물 및 극성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가식성 고분자와, 극성 유기 용매에 불용성인 약물 입자를 함유하는 필름형 제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가식성 고분자, 상기 약물 입자 및 극성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약물 분산액을 제조하고, 상기 약물 분산 용액의 박층을 형성하고 상기 박층을 건조시키는 필름형 제제의 제조 방법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는, 물 및 극성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가식성 고분자와, 극성 유기 용매에 불용성인 약물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는, 「물 및 극성 유기 용매에 가용성이다」란, 20℃ 하에서 1g의 용질을 녹이는 극성 유기 용매의 양이 5mL 미만인 경우를 말하고, 「극성 유기 용매에 불용성이다」란, 20℃ 하에서 1g의 용질을 녹이는 극성 유기 용매 및 물의 양이 100mL 이상 필요한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20℃ 하에서 1g의 용질을 녹이는 극성 유기 용매 또는 물의 양이 3mL 미만이면 「이용성(易溶性)이다」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용매에 불용성인 약물 입자(1a)가, 물 및 극성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가식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기재(1b) 중에 분산되어 있다.
상기 약물 입자는, 기재 표면 상에 또는 기재 내의 특정 부위에 국재화되어 있을 수 있지만, 기재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물 입자가 기재 내에 균일하게 분산됨으로써, 구강 내에서의 신속한 약물의 방출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필름형 제제의 물리적 특성이 양호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에서는, 약물 입자는, 피복, 예를 들어 마이크로캡슐로 피복될 필요성이 없어, 약물 입자의 원하는 약물 방출능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30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30㎛ 미만이면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의 필름 강도 및 제품의 취급성의 관점에서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고, 300㎛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의 구강 내에서의 용해에 시간이 걸리고, 용이하게 용해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의 평면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등의 임의의 형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약물 입자는, 극성 유기 용매에 불용성인 용해 특성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는, 상기 약물 입자로서 상기 용해 특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한편, 상기 약물 입자를 분산시키는 가식성 고분자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물 및 극성 유기 용매에 대하여 가용성인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용해 특성을 갖는 약물 입자와 가식성 고분자를 조합하여 사용하고, 제조 시의 용매로서 극성 유기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는, 상기 약물 입자를 입자 상태로 함유시킬 수 있고, 약물 입자의 입자 직경의 제어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필름형 제제 중에서 재결정한 상태로 포함되는 약물 입자와, 입자의 상태로 포함되는 약물 입자는, 당업자라면 예를 들어 다음 기준에 따라, 현미경 관찰에 의해 용이하고, 또한 명확하게 분별할 수 있다.
즉, 필름형 제제 중에서 입자의 상태로 포함되는 약물 입자는, 이러한 입자가, 필름형 제제 중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무정형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는 불규칙하면서도 불균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이에 대해, 필름형 제제 중에서 재결정한 상태로 포함되는 약물 입자는, 제조자가 제조 시에 입경을 제어하는 점에서, 인위적인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약물 입자는, 상온에서 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물 입자가 상온에서 고체이면,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 중에서 상기 약물 입자는, 입자로서의 형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온에서 고체이다」란, 20℃에서 유동성을 갖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에 있어서, 상기 약물 입자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0.1㎛ 미만이면 각 약물 입자가 응집될 가능성이 있어, 필름형 제제의 유연성이 부위에 따라 불균일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평균 입자 직경이 60㎛를 초과하면, 실용적인 두께의 필름형 제제에 함유시켰을 때, 제제의 유연성이 역시 부위에 따라 불균일해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 약물 입자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 있음으로써, 실용상의 두께에 있어서 강도 및 유연성이 균일한 필름형 제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말하는 평균 입자 직경이란, 그 원 상당 직경의 50용량% 평균 입자 직경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원 상당 직경이란, 투영 면적 원 상당 직경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자의 투영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이며, 헤이우드(Heywood) 직경이라고도 불리는 것이다.
상기 약물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한 범위 밖인 경우에는, 평균 입자 직경을 상기한 범위로 되도록 정립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평균 입자 직경의 조정은, 분쇄, 건식 분쇄법, 습식 조립법 등에 의한 조립, 체나 분급기 등을 사용한 분급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약물 입자, 제제의 물리 특성 및 외관의 관점에서, 상기 약물 입자는, 정립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립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공지의 수단을 들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프레이 드라잉, 제트 밀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 입자는, 제제의 물리 특성 및 외관의 관점에서는, 마이크로캡슐화될 필요성이 없는 것이다. 마이크로캡슐화되어 있지 않은 약물 입자는, 신속 용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물 입자란, 고체 약물 덩어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약물 입자로서는, 상술한 극성 유기 용매에 불용성인 용해 특성을 갖고, 경구 투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구체적으로 들면, 예를 들어 진정제, 거담제, 하제, 항암제, 당뇨병약, 항파킨슨병약, 항우울증약, 정신 안정제, 치매증약, 강압제, 고지혈장약, 편두통약, 골다공증 치료약, 저혈압 치료약, 진해제, 소화성 궤양용제, 빈뇨·배뇨 장해약, 요실금약, 항궤양약, 알레르기약, 5-HT3 수용체 길항약(제토약)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약물 입자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아야콜술폰산칼륨 입자, 글루타티온(환원형) 입자, 아미노필린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 입자는, 쓴맛이 없는 것이 적합하지만, 쓴맛이 있는 것이어도, 쓴맛 마스킹 기술, 예를 들어 마이크로캡슐화, 쓴맛 차폐제, 감미제, 교미제 및 방향제 첨가 등에 의해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물 입자의 배합량은, 사용하는 약물 입자의 성질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에 포함되는 고형분의 전체 중량 중 0.1 내지 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이면 구강 내에서의 신속한 용해 프로파일, 충분한 필름 강도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강 내에서의 수용성 중합체 의존의 끈적한 느낌,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의 촉감에 있어서 약물을 용해하여 필름을 제조한 경우와 비교해도 명확한 향상은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지만, 실용상 문제는 없다. 한편, 80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약물 입자의 입자 직경을 상당히 작게 하지 않는 한, 제품의 보형성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60중량%이다. 60중량% 이하인 것에서, 본 발명의 상기 효과를 보다 적합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식성 고분자는,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의 기재를 구성하는 성분이며, 필름 형성능을 갖는 것이다.
