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219A - 모발 이식을 위한 피부 텐셔너 - Google Patents

모발 이식을 위한 피부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219A
KR20110101219A KR1020117017185A KR20117017185A KR20110101219A KR 20110101219 A KR20110101219 A KR 20110101219A KR 1020117017185 A KR1020117017185 A KR 1020117017185A KR 20117017185 A KR20117017185 A KR 20117017185A KR 20110101219 A KR20110101219 A KR 20110101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body surface
frame
flexible fram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7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3255B1 (ko
Inventor
클리포드 에이. 우스트맨
스티븐 이. 자쿠보우스키
Original Assignee
레스토레이션 로보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스토레이션 로보틱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레스토레이션 로보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01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vaccinating or cleaning the skin previous to the vacc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antagonistic arms as supports for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9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ring member to support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2017/028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elastic retracting members connectable to a frame, e.g. hooked elastic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0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 A61B2017/306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holding by means of suction
    • A61B2017/308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holding by means of suction with suction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4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force, pressure or mechanical 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30Surgical rob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2Devices for expanding tissue, e.g. skin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r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피부 부위에 텐션을 가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으로, 특히 모발이식에 있어서 모낭 유닛을 제거하고 이식하기 위해 피부 부위에 텐션을 가하기 위해 제공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이다. 디바이스(20,130,160,180,240,253,260,290,310)는 피부를 유지하는 적어도 2개의 피부 접촉 부재를 갖춘 프레임(22,132,162,204,262,29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접촉 부재들이 떨어지게끔 힘을 가해서 피부 접촉 부재들 사이의 피부에 인장력이 발생하게 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시된다. 디바이스 및 방법들은 피부 접촉 부재가 피부에 고정되어 유지되게끔 돕는 흡입기를 통합한다. 또한 미늘(28,72,98,116,194,172,152) 또는 미세미늘은 피부 접촉 부재를 피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은 다방향으로 바깥쪽으로 가해서는 인장력으로 피부 부위를 둘러쌀 수 있다. 조절 부재 및 지시계(52,indicator)는 피부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크기를 나타내고 조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텐셔닝 디바이스 및 방법들은 로봇 모발 이식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프레임의 압축을 위한 도구(242,tool)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모발 이식을 위한 피부 텐셔너{SKIN TENSIONER FOR HAIR TRANSPLANTATION}
본 발명은 모발이식 과정에 관련한 신체표면 또는 피부 영역에 텐션을 가하는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발이식 과정에 관련하여 사용되는 스킨 텐셔너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외과수술(surgical), 미용(cosmetic) 및 피부 치료 과정(therapeutic and dermatological procedures)은 피부 영역의 조치를 포함한다. 모발이식도 이런 과정 중에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기증 부위(donor area)"로부터 기증자의 이식 모발을 채취하여 "머리가 없는 부위(bald area)"(수령인 영역(rccipient area))에 이식한다. 모낭 유닛(follicular units)("FUs")의 채취 및 이식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니들(needles), 펀치 및 집게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도구 및 기구들이 공지되어 있다. 모발이식은 기술 및 정밀성을 요구하는 매우 노동집약적이고 복잡한 과정이다. 의사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는 과정 동안에, 모발 채취 또는 이식 부위의 피부 표면이 긴장하도록, 일반적으로 2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목표 위치에 인접하여 압력을 가한다. 모발이식 이외에 유사한 피부 긴장 테크닉이 다양한 미용 및 피부치료 과정에 사용된다.
신체표면으로부터 모낭유닛(follicular units)을 채취하기 위한 하나의 자동화 시스템이 미국 특허 공개 제2007/007846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2개의 타인(tines)형태의 스킨 텐셔너는 피부 표면에 대하여 압박하므로 피부를 긴장시켜서 모낭 유닛이 두피 표면에 관하여 더 직립하게 세우는 것이 가능하다.
