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085A - 탱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탱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085A
KR20110106085A KR1020100025311A KR20100025311A KR20110106085A KR 20110106085 A KR20110106085 A KR 20110106085A KR 1020100025311 A KR1020100025311 A KR 1020100025311A KR 20100025311 A KR20100025311 A KR 20100025311A KR 20110106085 A KR20110106085 A KR 20110106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ank
lifting
tank body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윤식
Original Assignee
임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윤식 filed Critical 임윤식
Priority to KR102010002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6085A/ko
Publication of KR20110106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0Bending sheet met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0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objects
    • B21D51/04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objects built-up objects, e.g. objects with rigidly-attached bottom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탱크 제작에 사용되는 금속 판재를 인양하여 자중에 의해 판재의 양단부가 하부로 처지도록 하여 별도의 절곡 장치 없이 원통형의 탱크를 제작할 수 있는 탱크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제조 방법은 판재를 절곡하여 원통형 탱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판재(10)를 인양하여 상기 판재(10)의 양단부가 지면 방향으로 처지게 한 후, 판재(10)의 양단부를 서로 맞대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탱크 제조 방법{Making Method For Tank}
본 발명은 탱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탱크 제작에 사용되는 금속 판재를 인양하여 자중에 의해 판재의 양단부가 하부로 처지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절곡 장치 없이 탱크를 제작할 수 있는 탱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저장탱크는 유류 및 시멘트와 같은 분말원료, 생활 및 공장용수 등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형 저장탱크보다 상대적으로 내부 압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런 원통형 저장탱크는 이론적으로 일체형 내지 최소한의 용접선을 갖게 제조하는 것이 가장 좋은 내구성과 내수성을 갖는다. 원통형 저장탱크는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철판 또는 스테인리스 판재를 소정의 곡률로 절곡한 후 판재의 단부가 서로 맞닿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판재의 단부를 용접하여 원통형의 탱크 바디를 제작한 후, 탱크 바디의 상단과 하단에는 철판을 용접하여 내부를 밀폐하여 탱크의 완성품을 얻는다.
이와 같이 대형의 저장탱크의 제작에 사용되는 철판 또는 스테인레스 판재들은 두께가 두껍고 그 면적도 대면적이기 때문에 판재들을 소정의 곡률로 절곡하기 위해서는 대형의 판재를 절곡할 수 있는 절곡용 기기를 필요로 하였고, 절곡 작업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완성된 탱크를 실제 시공하려는 장소까지 운반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운반 도중 탱크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판재를 인양하여 판재의 양 단부가 자중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처지도록 한 후 판재의 양단부가 서도 맞대어지도록 하고 맞대어진 양단부가 용접에 서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탱크를 제작할 수 있는 탱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판재를 인양하여 판재의 양단부가 자중에 의해 지면 방향을 방향으로 처지도록 함으로서 탱크가 설치되는 장소에 별도의 판재 절곡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탱크를 제작할 수 있는 탱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제조 방법은, 판재를 절곡하여 탱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판재를 인양하여 상기 판재의 양단부가 지면 방향으로 처지게 한 후, 상기 판재의 상기 양단부를 서로 맞대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제조 방법은, 판재를 절곡하여 탱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판재에 인양 고리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인양 고리를 이용하여 상기 판재를 인양하는 단계; 상기 판재의 양단부를 견인하여 서로 맞대는 단계; 상기 판재의 서로 맞대어진 양단부를 고정하여 탱크 바디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탱크 바디의 양측 단부에 캡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재를 인양하는 단계에서 상기 판재의 양단부가 자중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처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인양 고리는 상기 판재의 중심선 양측으로 단위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단위 길이는 상기 판재 길이의 8%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판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판재의 양단부의 견인을 위한 견인 고리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판재의 양단부의 견인을 위하여 상기 견인 고리를 견인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에는 상기 탱크 바디를 원형으로 유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판재를 인양하여 판재의 양 단부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처지도록 한 후 판재의 양단부가 서도 맞대어지도록 하고 맞대어진 양단부가 용접에 서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탱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재를 인양하여 판재의 양단부가 자중에 의해 절곡되도록 함으로서 탱크가 설치되는 장소에 별도의 판재 절곡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탱크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에 인양 고리의 고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인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에 의한 탱크 바디의 제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과 도 7은 도 5의 A 부분의 상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바디에 하부 캡과 상부 캡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캡에 형성되는 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탱크(100)는 탱크 바디(200), 탱크 바디(200)의 하단과 상단에 부착되는 하부 캡(300A)과 상부 캡(30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탱크 바디(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물품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탱크 바디(20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하부 캡(300A)과 상부 캡(300B)을 고정한다. 