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826A - 길이 조절 가능한 폴 및 폴을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 가능한 폴 및 폴을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826A
KR20110107826A KR1020117017894A KR20117017894A KR20110107826A KR 20110107826 A KR20110107826 A KR 20110107826A KR 1020117017894 A KR1020117017894 A KR 1020117017894A KR 20117017894 A KR20117017894 A KR 20117017894A KR 20110107826 A KR20110107826 A KR 20110107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clamping device
lever
plastic materia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489B1 (ko
Inventor
클라우스 렌하르트
에버하르트 하임
Original Assignee
레키스포르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H00135/09A external-priority patent/CH700317A1/de
Application filed by 레키스포르트 아게 filed Critical 레키스포르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11010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21Ski-sticks telescopic, e.g. for varying the length or for damping sh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27Details;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0Telescoping systems
    • F16B7/14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 F16B7/1418Telescoping systems locking in intermediate non-discrete positions with a clamping collar or two split clamping rings tightened by a screw or a cammed latch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017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specific mounting means for attaching to rigid or semirigid supporting structure or structure-to-be-secur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467Telesco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핑 장치의 개구 내로 삽입될 수 있는 파이프부(3)를 착탈가능하게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하이킹 폴, 트레킹 폴, 노르딕 웍킹 폴 또는 크로스 컨트리 스킹 폴을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1)에 있어서, 적어도 축방향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직접적으로 상기 파이프부(3)를 둘러싸고 있고, 상기 파이프부(3)를 폐쇄된 상태로 클램핑하는 플라스틱 칼라(5)를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 칼라(5)는, 상기 파이프부(3)를 둘러싸는 영역(5b)에서, 하나 이상의 축방향 슬롯(6, 15)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축방향 슬롯(6, 15)은, 상기 영역에서 변화될 수 있는 상기 플라스틱 칼라의 원주를 만들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나머지 축방향 영역(5a)에서 둘러싸는 디자인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돌출부(13, 14)는 상기 슬롯(6)의 양쪽에서 상기 플라스틱 칼라(5)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13, 14)는 동축 관통 개구(23)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개구(23)는 실질적으로 상기 파이프부(3)의 축(24)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 개구(23)를 통해, 횡방향 핀(11)이 관통되고 있고, 상기 횡방향 핀(11)은 상기 제2 돌출부(14)의 외부에 멈춤부(1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돌출부(13)의 외부에 클램핑 레버(4)를 위한 회전축(7)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축은 상기 횡방향 핀(11)의 축에 대해 직각으로 또한 상기 파이프부(3)의 축(24)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클램핑 레버(4)는, 상기 클램핑 장치(1)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플라스틱 칼라(5) 주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레버 암(9)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클램핑 레버(4)는 상기 회전축(7)에 대해 편심인 롤-로프(roll-off) 영역(8)을 가지고 있어, 상기 멈춤부(12)와, 클램핑을 위한 상기 제1 돌출부(13)의 외부에 배치된 카운터 표면(19) 사이의 거리가, 폐쇄 위치로 상기 클램핑 레버(4)를 피봇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고, 상기 카운터 표면(19)은, 상기 제1 돌출부(13) 내에, 오목부(1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금속 부재(16, 27)의 형태로 디자인되어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길이 조절 가능한 폴 및 폴을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LENGTH-ADJUSTABLE POLE AND CLAMPING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특히 하이킹 폴, 트레킹 폴, 노르딕 웍킹 폴(walking pole) 또는 (크로스 컨트리) 스키 폴로서 사용하기 위한 길이 조절 가능한 폴, 및 그러한 폴의 튜브부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하이킹 폴, 트레킹 폴, 노르딕 웍킹 폴 또는 (크로스 컨트리) 스키 폴이 가변 길이를 가지기 위해, 각각의 경우에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2개의 폴 형성 튜브부가 그들의 축방향 위치에 대해 다르게 세팅될 수 있게 하는 기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여러 가지 직경을 가진 2개의 튜브부가 통상적으로 사용되었고, 따라서 1개의 튜브는 조절 목적을 위해 다른 튜브 내로 밀릴수 있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위해, 클램핑 기구가 종래와 같이 폴 형성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디바이스가 있다. EP 1450906은 예를 들면, 내부 튜브에 고정되고 외부 튜브 내로 돌출되며, 내부 나사산을 가진 원추형 내부 부재가 장착되는 나사산 봉이 내부에 구비되는 디바이스를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내부 부재 주위에, 쌍을 이루는 원추를 가진 확산 부재가 배치되며, 쌍을 이루는 원추는, 회전되는 2개의 튜브부에 의해 내부 부재가 2개의 튜브부 내로 구동될 때, 2개의 튜브부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확산되어 분리된다.
다른 한편, 클립 방식으로 외부에 배치되는 디바이스가 있다. 예를 들면, DE 69401765는,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 및 클램핑 레버가 홈파인 튜브(slotted tube) 주위에 배치된 디바이스를 기술하고 있는데, 상기 디바이스에서, 클램핑 레버는, 슬리브에 배치된 돌출부를 관통하는 핀을 가지며, 접힐 수 있어, 클램핑 디바이스는 클램핑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의 경우에, 내부 튜브가 슬리브에 의해 직접 클램핑되기보다, 슬리브가 외부 튜브 상에 놓이고, 외부 튜브는 슬롯을 가지며, 다시 말해서, 클램핑 디바이스는 외부 튜브를 내부 튜브로 누른다. 기본적으로 동일한 디자인의 다른 클램핑 기구가 EP 098898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또 다른 외부 배치 디바이스가 EP 1217224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문헌은 마찬가지로 클램핑 디바이스를 가지는데, 그러나 이경우, 클램핑 디바이스는 폴 축에 대해 직각인 축 주위로 경사짐으로써 접힐 수 있고, 종래와 같이 포크형 디자인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엇보다도, 상술한 목적을 위한 향상된 클램핑 디바이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여기에서의 목표는, 특히, 단순한 디자인을 가지면서, 레버를 접기 위해 인가되는 낮은 레벨의 힘에 의해, 높은 클램핑력을 가지며, 여러 가지 다른 온도와, 얼음, 눈 및 먼지의 영향 하에서도 올바르게 작용하는 클램핑 디바이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이, 클램핑 장치의 개구 내로 밀려들어갈 수 있는 튜브부를 릴리스 가능한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하이킹 폴, 트레킹 폴, 노르딕 웍킹 폴(walking pole) 또는 (크로스 컨트리) 스키 폴을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에 있어서,
· 적어도 축방향 부분을 따라 기본적으로 상기 튜브부 주위에 직접 결합되어 있고, 상기 튜브부를 폐쇄된 상태로 클램핑하는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를 포함하며,
· 상기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는, 적어도 상기 튜브부 주위에 결합된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축방향 슬롯을 가지고 있고, 하나 이상의 상기 축방향 슬롯은, 상기 영역에서 변화될 수 있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의 원주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나머지 축방향 영역에서 둘러싸는 디자인을 가지고 있고,
·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슬롯의 양쪽에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상기 돌출부는 상기 튜브부의 축에 대해 기본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있음), 상기 돌출부는 동축 관통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관통 개구는 기본적으로 상기 튜브부의 축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 개구를 통해, 횡방향 핀이 결합되어 있고(2개의 상기 돌출부 사이의 슬롯은, 예를 들면 구부러지거나 모서리를 가진 디자인일 수 있거나 흙에 의해 더러워지지 어렵게 하는 복수의 턴(turn)을 가질 수 있지만, 선형 반경 방향 슬롯으로서 디자인될 수 있음),
· 상기 횡방향 핀은 상기 제2 돌출부의 외부에 멈춤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돌출부의 외부에 클램핑 레버를 위한 회전 핀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핀은 상기 횡방향 핀의 축에 대해 직각으로 또한 상기 튜브부의 축에 대해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 상기 클램핑 레버는, 상기 클램핑 디바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레버 암을 포함하며,
· 상기 클램핑 레버는 상기 회전 축 주위에 편심 롤링 영역(또는 슬라이딩 영역)을 가지고 있어, 상기 멈춤부와, 상기 제1 돌출부의 외부에 배치된 카운터 표면 사이의 거리가, 폐쇄 위치로 피봇되는 상기 클램핑 레버에 의해 클램핑 목적을 위한 롤링 영역에 의해 감소될 수 있고,
· 상기 카운터 표면은, 상기 제1 돌출부 내에, 오목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카운터 부재, 바람직하게 금속 부재의 형태로 디자인되어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를 제안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에서, 편심은, 롤링 영역과 관련하여, 롤링 영역의 반경이 레버의 회전 핀 주위로 일정하기보다, 주요 부분, 즉, 레버의 조절 영역과 관련하여, 롤링 영역이 카운터 표면 상에 놓이는 곳을 따라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클램핑 디바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즉 클램핑 레버가 클램핑 디바이스에 완전히 기댄 상태에서, 이러한 반경이 최대에 있어, 카운터 표면과 멈춤부 사이의 거리가 최소값을 가지고, 클램핑 디바이스가 개방된 상태에서, 즉, 클램핑 레버가 돌출된 상태에서, 반경이 낮은 값을 가져, 카운터 표면과 멈춤부 사이의 거리가 더 큰 값을 가져, 슬리브의 홈진 영역이 더 큰 내경을 가진다. 레버의 롤링 표면과 회전핀은 따라서 편심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핵심은, 무엇보다, 이러한 롤링 영역을 위한 베어링 표면 또는 카운터 표면으로서, 바람직하게 금속 부재 형태의 압력 대항(couterpressure)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롤링 영역을 위해 더 양호한 슬라이딩 성질을 얻고(롤링 영역은, 전체로서 클램핑 레버와 마찬가지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음), 카운터 표면과 롤링 영역은 모두 마모가 적게 되며, 돌출부 내의 추가적 적어도 부분적 리세스는 대체로, 카운터 표면을 형성하는 금속 부재가 흙으로 더렵혀지거나 해로운 조각이 될 수 있거나, 먼지가 중요 영역으로 관통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한다. 또한, 오목부 내의 배치는, 레버가 접힐 때, 더욱 양호한 안내를 확보하고, 더욱 심미적으로 만족스런 디자인이 얻어진다.