(주)론 스타 메디컬(Lone Star Medical products,Inc.)에 의해 제작된 것을 포함하여, 수술부위로부터 떨어지게 조직을 유지하는 상업적으로 유효한 외과수술 견인기(retractor)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견인기는 모발 이식과 같은 피부 텐셔닝의 필요한 절차를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다.
본 출원은 다양한 피부 또는 신체표면을 긴장시키는 장치 및 방법들을 개시하며 다양한 의학적, 미용적 또는 피부학적 절차 동안에 두피, 피부 또는 다른 신체 표면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장치들은 유용한데, 예컨대, 모발 모낭 또는 모낭 유닛(FUs)을 채취 및/또는 이식할 때 유용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킨 텐셔닝 디바이스(skin tensioning device)는 피부에 가해지는 텐션의 크기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고, 만약 필요하다면 조정할 수 있다. 더욱이, 텐셔닝 디바이스는 일인이 한손에(one person or one hand) 적용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개시되어 있으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다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환자가 원한다면 모발이식 과정 도중에 일어나서 돌아다니는 것이 허용되도록 디바이스는 치료 부위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다른 장점은 피부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또는 치료 부위에 걸쳐 균일한 텐션을 가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제조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저비용일 수 있으며 일부 부분들은 청소하기 용이하도록 일회용일 수 있고 부품들을 살균하기에도 용이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혈액을 흡입하여 제거하고 식염수로 씻어낼 수 있는 능력이 제공된다. 게다가 디바이스는 신체표면에 대하여 스킨 텐셔닝 디바이스를 더욱 단단히 유지할 수 있는 흡입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미징 시스템과 협력하여 텐셔닝 디바이스는 기점(fiducials)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양상에 따라서, 신체표면(body surface)에 텐션을 가하기 위한 디바이스(device)는 가요성 프레임(flexible frame)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피부 파지기(skin grasper)를 갖는 피부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프레임은 프레임 본래의 가요성 때문에 압축형태(compressed configuration) 및 완화된 형태(relaxed configuration)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요성 프레임은 완화된 형태로 바이어스되고, 완화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피부 파지기가 신체 표면에 결합하면, 상기 가요성 프레임은 신체 표면에 텐션(tension,인장력)을 제공하게끔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은, 예컨대 탄력적 재질(resilient material), 신축성 재질의 선택으로 본래 탄력적일 수 있으며 또는 형상, 구조, 갭, 두께 또는 프레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프레임에 탄력성을 부여하는 여타 설계를 함으로써 탄력적일 수 있다. 실시예 및 소정의 특징에 따라, 신체표면 텐션 디바이스는 신체표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텐션을 가할 수 있으며, 또는 신체표면에 걸쳐서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텐션을 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다수의(예컨대, 적어도 3개) 측면 부분(side sections)들을 포함하며, 적어도 3개의 측면 부분들 중 2개를 압축하면 적어도 3개의 측면 부분들이 모여진다. 다양한 피부 파지기는, 예컨대 미늘(barbs), 미세 미늘(microbarbs), 접착제(adhesive), 거친 표면 질감(rough surface texture), 또는 다른 유사한 구조 및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서, 본 출원의 텐셔닝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압축 도구(compression tool)가 제공된다. 상기 압축 도구는 텐셔닝 디바이스의 프레임에 결합되게 형성되며, 압축 및 완화된 형태 사이에서 프레임이 움직이도록 한다. 압축 도구의 일반 평면(general plane)은(프레임에 결합되게 위치될 때 및 압축 및 완화된 형태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위치될 때) 실질적으로 텐셔닝 디바이스의 프레임의 일반 평면에 평행일 수 있으며, 또는 예컨대 실질적으로 프레임의 평면에 수직하는 상이한 일반 평면에 평행일 수 있다.