하부 캡(300A)과 상부 캡(300B)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탱크 바디(2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결될 상태에서 밀착되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캡(300A)과 상부 캡(300B)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탱크의 외측 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곡률로 볼록하게 형성하거나 내측으로 소정 형상의 보강 구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 캡(300A)과 상부 캡(300B)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하부 캡(300A)과 상부 캡(300B)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탱크(100)의 상부 및 하부로는 저장물의 공급과 배출을 수행하는 공급관(400a)과 배출관(400b)이 연결될 수 있다. 공급관(400a)과 배출관(400b)의 구성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탱크(10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10)에 인양 고리(20)의 고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탱크 바디(200)의 제작에 사용되는 판재(10)를 준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판재(10)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판재(10)는 사용자가 제작하고자 하는 탱크(100)의 크기와 높이에 따라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 될 수 있다. 또한, 판재(10)는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탱크를 제작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직경이 5 m이고, 높이가 5 m인 탱크를 제작한다면, 탱크의 제작에 사용되는 판재(10)는 적어도 5 x 5 π 이상의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판재(10)는 전체적으로 단일개의 단위 판재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판재(10)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등을 감안하여 보다 작은 크기의 단위 판재를 모자이크 방식으로 서로 연결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단위 판재는 판재(10)의 형태와 동일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탱크의 제작에 필요한 판재(10)를 구성할 수 있다면 단위 판재는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판재(10)는 단일개의 단위 판재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판재(10)의 중간부에는 판재(10)를 인양하기 위한 인양 고리(20)를 고정 설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 고리(20)는 대략 ‘?’ 형태로 형성된다. 인양 고리(20)는 판재를 인양하기 용이한 형태라면 그 이외의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인양 고리(20)의 일단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 형태로 형성된다. 인양 고리(20)의 일단은 판재(10)를 관통하여 설치된 후,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인양 고리(20)는 볼트에 의해 판재(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인양 고리(20)는 판재(10)의 중앙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판재(10) 상에서 인양 고리(20)가 고정되는 위치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판재(1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중심선(C)을 설정한다. 이때 설정되는 중심선(C)은 완성된 탱크(100)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된다.
작업자는 판재(10)의 길이를 측정한 후, 단위 길이(a)를 환산하여 중심선(C)에서 중심선(C)의 양측으로 단위 길이(a)만큼 이격된 위치에 각각 인양 고리(20)를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위 길이(a)는 판재 길이의 8 %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판재(10)의 길이가 10 m 라면, 단위 길이(a)는 80 cm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길이(a)는 판재 길이의 8 %로 설정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판재(10)의 두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즉, 단위 길이(a)는 판재(10)의 두께가 증가될수록 판재(10)의 인양시 판재(10)의 양단부의 처짐이 용이하도록 단위 길이를 8 %보다 축소시킬 수 있고, 판재(10)의 두께가 감소될수록 단위 길이를 8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중심선(C)에서 중심선(C)의 양측으로 단위 길이(a)만큼 이격된 위치에 각각 인양 고리(20)를 고정한다. 인양 고리(20)는 중심선(C)에서 판재 길이의 8 %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중심선(C) 양측의 인양 고리(20) 간의 이격 거리는 판재 길이의 16 %에 해당한다.
판재(10)의 안정적인 인양을 위해 인양 고리(20)는 중심선(C)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선(C)을 따라 소정의 간격(예를 들어, 단위 길이(a))으로 이격된 2 부위에 인양 고리(20)를 고정하였으나, 판재(10)의 안정적인 인양을 위해서라면 그 이상의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인양 고리(20)의 고정은 용접 또는 볼팅(bolting)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의 인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인양 고리(20)의 고정이 완료된 후, 기중기와 같은 인양 기구(미도시)를 인양 고리(20)와 연결한다. 그리고, 인양 기구를 이용하여 판재(10)를 인양한다. 판재(10)를 인양하는 높이는 제작하고자 하는 탱크(100)의 직경보다 크도록 한다. 단, 판재(10)의 인양 높이는 작업자가 판재(10)의 양단부에 고정된 견인 고리(30)에 대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정도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재(10)가 인양되면, 인양 고리(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판재(10)의 양단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자중에 의해 지면을 향하여 처지게 된다.
판재(10)의 양단부에는 판재(10)의 양단부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 고리(30)를 고정 설치한다.
