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894B1 -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894B1
KR100947894B1 KR1020090081627A KR20090081627A KR100947894B1 KR 100947894 B1 KR100947894 B1 KR 100947894B1 KR 1020090081627 A KR1020090081627 A KR 1020090081627A KR 20090081627 A KR20090081627 A KR 20090081627A KR 100947894 B1 KR100947894 B1 KR 100947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housing
cable
coaxial cable
st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시온종합무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온종합무역(주) filed Critical 시온종합무역(주)
Priority to KR1020090081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1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24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36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10)이 삽입되는 케이블공(50a)이 형성되고, 동축케이블(10)의 피복(12) 및 절연코어(16)를 단차형태로 절단하는 나이프(52, 52')를 갖는 커터(50); 상기 커터(50)에 일부분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케이블공(50a)에 대응하는 관통공(60a)을 갖는 원통형의 하우징(60); 상기 하우징(60)에 상기 커터(50)의 일부분을 이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패스너 및; 상기 커터(5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80);를 포함하다. 본 발명은, 탄성체(80)의 탄성력을 통해 동축케이블(10)을 파지할 수 있다.
단차, 절단, 이동, 하우징, 탄성

Description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 STRIPPER FOR COAXIAL CABLE }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에 관한 것으로서, 동축케이블의 코어선이 노출된 상태로 동축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는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은 긴 원통 모양의 외부도체(外部導體)와 그 중심축에 놓인 1개의 내부도체로 이루어진 전송선로로서 선로의 단면을 보면 외부도체와 내부도체가 동심원(同心圓)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동축케이블은 외부도체에 해당하는 쉴드선과 내부도체에 해당하는 코어선으로 이루어지며, 피복에 의해 감싸져 있다. 이때, 코어선은 원통형의 절연코어에 삽입되어 있다. 즉, 동축케이블은 외측으로부터 피복, 쉴드선, 절연코어 및 코어선으로 구성된다.
동축케이블은 직류를 포함한 저주파에서 수십 MHz의 고주파까지의 전기신호를 전송할 수가 있으며, 동일 케이블 속에 복수(複數)의 동축케이블을 수용해도 상호간의 신호누설이 적은 이점이 있다.
동축케이블은 1934년에 S.A.셸크노프가 이론적으로 전송로의 가능성을 설명한 이래, 많은 전화회선의 다중통신을 하는 광대역전송에 사용되어 왔으며, 근년에 들어 전자부품의 진보와 정보화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사한 것으로서 마이크로파에 사용하는 동축관(同軸管)이 있다. 또한 동축케이블보다 더욱 발전된 것으로는 광케이블이 있다.
한편, 동축케이블은 단부에 너트형태로 형성된 커넥터가 연결된다. 동축케이블은 코어선이 노출되고 피복이 제거된 상태로 커넥터에 연결된다. 이러한 동축케이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위형태로 형성된 스트리퍼(1)에 의해 피복 및 절연코어가 제거된다. 이때, 동축케이블(10)은 스트리퍼(1)에 형성된 절단날(1a)에 의해 단차형태를 이루면서 피복 및 절연코어가 제거된다. 따라서, 동축케이블(10)은 피복이 제거되고, 코어선이 노출된 상태로 커넥터에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1)는 가위형태로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스트리퍼(1)를 파지한 상태로 스트리퍼(1)를 회전시켜야 피복 및 절연코어가 제거된다. 이때, 작업자는 스트리퍼(1)에 절단력이 발생하도록 스트리퍼(1)를 꽉 움켜쥔 상태로 스트리퍼(1)를 회전시켜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1)는 절단력을 위해 강하게 파지된 상태로 회전되어야 하므로 피복 및 절연코어의 제거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작업자가 강한 파지력을 계속해서 제공하여야 하므로 작업자가 여러개의 동축케이블을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이를 개선하고자 도시된 바와 달리 펜치(Pincers) 형태로 형성된 스트리퍼도 보급되고 있으나, 이러한 스트리퍼도 강한 파지력을 요구하므로 전술한 바와 동일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동축케이블을 파지할 수 있으며, 동축케이블을 파지한 상태에서 동축케이블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절단날을 통해 동축케이블의 피복 및 절연코어를 제거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마련된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마모되는 절단날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요소가 마련된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절단날을 선접촉방식으로 억지끼움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아울러, 구성요소들 중에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구성요소를 설정된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게다가,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구성요소를 이동이 안되는 구성요소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에 더하여, 작업자의 옷이나 체크리스트판과 같은 물체에 일부분을 고정하는 부재가 마련되고, 분리가능하게 구성된 구성요소의 분리를 돕는 부재가 마련된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더 나아가, 작업자의 손이나 손가락과 접촉되는 부위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소가 마련된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이 안되는 구성요소를 분할하여 조립식으로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는, 피복의 내부에 쉴드선과 절연코어 및 코어선이 순차적으로 내장된 동축케이블을 위한 