개시된 한층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서, 신체표면에 텐션을 가하는 디바이스는 다수의 피부 파지기(skin grasper)를 갖는 피부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압축 형태 및 완화된 형태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게 형성되는데, 압축형태에서 신체표면에 위치될 때 다수의 피부 파지기 중 적어도 하나는 신체표면에 대하여 제1 각도(first angle)로 향하고, 완화된 형태에서 다수의 피부 파지기 중 적어도 하나는 신체표면에 대하여 상이한 제2 각도로 향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각도(first angle)는 신체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orthogonal)일 수 있으며 제2 각도(second angle)는 신체표면에 수직이 아닌 다른 각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가요성 프레임일 수 있으며, 압축 및 완화된 형태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움직이도록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압축 도구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 도구는 가요성 프레임에 결합하게끔 형상을 지니며, 다수의 피부 파지기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및 제2 각도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형성된다. 유사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제1 평면에(만곡면(curved plane)을 포함) 놓이며, 압축 및 완화된 형태 사이에서 프레임이 움직이게 될 때, 압축 도구는 대체로 제2 평면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평면은, 예컨대 프레임의 일반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가요성 프레임의 일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일수 있다.
더욱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서, 신체표면에 텐션을 가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압축 형태 및 완화된 형태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3개의 접촉 부재(contact members)를 포함하는데, 상기 접촉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피부 파지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3개의 프레임 중 2개의 압축으로 적어도 3개의 접촉 부재가 압축된 형태로 모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은, 수동으로 또는 압축 도구를 사용하여 단지 한손으로 편리하게 압축될 수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피부 파지기를 신체표면에 결합할 때 완화된 형태에서 신체표면에 텐셔닝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은 신체표면에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접촉 부재(contact member) 중 첫번째 것은 제1 평면(first plane)에 놓이며, 적어도 3개의 접촉 부재 중 두번째 것은 제1 평면 이외의 평면에 놓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피부 텐셔너의 특징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된 텐셔닝 디바이스의 어느 것이든 피부에 흡입력이 가해지게끔 감압된 압력원과 개구부들이 유체 소통하기 위해 프레임의 피부 접촉 부재 상에 하나 이상의 개구들과 유체 소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이 프레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텐셔닝 디바이스는, 예컨대, 인장력의 크기(magnitude of tensioning force)를 표시하는 지시기(indicator)를 프레임 상에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인장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텐션 컨트롤(tension control)을 프레임 상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체표면에 텐션을 가하기 위한 방법들, 예컨대, 모발 채취 및/또는 이식하는 동안에 사용되고 있는 방법들이 개시되어 있다.
하나의 양상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완화된 형태에서 압축 형태로 가요성 프레임이 움직이게끔 가요성 프레임의 자체 탄력성(inherent flexibility)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요성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피부 파지기를 갖춘 피부 접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방법은, 신체표면 상에서 가요성 프레임의 피부 접촉 부재의 위치를 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피부 파지기가 신체표면에 결합하고 가요성 프레임을 해방(releasing)시킴으로써 압축형태에서 완화된 형태로 프레임을 움직이게 하여 신체표면의 치료부위(treatment area)에 걸쳐서 텐션이 발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라서, 신체표면에 텐션을 가하는 방법은, 텐셔닝 디바이스의 프레임을 N방향으로 압축시킴으로써 프레임이 N방향(N direction) 이상으로 압축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라서, 신체표면에 텐션을 가하는 방법은, 압축형태에서 완화된 형태로 텐셔닝 디바이스의 프레임을 움직이게함으로서 프레임 상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부 파지기가 신체표면에 대하여 제1 각도로부터 신체표면에 대하여 제2 각도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명된 방법들 중 어느 것이든 압축 및 완화된 형태 사이에서 가요성 프레임이 움직이게끔 가요성 프레임에 결합되는 압축 도구의 사용을 포함한다. 