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4259A -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4259A
KR20110104259A KR1020100023305A KR20100023305A KR20110104259A KR 20110104259 A KR20110104259 A KR 20110104259A KR 1020100023305 A KR1020100023305 A KR 1020100023305A KR 20100023305 A KR20100023305 A KR 20100023305A KR 20110104259 A KR20110104259 A KR 20110104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fruit
concentrate
ginseng
capsule
fruit concen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인환
Original Assignee
성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인환 filed Critical 성인환
Priority to KR102010002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4259A/ko
Publication of KR20110104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425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6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을 조사처리하고 증숙 및 건조한 인삼열매를 정제수로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단계; 상기의 인삼열매 농축액 및 부형제를 혼합한 것 또는 인삼열매 농축액을 분말화하여 얻은 인삼열매 농축분말 및 부형제를 혼합한 것을 캡슐로 캡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 및 이의 제조방법{Capsule comprising ginseng frui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을 조사처리하고 증숙 및 건조한 인삼열매를 정제수로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단계; 상기의 인삼열매 농축액 및 부형제를 혼합한 것 또는 인삼열매 농축액을 분말화하여 얻은 인삼열매 농축분말 및 부형제를 혼합한 것을 캡슐로 캡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에 관한 것이다.
인삼(Ginseng)은 다년생 반음지성 식물로 오가피과에 속하는 것으로서 중국, 한국의 다양한 의학서적에서 그 효능이 널리 알려져 있어 예로부터 많은 분야의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현대에 와서 인삼에 대해 널리 연구한바, 인삼에는 다량의 진세노사이드(Saponin)가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예로부터 사용되는 약재 이외에도 근래에는 식품에 적용하여 건강식품의 재료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인삼은 보통 재배기간이 4년 이상 소요되며 또한 최고 품질의 인삼은 6년 동안 재배하여 얻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6년 동안 인삼의 재배기간은 기간이 오래 걸리고, 또한 재배하는 동안 각종 병충해, 자연재해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최초 재배량 보다 수확량이 적게 되어 가격이 비싸며, 인삼을 얻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인삼은 땅 밑에 뿌리와 뇌두가 있으며, 땅 위에는 줄기, 잎, 열매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땅 밑의 세근, 지근 및 주근의 뿌리와 뇌두, 뇌두에서 연결된 줄기, 줄기로부터 뻗은 잎, 줄기 끝의 열매 및 상기 줄기와 열매사이를 이어주는 부분으로 작은 가지인 화병이 있다.
인삼은 3년차 이상 재배하게 되면 인삼의 꽃이 피기 시작하며, 5월경에는 초록빛 색깔의 열매가 생기게 된다. 7월 중순이 되면 인삼의 초록빛 열매가 무르익으면서 붉게 변하면서 결실하게 된다.
인삼을 활용하는 부위는 주로 뿌리 부분이므로 인삼재배 농가에서는 인삼의 뿌리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인삼열매가 생기기 시작하면 인삼으로부터 인삼열매를 제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대부분의 인삼재재 농가에서는 화경의 일부를 짤라서 화경과 인삼열매를 같이 한덩어리 상태로 따서 버리고 있다.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인삼에 함유된 사포닌(Saponin)을 의미하며 인삼에는 다양한 종류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인삼의 진세노사이드는 파낙사디올(Panaxadiol, PD)계, 파낙사트리올(Panaxatriol, PT)계, 올레안(Oleanane)계 등이 있다. 또한 인삼에는 상기 진세노사이드 성분 이외에도 비진세노사이드 물질로서 전분 등의 탄수화물, 폴리아세틸렌의 항산화방향족 화합물, 간장을 보호하는 고미신(Gomisin N-A), 유사 인슐린 작용을 하는 산성 펩티드 등이 있다.
