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567A -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 Google Patents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567A
KR20110102567A KR1020100021636A KR20100021636A KR20110102567A KR 20110102567 A KR20110102567 A KR 20110102567A KR 1020100021636 A KR1020100021636 A KR 1020100021636A KR 20100021636 A KR20100021636 A KR 20100021636A KR 20110102567 A KR20110102567 A KR 20110102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layer
cable
layer
shielding
fix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2427B1 (ko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센테크
Priority to KR102010002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42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2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및 마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마감기구는, 심선과, 절연층과, 차폐층과, 절연피복을 포함하는 케이블 단부의 차폐층을 절연층으로부터 박리시킴과 아울러 링형태의 고정링으로 하여금 절연층으로부터 박리된 상태의 차폐층을 뒤집어 절연피복의 주연부에 죄어 고정시키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및 마감방법은, 케이블 단부 차폐층의 마감처리를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차폐선의 마감 부분이 고정링으로 단단히 조여져 다시 풀릴 염려가 없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마감을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Apparatus for tying shield wire in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단부 차폐층의 마감처리를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기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각 분야의 개별적 수요에 최적으로 설계된 다양한 케이블이 개발되고 있다. 가령 초고압 송전케이블이나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고전압부 케이블의 내부에는, 케이블 내 심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력이 케이블 외부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전자기력을 차폐하는 차폐층이 내장되어 있다. 통신용 케이블의 경우에도 외부의 전자기력이 심선에 영향을 미쳐 전송 데이터의 오류를 야기하지 않도록 차폐층이 내장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차폐층이 내장되어 있는 타입의 케이블 단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케이블(11)은, 도체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심선(13)과, 상기 심선(13)을 감싸며 심선을 외부에 대해 절연하는 절연층(15)과, 상기 절연층(15)을 감싸며 심선(13)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파가 외부로 누설되거나, 또는 외부의 전자기파가 심선(13)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차단하는 차폐층(17)과, 상기 차폐층(17)을 감싸는 절연피복(19)을 포함한다.
상기 차폐층(17)은 케이블(11)의 단부를 외부의 접속 대상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얼마간 절단된다. 즉, 심선(13)을 노출시키기 위해 절연층(15)을 필요길이 만큼 박피할 때, 최소한 절연층(15)의 길이만큼 박피된다. 이는 차폐층(17)이 심선(13)은 물론 접속대상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그 단부가 얼마간 절단된 차폐층(17)은 케이블의 접속공사시, 전력의 공급이나 데이터의 송수신을 방해하지 않도록 또는 미관상 너저분하지 않도록 절연피복(19)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최대한 제거되거나 접힌 상태로 조여진다.
그런데 상기 차폐층(17)을 접어 조이는 종래의 작업방식은 어떠한 전용 공구나 기구 없이 작업자가 맨손으로 또는 드라이버와 같은 수공구로 차폐층을 일일이 뒤집어야 하는 방식으로서, 매우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특히 뒤집힌 차폐선의 모양이 깔끔하지 못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케이블 단부 차폐층의 마감처리를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차폐선의 마감 부분이 고정링으로 단단히 조여져 다시 풀릴 염려가 없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마감을 가능케 하는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도체 심선과, 상기 심선을 감싸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을 감싸며 심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차폐층과, 상기 차폐층을 감싸는 절연피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블 단부의 차폐층을 절연층으로부터 박리시킴과 아울러 링형태의 고정링으로 하여금 절연층으로부터 박리된 상태의 차폐층을 뒤집어 절연피복의 주연부에 죄어 고정시키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과 동일한 중심축선에 위치하며 케이블의 심선 단부를 그 내부에 수용 지지하는 심선지지로드와; 중공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심선지지로드를 그 내부로 통과시켜 심선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측으로 이동하며 그 선단부로 상기 절연층으로부터 차폐층을 박리하여 차폐층을 절연층으로부터 벌리고, 외측에 상기 고정링이 끼워지는 