유사하게는, 상기 방법들 중 어느 것이든 신체표면으로 부터 이식할 모발을 채취하거나 치료부위의 신체표면에 이식할 모발을 이식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세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이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여기에서 설명된 신체표면에 텐션을 가하는 다양한 방법들의 하나 이상의 단계는 함께 결합될 수 있거나 동일한 방법으로 다르게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체피부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은, 피부에 가해지는 텐션의 크기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정할 수 있으며, 일인이 한손을 사용하여 신체표면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피부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치료 부위에 걸쳐 균일한 텐션을 가할 수 있고, 제조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저비용일 수 있으며, 일부 부분들은 청소하기 용이하도록 일회용일 수 있고, 부품들을 살균하기에도 용이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흡입기가 제공되어 피부표면에 단단히 유지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은 명세서, 청구항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잘 이해될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도 1은 밀폐형 프레임(closed-loop frame), 독립적으로 조정가능한 다수의 피부 접촉 부재들 및 텐션 컨트롤 메카니즘 갖는 피부 텐셔너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시된 피부 접촉 부재의 하나의 실시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 는 피부 텐셔너에 사용되는 선택적인 피부 접촉 부재의 사시도 및 측면 입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흡입기 및 미늘(barb)을 통합한 피부 텐셔너에 사용되는 피부 접촉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는 미늘과 같은, 흡입기 및 피부 파지기를 통합한 선택적인 피부 접촉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흡입기 및 미늘들을 통합한 피부 접촉 부재를 갖는 이분화된 다리(bifurcated legs)를 각각 지닌 컴퍼스와 같은(compass-like) 프레임을 갖춘 선택적인 피부 텐셔너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로부터 피부 접촉 부재 중 하나의 밑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미늘들을 통합한 피부 접촉 부재를 갖는 이분화된 다리를 각각 지닌 코일-스프링 프레임을 갖춘 피부 텐셔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미늘을 통합한 피부 접촉 부재를 갖는 이분화된 각각의 다리를 각각 지닌 컴퍼스와 같은 프레임을 갖춘 피부 텐셔너의 사시도이다.
도 9a 및 9b는 각각 안쪽으로 압축 및 완화된 방식으로 도시된 나비형 피부 텐셔너의 사시도이다.
도 10a 및 10b는 수술부위(operating field)로부터 혈액을 제거하도록 유체 세척(fluid flush)을 통합한 선택적인 나비형 피부 텐셔너 프레임 각각의 상부 및 저부 사시도이다.
도 11a 및 11b는 압축 도구와 함께 또 다른 선택적인 나비형 피부 탠셔너의 사시도이다.
도 11c는 추가적인 선택적 피부 텐셔너의 사시도이다.
도 11d는 선택적 압축 도구와 함께 도 11C의 선택적 피부 텐셔너의 사시도이다.
도 12a 및 12b는 피부 파지기를 각각 통합하는 밀폐형 프레임 및 4개의 접촉 부재들을 갖는 한층 더 선택적인 피부 텐셔너 각각의 상부 및 저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완화된 형태에서 한층 더 선택적인 신체표면 텐셔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4a 및 14b는 디바이스를 부가적으로 고정하고 텐션을 가하기 위한 그루브(grooves)를 통합한 선택적인 나비형 피부 텐셔너 프레임(butterfly-style skin tensioner frame)의 상부 및 저부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a 및 15b는 프레임이 압축 및 완화될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신체표면에 대하여 미늘의 각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및 16b는 프레임이 압축될 때 제1 각도 및 프레임이 완화될 때 제1 각도 이외의 각도에 있는 신체표면에 대하여 미늘의 각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또 다른 선택적 신체표면 텐셔닝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도시한 첨부된 도면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상부"(top), "저부(면)" (bottom), "정면"(front), "후면"(back), "측면"(side), "원위"(distal), "근위"(proximal)등의 지시용어들(directional terms)은 설명되는 도면들의 방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components) 또는 실시예들은 다수의 상이한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 전문용어(directional terminology)는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되며 결코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하기의 상세 설명은 본 발명의 의미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주)론 스타 메디컬에 의해 제작된 것과 같은 상업적으로 유효한 외과수술 견인기(retractors)는 치료부위에 걸쳐 균일하고 일관된 피부 스트레칭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게다가, 만약 환자에게 휴식(정지)이 필요하면, 설치(install), 제거(remove) 및 재설치가 어렵다. 본 출원은 신체표면 상에서, 예컨대 모낭 유닛(follicular units, FUs)을 채취하는, 다양한 과정이 용이하도록 피부 또는 신체표면에 걸쳐 텐션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의 시스템 및 사용방법들을 설명한다. 명확성을 위하여, 텐션 발생은 피부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피부표면은 완화된 형태에서 존재하는 어떠한 텐션보다 큰 측면 텐션(lateral tension)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것은 텐션을 받는 사이에 있는 부위에서, 적어도 2개의 이격된 위치에 있게 분리력을 가하거나 당겨서 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텐션은 단일 축(single axis)을 따라 단일 방향(uni-directional) 또는 다 방향(,multi-directional) 및 심지어 전 방향(omni-directional)일 수 있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모든 방향으로 고르게 떨어져 피부를 당기는 원형 프레임은 원형 내부 구역에 전 방향 텐션(omni-directional tension)이 만들어진다.