진세노사이드의 주요 약리작용은 중추신경계를 비롯하여 내분비계, 면역계, 대사계 등에 영향을 미쳐 신체조절기능에 다양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 이외에도 진세노사이드는 지방 분해력이 크고, 영양분흡수와 소화를 촉진시키며, 세포내의 효소활성화로 신진대사촉진, 에너지를 증가시켜 원기회복, 피로, 무력감, 식욕부진 개선, 혈청단백질 합성을 촉진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진세노사이드 중에서 진세노사이드 Re는 중추신경억제 작용, DNA 및 RNA 촉진작용, 프라스민 활성화 작용,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 촉진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진세노사이드 Rd는 부신피질 호르몬 분비촉진작용을 하며, 진세노사이드 Rb2는 중추신경억제 작용, DNA 및 RNA 합성 촉진 작용, 프라스민 활성화 작용,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분비 촉진작용, 항당뇨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에 함유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는 홍삼을 증숙한 후 열수추출, 유기용매 추출, 초임계추출 등을 통하여 얻은 용액을 음용해 왔다.
그러나 추출의 한계로 홍삼이 가지고 있는 지용성, 수용성, 난용성 및 각종 미네랄 성분을 추출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현재 음용하는 방법으로 흡수력이 저조하여 홍삼 및 인삼열매가 함유하고 있는 진세노사이드의 경우 50% 정도만 흡수될 뿐이었다.
대부분의 식품이나 약재들은 고유의 성분과 맛, 향 등의 특성이 있으며 이들은 일반적인 분쇄과정에서 열에 의하여 일부 효능이나 색상을 잃어버리게 되지만 나노기술에 의해 분쇄된 원료들은 일반적인 온도에서 분쇄가 되므로 원료들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성분이나 맛, 향 등이 유지되며 체내 흡수율이 높게 된다.
또한 물이나 다른 용매로서 추출이 힘든 미네랄 성분도 추출이 가능하며 물로 추출하는 한계와 유기용매에서 추출하기 어려운 지용성 성분 및 물과 유기용매 어느 쪽에도 녹기 어려운 성분들을 추출하는 것이 아닌 나노 상태의 분말을 전체식(whole food)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인삼열매은 인삼뿌리의 성장을 위해 인삼에서 제거된 후 그냥 버려지고 있어 인삼열매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의 이용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인삼열매를 이용하여 이를 캡슐화하는 캡슐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이때 인삼열매 이외에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도록 하여 기능성을 보다 향상시킨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빛을 조사처리하고 증숙 및 건조한 인삼열매를 정제수로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단계; 상기의 인삼열매 농축액 및 부형제를 혼합한 것 또는 인삼열매 농축액을 분말화하여 얻은 인삼열매 농축분말 및 부형제를 혼합한 것을 캡슐로 캡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 인삼재배 농가에서 그냥 버려지는 인삼열매를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를 정제수로 추출하여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많은, 바람직하게는 진세노사이드 Rb1,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Rc, 진세노사이드 Rd, 진세노사이드 Re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 농축액 또는 인삼열매 농축액을 분말화한 인삼열매 농축분말을 얻고 이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빛을 조사처리하고 증숙 및 건조한 인삼열매를 정제수로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단계; 상기의 인삼열매 농축액 및 부형제를 혼합한 것 또는 인삼열매 농축액을 분말화하여 얻은 인삼열매 농축분말 및 부형제를 혼합한 것을 캡슐로 캡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열매 농축액을 포함하는 캡슐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각각의 단계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1)인삼열매 농축액 또는 인삼열매 농축분말 제조
본 발명에서 인삼열매에 진세노사이드의 성분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인삼열매는 빛을 조사하여 처리하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빛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빛(light)은 자외선(ultraviolet rays), 가시광선(visible rays), 적외선(infrared ray)을 모두 포함하는 태양광선을 조사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자외선은 10∼397nm 파장대인 자외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가시광선은 380∼770nm 파장대인 가시광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적외선은 0.75㎛∼1000㎛ 파장대인 적외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에 대한 빛의 조사는 1∼24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인삼열매에 대한 빛의 조사시간이 1시간 미만이면 인삼열매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증가가 미미하고, 24시간 초과하면 인삼열매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증가에 대한 뚜렷한 효과의 상승이 없으며, 도리어 인삼열매에 함유된 다른 영양성분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인삼열매에 대한 빛의 조사 처리는 1∼24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인삼열매에 진세노사이드의 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진세노사이드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인삼열매를 증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삼열매의 증숙의 일예로 90∼120℃의 수증기로 1시간∼24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의 증숙의 일예로 90∼120℃의 수증기로 1시간∼24시간 동안 증숙하는 것을 1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1∼9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1∼4회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증숙한 인삼열매는 인삼열매의 표면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를 실시한다.