상기 가식성 고분자는, 물 및 극성 유기 용매 양쪽에 가용성이며, 가식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온에서 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식성 고분자는,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400만이다. 2000 미만이면 필름 성형성이 부족하여, 필름형 제제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400만을 초과하면, 필름형 제제의 용해성이 모자라게 되어, 실용상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300만이다.
상기 가식성 고분자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이하 "PVP"라고 적는다) 및/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이하 "HPC"라고 적는다)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이들 가식성 고분자는, 물 및 극성 유기 용매에 충분히 가용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필름형 제제에 사용한 경우, 구강 내에서 신속히 용해된다는 것과, 제조 시에 약물 입자가 불용성인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양쪽의 조건을 만족한다. 그에 의하면, 극성 유기 용매에 불용성인 약물 입자를 입자 상태에서 필름형 제제의 기재 중에 균일하게 분산 담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식성 고분자 중에서도 보다 바람직한 것은 HPC이다. 이것은, 상대 습도에 대한 흡습성이, PVP와 비교하여 HPC쪽이 낮아, 실용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고 사료되기 때문이다.
상기 PVP는, 분자량이 2500 내지 30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2500 미만이면 안정성 및 흡습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고, 반대로 300만을 초과하면, 용해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120만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100만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분자량이란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하고,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HPC는, 분자량이 1만 내지 115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1만 미만이면 흡습성 및 안정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고, 115만을 초과하면, 용해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만 내지 37만이다.
상기 HPC는, 히드록시프로폭실기의 치환도가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50% 미만이면 물 및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프로폭실기의 치환도의 측정 방법은, 제15 개정 일본 약국법·의약품화 각 조·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정량법을 따른다. 상기 HPC의 히드록시프로폭실기의 치환도는, 53.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는, 상술한 가식성 고분자 이외에, 예를 들어 물에만 가용성인 가식성 고분자 또는 물에도 극성 유기 용매에도 불용성인 가식성 고분자를 적당량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식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결정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등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 알긴산 소다, 덱스트란, 카제인, 풀루란, 펙틴, 구아 검, 크산탄 검, 트라가칸트 검, 아카시아 검, 아라비아 검, 전분 등의 천연물로부터 얻어지는 고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에 있어서, 상기 가식성 고분자의 배합량은, 필름형 제제에 포함되는 고형분 중량 전체에 대하여, 1 내지 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 중의 상술한 약물 입자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는 경우가 있어, 상기 약물 입자의 입자 직경을 상당히 작게 하지 않는 한, 제품의 보형성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한편, 80중량%를 초과하면, 구강 내에서의 신속한 용해 프로파일, 충분한 필름 강도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보다 적합하게는, 10 내지 70중량%이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는, 상술한 각 물질 이외에, 소망에 따라 향료, 교미제, 감미제, 착색제, 방부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계면 활성제, 가소제(폴리에틸렌글리콜(PEG) 등)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사용하기에 지장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는, 소망에 따라, 단당 내지 6당의 당 및 이들 당알코올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는, 상기 약물 입자를 일단 용해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 당 또는 당알코올을 정립된 형태로 함유할 수 있고, 필름형 제제의 물리적 특성 및 외관을 저하시키는 리스크를 저감하면서, 필름형 제제에 감미나 보습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단당류로서는, 예를 들어 에리트로오스, 트레오스 등의 알도테트로오스, 리보오스, 릭소오스, 크실로오스, 아라비노오스 등의 알도펜토오스, 알로오스, 탈로오스, 굴로오스, 글루코오스, 알트로오스,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이도오스 등의 알도헥소오스, 에리트룰로오스 등의 케토테트로오스, 크실룰로오스, 리불로오스 등의 케토펜토오스, 프시코오스, 프룩토오스, 소르보오스, 타가토오스 등의 케토헥소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2당류로서는, 예를 들어 트레할로오스, 코지비오스, 니게로오스, 말토오스, 이소말토오스 등의 α-디글루코시드, 이소트레할로오스, 소포로오스, 라미나리비오스, 셀로비오스, 겐티오비오스 등의 β-디글루코시드, 네오트레할로오스 등의 α,β-디글루코시드 외에,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이소말툴로오스(팔라티노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3당류로서는, 예를 들어 라피노오스를 들 수 있고, 3당 내지 6당의 올리고당으로서는, 프룩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크실로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키틴올리고당, 키토산올리고당, 올리고글루코사민,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환상 올리고당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단당의 당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에리트리톨, D-트레이톨, L-트레이톨 등의 테트리톨, D-아라비니톨, 크실리톨 등의 펜티톨, D-이디톨, 갈락티톨(둘시톨), D-글루시톨(소르비톨), 만니톨 등의 헥시톨, 이노시톨 등의 시클리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2당의 당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말티톨, 락티톨, 환원 팔라티노오스(이소말트) 등을 들 수 있고, 올리고당으로서는, 펜타에리트리톨, 환원 맥아당 물엿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에 구강 내에서의 이용해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는, 단당류 내지 3당류 및 그들 당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나아가, 흡습성이 낮은 락토오스, 에리트리톨, 크실리톨, 만니톨, 환원 팔라티노오스(이소말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단당 내지 6당의 당 및 이들 당알코올로부터로서는, 0.1 내지 60㎛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미만이면 각 입자가 응집될 가능성이 있어,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의 유연성이 부위에 따라 불균일해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60㎛를 초과하면, 실용적인 두께의 필름형 제제에 함유시켰을 때, 필름형 제제의 유연성이 역시 부위에 따라 불균일해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 당 및 당알코올은 0.1 내지 30㎛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당 및 당알코올의 평균 입자 직경은, 이하와 같이, 레이저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한 50용량% 평균 입자 직경을 말한다.