피부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도록, 상기 시스템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이격되어 떨어진 피부 접촉 부재를 통합하고 있는 것이 여기에서 설명된다. 상기 피부 접촉 부재(skin contact members) 각각은 피부표면에 대하여 놓이는 피부 접촉면(skin contacting surface)을 형성한다. 상기 피부 접촉면은, 피부 표면에 피부 접촉 부재를 유지하는,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 흡입기와 같은, 일부 수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피부 접촉 부재를 피부표면에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시스템은, 외부에서 아래로 향하는 어떠한 압축력(pressing force)이 없이도 피부표면에 걸쳐 매끄러운 바닥 부재(smooth-bottomed member)가 움직이도록 요구되는 저항으로부터 피부표면에 걸쳐서 피부 접촉 부재를 움직이게끔 단지 측면 저항을 증가할 필요가 있다.
피부 접촉 부재가 움직이게끔 측면 저항을 증가시키는 하나의 방법은 피부 접촉면에 미늘(barbs)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배경(맥락)에 있어서, "미늘"(barb)은 피부 접촉 부재 아래의 피부 접촉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피부 표면이 함몰 형태로 되거나 찌르도록 하는 어떠한 작은 엘리먼트를 의미한다. 즉 미늘은 피부표면을 찌르게 할 수 있도록 예리함을 가질 필요는 없다. 따라서 "미늘"이라는 용어는 니들(needles), 핀(pins), 포인트(points), 후크(hooks), 너브(nubs), 돌기(projections) 및 다른 유사한 용어를 의미한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출원에 있어서, "미세미늘"(microbarbs)를 사용하는 것이 유익하다. 작은 미늘이라 부르는 "미세미늘"은, 일반적으로 직경이(또는 형상에 개의치 않는 횡단면 치수, 이러한 배경과 관련한 직경은 횡단면이 반드시 원형을 의미하지 않는다.) 최대 크기의 특징을 갖는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에서 "미세미늘"은 약 0.127 내지 0.305㎜(0.005 내지 0.012 inch)의 직경을 갖는 미늘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세미늘은 미늘의 표면 밀도에 대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미세미늘의 크기는 서로로 부터 1 내지 5㎜ 범위 내에 위치하게 허용되며 더욱 균일하게 표면 영역을 채운다. 다른 한편으로는, 더 큰 미늘은 보다 큰 공간(spacing)이 필요하므로 본원에서는 더 적은 밀도로 배열된다.
