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144A -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 Google Patents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144A
KR20110109144A KR1020100028736A KR20100028736A KR20110109144A KR 20110109144 A KR20110109144 A KR 20110109144A KR 1020100028736 A KR1020100028736 A KR 1020100028736A KR 20100028736 A KR20100028736 A KR 20100028736A KR 20110109144 A KR20110109144 A KR 20110109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valve body
evaporator
refrigerant
expans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7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홍열
이용주
이건호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두원학원
주식회사 두원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두원학원, 주식회사 두원전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두원학원
Priority to KR1020100028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9144A/en
Publication of KR2011010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1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85Valve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e.g. thermostat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3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 F25B41/3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via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48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pressure
    • B60H2001/3254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pressure of the refrigerant at an expan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85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n expansion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시켜서 증발기에 공급하고, 증발기로부터 유입되어 압축기로 유출되는 냉매에 의하여 개도가 제어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에 있어서, 제1측면에 형성되며 응축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1포트를 구비하며, 내부에는 제1포트로 유입된 냉매가 교축되며 개도가 조절되는 교축 유로와, 교축유로와 연통되고 제1포트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교축유로로 유출하는 내부유로와, 내부유로와 제1포트를 서로 연통시키며 제1포트로 유입된 냉매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유도하여 내부유로로 유출하는 스로틀유로가 형성된 밸브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를 제공한다.
따라서, 냉매 속에 포함된 버블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버블이 터짐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내부적인 충격 등을 방지하여 팽창밸브의 기계적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 which a refrigerant flowing from a condenser is fed to an evaporator, and an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by a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mpressor, the condenser being formed on a first side. And a first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in from the first port, wherein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first port is throttled and the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and the throttle passage communicates with the throttle passage and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first port flows out into the throttle passage.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including a valve body having an internal flow passage and a throttle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flow passage and the first port, and guiding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port in an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to flow out into the internal flow passage. Provide an expansion valve f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bubble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bursts, and to prevent the internal shock generated by the bubble bursting, thereby improving the mechanical durability of the expansion valve.

Description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capable of reducing noise.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내외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 또는 순환시킴으로써 실내온도를 적정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탑승자에게 쾌적한 승차감을 주기 위한 공기조화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 장치와, 차량의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 장치를 포함한다. 냉방장치는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토출되는 열교환 매체가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거쳐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증발기와 실내외기간의 열교환에 의하여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반하여, 난방 장치는 냉각수를 히터 코어로 유입시켜 실내외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된다.Typically, a vehicle is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er for providing a comfortable ride to the occupants by maintaining the indoor temperature in an appropriate state by heating or cooling the inside and outside air to enter or circulate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Such a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and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cooling device is configured to cool the interior of a vehicle by heat exchange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indoor and outdoor periods while the heat exchange medium discharged by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is circulated back to the compressor through the condenser, the receiver dryer, the expansion valve, and the evaporator. In contrast, the heating device is configured to he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introducing coolant into the heater core and exchanging heat with the outdoor air.

상기 팽창밸브로는 최근 들어 L-타입 팽창밸브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L-타입 팽창밸브(1)는 밸브본체(10), 제1브래킷(15) 및 제2브래킷(16)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본체(10)는 직사각형 기둥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브래킷(15)은 응축기 출구배관(11) 및 압축기 입구배관(14)을 상기 밸브본체(10)에 거치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제2브래킷(16)은 증발기 입구배관(12) 및 증발기 출구배관(13)을 상기 밸브본체(10)에 거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팽창밸브(1)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밸브본체(10)의 내부에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1)으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하기 위한 교축 유로와, 상기 교축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1)과 연통되는 내부유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에 의하여 변형되는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내부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교축유로의 개도를 제어하는 밸브부를 수용하는 밸브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팽창밸브를 순환하는 냉매에서 특히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으로 유입되는 냉매는 액상의 냉매로서, 내부에는 버블들이 포함되어 있다.Recently, the L-type expansion valve is widely used as the expansion valve. Referring to FIG. 1, the L-type expansion valve 1 includes a valve body 10, a first bracket 15, and a second bracket 16. The valve body 10 has a rectangular columnar shape. The first bracket 15 serves to mount the condenser outlet pipe 11 and the compressor inlet pipe 14 to the valve body 10, and the second bracket 16 has an evaporator inlet pipe 12 and It serves to mount the evaporator outlet pipe 13 to the valve body (10).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expansion valve (1) is connected to the condenser flow path and the condenser flow path for throttling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denser outlet pipe (11) inside the valve body (10). An internal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pipe 11 is formed, and a valve chamber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driving portion deformed by the refrigerant and installed on the internal flow passage to accommodate a valve portion for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throttle flow passage. . Here,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condenser outlet pipe from the refrigerant circulating through the expansion valve is a liquid phase refrigerant, and bubbles are included therein.