즉, 0.2중량%의 폴리옥시에틸렌 모노라우르산 에스테르의 클로로포름 용액 3mL 중에, 10mg의 당 또는 당알코올 입자를 첨가하고, 초음파에 의해 충분히 분산시킨 분산액을, 레이저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호리바 세이사꾸쇼제, LA-950)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75 내지 85%를 나타내도록 클로로포름에 첨가하고, 습식법에 의해 50용량% 평균 입자 직경을 측정한다.
상기 당 및 당알코올의 배합량으로서는,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의 고형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중량% 미만이면 실용적인 두께의 필름형 제제에 있어서, 구강 내에서의 용해 프로파일, 필름 강도, 구강 내에서의 수용성 고분자에 유래하는 끈적한 느낌,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의 촉감에 있어서 충분한 개선이 보이지 않고, 80중량%를 초과하면, 당 및 당알코올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을 상당히 작게 하지 않는 한, 필름형 제제의 보형성 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상기 당 및 당알코올의 배합량은 10 내지 6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당 및 당알코올로서는, 의약품용으로서 제공되고 있는 시판품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평균 입자 직경을 상기한 범위로 되도록 정립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시판품을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한 범위로 되도록 정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평균 입자 직경의 조정은, 분쇄, 건식 조립법, 습식 조립법 등에 의한 조립, 체나 분급기 등을 사용한 분급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극성 유기 용매로서는, 상기 가식성 고분자를 용해시키지만, 상기 약물 입자는 용해시키지 않은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용해 파라미터가 9.7 이상인 유기 용매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용해 파라미터를 만족하는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필렌글리콜, 염화메틸렌, 아세톤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이들 극성 유기 용매는, 단일 용매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한 혼합 용매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해 파라미터」란, 1mol 용량의 액체가 증발하기 위하여 필요한 증발열(cal/cm3)의 평방근(SP값)을 말한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를 제조할 때에 사용할 수 있는 유기 용매의 용해 파라미터 및 물의 용해 파라미터값을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유기 용매의 용해 파라미터는 9.7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9.7 내지 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해 파라미터가 9.7 미만이면 상기 가식성 고분자, 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용해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용해 파라미터가 20을 초과하면, 약물 입자의 종류에 따라서는 용해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는, 예를 들어 다음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우선 소정량의 가식성 고분자 및 분쇄, 조립, 분급 장치 등에 의해 입자 직경을 조정한 약물 입자를, 상기 가식성 고분자에 대하여 가용성의 극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 프로판올, 아세톤 등 첨가하여 약물 분산액을 제조한다. 그리고, 이 약물 분산액을, 박리 필름 상에 적당량 전연 건조하여 박막을 형성하고, 상기 박막을 건조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조시킨 박막은, 원하는 크기로 재단하고, 필요에 따라 밀봉 포장하여, 제품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약물 분산 용액을 제조할 때, 가식성 고분자 전량을 극성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후에 약물 입자를 첨가하면, 그 점성에 의해 약물 입자를 충분히 분산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의 제조 방법에서는, 우선 약물 입자를 극성 유기 용매에 분산시킨 후, 가식성 고분자를 용해시켜 약물 분산 용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물 분산액의 제조 시에 용액 중에 거품이 발생한 경우는, 하룻밤 방치하거나 진공 탈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물 분산 용액의 제조에 사용되는 용매는, 상기 극성 유기 용매만이 바람직하지만, 미량이라면 정제수를 첨가해도 지장이 없다.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는, 약물 입자가 입자인 상태로 분산되어 있음으로써, 구강 내에서의 신속한 용해 프로파일을 실현하는 충분한 양의 약물을, 필름형 제제 중에 안정적으로 함유하면서, 충분한 필름 강도, 양호한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의 촉감, 필름 외관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약물 입자를 용액에 일단 용해시킬 필요성이 없어, 필름형 제제 내에, 분산, 담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입자형의 약물을 제제 중에 함유하는 상기 필름형 제제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그 입자 직경, 입자 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태크 지속 시간 시험의 모습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은 구아야콜술폰산칼륨 입자의 SEM 화상.
도 4는 구아야콜술폰산칼륨 입자 A의 SEM 화상.
도 5는 구아야콜술폰산칼륨 입자 B의 SEM 화상.
도 6은 구아야콜술폰산칼륨 입자 C의 SEM 화상.
도 7은 글루타티온(환원형) 입자의 SEM 화상.
도 8은 아미노필린 입자의 SEM 화상.
도 9는 실시예 1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10은 실시예 2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11은 실시예 3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12는 실시예 4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13은 실시예 5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14는 실시예 6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15는 실시예 7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16은 실시예 8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17은 실시예 9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18은 실시예 10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19는 실시예 11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20은 실시예 12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21은 실시예 13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22는 비교예 1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23은 비교예 2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24는 비교예 3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25는 비교예 4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26은 비교예 5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27은 비교예 6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도 28은 비교예 7의 필름형 제제 표면의 현미경 사진.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약물 입자는, 분쇄 후, 32㎛, 53㎛, 90㎛의 체로 친 것, 제트 밀(호소까와 마이크론사제, 스파이럴 제트 밀 50AS) 및 스프레이 드라이어(부치(BUCHI)사제, 미니 스프레이 드라이어 B-290)에 의해 미립자화된 것을 사용했다. 이들 각 약물 입자를 전자 현미경(히따찌 하이테크놀러지즈사제, TM-1000)에 의해 측정하여, 200개의 입자 직경 결과로부터 50용량% 평균 입자 직경을 산출했다. 이 값을 각 입자의 입자 직경의 지표로서 사용했다.
