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448A - 데릭 - Google Patents

데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448A
KR20160060448A KR1020140162795A KR20140162795A KR20160060448A KR 20160060448 A KR20160060448 A KR 20160060448A KR 1020140162795 A KR1020140162795 A KR 1020140162795A KR 20140162795 A KR20140162795 A KR 20140162795A KR 20160060448 A KR20160060448 A KR 20160060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sing
rail
member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763B1 (ko
Inventor
유선오
이희동
이건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76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0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여 작업자의 추락에 대비하고 바람에 의한 압력을 최소화한 데릭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설치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탑 구조물, 상기 탑 구조물 상에 설치되며 작업공간을 형성하되, 측면이 개방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부분에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는 데릭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데릭{Derrick}
본 발명은 데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하여 작업자의 추락에 대비하고 바람에 의한 압력을 최소화한 데릭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 화물을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 선박으로부터 상부로 수십 미터 연장된 데릭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때 데릭의 중앙부에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공간이 설치되는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공간은 외부로부터 폐쇄된 공간이다.
폐쇄된 작업공간은 외부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공기저항을 받게 되고, 작업공간에 인가되는 공기저항에 의해 선박 항해의 연료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141788(공개일: 2013.12.27)
본 발명은 선박이 항해할 때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릭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추락하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데릭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은 이용목적에 따라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데릭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설치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탑 구조물, 상기 탑 구조물 상에 설치되며 작업공간을 형성하되, 측면이 개방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부분에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는 데릭이 개시된다.
상기 도어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회전축이 되는 제1 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경우는 상기 도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인접한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레일 및 상기 제1 힌지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하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인접한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레일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회전되어 개방되도록 상기 롤러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서로 포개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포개져서 적재되는 적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서로 인접한 복수의 단위 부재 및 복수의 상기 단위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의 슬라이딩을 각각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레일 및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가 포개져서 적재되게 하는 적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릭은 선택적으로 개방됨으로써 선박이 항해할 때 생기는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릭은 선택적으로 폐쇄됨으로써 작업자는 추락하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릭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의 선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릭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선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릭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릭의 제1 힌지부와 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릭의 적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릭의 고정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릭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데릭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데릭은 선박(10)에 설치된 구조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육상의 데릭 및 유정탑에 역시 적용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데릭은 탑 구조물(100), 케이싱(120) 및 도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구조물(100)은 선박(10)의 갑판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구성요소로서, 해저 자원을 채취하기 위해 해저 자원을 시추하는 시추장비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20)은 상기 탑 구조물(100) 상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작업하는 작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작업공간의 상면 및 하면을 제외한 모든 측면이 개방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 때 선박(10)이 해상을 이동하는 중에 상기 케이싱(120)에 작업자가 올라가서 작업을 하게 되면, 상기 케이싱(120)을 향한 바람에 의해 작업자가 추락되는 위험이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0)가 상기 케이싱(120)의 개방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0)는 상기 케이싱(120)의 개방된 부분을 향한 바람을 막도록 펼쳐지고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어(200)를 향한 바람의 압력에 의해 선박(10)에 구동에 더 많은 연료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작업하지 않을 경우 상기 도어(200)를 개방하여 상기 바람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릭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때 제1 실시예에 따른 데릭은 레일(400), 롤러(280) 및 적재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데릭의 도어(200)는 제1 힌지부(31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힌지부(310)는 상기 도어(200)가 회전하는 회전축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어(200)는 서로 인접배치된 제1 부재(210) 및 제2 부재(220)와 고정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70)는 상기 제1 부재(210)와 상기 제2 부재(220)를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270)에 대한 설명에 추후에 자세히 하도록 한다. 