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113A -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113A
KR20110103113A KR1020100022276A KR20100022276A KR20110103113A KR 20110103113 A KR20110103113 A KR 20110103113A KR 1020100022276 A KR1020100022276 A KR 1020100022276A KR 20100022276 A KR20100022276 A KR 20100022276A KR 20110103113 A KR20110103113 A KR 20110103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tablet
pharmaceutical composition
immediate
susta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0708B1 (ko
Inventor
이민석
장희철
강복기
김준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웅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5636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1010311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웅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웅제약
Priority to KR1020100022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708B1/ko
Priority to PCT/JP2011/055772 priority patent/WO2011111818A1/ja
Priority to JP2012504534A priority patent/JPWO2011111818A1/ja
Publication of KR20110103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84Mixtures of one or more drugs in different galenical for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granules, microcapsules or (coated)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61K9/16 or A61K9/50, e.g. for obtaining a specific release pattern or for combining different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7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with an outer layer or coating comprising drug; with chemically bound drugs or non-active substances on their surface
    • A61K9/167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with an outer layer or coating comprising drug; with chemically bound drugs or non-active substances on their surface having a drug-free core with discrete complete coating layer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4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77Tablets comprising drug-containing microparticles in a substantial amount of supporting matrix; Multiparticulate tablets
    • A61K9/2081Tablets comprising drug-containing microparticles in a substantial amount of supporting matrix; Multiparticulate tablets with microcapsules or coated microparticles according to A61K9/5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86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 A61K9/209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containing drug in at least two layers or in the core and in at least on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95Tabletting processes; Dosage units made by direct compression of powders or specially processed granules, by eliminating solvents, by melt-extrusion, by injection molding, by 3D pri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73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having two or more different coatings optionally including drug-containing subcoatings
    • A61K9/5078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having two or more different coatings optionally including drug-containing subcoatings with drug-free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6Polysaccharides, e.g. gums, alginate; Cyclodextrin
    • A61K9/5042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phthalate or acetate succinate esters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61K9/5047Cellulose ethers containing no ester group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독특한 2상 용출 프로파일(즉시 방출상 및 지연 방출상)을 만족시킴으로써 초기에 모사프리드의 유효혈중농도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고, 후기에는 유효혈중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단일 제형으로 하루에 1회 복용만으로도 모사프리드의 약효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약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약학 조성물 {Sustained-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mosapride or salt thereof}
본 발명은 제어되는 용출 프로파일을 갖는,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기 화학식 1의 모사프리드(mosapride, 4-아미노-5-클로로-2-에톡시-N-((4-(4-플루오로벤질)-2-모폴리닐)메틸)벤즈아마이드)는 EP 243959 및 US 4870074에 소화관 운동 촉진제로 개시되어 있다.
Figure pat00001
모사프리드는 선택적 세로토닌(5-히드록시트립타민, 5-HT) 수용체 효능제로서, 소화관 콜린작동성 신경상의 세로토닌(5-HT)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신경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의 유리를 촉진시키며, 상기 아세틸콜린은 소화관 평활근 운동을 촉진하여 강력한 소화관 운동 및 위 배출 촉진 작용을 한다. 모사프리드는 도파민 D2 수용체 차단 작용이 없어 추체외로 증상(eatrapyramidal symptoms), 고프롤락틴혈증(유즙분비, 여성화 유방), QT 연장작용(QT prolongation) 및 심부정맥 등의 부작용이 없다.
모사프리드는 일반적으로 하루에 3번 복용하며 식사와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흡수되므로 식전, 식후 모두 복용 가능하다. 복용 후 신속히 약효발현이 되며 약 2주 투여로 소화기능 이상증상의 높은 개선효과를 가진다. 또한, 모사프리드는 1.4~2.0 시간의 짧은 생체학적 반감기를 나타내며, Cmax(약물 투여 후 최고 혈중 농도) 및 AUC(혈중 약물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는 5~40 mg까지는 용량에 비례해 증가한다.
모사프리드는 위장관에서 약 93%가 흡수되지만, 수용액에서 용해도가 높지 않고 생체 이용률이 낮으며, 또한 반감기(half life)가 짧기 때문에 하루에 수 차례(예를 들어, 모사프리드 5 mg×3회) 투여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모사프리드는 물리화학적 특성상 체내로 흡수되면 매우 빠른 속도로 대사되고 소실되기 때문에, 실제 시판중인 속방형 또는 즉방형 제형들은 혈중 지속시간이 매우 짧아 실제 약물 작용기간이 짧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국제공개특허 WO 03/11256 A1호는 모사프리드를 수용성 하이드로겔을 이용하여 서방출성 매트릭스 정제로 제조한 지속방출형 정제를 제안하고 있지만, 상기의 수용성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단일층 매트릭스 제형은 모사프리드의 유효 혈중 농도를 신속하게 달성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단순한 약물의 서방형 패턴으로는 신속한 그리고 일정한 약효 특성을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할 때, 투여 후 빠른 약효 발현을 나타내면서도 서방출이 가능하도록 특수한 방출 비율과 양상을 갖는 약물을 디자인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독특한 용출 프로파일을 만족시키는 2개의 상(biphase)을 갖는 모사프리드 함유 서방형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용출 프로파일을 통해서 모사프리드의 초기 유효혈중농도의 도달 및 후기 유효혈중농도의 유지가 가능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특한 2상(biphasic)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모사프리드의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를 갖는 약학 조성물로서,
한국 약전에 따른 용출 제2법(패들법)에 따라 37℃ 수성 완충액에서 측정시 하기의 용출 프로파일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1) 30분 이내에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10% 내지 50%가 방출되고,