그런데, 상기한 냉매에 포함된 버블들은 상기 팽창밸브(1)로 유입되어 교축유로 상에서 팽창하는 동안 터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종래의 팽창밸브는 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By the way, bubbles contained in the coolant are introduced into the expansion valve (1) to burst during expansion on the throttle flow passage,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expansion valve generates a large noise.

본 발명은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that can reduce noise.

본 발명은,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시켜서 증발기에 공급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어 압축기로 유출되는 냉매에 의하여 개도가 제어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에 있어서, 제1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1포트를 구비하며, 내부에는 상기 제1포트로 유입된 냉매가 교축되며 개도가 조절되는 교축 유로와, 상기 교축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1포트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매를 상기 교축유로로 유출하는 내부유로와, 상기 내부유로와 상기 제1포트를 서로 연통시키며 상기 제1포트로 유입된 상기 냉매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유도하여 상기 내부유로로 유출하는 스로틀유로가 형성된 밸브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 which a refrigerant flowing from a condenser is supplied to an evaporator, and an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by a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evaporator and flowing out to a compressor. A first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condenser, and a refrigerant flowed into the first port is throttled and an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and the refrigerant flows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ttle flow path and flows from the first port. The internal flow path flowing out into the throttle flow passage, the internal flow passage and the first por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throttle flow passage flowing out to the internal flow path by inducing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port inclined upward or downward It provides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comprising a valve body is form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시켜서 증발기에 공급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어 압축기로 유출되는 냉매에 의하여 개도가 제어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에 있어서, 제1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1포트, 상기 제1측면에 인접하는 제2측면에 형성되며 교축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제2포트, 상기 제1측면에 상기 제2포트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도의 제어를 위하여 상기 증발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3포트, 및 제2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포트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유출되는 제4포트를 구비하며, 내부에는 상기 제1포트로 유입된 냉매가 교축되며 개도가 조절되는 교축 유로와, 상기 교축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1포트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매를 상기 교축유로로 유출하는 내부유로와, 상기 내부유로와 상기 제1포트를 서로 연통시키며 상기 제1포트로 유입된 상기 냉매를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유도하여 상기 내부유로로 유출하는 스로틀유로가 형성된 밸브본체, 상기 제1포트에 삽입되는 응축기 출구배관, 상기 제2포트에 삽입되는 증발기 입구배관, 상기 제3포트에 삽입되는 증발기 출구배관, 상기 제4포트에 삽입되는 압축기 입구배관,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과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을 상기 밸브본체의 제1측면에 거치하기 위한 제1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을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하는 제1체결수단,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과 상기 증발기 출구배관을 상기 밸브본체의 제3측면에 거치하기 위한 제2브래킷, 상기 제2브래킷을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하는 제2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를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densing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denser and supplied to the evaporator, the expansion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of which the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by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mpressor A valve comprising: a first port formed on a first side and entering a refrigerant from the condenser, a second port formed on a second side adjacent to the first side and supplied with the condensed refrigerant to the evaporator, the first port A third port formed at a side of the second port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ort, and having a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evaporator to control the opening degree; It has four ports, 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port is throttled, and the throttle flow path of which the opening degree is adjusted, and the throttle flow path communicates with and from the first port. An internal flow path that flows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throttle flow passage, and a throttle that communicates the internal flow path and the first port with each other and induces the refrigerant flowed into the first port to be inclined downward to flow out into the internal flow passage. A valve body having a flow path formed therein, a condenser outlet pipe inserted into the first port, an evaporator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second port, an evaporator outlet pipe inserted into the third port, a compressor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fourth port, A first bracket for mounting the condenser outlet pipe and the compressor inlet pipe on the first side of the valve body, first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first bracket to the valve body, the evaporator inlet pipe and the evaporator outlet pipe A second bracket for mounting the shaft on the third side of the valve body, and a second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second bracket to the valve body. And of providing an expansion valve for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는, 냉매 속에 포함된 버블이 터지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버블이 터짐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내부적인 충격 등을 방지하여 팽창밸브의 기계적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expansion valve for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bubble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bursts, and prevent mechanical shock of the expansion valve by preventing internal shock generated by the bubble bursting. Can be improved.