스트리퍼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이 삽입되는 케이블공이 형성되고, 이 케이블공의 내부에 케이블공의 관통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동축케이블의 피복 및 절연코어를 단차형태로 절단하는 나이프를 가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커터; 상기 커터의 일부분이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커터의 상기 케이블공에 대응하는 관통공을 갖는 원통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기 커터의 일부분을 이동가능한 상태로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패스너 및; 상기 패스너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커터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커터는 예컨대,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일부분에 구멍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나이프가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나이프홀더 및; 상기 나이프홀더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나이프를 지지하는 지지볼트;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나이프홀더는, 상기 나이프의 표면과 선접촉하면서 억지끼움에 의해 발생되는 나이프의 마찰력을 감쇠시키는 요철;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커터 및 하우징에 암수형태로 마련되어 커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 가이더는 예컨대, 상기 커터에 일직선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형성되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가이드돌기와 교합하는 홈형태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패스너는 예컨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커터에 끼워지는 스톱핀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스톱핀이 관통되고, 상기 커터의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커터의 이동시 스톱핀을 안내하는 장공형태의 핀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에 절곡상태로 마련되는 클립; 상기 클립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패스너의 스톱핀을 가압하여 상기 커터로부터 스톱핀을 분리하는 렌치 및; 상기 렌치에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클립에 형성되어 렌치를 클립의 일부분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홈형태의 클램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도 있다.
상기 커터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단부에 돌출형성되는 지압돌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터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예컨대, 상기 탄성체가 내장되고, 탄성체를 걸림상태로 내부에 고정하는 고정핀을 갖는 메인하우징 및; 상기 커터의 일단부가 상기 패스너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메인하우징의 단부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나사결합되는 서브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는,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커터 및 하우징의 케이블공 및 관통공이 어긋나면서 케이블을 파지하므로 작업자의 도움 없이 케이블을 파지할 수 있으며, 파지된 케이블을 중심으로 하우징이 빙글빙글 회전됨에 따라 커터의 나이프가 케이블의 피복 및 절연코어를 절단하므로 피복 및 절연코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렌치로 지지볼트를 조여서 나이프의 돌출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나이프가 마모되어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커터의 나이프홀더에 형성된 요철이 나이프홀더에 삽입되는 나이프의 마찰력을 감쇠시키므로 나이프를 용이하게 커터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커터의 가이드돌기가 하우징의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이동하므로 커터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터를 하우징으로 삽입할 경우 커터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커터가 장공을 관통하는 스톱핀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되므로, 스톱핀을 제거할 경우 커터를 하우징에서 분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에 더하여, 하우징에 클립이 동일체로 마련되므로 클립을 통해 얇은 두께 의 사물에 하우징을 고정할 수 있으며, 클립에 렌치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렌치로 전술한 스톱핀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커터의 표면에 지압돌기가 마련되거나 커터의 표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경우 커터의 표면에서 작업자의 손가락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하우징을 나사결합되는 메인하우징 및 서브하우징으로 구성할 경우 스톱핀을 제거하지 않고도 렌치를 이용하여 나이프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메인 및 서브하우징이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므로 메인 및 서브하우징을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트리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스트리퍼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종단면도이다. 또,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스트리퍼의 동축케이블 절단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한,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스트리퍼의 동축케이블 절단 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나이프가 길이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50); 하우징(60); 패스너(70) 및; 탄성체(80);를 포함한다.