2)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50%~95%의 방출이 6 내지 16시간 사이에 달성됨.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독특한 2상 용출 프로파일(즉시 방출상 및 지연 방출상)을 만족시킴으로써 초기에 모사프리드의 유효혈중농도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고, 후기에는 유효혈중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단일 제형으로 하루에 1회 복용만으로도 모사프리드의 약효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약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 내 모사프리드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된 이층 정제들의 물 및 pH 1.2에서의 각각의 용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비교예 1 내지 2에서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 내 모사프리드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된 이층 정제들의 물 및 pH 1.2에서의 각각의 용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 내지 6에서 방출 조절성 고분자에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된 이층 정제들의 물 및 pH 1.2에서의 각각의 용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지연방출 펠렛을 포함하는 캡슐제의 물 및 pH 1.2에서의 각각의 용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서 제조된 지연방출 펠렛을 포함하는 이층정제의 물 및 pH 1.2에서의 각각의 용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서 제조된 즉시방출상인 약물코팅층을 포함하는 정제의 물 및 pH 1.2에서의 각각의 용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서 지연방출 핵층을 포함하는 핵정으로 제조된 정제의 물 및 pH 1.2에서의 각각의 용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즉방형 부 미니-정제와 서방형 부 미니-정제를 포함하는 캡슐제의 물 및 pH 1.2에서의 각각의 용출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이층 정제 투여시 시간에 따른 혈중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이층 정제 투여시 시간에 따른 혈중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이층 정제 및 시판 대조약(가스모틴®정) 투여시 시간에 따른 혈중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모사프리드의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를 갖는 약학 조성물로서,
한국 약전에 따른 용출 제2법(패들법)에 따라 37℃ 수성 완충액에서 측정시 하기의 용출 프로파일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1) 30분 이내에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10% 내지 50%가 방출되고,
2)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50%~95%의 방출이 6 내지 16시간 사이에 달성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하기의 용출 프로파일을 만족할 수 있다:
1) 30분 이내에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20% 내지 40%가 방출되고,
2)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60%~90%의 방출이 8 내지 14시간 이내에 달성됨.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을 2상의 프로파일(biphasic profile)에 따라 용출시키는데, 제1상은 즉방형(또는 속방형, 즉시 방출형) 상으로서 즉방형 부에 의해, 그리고 제2상은 서방형(또는 지연 방출형) 상으로서 서방형 부에 의해 제어 방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사프리드 함유 조성물은 한 제형 내에서 즉방형 부와 서방형 부 각각에 의한 즉방형 상과 서방형 상의 용출 양상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서로의 방출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다른 방출 양상을 나타내야 하는 제제의 제어 방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방형 약학 조성물은 즉방형 부와 서방형 부를 적절한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신속한 용출로 인해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모사프리드의 초기 유효혈중농도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으며, 이후에는 모사프리드가 서서히 방출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유효혈중농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2상으로 구성된 방출 패턴은 일반적인 방출 패턴을 늘리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시간구간에서 특정 범위의 방출이 이루어져야만 약효의 항상성이 나타남을 의미한다. 또한 하루 중 활동시간을 제외한 야간시간에까지 약효가 지속되어 수면시간에도 위장관운동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방출기간을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제1상 또는 즉방형 상은 적합한 시험관 내 용출 시험에서 0 내지 30분에 얻어지는 용출 프로파일 부분이며, 적합한 용출시험은 37℃ 수성 완충액 중에서 한국 약전(또는 미국 약전)에 따른 용출 제2법(패들법)에 따라 일반적인 기기로 수행하는 방법, 또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을 정도로 여기에 일부 변화를 주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일 실시양태에서, 제1상에서 30분 이내에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가 방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제2상 또는 서방형 상은 적합한 시험관 내 용출 시험에서 측정된 30분 후의 용출 프로파일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의 일 실시양태에서, 제2상에서의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50%~95%의 방출에 소요되는 시간이 6 내지 16시간, 바람직하게는 60%~90%의 방출에 소요되는 시간이 8 내지 14시간 사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조성물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약 30%가 즉방형 상 중에 방출되고, 제2상은 상기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약 90%가 서방형 상 중인 12시간 부근에 용출된다.
제1상의 신속한 방출은 모사프리드의 용출이 조속히 이루어져 치료학적 유효량의 모사프리드 농도를 조기에 달성할 수 있게 하며, 제2상의 지속적인 방출은 이의 유효량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용출 프로파일이 핵심적인 이유는 모사프리드 자체의 약효 특성상 하루에 일반적으로 복용하는 양을 섭취하는 경우 최대 혈중 농도를 넘기지 않으면서도 빠른 약효 발현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본 연구자들이 여러 번의 임상시험을 통해 검증한 결과, 본 발명이 제시하고 있는 즉방형 부의 용출보다 방출이 늦은 경우에는 신속한 약효가 발현되지 않아 위장관 운동의 개선이 식후에 빠르게 나타나지 않으며, 이보다 빠른 경우에는 최대 혈중농도를 초과하여 부작용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한 최적의 즉방형 부와 서방형 부의 비율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시하는 즉방출이 일어나고 본 발명자들이 설정된 서방출이 그다음 나타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서방제형의 PK 프로파일에서 보기 어려운 완벽한 1차 방출 양상으로서 로그 변환한 그래프 상에서 Cmax에 도달한 다음 약물의 반감기(약 3시간)가 지난 다음부터는 거의 직선성을 유지(r2>0.85)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시판중인 일반 즉방출제형의 소실속도를 완벽하게 변경하였음을 의미하고 약물 고유의 특성인 체내 소실율을 제형으로서 제어함으로써 일정한 위장관운동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모사프리드의 지나치게 짧은 반감기로 인해 하루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약효 중단 효과를 단순히 지속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방출로 인해 일정하고 규칙적인 위장관운동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수면시간 이전에 방출이 완료되어 수면시간에서까지 약효발현을 통해 지속적으로 위장관운동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약물의 방출시간을 한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로 인해 수면장애가 유발될 수도 있는 환자들의 불편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활성성분을 단위 용량 당 0.1 내지 500 m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 mg의 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즉방형 부가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20 내지 40%를 포함하고, 서방형 부가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60 내지 8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는 각각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부에 사용되는 담체로는 목적하는 용출 프로파일을 달성하는 수준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을 적의 선택하여 제제화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방형 부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로서 유당, 덱스트린, 만니톨, 소르비톨,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인산수소칼슘, 무수인산수소칼슘, 탄산칼슐, 당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결합제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 코포비돈, 젤라틴, 전분, 슈크로즈,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알킬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염, 탈크, 옥수수전분, 카나우바왁스, 경질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합성규산알루미늄, 경화유, 백납, 산화티탄, 미결정셀룰로오스, 마크로골 4000 및 6000,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인산수소칼슘, 활석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방출 조절제(서방성 기제)로서 셀룰로오스 유도체, 검류, 친수성 또는 소수성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친수성 또는 소수성 폴리비닐 유도체, 폴리에틸렌 유도체, 카르복시비닐 화합물 및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출 조절제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메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트라가칸스검, 