도 1은 L-타입 구조를 가지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팽창밸브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라 팽창밸브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팽창밸브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밸브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having an L-type structure.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expansion valve of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expansion valve according to line VV of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pansion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expansion valve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팽창밸브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라 팽창밸브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팽창밸브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밸브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FIG.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n expansion valv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pansion valve in accordance with the V-V line of Figure 3, Figur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pansion val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expansion valve of FIG.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이하, "팽창밸브"라 함;100)는 응축기(70)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시켜서 증발기(80)에 공급하고, 상기 증발기(80)로부터 유입되어 압축기(60)로 유출되는 냉매에 의하여 개도가 제어되는 것으로서, 공기조화장치(50)에서 교축 및 유량 제어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상기 팽창밸브(100)가 설치된 공기조화장치(80)의 작동을 살펴보면, 압축기(6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60)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된 후, 응축기(70)에서 응축된다. 상기 응축된 냉매는 상기 팽창밸브(100)에서 교축된 후, 증발기(80)에서 증발한다. 상기 증발된 기체는 상기 팽창밸브(100)로 유입되어 상기 팽창밸브(100)의 개도를 제어하는데 이용된 후, 다시 상기 압축기(60)로 유입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상기 증발기(88)에서 유출되는 냉매가 모두 상기 팽창밸브(100)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증발기(80)로부터 일부 냉매가 바이패스되어 상기 팽창밸브(100)로 유입될 수도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2, an expansion valv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pansion valve”) 100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ttles a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denser 70 to evaporator ( 80 is supplied to, and the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by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evaporator 80 to the compressor 60, the air conditioner 50 performs the function of throttling and flow rate control. As a result of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80 in which the expansion valve 100 is installed,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ompressor 60 is compressed in a state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 the compressor 60 and then condensed in the condenser 70. do.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throttled in the expansion valve 100, and then evaporates in the evaporator 80. The vaporized gas is introduced into the expansion valve 100 and used to control the opening degree of the expansion valve 100, and then flows back into the compressor 60. By the wa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ll the refrigerant flowing out of the evaporator 88 is introduced into the expansion valve 1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some of the refrigerant from the evaporator 80 Bypass may be introduced into the expansion valve (10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팽창밸브(100)는, 크게 밸브본체(110), 구동부(150), 밸브부(140), 제1브래킷(120) 및 제2브래킷(130)을 포함한다. 3 and 4, the expansion valve 100 includes a valve body 110, a driving unit 150, a valve unit 140, a first bracket 120, and a second bracket 130. do.

상기 밸브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기둥 형상을 가진다. 하지만, 이는 일실시예로 상기한 직사각형 기둥 형상 외에 원기둥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The valve body 110 has a rectangular pillar shape as a whole. However, this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to the rectangular pillar shape as an embodiment.

상기 밸브본체(110)는 제1측면(111)에 X방향(-)을 따라 상기 응축기(70)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1포트(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포트(113)는 응축기 출구배관(161)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밸브본체(110)는 상기 제1측면(111)과 인접하여 전방에 배치되는 제2측면(112)에 내부에서 교축된 냉매가 Y방향(+)을 따라 상기 증발기(80)로 공급되는 제2포트(1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포트(114)는 증발기 입구배관(162)이 삽입된다. 상기 밸브본체(110)는 상기 제2측면(112)에 상기 제2포트(114)와 상부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개도의 제어를 위하여 상기 증발기(80) 출구로부터 Y방향(-)에 따라 냉매가 유입되는 제3포트(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증발기 출구배관(163)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본체(110)는 제1측면(111)에 상기 제1포트(113)와 상부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포트(115)로 유입된 냉매가 X방향(+)에 따라 상기 압축기(60)로 유출되는 제4포트(1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4포트(116)로 압축기 입구배관이 삽입된다. The valve body 110 has a first port 113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condenser 70 along the X direction (−) on the first side 111, and the first port 113 is formed. 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is inserted. In addition, the valve body 110 is supplied to the evaporator 80 along the Y direction (+) the refrigerant condensed inside the second side 112 which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side 111 in front. The second port 114 is formed, the second port 114 is the evaporator inlet pipe 162 is inserted. The valve body 11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ort 114 and the upper portion on the second side 112 and the refrigerant along the Y direction (-) from the evaporator 80 outle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Is formed a third port 115 is introduced, the evaporator outlet pipe 163 is inserted. In addition, the valve body 11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rt 113 and the upper side on the first side 111,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third port 115 in the X direction (+) A fourth port 116 which flows out to the compressor 60 is formed, and the compressor inlet pipe is inserted into the fourth port 116.

여기서, 상기 제1측면(111)과 상기 제2측면(112)은 서로 인접하는 측면으로서, 서로 직각 방향(X방향-Y방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61) 및 상기 압축기 출구배관(164)의 연장 방향과,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162) 및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61)의 연장 방향은 서로 수직한 방향이다.Here, the first side surface 111 and the second side surface 112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X direction-Y direction), and also 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and the compressor outlet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ipe 164 and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evaporator inlet pipe 162 and 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기 제1브래킷(120)은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61) 및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164)을 상기 밸브본체(110)의 제1측면(111)에 거치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밸브본체(110)의 제1측면(111)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브래킷(120)은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61)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제1관통홀(122)과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164)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제2관통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bracket 120 serves to mount 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and the compressor inlet pipe 164 on the first side 111 of the valve body 110, and the valve body 110. It is arrang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ide 111 of the. Here, the first bracket 120 has a first through hole 122 through which 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is inserted and a second through hole 121 through which the compressor inlet pipe 164 is inserted. Formed.

