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502A -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 Google Patents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502A
KR20110095502A KR1020100015004A KR20100015004A KR20110095502A KR 20110095502 A KR20110095502 A KR 20110095502A KR 1020100015004 A KR1020100015004 A KR 1020100015004A KR 20100015004 A KR20100015004 A KR 20100015004A KR 20110095502 A KR20110095502 A KR 20110095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valve body
vehicle
expansion valv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0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주
장영일
이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전자
학교법인 두원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전자, 학교법인 두원학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전자
Priority to KR1020100015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5502A/en
Publication of KR20110095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5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85Valve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e.g. thermostat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48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pressure
    • B60H2001/3254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pressure of the refrigerant at an expan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85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n expans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n expansion valve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to reduce the length of a valve body by optimizing the positions of first through fourth ports in the valve body. CONSTITUTION: An expansion valve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es first through fourth ports(111~114). The first por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a valve body to draw in coolant from a condenser. The second port is formed on a first side of the valve body to supply throttled coolant to an evaporator. The third port is formed separate from the second port on the first side to draw in coolant from the evaporator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The fourth port is formed on a second side(147) of the valve body to discharge the coolant drawn in through the third port.

Description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화 구조가 가능한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that can be miniaturized.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내외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 또는 순환시킴으로써 실내온도를 적정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탑승자에게 쾌적한 승차감을 주기 위한 공기조화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는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 장치와, 차량의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 장치를 포함한다. 냉방장치는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토출되는 열교환 매체가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거쳐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과정에서 증발기와 실내외기간의 열교환에 의하여 자동차의 실내를 냉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반하여, 난방 장치는 냉각수를 히터 코어로 유입시켜 실내외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된다.Typically, a vehicle is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er for providing a comfortable ride to the occupants by maintaining the indoor temperature in an appropriate state by heating or cooling the inside and outside air to enter or circulate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Such a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and a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cooling device is configured to cool the interior of a vehicle by heat exchange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indoor and outdoor periods while the heat exchange medium discharged by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is circulated back to the compressor through the condenser, the receiver dryer, the expansion valve, and the evaporator. In contrast, the heating device is configured to he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introducing coolant into the heater core and exchanging heat with the outdoor air.

상기 팽창밸브로는 최근 들어 L-타입 팽창밸브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L-타입 팽창밸브(1)는 밸브본체(10), 제1브래킷(15) 및 제2브래킷(16)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본체(10)는 직사각형 기둥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브래킷(15)은 응축기 출구배관(11) 및 압축기 입구배관(14)을 상기 밸브본체(10)에 거치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제2브래킷(16)은 증발기 입구배관(12) 및 증발기 출구배관(13)을 상기 밸브본체(10)에 거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Recently, the L-type expansion valve is widely used as the expansion valve. Referring to FIG. 1, the L-type expansion valve 1 includes a valve body 10, a first bracket 15, and a second bracket 16. The valve body 10 has a rectangular columnar shape. The first bracket 15 serves to mount the condenser outlet pipe 11 and the compressor inlet pipe 14 to the valve body 10, and the second bracket 16 has an evaporator inlet pipe 12 and It serves to mount the evaporator outlet pipe 13 to the valve body (10).

그런데,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1)과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14) 사이의 간격이,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12)과 상기 증발기 출구배관(13) 사이의 간격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1브래킷의 길이(L1)가 상기 제2브래킷의 길이(L2)보다 길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길이가 긴 제1브래킷(15)으로 인하여, 상기 L-타입 팽창밸브(1)의 길이 자체가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L-타입 팽창밸브(1)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However,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denser outlet pipe 11 and the compressor inlet pipe 14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evaporator inlet pipe 12 and the evaporator outlet pipe 13, the length of the first bracket L1 is only longer than the length L2 of the second bracket. Therefore, since the length itself of the L-type expansion valve 1 increases due to the long first bracket 15, there is a limit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L-type expansion valve 1.

본 발명은 소형화 구조가 가능한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which can be miniaturized.

