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300B1 - 차양 조절 막대 - Google Patents

차양 조절 막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300B1
KR101295300B1 KR1020110092595A KR20110092595A KR101295300B1 KR 101295300 B1 KR101295300 B1 KR 101295300B1 KR 1020110092595 A KR1020110092595 A KR 1020110092595A KR 20110092595 A KR20110092595 A KR 20110092595A KR 101295300 B1 KR101295300 B1 KR 101295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bar
lower member
sunshade
tightening
aw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270A (ko
Inventor
박경옥
Original Assignee
박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옥 filed Critical 박경옥
Priority to KR1020110092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3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29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6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 조절 막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양이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차양 조절 막대의 길이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차양을 절첩할 수 있게 하는 차양 조절 막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봉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에 삽입되는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연결고리와, 상기 하부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양 조절 막대{control stick for awining}
본 발명은 차양 조절 막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양이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차양 조절 막대의 길이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차양을 절첩할 수 있게 하는 차양 조절 막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로 유입되는 직사광을 차단하거나 광고 효과를 내기 위하여 창, 쇼윈도 또는 출입구의 상부 건물벽면상에 차양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양을 건물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차양을 보호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지지장치를 건물 벽면에 취부하여야 하는데, 기존에는 철봉들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차양을 지지하기 위한 형태로 용접하여 지지장치를 제작후, 건물의 해당부위에 볼트나 못 등의 고정부재로 고정하였다.
이와 같이 일정 형태를 갖는 지지장치에 차양을 고정하였기 때문에 햇빛을 건물 내부로 유입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차양을 걷을 수 없었으며, 협소한 골목에 위치한 건물에 설치될 경우 돌출된 차양이 그 옆으로 지나가는 차량에 걸려 찢어지거나 지지장치가 파손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36042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창밖의 건물상단 벽면에 취부되어 차양(60)을 고정 지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물벽면(1)에 취부되는 한쌍의 권취봉지지편(30a,b)들을 구비하고 양단이 회동가능케 지지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차양(60)의 일측단을 고정하여 회전에 따라 권취하는 권취봉(40)과 상기 권취봉(40)의 일측단과 결착되어 외부구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권취봉(40)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구동수단(70)과 상기 권취봉(4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한 상기 벽면에 회동가능케 일측단이 고정되는 한편 타측단은 차양고정대(110)에 회동가동케 고정되어, 내부에 탄설된 스프링(106,107)들에 의해 신장복원력을 갖고 대략 중심부를 중심으로 절첩되는 대칭되는 적어도 좌우 한쌍의 지지암(100a,b) 및 상기 지지암(100a,b)들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차양(60)의 타단이 고정되어 상기 권취봉(40)으로의 차양권취에 따라 상기 벽면(1)쪽으로 근접하여 상기 지지암(100a,b)들을 절첩하는 차양고정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36042호에 기재된 기술은 수동핸들(80)을 상기 회전구동수단(70)에 연결된 회전고리(73)에 연결하여, 수동핸들(80)을 회전시킴으로써 차양(60)의 절첩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차양(60)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다양한 높이에 설치되는 차양(60)에 맞도록 수동핸들(80)의 길이도 다양한 크기로 생산되어야 하고, 상기 수동핸들(80)은 길이를 조절할 수 없게 형성되어 있어, 수동핸들(80)의 길이보다 높은 곳이나 낮은 곳에 차양이 설치된 경우에는 차양을 절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수동핸들(80)의 길이가 길어서 보관시 수동핸들(80)을 보관할 공간 문제로 인해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양을 조절하기 위한 차양 조절 막대를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의 두부분으로 형성하고, 상부부재를 하부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차양 조절 막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양의 설치 높이에 맞출수 있도록 차양 조절 막대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한 종류만으로 용이하게 차양을 절첩할 수 있는 차양 조절 막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부재에 길이방향으로 회전방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돌부에도 회전방지홈을 형성하여 하부부재의 회전을 상부부재로 안정적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차양 조절 막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부재가 하부부재의 내부에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차양조절막대의 길이를 짧게 조절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한 차양조절막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결고리와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양조절막대에 있어서, 봉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에 삽입되는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와 상부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부재는 상부에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홈은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부재는 하단에 제2회전방지홈이 형성된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하부부재의 상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조임링과, 상기 조임링의 일측에 형성된 절개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조임부와, 상기 조임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임부재와, 상기 조임부재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캠축과, 상기 캠축의 양측에 설치되는 캠과, 상기 캠에 연장 설치되는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는 상부에 제2절개부가 형성된 부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제1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차양을 조절하기 위한 차양 조절 막대를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의 두부분으로 형성하고, 상부부재를 하부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차양 조절 막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양의 설치 높이에 맞출수 있도록 차양 조절 막대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한 종류만으로 용이하게 차양을 절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부부재에 길이방향으로 회전방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돌부에도 회전방지홈을 형성하여 하부부재의 회전을 상부부재로 안정적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부재가 하부부재의 내부에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차양조절막대의 길이를 짧게 조절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절첩식 차양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절첩식 차양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조절 막대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조절 막대의 상,하부부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조절 막대의 하부부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조절 막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조절 