카라기난, 아카시아검, 잔탄검, 아라비아검, 젤란검, 카라야검, 타라검, 타마린드검, 가티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아세틸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카보머, 덱스트린, 폴리덱스트린, 덱스트란, 펙틴, 펙틴유도체, 알긴산염, 폴리갈락투론산, 자일란, 아라비노자일란, 아라비노갈락탄,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아밀로오스, 아밀로펙틴, 플루란, 만난, 퍼셀레란, 칼라기난, 글루코사민, 키토산, 키틴, 젤라틴, 콜라겐, 카제인, 한천, 알부민, 폴리(메타크릴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 폴리(메타크릴산, 에틸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이 때, 방출 조절제는 서방형 부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분말, 펠렛, 캡슐, 정제, 코팅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의 투여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즉방형 부의 층 및 서방형 부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이층 정제의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매트릭스 내에 포함된 지연 방출 코팅 펠렛을 포함하는 정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중 즉방형 부는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즉시 방출 정제 또는 펠렛과 같은 단일 제약학적 즉방출성 단위로서, 캡슐 또는 정제의 형태로 즉방출성 제제화된 몇 개의 이러한 단위로서; 다층 정제에 혼입될 수 있는 즉시 방출층으로서; 또는 한층 이상의 코팅된 정제 또는 펠렛에서 즉시 방출 코팅층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 중 서방형 부는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지연 방출 정제 또는 펠렛과 같은 제약학적 지연 방출 단위로서; 캡슐 또는 정제로 제제화된 몇 개의 지연 방출 단위로서; 다층 정제에 혼입될 수 있는 지연 방출층으로서; 한층 이상의 코팅된 정제에서 지연 방출 코어 또는 지연 방출 코팅층으로서; 또는 붕해하는 정제 내 지연 방출 펠렛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가 동시에 1회 복용 제형을 구성하나 체내에서 방출이 나뉘어 특정 방출 양상을 나타내는 제제가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과립화, 혼합, 충전 및 압축과 같은 종래의 혼합 방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는 습윤 과립화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 공정에서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가 개별적으로 제조된다. 적당하게는, 즉방형 부 또는 서방형 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활성 성분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가 스크리닝되어 고전단 혼합 과립기 또는 유동층 건조기 내에서 혼합된다. 이 혼합물은 고전단 혼합 과립기 또는 유동층 건조기 내로 분무된 과립화 용액(일반적으로 정제수, 정제수 중에 용해시킨/분산시킨 붕해제, 또는 정제수 또는 적당한 용매 중에 용해된/분산된 약물)을 첨가함으로써 과립화된다. 필요한 경우, 습윤제,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생성되는 (임의적으로 펠렛화된) 과립은, 트레이, 유동층 또는 마이크로파 건조 기술에 의해 보통 잔류 수분이 1 내지 5%가 되도록 건조된다. 건조된 과립을 분쇄하여 입자 크기가 일정하게 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과립을 과립외(extragranular) 부형제, 일반적으로는 윤활제 및 글리던트(예를 들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이산화규소)와 혼합시킨다. 그런 다음, 개별적으로 제조된 즉방형 과립 및 서방형 과립을 (이중층 정제 압축기와 같은) 회전식 정제 압축기를 사용하여 전형적으로 100 내지 600mg의 범위로 함께 타정할 수 있다. 생성되는 정제를 팬 코터 내에서 전형적으로 1 내지 5%의 수성의 막 코트(coat)가 얻어지도록 코팅한 다음, 왁스로 폴리싱(polishing)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직접적인 타정 공정으로 정제를 제조할 수 있다. 적당하게는,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에 대해 상기 활성 성분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개별적으로 스크리닝한 다음 적당한 혼합기, 예를 들어 원뿔형, 정육면체형 또는 V자형의 혼합기 내에서 혼합시킨다.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첨가시키고 추가로 혼합시킨다. 상기 개별적으로 제조된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를 결합시켜서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식 정제 압축기를 사용하여 함께 타정할 수 있다. 생성되는 정제를 팬 코터로 코팅할 수 있다.
또한, 습식 과립화 공정 및 직접 타정 공정 모두를 사용하여 정제를 제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방형 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습식 과립화로 제조할 수 있는 반면, 즉방형 부는 직접 타정용 부형제를 혼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즉방성 모사프리드의 시판되고 있는 혼합물을 직접 타정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이 2개의 상을 결합시키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함께 타정할 수 있다.
적당하게는, 활성 성분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스크리닝하고 적당한 혼합기, 예를 들어 원뿔형, 정육면체형 또는 V자형 혼합기 중에서 혼합시켜서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를 개별적으로 제조함으로써 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전형적으로 윤활제 및 글리던트와 같은 그 밖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첨가한 다음, 이 혼합물을 혼합시킨다. 그 다음, 개별적으로 제조된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를 혼합시키고, 이것을 표준형 캡슐 충전기를 사용하여 캡슐 내에 적절한 양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루에 3회 투여하는 종래의 복약 방법과는 달리, 단일 제형으로 1일 1회 복용만으로도 우수한 모사프리드의 치료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복약 순응도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 내 모사프리드 함량 비율에 따른 이층정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과 같이,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 내의 모사프리드 함량을 달리하여 이층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경우 즉방형 부 내의 모사프리드 함량이 모사프리드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가 되도록 하였고, 실시예 2는 30%, 실시예 3은 40%가 되도록 하였다. 구체적인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단계 1> 즉방형 부 과립의 제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구연산 모사프리드, 유당수화물 및 옥수수전분을 24메쉬로 체과하여 혼합하였다. 그리고 나서, 하이 스피드믹서(MIC Developer-5, COMASA)를 사용하여 습식과립을 제조하고, 건조 및 체과 공정을 실시한 후, 35메쉬로 체과한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경질무수규산 등을 혼합하여 즉방형 부를 제조하였다.
<단계 2> 서방형 부 과립의 제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저점도)를 정제수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구연산 모사프리드, 유당수화물, 미결정셀룰로오스 및 방출조절용 고분자로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고점도)를 24메쉬로 체과하여 혼합하였다. 그리고 나서, 하이 스피드믹서(MIC Developer-5, COMASA)를 사용하여 습식과립을 제조하고, 건조 및 체과 공정을 실시한 후, 35메쉬로 체과한 경질무수규산,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혼합하여 서방형 부를 제조하였다.
<단계 3> 이층 정제의 제조
상기 제조된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 각각을 이층정 타정기(BB-11, RIVA)를 사용하여 타정하여 각각의 층으로 구성된 이층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이층 정제를 팬 코팅기(LDCS, VECTOR)에 넣은 후 오파드라이로 필름코팅하였다.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즉방형 부
(mg/정)
주성분 구연산모사프리드 3.174 4.761 6.348
부형제 유당수화물 63.776 62.189 60.602
부형제 옥수수전분 32.5 32.5 32.5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6 2.6 2.6
붕해제 저치환도프로필셀룰로오스 26 26 26
활택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3 1.3 1.3
활택제 경질무수규산 0.65 0.65 0.65
합계(mg/정) 130.0 130.0 130.0
서방형부
(mg/정)
주성분 구연산모사프리드 12.696 11.109 9.522
부형제 유당수화물 102.554 120.141 93.728
부형제 미결정셀룰로오스 40.0 40.0 40.0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0 5.0 5.0
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4000cps
27 15 35
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고점도)
9 5 13
활택제 경질무수규산 1.25 1.25 1.25
활택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5 2.5 2.5
코팅제 오파드라이 12.0 12.0 12.0
합계(mg/정) 342.0 342.0 342.0
비교예 1 내지 2: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 내 모사프리드 함량 비율에 따른 이층정의 제조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 내 모사프리드 함량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층정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은 즉방형 부 내의 모사프리드 함량이 모사프리드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가 되도록 하고, 비교예 2는 50%가 되도록 하였다.