본 발명은,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시켜서 증발기에 공급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어 압축기로 유출되는 냉매에 의하여 개도가 제어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에 있어서,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1포트, 상기 제1측면에 형성되며 교축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제2포트, 상기 제1측면에 상기 제2포트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도의 제어를 위하여 상기 증발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3포트, 및 상기 제2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포트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유출되는 제4포트를 구비하는 밸브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 which a refrigerant flowing from a condenser is supplied to an evaporator, and an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by a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evaporator and flowing out to a compressor, the lower pressure condenser being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A first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second port, a second port formed on the first side, and a throttled refrigerant being supplied to the evaporator,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ort on the first side to control the opening degree. Expansion for the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comprising a valve body having a third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evaporator, and a fourth port formed on the second side 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third port flows out to the compressor. Provide a valv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시켜서 증발기에 공급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어 압축기로 유출되는 냉매에 의하여 개도가 제어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기둥 형상을 가지며,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1포트, 상기 제1측면에 형성되며 교축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제2포트, 상기 제1측면에 상기 제2포트의 상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도의 제어를 위하여 상기 증발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3포트, 및 상기 제1측면에 인접한 제2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포트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유출되는 제4포트를 구비하는 밸브본체와, 상기 제2포트에 삽입되는 증발기 입구배관과, 상기 제3포트에 삽입되는 증발기 출구배관과, 상기 제4포트에 삽입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축기 입구배관과, 상기 제1포트에 상방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삽입부로 유출시키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응축기 출구배관과,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 및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을 상기 밸브본체에 거치하되,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이 관통되어 끼워지는 제1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이 끼워지는 제2플레이트부를 구비하는 제1브래킷과,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 및 상기 증발기 출구배관을 상기 밸브본체에 거치하는 제2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을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하는 제1체결수단과, 상기 제2브래킷을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하는 제2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이, 제1하면부 및 상기 제1하면부 보다 높게 위치하는 제2하면부를 구비하는 단차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포트는 상기 제2하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부는 상기 제2하면부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the evaporator by condensing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condenser, the expansion valve for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by the refrigerant flowed in from the evaporator to the compressor The first port has a generally rectangular columnar shape and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includes a first port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from the condenser, a second port formed on the first side, and a condensed refrigerant supplied to the evaporator. The third port is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ort and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from the evaporator to control the opening degree, and the refrigerant formed in the second side adjacent to the first side and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third port A valve body having a fourth port flowing out to the compressor, an evaporator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second port, and inserted into the third port An evaporator outlet pipe, a compressor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fourth port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 insertion part inserted upwardly into the first port, an extension part extending in parallel with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mpressor inlet pipe, And a condenser outlet pipe having a bent part for chang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extension part and flowing out to the insertion part, and mounting the condenser outlet pipe and the compressor inlet pipe to the valve body, wherein the compressor inlet pipe is A first bracket having a first plate portion inserted therethrough, a second plate portion bent from the first plate portion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plate portion, and into which the condenser outlet pipe is fitted; and the evaporator inlet pipe and the evaporator outlet pipe. A second bracket mounted on the main body, first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first bracket to the valve body, and And a second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bracket to the valve body, wherein the lower surface has a stepped structure having a first lower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lower surface portion, wherein the first port Is formed in the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provides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disposed to face the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본 발명의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에서는, 밸브본체에 형성된 제1,2,3,4포트들의 위치가 최적화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밸브본체의 길이가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팽창밸브가 소형화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팽창밸브가 설치되는 차량의 엔진룸의 여유 공간이 증가한다.In the expansion valve for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orts formed in the valve body can be optimized, the length of the valve body is reduced. Therefore, since the expansion valve can be miniaturized, the free space in the engine room of the vehicle in which the expansion valve is installed increases.

도 1은 L-타입 구조를 가지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팽창밸브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팽창밸브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2브래킷, 증발기 입구배관 및 증발기 출구배관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팽창밸브가 설치된 공기조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having an L-type struct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expansion valve shown in FIG. 2.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pansion valve shown i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second bracket, the evaporator inlet pipe and the evaporator outlet pipe shown in FIG.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with the expansion valve of FIG. 2.

도 2 내지 도 5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이하, "팽창밸브"라 함)(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팽창밸브(100)는 공기조화장치에서 교축 및 유량 제어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에 상기 팽창밸브(100)가 설치된 공기조화장치(50)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압축기(6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60)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된 후, 응축기(70)에서 응축된다. 상기 응축된 냉매는 상기 팽창밸브(100)에서 교축된 후, 증발기(80)에서 증발한다. 상기 증발된 기체는 상기 팽창밸브(100)로 유입되어 상기 팽창밸브(100)의 개도를 제어하는데 이용된 후, 다시 상기 압축기(60)로 유입된다. 다만, 도 5에서는 상기 증발기(80)에서 유출되는 냉매가 모두 상기 팽창밸브(100)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증발기(80)로부터 일부 냉매가 바이패스되어 상기 팽창밸브(100)로 유입될 수도 있다.2 to 5 illustrate an expansion valv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xpansion valve”) 100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ansion valve 100 performs the function of throttling and flow control in the air conditioner.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50 in which the expansion valve 100 is installed.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compressor 60 is compressed in a state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 the compressor 60 and then condensed in the condenser 70.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throttled in the expansion valve 100, and then evaporates in the evaporator 80. The vaporized gas is introduced into the expansion valve 100 and used to control the opening degree of the expansion valve 100, and then flows back into the compressor 60. In FIG. 5, all the refrigerant flowing out of the evaporator 80 is introduced into the expansion valve 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ome refrigerant may be bypassed from the evaporator 80.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expansion valve (100).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팽창밸브(100)는 크게 밸브본체(110), 제1브래킷(120), 제2브래킷(130), 구동부(180) 및 밸브부(185)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기둥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밸브본체(110)의 하면(140)에는 제1포트(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면(140)은, 제1하면부(141) 및 상기 제1하면부(141) 보다 높게 위치하는 제2하면부(142)를 구비하는 단차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포트(111)는 상기 제2하면부(142)에 형성되어 있다.2 to 5, the expansion valve 100 includes a valve body 110, a first bracket 120, a second bracket 130, a driving unit 180, and a valve unit 185. . The valve body 110 has a rectangular pillar shape as a whole. The first port 111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40 of the valve body 110. The lower surface 140 has a stepped structure including a first lower surface portion 141 and a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142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lower surface portion 141. The first port 111 is formed in the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142.