견인 고리(30)는 인양 고리(20)에 의해 판재(10)를 인양하여 판재(10)의 양단부가 자중에 의해 지면을 향하여 쳐져 있을 때, 판재(10)의 양단부를 판재(10)의 중심축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하여 탱크 바디(200)를 형성할 수 있다. 판재(10)의 양단부의 견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견인 고리(30)는 판재(10) 양단의 하부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판재(10)의 견인에 의해 판재(10) 양단이 지면을 향하여 쳐지게 되면, 판재(10) 양단의 견인 고리(30)는 서로 대향하게 된다. 여기서, 견인 고리(30)는 판재(10)의 양단에 단일개로 설치될 수 있지만, 판재(10) 양단부의 균일한 견인을 위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인 고리(30)는 인양 고리(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견인 고리(30)는 견인선(32)에 의해 외부의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견인선(32)은 강철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견인선(32)은 판재(10)의 양단부를 견인할 수 있다면 다른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구동부는 외부의 전원 공급에 의해 동작하는 전동 모터(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고, 인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견인선(32)이 구동부에 의해 견인될 때 견인을 용이하게 하거나, 견인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별도의 풀리 또는 도르레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견인선(32)의 안정적인 견인을 위해서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장치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재에 의한 탱크 바디의 제작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견인 고리(30)를 당김으로써 판재(10)의 양단부는 중심 방향으로 견인한 후, 판재(10)의 중심 방향으로 모아진 판재(10)의 양단부를 서로 맞대어지도록 한다. 이후, 서로 맞대어진 판재(10)의 양단부는 용접에 의해 접합되도록 하여,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탱크의 기본 형태를 이루는 원통형의 탱크 바디(200)를 형성하게 된다.
도 6과 도 7은 도 5의 A 부분의 상세 도면으로서, 판재(10)의 양단부가 서로 맞대어져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판재(10)의 양단부는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탱크의 기본 형태를 이루는 탱크 바디(200)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판재(10)의 양단부가 소정의 폭만큼 서로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탱크의 기본 형태를 이루는 탱크 바디(200)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도 7과 같이 판재(10)의 양단부가 소정의 폭만큼 겹쳐지면, 탱크 바디(200)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완성된 탱크 바디(200)의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하부 캡(300A)과 상부 캡(300B)이 고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바디(200)의 하단과 상단에 하부 캡(300A)과 상부 캡(300B)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하부 캡(300A)과 상부 캡(300B)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하부 캡(300A)과 상부 캡(300B)의 직경은 탱크(100)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캡(300A)과 상부 캡(300B)은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탱크(100)의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캡(300A)의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탱크 바디(20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302)가 형성된다. 지지부(302)는 하부 캡(300A)의 중심점에서 외주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로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02)는 상부 캡(300B)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캡(310A)에 형성되는 지지부(312A)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부(312A)는 하부 캡(310A)과 동심원 형태이고, 하부 캡(310A)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직경을 갖는다. 또한, 지지부(312A)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12A)는 하부 캡(310A)이 탱크 바디(200)의 하단과 상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탱크 바디(200)의 내주면을 지지하여, 탱크 바디(200)의 원통형의 형상이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탱크 바디(200)를 지지한다.
한편, 하부 캡(300A)에는 도 8에 도시된 지지부(302)와 도 9에 도시된 지지부(312A)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캡(300B)에도 도 8에 도시된 지지부(302)와 도 9에 도시된 지지부(312A)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캡(300A)과 상부 캡(300B)은 다음과 같이 탱크 바디(200)에 고정된다.
작업장의 소정의 위치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캡(300A)을 위치시키고, 외력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하부 캡(300A)의 상부에는 하부 캡(300A)에 맞추어 수직으로 탱크 바디(200)를 세운다. 세워진 탱크 바디(200)와 하부 캡(300A)은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탱크 바디(200)가 원형을 이루지 않는 경우, 즉 원형으로 형성된 하부 캡(300A)과 맞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원형으로 정형한다. 탱크 바디(200)를 하부 캡(300A)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탱크 바디(200)의 돌출된 부분에는 탱크 바디(200)의 외주측에서 외력을 인가하여 탱크 바디(200)를 원통형으로 정형하고, 탱크 바디(200)의 함몰된 부분에는 탱크 바디(200)의 내주측에서 외력을 인가하여 탱크 바디(200)를 원통형으로 정형한다.
