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210A - 승강형 작업대 - Google Patents

승강형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210A
KR20110103210A KR1020100022429A KR20100022429A KR20110103210A KR 20110103210 A KR20110103210 A KR 20110103210A KR 1020100022429 A KR1020100022429 A KR 1020100022429A KR 20100022429 A KR20100022429 A KR 20100022429A KR 20110103210 A KR20110103210 A KR 20110103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uide
guide track
work platform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6890B1 (ko
Inventor
윤종진
나정칠
정용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2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890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형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마주 보는 홈부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 트랙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한 승강형 작업대로서, 상기 가이드 트랙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와 상기 가이드 트랙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트랙에 결합된 상태로 승강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트랙에 결합된 상태로 승강하는 가이드가 본체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본체와 상기 가이드 트랙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강형 작업대{Elevating Work Platform for Drillship.}
본 발명은 승강형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와 가이드 트랙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승강형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석유 등을 시추하는 시추선(drillship)에는, 높은 탑 모양의 데릭(derrick)이 있는데, 이러한 데릭은 시추선 갑판으로부터 약 70m에 이를 정도로 높은 구조물이다. 이러한 데릭의 내부에는 가이드 트랙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트랙에는 시추를 위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탑드라이브장치(Top Drive Assembly)가 상하로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정확한 시추공을 파기 위해서는 상기 탑드라이브장치가 매우 정밀하게 상기 가이드 트랙 상에서 상하로 이동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트랙은 상당한 정밀도를 가져야 하므로, 작은 철판 조각으로 상기 가이드 트랙의 정밀도를 높여주는 시밍(shimming)작업이 상기 가이드 트랙 전체에 걸쳐서 필요하다.
종래에는, 암벽 등반과 같은 등반 능력을 소유한 고소(高所) 작업 전문인력이 상기 데릭에 설치된 로프에 매달린 상태로 시밍작업을 수행하였는데, 이렇게 로프에 매달려서 작업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작업 자세가 불안정하여 작업 소요 시간도 매우 길다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위험 부담 때문에 상기 고소 작업 전문인력의 인건비가 상당히 높다는 문제점도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승강형 작업대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 승강형 작업대(1)는, 본체(2)와, 상기 데릭에 매달린 와이어로프(3)와, 상기 본체(2)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로프(3)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상기 본체(2)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승강형 작업대(1)는 단순히 와이어로프(3)와 구동장치(4)를 구비한 일반적인 용도의 승강형 작업대인바, 해상에 떠 있는 시추선과 같이 파도에 의한 흔들림이 심한 곳에서는 사용하기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형 작업대(1)는, 단순한 직사각형 바닥면을 가진 본체(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상기 가이드 트랙의 바깥 쪽 부분에 대하여 시밍작업을 하기에는 매우 불편한 구조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본체와 가이드 트랙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승강형 작업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형 작업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마주 보는 홈부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 트랙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한 승강형 작업대로서, 상기 가이드 트랙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와 상기 가이드 트랙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트랙에 결합된 상태로 승강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트랙에 결합된 상태로 승강하는 가이드가 본체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본체와 상기 가이드 트랙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승강형 작업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승강형 작업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승강형 작업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승강형 작업대의 연장플랫폼이 가이드 트랙에 근접하는 제1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승강형 작업대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승강형 작업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승강형 작업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승강형 작업대의 연장플랫폼이 가이드 트랙에 근접하는 제1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형 작업대(100)는, 시추선 갑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물인 데릭과, 상기 데릭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마주 보는 홈부(6)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 트랙(5)을 가지는 시추선의 상기 데릭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한 승강형 작업대로서, 본체(10)와, 가이드(20)와, 연장플랫폼(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가이드 트랙(5)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데릭 내부에서 작업을 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탑승하는 곳으로서, 프레임(11)과, 바닥면(12)과, 바퀴(13)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11)은, 다수개의 철재 파이프를 용접하여 제조되는 박스형 부재로서, 기본적인 골격을 형성하며, 탑승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울타리 기능도 한다.