상기 밸브본체(110)의 제1측면(146)에는 X축 방향을 따라 유체가 연통되는 제2포트(112) 및 제3포트(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본체(110)의 제2측면(147)에는 Y방향으로 유체가 유출되는 제4포트(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측면(146)과 상기 제2측면(146)은 서로 인접하는 측면으로서, 서로 직각 방향을 이룬다. 상기 제2포트(112)와 상기 제3포트(113)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포트(111)와 상기 제4포트(114)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The first side surface 146 of the valve body 110 is provided with a second port 112 and a third port 113 in which fluid is communicated along the X-axis direction. The second side surface 147 of the valve body 110 is formed with a fourth port 114 through which fluid flows in the Y direction. The first side surface 146 and the second side surface 146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re form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n interval between the second port 112 and the third port 113 is small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port 111 and the fourth port 114.

상기 제1포트(111)로는 상기 응축기(70)로의 출구부터 냉매가 유입되고, 상기 제2포트(112)를 통해 상기 팽창밸브(100)에 의하여 교축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80)의 입구로 공급된다. 상기 제3포트(113)로는 상기 증발기(80) 출구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며, 상기 제3포트(113)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4포트(114)를 통하여 상기 압축기(60)의 입구로 유출된다.Refrigerant flows into the first port 111 from the outlet to the condenser 70, and the refrigerant condensed by the expansion valve 100 through the second port 112 flows into the inlet of the evaporator 80. Supplied. Refrigerant flows into the third port 113 from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80, and the refrigerant flowed into the third port 113 flows out into the inlet of the compressor 60 through the fourth port 114. do.

상기 밸브본체(110)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교축 유로(18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부(185)는 니들(171) 및 슬리브(172)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172)는 상기 교축 유로(181) 상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교축 유로(181)의 개도를 조절한다. 상기 슬리브(172)의 하면에는 슬리브 지지부재(173)가 배치된다. 상기 슬리브 지지부재(173)와 플러그(175) 사이에 스프링(174)이 삽입되어 있어서, 상기 슬리브(172)는 상기 슬리브 지지부재(173)에 의하여 상방 지지된다. The throttle passage 181 is formed in the valve body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The valve unit 185 includes a needle 171 and a sleeve 172. The sleeve 172 is installed on the throttle flow path 181 to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throttle flow path 181. The sleeve support member 173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leeve 172. A spring 174 is inserted between the sleeve support member 173 and the plug 175 so that the sleeve 172 is supported upward by the sleeve support member 173.

상기 밸브본체(110) 내에는 상기 상하 방향(Z축 방향)을 따라 관통홀(1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니들(171)은 상기 관통홀(182)에 삽입되어 상기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상기 슬리브(172)는 상기 니들(171)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The through-hole 182 is formed in the valve body 110 along the up-down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the needle 17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182 to the up-down direction (Z-axis direction). Move straight to). The sleeve 172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needle 171.

상기 구동부(180)는 다이아프램의 원리를 이용하여 구동하며, 다이아프램(178), 제1외부 케이스(183) 및 캡(188)을 포함한다. 상기 제1외부 케이스(183)는 상기 밸브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다이아프램(178)과 상기 제1외부 케이스(183) 사이의 공간은 상부 압력실(186)이다. 상기 상부 압력실(186) 내에는 감온 가스가 동봉되고, 상기 상부 압력실(186)은 밀폐부재(179)에 의하여 밀폐된다. 상기 캡(188)이 상기 제1외부 케이스(183)를 덮도록 배치된다.The driving unit 180 is driven using the principle of a diaphragm, and includes a diaphragm 178, a first outer case 183, and a cap 188. The first outer case 183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valve body 110. The space between the diaphragm 178 and the first outer case 183 is the upper pressure chamber 186. A temperature-sensitive gas is enclosed in the upper pressure chamber 186, and the upper pressure chamber 186 is sealed by the sealing member 179. The cap 188 is disposed to cover the first outer case 183.