상기 인삼열매의 증숙 후 건조는 60∼70℃에서 인삼열매 외부의 수증기를 없앨 수 있을 정도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인삼열매의 건조는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증숙한 인삼열매를 건조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방법의 일예로 상온에서의 자연건조, 열풍을 이용한 열풍건조, 냉풍을 이용한 냉풍건조, 저온에서의 냉동건조, 진공건조,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60∼70℃의 온도에서 인삼열매 외부의 수증기를 없앨 수 있을 정도로 인삼열매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얻은 증숙 및 건조한 인삼열매는 정제수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고 이를 농축한 다음 여과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얻은 증숙 및 건조한 인삼열매를 인삼열매 중량 대비 5∼2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10℃에서 상기 정제수의 최초 부피 대비 5∼50%가 되도록 추출하여 인삼열매 추출물을 얻는다. 인삼열매 추출물은 1/3∼1/4의 부피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얻은 증숙 및 건조한 인삼열매는 정제수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고 이를 농축한 다음 여과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은 후 이를 분말화하여 인삼열매 농축분말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얻은 증숙 및 건조한 인삼열매를 인삼열매 중량 대비 5∼2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10℃에서 상기 정제수의 최초 부피 대비 5∼50%가 되도록 추출하여 인삼열매 추출물을 얻는다. 인삼열매 추출물은 1/3∼1/4의 부피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은 후 이를 동결건조 및/또는 분무건조의 방법을 이용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분말화하여 인삼열매 농축분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인삼열매에 빛을 조사처리 전에 초음파 처리, 저주파 처리, 전기장 처리, 자기장 처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를 추가로 더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처리, 저주파 처리, 전기장 처리, 자기장 처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처리는 인삼열매에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이 증가되도록 하기 위해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초음파 처리는 20kHz 이상에서 10분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초음파 처리는 20∼50kHz에서 10분∼1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저주파 처리는 10kHz 이하에서 10분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저주파 처리는 5∼10kHz에서 10분∼1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기장 처리는 5kv 이상의 전기장에서 30초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기장 처리는 5∼20kv에서 30초∼5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자기장 처리는 5가우스(Gauss) 이상의 자기장에서 10분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자기장 처리는 5∼30가우스에서 10분∼1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2)인삼열매 농축액 또는 인삼열매 농축분말과 부형제의 혼합 후 캡슐화
상기 (1)의 공정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액 또는 인삼열매 농축분말은 부형제와 혼합한 후 캡슐에 충진하여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화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 농축액과 혼합되는 부형제는 식품학적 및/또는 약품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 농축분말과 혼합되는 부형제는 식품학적 및/또는 약품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 농축액과 혼합되는 부형제는 식품학적 및/또는 약품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전분, 당류 및/또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 농축분말과 혼합되는 부형제는 식품학적 및/또는 약품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전분, 당류 및/또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부형제로 사용될 수 있는 전분으로는 옥수수전분, 타피오카전분, 쌀전분, 밀전분, 고구마전분, 감자전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2종 이상의 전분을 사용하는 경우 서로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전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부형제로 사용될 수 있는 전분의 일예로 옥수수전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부형제로 사용될 수 있는 당류는 글루코오스(glucose), 과당(fructose), 갈락토오스(galactose), 만노오스(mannose), 리보스(ribose), 수크로오스(sucrose), 