표 2에 사용한 각 약물 입자의 50용량% 평균 입자 직경 및 그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이들 입자의 화상을 도 3 내지 도 8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실시예 1)
에탄올 12.0중량부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400) 0.35중량부를 첨가하여 잘 교반한 후, 분자량 약 3만이며, 히드록시프로폭시기의 치환도가 53.4 내지 77.5%인 HPC(닛본 소다제, 상품명; 닛소 HPC SSL) 6.65중량부를 첨가하여 롤링 믹서로 교반 용해시켰다. 여기에, 미리 입자 직경을 제어한 구아야콜술폰산칼륨 입자 3.0중량부를 첨가하여 초음파에 의해 분산시켜 약물 분산 용액을 제조했다. 이 약물 분산 용액을 충분히 탈포한 후, 이것을 폴리에스테르 박리 필름 상에 연신 건조하여 두께 약 70㎛의 필름을 제조했다. 얻어진 필름을 폴리에스테르 박리 필름으로부터 박리시켜 4㎠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하여, 실시예 1의 필름형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2)
HPC 대신에, 분자량 105만 내지 120만의 PVP(와꼬 쥰야꾸제, 시약명; 폴리비닐피롤리돈 K90)를 사용하고, 표 3에 나타낸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실시예 2의 필름형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3)
에탄올 대신에, 아세톤을 사용하고, 표 3에 나타낸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실시예 3의 필름형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4)
에탄올 대신에, 아세톤을 사용하고, 표 3에 나타낸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실시예 4의 필름형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5)
구아야콜술폰산칼륨 입자 대신에, 미리 입자 직경을 제어한 글루타티온(환원형) 입자를 사용하고, 표 3에 나타낸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실시예 5의 필름형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6)
구아야콜술폰산칼륨 입자 대신에, 미리 입자 직경을 제어한 아미노필린 입자를 사용하고, 표 3에 나타낸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실시예 6의 필름형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7)
HPC 대신에, 분자량 105만 내지 120만의 PVP(와꼬 쥰야꾸제, 시약명; 폴리비닐피롤리돈 K90)를 사용하고, 표 3에 나타낸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실시예 7의 필름형 제제를 얻었다.
Figure pat00003
(실시예 8)
에탄올 12.0중량부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400) 0.35중량부를 첨가하여 잘 교반한 후, 분자량 약 3만이며, 히드록시프로폭시기의 치환도가 53.4 내지 77.5%인 HPC(닛본 소다제, 상품명; 닛소 HPC SSL) 6.65중량부를 첨가하여 롤링 믹서로 교반 용해시켰다. 여기에, 미리 입자 직경을 제어한 구아야콜술폰산칼륨 입자 A 3.0중량부를 첨가하여 초음파에 의해 분산시켜 약물 분산 용액을 제조했다. 이 약물 분산 용액을 충분히 탈포한 후, 이것을 폴리에스테르 박리 필름 상에 연신 건조하여 두께 약 70㎛의 필름을 제조했다. 이 필름을 폴리에스테르 박리 필름으로부터 박리시켜 4㎠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하여, 실시예 8의 필름형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9, 10)
구아야콜술폰산칼륨 입자 A 대신에, 미리 입자 직경을 제어한 구아야콜술폰산칼륨 입자 B 및 C를 사용하고, 표 4에 나타낸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실시예 9 및 실시예 10의 필름형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11 내지 13)
표 4에 나타낸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실시예 11 내지 13의 필름형 제제를 얻었다.
Figure pat00004
(비교예 1)
분자량 약 3만이며, 히드록시프로폭시기의 치환도가 53.4 내지 77.5%인 HPC(닛본 소다제, 상품명; 닛소 HPC SSL) 6.65중량부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400) 0.35중량부, 미리 입자 직경을 제어한 구아야콜술폰산칼륨 입자 3.0중량부 및 증류수 15.0중량부를 첨가하고, 롤링 믹서로 교반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했다. 이 용액을 충분히 탈포한 후, 이것을 폴리에스테르 박리 필름 상에 연신 건조하여 두께 약 70㎛의 필름을 제조했다. 이 필름을 폴리에스테르 박리 필름으로부터 박리시켜 4㎠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하여, 비교예 1의 필름형 제제를 얻었다.
(비교예 2 내지 4)
HPC 대신에, 분자량 105만 내지 120만의 PVP(와꼬 쥰야꾸제, 시약명; 폴리비닐피롤리돈 K90)(비교예 2), 중량 평균 분자량 16000이고 메톡시기의 치환도가 28.0 내지 30.0%이고 히드록시프로폭시기의 치환도가 7.0 내지 12.0%인 HPMC(신에쯔 가가꾸 고교제, 상품명; TC-5E)(비교예 3) 및 중량 평균 분자량 20만의 풀루란(하야시바라 쇼샤제, 상품명; 식품 첨가물 풀루란)(비교예 4)을, 각각 사용하고, 표 5에 나타낸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비교예 2 내지 4의 필름형 제제를 얻었다.
(비교예 5)
구아야콜술폰산칼륨 입자 대신에, 미리 입자 직경을 제어한 글루타티온(환원형) 입자를 사용하고, 표 5에 나타낸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비교예 5의 필름형 제제를 얻었다.
(비교예 6)
구아야콜술폰산칼륨 입자 대신에, 미리 입자 직경을 제어한 아미노필린 입자를 사용하고, 표 5에 나타낸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비교예 6의 필름형 제제를 얻었다.
(비교예 7)
HPC 대신에, 분자량 105만 내지 120만의 PVP(와꼬 쥰야꾸제, 시약명; 폴리비닐피롤리돈 K90)를 사용하고, 표 5에 나타낸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6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비교예 7의 필름형 제제를 얻었다.
Figure pat00005
[시험 방법]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필름형 제제의 제조 시의 박리성, 필름의 유연성, 필름 강도, 구강 내에서의 끈적한 느낌, 구강 내에서의 용해 프로파일,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의 촉감, 외관에 관해서, 각각 박리성 시험, 강연도 시험, 인장 강도 시험, 태크 지속 시험, 구강 내 붕괴성 시험, 관능 시험(촉감) 및 육안에 의해 측정 및 평가를 행했다. 또한, 필름형 제제 중에 분산된 약물 입자, 또는 필름형 제제 중에 석출한 약물 결정에 관하여 현미경을 사용하여 촬영을 행했다. 각각의 시험 방법을 다음에 나타낸다.