상기 다이아프램(178)의 하부 압력실(189)은 스토퍼(176)가 설치된다. 상기 니들(171)은 상기 스토퍼(176)에 고정되어, 상기 다이아프램(178)의 움직임이 니들(171)을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제2외부 케이스(184)가 상기 밸브 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홀 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외부 케이스(183)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 압력실(189)을 한정한다.The lower pressure chamber 189 of the diaphragm 178 is provided with a stopper 176. The needle 171 is fixed to the stopper 176, the movement of the diaphragm 178 linearly moves the needle 17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outer case 184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outer case 183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pening hol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valve body 110 to define the lower pressure chamber 189.

상기 제3포트(113)를 통하여 상기 증발기(80) 출구로부터 냉매가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냉매가 상기 하부 압력실(189)을 통하여 상기 상부 압력실(186) 내의 감온 가스의 온도를 변화시키고, 상기 감온 가스의 온도 변화에 의하여 상기 다이아프램(178)이 움직인다. 상기 다이아프램(178)의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슬리브(172)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교축 유로(181)의 개도가 조절된다.The refrigerant flows in from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80 through the third port 113. The introduced refrigerant changes the temperature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gas in the upper pressure chamber 186 through the lower pressure chamber 189, and the diaphragm 178 moves by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temperature sensitive gas. As the sleeve 172 moves by the movement of the diaphragm 178, the opening degree of the throttle passage 181 is adjusted.

상기 제1브래킷(120)은 제1플레이트부(121) 및 제2플레이트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부(121)에는, 상기 제1측면(146)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압축기 입구배관(164)이 관통되어 끼워진다.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164)의 전방부는 상기 제4포트(114)에 삽입되며, 상기 제2측면(147)의 외측 방향(Y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부(122)는, 상기 제1플레이트(121)부로부터 (-)Y 방향으로 일체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전방에 형성된 슬릿(122a)에 응축기 출구배관(161)이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제1브래킷(120)의 측면은 "L"자 형상을 가진다.The first bracket 120 includes a first plate portion 121 and a second plate portion 122. The first plate part 121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side surface 146, and the compressor inlet pipe 164 is inserted therethrough. The front part of the compressor inlet pipe 164 is inserted into the fourth port 114 and extends in the outward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second side surface 147. The second plate portion 122 is integrally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rst plate 121 portion in the negative (-) Y direction, and 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is fitted into the slit 122a formed at the front side. Therefore,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120 has a "L" shape.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61)은, 삽입부(161a), 연장부(161b) 및 절곡부(161c)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61a)는 상기 제1포트(111)에 상 방향(Z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연장부(161b)는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164)의 연장 방향(Y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절곡부(161b)는 상기 삽입부(161a) 및 상기 연장부(161b)를 연결하며, 상기 연장부(161b)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의 유동 방향((-)Y방향)을 상기 상 방향(Z방향)으로 변경하여 상기 삽입부(161a)로 유출시킨다. 상기 삽입부(161a), 상기 연장부(161b) 및 상기 절곡부(161c)는 일체 구조를 가진다.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161a, an extension portion 161b and a bent portion 161c. The insertion portion 161a is inserted into the first port 111 in the upward direction (Z direc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161b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extension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compressor inlet pipe 164. do. The bent portion 161b connects the insertion portion 161a and the extension portion 161b, and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extension portion 161b ((-) Y direction) in the upper direction (Z). Direction) to flow into the insertion portion 161a. The insertion part 161a, the extension part 161b and the bent part 161c have an integral structure.

상기 밸브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교축유로(181)와 상기 제1포트(111)를 연통시키는 내부 유로(19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유로(190)는 제1유로부(191) 및 제2유로부(19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유로부(191)는 상기 제1포트(111)와 연통되며 상기 상 방향(Z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유로부(192)는 상기 제1유로부(19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측면(147)의 내측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1포트(111)를 통하여 상기 상 방향(Z방향)으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내부 유로(190)를 거치면서 상기 내측 방향((-)Y 방향)으로 유동 방향이 변경된 후, 상기 교축 유로(181) 내로 유입된다. 비록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제2유로부(192)는 외측 방향(Y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제2측면(147)에 정지홀(stop up a hole)(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정지홀(미도시)은 상기 제2유로부(192)를 형성하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형성되며, 상기 정지홀(미도시)은 상기 제1플레이트부(121)에 의하여 밀폐된다.An internal flow passage 190 for communicating the throttle flow passage 181 and the first port 111 is formed in the valve body 110. The inner flow passage 190 includes a first flow passage portion 191 and a second flow passage portion 192. The first flow path part 191 communicates with the first port 111 and extends in the upward direction (Z direction), and the second flow path part 192 extends from the first flow path part 191. The second side surface 147 extends in the inward direction ((-) Y direction). Therefore,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upper direction (Z direction) through the first port 111 is changed in the inward direction ((-) Y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inner passage 190, and then, It is introduced into the throttle passage 181.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flow path part 192 may further extend in an outward direction (Y direction), so that a stop up a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ide surface 147. have. The stop hole (not shown) is inevitably formed to form the second flow path part 192, and the stop hole (not shown) is sealed by the first plate part 121.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164)의 전방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1플랜지부(16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플랜지부(164a)는 상기 제2측면(147)과 상기 제1플레이트부(12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161a)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2플랜지부(161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플랜지부(161d)가 상기 제2플레이트부(122)와 상기 제2하면부(1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A first flange portion 164a is formed at a front portion of the compressor inlet pipe 164 so as to protrude in a radial direction, and the first flange portion 164a has the second side surface 147 and the first plate portion. Disposed between 121. In addition, a second flange portion 161d is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161a to protrude in a radial direction,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161d is formed by the second plate portion 122 and the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 142).