말토오스(malt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린, 올리고당류, 꿀(honey), 프로폴리스(propolis), 트레할로스(trehalos),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만티톨(mantitol), 람니톨(rhamnitol), 이노시톨(Inos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파라티노스, 쿠에르시톨(quercit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2종 이상의 당류를 사용하는 경우 서로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당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부형제로 사용될 수 있는 당류의 일예로 락토오스(lactos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 농축액 또는 인삼열매 농축분말은 캡슐에 충진되는 성분 전체 중량 대비 0.1∼90%의 함량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부형제는 캡슐에 충진되는 성분 전체 중량 대비 10∼99.9%의 함량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 농축액 또는 인삼열매 농축분말과 부형제가 충진되는 캡슐은 소프트 캡슐(soft capsul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삼열매 농축액또는 인삼열매 농축분말과 부형제가 충진되는 캡슐은 젤라틴, 글리세린 또는 천연클로로필을 재료로 하는 캡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삼열매 농축액 또는 인삼열매 농축분말과 부형제를 혼합시 기능성물질을 추가로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의 기능성물질은 쏘팔메토 열매(saw palmetto fruit) 농축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기능성물질은 모시잎(ramie leaf) 농축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기능성물질은 호로파씨(fenugreek seed) 농축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기능성물질은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모시잎 농축액, 호로파씨 농축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2종 이상이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물질은 캡슐에 충진되는 성분 전체 중량 대비 5∼35%의 함량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캡슐에 기능성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기능성물질의 사용량만큼 인삼열매 농축액 또는 인삼열매 농축분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모시잎 농축액 및 호로파씨 농축액은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중에서 인삼열매 대신 쏘팔메토 열매, 모시잎 또는 호로파씨를 사용하여 얻은 각각의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모시잎 농축액, 호로파씨 농축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인삼열매를 함유하는 캡슐제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하기의 공정을 이용하여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인삼으로부터 채취한 인삼열매를 파장이 100㎛인 적외선으로 1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상기의 적외선 조사가 끝난 인삼열매 1kg을 95℃의 수증기로 1시간 동안 증숙한 다음 70℃의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상기의 증숙 및 건조를 3회 동안 실시한 인삼열매 1kg를 정제수 7kg에 넣고 95℃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30%가 되도록 추출하여 인삼열매 추출물을 얻은 다음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을 1/3의 부피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액 30mg과 부형제로서 옥수수전분 60mg, 젖당 6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을 혼합한 다음 분말화하여 얻은 혼합 분말을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액을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의 분말화공정에 의해 인삼열매 농축분말을 얻은 후 인삼열매 농축액 대신 인삼열매 농축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인삼열매를 파장이 100nm인 자외선으로 3시간 동안 조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1-1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액을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의 분말화공정에 의해 인삼열매 농축분말을 얻은 후 인삼열매 농축액 대신 인삼열매 농축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인삼열매를 파장이 500nm인 가시광선으로 5시간 동안 조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실시예 1-1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액을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의 분말화공정에 의해 인삼열매 농축분말을 얻은 후 인삼열매 농축액 대신 인삼열매 농축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1, 실시예 2-1, 실시예 3-1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액을 실험구로 하였다.