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복수개로 구성된다. 커터(50)는 하우징(60)의 일단부가 차폐될 경우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케이블(10)이 관통되는 케이블공(50a)을 갖는다. 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공(50a)의 내부에 나이프(52)가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나이프(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공(50a)의 관통방향과 직각상태로 돌출된다. 즉, 나이프(52)는 케이블공(50a)의 관통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케이블공(50a)의 내부에 설치된다.
하우징(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50) 보다 길게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이다. 하우징(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50)의 케이블공(50a)에 대응하는 관통공(60a)을 갖는다. 하우징(60)은 커터(50)가 복수개로 구성됨에 따라 양단부에 관통공(60a)을 갖는다.
이러한 하우징(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절곡형성된 클립(68)이 마련된다. 크립(6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에 홈형태의 클램프(68a)가 형성된다. 클램프(68a)는 폭이나 깊이가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WC)의 직경에 대응형성된다. 따라서, 클립(68)은 클램프(68a)에 의하여 측방에 렌치(WC)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패스너(7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핀(72) 및; 하우징(60)에 형성된 장공(74)형태의 핀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스톱핀(7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74)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장공(74)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동하는 스톱핀(72)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다.
탄성체(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탄성체(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0)에 삽입된다.
한편, 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일직선의 가이드돌기(50b)가 마련된다. 그리고, 하우징(60)은 가이드돌기(50b)가 교합되는 홈형태의 가이드레일(60b)이 마련된다. 즉, 가이드돌기(50b) 및 가이드레일(60b)은 암수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가이드돌기(50b) 및 가이드레일(60b)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커터(50)를 하우징(60)의 내부로 안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나이프(52, 5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멍형태의 나이프홀더(54)를 갖는다. 나이프홀더(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52, 52') 및 무두렌지볼트 형태의 지지볼트(56)가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물론, 나이프홀더(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볼트(56)의 삽입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나이프홀더(54)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뾰족하게 형성된 요철(54a)이 마련된다. 요철(54a)은 나이프(52, 52')의 표면과 선접촉한다. 따라서, 나이프(52, 52')는 나이프홀더(54)에 삽입될 경우 마찰력이 감쇠될 뿐만 아니라 요철(54a)과 선접촉하면서 나이프홀더(54)에 억지끼움된다. 만약, 나이프홀더(54)에 요철(54a)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나이프홀더(54)는 내주면이 나이프(54)의 표면과 면접촉한다. 따라서, 나이프(52, 52')는 나이프홀더(54)에 원활하게 삽입되지 못한다.
한편, 나이프(52, 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으로 구성된다. 이때, 어느 하나의 나이프(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날에 반원홈(52a)을 갖는다. 이러한 반원홈(52a)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10)의 코어선(18)이 삽입된다.
여기서, 전술한 한쌍의 나이프(52, 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상태로 커터(50)에 삽입된다. 물론, 한쌍의 나이프(52, 52')는 나이프홀더(54)가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형성됨에 따라 이격상태로 커터(50)에 삽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0)의 양단부에 제각기 삽입된다. 이때, 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하단부)이 하우징(6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74)으로 삽입된 스톱핀(72)에 의해 하우징(6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렌치(WC)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홈형태의 클램프(68a)를 통해 클립(68)의 측방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렌치(WC)는 상단에 절곡된 부위가 클립(68)을 관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0) 내부의 탄성체(80)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상단부)이 하우징(6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때, 커터(50)의 케이블공(50a) 및 하우징(60)의 관통공(6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어긋난 상태를 이룬다.
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나이프(52, 52')가 서로 상이한 높이( H)로 케이블공(50a)의 내부에 돌출된다. 이러한 커터(50)는 전술한 반원홈(52a)이 형성된 나이프(52')가 더 높게 돌출된다.
커터(50)는 가이드돌기(50b)가 하우징(60)의 가이드레일(60b)에 삽입되어 안 내됨에 따라 회전되지 않고 하우징(60)에 안정적으로 삽입된다. 즉, 커터(50)는 하우징(60)에 삽입시, 가이드돌기(50b) 및 가이드레일(60b)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커터(50)는 탄성체(80)에 탄력적으로 지지되어도 장공(74)을 관통하여 측방으로 삽입되는 스톱핀(72)에 의해 하우징(6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때, 스톱핀(7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74)의 단부에 걸려서 고정된다.