상기 제1 부재(210) 및 상기 제2 부재(220)는 상기 도어(200)를 분리한 단위 구성요소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도어(200)는 3개 이상의 부재로 나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120)이 폐쇄될 경우, 상기 고정부(270)에 의해 상기 제1 부재(210) 및 제2 부재(220)는 상기 케이싱(120) 상에 고정되게 되며 이 때 상기 도어(200)가 케이싱(120) 내의 작업공간을 향한 바람을 막기 때문에 작업자는 케이싱(120) 내부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데릭이 개방될 경우, 상기 제1 부재(210) 및 제2 부재(220)는 상기 제1 힌지부(31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고, 상기 레일(400)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포개져서 적재부(500)에 적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200)에 포함된 상기 제1 부재(210) 및 제2 부재(220)를 향한 공기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힌지부(310)는 상기 제1 부재(210)와 상기 제2 부재(220)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부재(210)와 상기 제2 부재(220)는 각각에 구비된 제1 힌지부(31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레일(400)은 상기 케이싱(120)의 개방된 부분에서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부재(210) 및 제2 부재(220)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부재(210)와 제2 부재(22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280)는 상기 제1 부재(210) 및 제2 부재(220)에 설치된 상기 제1 힌지부(310)의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280)가 상기 레일(400)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400)을 따라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부재(210) 및 제2 부재(220)는 이동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500)는 상기 케이싱(120)의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재(210) 및 제2 부재(220)가 상기 레일(400)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 부재(210) 및 제2 부재(220)가 포개져서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210) 및 제2 부재(220)가 적재된 상태로 상기 적재부(500)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제1 부재(210) 및 제2 부재(220)를 보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로프(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부재(210) 및 제2 부재(220)를 보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70)는 상기 제1 부재(210)와 상기 제2 부재(220)를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210)가 돌출된 부분과 상기 제2 부재(220)가 돌출된 부분이 겹쳐진 상태로 볼트(272) 및 너트(274)에 의해 상기 제1 부재(210) 및 상기 제2 부재(220)는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볼트(272) 및 너트(274) 이외의 다른 고정수단으로 상기 제1 부재(210) 및 제2 부재(22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릭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릭은 탑 구조물(100), 케이싱(120), 도어(200), 레일(400), 롤러(280), 제2 힌지부(320) 및 적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구조물(100)과 케이싱(120)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힌지부(320)는 상기 제3 부재(230) 및 제4 부재(240)가 회전되는 회전축일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데릭의 도어(200)는 서로 인접한 제3 부재(230) 및 제 4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부재(230)와 상기 제4 부재(240)의 접선에 구비된 상기 제2 힌지부(320)를 중심으로 상기 제3 부재(230)와 상기 제4 부재(240)는 서로 포개질 수 있다. 상기 제3 부재(230)와 상기 제4 부재(240)는 포개진 상태로 상기 레일(400)을 따라 이동하여 적재부(500)로 적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케이싱(120)에 가해지는 공기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3 부재(230) 및 상기 제4 부재(240)는 상기 도어(200)를 분리한 단위 구성요소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도어(200)는 3개 이상의 부재로 나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레일(400)은 상기 케이싱(120)에 배치되며, 상기 제3 부재(230) 및 제4 부재(240)와 결합되어 상기 제3 부재(230) 및 제4 부재(24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롤러(280)는 상기 제3 부재(230)와 상기 제4 부재(240)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400)과 결합되어 상기 레일(400) 상에서 구름운동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롤러(280)의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데릭의 롤러(280)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힌지부(320)는 상기 제3 부재(230) 및 제4 부재(240)가 회전되어 개방되도록 상기 롤러(280)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3 부재(230)와 상기 제4 부재(240)는 제2 힌지부(320) 중심으로 회전하여 서로 포개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적재부(500)는 상기 케이싱(120)의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3 부재(230) 및 상기 제4 부재(240)를 수용하는 구성요소 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부재(230) 및 제4 부재(240)는 상기 레일(400)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적재부(500)에 적재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500) 역시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데릭의 적재부(500)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데릭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데릭은 탑 구조물(100), 케이싱(120), 도어(200), 고정부(270), 레일(400), 롤러(280) 및 적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탑 구조물(100)과 케이싱(120)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데릭의 도어(200)는 서로 인접한 복수의 상기 단위 부재(250)와 복수의 상기 단위 부재(25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270)는 도 7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데릭의 고정부(270)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레일(400)은 복수의 상기 단위 부재(250)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250)의 슬라이딩을 각각 안내하도록 구비된 구성요소 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400)은 상기 케이싱(120)의 개방된 부분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복수의 상기 단위 부재(250)가 슬라이딩하여 포개질 수 있다.
이 때 롤러(280)는 복수의 상기 단위 부재(250)의 양단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400)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400)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롤러(280)의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데릭의 롤러(280)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적재부(500)는 상기 케이싱(120)의 모서리에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단위 상기 레일(400)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복수의 상기 단위 부재(250)가 포개져서 적재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적재부(500) 역시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데릭의 적재부(500)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선박 100: 탑 구조물
120: 케이싱 200: 도어
210: 제1 부재 220: 제2 부재
230: 제3 부재 240: 제4 부재
250: 단위 부재 270: 고정부
272: 볼트 274: 너트
280: 롤러 310: 제1 힌지부
320: 제2 힌지부 400: 레일
500: 적재부