구 분 비교예1 비교예2
즉방형 부
(mg/정)
주성분 구연산모사프리드 1.588 7.94
부형제 유당수화물 65.362 59.01
부형제 옥수수전분 32.5 32.5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6 2.6
붕해제 저치환도프로필셀룰로오스 26 26
활택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3 1.3
활택제 경질무수규산 0.65 0.65
합계(mg/정) 130.0 130.0
서방형 부
(mg/정)
주성분 구연산모사프리드 14.292 7.94
부형제 유당수화물 121.958 83.31
부형제 미결정셀룰로오스 40.0 40.0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0 5.0
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4000cps
10 45
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고점도)
5 15
활택제 경질무수규산 1.25 1.25
활택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5 2.5
코팅제 오파드라이 12.0 12.0
합계(mg/정) 342.0 342.0
실시예 4 내지 8: 방출 조절용 고분자에 따른 모사프리드 함유 이층정의 제조
하기 표 3의 성분 및 함량과 같이, 방출 조절용 고분자를 달리하여 모사프리드 함유 이층 정제를 제조하였다.
<단계 1> 즉방형 부 과립의 제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구연산 모사프리드, 유당수화물 및 옥수수전분을 24메쉬로 체과하여 혼합하였다. 그리고 나서, 하이 스피드믹서(MIC Developer-5, COMASA)를 사용하여 습식과립을 제조하고, 건조 및 체과 공정을 실시한 후, 24메쉬로 체과한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경질무수규산 등을 혼합하여 즉방형 부를 제조하였다.
<단계 2> 서방형 부 과립의 제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저점도)를 정제수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구연산 모사프리드, 유당수화물, 미결정셀룰로오스 및 방출조절용 고분자로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실시예 4),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고점도, 실시예 5), 가교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실시예 6), 가교된 폴리비닐피롤리돈(실시예 7) 또는 잔탄검(실시예 8)을 24메쉬로 체과하여 혼합하였다. 그리고 나서, 하이 스피드믹서(MIC Developer-5, COMASA)를 사용하여 습식과립을 제조하고, 건조 및 체과 공정을 실시한 후, 35메쉬로 체과한 경질무수규산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혼합하여 서방형 부를 제조하였다.
<단계 3> 이층 정제의 제조
상기 제조된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 각각을 이층정 타정기(BB-11, RIVA)를 사용하여 타정하여 각각의 층으로 구성된 이층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이층 정제를 팬 코팅기(LDCS, VECTOR)에 넣은 후 오파드라이로 필름 코팅하였다.
구 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즉방형 부
(mg/정)
주성분 구연산모사프리드 4.232 4.232 4.232 4.232 4.232
부형제 유당수화물 62.718 62.718 62.718 62.718 62.718
부형제 옥수수전분 32.5 32.5 32.5 32.5 32.5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6 2.6 2.6 2.6 2.6
붕해제 저치환도프로필셀룰로오스 26 26 26 26 26
활택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3 1.3 1.3 1.3 1.3
활택제 경질무수규산 0.65 0.65 0.65 0.65 0.65
합계(mg/정) 130.0 130.0 130.0 130.0 130.0
서방형 부
(mg/정)
주성분 구연산모사프리드 11.639 11.639 11.639 11.639 11.639
부형제 유당수화물 103.611 103.611 103.611 103.611 103.611
부형제 미결정셀룰로오스 40.0 40.0 40.0 40.0 40.0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0 5.0 5.0 5.0 5.0
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2208 27 27 27 27 27
부형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5 - - - -
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고점도) - 10 - - -
부형제 가교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 - 20 - -
부형제 가교된 폴리비닐피롤리돈 - - - 10 -
부형제 잔탄검 - - - - 15
활택제 경질무수규산 1.25 1.25 1.25 1.25 1.25
활택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5 2.5 2.5 2.5 2.5
코팅제 오파드라이 12.0 12.0 12.0 12.0 12.0
합계(mg/정) 348.0 343.0 353.0 343 348
실시예 9: 지연 방출 펠렛을 포함하는 모사프리드 함유 캡슐의 제조
하기 표 4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다음과 같이 지연 방출 펠렛을 포함하는 모사프리드 함유 캡슐을 제조하였다.
<단계 1> 즉방형 부 과립의 제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구연산 모사프리드, 유당수화물 및 옥수수전분을 24메쉬로 체과하여 혼합하였다. 그리고 나서, 하이 스피드믹서(MIC Developer-5, COMASA)를 사용하여 습식과립을 제조하고, 건조 및 체과 공정을 실시한 후, 35메쉬로 체과한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경질무수규산 등을 혼합하여 즉방형 부를 제조하였다.
<단계 2> 서방형 부 약물코팅층 형성
25~30메쉬 크기의 논-파레일(non-pareil) 비드를 유동층 코팅기에 넣고, 모사프리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저점도)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4000cps를 물과 메탄올의 혼합용액(1:2, 중량비)에 용해시켜 제조한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약물 코팅층을 형성시켰다. 코팅 조건은 스프레이 에어 2.7bar, 아울렛 에어 온도 24℃, 인렛 에어 온도 34℃, 플로우 4~7 및 아울렛 에어 플렛 28%로 하였다.
<단계 3> 서방형 부 용출 조절층 형성
단계 2에서 얻어진 약물 코팅층이 형성된 펠렛을 유동층 코팅기에서, 에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물과 메탄올의 혼합용액 (1:41.5, 중량비)에 용해시켜 제조한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방출 조절성 막층을 형성시켰다. 코팅 조건은 스프레이 에어 2.8bar, 아울렛 에어 온도 24℃, 인렛 에어 온도 34℃, 플로우 5~18 및 아울렛 에어 플렛 28%로 하였다.
<단계 4> 캡슐 충진
상기 제조된 즉방형 과립부 및 서방형 펠렛부를 캡슐 충진기(DMF1500, 대산 파마텍)를 이용하여 1호 캡슐에 충진시켰다.
구 분 실시예9
즉방형 부
(mg/정)
주성분 구연산모사프리드 4.232
부형제 유당수화물 64.489
부형제 옥수수전분 32.5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6
붕해제 저치환도프로필셀룰로오스 26
활택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3
활택제 경질무수규산 0.65
합계(mg/정) 130.0
서방형 부
(mg/정)
주성분 구연산 모사프리드 11.639
부형제 Celphere 120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8.69
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4000cps 2.0
부형제 에틸셀룰로오스 8.7
용 매 메탄올 158
코팅제 오파드라이 9.2
합계(mg/정) 292.0
실시예 10 : 지연 방출 펠렛을 포함하는 모사프리드 함유 이층정의 제조
하기 표 5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지연 방출 펠렛을 포함하는 모사프리드 함유 이층 정제를 제조하였다.
