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517B1 - 주조 설비 - Google Patents

주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517B1
KR101565517B1 KR1020140019027A KR20140019027A KR101565517B1 KR 101565517 B1 KR101565517 B1 KR 101565517B1 KR 1020140019027 A KR1020140019027 A KR 1020140019027A KR 20140019027 A KR20140019027 A KR 20140019027A KR 101565517 B1 KR101565517 B1 KR 101565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steel
cast
cast stee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8017A (ko
Inventor
김용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19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517B1/ko
Publication of KR20150098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6Ingot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11/00Mould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parts of same
    • B22C11/02Machines in which the moulds are moved during a cycle of successive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17/00Mould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sm for separating the pattern from the mould or for turning over the flask or the pattern plate
    • B22C17/02Moulding machines with pin lifting arran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주조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용강이 경유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용강을 주편으로 주조하기 위한 주조부와; 상기 주조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조부에서 주조된 주편을 압하하는 압하부; 및 상기 주조부의 직하부에서 상기 주조부로부터 주편을 전달받아 상기 압하부 상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극후강재용 주편을 용이하게 제조하고 주편의 품질과 실수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주조 설비{C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주조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극후강재용 주편을 용이하게 제조하고 주편의 품질과 실수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주조 설비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극후강재는 100㎜ 이상의 두께를 갖고, 그 사용용도에 따라 압하비(주편 두께/제품 두께)에 제한을 두어 공극률(Porosity) 등의 내부품질 및 충격, 인성 등의 기계적 물성치를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해양구조용 강은 압하비 4 이상의 극후강재가 요구되고, 압력용 및 풍력구조용 강 등은 3 이상의 압하비가 요구된다.
현재, 극후강재는 잉곳 또는 연속 주조법으로 생산된 주편을 단조 및 열간압연과 같은 소정의 후공정을 통해 제조되고 있다. 이때, 전자인 잉곳 공정으로 극후강재를 제조하는 경우, 잉곳을 단조 처리하여 극후강재 제품으로 제조하거나 추가의 압연공정을 적용한다. 특히, 높은 압하비를 요구하는 극후강재는 내부 품질이 중요시되기 때문에 대부분 잉곳으로 주조한 주편을 단조작업 한 뒤, 압연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처럼, 잉곳으로 주조한 주편을 이용해 극후강재를 제조할 경우에는 높은 압하비를 갖는 극후강재 생산에 대응이 가능하고, 극후강재 수요 특성상 스몰-랏(small-lot) 생산에 유리한 공정이다. 그러나, 잉곳 방식을 사용하여 제작된 주편은 압탕부 및 주탕부에 발생하는 불건전 부위를 제거하기 위해 불건전 부위의 절단이 요구된다. 이에, 주편의 상하부 영역의 절단으로 주편의 실수율이 저하되어 극후강재를 생산하기 위한 생산비용이 증가한다.
한편, 후자인 연속주조법으로 생산되는 주편을 이용해 극후강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연속주조된 주편을 압연하는 방식으로 극후강재를 제조한다. 이는 실수율에서는 잉곳 대비 매우 우수하여 생산비용 측면에서는 잉곳공정에 비해 우수하나, 높은 압하비를 요구하는 강종을 생산할 경우에는 제한된 주편 두께로 인해 극후강재의 두께 역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극후강재는 상대적으로 일반 주편에 비해 두꺼워, 주조된 후 주편이 완전히 응고되기까지 장시간이 소요된다. 만약 용강을 연속주조하며 절단하는 기존의 주조법에서 일반 연주기에서 생산하는 일반 주편의 두께보다 두께가 두꺼운 극후강재용 주편을 생산할 경우에는, 주편 내부까지 응고가 완료되어 절단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연주기 설비가 매우 길어지게 되며, 이는 설비의 대형화로 생산비용 측면에서 막대한 초기비용이 소모된다.