시중에서 상품으로 판매하고 있는 인삼뿌리 95℃의 수증기로 1시간 동안 증숙한 다음 70℃의 온도에서 건조시킨 다음 인삼뿌리 1kg를 정제수 7kg에 넣고 95℃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30%가 되도록 추출하여 얻은 인삼 추출물을 대조구로 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각각의 실험구의 인삼열매 농축액과 대조구의 인삼 추출물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구 및 대조구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항목 진세노사이드 함량
실시예 1-1 113
실시예 2-1 115
실시예 3-1 118
대조구 100
상기 표 1의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측정치는 진세노사이드 Rd을 표준품으로 하고 시료를 물과 부탄올로 층분리하여 부탄올층을 건조한 다음, 건조한 시료 및 표준품을 빙초산에 용해시키고 이에 15% 삼염화안티몬 용액을 가하여 60℃에서 30분간 가열 후 냉각하여 52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 값이다. 이때 표 1의 대조구의 진세노이드 함량을 100으로 하였을 때 각 실시예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대조구의 함량에 대한 비를 나타낸 것으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험예 2>
중부대학교 생명과학분석센타에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인삼열매 농축액과 종래 대한민국 특허 제10-0543862에서 얻은 흑삼근, 흑삼미, 홍삼근, 홍삼미에 대한 각각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분석 의뢰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구 및 대조구의 진세노사이드 성분 분석 결과(mg/g)
항목 실시예1-1 흑삼근 흑삼미 홍삼근 홍삼미
진세노사이드 Rg3 4.39 9.18 14.23 0.18 0.10
진세노사이드 Rb1 12.21 1.78 4.78 0.69 1.37
진세노사이드 Rb2 19.28 1.51 3.99 0.19 0.71
진세노사이드 Rc 12.36 1.32 3.93 0.25 0.12
진세노사이드 Rd 30.01 1.14 5.68 0.26 0.10
진세노사이드 Re 129.17 0.20 1.40 0.40 0.99
진세노사이드 Rf - 0.68 1.00 0.22 0.31
진세노사이드 Rg2 2.51 0.28 0.54 0.18 0.22
진세노사이드 Rh1 1.97 1.06 1.17 1.16 1.18
진세노사이드 Rh2 0.02 - - - -
진세노사이드 X 0.25 - - - -
- : 검출되지 않음
상기 표 2의 결과에서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삼열매 농축액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과 종래 대한민국 특허 제0543862에서 얻은 흑삼근, 흑삼미, 홍삼근, 홍삼미에 각각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을 대비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인삼열매 농축액은 특히 진세노사이드 Rb1, 진세노사이드 Rb2, 진세노사이드 Rc, 진세노사이드 Rd, 진세노사이드 Re의 함량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1>
실시예 1-1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액 30mg,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15mg, 부형제로서 옥수수전분 60mg, 젖당 6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은 상기 실시예 1-1에서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2>
실시예 1-1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액을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의 분말화공정에 의해 얻은 인삼열매 농축분말 30mg,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15mg, 부형제로서 옥수수전분 60mg, 젖당 6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은 상기 실시예 1-1에서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1>
실시예 1-1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액 30mg, 모시잎 농축액 15mg, 부형제로서 옥수수전분 60mg, 젖당 6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모시잎 농축액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2>
실시예 1-1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액을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의 분말화공정에 의해 얻은 인삼열매 농축분말 30mg, 모시잎 농축액 15mg, 부형제로서 옥수수전분 60mg, 젖당 6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모시잎 농축액은 상기 실시예 1-1에서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1>
실시예 1-1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액 30mg, 호로파씨 농축액 15mg, 부형제로서 옥수수전분 60mg, 젖당 6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호로파씨 농축액은 상기 실시예 1-1에서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2>
실시예 1-1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액을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의 분말화공정에 의해 얻은 인삼열매 농축분말 30mg, 호로파씨 농축액 15mg, 부형제로서 옥수수전분 60mg, 젖당 6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호로파씨 농축액은 상기 실시예 1-1에서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1>
실시예 1-1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액 30mg,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5mg, 모시잎 농축액 5mg, 호로파씨 농축액 5mg, 부형제로서 옥수수전분 60mg, 젖당 6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모시잎 농축액, 호로파씨 농축액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2>
실시예 1-1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액을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의 분말화공정에 의해 얻은 인삼열매 농축분말 30mg,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5mg, 모시잎 농축액 5mg, 호로파씨 농축액 5mg, 부형제로서 옥수수전분 60mg, 젖당 6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모시잎 농축액, 호로파씨 농축액은 상기 실시예 1-1에서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8-1>