<단계 1> 즉방형 부 과립의 제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구연산 모사프리드, 유당수화물 및 옥수수전분을 24메쉬로 체과하여 혼합하였다. 그리고 나서, 하이 스피드믹서(MIC Developer-5, COMASA)를 사용하여 습식과립을 제조하고, 건조 및 체과 공정을 실시한 후, 35메쉬로 체과한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경질무수규산 등을 혼합하여 즉방형 부를 제조하였다.
<단계 2> 서방형 부 약물코팅층 형성
25~30메쉬 크기의 논-파레일(non-pareil) 비드를 유동층 코팅기에 넣고, 모사프리드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물과 메탄올의 혼합용액 (1:2, 중량비)에 용해시켜 제조한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약물 코팅층을 형성시켰다. 코팅 조건은 스프레이 에어 2.7bar, 아울렛 에어 온도 24℃, 인렛 에어 온도 34℃, 플로우 4~7 및 아울렛 에어 플렛 28%로 하였다.
<단계 3> 서방형 부 방출 조절층 형성
단계 2에서 얻어진 약물 코팅층이 형성된 펠렛을 유동층 코팅기에서, 에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물과 메탄올의 혼합용액 (1:41.5, 중량비)에 용해시켜 제조한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방출 조절성 막층을 형성시켰다. 코팅 조건은 스프레이 에어 2.8bar, 아울렛 에어 온도 24℃, 인렛 에어 온도 34℃, 플로우 5~18, 아울렛 에어 플렛 28%로 하였다.
그리고 나서 35메쉬로 체과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고점도), 미결정셀룰로오스, 경질무수규산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혼합하여 서방형 부를 제조하였다.
<단계 4> 이층 정제의 제조
상기 제조된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 각각을 이층정 타정기(BB-11, RIVA)를 사용하여 타정하여 각각의 층으로 구성된 이층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이층 정제를 팬 코팅기(LDCS, VECTOR)에 넣은 후 오파드라이로 필름 코팅하였다.
구 분 실시예 10
즉방형 부
(mg/정)
주성분 구연산모사프리드 4.232
부형제 유당수화물 56.989
부형제 옥수수전분 32.5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6
붕해제 저치환도프로필셀룰로오스 26
활택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3
활택제 경질무수규산 0.65
합계(mg/정) 130.0
서방형 부
(mg/정)
주성분 구연산 모사프리드 11.639
부형제 Celphere 120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2.89
부형제 미결정셀룰로오스 48.1
활택제 경질무수규산 1.2
활택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2
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고점도) 10.0
부형제 에틸셀룰로오스 8.7
용 매 메탄올 158
코팅제 오파드라이 12
합계(mg/정) 340.0
실시예 11: 약물 코팅층을 포함하는 모사프리드 함유 정제의 제조
하기 표 6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모사프리드 함유 코팅정제를 제조하였다.
<단계 1> 서방부 정제 제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구연산 모사프리드, 유당수화물, 미결정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24메쉬로 체과하여 혼합하였다. 그리고 나서, 하이 스피드믹서를 사용하여 습식과립을 제조하고, 건조 및 체과 공정을 실시한 후, 24메쉬로 체과한 경질무수규산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혼합하여 서방형 부를 제조하였다. 상기 서방형 부를 연발 타정기(Picola D-8, RIVA)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단계 2> 약물코팅 공정
에탄올(발효주정)과 물의 혼합용액(65:35, 중량비)에 모사프리드,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프로필렌클리콜 6000 및 유드라짓 E100을 녹여 코팅 용액(즉방형 부)을 조제하고, 단계 1의 서방형 부 정제를 팬 코팅기(LDCS, VECTOR)에 넣은 후 상기 코팅 용액으로 코팅하였다.
구 분 실시예 11
즉방형 부
(mg/정)
주성분 구연산모사프리드 4.232
코팅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3.125
코팅제 프로필렌글리콜6000 0.3215
코팅제 유드라짓 E100 0.0015
용 매 에탄올 84.5
합계(mg/정) 130.0
서방형 부
(mg/정)
주성분 구연산모사프리드 11.639
부형제 유당수화물 99.431
부형제 미결정셀룰로오스 40.0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0
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4000cps 27
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고점도) 9
활택제 경질무수규산 1.25
활택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5
코팅제 오파드라이 12.0
합계(mg/정) 300.0
실시예 12 지연방출 핵층을 포함하는 모사프리드 함유 정제의 제조
하기 표 7의 성분 및 함량으로 지연방출 핵층을 포함하는 모사프리드 함유 정제를 제조하였다.
<단계 1> 서방형 부 핵층 정제 제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구연산 모사프리드, 유당수화물, 미결정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24메쉬로 체과하여 혼합하였다. 그리고 나서, 하이 스피드믹서(MIC Developer-5, COMASA)를 사용하여 습식과립을 제조하고, 건조 및 체과 공정을 실시한 후, 35메쉬로 체과한 경질무수규산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혼합하여 서방형 부를 제조하였다. 상기 서방형 부를 연발 타정기(Picola D-8, RIVA)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서방형 부 정제를 팬 코팅기(LDCS, VECTOR)에 넣은 후 오파드라이로 필름코팅하였다.
<단계 2> 즉방형 부 외층 정제 제조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구연산 모사프리드, 유당수화물 및 옥수수전분을 24메쉬로 체과하여 혼합하였다. 그리고 나서, 하이 스피드믹서(MIC Developer-5, COMASA)를 사용하여 습식과립을 제조하고, 건조 및 체과 공정을 실시한 후, 35메쉬로 체과한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경질무수규산 등을 혼합하여 즉방형 부의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3> 핵층 포함 정제 제조
상기 제조된 서방형 부의 핵정과 즉방형 부의 과립물을 단발 타정기(EKO, Korsch)를 사용하여 타정하여 핵층을 포함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핵정을 팬 코팅기(LDCS, VECTOR)에 넣은 후 오파드라이로 필름코팅하였다.