상기 제2브래킷(130)은,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162) 및 증발기 출구배관(163)이 관통되게 끼워지고,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162) 및 상기 증발기 출구배관(163)을 상기 밸브본체(110)의 제2측면(112)에 거치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밸브본체(110)의 제2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The second bracket 130 is fitted into the evaporator inlet pipe 162 and the evaporator outlet pipe 163, the evaporator inlet pipe 162 and the evaporator outlet pipe 163 to the valve body 110. It serves to mount on the second side 112 of the, and is arrang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ide of the valve body (110).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61)의 전방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1플랜지부(16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164)의 전방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2플랜지부(164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팽창밸브(100)는,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61)이 상기 제1관통홀(122)에 삽입되면 상기 제1플랜지부(161a)가 상기 제1브래킷(120)의 제1관통홀(122)의 주변에 걸려서 그 위치가 고정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164)이 상기 제2관통홀(121)에 삽입되면 상기 제2플랜지부(164a)가 상기 제2브래킷(130)의 제2관통홀(121)의 주변에 걸려서 그 위치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팽창밸브(100)는, 상기 제1플랜지부(161a)와 상기 제1브래킷(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오링(121a)과, 상기 제2플랜지부(164a)와 상기 제1브래킷(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2오링(122a)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1브래킷(120)과 상기 제1플랜지부(161a) 및 제2플랜지부(164a)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162)과 상기 증발기 출구배관(163)의 삽입단부에는 제 3 및 제4플랜지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및 제4플랜지부는 상기 제2브래킷(130)과 상기 밸브본체(110)의 제3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제1 및 제2플랜지부(161a,164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A first flange portion 161a is form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to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 second flange portion 164a is form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compressor inlet pipe 164 in the radial direction. ) Is formed. Thus, the expansion valve 100, when 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122, the first flange portion 161a is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first bracket 120 When the compressor inlet pipe 16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121, the second flange portion 164a of the second bracket 130 is fixed. The position is fixed by being caught around the second through hole 121. The expansion valve 100 may include a first o-ring 121a disposed between the first flange portion 161a and the first bracket 120, the second flange portion 164a, and the first flange portion 164a. A second O-ring 122a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rackets 120 to maintain airtightness between the first bracket 120, the first flange part 161a, and the second flange part 164a. Although not shown, the third and fourth flange portions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sertion ends of the evaporator inlet pipe 162 and the evaporator outlet pipe 163, and the third and fourth flange parts are formed on the second bracket ( Located between the 130 and the third side of the valve body 1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cause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and second flange portions (161a, 164a).

상기 팽창밸브(100)는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120,130)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브래킷(120,130)을 상기 밸브본체(110)의 제1 및 제2측면(111,112)에 고정하는 제1체결수단(123)과 제2체결수단(131)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수단(123)은 상기 제1측면(111)에서 상기 밸브본체(110)를 관통하여 상기 제1브래킷(120)에 나사 고정되는 제1체결볼트이고, 상기 제2체결수단(131)은 상기 제2측면(112)에서 상기 밸브본체(110)를 관통하여 상기 제2브래킷(130)에 나사 고정되는 제2체결볼트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팽창밸브(100)는 상기 제1측면(111)과 상기 제1브래킷(120) 및 상기 제2측면(112)과 상기 제2브래킷(130) 사이에 기밀 및 상기 브래킷과 상기 밸브본체(110)의 기계적 충격 또는 간섭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가스켓을 구비할 수도 있다. The expansion valve 100 penetrates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20 and 130 to fix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20 and 130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111 and 112 of the valve body 110.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fastening means 123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131. Here, the first fastening means 123 is a first fastening bolt that is screwed to the first bracket 120 through the valve body 110 in the first side 111, the second fastening means Reference numeral 131 is a second fastening bolt that penetrates through the valve body 110 and is screwed to the second bracket 130 at the second side 112. Although not shown, the expansion valve 100 may include an airtight and the bracket between the first side 111 and the first bracket 120 and the second side 112 and the second bracket 130. It may be provided with a gasket to reduce the mechanical shock or interference of the valve body 110, and the lik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밸브본체(110)의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포트(113)로 유입된 냉매가 교축되며 개도가 조절되는 교축유로(171)와, 상기 교축유로(171)와 일렬로 형성되어 연통되고 상기 제1포트(113)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매를 상기 교축유로(171)로 유출하는 내부유로(172)와, 상기 내부유로(172)와 상기 제1포트(113)를 서로 연통시키며 상기 제1포트(113)로 유입된 상기 냉매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유도하여 상기 내부유로(172)로 유출하는 스로틀유로(17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로틀유로(173)는 상기 제1포트(113)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변동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의 상기 스로틀유로(173)의 경사도는 밸브본체(110) 설계 및 내부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5, inside the valve body 110, the valve body 110 is form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first port 113 is throttled and the opening degree is adjusted. An internal flow passage 172 which is formed in line with the throttle flow passage 171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ttle flow passage 171, and discharges th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first port 113 to the throttle flow passage 171; A throttle that communicates the internal flow path 172 and the first port 113 with each other and induces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first port 113 to be inclined upward or downward to flow out to the internal flow path 172. The flow path 173 is formed. Here, the throttle flow path 173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change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port 113, the inclination of the throttle flow path 173 at this time is the valve body 110 design And of course, it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internal structure.