인삼으로부터 채취한 인삼열매를 30kHz에서 30분 동안 초음파처리를 한 다음 파장이 500nm인 가시광선으로 5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상기의 가시광선 조사가 끝난 인삼열매 1kg을 95℃의 수증기로 1시간 동안 증숙한 다음 70℃의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상기의 증숙 및 건조를 3회 동안 실시한 후 인삼열매 1kg를 정제수 7kg에 넣고 95℃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30%가 되도록 추출하여 인삼열매 추출물을 얻은 다음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을 1/3의 부피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액 30mg과 부형제로서 옥수수전분 60mg, 젖당 6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을 혼합한 다음 분말화하여 얻은 혼합 분말을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2>
인삼으로부터 채취한 인삼열매를 30kHz에서 30분 동안 초음파처리를 한 다음 파장이 500nm인 가시광선으로 5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상기의 가시광선 조사가 끝난 인삼열매 1kg을 95℃의 수증기로 1시간 동안 증숙한 다음 70℃의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상기의 증숙 및 건조를 3회 동안 실시한 후 인삼열매 1kg를 정제수 7kg에 넣고 95℃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30%가 되도록 추출하여 인삼열매 추출물을 얻은 다음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을 1/3의 부피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은 후 인삼열매 농축액을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의 분말화공정에 의해 인삼열매 농축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분말 30mg과 부형제로서 옥수수전분 60mg, 젖당 6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을 혼합한 다음 분말화하여 얻은 혼합 분말을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1>
초음파처리 대신 인삼열매를 7.5kHz에서 30분 동안 저주파처리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8-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2>
초음파처리 대신 인삼열매를 7.5kHz에서 30분 동안 저주파처리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8-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1>
초음파처리 대신 인삼열매를 13kv에서 3분 동안 전기장처리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8-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2>
초음파처리 대신 인삼열매를 13kv에서 3분 동안 전기장처리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8-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1>
초음파처리 대신 인삼열매를 15가우스에서 30분 동안 자기장처리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8-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2>
초음파처리 대신 인삼열매를 15가우스에서 30분 동안 자기장처리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8-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1>
인삼으로부터 채취한 인삼열매를 30kHz에서 30분 동안 초음파처리를 한 다음 파장이 500nm인 가시광선으로 5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상기의 가시광선 조사가 끝난 인삼열매 1kg을 95℃의 수증기로 1시간 동안 증숙한 다음 70℃의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상기의 증숙 및 건조를 3회 동안 실시한 후 인삼열매 1kg를 정제수 7kg에 넣고 95℃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30%가 되도록 추출하여 인삼열매 추출물을 얻은 다음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을 1/3의 부피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액 30mg,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15mg, 부형제로서 옥수수전분 60mg, 젖당 6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을 혼합한 다음 분말화하여 얻은 혼합 분말을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은 상기의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2-2>
인삼으로부터 채취한 인삼열매를 30kHz에서 30분 동안 초음파처리를 한 다음 파장이 500nm인 가시광선으로 5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상기의 가시광선 조사가 끝난 인삼열매 1kg을 95℃의 수증기로 1시간 동안 증숙한 다음 70℃의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상기의 증숙 및 건조를 3회 동안 실시한 후 인삼열매 1kg를 정제수 7kg에 넣고 95℃의 온도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30%가 되도록 추출하여 인삼열매 추출물을 얻은 다음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을 1/3의 부피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은 후 인삼열매 농축액을 동결건조 및 분무건조의 분말화공정에 의해 인삼열매 농축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인삼열매 농축분말 30mg,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15mg, 부형제로서 옥수수전분 60mg, 젖당 6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mg을 혼합한 다음 분말화하여 얻은 혼합 분말을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은 상기의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3-1>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대신 모시잎 농축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모시잎 농축액은 실시예 12-1의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3-2>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대신 모시잎 농축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모시잎 농축액은 실시예 12-2의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4-1>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대신 호로파씨 농축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호로파씨 농축액은 실시예 12-1의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4-2>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대신 호로파씨 농축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호로파씨 농축액은 실시예 12-2의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5-1>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15mg 대신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5mg, 