카운터 표면은 원리상, 기본적으로 클램핑 레버의 롤링 영역의 편심 영역의 최대 곡률반경에 대응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구부러진 표면으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제1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운터 표면은, 곡률 반경이 기본적으로 상기 롤링 영역의 곡률 반경에 적합한 오목면으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 표면은 바람직하게, 베어링 영역에서 평평한 표면으로서 디자인되며, 이것은, 카운터 표면이 금속 부재이기 때문에 지극히 낮은 마찰력을 발생시키지만, 둘러싸는 플라스틱 재료 영역에 압력이 매우 효율적으로 전달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매우 국부적인 힘의 결과로서, 카운터 표면을 종래기술에 따른 순수 플라스틱 재료 디자인에서 평평하게 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용이하게 가능하지 않지만, 이것은 금속 디자인의 경우에 매우 효율적 방식으로 가능하다.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는, 가능하게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로 이루어진 보강제를 가진,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특히 PA66),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공중합체(ABS), 또는 그러한 재료의 혼합물(블렌드) 또는 조합(2-성분)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는 바람직하게 그러한 재료로부터 단일 편으로 형성되고, 축방향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내부에, 특히 클램핑 영역에서, 특수 코팅 또는 스트립 또는 높은 마찰을 보이는 재료(고무 등)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삽입체를 가질 수 있다. 레버가 금속으로부터 생산될 수도 있지만, 그러한 플라스틱 재료로 단일 편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금속 레버에 형성되고 접착제로 부착된 플라스틱 재료 작동 영역을 가진 금속 레버도 가능하다. 횡방향 핀은 통상적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지지만, 매우 안정적인 플라스틱 재료(예를 들면, 유리 섬유 보강 재료 또는 탄소 섬유 보강 재료)로 생산될 수도 있다.
클램핑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금속 부재는 바람직하게 단일편 금속 밴드의 형태로 디자인되어 있고, 상기 단일편 금속 밴드는, 상기 돌출부에 대해 반대쪽에 위치된 측면에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단일편 금속 밴드의 제1 단부는, 오목부에서, 상기 롤링 영역을 향한 상기 제1 돌출부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단일편 금속 밴드는 상기 횡방향 핀을 위한 제1 애퍼처 또는 관통 개구를 가지고 있다. 상기 단일편 금속 밴드의 중앙 영역은, 바람직하게 둘러싸는 오목부에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 주위에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단일편 금속 밴드의 제2 단부는, 오목부에서, 상기 멈춤부를 향한 상기 제2 돌출부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단일편 금속 밴드는 상기 횡방향 핀 및/또는 멈춤 부재를 위한 제2 애퍼처 또는 관통 개구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클램핑 디바이스에 슬리브를 위한 플라스틱 재료의 통상적인 사용의 한 가지 문제는, 플라스틱 재료가 여러 가지 온도에서 크기가 매우 크게 다르다는 것이다. 이것은 클램핑력에 직접적 효과를 가지고, 예를 들면 저온에서 견고하게 클램핑되는 디바이스는 태양복사를 받을 때 릴리스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위험성을 가질 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는 또한, 무시할 수 없는 팽창 계수를 가지며, 따라서 클램핑력을 저하시키는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또한, 빈번한 사용에 따라, 플라스틱 재료는 서서히 신장되어, 가능한 클램핑력이 감소되거나 지속적인 리셋팅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이들 모든 문제는, 기본적으로 인가된 클램핑력을 위해 중요한 슬리브의 원주방향 영역이 그러한 금속 밴드에 의해 둘러싸여, 이러한 영역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부정적 성질이 전과 같이 중화되면, 극복될 수 있다. 이것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가능한 것보다 훨씬 더 안정하고 강화된 클램핑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클램핑 디바이스 전체를 금속 재료로 생산하는 것을 피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금속 밴드는 1 내지 20mm, 바람직하게 2 내지 10mm, 특히 바람직하게 3 내지 7mm의 폭을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 0.1 내지 2mm, 특히 바람직하게 0.25 내지 1.5mm의 두께를 가지고 있고, 상기 금속 밴드는 특히 바람직하게 경화 강철, 스테인레스강 또는 스프링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높은 인장 저항력을 가진, 가능하게 섬유 보강을 가진 플라스틱 재료를 생각할 수도 있다.
금속 부재는 원리상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강철로부터 생산되거나 표면 경화 강철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경화 알루미늄 또한 가능하다.
레버는 원칙적으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으로 구성된다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강철로부터 생산되거나 표면 경화 강철(특히 롤링 영역에서 경화됨)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레버가 금속으로 구성되면, 특수 인공공학적 형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성형된 플라스틱 재료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그러한 부재를 파지하기 용이한 재료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플라스틱 재료 영역은 사출성형 또는 조립 동안에 금속 레버에 장착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금속 부재는 카운터 표면의 양쪽에 각각의 관통 개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카운터 표면은 상기 관통 개구들 사이에 위치된 횡방향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횡방향 핀은 그 클램핑 레버 단부에 포크 모양으로 디자인되어 있고, 2개의 포크 암은 상기 관통 개구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핀은 상기 포크 암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포크 암을 연결하고 있고, 상기 클램핑 레버의 상기 롤링 영역은, 상기 클램핑 레버가 피봇될 때, 상기 횡방향 부재 상에서 연장되도록 상기 포크 암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적어도 서로 (마찰) 접촉되는 영역(특히 레버의 금속 디스크, 횡방향 부재, 및 롤링 영역)이 경화 재료로 생산되거나 특히 경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크 암을 위한 이들 관통 개구가 예를 들면 서로 반대로 위치된 반달형 구멍으로서 디자인되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통상적으로 평평한 횡방향 부재에 매우 국부적으로 인가되지만 금속 부재의 환형 원주방향 표면을 따라 양호하게 분포될 수 있는 힘이, 낮은 마찰을 가지면서 매우 높은 클램핑력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실시예는 통상적으로, 상기 금속 부재는 원형 디스크의 형태로 디자인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 핀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돌출부 내의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금속 부재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 부재의 두께는 0.5 내지 3mm, 바람직하게 1 내지 2mm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오목부의 두께는 3 내지 10mm, 바람직하게 5 내지 8mm의 범위에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횡방향 핀은 그 클램핑 레버 단부에서 T자형 디자인을 가지고 있고, 측방향 암은 상기 클램핑 레버를 위한 상기 회전핀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클램핑 레버는, 상기 횡방향 핀을 위해, 상기 롤링 영역을 상기 횡방향 핀의 측부에 배치된 2개의 롤링 영역으로 분할하는 슬롯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중량 감소의 목적을 위해, 회전핀 및 동등하게 횡방향 핀이 천공되거나 중공 디자인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단일 슬롯이 2개의 돌출부 사이에만 구비되고, 슬리브의 나머지는 둘러싸는 디자인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히 비교적 큰 조절 영역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어떤 경우에, 상기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는, 그 상부 부분에, 2개 이상, 바람직하게 3개 이상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슬롯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슬롯중 1개 이상은 상기 2개의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슬롯들은 바람직하게 상기 원주 주위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면,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멈춤부는 조절 가능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즉, 카운터 표면과 멈춤부 사이의 최소 거리가 요구사항에 적응하여 가변 방식으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리셋팅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여러 가지 온도, 여러 가지 클램핑력에 대해 높은 이점을 가지거나, 또한 특히 마모가 존재하는 때에도 높은 이점을 가진다. 또한, 따라서, 예를 들면 허용오차 또는 여러 가지 코팅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여러 가지 튜브 직경을 보상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상기 멈춤부 또는 멈춤 부재는 나사산을 가지도록 디자인되고, 상기 횡방향 핀은, 상기 멈춤부 또는 멈춤 부재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대응하는 쌍을 이루는 나사산을 가지도록 디자인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멈춤부는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 손으로 조정하기 위한 둘러싸는 치형부를 가진 너트 또는 (조절) 스크루[예를 들면, 깔쭉이(knurled) 너트, 깔쭉이 스크루] 및/또는 조절 툴의 결합을 위한 리지(ridge) 및/또는 홈으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여기에서, 안전조치가 너트 또는 (조절) 스크루를 통한 재조절을 가능하게 하지만, 레버의 사용 또는 이동 동안에 횡방향 핀으로부터 멈춤부의 의도하지 않은 릴리스에 대한 안전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클램핑 디바이스는, 외부 튜브의 일부를 수용 및 고정하는 목적을 위해, 상기 축방향 영역의 나머지, 즉 클램핑이 일어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튜브는, 상기 튜브부의 외경과 기본적으로 같거나 약간만 큰 내경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2개의 상기 돌출부 내의 상기 관통 개구는, 주위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2 내지 7mm의 범위에 있는 직경을 가진 구멍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횡방향 핀의 직경은, 상기 관통 개구를 관통하는 영역에서, 2 내지 6mm의 범위에 있다.