상기 프레임(11)의 양 측면에는, 상기 데릭의 상부에 결합된 와이어로프(3)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상기 프레임(11)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장치(4)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71103호에 개시된 간이승강기용 승하강장치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바닥면(12)은, 상기 프레임(11)의 하부에 결합되는 T 자 형상의 합판으로서, 작업자의 발판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12)의 중앙 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트랙(5)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 너비와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바닥면(12)의 측면 2개의 돌출부 말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트랙(5)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큰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바퀴(13)는, 4개 마련되며, 상기 프레임(11)의 하면 4개 코너부에 결합되는 바퀴로서, 시추선의 갑판이나 지상에서의 위치 이동을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20)는,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바닥면(12)의 중앙 돌출부 양측면 부근에서, 상기 프레임(11)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부재로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트랙(5)의 홈부(6)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트랙(5)에 결합되어 있으며, 끝단에는 승강시에 상기 홈부(6)에 접촉하여 구름운동 가능한 롤러(21)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20)는, 상기 가이드 트랙(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트랙(5)을 따라서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20)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가이드 트랙(5)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이격될 수 있도록 헝성되는데, 이는 상기 가이드(20)가 상기 프레임(11)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와 돌출된 길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연장플랫폼(30)은, 상기 본체(10)의 프레임(11)에 힌지(3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로서, 작업자가 발을 딛고 작업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연장플랫폼(30)은, 상기 힌지(31)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트랙(5)에 근접하는 제1위치와 상기 가이드 트랙(5)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다.
상기 연장플랫폼(30)은,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는 잠금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잠금수단으로서 잠금고리(미도시)가 사용되고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플랫폼(30)이 상기 가이드 트랙(5)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승강형 작업대(100)에 탑승을 하게 되고, 상기 구동장치(4)를 가동하여 상기 와이어로프(3)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상기 본체(10)를 승강시켜서 원하는 지점에 위치시키고, 작업자는 상기 본체(10)의 바닥면(12)에 서서 상기 가이드 트랙(5)의 전면에 대한 시밍(shimming)작업 등을 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형 작업대(100)는, 한 쌍의 가이드 트랙(5)의 홈부(6)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트랙(5)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2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승강시 또는 정지시에 상기 본체(10)와 상기 가이드 트랙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파도에 의한 흔들림이 심한 경우에도 상기 본체(10)가 흔들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형 작업대(100)는, 상기 가이드(20)의 끝단에 승강시에 상기 가이드 트랙(5)의 홈부(6)에 접촉하여 구름운동 가능한 롤러(21)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20)와 상기 가이드 트랙(5) 간의 마찰이 감소되어 마찰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마찰력의 감소로 상기 본체(10)가 원활하게 상기 가이드 트랙(5)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트랙(5)의 측면에 대한 시밍작업을 위해서는, 먼저, 상기 연장플랫폼(30)의 잠금고리(미도시)를 해제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플랫폼(30)을 상기 가이드 트랙(5)에 근접하는 제1위치로 회전시키고, 다시 상기 잠금고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1위치에 위치 고정시킨다. 그 후, 작업자는 상기 제1위치에 고정된 연장플랫폼(30)에 서서 상기 가이드 트랙(5)의 측면에 대한 시밍작업을 행한다.
이렇게, 상기 승강형 작업대(100)는, 상기 힌지(31)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트랙(5)에 근접하는 제1위치와 상기 가이드 트랙(5)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연장플랫폼(3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승강시에는 상기 연장플랫폼(30)을 상기 제2위치에 위치시켜 주변 구조물들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고, 작업시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연장플랫폼(30)을 상기 제1위치로 위치시켜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형 작업대(100)는, 상기 연장플랫폼(30)을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에서 위치 고정할 수 있는 잠금고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상기 연장플랫폼(30) 상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안정된 작업이 가능하며, 승강시에도 상기 연장플랫폼(30)이 상기 힌지(31)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작업자가 상기 가이드 트랙(5)에 대한 시밍작업을 마친 경우에는, 상기 연장플랫폼(30)을 상기 제2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잠금고리로 위치 고정하고, 상기 구동장치(4)를 가동하여 상기 본체(10)를 하강시켜 시추선의 갑판에 내려 놓는다.
이때, 상기 승강형 작업대(100)는, 시추선의 갑판이나 지상에서의 위치 이동을 위한 바퀴(1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갑판 상의 위치 이동이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장플랫폼(30)이 힌지(3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트랙(5)에 근접하는 제1위치와 상기 가이드 트랙(5)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하나, 상기 힌지(31)에 의하지 아니하고 직선 레일 위를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통하여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승강형 작업대 10 : 본체
11 : 프레임 12 : 바닥면
13 : 바퀴 20 : 가이드
21 : 롤러 30 : 연장플랫폼
31 : 힌지 3 : 와이어로프
4 : 구동장치 5 : 가이드 트랙
6 : 홈부