JP 1999-000701 A1 JP 2000-140906 A1 KR 2012-0074370 A1
본 발명은 극후강재용 주편의 제조가 용이한 주조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편의 품질 및 실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주조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편의 생산성 및 공정설비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주조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주조 설비는, 용강이 경유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용강을 1차적으로 냉각시켜 주편을 형성하는 주형과, 상기 주형의 하부에 상기 주형에서 주조된 주편을 상기 주형 외부로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롤을 포함하는 주조부와; 상기 주조부의 일측에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롤과 나란하게 구비되고, 서로 쌍을 이루며 그 사이에 상기 주편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주편을 압하하는 압하롤과, 상기 압하롤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하롤 사이를 따라 이동하는 주편을 하부로 안내하는 제2가이더 및 상기 제2가이더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기를 포함하는 압하부; 및 상기 주행대차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주편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와 하우징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편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안내하는 제1가이더 및 상기 베이스 및 제1가이더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기를 포함하여 상기 주형으로부터 상기 주편을 하부로 인발시키는 인발기와, 상기 인발기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발기를 상기 주조부와 상기 압하부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주행대차와, 상기 압하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발기에 의해 상기 주형을 빠져나온 주편을 수용하고 있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압하부로 전달하는 제1시프터를 포함하여, 상기 주조부의 직하부에서 상기 주형에서 빠져나온 주편을 전달받아 상기 압하롤 상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하부의 타측에 상기 하우징을 상기 압하부에서 상기 베이스 상부로 전달하는 제2시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은 쌍을 이루며 내부에 상기 주편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하우징에는 적어도 상기 주편의 일부를 가열하는 가열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시프터와 제2시프터는 상기 압하부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에 의하면, 연속주조에 의해 생산되는 주편의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주조부에서 주조된 주편을 압하영역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주편을 인발된 방향을 유지한 상태로 주편의 테일부를 가열하여 응고를 지연시켜 주편의 테일부에 발생하는 테일부를 감소시켜 주편의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편의 테일부 응고를 지연시켜 주편이 완전히 응고되지 않은 상태에서 압하하므로 비교적 적은 압하력으로 주편을 압하하여 주편의 내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를 이용하여 주편을 인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를 이용하여 인발된 주편을 압하부로 이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를 이용하여 주편을 압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는, 극후강재용 주편을 생산하기 위한 설비로서, 용강이 경유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용강을 주편으로 주조하기 위한 주조부(100) 및 주조부(100)의 직하부에서 주편을 전달받아 압하부(300)로 이송하는 이송부(200)를 포함한다.
주조부(100)는 정련된 용강의 연속 주조가 수행되는 구간으로서, 용강의 주조가 되기 전까지 용강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용강이 수용되는 래들(110)과, 래들(110)로부터 용강을 공급받는 턴디쉬(120)와, 턴디쉬(120) 하부에 구비되어 용강을 1차적으로 냉각시켜 주편(S)을 형성하는 주형(130)과, 주형(130)의 하부에 주형(130)에서 주조된 주편을 주형(130) 외부로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롤(150)을 포함한다.
래들(110)은 정련을 완료한 용강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로서,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래들(120)은 연속주조설비의 순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턴디쉬(120)는 래들(110)로부터 공급되는 용강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의 용기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턴디쉬(120)의 바닥부에는 용강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배출구를 통해 턴디쉬(120) 내에 수용된 용강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턴디쉬(120)에 수용된 용강은 일정 시간 턴디쉬(120) 내에 체류함으로써 용강 내 포함된 개재물의 부상분리 후 주형(130)으로 주입된다.
주형(130)은 턴디쉬(120)에서 주입되는 용강을 적정 크기로 형상화하여 주편으로 제작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주형(130)은 용강이 통과되는 경로의 폭과 두께를 형성한다. 이때, 주형(130)은 극후강재용 주편의 크기에 대응하기 위해 주편이 800㎜ 이하의 두께 및 2000㎜ 이하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주형(130)을 통해 초기쉘이 형성된 주편을 주형(130) 외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롤(150), 가이드롤(150)로부터 안내된 주편을 2차 냉각하는 냉각노즐(미도시) 및 주형(130) 내 주편이 용이하게 주형(130) 외부로 인발되도록 주형(130)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주형(130)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반기(1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교반기(140)는 주형(13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주조 중 주형(130) 내에 수용된 용강을 교반함으로써 주편의 조직을 미세화하여 주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가이드롤(150), 냉각노즐, 진동기 및 교반기(140)의 구성은 본 발명에서 특정 구성으로 제한할 필요가 없고, 그 다양한 구성 및 작동 방법은 당업자에게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송부는 주조부(100), 즉 가이드롤(150)의 직하부에 구비되어 주형(130)으로부터 주편을 하부로 인발시키는 인발기와, 인발기의 하부에 구비되어, 인발기를 주조부(100)와 압하부(300)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주행대차(210)와, 압하부(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인발기에 의해 인발된 주편을 압하부(300)로 전달하는 제1시프터(270)를 포함한다.
