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185A -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185A
KR20110109185A KR1020100028792A KR20100028792A KR20110109185A KR 20110109185 A KR20110109185 A KR 20110109185A KR 1020100028792 A KR1020100028792 A KR 1020100028792A KR 20100028792 A KR20100028792 A KR 20100028792A KR 20110109185 A KR20110109185 A KR 20110109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lling
rolling mill
work objec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한
박영국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8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9185A/ko
Publication of KR20110109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68Camber or steering control for strip, sheets or plates, e.g. preventing mea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2Rear end control; Front en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24Hydrostatic bearings o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3/00Path parameters
    • B21B2273/12End of product
    • B21B2273/14Front end or leading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기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연공정이 완료된 작업 대상물이 이송 중에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압연기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연기의 출구 측에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롤러가 설치되는 베이스;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GUIDE APPARATUS FOR ROLLING FACILITIES}
본 발명은 압연기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연공정이 완료된 작업 대상물이 이송 중에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압연기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쇳물)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철광석으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 중 앞 단계인 선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선(製銑)이라 하고, 선철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강이라 한다.
연주공정은 액체생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기로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압연이란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 블룸, 빌릿 등을 회전하는 여러 개의 워크롤러(Work Roller) 사이를 통과시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만드는 과정을 말하여 크게 열간 압연과 냉간 압연으로 나뉜다.
열간 압연을 행하는 압연기는 고온의 슬래브, 블룸 및 빌릿 등의 작업 대상물이 통과되는 워크롤러 측으로 작업 대상물을 안내하는 가이드장치가 설치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압연공정이 완료된 작업 대상물이 이송 중에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압연기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연기의 출구 측에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롤러가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다수 개의 빔이 격자 모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동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작업 대상물이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도록 작업 대상물의 단부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사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보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프레임은 다수 개의 빔이 격자 모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용 가이드장치는 압연기로부터 배출되는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면서 이송되게 하므로 작업 대상물의 이송 속도에 의해 전방 측 단부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가이드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가이드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가이드장치의 구동부 작동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가이드장치의 보조구동부 작동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용 가이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가이드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가이드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가이드장치의 구동부 작동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가이드장치의 보조구동부 작동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가이드장치는 압연기(80)의 출구 측에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롤러(12)가 설치되는 베이스(10)와,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가이드부(30)와, 가이드부(3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50)를 포함한다.
구동부(50)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부(30)가 승강되면서 베이스(10)와 가이드부(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 압연기(80)로부터 배출되는 작업 대상물의 전방 측 단부가 가이드부(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면서 이송된다.
따라서 압연기(80)로부터 배출되는 작업 대상물이 베이스(10)를 따라 이동되면서 작업 대상물의 이송 속도에 의해 전방 측 단부가 상승되면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압연기(80)로부터 배출되는 작업 대상물이 소정치 이하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제품인 경우에는 작업 대상물의 상면과 저면의 냉각 속도 차이에 의해 전방 측 단부가 소정량 상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작업 대상물은 베이스(10) 상면에 설치되는 롤러(12)의 회전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되는데, 작업 대상물의 이송 속도를 높여야 생산성이 향상되지만, 작업 대상물의 이송 속도가 향상될수록 공기 저항에 의해 작업 대상물의 전방 측 단부는 상측으로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본 실시예는 베이스(10)의 상측에 간격을 유지하면서 가이드부(30)가 배치되므로 롤러(12)에 의해 베이스(10) 상면을 따라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의 전방 측 단부가 가이드부(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된 상태로 이송되므로 전방 측 단부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30)는 다수 개의 빔이 격자 모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므로 판재의 작업 대상물이 접촉될 때에 작업 대상물과 가이드부(3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여 작업 대상물이 가이드부(30)와 접촉되면서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0)는 구동부(50)가 연결되는 이동프레임(52)과 간격을 유지토록 연결되는데, 이동프레임(52)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빔에 가이드부(30)가 설치되므로 이동프레임(52)과 가이드부(30) 사이에 후술될 경사부(70)가 이동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압연기용 가이드장치는 가이드부(30)에 설치되어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가이드부(3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부(70)를 더 포함한다.
경사부(70)는 압연기(80)에 대향되는 가이드부(30)의 단부에 설치되므로 가이드부(30)와 베이스(10)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게 변형된 작업 대상물이 가이드부(30)의 단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경사부(70)는 가이드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사프레임(72)과, 이동프레임(52)에 설치되고 경사프레임(72)을 이동시키는 보조구동부(74)를 포함한다.
보조구동부(74)의 보조실린더(74a)로부터 보조로드(74b)가 돌출되면 경사프레임(72)을 이동프레임(52)의 하측 방향으로 밀어 경사부(70)의 경사 각도가 작아지게 되고, 보조실린더(74a) 내부로 보조로드(74b)가 삽입되면 경사프레임(72)을 이동프레임(52) 측으로 상승시켜 경사부(70)의 경사 각도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 대상물의 재질, 두께 및 폭에 따라 경사부(70)의 경사 각도가 결정되면 보조실린더(74a)에 연결되는 유압장치에 의해 보조로드(74b)가 출몰되면서 압연공정이 진행되는 작업 대상물에 맞도록 경사부(70)의 경사 각도가 조절된다.
또한, 작업 대상물의 재질, 두께 및 폭에 따라 가이드부(30)와 베이스(10) 사이의 간격도 구동부(50)에 의해 조절되는데, 실린더(50a)로부터 출몰되는 로드(50b)에 의해 이동프레임(52) 및 가이드부(30)가 승강되면서 가이드부(30)와 베이스(1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경사프레임(72)은 다수 개의 빔이 격자 모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므로 판재의 작업 대상물과 경사프레임(72) 사이의 접촉 면적이 줄어든다. 이로써,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경사프레임(7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면서 이송될 때에 경사프레임(72)과 작업 대상물 사이의 마찰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기용 가이드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연공정이 개시되면 작업 대상물이 이송되면서 다수 개의 압연기(80)를 통과하면서 두께와 폭이 감소되어 구매자가 원하는 두께 및 폭의 판재를 이루게 된다.
다수 개의 압연기(80) 사이에는 냉각수가 분사되는 냉각장치가 설치되므로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로 냉각수가 분사되면서 냉각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작업 대상물의 상면이 냉각수 및 공기와 접촉되기 쉬우므로 냉각 속도 차이에 의해 압연공정이 완료된 작업 대상물은 전방 측 단부가 상측으로 소정량 변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압연기(80)로부터 배출되는 작업 대상물은 전방 측 단부가 상측으로 곡선을 이루며 소정량 절곡된 상태로 배출되며, 롤러(12)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10)의 상면을 따라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때, 작업 대상물의 단부는 경사프레임(72)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므로 상측으로 변형된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경사프레임(72)에 접촉되면서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의 단부는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어느 정도 원상태로 복원된 후에 가이드부(30)와 베이스(10) 사이의 간격을 따라 이송된다.
압연공정이 이루어지는 작업 대상물은 구매자의 요구에 따라 그 두께가 달라지는데, 소정치 이상 두꺼운 제품을 생산할 때에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부(50)가 작동되면 실린더(50a) 내부로 로드(50b)가 삽입되면서 이동프레임(52) 및 가이드부(30)를 상승시키므로 가이드부(30)와 베이스(1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또한, 작업 대상물의 재질, 두께 및 폭에 따라 경사부(70)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보조구동부(74)가 구동되면 보조로드(74b)가 보조실린더(74a) 내측 및 외측으로 출몰되면서 경사프레임(72)의 경사 각도가 조절된다.
이로써, 압연공정이 완료된 작업 대상물이 이송 중에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압연기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압연기용 가이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압연기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 12 : 롤러
30 : 가이드부 50 : 구동부
50a : 실린더 50b : 로드
52 : 이동프레임 70 : 경사부
72 : 경사프레임 74 : 보조구동부
74a : 보조실린더 74b : 보조로드
80 : 압연기