막대의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조절 막대의 전체적인 개략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조절 막대의 상,하부부재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조절 막대의 하부부재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조절 막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조절 막대의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차양 조절 막대에 관한 것으로 도 3a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봉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부재(300)와 상기 하부부재(300)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부재(200)와 상기 하부부재(300)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부재(400)와 상기 상부부재(200)의 상단에 설치되는 연결고리(210)와 상기 하부부재(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3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고리(2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양(60)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회전구동수단(70)에 설치되는 회전고리(73)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340)에 형성된 제1회전손잡이(342)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제2손잡이(344)를 잡고서, 축으로 하여 제2회전손잡이(344)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고리(73)를 회전시키게 되어 차양(60)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차양 조절 막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부재(200)와 하부부재(300)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부재(200)가 상기 하부부재(300)의 내부로 삽입설치되는데, 상기 상부부재(200)가 하부부재(300) 내측에서 슬라이딩가능하여 차양 조절 막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부재(300)의 상단에 고정부재(400)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상부부재(200)를 하부부재(300)에 슬라이딩시켜 길이를 조절한 후, 상부부재(200)를 하부부재(300)에 고정되게 하여, 상부부재(200)가 하부부재(300)에서 임의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차양 조절 막대를 사용하면, 한 종류의 차양조절막대로 차양이 설치되는 다양한 높이에 맞도록 차양 조절 막대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차양의 절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부재(300)의 상단에는 상부부재(200)의 하단에 고정지지되는 지지홈(310)이 형성되고 이 지지홈(310)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절개부(31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절개부(312)는 상기 지지홈(310)에 설치되는 상기 고정부재(400)의 압축력에 의해 절개된 폭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내부에 삽입된 상부부재(200)를 가압하게 되어 상부부재(200)가 임의로 슬라이딩하지 못하도록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홈(310)은 상부에 고정부재(400)가 이탈되지 않도록 제1걸림턱(314)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상부부재(200)의 하단에 형성된 프랜지(220)가 지지되도록 제2걸림턱(316)이 형성되어 상부부재(200)가 하부부재(300)에 삽입되는 간격이 일정길이를 유지하도록 하여 강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부재(300)와 상부부재(200)의 사이에는 부싱(330)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부싱(330)에는 하부부재(300)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절개부(312)에 대응되도록 상하로 제2절개부(33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400)의 압축력에 의해 하부부재(300)의 상단이 압축되게 되고, 이에 따라 부싱(330)이 압축되고, 상기 부싱(330)의 압축됨에 따라 부싱(330)의 내부에 설치된 상부부재(200)를 가압함으로써, 상부부재(20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00)는 하부부재(3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절개부(312)가 형성된 부분을 가압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부재(400)는 하부부재(300)의 상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조임링(410)과 상기 조임링(410)의 일측에 형성된 절개부(41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조임부(412)와 상기 조임부(41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임부재(440)와 상기 조임부재(44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캠축(422)과 상기 캠축(422)의 양측에 설치되는 캠(4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임링(410)은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부재(300)의 상단에 형성된 제1절개부(312)에 대응되도록 절개부(411)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부(411)의 양측에는 조임부(41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임부재(440)는 나사형태로 형성되어 양측의 조임부(41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데, 일측 단부에는 조임너트(442)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캠축(422)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424)에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축(422)의 양측에는 캠(4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캠(420)의 일측에는 레버(430)가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레버(430)를 회전시켜 캠(42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레버(43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캠(420)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캠(420)의 직경은 일측은 짧게 형성되고 일측은 길게 형성되어 고정할 때는 직경이 길게 형성된 부분이 조임부(412)를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어, 상기 고정부(412)를 가압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조임부(412)는 서로 가까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절개부(312)도 압축되고, 이에 따라 부싱(330)에 형성된 제2절개부(332)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부싱(330)의 내부에 삽입된 상부부재(200)가 가압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부재(300)의 부싱(330)이 설치되는 부분은 나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부재(300)와 상부부재(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부싱(330)의 외주면은 상기 하부부재(3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선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부재(300)의 상부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부싱(330)의 상단에는 단턱부(334)가 형성되어 상기 부싱(330)이 일정이상 하부부재(30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부재(300)는 상기 제1절개부(312)가 형성된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회전방지홈(35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200)의 하단에는 플랜지(220)가 형성되는데, 상기 플랜지(220)에는 상기 제1회전방지홈(350)에 대응되도록 제2회전방지홈(230)이 형성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하부부재(300)의 하단에 형성된 손잡이부(340)를 사용하여 회전시킬 때, 하부부재(300)의 회전력이 상기 제1회전방지홈(350)과 제2회전방지홈(230)의 작용에 의해 상부부재(200)로 안정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200)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220)는 상기 부싱(330)의 하단에 걸리게 되어, 상부부재(200)를 상부로 슬라이딩시킬 때, 하부부재(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양 조절 막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양이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차양 조절 막대의 길이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차양을 절첩할 수 있게 하는 차양 조절 막대에 관한 것이다.
200 : 상부부재 210 : 연결고리
220 : 플랜지 230 : 제2회전방지홈
300 : 하부부재 310 : 지지홈
312 : 제1절개부 314,316 : 제1,2걸림턱
330 : 부싱 332 : 제2절개부
334 : 단턱부 340 : 손잡이부
342 : 제1회전손잡이 344 : 제2회전손잡이
400 : 고정부재 410 : 조임링
411 : 절개부 412 : 조임부
420 : 캠 422 : 캠축
424 : 관통공 430 : 레버
440 : 조임부재 442 : 조임너트