(1) 박리성 시험
각 필름형 제제 제조 시에, 폴리에스테르 박리 필름으로부터 샘플을 박리시키지만, 그 때의 박리성에 관하여 평가를 행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4: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3: 박리할 수 있다
2: 여하튼 박리할 수 있다
1: 여하튼 박리할 수 있지만 찢어진다
0: 전혀 박리할 수 없다
(2) 강연도 시험
본 시험법은, "JIS L1096 일반 직물 시험법, 8.19 강연성, 8.19.1 A법(45°캔틸레버법)"의 시험 방법을 준거한 것이다. 20mm×150mm의 시험편을 5매 채취하고, 일단부가 45°의 경사면을 갖는 표면이 매끄러운 수평대 위에 시험편의 짧은 변을 스케일의 기준선에 맞추어 둔다. 다음에 적당한 방법에 의해 시험편을 경사면의 방향으로 완만하게 미끄러지게 하여, 시험편의 일단부의 중앙점이 경사면 A와 접했을 때 다단부의 위치를 스케일에 의해 읽는다. 강연도는 시험편이 이동했을 때의 길이(mm)로 나타내고, 각각 5매의 표리, 전후 반대를 측정하고, 각각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강연도로서 구했다.
평가 기준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필름형 제제에 대하여, 약제 미립자를 첨가하지 않은 평가용 필름(하기 참고예 1 내지 6)을 각각 제작하고, 각 참고예에 관한 필름의 강연도를 기준값으로서 생각하고,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4: 기준값±10mm
3: 기준값±20mm
2: 기준값±30mm
1: 기준값±40mm 이상
또한, (1) 박리성 시험에 있어서 전혀 박리할 수 없다고 평가된 샘플에 관해서는, 시험을 실시할 수 없기 때문에, 0으로 평가했다.
(참고예 1)
분자량 약 3만이며, 히드록시프로폭시기의 치환도가 53.4 내지 77.5%인 HPC(닛본 소다제, 상품명; 닛소 HPC SSL) 9.5중량부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400) 0.5중량부 및 에탄올(99.5) 15.0중량부를 첨가하고, 롤링 믹서로 교반 용해했다. 이 용액을 충분히 탈포한 후, 이것을 폴리에스테르 박리 필름 상에 연신 건조하여 두께 약 70㎛의 필름을 제조했다. 얻어진 필름을 폴리에스테르 박리 필름으로부터 박리시켜 4㎠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하여 평가용 필름 (1)을 얻었다.
(참고예 2 내지 6)
표 6에 나타낸 조성으로 한 것 이외는 참고예 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각 평가용 필름 (2) 내지 (6)을 얻었다. 또한, 표 5 중 PVP, HPMC 및 풀루란은,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했다.  
Figure pat00006
(3) 인장 강도 시험
소형 탁상 인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꾸쇼제, EZ TEST-100M)를 사용하고, "JIS K7127 플라스틱 필름 및 시트의 인장 시험 방법"에 준거하고, 시험편으로서 필름형 제제를 12mm×50mm로 재단하여 사용하고, 데시케이터로 충분히 건조시킨 후, 시험을 행했다. 시험 속도로서 매분 60mm를 사용했다. 시험편은 거의 신장이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측정에 의해 얻어진 인장 항복 강도를 인장 강도로서 구한다.
각각의 샘플을 3회 반복하여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인장 강도로 했다. 이 인장 강도를 다음 평가 기준에 적용시켜 스코어화했다.
4: 10 내지 20N
3: 5 내지 10N
2: 2 내지 5N
1: 0 내지 2N
또한, (1) 박리성 시험에 있어서 전혀 박리할 수 없다고 평가된 샘플에 관해서는, 시험을 실시할 수 없기 때문에, 0으로 평가했다.
(4) 태크 지속 시험
레오미터(선 사이언티픽(SUN SCIENTIFIC), CR-2000)를 사용하여, 도 2에 도시하는 환경 하에서 시험을 행했다. Φ12mm의 프로브(2a) 상에 양면 테이프(2b)로 Φ12mm의 시험편(2c)을 부착한다. 별도로, 시험대(2f) 위에는 고무(2e)를 싣고, 그 위에 물에 침지한 콜라겐 필름(2d)을 설치한다. 시험편에 200μL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이 시험편(2c)이 부착된 프로브(2a)를 하강시켜, 콜라겐 필름(2d)에 접촉시키고, 그 후, 상승시킨다. 이때에, 프로브(2a)가 콜라겐 필름(2d)으로부터 이격될 때에 얻어지는 초기 태크 후의 태크 지속 시간을 기록지보다 노기스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4: 0 내지 10mm
3: 10 내지 15mm
2: 15 내지 20mm
1: 20mm 이상
또한, (1) 박리성 시험에 있어서 전혀 박리할 수 없다고 평가된 샘플에 관해서는, 박리 필름채 재단하고, 박리 필름측을 프로브의 양면 테이프에 부착하여, 마찬가지로 측정했다.
(5) 구강 내 붕괴성 시험
1000mL의 유리 샤알레에 pH6.8 인산염 완충액 900mL을 넣고, 이 안에 스테인리스제 체(Φ4mm)를 상하 반전시켜 가라앉히고, 교반기에 의해 교반(300rpm)한다. 이 용액의 온도는, 항온수 순환 장치를 사용하여 37±2℃로 관리하고, 이 안에 시험편(4㎠)을 가라앉히고, 동시에 상측으로부터 3㎠×3㎠의 스테인리스제 금망(그물코 크기 5mm)을 추로서 실었다. 시험편을 가라앉힌 시간부터, 시험편이 모두 붕괴될 때까지의 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스톱워치로 측정한다.
각각의 샘플을 3회 반복하여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강 내 붕괴 시간으로 했다. 이 구강 내 붕괴 시간을 다음 평가 기준에 적용시켜 스코어화했다.
4: 0 내지 10초
3: 10 내지 15초
2: 15 내지 20초
1: 20초 이상
또한, (1) 박리성 시험에 있어서 전혀 박리할 수 없다고 평가된 샘플에 관해서는, 시험을 실시할 수 없기 때문에, 0으로 평가했다.