주행대차(210)는 주조부(100)와 압하부(300) 사이에서 인발기를 이동시키고, 예컨대 주조부(100)와 압하부(300) 사이에 설치되는 주행 레일(미도시) 상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주행대차(210)는 주편 주조 시 또는 주편을 압하부(300)로 이동시킬 때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인발기는 주행대차(210)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230)와, 베이스(230)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주편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250)과, 베이스(230)와 하우징(250)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주편을 하우징(250) 내부로 안내하는 제1가이더(240)를 포함한다.
베이스(230)는 주행대차(210) 상부에 구비되고, 그 상부면에 하우징(250)을 지지시킨다.
하우징(250)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주편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50)에는 주편의 일부, 예컨대 주형(130)에서 마지막으로 빠져나오는 테일부를 가열하는 가열기가 구비될 수 있다. 가열기는 주편의 테일부를 가열하여 주편 내부에 존재하는 미응고부의 응고를 지연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주편의 테일부에 존재하는 미응고부에 형성되는 파이프(미응고부에 의해 주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상태)의 길이를 감소시켜 주편의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가이더(240)는 주행대차(210) 상부에 구비되어, 베이스(230)와 하우징(250)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주형(130)에서 주조된 주편을 주형(130)의 외부, 즉 주형(130)의 직하부로 안내한다. 제1가이더(240)는 가이드 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주형(130)의 직하부까지 이동하여 주형(130)에서 주조된 주편을 지지하며 하우징(250) 내부로 안내한다. 이때, 제1가이더(240)는 주행대차(210)에 구비되는 제1구동기(22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구동기(220)는 제1가이더(240)는 물론, 베이스(230)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시프터(270)는 압하부(3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주편을 압하부(300)로 이동시킨다. 즉, 이송부는 주편을 주조부(100)의 직하부에서 압하부(300) 측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주편을 압하부(300) 상부까지 이동시키는데, 이때, 제1시프터(270)는 압하부(3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부의 베이스(230) 상에 구비되는 주편을 후술하는 압하부(300)의 압하롤(350)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시프터(270)는 주편을 하우징(250)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압하롤(350) 상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시프터(270)에 대향하는 방향에는 압하부(300)를 사이에 두고 제2시프터(28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시프터(280)는 주편을 압하롤(350) 사이로 배출시킨 후 하우징(250)을 베이스(230) 상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압하부(300)는 주조부(100)의 일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며, 압하롤(350)과, 압하롤(350)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대(310)와, 지지대(310) 상부에 구비되는 제2가이더(340)와, 지지대(310)에 구비되어 제2가이더(34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기(320)를 포함한다.
압하롤(350)은 서로 이격되어 쌍을 이루며 복수 개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주편의 주조방향과 나란하게 주편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한다. 압하롤(350)은 주편을 압하하여 주편 내부에 형성되는 결함을 제거한다. 즉, 주조부(100)에서 주조된 주편은 일부, 예컨대 테일부가 미응고된 상태로 압하부(300)로 이송되는데, 이에 주편의 일부가 미응고된 상태에서 압하하게 되면, 주편을 압하하는데 소요되는 압하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편의 등축정율 증대, 편석/공극률 등과 같은 결함을 억제하여 내부 품질이 우수한 극후강재용 주편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지지대(310)는 압하롤(350)의 직하부에 구비되고, 제2가이더(340)는 제2구동기(320)의 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가이더(340)는 압하롤(350) 사이의 공간까지 이동 가능하며 주편이 이송부에서 압하롤(350) 상부로 이동할 때 주편을 지지하여 주편이 압하롤(350) 사이를 통해 추락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가이더(340)는 주편이 압하롤(350) 사이를 통과하면서 압하될 때 주편을 지지하여 압하롤(350) 외부, 즉 압하롤(350) 하부로 주편을 안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주편의 주조 및 압하가 완료되면, 이송기를 통해 주편을 후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기는 압하부(3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시프터(510)와, 압하부(300)의 타측에 구비되어 제3시프터(510)에 의해 제3시프터(51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는 주편을 지지 및 안착시키는 안착대(502) 및 안착대(502)의 수평이동 및 각도를 조절하는 제3구동기(506)를 포함한다.
