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4748A -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4748A
KR20110104748A KR1020100023827A KR20100023827A KR20110104748A KR 20110104748 A KR20110104748 A KR 20110104748A KR 1020100023827 A KR1020100023827 A KR 1020100023827A KR 20100023827 A KR20100023827 A KR 20100023827A KR 20110104748 A KR20110104748 A KR 20110104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epth
subject
focus lens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곤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3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4748A/ko
Publication of KR20110104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by the use of more than one image, e.g. averaging, subtraction
    • G06T5/92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으로, 피사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 렌즈와,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렌즈 구동부와, 피사체 영상 내의 모든 피사체가 피사계 심도에 포함되도록 포커스 렌즈를 복수의 스텝으로 구동하도록 렌즈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복수의 스텝들 각각에 대하여 피사체 영상을 촬상하여 복수의 영상신호들을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복수의 영상신호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Digital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감시 카메라 등의 디지털 촬영장치는 촬상소자를 사용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이다. 최근 배터리 용량 등의 발달이나 소형화로 인하여 휴대가 용이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어디서나 손쉽게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촬영을 위한 특수한 기능들이 추가되어 전문가가 아니라도 좋은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피사체가 포함된 영상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 측면에 의하면, 피사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 렌즈와,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렌즈 구동부와, 피사체 영상 내의 모든 피사체가 피사계 심도에 포함되도록 포커스 렌즈를 복수의 스텝으로 구동하도록 렌즈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복수의 스텝들 각각에 대하여 피사체 영상을 촬상하여 복수의 영상신호들을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복수의 영상신호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어부는, 촬영 조건에 따른 피사계 심도를 계산하고, 계산한 피사계 심도에 따라서 포커스 렌즈를 구동하는 스텝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어부는, 피사체 영상 내에 포함된 피사체들 각각에 대한 촬영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와, 피사체들 각각의 촬영 거리에 따라서 피사계 심도를 조절하는 심도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피사체 영상의 선명도를 측정하는 선명도 측정부와, 복수의 영상신호들에서 피사체 영상의 동일 영역에 대하여 선명도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 합성부는 피사체 영상의 각 영역에 대하여 선명도가 가장 높은 영상신호의 데이터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피사계 심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피사체 영상 내의 모든 피사체가 피사계 심도에 포함되도록 포커스 렌즈를 복수의 스텝으로 구동하는 단계와, 복수의 스텝들 각각에 대하여 피사체 영상을 촬상하여 복수의 영상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와, 복수의 영상신호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포커스 렌즈를 복수의 스텝으로 구동하는 단계는, 피사체 영상 내에 포함된 피사체들 각각에 대한 촬영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와, 피사체들 각각의 촬영 거리에 따라서 피사계 심도를 조절하는 단계와, 피사계 심도에 따라서 포커스 렌즈를 구동하는 스텝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피사체 영상의 선명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복수의 영상신호들에서 피사체 영상의 동일 영역에 대하여 선명도를 비교하는 단계와, 피사체 영상의 각 영역에 대하여 선명도가 가장 높은 영상신호의 데이터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수의 피사체가 포함된 영상을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디지털 촬영장치에서의 피사계 심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복수의 스텝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영상을 합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00)는, 결상 광학계(101), 촬상소자(107), 영상입력 콘트롤러(110), DSP/CPU(120), 조작부(130), 드라이버(140), 모터(141), 영상신호 처리부(150), 압축 처리부(15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2), 디스플레이부(153), ROM(160), RAM(161), 메모리 콘트롤러(162), 메모리(16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상 광학계(101)는, 예를 들면 줌 렌즈(102), 포커스 렌즈(104) 등의 렌즈군과 조리개(103) 등으로 이루어진다. 결상 광학계(101)는 외부의 광 정보를 촬상소자(107)에 결상시키는 광학계 시스템으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소자(107)까지 투과시킨다. 줌 렌즈(102)는 초점거리를 변화시켜 화각을 바꾸는 렌즈이다. 조리개(103)는 투과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포커스 렌즈(104)는, 광축을 따라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또는 상기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촬상소자(107)의 촬상면에 피사체 영상의 초점을 맞춘다. 즉, 피사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한다.