(6) 관능 시험(촉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재단한 필름형 제제를, 실제로 손가락으로 5초간 원을 그리듯이 만져, 표면이 끈적끈적한지의 여부의 위화감을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4: 끈적끈적하지 않다
3: 신경쓰이지 않을 정도의 끈적한 느낌이다
2: 끈적한 느낌에 위화감을 느낀다
1: 상당히 끈적끈적하여 손가락에 필름이 남는다.
(7) 외관(육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재단한 필름형 제제를, 육안에 의해, 균일한 필름인지의 여부를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4: 균일한 필름이다
3: 일부분 미세한 결정의 석출 또는 입자의 미세한 응집물이 보인다
2: 일부분 큰 결정의 석출 또는 입자의 큰 응집물이 보인다
1: 대부분에서 결정의 석출 또는 입자의 응집물이 보인다.
또한, 비교예 1 내지 7 및 실시예 1 내지 13에 관하여, 각각의 필름형 제제를 현미경(키엔스사제, VHX-600)을 사용하여, 필름 중의 약물 입자 또는 석출한 약물 결정을 촬영했다. 각각의 결과를 도 7 내지 도 26에 도시했다.
표 7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필름형 제제의 박리 시험, 강연도 시험, 인장 강도 시험, 태크 지속 시험, 구강 내 붕괴성 시험, 관능 시험(촉감) 및 외관(육안)의 결과를 나타냈다. 이들 7항목의 평가를 합계하고, 합계점에 의해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필름형 제제의 상대적인 평가를 행했다.
Figure pat00007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필름형 제제는, 모두 약물 입자가 입자인 상태로 포함되어 있고, 대부분의 약물 입자는, 입자 직경 1 내지 60㎛의 범위 내의 정립된 형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평가의 합계점은 25 내지 28이었다.
한편, 비교예의 필름형 제제는, 약물 입자가 필름형 제제 중에서 용해 또는 재결정한 상태로 포함되어 있고, 평가의 합계점은 6 내지 18이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는, 약물 입자가 입자인 상태로 분산되어 있음으로써, 구강 내에서의 신속한 용해 프로파일을 실현하는 충분량의 약물을, 필름형 제제 중에 안정적으로 함유하면서, 충분한 필름 강도, 양호한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의 촉감, 필름 외관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형 제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약물 입자를 용액에 일단 용해시킬 필요성이 없어, 필름형 제제 내에, 분산, 담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입자형의 약물을 제제 중에 함유하는 상기 필름형 제제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그 입자 직경, 입자 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
1a: 약물 입자
1b: 기재
2a: 프로브
2b: 양면 테이프
2c: 시험편
2d: 콜라겐 필름
2e: 고무
2f: 시험대

Claims (9)

  1. 물 및 극성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가식성 고분자와, 극성 유기 용매에 불용성인 약물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약물 입자의 입자 직경이 0.1 내지 60㎛인 필름형 제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식성 고분자는 상온에서 고체인 필름형 제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식성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인 필름형 제제.
  5. 제4항에 있어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은 분자량이 2500 내지 300만인 필름형 제제.
  6. 제4항에 있어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는 분자량이 1만 내지 115만인 필름형 제제.
  7. 제4항에 있어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는 히드록시프로폭실기의 치환도가 50 내지 100%인 필름형 제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극성 유기 용매는 용해 파라미터가 9.7 이상인 것인 필름형 제제.
  9. 물 및 극성 유기 용매에 가용성인 가식성 고분자와, 극성 유기 용매에 불용성인 약물 입자를 함유하는 필름형 제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가식성 고분자, 상기 약물 입자 및 극성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약물 분산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약물 분산 용액의 박층을 형성하고 상기 박층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제제의 제조 방법.
KR1020110027684A 2010-03-30 2011-03-28 필름형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5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79430 2010-03-30
JPJP-P-2010-079430 2010-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954A true KR20110109954A (ko) 2011-10-06
KR101865414B1 KR101865414B1 (ko) 2018-06-07

Family

ID=4412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684A KR101865414B1 (ko) 2010-03-30 2011-03-28 필름형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724309B2 (ko)
EP (1) EP2371354B1 (ko)
JP (1) JP5751868B2 (ko)
KR (1) KR101865414B1 (ko)
CN (2) CN106890162A (ko)
CA (1) CA2735592C (ko)
ES (1) ES2453147T3 (ko)
RU (1) RU2572702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276A1 (ko) * 2011-12-08 2013-06-13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미로데나필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 투여용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2646B2 (ja) * 2012-06-07 2016-07-13 救急薬品工業株式会社 口腔内溶解型フィルム製剤
WO2015152433A1 (en) * 2014-03-31 2015-10-08 Hanmi Pharm. Co., Ltd. Amorphous solid dispersion comprising paclitaxel, tablet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P4274553A1 (en) * 2021-01-11 2023-11-15 BPSI Holdings, LLC High opacity coatings and substrates coated therewith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6727A (ko) 1972-05-04 1974-01-21
JPH11116465A (ja) 1997-10-09 1999-04-27 Ss Pharmaceut Co Ltd 迅速溶解性製剤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2523359A (ja) 1998-08-17 2002-07-30 エルテーエス ローマン テラピー−ジステーム アーゲー フィルム状活性物質担体
JP2004043450A (ja) 2002-05-16 2004-02-12 Kyukyu Yakuhin Kogyo Kk 速溶性フィルム状製剤
WO2004066986A1 (en) 2003-01-30 2004-08-12 Monosolrx Llc Thin film with non-self-aggregating uniform heterogeneity and drug delivery systems made therefrom
KR20050000424A (ko) * 2002-05-16 2005-01-03 규큐 야쿠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속용성 필름형상 제제
KR20050088161A (ko) * 1996-11-11 2005-09-01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구강에 사용가능한 조성물
JP2007528876A (ja) 2004-02-20 2007-10-18 ナショナル スターチ アンド ケミカル インベストメント ホールディ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可溶性フィルム及び製造方法
JP2008169138A (ja) 2007-01-11 2008-07-24 Tsukioka:Kk フィルム状製剤及びフィルム状製剤の製造方法
KR20090128402A (ko) * 2007-03-05 2009-12-15 맥네일-피피씨, 인코포레이티드 높은 비율의 활성제를 갖는 속용성/속붕해성 필름 제제

Family Cites Families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54682A (en) 1971-09-28 1974-09-17 Jose C. Deniega Filament feeding and storage device
IN142428B (ko) 1974-07-05 1977-07-09 Schering Ag
JPS56802A (en) * 1979-06-15 1981-01-07 Nippon Soda Co Ltd Preparation of hydroxypropyl-cellulose