Claims (7)

  1. 연결고리(210)와 손잡이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양조절막대에 있어서,
    봉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에 지지홈(310)이 형성되는 하부부재(300)와,
    상기 하부부재(300)에 삽입되는 상부부재(200)와,
    상기 하부부재(300)와 상부부재(2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 막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310)은 제1걸림턱(314)과 제2걸림턱(316)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 막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200)는 하단에 제2회전방지홈(230)이 형성된 플랜지(2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 막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0)는 하부부재(300)의 상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조임링(410)과,
    상기 조임링(410)의 일측에 형성된 절개부(41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조임부(412)와,
    상기 조임부(41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임부재(440)와,
    상기 조임부재(44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캠축(422)과,
    상기 캠축(422)의 양측에 설치되는 캠(420)과,
    상기 캠(420)에 연장 설치되는 레버(4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 막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300)는 상부에 제2절개부(332)가 형성된 부싱(3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 막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300)는 길이방향으로 제1회전방지홈(3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조절 막대.
KR1020110092595A 2011-09-14 2011-09-14 차양 조절 막대 KR101295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595A KR101295300B1 (ko) 2011-09-14 2011-09-14 차양 조절 막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595A KR101295300B1 (ko) 2011-09-14 2011-09-14 차양 조절 막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270A KR20130029270A (ko) 2013-03-22
KR101295300B1 true KR101295300B1 (ko) 2013-08-12

Family

ID=4817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595A KR101295300B1 (ko) 2011-09-14 2011-09-14 차양 조절 막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3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4441U (ko) * 1990-03-30 1991-12-17
JPH0813726A (ja) * 1994-06-27 1996-01-16 Ishikawa Tento:Kk 日よけテントの電動回転装置付昇降ハンドル
JP2656216B2 (ja) * 1993-09-01 1997-09-24 ブラック ダイヤモンド イクイップメント,リミテッド 長さ調節自在スキー棒および円筒状シャフトのクランプ
WO2010085905A1 (de) * 2009-01-29 2010-08-05 Lekisport Ag Längenverstellbarer stock und klemmvorrichtung dafü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4441U (ko) * 1990-03-30 1991-12-17
JP2656216B2 (ja) * 1993-09-01 1997-09-24 ブラック ダイヤモンド イクイップメント,リミテッド 長さ調節自在スキー棒および円筒状シャフトのクランプ
JPH0813726A (ja) * 1994-06-27 1996-01-16 Ishikawa Tento:Kk 日よけテントの電動回転装置付昇降ハンドル
WO2010085905A1 (de) * 2009-01-29 2010-08-05 Lekisport Ag Längenverstellbarer stock und klemmvorrichtung dafü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270A (ko) 201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63843C1 (en) Skew adjustment mechanism for a window covering
US9382723B2 (en) Mechanism for folding and unfolding a tent or awning
US20190186167A1 (en) Canopy
TWI520695B (zh) A folding chair with a locking structure
TWI742428B (zh) 用於一建築物開口之具有巢狀滾輪之覆蓋物及操作用於一建築物開口之一覆蓋物之方法
EP3187663B1 (en) Sun umbrella
US20120312486A1 (en) Adjustable lift cord anchor for movable rails in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8794296B2 (en) Window blind without using a lift cord
US8528870B2 (en) Retaining device for stand for sawing machine
JP2001081922A (ja) モータ操作の幌(オーニング)
TWI772122B (zh) 捲簾
KR101925705B1 (ko) 블라인드의 복원스프링 탄력 조절장치
JP2021535303A (ja) 伸縮式エッジ保護ポスト
KR101295300B1 (ko) 차양 조절 막대
US8800634B2 (en) Device for fastening a window blind
AU2019100851A4 (en) Elasticity adjustment apparatus
US10844626B2 (en) Telescopic stand column, and tent having same
KR101913683B1 (ko) 파라솔 각도 조절장치
KR200470382Y1 (ko) 우마사다리 보조 지지장치
KR101555705B1 (ko) 차양 장치
JP2015025238A (ja) テント
EP3584401B1 (en) Fast positioning structure of safe position limiting device of roller blind
KR200216404Y1 (ko) 상품진열용 폴
US11668112B2 (en) Tent
CN204127608U (zh) 一种主机吊装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