구 분 실시예 12
서방형 부
핵층부
(mg/정)
주성분 구연산모사프리드 11.639
부형제 유당수화물 25.611
부형제 미결정셀룰로오스 20.0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0
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4000cps 27.0
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고점도) 12.0
활택제 경질무수규산 1.25
활택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5
코팅제 오파드라이 5.0
합계(mg/정) 110.0
즉방형 부 외층
(mg/정)
주성분 구연산모사프리드 4.232
부형제 유당수화물 158.568
부형제 옥수수전분 80
부형제 미결정셀룰로오스 175.0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5.5
붕해제 저치환도프로필셀룰로오스 48
활택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5
활택제 경질무수규산 1.2
코팅제 오파드라이 15
합계(mg/정) 600.0
실시예 13 :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 미니-정제를 포함하는 모사프리드 함유 캡슐의 제조
<단계 1> 즉방형 부 미니정제의 제조
하기 표 8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즉방형 부 미니-정제를 제조하였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구연산 모사프리드 및 미결정셀룰로오스를 35메쉬로 체과한 후 하이 스피드믹서(MIC Developer-5, COMASA)로 습식과립을 제조하고, 건조 및 체과 공정을 실시한 후, 35메쉬로 체과한 경질무수규산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혼합하여 즉방형 부를 제조하였다. 상기 즉방형 부를 단발 타정기(EKO, Korsch)로 타정하였다. 제조한 미니 정제정을 팬 코팅기(LDCS, VECTOR)에 넣은 후 오파드라이로 필름 코팅하였다. 상기 미니-정제의 직경은 2-4 mm 범위이다.
<단계 2> 서방형 부 미니정제의 제조
하기 표 8의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서방형 부 미니-정제를 제조하였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정제수에 녹여 결합액을 제조한 후 여기에 구연산 모사프리드, 미결정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고점도)를 35메쉬로 체과한 후 하이 스피드믹서(MIC Developer-5, COMASA)를 사용하여 습식과립을 제조하고, 건조 및 체과 공정을 실시한 후, 35메쉬로 체과한 경질무수규산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을 혼합하여 서방형 부를 제조하였다. 상기 서방형 부를 단발 타정기(EKO, Korsch)로 타정하였다. 상기 미니-정제의 직경은 4-6 mm 범위이다.
<단계 3> 서방형 부 미니정제의 방출 조절층 형성
단계 2에서 얻어진 서방부 미니-정제를 팬 코팅기(LDCS, VECTOR)에 넣은 후,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물과 메탄올의 혼합용액(1:41.5, 중량비)에 용해시켜 제조한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방출 조절성 막층을 형성시켰다. 코팅 조건은 스프레이 에어 1.7 bar, 아울렛 에어 온도 24℃, 인렛 에어 온도 34℃, 플로우 5~7, 팬스피드 10~15rpm으로 하였다. 상기 방출 조절층이 형성된 미니-정제를 오파드라이로 필름 코팅하였다. 상기 즉방형 부 미니정제와 서방형 부 미니정제를 경질캡슐에 충진시켰다.
구 분 실시예 13
즉방형 부
(mg/정)
주성분 구연산모사프리드 4.232
부형제 미결정셀룰로오스 16.668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1
활택제 탈 크 0.25
활택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50
활택제 경질무수규산 0.25
코팅제 오파드라이 1.0
합계(mg/정) 24.0
서방형 부
(mg/정)
주성분 구연산모사프리드 11.639
부형제 미결정셀룰로오스 43.986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3.025
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고점도) 14.0
코팅제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0.55
코팅제 에칠셀룰로오스 8.4
활택제 경질무수규산 0.70
활택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70
용 매 메탄올 154.0
코팅제 오파드라이 3.0
합계(mg/정) 110.0
시험예 1: 용출시험
실시예 1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모사프리드 함유 제형들을 대상으로, 용출기(Vankel VK7025 Vk8000, USA)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하에서 용출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 내지 16에 나타내었다.
[용출시험조건]
용출액: 물 및 pH 1.2, 900 mL
온도: 37±0.5℃
시험법: 대한약전 용출시험 제2법 (패들법), 캡슐의 경우 싱커(Sinker) 사용
패들 회전 속도: 50 rpm
실시예 1 내지 13의 경우, 도 1, 2 및 5 내지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즉방층의 빠른 붕해로 인하여 30분 이내에 구연산 모사프리드의 즉방형 부의 방출이 완료되고, 그 후 방출 조절성 고분자의 역할에 의하여 서방부의 방출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 및 2에 나타난 실시예 1 내지 3의 결과를 보면, 즉방형 부와 서방형 부의 약물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즉시방출과 지연방출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2의 경우,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즉방층의 빠른 붕해로 30분 이내에 구연산 모사프리드의 방출이 완료되고 그 후 방출조절성 고분자의 역할로 서방부의 방출이 일어나지만, 실시예 1 내지 3과는 달리 30분 용출율이 약 10%로 매우 낮거나 50%로 매우 높았다. 이는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에는 즉방층 내 모사프리드의 비율이 약 20~40%인데 반하여 비교예 1은 약 10% 비교예 2는 약 50%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도 5, 6(실시예 4 내지 8)에서는 서방형 부의 방출이 제어방출용 고분자에 종류에 의해서 다양한 패턴을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어방출용 고분자의 단독 또는 복합하여 제조할 경우 다양한 용출양상의 방출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7 내지 10(실시예 9 내지 10)에서는 제어방출용 고분자를 코팅하여 제조된 펠렛이 지연 방출됨으로써 캡슐 또는 이층정제 통하여 즉시방출과 지연방출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1 및 12(실시예 11)에서는 서방형 정제에 즉방형 약물층을 코팅함으로써 즉시방출상인 약물 코팅층이 즉시 용출되고 그 후 지연방출상인 서방형 부가 용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 및 14(실시예 12)에서는 외층인 즉방형 부가 즉시 용출되고 내층인 서방형 부가 지연 방출됨으로서 2상 용출 프로파일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도 15 및 16(실시예 13)에서는 캡슐이 5분 이내에 붕해된 후 즉방형 부 미니정제가 즉시 용출되는 동시에 서방형 부 미니정제의 방출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 내 모사프리드 함량에 따른 이층정의 임상시험을 통한 혈중농도변화 평가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 내 모사프라이드 함량에 따른 이층정의 흡수패턴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3의 이층 정제를 비교예 1 내지 2의 이층 정제와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건강한 성인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모사프리드 함유 이층 정제(모사프리드 15mg 함유)를 투여하여 혈중농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투약방법으로 남성 20명을 무작위로 5개군으로 나눈 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내지 2에서 제조한 이층 정제를 시험 개시와 함께 투약하였으며, 복용 후 0, 0.25, 0.5, 0.75, 1, 1.25, 1.5, 2, 4, 6, 8, 10, 12, 14, 16 및 18시간에 채혈하고, LC-MS를 이용하여 혈액을 전 처리한 샘플들로부터 혈장 내 모사프리드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하기 표 9와 도 17 및 18에 나타내었다.