줌 렌즈(102), 조리개(103), 포커스 렌즈(104) 등은 드라이버(140)로부터 구동신호를 인가받은 모터(141)에 의해 구동된다. 도 1에서는 드라이버(140) 및 모터(141)를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줌 렌즈(102), 조리개(103) 및 포커스 렌즈(104)가 각각 한 쌍의 드라이버와 모터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드라이버(140) 및 모터(141)는 포커스 렌즈(104)의 위치를 조절하는 렌즈 구동부의 일례일 수 있다.
촬상소자(107)는 광전변환소자의 일례로서, 결상 광학계(101)를 투과하여 입사된 광 정보를 전기신호를 변환하는 광전 변환이 가능한 복수의 소자로 구성된다. 각 소자는 수광한 광에 따른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촬상소자(107)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촬상소자(107)는 또한 CDS/AMP(108), A/D 변환부(ADC: analog digital convertor)(109)를 포함할 수 있다. CDS/AMP(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증폭기(amplifier))(108)는, 촬상소자(107)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에 포함되는 저주파 노이즈를 제거함과 동시에, 영상신호를 임의의 레벨까지 증폭한다. A/D변환부(109)는, CDS/AMP부(108)로부터 출력된 영상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A/D변환부(109)는, 생성한 디지털 신호를 영상입력 콘트롤러(110)로 출력한다.
영상입력 콘트롤러(110)는 A/D 변환부(109)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처리를 하여 영상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영상입력 콘트롤러(110)는, 영상신호를 예를 들면 영상신호 처리부(150)로 출력한다. 또한, 영상입력 콘트롤러(110)는 RAM(161)으로의 영상 데이터의 읽기 및 쓰기를 제어한다.
DSP/CPU(120)는,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처리장치 및 제어장치로서 기능하고, 디지털 촬영장치(100) 내에 설치된 각 구성요소의 처리를 제어한다. DSP/CPU(120)는, 예를 들면 포커스 제어나 노출 제어에 기초하여 드라이버(140)로 신호를 출력하여 결상 광학계(101)를 구동시킨다. 또한, DSP/CPU(120)는 조작부(13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촬영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DSP/CPU(120)가 하나만으로 이루어진 구성이지만, 신호계의 명령과 조작계의 명령을 별도의 CPU에서 행하는 등 복수의 CPU로 구성되어도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DSP/CPU(120)는 피사체 영상 내의 모든 피사체가 피사계 심도에 포함되도록 포커스 렌즈(104)를 복수의 스텝으로 구동하도록 드라이버(14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피사계 심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디지털 촬영장치에서의 피사계 심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피사계 심도란 렌즈로 어떤 거리의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 그 앞쪽과 뒤쪽의 일정한 거리 내에 초점이 맞게 되는데, 그 범위를 의미한다. 피사계 심도는 조리개 값, 피사체의 촬영거리, 렌즈의 초점거리에 의하여 결정된다. 조리개와 피사계 심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조리개가 많이 열릴수록(조리개 값이 작을수록) 피사계 심도는 얕아진다. 반대로 조리개가 많이 닫힐수록(조리개 값이 클수록) 피사계 심도는 깊어진다. 촬영거리와 피사계 심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촬영거리가 가까울수록 피사계 심도가 얕아지고 촬영거리가 멀수록 피사계 심도가 깊어진다. 또한 초점거리와 피사계 심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초점거리가 길수록 피사계 심도가 얕아지고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피사계 심도가 깊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 내에 복수의 피사체(A~D)가 포함된 경우, 피사체 B에 초점이 맞춰서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이다. 각 피사체는 디지털 촬영장치(100)로부터의 거리, 즉 촬영거리가 상이하다. 따라서 피사체 B가 포함된 area0 영역에서는 기준치(ref) 이상의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으나,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초점이 맞지 않아 흐릿한 영상이 생성된다. 여기서 area0이 피사계 심도가 된다. 이와 같이, 한 번의 촬영으로는 모든 피사체가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디지털 촬영장치(100)로부터 모든 거리에 대하여 선명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DSP/CPU(120)는 포커스 렌즈(104)를 복수의 스텝으로 구동한다. 그리고 포커스 렌즈(104)가 구동된 각 스텝마다 영상을 촬영한다. 즉, 초점 위치를 조절하면서 복수의 영상을 촬영하여 모든 영역이 피사계 심도 내에 포함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00)에서 복수의 스텝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피사체 A~D가 근거리부터 원거리까지 흩어져 분포해 있다. 정해진 화각 내에서 초점이 원거리부터 근거리 또는 근거리부터 원거리로 이동하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DSP/CPU(120)는 사용자로부터 촬영 신호가 인가된 경우, 포커스 렌즈(104)를 복수의 스텝으로 구동한다. 이때, 각 스텝에서, 촬영된 영상이 기준치(ref) 이상의 선명도를 갖는 피사계 심도의 범위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혹은 최소로 겹치도록 포커스 렌즈(104)를 구동한다. 도 3의 경우, 4번의 스텝으로 포커스 렌즈(104)를 구동한다. 이러한 복수의 스텝으로 포커스 렌즈(104)를 구동함으로 인하여 피사체 영상 내의 모든 피사체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피사계 심도 범위 내에 포함되게 된다.