한편, 나이프(52, 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볼트(56)에 의해 지지된다. 또, 커터(50) 및 하우징(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돌기(59) 및 슬라이딩홈(69)가 제각기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돌기(59)는 커터(50)의 이동시 슬라이딩홈(69)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홈(69)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커터(50)는 보다 원활하게 하우징(60)에 삽입된다.
다른 한편, 한쌍의 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공(50a)이 서로 상이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60)의 상부에 고정된 커터(50)의 케이블공(50a)은 하부에 고정된 커터(50)의 케이블공(50a) 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한쌍의 커터(50)는 제각기 상이한 굵기의 케이블(후술됨)을 수용할 수 있다. 물론, 하우징(60)의 상단 및 하단에 제각기 형성된 관통공(60a)도 커터(50)의 케이블공(50a)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의 작동을 첨부된 도 6 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는 작업자 에 파지된 상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50)가 가압된다. 이때, 스톱핀(7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74)을 따라 이동한다. 이렇게, 커터(50)가 가압될 경우 케이블(10)은 하우징(60)의 관통공(60a)을 통해 커터(50)의 케이블공(50a)으로 삽입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커터(50)가 가압됨에 따라 커터(50)의 케이블공(50a) 및 하우징(60)의 관통공(60a)은 일치한다. 따라서, 하우징(60) 및 커터(50)는 케이블(10)이 관통되는 일직선의 통로를 제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커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의 관통이 완료되면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전술한 탄성체(8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스톱핀(7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74)의 단부에 위치한다. 이어서, 커터(50)는 하우징(60)의 측방에 가해지는 외력(작업자가 손가락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을 중심으로 빙글빙글 회전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커터(50)의 케이블공(50a) 및 하우징(60)의 관통공(60a)은 커터(50)가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어긋난다. 이에 따라, 케이블(10)이 관통되는 통로는 협소해진다. 따라서, 케이블(10)은 커터(50) 및 하우징(60)에 걸린상태로 고정된다.
나이프(52, 52')는 하우징(60)의 회전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러한 나이프(52, 52')는 높이가 낮게 설치된 나이프(52)의 경우 확대도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의 피복(12) 두께 만큼 케이블(10)로 삽입된다. 그리고, 반원홈(52a)이 형성된 나이프(52')의 경우 확대도 ②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의 코어선(18)까지 삽입된다. 이때, 케이블(10)의 코어선(18)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홈(52a)에 삽입되어 절단이 방지된다. 즉, 반원홈(52a)이 형성된 나이프(52')는 코어선(18)의 외측에 형성된 절연코어(16)까지만 절단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케이블(10)은 피복(12) 및 절연코어(16)의 절단이 완료되면 작업자에 의해 당겨지면서 하우징(60)에서 분리된다. 이때, 케이블(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12) 및 절연코어(16)가 이격된 한쌍의 나이프(52, 52')에 의해절단됨에 따라 단차를 갖는다. 그리고, 케이블(10)은 코어선(12)이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케이블(10)은 미도시된 너트형태의 커넥터에 곧바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나이프(52, 52')가 마모될 경우 렌치(WC)는 클립(68)에서 분리된다. 이러한 렌치(WC)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핀(72)을 가압한다. 이때, 스톱핀(72)은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0)의 외측으로 이탈된다. 따라서, 커터(50)는 하우징(60)에서 분리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렌치(W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볼트(56)에 삽입되어 지지볼트(56)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나이프(52, 52')는 상승하면서 커터(50)의 케이블공(50a)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마모에 의해 돌출 길이가 짧아진 나이프(52, 52')는 다시 돌출길이가 길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는, 탄 성체(80)의 탄성력에 의해 커터(50) 및 하우징(60)의 케이블공(50a) 및 관통공(60a)이 어긋나면서 케이블(10)을 파지하므로 작업자의 도움 없이 케이블(10)을 파지할 수 있으며, 파지된 케이블(10)을 중심으로 하우징(60)이 빙글빙글 회전됨에 따라 커터(50)의 나이프(52, 52')가 케이블(10)의 피복(12) 및 절연코어(16)를 절단하므로 피복(12) 및 절연코어(16)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 렌치(WC)로 지지볼트(56)를 조여서 나이프(52, 52')의 돌출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나이프(52, 52')가 마모되어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터(50)의 나이프홀더(54)에 형성된 요철(54a)이 나이프홀더(54)에 삽입되는 나이프(52, 52')의 마찰력을 감쇠시키므로 나이프(52. 