한편,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61)으로부터 상기 제1포트(113)로 유입되는 냉매는 액상의 냉매로서, 내부에는 버블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냉매에 포함된 버블들은 상기 교축유로(171) 상에서 팽창하는 동안 터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버블들이 터지게 되면 상기 팽창밸브(100)는 큰 소음이 발생한다. 이에, 상기 팽창밸브(100)는, 상기 제1포트(113)로 유입된 냉매에 포함된 버블들을 상기 교축유로(171)를 통과하기 전에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스로틀유로(173)에서 부딪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기 냉매에 포함된 버블들을 미세화하여 상기 냉매가 상기 교축유로(171)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port 113 from 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is a liquid refrigerant, and bubbles are included therein.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may burst during expansion on the throttle passage 171. At this time, when the bubbles burst, the expansion valve 100 generates a loud noise. Thus, the expansion valve 100,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port 113 to impinge on the throttle passage 173 formed inclined before passing through the throttle passage 171 and this By miniaturizing bubbles included in the refrigerant, noise generated when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throttle passage 171 may be reduced.

즉, 상기 팽창밸브(100)는, 상기 제1포트(113)로 유입되는 냉매가 상기 스로틀유로(173)를 지나면서 냉매 속에 포함된 버블들이 미세화되어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내부유로(172) 상에 배치된 후술되는 지지스프링(143)을 통하여 다시 미세화 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냉매 속에 포함된 버블들을 대부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팽창밸브(100)는, 상기 냉매가 교축유로(171)를 통과하기 전에 상기 스로틀유로(173)와 상기 내부유로(172)에 배치된 지지스프링(143)에 의하여 내부에 포함된 버블들이 대부분 제거하기 때문에 상기 버블들이 터지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expansion valve 100, as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port 113 passes through the throttle passage 173, bubbles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may be miniaturized to reduce noise. By refining through the support spring 14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isposed on the (172) can finally remove most of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Therefore, the expansion valve 100 is a bubble contained therein by the support spring 143 disposed in the throttle passage 173 and the inner passage 172 before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throttle passage 171. Since most of these bubbles are removed, the noise generated as the bubbles burst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상기 팽창밸브(100)는, 상기 스로틀유로(173)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포트(113)의 위치를 상향으로 배치되어 형성되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상기 제1브래킷(120)의 길이를 h1만큼 줄일 수 있어 상기 제1브래킷(120) 및 밸브본체(110)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전체 팽창밸브(100)의 형상 및 크기를 컴팩트화할 수 있으며, 소요되는 재료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pansion valve 100, the throttle flow path (173)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port 113 is formed upward,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bracket (120) Since it can be reduced by h1, the length of the first bracket 120 and the valve body 110 can be reduced, so that the shape and size of the entire expansion valve 100 can be made compact, and the material required can be reduced, so that the economic effect. Can create.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밸브본체(110)의 상면에 결합되며, 다이아프램의 원리를 이용하여 구동한다. 상기 구동부(150)는, 다이아프램(151)과, 스토퍼(152)와, 외부 케이스(153) 및 캡(155)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아프램(151)은 온도에 의하여 변형이 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3포트(115)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에 의하여 변형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스토퍼(152)는 상기 다이아프램(151)과 연결되어 상기 다이아프램(151)의 변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상기 외부케이스(153)는 상기 밸브본체(110)의 상부에 결합하며, 상기 캡(155)은 상기 외부 케이스(153)를 덮도록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다이아프램(151)과 상기 외부 케이스(153) 사이의 공간은 상부 압력실(156)로서, 상기 상부압력실(156) 내에는 감온 가스가 동봉되고, 상기 상부 압력실(156)은 밀폐부재(154)에 의하여 밀폐된다. 상기 다이아프램(151)의 하부공간에는 하부 압력실(157)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압력실(157)에는 상기 스토퍼(152)가 설치된다. The drive unit 15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alve body 110, and drives using the principle of the diaphragm. The driving unit 150 includes a diaphragm 151, a stopper 152, an outer case 153, and a cap 155. The diaphragm 151 is deformed by temperature, and has a characteristic of being deformed by a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third port 115. The stopper 152 is connected to the diaphragm 151 and reciproc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formation of the diaphragm 151. The outer case 153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alve body 110, the cap 155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to cover the outer case 153. Here, the space between the diaphragm 151 and the outer case 153 is an upper pressure chamber 156, a temperature-sensitive gas is enclosed in the upper pressure chamber 156, the upper pressure chamber 156 is It is sealed by the sealing member 154. A lower pressure chamber 157 is formed in the lower space of the diaphragm 151, and the stopper 152 is installed in the lower pressure chamber 157.