Claims (5)

  1. 압연기의 출구 측에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롤러가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작업 대상물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다수 개의 빔이 격자 모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동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작업 대상물이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도록 작업 대상물의 단부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사프레임; 및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경사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보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프레임은 다수 개의 빔이 격자 모양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KR1020100028792A 2010-03-30 2010-03-30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KR20110109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792A KR20110109185A (ko) 2010-03-30 2010-03-30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792A KR20110109185A (ko) 2010-03-30 2010-03-30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185A true KR20110109185A (ko) 2011-10-06

Family

ID=4502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792A KR20110109185A (ko) 2010-03-30 2010-03-30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91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2245B1 (en) A hot rolled steel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CN110087801B (zh) 用于在铸轧复合设备中连续制造卷绕的热轧带钢的方法
CN202143944U (zh) 用于由金属熔液来制造浇铸连铸坯的连铸设备
CN104540606A (zh) 用于组合的连铸连轧系统的方法和装置
RU249660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лить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олосы
CN107639116A (zh) 一种连铸生产线
KR20110109185A (ko)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CN108971235B (zh) 一种热轧同步式侧压机板坯翘扣头控制方法
KR100973906B1 (ko) 후판 유도장치
KR101024587B1 (ko) 열간압연설비
KR101639893B1 (ko) 강편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522108B1 (ko) 열간압연 설비용 에지히터 장치
KR101051295B1 (ko) 열간압연설비
KR101193879B1 (ko)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KR101565517B1 (ko) 주조 설비
JP5058658B2 (ja) 金属スラブの幅圧下方法
JP2020075291A (ja) 矩形断面鋼片の圧延方法、連続鋳造圧延設備及び圧延設備
KR101570581B1 (ko) 오일 와이핑 장치
KR101193845B1 (ko)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57982A (ko) 압연재의 선단부 휨 방지방법
JP5141282B2 (ja) 熱間スラブの幅圧下用金型および幅圧下方法
KR20130034961A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JP5042690B2 (ja) 鋳片の幅圧下設備
US20180161837A1 (en) Continuous casting and rolling method and continuous casting and rolling apparatus
KR101310830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