52')를 용이하게 커터(50)에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커터(50)의 가이드돌기(50b)가 하우징(60)의 가이드레일(60b)에 삽입되어 이동하므로 커터(5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터(50)를 하우징(60)으로 삽입할 경우 커터(5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커터(50)가 장공(74)을 관통하는 스톱핀(72)에 의해 하우징(60)에 고정되므로, 스톱핀(72)을 제거할 경우 커터(50)를 하우징(6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하우징(60)에 클립(68)이 동일체로 마련되므로 클립(68)을 통해 얇은 두께의 사물에 하우징(60)을 고정할 수 있으며, 클립(68)에 렌치(WC)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렌치(WC)로 전술한 스톱핀(72)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커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커터(50)는 전술한 도 2 내지 도 11의 커터(50)와 동일하고,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은 지압돌기(59)가 형성된 것이 차이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돌기(59)는 하우징(60)의 외부로 노출된 커터(50)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지압돌기(5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톨도톨한 엠보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압돌기(59)는 커터(50)를 가압하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땀이나 먼지로 인해 커터(50)의 상부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압돌기(59)는 커터(50)와 동일한 플라스틱재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쿠션을 갖는 고무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지압돌기(59)는 도시된 바와 달리 일직선으로 형성하거나, 사선 또는 퀼트형태의 격자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압돌기(59)는 커터(50)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지압돌기(59)는 홈에 의해 상대적으로 돌출된다.
한편, 커터(5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커터(50)는 상부면이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의 손가락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한편, 첨부된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하우징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60)은 분할구성된 것이 전술한 하우징(60) 과의 차이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분할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하우징(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80)가 내장되는 메인하우징(62) 및 커터(50)가 고정된 상태로 메인하우징(62)에 체결되는 서브하우징(64)으로 구성할 수 있다.
메인하우징(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80)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인하우징(62)은 내장된 탄성체(80)의 이탈을 방지하는 크로스핀(62b)이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크로스핀(62b)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가 체결될 수 있다.
서브하우징(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장공(74)을 갖는다. 따라서, 서브하우징(64)은 커터(50)가 내장된다.
한편, 메인하우징(62) 및 서브하우징(6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62a) 및 암나사(64a)가 제각기 형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메인하우징(62) 및 서브하우징(64)은 전술한 수나사(62a) 및 암나사(64a)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이상과 같은 하우징(60)은 전술한 나이프(52, 52')가 마모될 경우 스톱핀(72)을 제거할 필요 없이, 서브하우징(64)을 풀러서 메인하우징(62)으로부터 분리한 후 렌치(WC)를 이용하여 나이프(52, 5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하우징(60)은 메인 및 서브하우징(62, 64)이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므로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트리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스트리퍼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스트리퍼의 동축케이블 절단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스트리퍼의 동축케이블 절단 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나이프가 길이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커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하우징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Claims (9)

  1. 피복(12)의 내부에 쉴드선(14)과 절연코어(16) 및 코어선(18)이 순차적으로 내장된 동축케이블(10)을 위한 스트리퍼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10)이 삽입되는 케이블공(50a)이 형성되고, 이 케이블공(50a)의 내부에 케이블공(50a)의 관통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동축케이블(10)의 피복(12) 및 절연코어(16)를 단차형태로 절단하는 나이프(52, 52')를 가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커터(50);
    상기 커터(50)의 일부분이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커터(50)의 상기 케이블공(50a)에 대응하는 관통공(60a)을 갖는 원통형의 하우징(60);
    상기 하우징(60)에 상기 커터(50)의 일부분을 이동가능한 상태로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패스너; 및
    상기 패스너에 의해 상기 하우징(6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커터(5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80);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50)는,
    상기 하우징(60)으로 삽입되는 일부분에 구멍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나이프(52, 52')가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나이프홀더(54); 및