이송기의 안착대(502)는 압하부(300)를 빠져나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주편이 제3시프터(510)에 의해 이동할 때 주편의 하부 및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면과 측면을 갖는 '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측면은 주편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고 후속 공정으로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의 이송롤(504)을 구비할 수 있다. 안착대(502)는 주편이 안착되면 제3구동기(506)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수직상태로 안착된 주편을 수평상태로 위치시켜 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이송기는 이송부에서 압하부를 주편을 이송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주편을 이송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다른 방향, 예컨대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편을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주조 설비를 이용하여 주편을 주조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를 이용하여 주편을 인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를 이용하여 인발된 주편을 압하부(300)로 이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조 설비를 이용하여 주편을 압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정련이 완료된 용강은 래들(110)에 수용된 후, 주조를 시작하기 위해 주조부(100)로 이송된다. 이때, 이송부(200)의 제1가이더(240)는 가이드롤(150) 사이를 통해 주형(130) 직하부에 위치하여 주조 준비를 완료한다.(도 2a 참조)
이후, 래들(110)에 수용된 용강을 턴디쉬(120)로 공급하면, 용강은 턴디쉬(120)의 침지노즐(미도시)을 통해 주형(130)으로 주입된다. 이때, 제1구동기(220)는 제1가이더(240)를 하강시키고, 주형(130)으로 공급된 용강은 응고쉘을 형성하며 주편으로 주조되어 가이드롤(150)에 의해 압하되면서 제1가이드와 함께 하부로 인발된다. (도 2b 참조) 주조가 시작되기 전, 교반기(140)를 작동시켜 주형(130) 내의 용강을 교반시킬 수도 있다. 생산되는 주편은 최대 두께 800㎜, 최대 폭 2000㎜의 크기로 제작되고, 분당 0.3m 이하의 주속으로 주조될 수도 있다. 이는 극후강재의 특성상 두께가 증가된 최종 제품을 얻기 위해 주편의 두께가 증가된 주형(130)을 사용하여야 하며, 분당 0.3m의 낮은 주속으로 주조되는 이유는 두께가 두꺼운 극후강재용 주편은 응고속도가 일반 주편과 달리 더디기 때문에 낮은 주속으로 주조하여 편석 등의 발생을 억제하여 내부품질을 확보하고, 주조하는 동안 충분한 두께의 응고쉘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주조된 주편은 주조부(100)의 직하부에 구비되는 하우징(250) 내부에 수용된다.(도 2c 참조) 하우징(250)에는 가열기가 구비되어 주형(130)에서 마지막으로 빠져나온 주편의 테일부를 가열하게 된다. 이에 주편의 테일부에 존재하는 미응고부의 응고를 지연시킴으로써 파이프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후속 압하공정에서 압하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주편 내부 결함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주편의 주조가 완료되면, 주행대차(210)를 이용하여 주편을 압하부(300) 측으로 이송시킨다.(도 3a 참조) 주편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주편의 가열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압하부(300) 측으로 주편이 이송되면, 주행대차(210)를 정지시키고 제1구동기(220)를 구동하여 베이스(230)를 상승시킴으로써 주편과 주편을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250)을 압하롤(350)의 일측에 위치시킨다.(도 3b 참조)
이후, 압하부(300) 일측에 구비되는 제1시프터(270)를 구동하여 주편과 주편을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250)을 압하롤(350) 상부로 이동시킨다.(도 3c 참조). 이때, 제2가이더(340)는 압하롤(350)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압하롤(350)의 최상단부까지 상승하여 주편을 압하로 상부로 이동시킬 때 주편이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편을 주조된 상태, 즉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이동시킴으로써 주편 내부의 미응고부가 유출되는 현상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제2가이더(340)를 하강시키면서 주편을 하부로 이동시키고 압하롤(350)을 구동하여 주편을 압하한다.(도 4a 참조) 압하 전 주편은 하우징(250) 내에서 가열기에 의해 가열되어 주편의 테일부의 응고가 지연되어 완전하게 응고된 상태가 아니므로, 압하롤(350)에 의한 압하시 주편의 테일부에 존재하는 결함을 제거할 수 있다.
주편의 압하가 완료되면, 압하부(30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3시프터(510)를 구동하여 압하롤(350) 상에 위치하는 하우징(250)을 베이스(230) 상부로 이동(도 4b 참조)시키고, 주행대차(210)를 구동하여 인발기를 주형(130) 하부로 이동시킨다.