특히 예를 들면 물체 또는 신체의 일부와 접촉시의 의도하지 않은 릴리스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레버 암은, 상기 클램핑 디바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 내의 오목부 또는 채널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 기본적으로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내부 튜브는, 튜브부의 내부에 배치된 클램핑 디바이스가 장착되지 않으면, 바람직하게 그 단부에 안내 부재(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억지끼워맞춤 및/또는 재료 부착에 의해 삽입 및 고정된 볼록 단부 멈춤부)를 가진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파지 오목부가 나머지 축방향 영역의 한쪽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튜브부 주위에 결합되는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의 영역이 변할 수 있게 하는 슬롯은 바람직하게, 추가적으로, 둘러싸는 나머지 축방향 영역에 인접한 존에, 슬롯 연장부, 바람직하게 축방향 슬롯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슬롯 연장부를 가진다. 이러한 슬롯 연장부는, 바람직하게 축방향 슬롯과 함께, 기본적으로 T자형 디자인을 가지며, 10 내지 90°의 범위, 바람직하게 20 내지 50°의 범위에서 슬리브의 원주 주위로 연장된다.
멈춤부는 바람직하게, 제2 돌출부의 어깨부에 놓이는 광폭부, 및 내부 나사산을 가진 테이퍼부를 가진 너트의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러한 너트를 예를 들면 전체로서 금속 또는 세라믹 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또한 바람직하게, 이러한 너트의 관통 개구 내에 존재하는 둘러싸는 리세스의 내부에, 너트와 결합되는 (횡방향 핀의) 외부 나사산과 함께,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마찰의 레벨을 확실하게 하기에 충분히 두꺼운 O-링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너트는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생산될 수도 있는데, 플라스틱 재료는 그 내부로 눌려진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사산 삽입부를 가지거나, 사출성형 동안에 그 내부에 매립된 금속으로 이루어진 그러한 나사산 삽입부를 가진다. 여기에서, 너트의 관통 개구의 축방향 영역에서, 관통 개구의 주변 영역이 나사산 삽입부에 의해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서, 플라스틱 재료가, 외부 나사산에 대한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부의 마찰에 의해 너트의 회전이 방지될 정도로, 관통 개구 내로 돌출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레버 암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싸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오목부 내에, 슬리브가 폐쇄될 때, 레버 암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상태로 종료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바람직하게 금속으로 이루어진 횡방향 핀이, 외부 나사산을 가진 제1 부분을 가지며, 이러한 제1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너트의 내부 나사산과 결합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 부분에 인접하여,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어, 횡방향 핀은, 평탄부, 즉, 단면 표면 영역이 원형이 아니고 또한 임의의 외부 나사산을 가지지 않는 부분을 가진다. 이러한 제2 부분은 바람직하게, 횡방향 핀의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레버의 축방향 핀을 위한 관통 개구를 포함한다. 중량을 감소시키는 목적을 위해, 하나 이상의 추가적 보어가, 예를 들면 축방향 핀을 위한 상술한 관통 개구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이러한 제2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부분의 길이는, 이러한 제2 부분이 레버의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에서 금속 부재의 대응 관통 개구에 결합되도록, 선택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금속 플레이트 형태이며,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 1 내지 3mm 범위의 두께를 가지고, 및/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진 금속 부재가 제1 돌출부 내의 대응 오목부 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장부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금속 부재가 횡방향 핀을 위한 기다란 관통 개구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단면 방향 개구는,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 상술한 횡방향 핀의 제2 부분의 단면 표면 영역에 적응되거나 약간만 크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바람직하게 2개 이상의 튜브부 또는 3개 이상의 튜브부의 길이 조절을 위한, 상술한 클램핑 디바이스를 가진 폴, 특히 하이킹 폴, 트레킹 폴, 노르딕 웍킹 폴 또는 (크로스 컨트리) 스키 폴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클램핑 디바이스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확산 부재를 가진 클램핑 디바이스가 상기 튜브부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핑 디바이스는, EP 1 450 906에 설명된 바와 같은 내부 클램핑 디바이스일 수 있다.
추가적 실시예는 종속항에 기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실시예는 단순히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지,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않 된다.
도 1a와 도 1b는 클램핑 기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1a의 (a) 내지 (d)는 (e)의 적절한 화살표의 방향에서 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e)는 위로부터 본 도면이며, (f)는 아래로부터 본 도면이고, (g)는 (a)의 평면(A-A)을 따른 단면도이고, (h)는 위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여기에서 동일한 클램핑 기구가 도 1b의 (i) 내지 (n)에 개방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고, (i)는 a)의 방향으로 본 도면이며, (k)는 d)의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l)은 위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m)은 위로부터 본 도면이고, (n)은 (i)에 따른 평면(B-B)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클램핑 기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3개의 축방향 슬롯을 가지며, (a)는 a)의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b)는 b)의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c)는 개방 상태의 사시도이고, (d)는 폐쇄 상태에서 위로부터 본 도면이며, (e)는 폐쇄 상태에서 아래로부터 본 도면이고, (f)는 (a)의 평면(A-A)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3 실시예를, 도 1a의 (a)와 도 2의 (a)에 따른 평면(A-A), 및 도 1b의 (i)의 평면(B-B)을 따른 2개의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는데, (a)는 폐쇄 상태를 도시하고, (b)는 개방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제4 실시예를, 도 1a의 (a)와 도 2의 (a)에 따른 평면(A-A), 및 도 1b의 (i)의 평면(B-B)을 따른 2개의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는데, (a)는 폐쇄 상태를 도시하고, (b)는 개방 상태를 도시한다.
도 5a와 도 5b는 클램핑 기구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5a의 (a) 내지 (d)는 (e)의 적절한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고, (e)는 위로부터 본 도면이며, (f)는 아래로부터 본 도면이고, (g)는 (a)의 평면(A-A)을 따른 단면도이고, (h)는 위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여기에서 동일한 클램핑 기구가 도 5b의 (i) 내지 (n)에 개방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고, (i)는 a)의 방향으로 본 도면이며, (k)는 d)의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l)은 위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m)은 위로부터 본 도면이고, (n)은 (i)에 따른 평면(B-B)을 따른 단면도이며, (o)는 레버의 축을 통하여 도 5a의 (g)의 지면에 대해 직각으로 취한 단면도이고, (p)는 금속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클램핑 기구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6a의 (a) 내지 (d)는 (e)의 적절한 화살표의 방향으로 본 측면도이고, (e)는 위로부터 본 도면이며, (f)는 아래로부터 본 도면이고, (g)는 (d)의 평면(D-D)을 따른 단면도이고, (h)는 아래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여기에서 동일한 클램핑 기구가 도 6b의 (i) 내지 (n)에 개방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고, (i)는 a)의 방향으로 본 도면이며, (k)는 d)의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l)은 아래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m)은 아래로부터 본 도면이고, (n)은 (k)에 따른 평면(A-A)을 따른 단면도이며, (o)는 레버의 축을 통하여 도 6a의 (g)의 지면에 대해 직각으로 취한 단면도이고, (p)는 (m)의 평면(C-C)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6c의 (q)는 개방 위치에 있는 레버, 핀, 조절 스크루, 및 금속 부재의 측면도이고, (r)은 (q)의 사시도이며, (s)는 대응하여 폐쇄된 레버의 사시도이고, (v)는 금속 부재의 평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며, (t)는 횡방향 핀의 사시도이고, (u)는 횡방향 핀의 약간 수정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조절 스크루의 제1 디자인의 도면이다.
도 8은 조절 스크루의 제2 디자인의 도면이다.
도 9는 조절 스크루의 제3 디자인의 도면이다.
클램핑 디바이스(1)의 제1 실시예의 여러 가지 도면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1a의 (a) 내지 (h)는 폐쇄 위치를 도시하고, 도 1b의 (i) 내지 (n)은 개방 위치를 도시한다. 클램핑 디바이스(1)는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5)를 포함한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는 외부 튜브(2)의 상단에 고정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하부 부분(5a)은, 이러한 외부 튜브(2)가 통상적으로 억지끼워맞춤과 재료 본딩의 조합에 의해 고정되는 대응 단이진 애퍼처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슬리브의 애퍼처의 내부에 있는 돌기와 결합되어 튜브 내의 애퍼처에 의해, 형상 맞춤의 추가적 또는 다른 사용이 가능하다. 내부 튜브(3)는 상면으로부터 이러한 클램핑 디바이스와 결합되고, 통상적으로 상부 부분(5b)을 통과하며, 외부 튜브(2) 내로 어느 정도 돌출된다. 외부 튜브의 내경은 기본적으로 내부 튜브의 외경보다 약간 크거나 같아, 2개의 튜브는 서로의 내부에 안내된 방식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5)는 하부 부분(5a)에서 둘러싸는 디자인을 가지며, 상부 부분(5b)에서는 축방향 슬롯(6)을 가진다. 이러한 슬롯은, 상부 부분 내의 슬리브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2개의 돌출부(13, 14) 사이에 위치된다. 이들 2개의 돌출부(13, 14) 사이에 갭(15)이 있으며, 갭(15)은 폐쇄 위치에 있을 때(특히, 도 1a의 (d)와 (g)를 참조) 더욱 폐쇄되고, 개방 위치에 있을 때(특히, 도 1b의 (k)와 (n)을 참조) 개방된다.