DSP/CPU(120)는 복수의 스텝을 결정함에 있어서 촬영조건을 고려할 수 있다. 결정된 촬영조건에 따라서 피사계 심도가 계산될 수 있으며, DSP/CPU(120)는 계산된 피사계 심도에 따라서 포커스 렌즈(104)를 구동할 스텝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은 경우 DSP/CPU(120)는 조리개 값, 촬영거리 및 초점거리에 따라서 피사계 심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 포커스 렌즈(104)를 4번의 스텝으로 구동하도록 결정한 것일 수 있다.
한편, DSP/CPU(120)는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피사체들의 위치, 즉 디지털 촬영장치(100)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포커스 렌즈(104)를 구동하는 스텝 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 수를 조절하기 위하여는 피사계 심도를 조절하여야 한다. 피사계 심도는 초점거리, 촬영거리, 및 조리개 값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초점거리 및 촬영거리가 고정되어 있는 값이므로 DSP/CPU(120)는 조리개 값을 변경시켜 피사계 심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들의 위치를 파악한 결과 포커스 렌즈(104)를 4 스텝으로 구동하는 것보다 5 스텝으로 구동하는 경우, 각 피사체가 각각의 스텝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더욱 선명하게 촬영될 수도 있다. 이는 4 스텝으로 포커스 렌즈(104)를 구동하는 것보다 5 스텝으로 구동할 때, 피사체가 각 피사계 심도의 중심 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일 수 있다.
조작부(130)는, 예를 들면 디지털 촬영장치(100)에 설치된 전원버튼, 셔터 버튼, 줌 버튼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기초하여 조작신호를 DSP/CPU(120) 등에 전송한다.
영상신호 처리부(150)는 영상입력 콘트롤러(110)로부터 영상신호를 받아 WB 제어값, γ값, 윤곽 강조 제어값 등에 기초하여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압축 처리부(151)에 인가될 수 있다. 또는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라이브 뷰 영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RAM(16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2) 등을 거쳐서 디스플레이부(153)로 전송된다.
한편, 영상신호 처리부(150)는 자동 초점 조절을 위하여 영상신호로부터 콘트라스트 값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한 콘트라스트 값을 분석하여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들의 디지털 촬영장치(150)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한 피사체들의 거리는 상기 언급한 포커스 렌즈(104)의 구동 스텝 수의 조절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 처리부(150)는 생성된 영상신호로부터 촬영된 피사체 영상의 모든 영역에 대하여 선명도를 측정한다. 한 번의 촬영신호에 의하여 초점이 변경된 복수의 영상신호가 생성되므로, 영상신호 처리부(150)는 생성된 모든 영상신호에 대하여 선명도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영상신호들에서, 피사체 영상의 동일한 영역에 대하여 어느 스텝에서 촬영된 영상의 영상신호가 가장 높은 선명도를 갖는지 측정한 결과를 비교한다.