와셔(195)가 상기 삽입부(161a)에 끼워진다. 상기 와셔(195)는 상기 제2플랜지부(161d)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12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와셔의 하면(195a)은 상기 제2플레이트부(122)를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의 측면(122a)도 상기 와셔의 하면(195a)에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A washer 195 is fitted to the insertion portion 161a. The washer 195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lange portion 161d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122. The lower surface 195a of the washer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facing the second plate portion 122, and the side surface 122a of the second plate is also inclin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195a of the washer. .

상기 팽창밸브(100)는 제1체결수단 및 제2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체결수단으로서 제1체결볼트(150)가 이용된다. 상기 제1체결??트(150)는 상기 제1플레이트부(121)를 관통하여 상기 제2측면(147)에 나사 고정된다. 이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부(121)가 상기 제1플랜지부(164a)를 가압하여,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164)이 상기 밸브본체(11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부(122)가 상기 제2플랜지부(161d)를 가압하여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61)을 상기 밸브본체(110)에 고정한다. 이 때, 상기 제2플레이트의 측면(122a)이 상기 와셔의 하면(195a)을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와셔(195)가 상기 제2플랜지부(161d)를 상기 상 방향(Z방향) 및 상기 내측 방향((-)Y방향)으로 민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61)이 상기 밸브본체(11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된다.The expansion valve 100 includes a first fastening means and a second fastening means. The first fastening bolt 150 is used as the first fastening means. The first fastening plate 150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plate portion 121 and is screwed to the second side surface 147. From this, the first plate portion 121 pressurizes the first flange portion 164a so that the compressor inlet pipe 164 is fixed to the valve body 110. In addition, the second plate portion 122 pressurizes the second flange portion 161d to fix 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to the valve body 110. At this time, since the side surface 122a of the second plate presses the lower surface 195a of the washer, the washer 195 moves the second flange portion 161d in the upper direction (Z direction) and the inner side. Push in direction ((-) Y direction). Therefore, 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is more stably fixed to the valve body 110.

상기 제2브래킷(130)에는 증발기 입구배관(162) 및 증발기 출부배관(163)이 상기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관통 삽입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162)의 전방부는 상기 제2포트(112)에 삽입되며, 상기 증발기 출구배관(163)의 전방부도 상기 제3포트(113)에 삽입된다.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163)의 전방부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제3플랜지부(16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기 출구배관(163)의 전방부에도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제4플랜지부(16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플랜지부(162a) 및 상기 제4플랜지부(163a)는 상기 제2브래킷(130)과 상기 제1측면(146) 사이에 위치한다.The evaporator inlet pipe 162 and the evaporator outlet pipe 163 are inserted through the second bracket 130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The front part of the evaporator inlet pipe 16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ort 112, and the front part of the evaporator outlet pipe 163 is also inserted into the third port 113. The front portion of the evaporator inlet pipe 163 is formed with a third flange portion 162a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the fourth flange portion 163a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also in the front portion of the evaporator outlet pipe 163. Is formed. The third flange portion 162a and the fourth flange portion 163a ar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bracket 130 and the first side surface 146.