Claims (7)

  1.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마주 보는 홈부를 각각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 트랙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한 승강형 작업대로서,
    상기 가이드 트랙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와 상기 가이드 트랙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트랙에 결합된 상태로 승강하는 가이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형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트랙의 홈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승강시에 상기 가이드 트랙의 홈부에 접촉하여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형 작업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랙에 근접하는 제1위치와 상기 가이드 트랙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연장플랫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형 작업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플랫폼은, 상기 본체에 힌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형 작업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플랫폼은, 상기 제1위치 및 상기 제2위치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형 작업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위치 이동을 위한 바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형 작업대.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트랙은, 시추선 갑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물인 데릭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형 작업대.
KR1020100022429A 2010-03-12 2010-03-12 승강형 작업대 KR101246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429A KR101246890B1 (ko) 2010-03-12 2010-03-12 승강형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429A KR101246890B1 (ko) 2010-03-12 2010-03-12 승강형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210A true KR20110103210A (ko) 2011-09-20
KR101246890B1 KR101246890B1 (ko) 2013-03-25

Family

ID=4495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429A KR101246890B1 (ko) 2010-03-12 2010-03-12 승강형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8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448A (ko) * 2014-11-20 2016-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데릭
KR20200000642U (ko) 2018-09-14 2020-03-24 주식회사 하나중공업 고소 작업차용 패널 흡착 장치 및 상기 고소 작업차용 패널 흡착 장치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차
KR102107753B1 (ko) * 2019-06-20 2020-05-07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데이터를 이용한 과하중 방지용 스마트가설작업 인양장치
KR102240577B1 (ko) * 2020-10-20 2021-04-14 박근우 건축물 배관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5685A (en) * 1975-06-16 1977-04-05 American Mobile Corporation Apparatus for aligning a mobile lift work platform
JPH0483061A (ja) * 1990-07-25 1992-03-17 Taisei Corp ゴンドラの横揺れ防止装置
JP3971444B1 (ja) 2006-10-04 2007-09-05 輝男 西原 移動式足場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448A (ko) * 2014-11-20 2016-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데릭
KR20200000642U (ko) 2018-09-14 2020-03-24 주식회사 하나중공업 고소 작업차용 패널 흡착 장치 및 상기 고소 작업차용 패널 흡착 장치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차
KR102107753B1 (ko) * 2019-06-20 2020-05-07 주식회사 선진곤도라 데이터를 이용한 과하중 방지용 스마트가설작업 인양장치
KR102240577B1 (ko) * 2020-10-20 2021-04-14 박근우 건축물 배관 구조물 및 그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890B1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3105B1 (en) An offshore system comprising a rig and a cantilever
CA2828749C (en) A cantilever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7709694B (zh) 钻井装置、搬运系统、用于独立作业的方法
KR101246890B1 (ko) 승강형 작업대
KR101261860B1 (ko) 플로팅도크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설치방법
KR101647386B1 (ko) 듀얼 탑드라이브를 가지는 데릭
KR101230357B1 (ko) 방사상 결선 구동식 해상 주상체 설치장치
JP6829143B2 (ja)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
CN108839758A (zh) 一种近海工程船载式平台用勘察装备收放装置及收放方法
KR100664399B1 (ko) 수중지반용 심층교반장비의 승하강로드 서포트축의가이드장치
US10414474B2 (en) Boat handling apparatus
KR20130023609A (ko) 플레어 팁 유지 보수용 리프트와 이를 가지는 플레어 타워 및 해상 구조물
JP2010007228A (ja) 荷吊り装置
KR200480134Y1 (ko) 선박 출입용 사다리 시스템
JP4804144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類のクライミング工法におけるトップシーブ装置
JP5458071B2 (ja) 台車式引揚げ船台
KR101246062B1 (ko) 돌출경사부 작업용 이동형 대차
KR20150053449A (ko) 비상탈출용 구조대의 리트랙터블 플래폼을 구비한 잭업 리그
EP3755618A1 (en) Vessel and method for performing subsea wellbore related activities, e.g. workover activities, well maintenance, installing an object on a subsea well bore
KR101973083B1 (ko) 해양구조물
NO20171677A1 (en) Cantilever structure with a hoist crane assembly
JP5854748B2 (ja) 走行クレーンの免震支持装置
KR101885168B1 (ko) 해양구조물
JP4190619B2 (ja) クレーン船の昇降クレーン装置
US20140116676A1 (en) Support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