2개의 돌출부(13, 14)는 각각 관통 개구(23)를 가지며, 이들 개구는 폴의 축(24)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연장된다. 횡방향 핀(11)은 이러한 관통 개구(23)를 통과한다. 횡방향 핀(11)은, 그 일단에, 이 실시예의 경우에, 깔쭉이 스크루(12)로서 디자인되는 멈춤부를 가지며, 방사형 원주면에, 이붙이 또는 리브 면(21)을 가진다. 이러한 깔쭉이 스크루(12)는 그 하면이 제2 돌출부(14)의 외부에 놓인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멈춤부는 횡방향 핀과 함께 단일 편으로 형성되며, 즉 그것은 깔쭉이 스크루를 형성한다. 그러면, 조절성은, 이러한 깔쭉이 스크루가 회전 핀의 내부 나사산에 결합되는 것을 통해 발생된다. 대안으로서, 깔쭉이 너트를 제공하고, 횡방향 핀에 적절한 단부에 외부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횡방향 핀은 회전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예를 들면, T자형 컴포턴트의 형태로), 조절성은 횡방향 핀의 나사산에서의 깔쭉이 너트의 회전을 통해 발생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깔쭉이 너트는 횡방향 핀에 고정될 수 있어, 조절성은, 상기 경우에서와 같이, 회전핀의 내부 나사산 내에서의 횡방향 핀의 회전을 통해 발생된다.
타단에서, 횡방향 핀(11)은, 동축으로 연장되며 폴의 축(21)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2개의 측방향 연장부를 가진다(T를 형성함). 이들 연장부는 클램핑 레버(4)를 위한 회전핀(7)을 형성한다. 클램핑 레버(4)는, 구부러진 디자인을 가지는 레버 암(9)을 가져, 폐쇄된 상태에서,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에 기대어 위치되고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의 상부 부분(5b) 주위에 결합된다.
타단에서, 레버는, 회전핀(7)이 배치되는 애퍼처를 가진다.
레버가 이러한 핀(7) 주위로 피봇될 수 있기 위해서, 클램핑 레버는 이러한 이러한 측부에서 슬롯(10)을 가지며, 슬롯(10)은 원주방향 부분에 걸쳐 연장되고, 슬롯(10) 내에서 횡방향 핀은 클램핑 레버의 피봇 이동 동안에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횡방향 핀의 양쪽에, 편심으로 디자인되는 롤링 영역(8)을 형성한다.
특히 도 1a의 (e), (f), (g), 및 도 1b의 (m)과 (n)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이러한 롤링 영역(8)의 편심은, 깔쭉이 스크루(12)의 하면과 제1 돌출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카운터 면(19) 사이의 거리가, 이러한 롤링 영역에 의한 클램핑의 결과로서 최소값을 가진다는 것을 뜻한다. 롤링 영역의 반경은 레버의 폐쇄 위치에서 최대 또는 다소 최대로 된다.
대조적으로, 레버가 개방된 상태에서((n) 참조), 횡방향 핀의 방향에서 이러한 롤링 영역(8)의 반경은 상당히 작게 되어,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는 재료의 탄성의 결과로서 넓어질 수 있고, 갭(15)은 넓어질 수 있는데, 그것은, 그 때 카운터 표면(19)을 향하는 롤링 영역(8)의 부분으로부터 조절 스크루의 하면이 더 큰 거리에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깔쭉이 스크루(12)는 기본적으로 횡방향 핀(11)과 함께 단일 편으로 형성되며, 횡방향 핀(11)은 그 단부에, 핀(7) 내의 내부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을 가진다. 회전되는 깔쭉이 스크루(12)에 의해, 깔쭉이 스크루와 회전핀(7) 사이의 거리는 가변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어, 클램핑 위치를 위한 최대 힘 역시 그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그러면, 클램핑 디바이스는 특히 금속 슬리브(16)를 가지며, 금속 슬리브(16)는, 클램핑 레버와 동일한 레벨에서, 갭(15)에 대해 반대쪽에서 영역(5a)에서 슬리브(5) 주위로 연장된다. 핀(7)을 향하는 쪽에서, 금속 슬리브는, 횡방향 핀이 결합되는 구멍을 가진다. 금속 슬리브(16)는 이러한 영역에서 오목부(18)에 위치되며 평평한데, 즉 카운터 표면(19)은 평평하다. 이것의 다음에 둘러싸는 영역이 있으며, 둘러싸는 영역은, 레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이러한 레버 뒤에 숨겨지며, 레버가 개방될 때에만 노출되어 볼 수 있다(도 1b의 (l) 참조).
타단에서, 금속 슬리브(16)는, 횡방향 핀 또는 조절 스크루가 결합되는 구멍을 가진다. 여기에서, 금속 슬리브(16)는 제2 돌출부(14)의 외부에서 오목부(17)에 위치되며, 오목부(17)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오목부(18)와 동일한 방식으로, 금속 슬리브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가진다. 깔쭉이 스크루(12)의 바로 앞에서, 금속 슬리브는 슬롯(20)을 통해 연장된다.
이러한 금속 슬리브(16)에 횡방향 핀(11)의 관통 통로를 위한 2개의 상술한 개구가 둘러싸인 방식으로 배치됨으로써, 반대쪽에 위치되는 카운터 표면(19) 및 깔쭉이 스크루(12)는, 그 전처럼, 슬리브의 원주 주위에서 서로 연결되며, 그 결과 훨씬 높은 클램핑력을 설정할 수 있는데, 그것은 원주 주위에 인가될 수 있는 힘에 의해 판정되는 클램핑력이,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의 인장의 탄성에 의해 더 이상 판정되기 보다는, 금속 슬리브의 인장의 탄성에 의해 판정된다. 여기에서, 금속 슬리브(16)는 둘러싸는 오목부(22) 내에 배치되며, 레버가 폐쇠될 때는 레버 뒤에 배치되어 거의 볼 수 없지만, 그 기능을 최적하게 수행할 수 있고, 장착하기 쉽다.
클램핑 디바이스의 제2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균등한 컴포턴트 및 부재는, 나머지 도면에서와 같이, 도 1a 및 도 1b에서 이미 사용된 것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 사이의 중요한 차이는, 이러한 경우에, 슬리브의 상부 부분(5b)은, 2개의 돌출부(13, 14)들 사이에 배치되는 단일 슬롯(6, 15)만 가지는 대신에, 특히 도 2의 (c)에서 알 수 있듯이, 2개의 추가적 슬롯을 추가로 가진다. 이들 2개의 추가적 슬롯(6)은 슬롯(15)과 함께 원주 주위에 균일하게 분포되며(각각 120도 만큼 이격됨), 그것들은 슬리브의 상부 영역(5b) 내의 상당히 큰 확산 영역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가 도 3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a)는 폐쇄된 상태이고, (b)는 개방 상태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이 경우에, 카운터 표면(19)이 평평하기보다 구부러지는 것, 즉 카운터 표면(19)이 레버(4)의 롤링 영역(8)을 향하는 오목면을 가지는 것만 다르다. 금속 슬리브(16)의 이러한 구부러진 카운터 표면(19)은 그 일부가, 대응 돌출부 내의 구부러지는 오목부(18) 내에 위치된다. 이것은 롤링 영역(8)과 이러한 카운터 표면(19) 사이에 더 큰 베어링 표면을 발생시키며, 그것은 어떤 응용에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제4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요한 점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응하지만, 이 경우에도, 도 3의 제3 실시예에서 이미 표시되었듯이, 카운터 표면(19)이 구부러진 디자인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르다.