상기 제2체결수단으로서 제2체결볼트(155)들이 이용된다. 상기 제2체결??트(155)들은 상기 제2브래킷(130)을 관통하여 상기 제1측면(146)에 각각 나사 고정된다. 이로부터, 상기 제2브래킷(130)이 상기 제3플랜지부(162a) 및 상기 제4플랜지부(163a)를 가압하여,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162) 및 상기 증발기 출구배관(163)이 상기 밸브본체(110)에 고정된다.Second fastening bolts 155 are used as the second fastening means. The second fastening bolts 155 are screwed to the first side surface 146 through the second bracket 130, respectively. From this, the second bracket 130 pressurizes the third flange portion 162a and the fourth flange portion 163a, so that the evaporator inlet pipe 162 and the evaporator outlet pipe 163 are the valve. It is fixed to the body 110.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들이, 상기 제1포트(111)와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61), 상기 제2포트(112)와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162), 상기 제3포트(113)와 상기 증발기 출구배관(163), 및 상기 제4포트(114)와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164)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Sealing members such as O-rings, the first port 111 and 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the second port 112 and the evaporator inlet pipe 162, the third port 113 and the evaporator outlet. The pipe 163 is interposed between the fourth port 114 and the compressor inlet pipe 164.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브래킷(120)의 길이가 상기 L-타입 팽창밸브(1)의 제1브래킷(15)(도 1 참조)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61) 내의 냉매는 액상이기 때문에,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61)의 직경이 작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161)을 고려하더라도, 상기 팽창밸브(100)의 길이가 종래에 비하여 크게 감소될 수 있어서, 상기 팽창밸브(100)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Referring to FIG. 4, the length of the first bracket 120 may be shorter than that of the first bracket 15 (see FIG. 1) of the L-type expansion valve 1. In addition, since the refrigerant in 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is a liquid phase, the diameter of 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is small. Therefore, even when considering 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the length of the expansion valve 100 can be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the expansion valve (100).

상기 응축기 출부배관(161)으로부터 상기 제1포트(111)로 유입되는 냉매는 액상의 냉매로서, 내부에는 버블들이 포함되어 있다. 만일, 상기 교축 유로(181) 상에서 상기 액상의 냉매가 팽창되는 동안 상기 버블들이 터질 경우, 소음이 크게 발생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포트(111)로 유입된 액상의 냉매 내의 버블들이 상기 내부 유로(190)를 거치면서 터지거나 미세화된다. 즉, 상기 내부 유로(190)에는 냉매의 유동 방향이 변경되어 상기 냉매가 1차적인 압력 손실을 가질 뿐만 아니라, 버블들이 상기 내부 유로(190)의 내벽에 부딪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냉매 중에서 버블이 대부분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냉매가 상기 교축 유로(181)를 지나기 때문에, 상기 버블이 터지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감소된다.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port 111 from the condenser outlet pipe 161 is a liquid refrigerant, and bubbles are included therein. If the bubbles burst while the liquid phase refrigerant is expanded on the throttle passage 181, noise is greatly generated. Howev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bubbles in the liquid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port 111 may burst or become fine while passing through the inner flow passage 190. That is, because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is changed in the inner flow passage 190 so that the refrigerant not only has a primary pressure loss but also bubbles collide with the inner wall of the inner flow passage 190. Therefore, since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throttle passage 181 in the state where most of the bubbles are removed from the refrigerant, noise generated when the bubble bursts is reduced.

또한, 상기 제1포트(111)로 유입된 액상의 냉매가 상기 내부 유로(190) 및 상기 교축 유로(181) 상에서 연속적으로 팽창되기 때문에, 상기 교축 유로(181)를 지나치게 좁게 설계할 필요가 없다. 즉, 설계자가 상기 내부 유로(190)의 구조를 기존 설계 변수에 추가하여 상기 팽창밸브(100)를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자의 설계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In addition, since the liquid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port 111 continuously expands on the inner flow passage 190 and the throttle flow passage 181, it is not necessary to design the throttle flow passage 181 too narrowly. . That is, since the designer can design the expansion valve 100 by adding the structure of the inner flow passage 190 to the existing design variable, the design convenience of the designer is greatly improved.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본체(1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기둥 형상을 가진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밸브본체(110)는 직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밸브본체(110)의 측면 중 일부는 평면 형상을 가지고, 일부는 원호 형상을 가지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밸브본체(110)가 원기둥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제1,2,3,4포트들(111, 112, 113, 114)이 형성된 부분이 평면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alve body 110 has a rectangular pillar shape as a who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valve body 110 may have a polygonal pillar shape other than a rectangle, or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som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valve body 110 may have a planar shape, and some may have a structure having an arc shape. In addition, when the valve body 110 has a cylindrical shape, a portion where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orts 111, 112, 113, and 114 are formed may have a planar structur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110: 밸브본체 111: 제1포트
112; 제2포트 113: 제3포트
114: 제4포트 120: 제1브래킷
130: 제2브래킷 140: 하면
150: 체1체결부재 155: 제2체결부재
161: 응축기 출구배관 162: 증발기 입구배관
163: 증발기 출구배관 164: 압축기 입구배관
180: 구동부 185: 밸브부
190: 내부 유로 195: 와셔
100: expansion valve for vehicle air conditioner
110: valve body 111: first port
112; Port 2 113: Port 3
114: fourth port 120: first bracket
130: second bracket 140: lower surface
150: the first fastening member 155: the second fastening member
161: condenser outlet pipe 162: evaporator inlet pipe
163: evaporator outlet piping 164: compressor inlet piping
180: drive portion 185: valve portion
190: inner euro 195: washer