압축 처리부(151)는 압축 처리 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예를 들면 JPEG 등의 압축 형식으로 영상신호를 압축 처리한다. 압축 처리부(151)는, 셔터 신호가 인가될 때에 생성한 영상신호, 즉 스틸 영상을 사용하여 압축 처리하고, 압축 처리로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을 예를 들면 메모리 콘트롤러(162)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00)에서 압축 처리부(151)는 복수의 영상신호를 사용하여 하나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합성 영상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압축 처리부(151)는 영상신호 처리부(150)에서 복수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측정한 선명도 및 각 영상신호들의 선명도 비교 결과를 사용하여 하나의 합성 영상을 생성한다. 즉, 압축 처리부(151)는 피사체 영상의 각 영역에 대하여 선명도가 가장 높은 영상신호의 데이터들만을 추출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영상을 합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과 같이 4 스텝으로 포커스 렌즈(104)를 구동하여 4개의 영상신호(V1~V4)를 생성하였으며, 우측의 그래프는 각각의 영상신호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첫 번째 스텝에서 생성된 영상신호에서는 피사체 A가 다른 영상신호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선명도를 가지며, 두 번째 스텝에서 생성된 영상신호에서는 피사체 B가 다른 영상신호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선명도를 갖는다. 또한 세 번째 스텝에서 생성된 영상신호에서는 피사체 C가 다른 영상신호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선명도를 가지며, 네 번째 스텝에서 생성된 영상신호에서는 피사체 D가 다른 영상신호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선명도를 갖는다. 따라서 첫 번째 영상에서는 피사체 A 또는 그 주변 영역의 영상신호가, 두 번째 영상에서는 피사체 B 또는 그 주변 영역의 영상신호가 합성 영상의 데이터로서 사용된다. 또한 세 번째 영상에서는 피사체 C 또는 그 주변 영역의 영상신호가, 네 번째 영상에서는 피사체 D 또는 그 주변 영역의 영상신호가 합성 영상의 데이터로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합성된 영상은 도 4의 우측 하단과 같은 선명도를 갖게 되며, 이로 인하여 모든 피사체가 선명하게 촬영된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2)는, 디스플레이부(153)를 구동하여 영상을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2)는 RAM(160)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인가받아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3)에 디스플레이한다.
ROM(160)은 촬영 조건 등과 관련된 사용자의 설정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ROM(160)은 DSP/CPU(120)에서 디지털 촬영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ROM(160)으로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RAM(161)은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영상 표시용 메모리로서의 VRAM(video RAM)과 촬영한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SDRAM(synchronous DRAM)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콘트롤러(162)는 메모리(163)로의 영상 데이터의 기입, 또는 상기 메모리(163)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나 설정 정보 등의 독출을 제어한다. 메모리(163)는, 예를 들면 광디스크(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반도체 기억 매체 등으로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압축 처리부(151)에서 생성된 영상 파일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메모리 콘트롤러(162), 메모리(163)는 디지털 촬영장치(10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100)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털 촬영장치(100)에서 촬영모드가 개시되면 촬상소자(107)가 실시간으로 피사체 영상의 촬상을 개시한다(S1). 사용자에 의한 줌 조작이 있는지 판단하고(S2), 줌 조작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신호에 맞추어 줌 렌즈(102)를 구동한다(S3).
사용자에 의하여 셔터 반누름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판단하고(S4), 셔터 반누름 신호가 인가된 경우에는 자동 초점 조절 동작을 수행하며, 이 동작을 통하여 촬영하고자하는 피사체 영상에 포함된 피사체를 검출한다(S5).
자동 초점 조절 동작 중 피사체 영상 내에 복수의 피사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S6), 하나의 피사체만이 검출된 경우에는 검출된 피사체에 초점을 조절하고(S20), 사용자에 의한 셔터 완전누름 신호가 인가될 때 영상을 캡쳐한다(S22). S20 단계 내지 S22 단계는 종래의 디지털 촬영장치에 의한 영상 캡쳐 동작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S6 단계에서 영상 내에 복수의 피사체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각 피사체들의 거리를 검출하고(S10), 검출한 피사체들의 거리를 사용하여 포커스 렌즈(104)를 구동하기 위한 피사계 심도를 계산한다. 즉, 각 피사체가 선명하게 촬영될 수 있도록 전체 거리를 분할할 수 있는 피사계 심도 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피사계 심도가 상기 계산 결과가 되도록 조리개 값을 조절한다(S11). 또한 조절된 피사계 심도에 따라서 포커스 렌즈(104)를 구동하는 스텝을 결정한다(S12).