차폐층박리로드와; 상기 차폐층박리로드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차폐층박리로드에 의해 차폐층이 절연층으로부터 벌어졌을 때, 상기 고정링을 케이블측으로 이동시켜 고정링으로 하여금 차폐층을 뒤집어 올리게 하는 푸싱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심선지지로드의 선단부에는, 일정내경을 가지며 그 내부로 상기 심선을 수용하여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수용구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차폐층박리로드의 선단부에는, 상기 절연층과 차폐층의 사이로 진입하며 차폐층을 절연층으로부터 벌리는 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및 마감방법은, 케이블 단부 차폐층의 마감처리를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차폐선의 마감 부분이 고정링으로 단단히 조여져 다시 풀릴 염려가 없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마감을 가능케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의 단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를 고정링과 함께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차폐층 마감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차폐층 마감기구와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단부 차폐선 마감기구를 이용한 마감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를 고정링과 함께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차폐층 마감기구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21)는, 케이블(11)을 고정하는 케이블홀더(23)와, 상기 케이블홀더(23)를 그 내부에 수요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절연층(15)으로부터 차폐층(17)을 벗겨내는 차폐층박리로드(25)와, 상기 차폐층박리로드(25)에 끼워지는 링형태의 부재로서 고정링(29)을 케이블측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푸싱링(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홀더(23)는, 원기둥형 손잡이(23a)와, 상기 손잡이(23a)에 고정되는 심선지지로드(23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심선지지로드(23b)의 선단부에는 수용구(23c)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용구(23c)는 작업할 케이블 단부의 노출된 심선(13)을 그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케이블(11)에 대한 케이블홀더(23)의 상대이동을 방지한다. 즉, 상기 수용구(23c)에 심선(13)이 끼워짐에 따라 케이블(11)과 심선지지로드(23b)가 동축상에 위치하게 되고, 케이블(11)이 심선지지로드(23b)로부터 어긋나거나 심선지지로드(23) 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차폐층박리로드(25)는 관통로(25a)가 형성된 중공파이프형 부재로서 상기 심선지지로드(23b)에 끼워진다. 상기 관통로(25a)의 내주면은 심선지지로드(23b)의 외주면에 접한다. 따라서 상기 차폐층박리로드(25)는 심선지지로드(23b)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되며 이동 가능하다.
특히 상기 차폐층박리로드(25)의 선단부에는 날부(25c)와 경사면(25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날부(25c)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층박리로드(25)를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케이블(11)의 절연층(15)과 차폐층(17) 사이로 진입함으로써, 절연층(15)으로부터 차폐층(17)을 박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경사면(25b)은 박리된 차폐층(17)을 케이블의 반지름 방향으로 벌리는 기능을 한다. 상기 경사면(25b)의 경사각이나 넓이는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차폐층박리로드(25)에 끼워지는 푸싱링(27)은 고정링(29)을 도 8의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가압부재로서, 일정 직경을 갖는 링의 형태를 취하며 케이블 마감 과정시 고정링(29)과 함께 푸싱링(27)에 미리 끼워진다. 상기 푸싱링(27)의 내경은 고정링(29)의 내경보다 작고, 외경은 고정링(29)의 외경보다 크다.
상기 고정링(29)은 푸싱링(27)에 의해 밀려 이동하며, 도 7의 차폐층박리로드(25)에 의해 벌어진 상태의 차폐층(17)을, 절연피복(19) 측으로 뒤집어 넘긴 후 묶는 부재이다. 상기 고정링(29)은 금속류로 제작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차폐층 마감기구와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홀더(23)의 심선지지로드(23b)에 차폐층박리로드(25)가 끼워져 있고, 상기 차폐층박리로드(25)에는 푸싱링(27)과 고정링(29)이 아래 위로 끼워져 있다.
아울러 차폐층(17)을 마감할 케이블(11)의 선단부가 부분적으로 박피되어 심선(13)과 절연층(15)과 차폐층(17)이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심선(13)은 수용구(23c)의 깊이만큼 노출되어, 심선(13)을 수용구(23c)에 삽입하면 심선(13)의 선단부가 수용구(23c)의 바닥부에 닿는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단부 차폐선 마감기구를 이용한 마감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기구(21)에 고정링(29)을 끼우고, 이를 (그 단부가 부분적으로 박피된) 케이블(11)과 마주하도록 동축상에 배치한다.
이어서 케이블(11) 측으로 마감기구(21)를 근접시켜, 수용구(23c)에 심선(13)의 선단부를 삽입함으로써 케이블(11)에 대한 마감기구(21)의 고정을 마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11)에 대한 마감기구(21)의 고정이 완료되었다면, 차폐층박리로드(25)를 화살표 a 방향으로 가압하여, 차폐층가압로드(25)의 날부(25c)가 절연층(15)과 차폐층(17)의 사이로 진입하도록 한다.