상기 밸브부(140)는 니들(141), 슬리브(142), 지지스프링(143), 지지부재(144)를 포함한다. 상기 니들(141)은 상기 밸브본체(110)의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홀(14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다이아프램(151)과 결합된 상기 스토퍼(152)와 고정되어, 상기 다이아프램(151)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상기 슬리브(142)는 상기 니들(141)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니들(141)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며, 상기 교축유로(171)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교축유로(171)의 개도를 조절한다. 상기 슬리브(142)의 하면에는 슬리브 지지부재(14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스프링(143)은, 상기 내부유로(172)상에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 지지부재(142a)를 상부에서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슬리브지지부재(142a)와 상기 슬리브(142)를 탄력적으로 상방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스프링(143)은 하부에 배치된 지지부재(144)에 의하여 상방 지지된다. 상기한 구성의 상기 밸브부(140)는, 상단부가 상기 구동부(150)와 결합하고 하단부가 상기 슬리브(142)에 결합하는 니들(141)이 상기 구동부(150)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 상기 니들(141)과 결합된 슬리브(142)가 연동하여 이동하여 상기 교축유로(171)의 개도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150)의 작동은, 상기 제3포트(115)를 통하여 냉매가 유입되면, 유입된 상기 냉매가 상기 하부 압력실(157)을 통하여 상기 상부 압력실(156) 내의 감온가스의 온도를 변화시키고, 상기 감온가스의 온도 변화에 의하여 상기 다이아프램(151)이 움직이다. 이렇게 다이아프램(151)이 움직이면, 상기 다이아프램(151)에 결합된 스토퍼(152)가 움직이고, 이에 따라 니들(141) 및 슬리브(14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교축유로(171)의 개도가 조절된다. The valve unit 140 includes a needle 141, a sleeve 142, a support spring 143, and a support member 144. The needle 141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insertion hole 146 formed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valve body 110, and has an upper end fixed to the stopper 152 coupled with the diaphragm 151.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diaphragm 151, the linear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leeve 142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needle 141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needle 141, is installed on the throttle flow path 171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throttle flow path (171). The sleeve support member 142a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leeve 142. The support spring 143 is installed on the inner passage 172 and inserts the sleeve support member 142a therein from the top to elastically connect the sleeve support member 142a and the sleeve 142. Support upwards. Here, the support spring 143 is supported upward by the support member 144 disposed below. The valve unit 140 of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needle 141,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drive unit 150 and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sleeve 142 is recipr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drive unit 150 The sleeve 142 coupled to the needle 141 moves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throttle passage 171.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50, when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third port 115,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temperature-sensitive gas in the upper pressure chamber 156 through the lower pressure chamber 157. The diaphragm 151 is moved by changing the temperature and by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temperature-sensitive gas. When the diaphragm 151 moves in this way, the stopper 152 coupled to the diaphragm 151 moves, so that the needle 141 and the sleeve 142 mov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diaphragm 171. The opening degree is adjusted.

한편, 도 6은 상기 팽창밸브(10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팽창밸브(100)는, 상기 스로틀유로(173)와 더불어, 상기 밸브본체(110)의 내부에 상기 제3포트(115)와 상기 제4포트(116)를 서로 연통시키며, 상기 제3포트(115)로 유입된 상기 냉매를 경사지게 유도하여 상기 제4포트(116)로 유출하는 경사유로(174)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로틀유로(173)는 상기 제1포트(113)에서 상기 내부유로(172)를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유로(174)는 상기 제4포트(116)에서 상기 제3포트(115)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팽창밸브(100)는 상기 제1포트(113)와 상기 제4포트(116) 간의 간격이 좁아져 상기 제1브래킷(120)의 길이를 h1과 h2를 합한 만큼 크게 줄일 수 있는 구조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alve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expansion valve 100, the expansion valve 100, along with the throttle flow path 173 The third port 115 and the fourth port 116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side the valve body 110, and the fourth port is inclined to guide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third port 115. An inclined flow passage 174 that flows out to 116 is formed. In detail, the throttle passage 173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irst port 113 toward the internal passage 172, and the inclined passage 174 is disposed at the fourth port 116. It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 the third port 115. In this case, the expansion valve 100 has a narrow interval between the first port 113 and the fourth port 116 can reduce the length of the first bracket 120 as much as the sum of h1 and h2. Structur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팽창밸브(100)는, 상기 스로틀유로(173)를 통하여 냉매 속에 포함된 버블들을 상기 교축유로(171)로 유입되기 전에 미리 미세화함으로써 상기 버블들이 교축유로(171)상에서 터져서 발생하는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스로틀유로(173)와 상기 경사유로(174)를 상기 제1포트(113)와 상기 제4포트(116)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제1브래킷(120) 및 상기 밸브본체(110)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컴팩트한 구조를 이룰 수 있어 경제적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xpansion valv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refrigerant through the throttle flow path 173 in advance before the flow into the throttle flow path 171, so that the bubbles are throttle flow path ( The noise generated by bursting on 171 may be greatly reduced, and the throttle passage 173 and the inclined passage 174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port 113 and the fourth port 116. Since the length of the first bracket 120 and the valve body 110 can be reduced, a compact structure can be achieved and economical.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팽창밸브 110... 밸브본체
111... 제1측면 112... 제2측면
113... 제1포트 114... 제2포트
115... 제3포트 116... 제4포트
120... 제1브래킷 130... 제2브래킷
140... 밸브부 150... 구동부
161... 응축기 출구배관 162... 증발기 입구배관
163... 증발기 출구배관 164... 압축기 입구배관
171... 교축유로 172... 내부유로
173... 스로틀유로 174... 경사유로
100 ... expansion valve 110 ... valve body
111 ... the first side 112 ... the second side
113 ... 1st port 114 ... 2nd port
115 ... 3rd port 116 ... 4th port
120 ... 1st bracket 130 ... 2nd bracket
140 ... valve 150 ... drive
161 ... condenser outlet piping 162 ... evaporator inlet piping
163 ... evaporator outlet piping 164 ... compressor inlet piping
171. Constrained Euro 172 ... Internal Euro
173 ... Throttle Euro 174 ... Incline Euro