제5 실시예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5a의 (a) 내지 (h)는 폐쇄 상태이고, 도 5b의 (i) 내지 (o)는 개방 상태이다. 여기에서도, 다른 도면들의 설명과 관련하여 표시되었듯이,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하거나 균등한 컴포턴트에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클램핑 레버의 암(9)은 축방향에서 상당히 좁은 디자인을 가지며, 폐쇄 상태에서, 특히 둘러싸는 오목부(25) 내의 상부 영역(5b)의 원주 주위에 위치된다. 레버 암(9)은 그 단부에, 일부가 이러한 오목부의 연장부 내에 배치되는 손잡이 모양의 연장부를 가져, 이러한 손잡이는 손가락을 사용하여 파지하기 쉽다. 대안으로서, 레버에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금속 레버의 경우에, 이러한 다른 형상도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
그러면, 이 경우에, 횡방향 핀(11)은, 특히 도 5a의 (g), 도 5b의 (n) 및 (o)로부터 알 수 있듯이, 레버를 향하는 그 단부에 포크 모양으로 디자인된다. 2개의 포크 암(30)은, 레버 특히 레버의 롤링 영역(8)이 배치되는 슬롯을 정의한다. 레버는, 2개의 포크 암(30)들 사이에 배치되며 전과 같이 2개의 포크 암(30)들을 연결하는 회전 핀(7)에 의해 이러한 슬롯 내에 장착된다. 또한, 이 경우 특수 "와셔"로서 디자인되는 금속 부재(27)의 횡방향 부재(28)가 슬롯 내에 배치된다. 이것은, 특히 도 5b의 (p)에 평면도로 도시된 금속 부재(27)는 2개의 반달형 관통 개구(29)를 가지며, 관통 개구(29)는 서로에 대해 반대쪽에 위치되고, 관통 개구(29) 각각을 통해 포크 암(이들 포크 암은 마찬가지로 대응 단면 형상을 가짐)이 통과된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금속 부재(27)는 동시에 2개의 포크 암을 둘러싸면서 이들 2개의 포크 암 사이에서 안내되고, 한편으로는 롤링 표면(8)에 의해 경계지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포크의 베이스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횡방향 핀(11)의 축을 따라 병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2개의 포크 암을 관통 개구(29)에 재밍(jamming)되도록 금속 부재(27)가 오목부(18) 내에서 회전될 수 없게 하기 위해, 금속 부재(27)는 방사상 원주의 나머지를 넘어 연장부(32)를 가진다. 이러한 연장부(32)는 오목부(18)의 대응 방사 방향 연장부(33) 내에 위치되고, 금속 부재(27)가 토크를 받을 때, 토크는 연장부(33) 내의 연장부(32)의 결합에 의해 흡수되지 않고, 관통 개구(29) 내의 포크 암의 재밍을 발생시킬 수 없다.
금속 부재(27)는 제1 돌출부(13) 내의 오목부 내에 위치되고, 제1 돌출부의 어깨부 상에 놓이는 둘러싸는 영역을 가진다. 이러한 어깨부는 클램핑 작동을 위한 둘러싸는 힘 흡수 표면으로서 작용한다.
롤링 영역(8)은 이러한 디자인의 경우에 횡방향 부재(28) 상에서 대응하여 연장된다. 힘은 이러한 횡방향 부재(28)로부터 금속 부재(27)의 환형 영역으로 전달되고, 이러한 환형 영역으로부터 오목부(17)의 상술한 어깨부를 통해 제1 돌출부(13)로 전달된다. 따라서, 금속 영역에서 매우 국부적으로, 매우 큰 힘이 발생될 수 있지만, 그 힘은 큰 표면 영역 즉 플라스틱 재료 영역에 걸쳐 제1 돌출부(13)로 도입될 수 없고, 따라서 플라스틱 재료가 받는 국부적 압축 로딩은 낮은 레벨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도, 롤링 영역(8)은 편심 디자인을 가진다. 또한, 여기에 조절 스크루(12)가 구비되는데, 조절 스크루(12)에 내부 나사산이 디자인되고, 내부 나사산 내에, 외부 나사산으로서 디자인되며 포크로부터 이격되는 횡방향 핀의 단부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도 최대 클램핑력을 설정할 수 있다.
물론, 개별적 실시예를 서로 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도 5a 및 도 5b에 따른 디자인과 예를 들면 도 1a 및 도 1b의 것과 유사한 금속 슬리브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즉, 금속 부재(27)가 둘러싸는 금속 밴드의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5a 및 도 5b와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더 큰 조절 범위를 얻기 위해, 추가적 축방향 슬롯이 구성될 수 있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5)의 영역, 즉 특히 이러한 슬리브의 하부 영역(5a)의 내부에, 굴곡 표면을 가진 파지 오목부(34)가 배치되며, 그것은 이러한 영역에서 폴을 다루기 쉽게 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 축방향 슬롯(6)은, 예를 들면 도 6a의 (e) 또는 (g)에서 명백하듯이, 폴의 축에 대해 평행하게 볼 때, 폐쇄된 상태에서도, 약간 v자형 구성을 가진다.
또한, 슬롯(6)은, 슬롯을 가진 상부 부분(5b)과 슬롯을 가지지 않은 하부 부분(5a)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슬롯(35) 내로 넓어진다. 이러한 횡방향 슬롯(35)은, 홈파인 영역(5b) 내에서의 원주방향 이동 능력을 더 크면서 더 부드럽게 한다. 다시 말해서, 접히는 레버(4)에 의해 2개의 돌출부(13, 14)를 함께 안내하고, 따라서 내부 튜브(3) 주위의 원주방향 클램핑을 발생시키기 위해 낮은 레벨의 힘이 필요하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에, 클램핑 레버(4)는 좁고, 그 점을 향해 약간 테이퍼지며, 또한, 파지 돌기(37)는, 이러한 레버의 약간 외향 구부러지는 팁의 내부에 배치된다. 폐쇄 위치에서, 도 6a의 (a) 내지 (h)에서 알 수 있듯이, 레버(4)의 암(9)은, 슬롯(6)에 대해 후방쪽에서, 영역(5b)에 배치되는 둘러싸는 오목부(25) 내에 위치된다. 이것은, 파지 돌출부와 함께 팁에서의 외향 곡률에 의해, 부드러운 전체 윤곽을 발생시키지만, 레버는,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폐쇄 위치를 릴리스하는 목적을 위해,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고, 손가락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피봇되어 개방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횡방향 핀(11)은, 레버를 향하는 단부에 배치되는 외부 나사산을 가진 핀으로서 구성된다. 조절 스크루(12) 또는 특히 구성된 깔쭉이 나사는 이러한 외부 나사산으로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깔쭉이 나사 또한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예를 들면 도 6b의 (i)를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레버(4)는, 슬리브를 향하는 하면에 오목부를 가진다. 이러한 오목부는 그 내부에서, 폐쇄 위치를 더욱 양호하게 정의하기 위해, 둘러싸는 방식으로 오목부(25) 내에 배치되는 돌출부(50)와 결합된다.
도 6c의 (q) 내지 (u)를 사용하여, 특히, 횡방향 핀(11), 레버(4), 및 조절 스크루(12) 사이의 상호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횡방향 핀(11)은 그 일단에 평탄부(39)를 가지며, 평탄부(39)는 이러한 경우에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이러한 평탄부(39)의 내부에, 축방향 핀(7)을 위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개구(40)가 배치되며, 축방향 핀(7) 주위에 피봇 방식으로 레버(4)가 장착된다. 이러한 관통 개구(40)는 기본적으로 횡방향 핀(11)의 주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향한다.
나사산부(38)는 이러한 평탄부(39)에 일체로 형성되며, 기본적으로 스크루부를 구성한다.
도 6c의 (v)에 상세히 도시된 금속 부재(27)는, 그 원주의 대부분에 걸쳐, 한 쪽에서 연장부(32)의 방식으로 약간 넓어지는 원형 외부 형상을 가진다. 도 6a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연장부(32)는, 돌출부(13) 내의 오목부(18) 내에 구비되는 대응 연장부(33)와 결합되어, 전과 같이, 횡방향 핀(11)의 축 주위로 오목부(18) 내의 금속 부재(27)의 회전을 방지하여, 또한, 횡방향 핀(11)과 레버 암(4)이 횡방향 핀(11)의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면, 평탄부(39)는 기본적으로, 약간 크지만, 금속 부재(27) 내의 기다란 관통 개구(42)와 동일한 단면 표면 영역을 가진다. 이러한 관통 개구(42)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이지만, 용이하게, 평탄부(39)의 단면 표면 영역에 대응하는 약간 다른 형상일 수 있고, 예를 들면, 그것은 사각형이지만, 평탄부(39)의 단면 표면 영역에 적응되는 약간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것은 단순히, 금속 부재(27) 내의 핀(11)의 회전을 제외하기 위해, 또한 횡방향 핀(11)의 축 주위의 슬리브에 대해 횡방향 핀(11) 및 레버 암(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비원형이어야 한다.
그러면, 평탄부(39)는, 횡방향 핀(11)의 축방향으로, 폐쇄 위치(도 6c의 (s)) 및 개방 위치(도 6c의 (r))에서, 매칭(matching) 관통 개구(42)와 항상 결합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진다. 이것은 관통 개구(42) 및 각각의 레버 위치 내의 평탄 영역(39)의 상대적 안내를 확실하게 한다.
그러한 횡방향 핀(11)의 특정 실시예는 도 6c의 (u)에 도시되어 있다. 특히, 3개의 튜브부를 가지며, 그에 대응하여 2개의 그러한 클램핑 기구를 필요로 하는 폴의 경우에, 클램프의 대응하는 디자인이 가능한 한 가벼운 것이 중요하다.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평탄부(39)가 관통 개구(42) 내에서 안내 작용을 하는 영역에서, 횡방향 핀(11)은 추가적 보어(41)를 가질 수 있다. 도 6c의 (u)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러한 추가적 보어는, 전과 같이, 관통 개구(40)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지만, 또한 관통 개구(40)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핀의 중앙에서 만나는 2개의 그러한 보어를 구비할 수도 있다.