AUC, hr.ng/mL Cmax, ng/mL
실시예 1 302.22 ± 152.88 39.61 ± 25.58
실시예 2 297.28 ± 182.45 51.59 ± 38.45
실시예 3 305.91 ± 208.33 61.89 ± 42.58
비교예 1 253.55 ± 130.58 28.16 ±19.53
비교예 2 329.22 ± 258.28 81.25 ± 69.26
상기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이층 정제들은 AUC(곡선하면적)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Cmax 항목에서는 각각 39.61 ng/mL, 51,59 ng/mL 및 61.89 ng/mL로 나타났는데, 이는 투약 후 즉방출되는 즉방형 부의 비율에 따라 생체 내 모사프리드의 최대혈중농도가 조절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즉방형 부의 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즉방출로 유효혈중 농도범위를 즉시 달성한 후, 서방형 부의 지연방출을 조절함으로써 약물의 혈중농도를 원하는 시간까지 유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2의 이층 정제의 흡수패턴의 경우 평균 AUC는 각각 253.55 hr.ng/mL와 329.22 hr.ng/mL로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해 비교예 1의 경우 약 80%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2의 경우 110% 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Cmax의 경우 비교예 1은 28.16 ng/mL, 비교예 2는 81.25 ng/mL로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시판중인 대조약 가스모틴정 5 mg(대웅제약)의 Cmax가 50~60 ng/mL인 것을 고려할 때 비교예 1은 약 40%~50% 정도 낮은 수준이고, 비교예 2는 약 30~60% 정도 높은 수준이다. 상기와 같이 대조약에 비해 AUC 및 Cmax값이 낮거나 높은 경우, 복용시 약효를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거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대조약과의 약효 동등성을 고려할 때, 즉방형 부와 서방형 부의 비율이 20~40% : 60~80%가 적절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임상시험을 통한 혈중농도변화 평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모사프리드 함유 이층 정제의 흡수패턴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건강한 성인 남녀 16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2의 모사프리드 함유 이층 정제(모사프리드 15 mg 함유) 및 대조군으로 시판중인 구연산 모사프리드 속방정(가스모틴®정 5 mg 함유; 대웅제약)을 투여하여 혈중농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투약방법으로 1기 투약군 중 1군은 실시예 2의 이층 정제를 시험 개시와 함께 투약하고, 2군은 가스모틴® 1정을 시험 개시와 함께 투약하고 6시간 이후 2차 투약하고 다시 6시간 이후 3차 투약하였다. 일정기간의 휴약 기간을 가진 후, 2기 투약군에 대해서 1군과 2군의 투약 샘플을 교차한 것을 제외하고는 1기 투약법과 같은 방법으로 투약하였다.
복용한 다음 0, 0.25, 0.5, 0.75, 1, 1.25, 1.5, 2, 4, 6, 6.25, 6.5, 6.75, 7, 7.5, 8, 10, 12, 12.25, 12.5, 12.75, 13, 13.5, 14, 16 및 18시간에 채혈하고, LC-MS를 이용하여 혈액을 전처리한 샘플들로부터 혈장 내의 모사프리드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하기 표 10 및 도 19에 나타내었다.
AUC, hr.ng/mL Cmax, ng/mL
대조약 X 3회 290.99 ± 192.33 53.63 ± 31.60
시험약 X 1회 303.27 ± 205.17 55.06 ± 35.70
*로그변환한 AUC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이 0.8744≤δ≤1.1480
*로그변환한 Cmax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이 0.8194≤δ≤1.1629
대조약인 가스모틴® 3회/일 투여한 것과 시험약을 1회/일 투여한 것의 체내 약물동태를 비교한 결과, 약물동태학적 파라미터인 AUC 와 Cmax 항목에서 대조약 대비 시험약이 각각 104.2%, 102.6%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랜기간 동안 충분히 약효가 입증된 대조약과 매우 유사한 수준으로서 시험약 복용시 대조약과의 약효의 동등성을 확보하면서 환자의 복약순응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9)

  1.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모사프리드의 즉방형 부 및 서방형 부를 갖는 약학 조성물로서,
    한국 약전에 따른 용출 제2법(패들법)에 따라 37℃ 수성 완충액에서 측정시 하기의 용출 프로파일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 30분 이내에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 총 중량의 10% 내지 50%가 방출되고,
    2)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50%~95%의 방출이 6 내지 16시간 사이에 달성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이 하기의 용출 프로파일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 30분 이내에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20% 내지 40%가 방출되고,
    2)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60%~90%의 방출이 8 내지 14시간 사이에 달성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즉방형 부가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20 내지 40%를 포함하고, 상기 서방형 부가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의 총 중량의 60 내지 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형 부가 셀룰로오스 유도체, 검류, 친수성 또는 소수성 (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친수성 또는 소수성 폴리비닐 유도체, 폴리에틸렌 유도체, 카르복시비닐 화합물 및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방출 조절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조절제가 서방형 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분말, 펠렛, 캡슐, 정제, 코팅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의 투여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가 즉방형 부의 층 및 서방형 부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이층 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가 매트릭스 내에 포함된 지연 방출 코팅 펠렛을 포함하는 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1일 1회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100022276A 2010-03-12 2010-03-12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약학 조성물 KR101190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276A KR101190708B1 (ko) 2010-03-12 2010-03-12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약학 조성물
PCT/JP2011/055772 WO2011111818A1 (ja) 2010-03-12 2011-03-11 モサプリドまたはその塩を含む徐放型医薬組成物
JP2012504534A JPWO2011111818A1 (ja) 2010-03-12 2011-03-11 モサプリドまたはその塩を含む徐放型医薬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276A KR101190708B1 (ko) 2010-03-12 2010-03-12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약학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455A Division KR20120094882A (ko) 2012-06-29 2012-06-29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113A true KR20110103113A (ko) 2011-09-20
KR101190708B1 KR101190708B1 (ko) 2012-10-12

Family

ID=4456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276A KR101190708B1 (ko) 2010-03-12 2010-03-12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WO2011111818A1 (ko)
KR (1) KR101190708B1 (ko)
WO (1) WO2011111818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2616A1 (ko) * 2013-03-15 2014-09-18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1일 1회 투여로 약리학적 임상 효과를 제공하는 모사프리드 서방성 제제
KR20150075956A (ko) * 2013-12-26 2015-07-06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매트릭스와 코팅층에 모사프리드가 포함된 위장관 질환 치료용 서방형 매트릭스 제제 및 그 제조방법
WO2016209061A1 (ko) * 2015-06-26 2016-12-29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모사프리드와 라베프라졸의 복합제제
KR20190000660A (ko) * 2017-06-23 2019-01-03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용출 특성을 조절한 모사프리드 함유 경구 투여 서방제제
KR20190000656A (ko) * 2017-06-23 2019-01-03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신규한 용출 파라미터를 사용한 모사프리드 함유 서방제제
WO2021107370A1 (ko) * 2019-11-29 2021-06-03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프로톤펌프억제제와 모사프리드를 함유하는 유핵정 제제
WO2021118026A1 (ko) * 2019-12-10 2021-06-17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프로톤펌프억제제 및 모사프리드를 포함하는 유핵정 제제
WO2021125824A1 (ko) * 2019-12-19 2021-06-24 (주)셀트리온 시벤졸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약학 제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17242A1 (en) * 2012-02-20 2015-01-15 Lupin Limited Bilayer Tablet of Dronedarone
JP5914701B2 (ja) * 2012-02-22 2016-05-11 デュシネイ・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ドキシラミンおよびピリドキシン、ならびに/またはその代謝物もしくは塩の製剤
PT3024466T (pt) 2013-07-22 2018-07-13 Duchesnay Inc Composição para a gestão de náuseas e vómitos
US9452181B2 (en) 2013-07-22 2016-09-27 Duchesnay Inc. Composition for the management of nausea and vomiting
TWI595874B (zh) 2014-08-29 2017-08-21 達契斯奈股份有限公司 多西拉敏及吡哆醇及/或其代謝產物或鹽之多模式釋放調配物
TWI568455B (zh) * 2014-09-12 2017-02-01 韓國聯合製藥股份有限公司 每日一次投藥之提供藥學及臨床效果之莫沙必利持續釋放製劑
MX2017013489A (es) * 2015-04-20 2018-05-22 Twi Biotechnology Inc Formulaciones que contienen diacereina y metodos para la reduccion de los niveles en sangre de acido urico usando los mismos.