Claims (11)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시켜서 증발기에 공급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어 압축기로 유출되는 냉매에 의하여 개도가 제어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에 있어서,
제1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1포트를 구비하며, 내부에는 상기 제1포트로 유입된 냉매가 교축되며 개도가 조절되는 교축 유로와, 상기 교축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1포트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매를 상기 교축유로로 유출하는 내부유로와, 상기 내부유로와 상기 제1포트를 서로 연통시키며 상기 제1포트로 유입된 상기 냉매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유도하여 상기 내부유로로 유출하는 스로틀유로가 형성된 밸브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 which a refrigerant flowing from a condenser is throttled and supplied to an evaporator, and the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by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evaporator and flowing out to the compressor.
A first port formed on a first side and into which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condenser, and a refrigerant passage introduced into the first port and throttled, and an opening degree of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ttle passage; An internal flow passage which flows th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port into the throttle flow passage, and communicates the internal flow passage and the first port with each other and induces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first port to be inclined upward or downward;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cluding a valve body having a throttle flow path flowing out into the flow pa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상기 제1측면에 인접하는 제2측면에 형성되며 교축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제2포트, 상기 제1측면에 상기 제2포트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도의 제어를 위하여 상기 증발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3포트, 및 제2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포트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유출되는 제4포트를 구비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lve body,
A second port formed on a second side adjacent to the first side and throttled refrigeran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ort on the first side, and is controlled from the evaporator to control the opening degree Is formed on the second port and the second side and the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having a fourth port for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third port is discharged to the compress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내부에 상기 제3포트와 상기 제4포트를 서로 연통시키며, 상기 제3포트로 유입된 상기 냉매를 경사지게 유도하여 상기 제4포트로 유출하는 경사유로가 형성된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valve body,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having an inclined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port and the fourth port with each other, and inducing the coolant flowing into the third port to flow out to the fourth por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는,
상기 밸브본체에 결합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교축유로의 개도를 조절하는 슬리브와, 일단부가 상기 슬리브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왕복 이동하는 니들과, 상기 내부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구비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Expansion valve for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A driving unit coupled to the valve body; And
A sleeve for adjust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throttle passage, a need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leev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riving portion and reciprocating by the driving portion, and installed on the inner flow passage to elastically support the sleeve.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valve unit having a support spring.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내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니들은 상기 관통홀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관통홀과, 상기 교축 유로와, 상기 내부 유로는 상하 방향으로 얼라인되어 있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of claim 4,
The valve body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ide,
The needle penetrates the through hole and moves upward and downward by the driving unit.
And said through hole, said throttle flow path and said inner flow path are aligned in a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3포트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에 의하여 변형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다이아프램과 연결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은 일단부가 상기 스토퍼와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of claim 4,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iaphragm deformed by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third port, and a stopper connected to the diaphragm,
One end of the needle is coupled to the stopper, the expansion valve for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stopper.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에 삽입되는 응축기 출구배관;
상기 제2포트에 삽입되는 증발기 입구배관;
상기 제3포트에 삽입되는 증발기 출구배관;
상기 제4포트에 삽입되는 압축기 입구배관;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과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을 상기 밸브본체의 제1측면에 거치하기 위한 제1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을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하는 제1체결수단;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과 상기 증발기 출그배관을 상기 밸브본체의 제3측면에 거치하기 위한 제2브래킷;
상기 제2브래킷을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하는 제2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 condenser outlet pipe inserted into the first port;
An evaporator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second port;
An evaporator outlet pipe inserted into the third port;
A compressor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fourth port;
A first bracket for mounting the condenser outlet pipe and the compressor inlet pipe on the first side of the valve body;
First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first bracket to the valve body;
A second bracket for mounting the evaporator inlet pipe and the evaporator outlet pipe on a third side surface of the valve body;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second bracket to the valve body.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수단은 상기 제1측면에서 상기 밸브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브래킷에 나사 고정되는 제1체결볼트이고,
상기 제2체결수단은 상기 제3측면에서 상기 밸브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2브래킷에 나사 고정되는 제2체결볼트인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fastening means is a first fastening bolt that is screwed to the first bracket through the valve body on the first side,