중량의 추가적 감소는, 나사산부(38)가 공동을 포함하거나 횡방향 핀이 예를 들면 2-부품 컴포넌트로서 디자인되면 가능할 것이며, 2-부품 컴포넌트에서, 나사산 영역(38)은 금속으로 구성되며, 평탄 영역(39)이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거나, 2-부품 컴포넌트에서, 나사산 영역(38)에, 그 외부에서만, 금속 나사산 슬리브로부터, 내부에 배치된 플라스틱 재료가 형성된다.
도 7 내지 도 9는, 측방향 도면에서 상부 좌측에, 정면도에서 상부 중앙에, 중앙 도면 즉 도 8의 선(x-x)을 따른 단면에서 상부 우측에, 각각 깔쭉이 너트(12)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삽입 부재의 여러 가지 도면이 중앙에 도시되어 있고, 2개의 사시도가 2개의 사시도가 하부에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의 3개의 실시예 각각에서, 깔쭉이 너트는, 지렛대가 돌출부(14)에 작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특히 예를 들면 도 6a의 (g)에 따라 오목부(26)에 의해 형성되는 어깨부에 놓이도록 디자인되는 테이퍼부(44) 및 광폭부(43)를 가진다. 테이퍼부(44)는, 마찬가지로 도 6a의 (g)를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관통 개구(23)에 결합된다.
그러면,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전체 깔쭉이 너트(12)는 강철로부터 생산되고, 특히 나사산부(44)에 내부 나사산(46)을 가진다. 이러한 내부 나사산은, 횡방향 핀(11)의 나사산부(38) 상의 외부 나사산과 상호작용한다. 또한, 광폭 조절부(43)는 그 외부에, 손가락을 사용하여 조절이 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치차 형성부, 및 예를 들면 툴 또는 코인이 결합될 수 있는 슬롯(36)을 가진다.
또한, 정면에, 스크루가 고정 또는 릴리스되게 하기 위해 회전이 수행되어야 하는 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시에 그러한 스크루가 서서히 느슨하게 되지 않거나, 바람직하지 않게 조여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에, 특히 상부 우측에 있는 도면을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너트의 관통 개구는, 광폭 조절부의 영역에서, 고무로 이루어지는 O-링(45)이 도입되는 둘러싸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O-링은, 관통 개구 내로 어느 정도 돌출되고, 그에 따라 횡방향 핀(11)의 나사산부(38)의 외부 나사산과 접촉되게 하는 두께를 가진다. O-링(45)과 나사산부(38)의 외부 나사산 사이의 마찰은, 너트가 횡방향 핀(11)에 대해 특정한 조정에 의해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추가적 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 깔쭉이 너트(12)는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생산되고, 나사산 영역은, 내부 나사산을 가지며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나사산 삽입부(47)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한 깔쭉이 너트는, 예를 들면 사출성형 몰드 내에 구비되고 플라스틱 재료로 봉입되는 나사산 삽입부에 의해 생산된다.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나사산 삽입부(47)가 컴포넌트의 나머지의 플라스틱 재료 내에 양호하게 고정되기 위해, 나사산 삽입부(47)는, 둘러싸는 리브, 및 특히 대략 광폭 조절부(43) 내에 위치되도록 종료되는 터미널 플랜지(48)를 가진다.
또한, 핀에 대한 너트의 회전이 금지되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료가 관통 개구의 외벽을 형성하는 영역(49)에서,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가 약간 내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전체적으로 또는 소정 점에서만 둥글게 되는 것이 가능하며, 대응 돌출부는, 도 7에 따른 O-링(45)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제3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면은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 플랜지(48)가, 레버를 향하는 부분(44)의 단부에 배치되지만, 마찬가지로 플랜지(48)를 가지는 금속 슬리브(47)를 가진다. 그러한 디자인의 경우에, 예를 들면, 나사산 삽입부(47)가, 이전에 사출성형된 컴포넌트 내로 눌려질 수 있다. 그러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능을 여전히 확보하기 위해, 도 9의 하부 우측에 있는 삽입부에서 볼 수 있듯이, 부분(14)이 지지 어깨부(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어떤 경우에는 필요하기까지 하며, 지지 어깨부(50) 상에, 플랜지(48) 따라서 전체로서의 깔쭉이 너트(12)가 지지될 수 있고, 금속 부재(48)는, 전과 같이, 플라스틱 재료 영역으로부터 뽑히는 것이 방지된다.
1: 클램핑 디바이스 2: 외부 슬리브
3: 내부 튜브 4: 클램핑 레버
5: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 5a: 하부 부분
5b: 상부 부분 6: 축방향 슬롯
7: 회전 핀 8: 롤링 영역
9: 레버 암 10: 슬롯
11: 횡방향 핀 12: 조절 스크루(깔쭉이 너트)
13: 제1 돌출부 14: 제2 돌출부
15: 갭 16: 금속 슬리브
17: 오목부 18: 오목부
19: 카운터 표면 20: 슬롯
21: 치형 표면 22: 둘러싸는 오목부
23: 관통 개구 24: 폴의 축
25: 오목부 26: 오목부
27: 금속 부재 28: 횡방향 부재
29: 관통 개구 30: 포크 암
31: 슬롯 32: 연장부
33: 방사방향 연장부 34: 파지 오목부
35: 횡방향 슬롯 36: 슬롯
37: 파지 돌기 38: 나사산부
39: 평탄부 40: 관통 개구
41: 추가적 보어 42: 관통 개구
43: 광폭 조절부 44: 테이퍼부
45: O-링 46: 내부 나사산
47: 내부 나사산을 가진 나사산 삽입부
48: 플랜지 49: 부분
50: 지지 어깨부

Claims (15)

  1. 클램핑 디바이스의 개구 내로 밀려들어갈 수 있는 튜브부(3)를 릴리스 가능한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하이킹 폴, 트레킹 폴, 노르딕 웍킹 폴(walking pole) 또는 (크로스 컨트리) 스키 폴을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1)에 있어서,
    적어도 축방향 부분을 따라 기본적으로 상기 튜브부(3) 주위에 직접 결합되어 있고, 상기 튜브부(3)를 폐쇄된 상태로 클램핑하는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5)를 포함하며,
    상기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5)는, 적어도 상기 튜브부(3) 주위에 결합된 영역(5b)에서, 하나 이상의 축방향 슬롯(6, 15)을 가지고 있고,
    하나 이상의 상기 축방향 슬롯(6, 15)은, 상기 영역에서 변화될 수 있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의 원주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나머지 축방향 영역(5a)에서 둘러싸는 디자인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돌출부(13, 14)는 상기 슬롯(6)의 양쪽에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5)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13, 14)는 동축 관통 개구(23)를 가지고 있고,
    상기 관통 개구(23)는 기본적으로 상기 튜브부(3)의 축(24)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 개구(23)를 통해, 횡방향 핀(11)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 핀(11)은 상기 제2 돌출부(14)의 외부에 멈춤부(1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돌출부(13)의 외부에 클램핑 레버(4)를 위한 회전 핀(7)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핀은 상기 횡방향 핀(11)의 축에 대해 직각으로 또한 상기 튜브부(3)의 축(24)에 대해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클램핑 레버(4)는, 상기 클램핑 디바이스(1)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5)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레버 암(9)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레버(4)는 상기 회전 축(7) 주위에 편심 롤링 영역을 가지고 있어, 상기 멈춤부(12)와, 상기 제1 돌출부(13)의 외부에 배치된 카운터 표면(19) 사이의 거리가, 폐쇄 위치로 피봇되는 상기 클램핑 레버(4)에 의해, 클램핑 목적을 위한 롤링 영역에 의해 감소될 수 있고,
    상기 카운터 표면(19)은, 상기 제1 돌출부(13) 내에, 오목부(1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금속 부재(16, 27)의 형태로 디자인되어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표면(19)은 평평한 표면으로서 디자인되어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표면(19)은, 곡률 반경이 기본적으로 상기 롤링 영역(8)의 곡률 반경에 적합한 오목면으로서 디자인되어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바람직하게 단일편 금속 밴드(16)의 형태로 디자인되어 있고,
    상기 단일편 금속 밴드(16)는, 상기 돌출부(13, 14)에 대해 반대쪽에 위치된 측면에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5)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단일편 금속 밴드(16)의 제1 단부는, 오목부(18)에서, 상기 롤링 영역(8)을 향한 상기 제1 돌출부(13)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단일편 금속 밴드(16)는 상기 횡방향 핀(11)을 위한 제1 애퍼처 또는 관통 개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단일편 금속 밴드(16)의 중앙 영역은, 바람직하게 둘러싸는 오목부(22)에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5) 주위에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단일편 금속 밴드(16)의 제2 단부는, 오목부(17)에서, 상기 멈춤부(12)를 향한 상기 제2 돌출부(14)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단일편 금속 밴드(16)는 상기 횡방향 핀(11) 및/또는 멈춤 부재(12)를 위한 제2 애퍼처 또는 관통 개구를 가지고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밴드(16)는 1 내지 20mm, 바람직하게 2 내지 10mm, 특히 바람직하게 3 내지 7mm의 폭을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 0.1 내지 2mm, 특히 바람직하게 0.25 내지 1.5mm의 두께를 가지고 있고,
    상기 금속 밴드(16)는 특히 바람직하게 경화 강철, 스테인레스강 또는 스프링강으로 구성되어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16, 27)는 카운터 표면(19)의 양쪽에 각각의 관통 개구(29)를 가지고 있고,
    상기 카운터 표면(19)은 상기 관통 개구(29)들 사이에 위치된 횡방향 부재(28)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횡방향 핀(11)은 그 클램핑 레버 단부에 포크 모양으로 디자인되어 있고,
    2개의 포크 암(30)은 상기 관통 개구(29)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핀(7)은 상기 포크 암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포크 암을 연결하고 있고,