다음, 이송기의 제3시프터(510)를 구동하여 제2가이더(340) 상에 위치하는 주편을 안착대(502)에 안착(도 4c 참조)시킨 후 제3구동기(506)를 구동시켜 안착대(502)를 제2가이더(340) 반대편으로 눕혀 후속 공정으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주조부에서 주조된 주편을 압하부에서 다시 압하함으로써 주편 내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주편을 압하하기 전 주편을 가열하여 응고를 지연시킴으로써 주편을 압하하는데 사용되는 압하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극후강재용 주편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주편의 응고가 지연됨으로써 주편 테일부에 발생하는 파이프를 감소시켜 주편의 실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주조부 110: 래들
120: 턴디쉬 130: 주형
200: 이송부 210: 주행대차
220: 제1구동기 230: 베이스
240: 제1가이더 250: 하우징
260: 가열기 270: 제1시프터
280: 제2시프터 300: 압하부
310: 지지대 320: 제2구동기
340: 제2가이더 350: 압하롤
500: 이송기

Claims (8)

  1. 용강이 경유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용강을 1차적으로 냉각시켜 주편을 형성하는 주형과, 상기 주형의 하부에 상기 주형에서 주조된 주편을 상기 주형 외부로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롤을 포함하는 주조부와;
    상기 주조부의 일측에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롤과 나란하게 구비되고, 서로 쌍을 이루며 그 사이에 상기 주편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상기 주편을 압하하는 압하롤과, 상기 압하롤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하롤 사이를 따라 이동하는 주편을 하부로 안내하는 제2가이더 및 상기 제2가이더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기를 포함하는 압하부; 및
    주행대차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주편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와 하우징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편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안내하는 제1가이더 및 상기 베이스 및 제1가이더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기를 포함하여 상기 주형으로부터 상기 주편을 하부로 인발시키는 인발기와, 상기 인발기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발기를 상기 주조부와 상기 압하부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주행대차와, 상기 압하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인발기에 의해 상기 주형을 빠져나온 주편을 수용하고 있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압하부로 전달하는 제1시프터를 포함하여, 상기 주조부의 직하부에서 상기 주형에서 빠져나온 주편을 전달받아 상기 압하롤 상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하부의 타측에 상기 하우징을 상기 압하부에서 상기 베이스 상부로 전달하는 제2시프터를 포함하는 주조설비.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은 쌍을 이루며 내부에 상기 주편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통로가 형성되는 주조설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적어도 상기 주편의 일부를 가열하는 가열기가 구비되는 주조설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시프터와 제2시프터는 상기 압하부 상부에 구비되는 주조설비.
  8. 삭제
KR1020140019027A 2014-02-19 2014-02-19 주조 설비 KR101565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027A KR101565517B1 (ko) 2014-02-19 2014-02-19 주조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027A KR101565517B1 (ko) 2014-02-19 2014-02-19 주조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017A KR20150098017A (ko) 2015-08-27
KR101565517B1 true KR101565517B1 (ko) 2015-11-13

Family

ID=54059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027A KR101565517B1 (ko) 2014-02-19 2014-02-19 주조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5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658A (ko)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용 몰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5898A (ja) * 2010-12-03 2012-06-21 Sumitomo Metal Ind Ltd 鋳片の連続鋳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5898A (ja) * 2010-12-03 2012-06-21 Sumitomo Metal Ind Ltd 鋳片の連続鋳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658A (ko) 2017-12-20 2019-06-28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용 몰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017A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723B1 (ko) 주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CN107552750B (zh) 可生产超大断面异型坯或板坯的多流连铸机及生产方法
KR101565517B1 (ko) 주조 설비
JP5045408B2 (ja) 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KR101941877B1 (ko) 주편의 연속 주조 방법
US411316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molten metal into solidified products
CN108436046B (zh) 一种超大规格圆坯的立式连铸生产设备及方法
KR100881689B1 (ko) 발포 성장이 균일한 발포 알루미늄의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N103648687A (zh) 用于由金属熔融物制造厚板坯的方法和立式连铸机
KR20150103889A (ko) 주편제조방법
JPH07144255A (ja) 大断面鋳片製造用垂直型半連続鋳造装置および鋳片の搬出方法
CN111659863B (zh) 用于钢坯或初轧坯的连铸设备的改装
US3743005A (en) Process for producing hot rolled three layer steel products from continuously cast hollow tubes
KR101792094B1 (ko) 연속 주조기 및 그 사용 방법
KR100973906B1 (ko) 후판 유도장치
EP2857122B1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for slab
JP4285288B2 (ja) 鋼の連続鋳造方法
JPH091292A (ja) 薄鋳片の連続鋳造方法
KR102288411B1 (ko) 압하 장치
JP4392284B2 (ja) アルミニウム用竪型連続鋳造装置
KR101193845B1 (ko)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및 그 제어방법
RU2260495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ачественной прутковой металлопродукции
JP4186661B2 (ja) 鋳片の内部酸化防止装置
JPH0215858A (ja) 薄鋳片の連続鋳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361374A (ja) 鋳片および垂直型鋳造方法ならびに垂直型鋳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