GB8322007D0 (en) 1983-08-16 1983-09-21 Wellcome Found Pharmaceutical delivery system
US4639368A (en) 1984-08-23 1987-01-27 Farmacon Research Corporation Chewing gum containing a medicament and taste maskers
DE3701424A1 (de) 1987-01-20 1988-07-28 Gutehoffnungshuette Man Luftfederdrehgestell, insbesondere fuer schnellauffaehige schienenfahrzeuge
WO1992011864A1 (en) * 1991-01-11 1992-07-23 Cryopharm Corporation Method of detecting circulating antibody types using dried or lyophilized cells or cell-like material
JP3496727B2 (ja) 1993-12-27 2004-02-16 救急薬品工業株式会社 製剤用基剤
US6156343A (en) 1994-12-27 2000-12-05 Akzo Nobel N.V. Controlled release preparation
US6649186B1 (en) 1996-09-20 2003-11-18 Ethypharm Effervescent granul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20010006677A1 (en) 1996-10-29 2001-07-05 Mcginity James W. Effervescence polymeric film drug delivery system
JPH10179045A (ja) 1996-12-25 1998-07-07 Osaka Kagaku Gokin Kk シート状可食性成形物
FR2766708B1 (fr) 1997-07-30 2000-05-05 Galenix Dev Composition contenant de l'hydroxypropylcellulose, de l'hydroxypropylmethylcellulose et/ou de l'ethylcellullose a titre d'agents desintegrants, et procede d'obtention
JP3460538B2 (ja) 1997-10-08 2003-10-27 救急薬品工業株式会社 速溶性フィルム製剤
TW527195B (en) 1997-10-09 2003-04-11 Ssp Co Ltd Fast-soluble solid pharmaceutical combinations
US7067116B1 (en) 2000-03-23 2006-06-27 Warner-Lambert Company Llc Fast dissolving orally consumable solid film containing a taste masking agent and pharmaceutically active agent at weight ratio of 1:3 to 3:1
JP3730081B2 (ja) 2000-04-10 2005-12-21 大鵬薬品工業株式会社 フィルム状トローチ
JP2001318348A (ja) 2000-05-11 2001-11-16 Lion Corp コンタクトレンズ装着液
US20070281003A1 (en) * 2001-10-12 2007-12-06 Fuisz Richard C Polymer-Based Films and Drug Delivery Systems Made Therefrom
US8765167B2 (en) 2001-10-12 2014-07-01 Monosol Rx, Llc Uniform films for rapid-dissolve dosage form incorporating anti-tacking compositions
CA2473967C (en) * 2001-10-12 2011-06-14 Monosolrx Llc Thin film with non-self-aggregating uniform heterogeneity,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drug delivery systems made therefrom
US7425292B2 (en) * 2001-10-12 2008-09-16 Monosol Rx, Llc Thin film with non-self-aggregating uniform heterogeneity and drug delivery systems made therefrom
WO2003030883A1 (en) 2001-10-12 2003-04-17 Kosmos Pharma Uniform films for rapid dissolve dosage form incorporating taste-masking compositions
US20060057207A1 (en) 2001-11-30 2006-03-16 Pfizer Inc Fast-disintegrating dosage forms of 5,8,14-triazatetracyclo[10.3.1.02,11.04,9]-hexadeca-2(11),3,5,7,9-pentaene
US20050008735A1 (en) 2002-02-11 2005-01-13 Pearce Tony M. Chocolate polymer snacks
DE10207394B4 (de) 2002-02-21 2007-03-29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Geschmacksmaskierte oblatenförmige Arzneizubereitung
DE10224607B4 (de) 2002-06-04 2008-03-13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Filmförmige, zerfallsfähige Zubereitungen zur Wirkstofffreisetz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20060078597A1 (en) 2002-07-24 2006-04-13 Basf Aktiengesellschaft Ascorbic acid salt suspensions and use thereof as antioxidants
AU2003280324A1 (en) 2002-11-26 2004-06-18 Alk-Abello A/S Pharmaceutical allergen product
US20040121003A1 (en) 2002-12-19 2004-06-24 Acusphere, Inc. Methods for making pharmaceutical formulations comprising deagglomerated microparticles
JP2006524537A (ja) 2003-03-12 2006-11-0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生理活性を有する銀、銅または亜鉛化合物を含むポリマー組成物、医療用物品、および方法
US20040180093A1 (en) 2003-03-12 2004-09-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mer compositions with bioactive agent, medical articles, and methods
ATE471723T1 (de) 2003-05-15 2010-07-15 Menicon Co Ltd Zusammensetzung zur ophthalmischen verwendung
AU2004319243B2 (en) 2003-05-28 2010-06-03 Aquestive Therapeutics, Inc. Polyethylene oxide-based films and drug delivery systems made therefrom
JP2005008568A (ja) 2003-06-19 2005-01-13 Menicon Co Ltd 眼科用組成物
JP2005021124A (ja) 2003-07-02 2005-01-27 Kyukyu Yakuhin Kogyo Kk 口腔用フィルム製剤
JP2005060244A (ja) * 2003-08-12 2005-03-10 Chisso Corp グルタチオン固定化磁性微粒子及びこれを用いたタンパク質の分離、精製方法
US20050079253A1 (en) 2003-10-10 2005-04-14 Hiroshi Nakamura Bilayer edible sheet
AU2004283721B2 (en) 2003-10-24 2009-08-13 Adhesives Research, Inc. Rapidly disintegrating film
CA2554649C (en) * 2004-01-30 2015-10-27 Corium International, Inc. Rapidly dissolving film for delivery of an active agent
AU2005231416A1 (en) * 2004-04-01 2005-10-20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Dissolvable tooth whitening strip
JP4547994B2 (ja) 2004-06-02 2010-09-22 救急薬品工業株式会社 塊状物質含有積層フィルム状の可食性口腔内投与剤の製造方法および塊状物質含有積層フィルム状の可食性口腔内投与剤
PE20060935A1 (es) * 2004-10-21 2006-10-26 Novartis Ag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comprende diclofenaco
GB0508306D0 (en) 2005-04-25 2005-06-01 Bioprogress Technology Ltd Nicotine dosage forms
DE102005033943A1 (de) * 2005-07-20 2007-02-22 Hexal Ag Nicht-ausspuckbarer, oraler, schnell-zerfallender Film für ein Neuroleptikum
AU2006287342A1 (en) 2005-09-09 2007-03-15 Monosol Rx Llc. Uniform films for rapid-dissolve dosage form incorporating anti-tacking compositions
CA2624503A1 (en) 2005-10-04 2007-04-12 Alk-Abello A/S Solid vaccine formulation
US20070098790A1 (en) * 2005-10-31 2007-05-03 David Jiang Nutritional supplement for the enhancement of the health of the liver
ES2318411T3 (es) 2005-12-13 2009-05-01 Nestec S.A. Productos auxiliares culinarios liquidos autoformadores de espuma y procesos.