    상기 클램핑 레버(4)의 상기 롤링 영역(8)은, 상기 클램핑 레버(4)가 피봇될 때, 상기 횡방향 부재(28) 상에서 연장되도록 상기 포크 암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27)는 원형 디스크의 형태로 디자인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 핀(11)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돌출부(13) 내의 오목부(18)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18)의 깊이는 상기 금속 부재(27)의 두께보다 크고,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 부재(27)의 두께는 0.5 내지 3mm, 바람직하게 1 내지 2mm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오목부(18)의 두께는 3 내지 10mm, 바람직하게 5 내지 8mm의 범위에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핀(11)은 그 클램핑 레버 단부에서 T자형 디자인을 가지고 있고,
    측방향 암은 상기 클램핑 레버를 위한 상기 회전핀(7)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클램핑 레버(4)는, 상기 횡방향 핀(11)을 위해, 상기 롤링 영역(8)을 상기 횡방향 핀(11)의 측부에 배치된 2개의 롤링 영역으로 분할하는 슬롯(10)을 가지고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5)는, 그 상부 부분(5b)에, 2개 이상, 바람직하게 3개 이상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슬롯(6, 15)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슬롯(15)중 1개 이상은 상기 2개의 돌출부(13, 14)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슬롯들은 바람직하게 상기 원주 주위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12)는 조절 가능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멈춤부(12)는 나사산을 가지도록 디자인되어 있고,
    상기 횡방향 핀(11)은 쌍을 이루는 나사산을 가지도록 디자인되어 있으며,
    상기 멈춤부는, 바람직하게 둘러싸는 치형부(21)를 가진 너트 또는 스크루 및/또는 조절 툴의 결합을 위한 리지(ridge) 및/또는 홈으로서 디자인되어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디바이스(1)는, 외부 튜브(2)의 일부를 수용 및 고정하는 목적을 위해, 상기 축방향 영역(5a)의 나머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튜브(2)는, 상기 튜브부(3)의 외경과 기본적으로 같거나 약간만 큰 내경을 가지고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돌출부 내의 상기 관통 개구(23)는, 주위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2 내지 7mm의 범위에 있는 직경을 가진 구멍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횡방향 핀(11)의 직경은, 상기 관통 개구(23)를 관통하는 영역에서, 2 내지 6mm의 범위에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암(9)은, 상기 클램핑 디바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플라스틱 재료 슬리브(5) 내의 오목부(25)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및/또는
    상기 레버는 금속, 특히 롤링 영역에서 경화된 표면 경화 금속으로부터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생산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파지하기 용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성형된(formed-on) 플라스틱 재료 영역이 바람직하게 구비되어 있는,
    클램핑 디바이스(1).
  14. 특히 바람직하게 2개 이상의 튜브부(2, 3) 또는 3개 이상의 튜브부의 길이 조절을 위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한 클램핑 디바이스를 가진 폴, 특히 하이킹 폴, 트레킹 폴, 노르딕 웍킹 폴 또는 (크로스 컨트리) 스키 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디바이스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확산 부재를 가진 클램핑 디바이스가 상기 튜브부(2, 3)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폴.
KR1020117017894A 2009-01-29 2010-01-26 길이 조절 가능한 폴 및 폴을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 KR101665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0135/09A CH700317A1 (de) 2009-01-29 2009-01-29 Klemmvorrichtung und längenverstellbarer Stock mit einer solchen Klemmvorrichtung.
CH135/09 2009-01-29
CH1055/09 2009-07-07
CH10552009 2009-07-07
PCT/CH2010/000020 WO2010085905A1 (de) 2009-01-29 2010-01-26 Längenverstellbarer stock und klemmvorrichtung dafü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826A true KR20110107826A (ko) 2011-10-04
KR101665489B1 KR101665489B1 (ko) 2016-10-24

Family

ID=4207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894A KR101665489B1 (ko) 2009-01-29 2010-01-26 길이 조절 가능한 폴 및 폴을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496018B2 (ko)
EP (1) EP2381812B1 (ko)
JP (1) JP5622750B2 (ko)
KR (1) KR101665489B1 (ko)
CN (1) CN102300484B (ko)
CA (1) CA2746713C (ko)
RU (1) RU2488328C2 (ko)
WO (1) WO20100859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59Y1 (ko) * 2011-01-13 2013-03-19 양승철 등산용 지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85628B (zh) * 2009-12-07 2014-12-31 上海锐奇工具股份有限公司 一种墙壁打磨机的手柄
USD750364S1 (en) * 2010-10-11 2016-03-01 Jeh-kun Lah Lock lever for walking stick
KR101184089B1 (ko) 2010-12-20 2012-09-18 라제건 축방향 레버 조작형 잠금 장치를 구비하는 지팡이
WO2012104424A1 (de) 2011-02-04 2012-08-09 Lekisport Ag Faltstock, insbesondere für nordic walking
KR200464487Y1 (ko) * 2011-06-02 2013-01-03 라제건 캠 레버형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지팡이
KR101295300B1 (ko) * 2011-09-14 2013-08-12 박경옥 차양 조절 막대
JP2013096578A (ja) * 2011-10-28 2013-05-20 K-2 Corp 伸縮式ポールアセンブリ
TWM424412U (en) * 2011-11-03 2012-03-11 Fuko Inc Telescopic rod positioning device with elastic retention component
JP5569540B2 (ja) * 2012-01-06 2014-08-13 ヤマハ株式会社 音響機器
US8832910B2 (en) * 2012-05-25 2014-09-16 Jeh-kun Lah Locking device for pole
CH706752A1 (de) * 2012-07-19 2014-01-31 Lekisport Ag Längenverstellbares Rohr, insbesondere für Stöcke.
CN102852927A (zh) * 2012-09-12 2013-01-02 侯如升 一种具有自锁紧功能的卡环
TWM452471U (zh) * 2012-09-27 2013-05-01 Wistron Neweb Corp 易於安裝之夾具機構及其衛星天線裝置
US9103138B2 (en) 2012-10-02 2015-08-11 Bravo Sports Sliding-eave mount mechanism for canopy structure
EP2735498A1 (en) * 2012-11-22 2014-05-28 Fisher Outdoor Leisure Limited A fixing system for attaching a basket to the handlebar of a bicycle
CN104838076B (zh) 2012-12-07 2017-04-05 布里福运动公司 遮篷式遮蔽
CN103072505A (zh) * 2013-02-17 2013-05-01 李理 一种用于公交车吊杆的拉手固定卡环
GB2512390B (en) * 2013-03-28 2016-09-14 Gardiner Pole Systems Ltd A clamp assembly
CN108736290A (zh) * 2013-05-15 2018-11-02 马雪 一种冲压打端机构
USD760486S1 (en) * 2013-05-17 2016-07-05 Glatz Ag Carriage part for a standing umbrella
USD736884S1 (en) * 2013-07-16 2015-08-18 Bravo Sports Adjustable locking leg assembly
KR200476588Y1 (ko) * 2013-08-07 2015-03-12 심지훈 다단 파이프 인출식 지팡이의 이중 고정장치
US9528292B1 (en) 2013-08-09 2016-12-27 Bravo Sports Canopy with overhang
KR102217695B1 (ko) * 2013-09-27 2021-02-19 레키스포르트 아게 길이 조정 가능한 폴 및 그러한 폴을 위한 클램핑 장치
US9651073B2 (en) * 2013-11-19 2017-05-16 The Wooster Brush Company Locking mechanism for telescoping members
US9500348B2 (en) 2014-02-21 2016-11-22 Upright Industries Manufacturing Body treatment tools
US9797157B2 (en) 2014-03-04 2017-10-24 Shelterlogic Corp. Canopy with detachable awning
USD737066S1 (en) 2014-03-06 2015-08-25 Bravo Sports Chair with integrated shade cover
EP3128867B1 (de) 2014-04-11 2018-06-06 Lekisport AG Faltstock mit rohrhülse
GB2529880B (en) * 2014-09-05 2016-11-02 Gardiner Pole Systems Ltd A clamp assembly
USD770162S1 (en) * 2014-10-23 2016-11-01 Medline Industries, Inc. Crutch grip
US10278886B2 (en) 2014-10-23 2019-05-07 Medline Industries, Inc. Crutch grip, crutch grip assembly, and corresponding methods
US9867466B2 (en) 2014-12-15 2018-01-16 Shelterlogic Corp. Foldable chair
US9090126B1 (en) * 2014-12-17 2015-07-28 Bobby Watcharasakunee Roller assembly
CN204387598U (zh) * 2014-12-25 2015-06-10 佛山市南海祥旺光学电子制品有限公司 三脚架脚管锁紧装置
CN105840606A (zh) * 2015-01-16 2016-08-10 赵羽飞 快速插接结构
CN204704222U (zh) * 2015-01-27 2015-10-14 林建廷 伸缩管的夹式束套
US9713759B2 (en) * 2015-02-02 2017-07-25 Andrew D. Liebner Ski pole accessories
EP3256019B1 (de) 2015-02-13 2020-04-15 Lekisport AG Stock mit spitzenfederung
US9828054B2 (en) * 2015-02-24 2017-11-28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Bicycle with compliant seat post interface
US20170023174A1 (en) * 2015-06-30 2017-01-26 Wesley Harmon Walking aid attachment and leg support apparatus
US10368707B2 (en) 2016-03-03 2019-08-06 Emerson Electric Co. Adjustable vacuum tube clamp assembly and vacuum cleaners including same
CN105856196A (zh) * 2016-05-19 2016-08-17 成都润惠科技有限公司 一种膝关节外骨骼助力装置
USD803493S1 (en) * 2016-06-17 2017-11-21 Emerson Electric Co. Clamp for vacuum tube assemblies
FR3062689B1 (fr) * 2017-02-03 2020-02-21 Airbus Operations Collier de fixation d'un conduit sur un support.