Claims (8)

  1. 설치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탑 구조물;
    상기 탑 구조물 상에 설치되며 작업공간을 형성하되, 측면이 개방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부분에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는 데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회전축이 되는 제1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데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경우는 상기 도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데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인접한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레일; 및
    상기 제1 힌지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데릭.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인접한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레일; 및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회전되어 개방되도록 상기 롤러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서로 포개지도록 구비되는 데릭.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포개져서 적재되는 적재부를 더 포함하는 데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서로 인접한 복수의 단위 부재 및 복수의 상기 단위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의 개수만큼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의 슬라이딩을 각각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레일; 및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하며 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데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부재가 포개져서 적재되게 하는 적재부를 더 포함하는 데릭.
KR1020140162795A 2014-11-20 2014-11-20 데릭 KR101701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795A KR101701763B1 (ko) 2014-11-20 2014-11-20 데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795A KR101701763B1 (ko) 2014-11-20 2014-11-20 데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448A true KR20160060448A (ko) 2016-05-30
KR101701763B1 KR101701763B1 (ko) 2017-02-02

Family

ID=5712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795A KR101701763B1 (ko) 2014-11-20 2014-11-20 데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7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393U (ja) * 1991-05-21 1993-08-13 タカノ株式会社 折戸装置
JPH0596365U (ja) * 1992-05-29 1993-12-27 日本工機株式会社 折り畳み式伸縮扉
KR200196523Y1 (ko) * 2000-04-17 2000-09-15 주식회사금강고려화학 포켓형 창호
KR20110103210A (ko) * 2010-03-12 2011-09-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승강형 작업대
US20130141788A1 (en) 2007-07-31 2013-06-06 Dean Jennings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rrelation of spatially and temporally coherent ligh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393U (ja) * 1991-05-21 1993-08-13 タカノ株式会社 折戸装置
JPH0596365U (ja) * 1992-05-29 1993-12-27 日本工機株式会社 折り畳み式伸縮扉
KR200196523Y1 (ko) * 2000-04-17 2000-09-15 주식회사금강고려화학 포켓형 창호
US20130141788A1 (en) 2007-07-31 2013-06-06 Dean Jennings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rrelation of spatially and temporally coherent light
KR20110103210A (ko) * 2010-03-12 2011-09-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승강형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763B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3028A (ko) 시추시설의 폴딩 타입 문풀 개폐 장치
KR20150117795A (ko) 펜더 대빗 장치
CN103261017B (zh) 用于月池的阻尼装置的锁定装置
GB2508909A (en) Roller shutter with impact-resistant construction
KR20120003577U (ko) 선실 천장의 정비용 해치
EP2868568B1 (en) Floating type structure
KR20140002805U (ko) 해양 구조물용 수동 해치의 개폐 구조
KR101701763B1 (ko) 데릭
KR101682277B1 (ko) 협소한 공간에 적용이 가능한 문풀 해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203865801U (zh) 一种带旋转提升外用电梯门的施工电梯
KR101864740B1 (ko) 루버 벤틸레이터
KR101635160B1 (ko) 사장교형 다중 힌지 가동교의 에너지 저감 구동방법
KR20160142423A (ko) 갱웨이 지지용 개선된 페데스탈을 구비한 선박
KR20140002151U (ko) 고정식 사다리의 개폐장치
KR20160036675A (ko) 해양구조물용 난간
KR102205022B1 (ko) 선박용 해치 어셈블리
KR101378965B1 (ko) 월 해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596113B1 (ko) 해치 어셈블리
US9361792B2 (en) Self positioning floating platform and method of use
KR20180000891U (ko) 선폭방향으로 해치커버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KR102146745B1 (ko) 컨테이너 선박용 공기 저항 감소 장치
JP2016215828A (ja) ホームドア装置
KR20170001616U (ko) 문풀의 접이식 가이드 어레이
KR101672018B1 (ko) 굴착 장치
KR101391364B1 (ko) 해상구조물의 해치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