모시잎 농축액 5mg 및 호로파씨 농축액 5m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모시잎 농축액, 호로파씨 농축액은 실시예 12-1의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5-2>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15mg 대신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5mg, 모시잎 농축액 5mg 및 호로파씨 농축액 5m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쏘팔메토 열매 농축액, 모시잎 농축액, 호로파씨 농축액은 실시예 12-2의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 인삼뿌리 이외에도 인삼열매로부터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많은 인삼열매 농축액 또는 인삼열매 농축분말을 얻어 이를 인삼가공식품의 일종인 인삼열매 농축액 또는 인삼열매 농축분말을 포함하는 캡슐제를 제공할 수 있어 인삼재배 농가의 수입 향상 및 소비자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Claims (5)

  1. 빛을 조사처리하고 증숙 및 건조한 인삼열매를 정제수로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인삼열매 농축액을 얻는 단계;
    상기의 인삼열매 농축액 및 부형제를 혼합한 것 또는 인삼열매 농축액을 분말화하여 얻은 인삼열매 농축분말 및 부형제를 혼합한 것을 캡슐로 캡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인삼열매 농축액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빛으로 조사처리하고 90∼120℃의 수증기로 1시간∼24시간 동안 증숙을 1∼9회 실시 후 건조한 인삼열매를 인삼열매 중량 대비 5∼2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10℃에서 상기 정제수의 최초 부피 대비 5∼50%가 되도록 추출하여 인삼열매 추출물을 얻고, 이 인삼열매 추출물을 1/3∼1/4의 부피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얻은 것이고,
    인삼열매 농축분말은 상기의 인삼열매 농축액을 분무건조하여 분말화하여 얻은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인삼열매 농축액 또는 인삼열매 농축분말은 캡슐에 충진되는 성분 전체 중량 대비 0.1∼90%의 함량 및 부형제를 캡슐에 충진되는 성분 전체 중량 대비 10∼99.9%의 함량으로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부형제는 식품학적 및 약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의 제조방법.
  5. 청구항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
KR1020100023305A 2010-03-16 2010-03-16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04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305A KR20110104259A (ko) 2010-03-16 2010-03-16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305A KR20110104259A (ko) 2010-03-16 2010-03-16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4259A true KR20110104259A (ko) 2011-09-22

Family

ID=4495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305A KR20110104259A (ko) 2010-03-16 2010-03-16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42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2391A1 (ko) * 2013-07-04 2015-01-08 (주)아모레퍼시픽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2391A1 (ko) * 2013-07-04 2015-01-08 (주)아모레퍼시픽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US10342836B2 (en) 2013-07-04 2019-07-09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having a function for alleviating premenstrual syndrome and menstrual p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3412B1 (en) Composition comprising wenguanguo extracts, methods for preparing same and uses therof
KR20120007275A (ko) 식물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CN102726580B (zh) 一种灵芝茶、灵芝袋泡茶及其加工工艺
CN116509914A (zh) 包含黑参提取物的抗流感病毒组合物、用于治疗呼吸疾病的组合物和抗衰老组合物
US7371416B2 (en) Method for preparing processed ginseng to obtain increased amount of ginsenoside RG5
KR20110122043A (ko)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캔디의 제조방법
US20080113043A1 (en) Method for producing ginseng fruit and ginseng flower stalk with high content of ginsenoside
CN105231450B (zh) 一种南瓜含片及其制备方法
KR100844454B1 (ko) 인삼열매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5130B1 (ko) 인삼열매 추출물, 인삼화병 추출물 및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43725A (ko) 증숙 처리를 통한 프로토페낙사디올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증가된 인삼 잎의 제조방법
CN102961414A (zh) 中草药原浆及其应用
KR100852137B1 (ko)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이 많은 인삼열매와 인삼화병의제조방법
KR100824970B1 (ko) 호장근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과 알레르기 질환의치료제로서 그의 용도
KR100852138B1 (ko)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10035835A (ko)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젤리의 제조방법
KR101068216B1 (ko)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홍삼의 특유 성분이 증가된 인삼의 제조방법
KR20100029559A (ko) 닥나무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1829810B1 (ko) 청보리잎과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641367A (zh) 通光散清咽止咳糖及冲剂
KR101029538B1 (ko)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분말의 제조방법
KR20100043723A (ko) 원적외선 처리를 통한 프로토페낙사디올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증가된 인삼 잎의 제조방법
KR20110104259A (ko) 인삼열매를 포함하는 캡슐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7767B1 (ko) 인삼열매로부터 인삼엑기스의 제조방법
KR101413283B1 (ko) 면역력 증강을 위한 면역증강복합물을 이용한 인삼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