사용자로부터 셔터 완전누름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판단하고(S13), 사용자에 의한 셔터 완전누름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결정한 스텝에 따라서 복수의 스텝으로 포커스 렌즈(104)를 구동하고, 각 스텝에서 영상을 캡쳐한다(S14). 영상의 캡쳐로 생성된 복수의 영상신호들에 대하여 선명도를 측정하고(S15), 영상신호들에서 캡쳐한 피사체 영상의 동일 영역에 대하여 측정한 선명도를 비교한다(S16). 그리고 선명도의 비교 결과, 피사체 영상의 각 영역에 대하여 선명도가 가장 높은 영상신호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하나의 합성 영상을 생성한다(S17).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디지털 촬영장치(100)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여 복수의 피사체가 포함된 영상에서 모든 피사체가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언급된 본 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제어방법을 디지털 촬영장치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ROM(160)일 수도 있고, 이와 다른 별도의 기록매체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디지털 촬영장치 101 결상 광학계
102 줌 렌즈 103 조리개
104 포커스 렌즈 107 촬상소자
108 CDS/AMP 109 A/D 변환부
110 영상입력 콘트롤러 120 DSP/CPU
130 조작부 140 드라이버
141 모터 150 영상신호 처리부
151 압축 처리부 152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153 디스플레이부 160 ROM
161 RAM 162 메모리 콘트롤러
163 메모리

Claims (7)

  1. 피사체 영상의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 렌즈;
    상기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렌즈 구동부;
    상기 피사체 영상 내의 모든 피사체가 피사계 심도에 포함되도록 상기 포커스 렌즈를 복수의 스텝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렌즈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복수의 스텝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피사체 영상을 촬상하여 복수의 영상신호들을 생성하는 촬상소자;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촬영 조건에 따른 상기 피사계 심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피사계 심도에 따라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구동하는 스텝 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 영상 내에 포함된 피사체들 각각에 대한 촬영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및
    상기 피사체들 각각의 촬영 거리에 따라서 상기 피사계 심도를 조절하는 심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영상의 선명도를 측정하는 선명도 측정부; 및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들에서 상기 피사체 영상의 동일 영역에 대하여 선명도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합성부는 상기 피사체 영상의 각 영역에 대하여 선명도가 가장 높은 영상신호의 데이터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5. 피사계 심도를 계산하는 단계;
    피사체 영상 내의 모든 피사체가 피사계 심도에 포함되도록 포커스 렌즈를 복수의 스텝으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스텝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피사체 영상을 촬상하여 복수의 영상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복수의 스텝으로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피사체 영상 내에 포함된 피사체들 각각에 대한 촬영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피사체들 각각의 촬영 거리에 따라서 상기 피사계 심도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계 심도에 따라서 상기 포커스 렌즈를 구동하는 스텝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사체 영상의 선명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상신호들에서 상기 피사체 영상의 동일 영역에 대하여 선명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 영상의 각 영역에 대하여 선명도가 가장 높은 영상신호의 데이터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00023827A 2010-03-17 2010-03-17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04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827A KR20110104748A (ko) 2010-03-17 2010-03-17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827A KR20110104748A (ko) 2010-03-17 2010-03-17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748A true KR20110104748A (ko) 2011-09-23

Family

ID=4495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827A KR20110104748A (ko) 2010-03-17 2010-03-17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47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041A1 (ko) * 2013-08-20 2015-02-2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20502559A (ja) * 2016-11-15 2020-01-23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オブジェクトの距離情報に基づいてオートフォーカス機能を提供する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041A1 (ko) * 2013-08-20 2015-02-2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9648224B2 (en) 2013-08-20 2017-05-09 Hanwha Techwi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
JP2020502559A (ja) * 2016-11-15 2020-01-23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オブジェクトの距離情報に基づいてオートフォーカス機能を提供する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0376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571617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582423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撮像方法、及び画像処理方法
JP620466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720776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48974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erforming object recognition focusing on object motion,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for
US7652714B2 (en) Imag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6124720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9398230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KR101009345B1 (ko) 합초 위치 검출 장치, 촬상 장치 및 합초 위치 검출 방법
JP6900161B2 (ja) 焦点調節装置及び撮像装置
JP5095519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5144724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撮像方法、及び画像処理方法
JP5701942B2 (ja) 撮像装置、カメラ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6303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110104748A (ko) 디지털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0489A (ko) 촬상 장치 및 방법
JP2010060810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5159295B2 (ja) 自動焦点調節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5030883B2 (ja) 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6349908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6421032B2 (ja) 焦点検出装置、焦点検出方法及び焦点検出プログラム
JP6087617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87159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5064500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