Claims (20)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시켜서 증발기에 공급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어 압축기로 유출되는 냉매에 의하여 개도가 제어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에 있어서,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1포트, 제1측면에 형성되며 교축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제2포트, 상기 제1측면에 상기 제2포트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도의 제어를 위하여 상기 증발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3포트, 및 제2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포트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유출되는 제4포트를 구비하는 밸브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 which a refrigerant flowing from a condenser is throttled and supplied to an evaporator, and the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by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evaporator and flowing out to the compressor.
The first por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from the condenser, the second port is formed on the first side, and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ort on the first side, the opening The air of the vehicle comprising a valve body having a third port for the refrigerant flow from the evaporator for the control, and a fourth port formed on the second side 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third port flows out to the compressor Expansion valve for conditio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의 횡단면은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of the valve bod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의 횡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the valve bod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1포트로 유입된 냉매가 교축되며, 개도가 조절되는 교축 유로와,
상기 제1포트와 연통되어, 상기 제1포트로 유입된 냉매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교축 유로로 유출하는 내부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Inside the valve body,
A coolant flowing into the first port is throttled and a throttle flow path of which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And an internal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port and configured to change a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first port and to flow out of the throttle flow passag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교축 유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포트를 통하여 상 방향으로 유입되는 냉매가, 상기 내부 유로 내에서 내측 방향으로 유로가 변경되어, 상기 교축 유로로 유출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throttle passage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 which a refrigerant flowing upward through the first port is changed in an inner direction in the inner passage and flows out into the throttle passag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4포트로 냉매가 유출되는 방향과 상기 내측 방향은 서로 평행하며, 상기 제4포트는 상기 내부 유로의 상부에 위치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refrigerant flows out to the fourth port and the inward direction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fourth port is positioned above the inner flow path.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로는,
상기 제1포트와 연통되며 상기 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유로부; 및
상기 제1유로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유로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of claim 6,
The internal flow path is
A first flow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port and extending in the upward direction; And
An expansion valve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second passa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assage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inward direc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부는 외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제2측면에 정지홀(stop up a hole)이 형성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second passage portion further extends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stop valve is form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expansion valve for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에 삽입되는 응축기 출구배관;
상기 제4포트에 삽입되는 압축기 입구배관;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 및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을 상기 밸브본체에 거치하는 제1브래킷; 및
상기 제1브래킷을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하는 제1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denser outlet pipe inserted into the first port;
A compressor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fourth port;
A first bracket for mounting the condenser outlet pipe and the compressor inlet pipe to the valve body; And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first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first bracket to the valve body.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면이, 제1하면부 및 상기 제1하면부 보다 높게 위치하는 제2하면부를 구비하는 단차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포트는 제2하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은 서로 인접하는 측면인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The valve body has a rectangular pillar shape as a whole,
The lower surface has a stepped structure having a first lower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lower surface portion,
The first port is formed in the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wherein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are adjacent to each oth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은,
상기 제1포트에 상방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삽입부로 유출시키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The compressor inlet pipe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ondenser outlet pipe,
An insertion part inserted upwardly into the first port;
An extension part extending in parallel with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mpressor inlet pipe; And
Expansion valve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bent portion for chang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extension portion to the insertion porti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래킷은,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이 관통되어 끼워지는 제1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이 끼워지는 제2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bracket,
A first plate part through which the compressor inlet pipe is inserted; And
And a second plate portion which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rst plate portion and into which the condenser outlet pipe is fitted.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부는 상기 제2하면부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의 전방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1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랜지부가 상기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브래킷이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되면, 상기 제1플레이트부가 상기 제1플랜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을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first flange portion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compressor inlet pipe to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When the first flange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side surface, and the first bracket is fixed to the valve body by the first fastening means, the first plate portion is attached to the first flange portio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to pressurize to fix the compressor inlet pipe to the valve body.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의 삽입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2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플랜지부가 상기 제2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하면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브래킷이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되면, 상기 제2플레이트부가 상기 제2플랜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을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second flange portion is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condenser outlet pipe to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When the second flange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first bracket is fixed to the valve body by the first fastening means, the second plate portion is attached to the second flange portio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to pressurize to fix the condenser outlet pipe to the valve body.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끼워지되, 상기 제2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레이트부 사이에 배치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and further comprises a wash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lange portion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와셔의 하면은 상기 제2플레이트부를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의 측면도 상기 와셔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브래킷이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되면, 상기 제2플레이트부가 상기 와셔를 상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을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The lower surface of the washer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facing the second plate portion,