US20070298105A1 (en) 2006-06-27 2007-12-27 Hwang Stephen S Methods of treating conditions by sustained release administration of benzimidazole derivatives
US20080233174A1 (en) 2007-01-12 2008-09-25 Monosol Rx, Llc High dose film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EP2161021B1 (en) * 2007-06-07 2017-03-08 Sato Pharmaceutical Co. Ltd. Medicinal film preparation with rapidly dissolving property and flexibility
BRPI0906648A2 (pt) 2008-01-31 2019-11-19 Mcneil Ppc Inc tiras de filme comestível para liberação imediata de ingredientes ativos
CN102014883A (zh) 2008-01-31 2011-04-13 麦克内尔-Ppc股份有限公司 具有调释型活性成分的可食用膜条片
WO2009128433A1 (ja) * 2008-04-15 2009-10-22 塩野義製薬株式会社 フィルム状組成物
WO2010002418A2 (en) 2008-07-01 2010-01-07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Quick-dissolving oral thin film for targeted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FR2933299B1 (fr) 2008-07-04 2012-02-03 Roquette Freres Mannitol orodispersible
TW201008569A (en) 2008-08-08 2010-03-01 Bayer Schering Pharma Ag Progestin-containing drug delivery system
JP2010158173A (ja) 2009-01-06 2010-07-22 Lintec Corp 可食性フィルム、可食性フィルム用組成物及び可食性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5379499B2 (ja) 2009-01-29 2013-12-2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嚥下物包装体および可食性フィルム接合体
WO2010086989A1 (ja) 2009-01-29 2010-08-05 日東電工株式会社 口腔内フィルム状基剤及び製剤
US9044475B2 (en) * 2009-06-12 2015-06-02 Cynapsus Therapeutics, Inc. Sublingual apomorphine
JP5588688B2 (ja) 2010-01-28 2014-09-10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ィルム状製剤
US20110300216A1 (en) 2010-06-03 2011-12-08 First Eric R Chewable, swallowable and effervescent solid dosage form for oral delivery of pharmaceutical actives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6727A (ko) 1972-05-04 1974-01-21
KR20050088161A (ko) * 1996-11-11 2005-09-01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구강에 사용가능한 조성물
JPH11116465A (ja) 1997-10-09 1999-04-27 Ss Pharmaceut Co Ltd 迅速溶解性製剤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2523359A (ja) 1998-08-17 2002-07-30 エルテーエス ローマン テラピー−ジステーム アーゲー フィルム状活性物質担体
JP2004043450A (ja) 2002-05-16 2004-02-12 Kyukyu Yakuhin Kogyo Kk 速溶性フィルム状製剤
KR20050000424A (ko) * 2002-05-16 2005-01-03 규큐 야쿠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속용성 필름형상 제제
WO2004066986A1 (en) 2003-01-30 2004-08-12 Monosolrx Llc Thin film with non-self-aggregating uniform heterogeneity and drug delivery systems made therefrom
JP2007528876A (ja) 2004-02-20 2007-10-18 ナショナル スターチ アンド ケミカル インベストメント ホールディ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可溶性フィルム及び製造方法
JP2008169138A (ja) 2007-01-11 2008-07-24 Tsukioka:Kk フィルム状製剤及びフィルム状製剤の製造方法
KR20090128402A (ko) * 2007-03-05 2009-12-15 맥네일-피피씨, 인코포레이티드 높은 비율의 활성제를 갖는 속용성/속붕해성 필름 제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5276A1 (ko) * 2011-12-08 2013-06-13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미로데나필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 투여용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414B1 (ko) 2018-06-07
EP2371354B1 (en) 2014-01-22
EP2371354A1 (en) 2011-10-05
US20110243997A1 (en) 2011-10-06
JP2011225532A (ja) 2011-11-10
CN106890162A (zh) 2017-06-27
ES2453147T3 (es) 2014-04-04
RU2572702C2 (ru) 2016-01-20
RU2011111666A (ru) 2012-10-10
JP5751868B2 (ja) 2015-07-22
CA2735592C (en) 2018-04-17
CN102204896A (zh) 2011-10-05
CA2735592A1 (en) 2011-09-30
US9724309B2 (en)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9955A (ko) 필름형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629992B1 (ko) 구강내 필름형 기제 및 제제
JP5841433B2 (ja) 口腔内フィルム状基剤及び製剤
JP5588688B2 (ja) フィルム状製剤
KR20110109954A (ko) 필름형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09647A (ko) 젤리 형상 제제 및 젤리 형상 제제의 제조 방법
JP6574556B2 (ja) 口腔内フィルム状基剤及び製剤
JP5674480B2 (ja) 口腔内フィルム状基剤及び製剤
KR20120065247A (ko) 시트 형상 제제 및 시트 형상 제제의 제조 방법
Chakraborty et al. Polymeric systems in quick dissolving novel fil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