KR102467265B1 (ko) 2017-06-23 2022-11-16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분자량분포 특성을 조절한 모사프리드 함유 서방제제
KR102465629B1 (ko) 2017-06-23 2022-11-11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1일 1회 경구투여하는 모사프리드 함유 서방제제
KR102294186B1 (ko) 2017-06-23 2021-08-27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1일 1회 경구투여하는 모사프리드 함유 서방제제
KR102294190B1 (ko) 2017-06-23 2021-08-27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신규한 용출 파라미터를 이용한 모사프리드 함유 서방제제
KR102034694B1 (ko) * 2017-12-14 2019-10-22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모사프리드와 라베프라졸을 함유하는 유핵정 복합제제
KR20240040467A (ko) * 2022-09-21 2024-03-28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모사프리드 서방성 제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888298A (en) * 1997-01-03 1998-07-31 Elan Corporation, Plc Sustained release cisapride minitablet formulation
WO2003011256A1 (en) * 2001-07-30 2003-02-13 Sun Pharmaceutical Industries Limited Oral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a prokinetic agent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2390B2 (en) 2013-03-15 2018-05-08 Korea United Pharm, Inc. Mosapride sustained-release formulation providing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effects with once-daily administration
CN105142618A (zh) * 2013-03-15 2015-12-09 韩国联合制药株式会社 提供药理及临床效应的莫沙必利每日单次施用缓释制剂
US20160030436A1 (en) * 2013-03-15 2016-02-04 Korea United Pharm. Inc. Mosapride sustained-release formulation providing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effects with once-daily administration
WO2014142616A1 (ko) * 2013-03-15 2014-09-18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1일 1회 투여로 약리학적 임상 효과를 제공하는 모사프리드 서방성 제제
KR20150075956A (ko) * 2013-12-26 2015-07-06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매트릭스와 코팅층에 모사프리드가 포함된 위장관 질환 치료용 서방형 매트릭스 제제 및 그 제조방법
CN108289849A (zh) * 2015-06-26 2018-07-17 韩国联合制药株式会社 莫沙必利与雷贝拉唑的复合制剂
WO2016209061A1 (ko) * 2015-06-26 2016-12-29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모사프리드와 라베프라졸의 복합제제
RU2697836C2 (ru) * 2015-06-26 2019-08-21 Кореа Юнайтед Фарм. Инк.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репарат мозаприда и рабепразола
US11000481B2 (en) 2015-06-26 2021-05-11 Korea United Pharm. Inc. Composite preparation of mosapride and rabeprazole
KR20190000660A (ko) * 2017-06-23 2019-01-03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용출 특성을 조절한 모사프리드 함유 경구 투여 서방제제
KR20190000656A (ko) * 2017-06-23 2019-01-03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신규한 용출 파라미터를 사용한 모사프리드 함유 서방제제
WO2021107370A1 (ko) * 2019-11-29 2021-06-03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프로톤펌프억제제와 모사프리드를 함유하는 유핵정 제제
WO2021118026A1 (ko) * 2019-12-10 2021-06-17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프로톤펌프억제제 및 모사프리드를 포함하는 유핵정 제제
KR20210073285A (ko) * 2019-12-10 2021-06-18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프로톤펌프억제제 및 모사프리드를 포함하는 유핵정 제제
WO2021125824A1 (ko) * 2019-12-19 2021-06-24 (주)셀트리온 시벤졸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약학 제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11818A1 (ja) 2011-09-15
KR101190708B1 (ko) 2012-10-12
JPWO2011111818A1 (ja)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708B1 (ko)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약학 조성물
KR20120094882A (ko) 모사프리드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서방형 약학 조성물
AU775914B2 (en) Controlled release galantamine composition
JP2003503341A (ja) 少なくとも一つの適時パルスを生ずる制御された放出用の医薬投与形態
WO2006082523A2 (en) Pharmaceutical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 of metformin
JP2010532746A (ja) 放出調節医薬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07252A (ko) 양성 전립선 과다형성증용 치료 조합물
EP2373319B1 (en) Sustain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quetiapin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CA2926082A1 (en) Muco-adhesive,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of levodopa and/or esters of levodopa and uses thereof
EP2275093A2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
WO2012101653A2 (en) Modified rel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memantine
WO2018108157A1 (zh) 一种瑞卡帕布口服缓控释药物组合物及其用途
KR20170134393A (ko) 테소펜신, 베타 차단제 복합 제형
KR101869406B1 (ko) 방출제어형 경질캡슐 제제
JP2007520547A (ja) ベンラファキシン塩酸塩の徐放性コーティングされた小型錠剤
KR20060136409A (ko) 벤라팍신 히드로클로라이드의 방출연장형 코팅 미니정제
US20090220593A1 (en) Extended release dosage forms of quetiapine
JP2003201256A (ja) 大腸送達性経口医薬製剤、大腸癌治療用経口医薬製剤および大腸炎治療用経口医薬製剤
WO2019237446A1 (zh) 一种曲美他嗪缓释片及其制备方法
JP6924177B2 (ja) 医薬組成物粒子とそれを含む口腔内崩壊製剤
CN108066304B (zh) 具有缓释性能的坦索罗辛口腔崩解片组合物
US2013025179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hentermine and topiramate
KR101265491B1 (ko) 사포그릴레이트염산염을 함유하는 용출률이 조절된 경구용 다층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12082A (ko) 미라베그론 및 탐스로신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N113347963A (zh) 具有优异耐酸性的包含盐酸坦洛新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3386;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1027

Effective date: 201711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401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1215

Effective date: 20181023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