The side of the second plate is also inclin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er, and when the first bracket is fixed to the valve body by the first fastening means, the second plate portion moves the washer upward and inward.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to pressurize to fix the condenser outlet pipe to the valve body.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수단은 상기 제1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측면에 나사 고정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7, wherein
And said first fastening means includes a fastening bolt that is screwed to said second side surface through said first plate portion.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를 교축시켜서 증발기에 공급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어 압축기로 유출되는 냉매에 의하여 개도가 제어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기둥 형상을 가지며,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1포트, 제1측면에 형성되며 교축된 냉매가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제2포트, 상기 제1측면에 상기 제2포트의 상부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개도의 제어를 위하여 상기 증발기로부터 냉매가 유입되는 제3포트, 및 상기 제1측면에 인접한 제2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포트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유출되는 제4포트를 구비하는 밸브본체;
상기 제2포트에 삽입되는 증발기 입구배관;
상기 제3포트에 삽입되는 증발기 출구배관;
상기 제4포트에 삽입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축기 입구배관;
상기 제1포트에 상방으로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삽입부로 유출시키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응축기 출구배관;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 및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을 상기 밸브본체에 거치하되,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이 관통되어 끼워지는 제1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1플레이트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이 끼워지는 제2플레이트부를 구비하는 제1브래킷;
상기 증발기 입구배관 및 상기 증발기 출구배관을 상기 밸브본체에 거치하는 제2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을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하는 제1체결수단; 및
상기 제2브래킷을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하는 제2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이, 제1하면부 및 상기 제1하면부 보다 높게 위치하는 제2하면부를 구비하는 단차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포트는 상기 제2하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부는 상기 제2하면부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An expansion valve for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 which a refrigerant flowing from a condenser is throttled and supplied to an evaporator, and the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by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evaporator and flowing out to the compressor.
It has a generally rectangular columnar shap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ort and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condenser, the second port is formed on the first side and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evaporator, the second port on the first side A third port spaced apart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third port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from the evaporator, and a second side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third port flows out to the compressor for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A valve body having a fourth port to be provided;
An evaporator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second port;
An evaporator outlet pipe inserted into the third port;
A compressor inlet pipe inserted into the fourth port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upwardly into the first port,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parallel with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mpressor inlet pipe, and a bent portion for changing a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flowing from the extension portion and flowing out to the insertion portion; Condenser outlet piping;
Mounting the condenser outlet pipe and the compressor inlet pipe to the valve body, the first plate portion through which the compressor inlet pipe is inserted, and bent and extended from the first plate portion, the first condenser outlet pipe is fitted A first bracket having a two plate portion;
A second bracket for mounting the evaporator inlet pipe and the evaporator outlet pipe to the valve body;
First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first bracket to the valve body; And
A second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second bracket to the valve body;
The lower surface has a stepped structure having a first lower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lower surface portion,
The first port is formed in the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4포트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2포트와 상기 제3포트 사이의 간격보다 크고,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의 전방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1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의 삽입부에도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제2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부가 상기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플랜지부가 상기 제2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하면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체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브래킷이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되면, 상기 제1플레이트부가 상기 제1플랜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압축기 입구배관을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부가 상기 제2플랜지부를 가압하여 상기 응축기 출구배관을 상기 밸브본체에 고정하며,
상기 제1체결수단은 상기 제1플레이트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측면에 나사 고정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The method of claim 19,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port and the fourth port is great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second port and the third port,
A first flange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compressor inlet pipe so as to protrude radially, and a second flange portion is formed o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condenser outlet pipe so as to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first flange portion is formed on the first plate portion. And between the second side surface, the second flange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When the first bracket is fixed to the valve body by the first fastening means, the first plate portion presses the first flange portion to fix the compressor inlet pipe to the valve body,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is Pressurizing the second flange to fix the condenser outlet pipe to the valve body;
And said first fastening means includes a fastening bolt that is screwed to said second side surface through said first plate portion.
KR1020100015004A 2010-02-19 2010-02-19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KR201100955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004A KR20110095502A (en) 2010-02-19 2010-02-19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004A KR20110095502A (en) 2010-02-19 2010-02-19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502A true KR20110095502A (en) 2011-08-25

Family

ID=4493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004A KR20110095502A (en) 2010-02-19 2010-02-19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550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280B1 (en) Solenoid valve
JP7026979B2 (en) Expansion valve
JP2011241890A (en) Pilot operated solenoid valve
JP2011133139A (en) Expansion valve
WO2019000869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method
KR101077691B1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KR20030035992A (en) Expansion valve
JP2004257727A (en) Expansion valve
WO2019000868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10095502A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JP6063651B2 (en) Expansion valve
JP2011002140A (en) Expansion valve
KR20110108026A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KR20130134760A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WO2022227481A1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20190057735A (en) Outdoor unit for a gas heat-pump system
JP2012083078A (en) Refrigerator
KR20110101689A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KR20110092175A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CN111133240B (en) Expansion valve
JP2017072352A (en) Refrigerating device
JP6175628B2 (en) Expansion valve
KR101735181B1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KR20110109144A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KR20110102520A (en) Expansion valve for an air-conditioner of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