KR102479403B1 (ko) * 2017-06-06 2022-12-19 레키스포르트 아게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폴을 위한 클램핑 장치
CN107542735B (zh) * 2017-09-22 2023-07-21 西北核技术研究所 用于各类工业铝型材快速连接的安装配件
CN108193869A (zh) * 2018-01-10 2018-06-22 梅苏鸿 一种锁定器
AT521274B1 (de) * 2018-05-24 2019-12-15 Miba Sinter Austri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ruchgetrennten Pleuels
US11079048B2 (en) 2018-06-13 2021-08-03 TKO Clamping Systems, LLC Clamp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D885174S1 (en) 2018-08-22 2020-05-26 TKO Clamping Systems, LLC Quick release clamp
USD885173S1 (en) 2018-06-13 2020-05-26 TKO Clamping Systems, LLC Clamp
USD885877S1 (en) 2018-06-13 2020-06-02 TKO Clamping Systems, LLC Adjustable clamp
CN112384710B (zh) * 2018-07-03 2023-05-16 索尤若驱动有限及两合公司 在轴与带切口的空心轴区段之间的夹紧连接部
US20200124373A1 (en) * 2018-09-13 2020-04-23 Justin R. Juarez Toolless barrel nut assembly
CN109803187B (zh) * 2019-02-12 2019-12-27 绍兴慧创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与民用两用麦克风
CN109889936B (zh) * 2019-03-29 2020-02-18 宁波高新区敦和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与民用两用麦克风
USD945256S1 (en) 2019-11-25 2022-03-08 Medline Industries, Lp Clip with post and finger tabs
CA3166869A1 (en) 2020-02-07 2021-08-12 Marco Hofer Folding pole
US11700922B2 (en) * 2020-07-06 2023-07-18 Jon Kief Davis Lightweight collapsible chair with trekking poles supports
USD958519S1 (en) * 2020-07-24 2022-07-26 Knirps International Gmbh Part of a parasol
CN111981005A (zh) * 2020-08-11 2020-11-24 天津市顶酷乐器有限公司 一种爵士鼓支架异径管连接固定装置
CN111998029B (zh) * 2020-08-25 2021-10-29 苏州绿驰新能源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减震器
EP4118997B1 (de) 2021-07-16 2023-11-08 Lekisport AG Faltstock
US11957223B2 (en) 2021-09-22 2024-04-16 Hoodco, Inc. Adjustable grip system for trekking poles and the like
USD970675S1 (en) * 2022-01-26 2022-11-22 Yongkang Chunkai Import & Export Co., Ltd Tent
WO2023147992A1 (de) 2022-02-01 2023-08-10 Lekisport Ag Faltsto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0207A (en) * 1951-10-20 1955-06-07 Cleveland Welding Co Seat post clamp structure for bicycles
JPS5753191U (ko) * 1980-09-12 1982-03-27
JPS599397U (ja) * 1982-07-12 1984-01-21 星野楽器株式会社 ドラムセツト用締付金具
JPH0780120A (ja) * 1993-09-01 1995-03-28 Black Diamond Equip Ltd 長さ調節自在スキー棒および円筒状シャフトのク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5234A (en) * 1964-12-22 1967-02-21 Newman Dukes & Cline Inc Weight securing means on a bar bell assembly
US4596484A (en) * 1984-10-05 1986-06-24 Velbon International Corporation Lock for telescoping tubular support
US4643460A (en) * 1985-02-06 1987-02-17 Construction Forms, Inc. High pressure concrete line coupling clamp with limit adjust apparatus
EP0299491A1 (de) * 1987-07-15 1989-01-18 Hannes Marker Längenverstellbarer Gabelbaum
RU2019984C1 (ru) * 1989-03-23 1994-09-30 Хэзер Энн Гилкрайст Роудз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ходьбы
IT1283677B1 (it) * 1996-08-02 1998-04-23 Lorenzo Pronzati Bastone da sci a lunghezza regolabile e relativo dispositivo di bloccaggio
US5873611A (en) * 1997-03-10 1999-02-23 Eg&G Pressure Science, Inc. Pipe clamping device
EP0988898A3 (en) 1998-09-23 2001-05-02 Camco International Inc. Thermal spray application of polymeric material
DE19950619C1 (de) * 1999-10-20 2000-11-23 Karl Weinhold Rohrkupplung mit Schnellverschluß und Rohrflansch zur Verwendung mit einer solchen Rohrkupplung
FR2818332B1 (fr) 2000-12-20 2003-09-12 Rossignol Sa Dispositif de serrage et baton telscopique reglable en longueur utilisant un tel dispositif de serrage
TW516414U (en) * 2001-12-28 2003-01-01 Asia Link Co Ltd Structure improvement of hook for display frame
DE20207554U1 (de) 2002-05-08 2003-10-09 Lenhart Klaus Längenverstellbares Rohr, insbesondere für Stöcke
US6972042B2 (en) * 2003-08-28 2005-12-06 Ampu-Clamp Llc Quick-release tube clamp for modular lower limb prosthetic systems and method thereof
CN2709485Y (zh) * 2004-02-19 2005-07-13 华裕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改进的熨烫机支撑挂杆
US7261263B2 (en) * 2004-08-30 2007-08-28 Brass Smith, Llc Article support system for poles
US7244070B2 (en) * 2005-10-19 2007-07-17 Xtend Products, Llc Camera holder and methods
US20080121260A1 (en) * 2006-11-20 2008-05-29 William Stephens Self-orienting adjustable length fitness pole
US8006711B2 (en) * 2009-01-05 2011-08-30 Easton Technical Products, Inc. Trekking pole clamp and methods
US8025455B2 (en) * 2009-09-24 2011-09-27 Michael Lin Fixing device for an extension tube of an exercis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0207A (en) * 1951-10-20 1955-06-07 Cleveland Welding Co Seat post clamp structure for bicycles
JPS5753191U (ko) * 1980-09-12 1982-03-27
JPS599397U (ja) * 1982-07-12 1984-01-21 星野楽器株式会社 ドラムセツト用締付金具
JPH0780120A (ja) * 1993-09-01 1995-03-28 Black Diamond Equip Ltd 長さ調節自在スキー棒および円筒状シャフトのクラン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959Y1 (ko) * 2011-01-13 2013-03-19 양승철 등산용 지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00484B (zh) 2014-04-30
RU2011132975A (ru) 2013-03-10
CN102300484A (zh) 2011-12-28
EP2381812A1 (de) 2011-11-02
US20130312798A1 (en) 2013-11-28
CA2746713A1 (en) 2010-08-05
US8496018B2 (en) 2013-07-30
CA2746713C (en) 2016-12-13
WO2010085905A1 (de) 2010-08-05
EP2381812B1 (de) 2014-11-26
US20110240078A1 (en) 2011-10-06
JP5622750B2 (ja) 2014-11-12
KR101665489B1 (ko) 2016-10-24
RU2488328C2 (ru) 2013-07-27
US8807152B2 (en) 2014-08-19
JP2012516166A (ja)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7826A (ko) 길이 조절 가능한 폴 및 폴을 위한 클램핑 디바이스
KR102217695B1 (ko) 길이 조정 가능한 폴 및 그러한 폴을 위한 클램핑 장치
US10660414B2 (en) Folding pole, in particular for Nordic walking
AU2016204646B2 (en) Angle-variable bone screw fixation arrangement
US6139060A (en) Handle for a stick
EP1827623A1 (de) Stockgriff
CN112074329A (zh) 手杖柄以及具有所述手杖柄的手杖
KR102479403B1 (ko)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폴을 위한 클램핑 장치
RU2754381C2 (ru) Рукоятка палки
KR102018214B1 (ko) 완충기를 구비한 노르딕 워킹 폴
JP2023513511A (ja) 折りたたみ式ポール
CH700317A1 (de) Klemmvorrichtung und längenverstellbarer Stock mit einer solchen Klemmvorrich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