탱크 바디(200)가 하부 캡(300A)의 형태에 맞추어 원통형으로 정형된 상태에서 하부 캡(300A)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302)는 탱크 바디(200)의 내주면을 지지하여 탱크 바디(200)의 원통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탱크 바디(200)와 하부 캡(300A)의 용접이 완료된 후, 탱크 바디(200)의 상부에 상부 캡(300B)을 연결하고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탱크 바디(20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 캡(300B)에도 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탱크 바디(200)의 원통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탱크 바디(200)와 하부 캡(300A)과 상부 캡(300B)의 용접 부위는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빈틈없이 용접을 하도록 한다. 탱크 바디(200)에 하부 캡(300A)과 상부 캡(300B)을 고정하고, 이후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공급관(400a)과 배출관(400b) 등을 연결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탱크를 완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장용 탱크를 제작하기 위해 금속 판재를 인양하여 금속 판재의 자중에 의해 판재가 지면을 향하여 처지므로, 탱크의 제작을 위한 별도의 판재 절곡 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판재
20: 인양 고리
30: 견인 고리
32: 견인선
100: 탱크
200: 탱크 바디
300A, 310A: 하부 캡
300B: 상부 캡
302, 312A: 지지부
400a: 공급관
400b: 배출관
a: 단위 길이
C: 중심선

Claims (10)

  1. 판재를 절곡하여 탱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판재를 인양하여 상기 판재의 양단부가 지면 방향으로 처지게 한 후, 상기 판재의 상기 양단부를 서로 맞대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제조 방법.
  2. 판재를 절곡하여 탱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판재에 인양 고리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인양 고리를 이용하여 상기 판재를 인양하는 단계;
    상기 판재의 양단부를 견인하여 서로 맞대는 단계;
    상기 판재의 서로 맞대어진 양단부를 고정하여 탱크 바디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탱크 바디의 양측 단부에 캡을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를 인양하는 단계에서 상기 판재의 양단부가 자중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처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 고리는 상기 판재의 중심선 양측으로 단위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길이는 상기 판재 길이의 8 %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양단부에는 상기 판재의 양단부의 견인을 위한 견인 고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양단부의 견인을 위하여 상기 견인 고리를 견인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제조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탱크 바디를 원형으로 유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제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KR1020100025311A 2010-03-22 2010-03-22 탱크 제조 방법 KR20110106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311A KR20110106085A (ko) 2010-03-22 2010-03-22 탱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311A KR20110106085A (ko) 2010-03-22 2010-03-22 탱크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085A true KR20110106085A (ko) 2011-09-28

Family

ID=4495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311A KR20110106085A (ko) 2010-03-22 2010-03-22 탱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60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819A (ko) 2015-06-30 2017-01-10 (주)두성특장차 탱크로리용 저장탱크의 지그장치
KR102242205B1 (ko) 2020-01-03 2021-04-19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용접결함의 문제점을 해결한 선박 설치용 포터블탱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819A (ko) 2015-06-30 2017-01-10 (주)두성특장차 탱크로리용 저장탱크의 지그장치
KR102242205B1 (ko) 2020-01-03 2021-04-19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용접결함의 문제점을 해결한 선박 설치용 포터블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97596A1 (zh) 具有中空结构的预制件
CN103243961B (zh) 火力发电厂烟囱钛板钢内筒倒装施工装置
CN204327103U (zh) 一种用于隧道盾构始发的反力架
WO2015087774A1 (ja) ドーム状屋根の施工方法およびドーム状屋根の中間構造物
KR20110106085A (ko) 탱크 제조 방법
CN204139593U (zh) 一种组合式圆柱钢模板
CN107806397A (zh) 一种风力发电机组及其塔筒、塔筒单元
CN102704677A (zh) 伸缩式模板支撑梁
CN201834673U (zh) 兆瓦级风机发电机外壳吊装装置
CN102923401B (zh) 粉料罐及具有粉料罐的搅拌站
KR101701123B1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연결 방법
KR20120006727U (ko) 강관파일 연결구조
CN102815609A (zh) 倒装法罐体组装电动升降系统及提升方法
KR101033625B1 (ko) 염색용 보빈
JP5538151B2 (ja) 杭と鉄骨柱との接合構造
KR20110114288A (ko) 탱크 바디 회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 바디 제조 방법
CN103924811B (zh) 一种大型圆柱形储料罐的制作方法
CN103241342A (zh) 一种用于船体分段制造的支柱式胎架
CN203546619U (zh) 一种桥梁施工用水平式简易放索盘
CN207001997U (zh) 预制桩的起吊装置
JP2018059300A (ja) タンクの構築方法
CN202045119U (zh) 一种填埋场气井井管扶正器
CN202689656U (zh) 带混凝土法兰的空心混凝土杆
CN206607951U (zh) 双圈式架立圈水泥电杆
CN105057938A (zh) 一种大型船罐封头组装的方法及支撑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