    상기 나이프홀더(54)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나이프(52, 52')를 지지 하는 지지볼트(56);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홀더(54)는,
    상기 나이프(52, 52')의 표면과 선접촉하면서 억지끼움에 의해 발생되는 나이프(52, 52')의 마찰력을 감쇠시키는 요철(54a);을 더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50) 및 하우징(60)에 암수형태로 마련되어 커터(50)를 상기 하우징(60)의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더는,
    상기 커터(50)에 일직선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돌기(50b); 및
    상기 가이드돌기(50b)에 대응형성되는 상태로 상기 하우징(6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가이드돌기(50b)와 교합하는 홈형태의 가이드레일(60b);을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하우징(60)을 관통하여 상기 커터(50)에 끼워지는 스톱핀(72); 및
    상기 하우징(60)에 마련되어 상기 스톱핀(72)이 관통되고, 상기 커터(50)의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커터(50)의 이동시 스톱핀(72) 을 안내하는 장공(74)형태의 핀가이드;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0)에 절곡상태로 마련되는 클립(68);
    상기 클립(68)의 일부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패스너의 스톱핀(72)을 가압하여 상기 커터(50)로부터 스톱핀(72)을 분리하는 렌치(WC); 및
    상기 렌치(WC)에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클립(68)에 형성되어 렌치(WC)를 클립(68)의 일부분에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홈형태의 클램프(68a);를 더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50)는,
    상기 하우징(6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단부에 돌출형성되는 지압돌기(59);를 더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50)는,
    상기 하우징(6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0)은,
    상기 탄성체(80)가 내장되고, 탄성체(80)를 걸림상태로 내부에 고정하는 크크로스핀(62b)을 갖는 메인하우징(62); 및
    상기 커터(50)의 일단부가 상기 패스너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메인하우징(62)의 단부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나사결합되는 서브하우징(64);을 포함하는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KR1020090081627A 2009-08-31 2009-08-31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KR100947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627A KR100947894B1 (ko) 2009-08-31 2009-08-31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627A KR100947894B1 (ko) 2009-08-31 2009-08-31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894B1 true KR100947894B1 (ko) 2010-03-17

Family

ID=42183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627A KR100947894B1 (ko) 2009-08-31 2009-08-31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368B1 (ko) * 2013-12-10 2015-07-27 김영관 납땜용 전선피복 제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5316U (ko) * 1987-12-28 1989-07-17
JPH1141741A (ja) * 1997-07-11 1999-02-12 Kanefuji Sangyo Kk 同軸ケーブルの端末処理用切込みの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5316U (ko) * 1987-12-28 1989-07-17
JPH1141741A (ja) * 1997-07-11 1999-02-12 Kanefuji Sangyo Kk 同軸ケーブルの端末処理用切込みの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368B1 (ko) * 2013-12-10 2015-07-27 김영관 납땜용 전선피복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90505A (ja) ハンドツール
US9698580B2 (en) Screwdriver having cable-stripping structure
US20180026429A1 (en) Cable Stripping Tool
US6253641B1 (en) Single drop trimmer with limited cartridge release
KR200450026Y1 (ko) 전동식 전선피복 탈피기
US4062110A (en) Portable tool for stripping metal sheathing from heavy conductive cable
US9472927B2 (en) Wire stripping and cutting tool
JP2017503331A (ja) 差込み式コネクタ装置
CA2919284C (en) Electrical connectors and related methods
KR101037722B1 (ko) 매설형 지중전선 커넥터
EP08007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laying the shield wires of a coaxial cable
KR100947894B1 (ko) 동축케이블용 스트리퍼
KR101315241B1 (ko) 케이블 피복 절단 장치
TW201244313A (en) Coaxial cable connector installation tool
EP1553660A1 (en) Instant cable connector for electrical components or devices
US20170110860A1 (en) Cable stripping device and method for stripping insulation from cables
US20180226776A1 (en) Cable Stripping Tool
CA1135033A (en) Wire stripper
US6502310B1 (en) Cable insulation slitting tool
JP2004079429A (ja) 皮剥ぎ工具
KR101916589B1 (ko) 케이블 피복 절단 장치
US7103978B1 (en) Tool and method for stripping sheath from a cable
GB2215143A (en) Wire stripper
CN220797655U (zh) 剥离用工具
KR200369304Y1 (ko) 전기 케이블 탈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