상기 차폐층가압로드(25)를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절연층(15)에 밀착하고 있던 차폐층(17)이 절연층(15)으로부터 벗겨지며, 상기 경사면(25b)의 작용에 의해 케이블의 반지름 방향으로 벌어진다.(도 7 참조)
상기 과정을 통해 차폐층(17)이 반지름방향으로 충분히 벌여졌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싱링(27)을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링(29)으로 하여금 차폐층(17)을 절연피복(19) 주연부에 채우도록 한다. 상기 고정링(29)은, 차폐층(17)을 뒤집어 절연피복(19)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고정링(29)의 고정이 완료되었다면, 케이블(11)에 고정링(29)을 남겨놓고 마감기구(21)를 케이블(11)로부터 분리하여 마감과정을 마무리한다.(도 9참조)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케이블 13:심선 15:절연층
17:차폐층 19:절연피복 21:마감기구
23:케이블홀더 23a:손잡이 23b:심선지지로드
23c:수용구 25:차폐층박리로드 25a:관통로
25b:경사면 25c:날부 27:푸싱링
29:고정링

Claims (3)

  1.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도체 심선과, 상기 심선을 감싸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을 감싸며 심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차폐층과, 상기 차폐층을 감싸는 절연피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블 단부의 차폐층을 절연층으로부터 박리시킴과 아울러 링형태의 고정링으로 하여금 절연층으로부터 박리된 상태의 차폐층을 뒤집어 절연피복의 주연부에 죄어 고정시키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과 동일한 중심축선에 위치하며 케이블의 심선 단부를 그 내부에 수용 지지하는 심선지지로드와;
    중공파이프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심선지지로드를 그 내부로 통과시켜 심선지지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측으로 이동하며 그 선단부로 상기 절연층으로부터 차폐층을 박리하여 차폐층을 절연층으로부터 벌리고, 외측에 상기 고정링이 끼워지는 차폐층박리로드와;
    상기 차폐층박리로드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부재로서, 상기 차폐층박리로드에 의해 차폐층이 절연층으로부터 벌어졌을 때, 상기 고정링을 케이블측으로 이동시켜 고정링으로 하여금 차폐층을 뒤집어 올리게 하는 푸싱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선지지로드의 선단부에는, 일정내경을 가지며 그 내부로 상기 심선을 수용하여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수용구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박리로드의 선단부에는, 상기 절연층과 차폐층의 사이로 진입하며 차폐층을 절연층으로부터 벌리는 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KR1020100021636A 2010-03-11 2010-03-11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KR101112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636A KR101112427B1 (ko) 2010-03-11 2010-03-11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636A KR101112427B1 (ko) 2010-03-11 2010-03-11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567A true KR20110102567A (ko) 2011-09-19
KR101112427B1 KR101112427B1 (ko) 2012-02-22

Family

ID=4495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636A KR101112427B1 (ko) 2010-03-11 2010-03-11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4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68B1 (ko) * 2012-07-09 2013-11-08 주식회사 넥센테크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CN109411144A (zh) * 2018-10-23 2019-03-01 上海新时达线缆科技有限公司 绝缘层可剥离式电缆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1850B1 (fr) * 1993-10-22 1995-12-29 Eurocopter France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assurer la continuité électrique de blindages de câbles.
JP2000312429A (ja) 1999-04-26 2000-11-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ケーブルグランド
JP2005006424A (ja) 2003-06-12 2005-01-06 J-Power Systems Corp 電力ケーブル用終端接続部
KR200428581Y1 (ko) 2006-07-07 2006-10-16 남북전기 주식회사 케이블 그랜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68B1 (ko) * 2012-07-09 2013-11-08 주식회사 넥센테크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CN109411144A (zh) * 2018-10-23 2019-03-01 上海新时达线缆科技有限公司 绝缘层可剥离式电缆
CN109411144B (zh) * 2018-10-23 2024-02-06 上海新时达线缆科技有限公司 绝缘层可剥离式电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2427B1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303B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케이블 커넥터 내에 동축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
US20040031144A1 (en) Coaxial cable braid everting tool
US9425593B2 (en) Stripping tool
US20090305542A1 (en) Waterproof connector and waterproof apparatus using the same
ATE261200T1 (de) Vorbereitungswerkzeug für abgeschirmte kabel
US8001679B2 (en) Compression tool with adjustable pushing length
KR101112427B1 (ko)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JP2018041748A (ja) 差込み式コネクタ装置
KR200450026Y1 (ko) 전동식 전선피복 탈피기
KR101152913B1 (ko) 나사식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CN101964495B (zh) 电线解捻工具
KR101112439B1 (ko) 케이블 단부의 차폐층 마감방법
JP2016063706A (ja) 被覆剥離器
US8609989B2 (en) Electrical cable and method and device for the manufacture thereof
JP2008108488A (ja) 被覆電線接続器具
JP7206790B2 (ja) スリーブカバー
KR101324768B1 (ko) 케이블 단부 차폐층 마감기구
JP2007012531A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KR101773473B1 (ko) 조립형 직선접속재 시공 방법
JP5100363B2 (ja) 電線分岐用圧縮スリーブ
JP5089302B2 (ja) 電線挿入作業用具
KR101773475B1 (ko) 자기수축형 직선접속재 시공 방법
CN214100195U (zh) 一种电力工程用的电缆压接钳
JP3130104U (ja) F型接栓装着工具
KR100947894B1 (ko)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