And said second fastening means is a second fastening bolt which is screwed to said second bracket through said valve body at said third side.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 및 상기 압축기 출구배관의 연장 방향과,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 및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의 연장 방향은 서로 수직한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And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ndenser outlet pipe and the compressor outlet pipe and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evaporator inlet pipe and the condenser outlet pipe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기둥형상인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of claim 1 or claim 7,
The valve body is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having a generally rectangular columnar shape.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시켜서 증발기에 공급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어 압축기로 유출되는 냉매에 의하여 개도가 제어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에 있어서,
제1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1포트, 상기 제1측면에 인접하는 제2측면에 형성되며 교축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제2포트, 상기 제1측면에 상기 제2포트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도의 제어를 위하여 상기 증발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3포트, 및 제2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포트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유출되는 제4포트를 구비하며, 내부에는 상기 제1포트로 유입된 냉매가 교축되며 개도가 조절되는 교축 유로와, 상기 교축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1포트로부터 유입된 상기 냉매를 상기 교축유로로 유출하는 내부유로와, 상기 내부유로와 상기 제1포트를 서로 연통시키며 상기 제1포트로 유입된 상기 냉매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유도하여 상기 내부유로로 유출하는 스로틀유로가 형성된 밸브본체;
상기 제1포트에 삽입되는 응축기 출구배관;
상기 제2포트에 삽입되는 증발기 입구배관;
상기 제3포트에 삽입되는 증발기 출구배관;
상기 제4포트에 삽입되는 압축기 입구배관;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과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을 상기 밸브본체의 제1측면에 거치하기 위한 제1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을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하는 제1체결수단;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과 상기 증발기 출구배관을 상기 밸브본체의 제3측면에 거치하기 위한 제2브래킷;
상기 제2브래킷을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하는 제2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 which a refrigerant flowing from a condenser is throttled and supplied to an evaporator, and the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by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evaporator and flowing out to the compressor.
A first port formed on a first side and into which a refrigerant flows from the condenser, a second port formed on a second side adjacent to the first side and supplied with a condensed refrigerant to the evaporator, and a first port formed on the first side And a third port formed spaced apart from two ports and having a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evaporator to control the opening degree, and a fourth port formed at a second side 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third port flowing out of the compressor. And an throttle flow passag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first port is throttled and the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an internal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throttle flow passage and flowing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first port into the throttle flow passage, A throttle flow path is formed which communicates an internal flow path and the first port with each other and induces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first port to be inclined upward or downward to flow out into the internal flow path. A valve body;
A condenser outlet pipe inserted into the first port;
An evaporator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second port;
An evaporator outlet pipe inserted into the third port;
A compressor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fourth port;
A first bracket for mounting the condenser outlet pipe and the compressor inlet pipe on the first side of the valve body;
First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first bracket to the valve body;
A second bracket for mounting the evaporator inlet pipe and the evaporator outlet pipe on a third side of the valve body;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comprising a second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second bracket to the valve body.
KR1020100028736A 2010-03-30 2010-03-30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KR201101091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736A KR20110109144A (en) 2010-03-30 2010-03-30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736A KR20110109144A (en) 2010-03-30 2010-03-30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144A true KR20110109144A (en) 2011-10-06

Family

ID=4502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736A KR20110109144A (en) 2010-03-30 2010-03-30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914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0269B2 (en) Motorized valve and refrigeration cycle
JP2020034141A (en) Motor-operated valve and refrigeration cycle system
CN107289144A (en) A kind of electric expansion valve
KR101077691B1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KR102439104B1 (en) Integrated Vehicle Cooling Water Heating Module
JP3928084B2 (en) Expansion valve
CN112443679B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KR20180085352A (en) Expansion valve
KR20110108026A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JP2024010029A (en) Motor-operated valve and refrigeration cycle system
KR20110109144A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CN217927233U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refrigeration equipment
KR20130134760A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KR20110101689A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KR101735181B1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JP2008196774A (en) Pressure control valve
JP2020003187A (en) Gas-liquid separator
AU2007223215A1 (en) Freezer heat exchanger coolant flow divider control device
JP2011133157A (en) Expansion valve
KR102079208B1 (en) Expansion valve
JP2013217408A (en) Motor-operated valve
JP2017190940A (en) Heat exchanger
KR20110095502A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JP6902359B2 (en) Heat pump unit
KR101152029B1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