여기에서는 비록 미늘들이 피부 접촉 부재가 피부에 양호하게 파지되도록 보장하는 것의 주요 수단(primary means)으로써 설명되어 있지만, 단지 마찰계수(coefficient of friction)를 증가시키는 다른 해결책들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 설명된 어떤 양상과 관련하여 접착제(adhesive)를 지닌 피부 접촉 부재가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가능성은 하나는 일시적으로 피부에 접착되고 하나는 피부 접촉 부재에 접착되는 접합 벨크로 패치(mating velcro patches)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사용되는 "피부 파지기" 는, 매끄러운 바닥 표면(smooth-bottomed surface)에 대하여 피부에 걸쳐 피부 접촉 부재가 움직이도록 측면 저항(lateral resistance)을 증가함으로써 피부 접촉 부재를 피부표면에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들이 포함된다. 즉, "피부 파지기"는 미늘, 미세미늘(microbarbs), 흡입기(suction),접착제(adhesives),벨크로,리브(ribs),리쥐(ridges),핀(pins), 등 및 거친 표면의 덱스처(rough surface texture) 조차도 포함한다. 비록 피부에 고정되는 아이템의 하나 이상의 이러한 구조의 존재는 이론적으로 알려질 수 있으나(예컨대, 접착 반창고), 특히 모발이식 분야에서는 치료부위에 걸쳐 텐션 유발과 관련한 사용법은 새로운 것으로 여겨진다. 더욱이, 여기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이러한 피부 파지기와 결합한 피부 텐셔너의 다양한 다른 특징은 새로운 것으로 생각된다.
특정 시스템(particular system)의 전부 또는 일부 부분 또는 단계 과정에서 모든 수단으로써 본 시스템 또는 과정에 관련한 "자동화"(automated)란 형용사는 자발적인 메카니즘(autonomous mechanism) 또는 펑션(function)을 포함하는데, 즉, 메카니즘 또는 펑션은 수동 작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결국, 과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단계는, 일부 부분의 필요한 수동 입력(manual input)과 함께, 자동화 또는 자발적일 수 있다. 이러한 의미는 단지 온 스위치를 누르거나 작동 스케줄로 작동을 명령하는 자동시스템을 포함하며, 또한 소형 도구의 시스템이, 즉 사람이 입력하지 않고 기능을 수행하도록, 단지 자발적으로 기능하는 시스템의 일부 메카니즘에 사용된다. 또한 일부 자동화 과정은 로봇의 도움(robotically-assisted)일 수 있으며 또는 컴퓨터/소프트웨어/기계어 명령(machine-instruction)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 및 방법은 수동 과정 및 시스템에 있어서 유용하고, 뿐만 아니라 자동 과정 및 시스템에 있어서도 유용하며, 특히 로봇-도움 시스템 및 과정에 있어서 유용하다. 이와 대조적으로, 과정에서 특정 단계 또는 시스템의 특정 구성요소에 언급되는 "자동적으로"(automatically)라는 부사는, 즉 실시간 수동 도움(real-time manual assistance)이 없이 자발적으로 완수되는 그러한 단계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결합된"(coupled) 또는 "부착된"(attached) 또는 "연결된"(connected) 또는 "장착된"(mounted)이라는 용어들은, 예컨대, 하나 이상의 중개 구성요소(intervening components)통해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부착된, 통합된(integrated) 또는 장착된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양상에 따라서, 피부 텐셔너(skin tensioner)는 텐션을 제어하도록 제공되는데, 실질적으로 관련된 치료부위에 걸쳐 균일한 텐션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있어, 도 1은 밀폐된 루프 프레임(22,closed-loop frame) 및 다수의 독립적으로 조정가능한 피부 접촉 부재(24,skin contact members)들을 갖춘 피부 텐셔너(20,skin tensioner)를 도시한다. 이런 실시예에서, 프레임(22)은 실질적으로 피부 접촉 부재(24,skin contact members)가 유사한 형태의 구멍(aperture) 주위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정방형의 안쪽으로 대면하는 벽(26,inwardly-facing wall)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의 피부 접촉 부재(24)는 벽(26)의 2개의 대향하는 평행한 측면의 각각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그러나 4개의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선택적인 실시예의 설명에서 더욱 명백해 질 것이지만, 상기 프레임(22)은 밀폐형일 필요가 없으며, 직선 구멍(rectilinear aperture) 또는 짝수개의 측면일 필요도 없다. 예컨대, 상기 구멍은 원형(circular) 또는 타원형(oval), 또는 삼각형(triangular)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에는 단단한 지지대가 제공되어 장착되는 이동가능한 피부 접촉 부재(24)의 구성이 제공된다. 도 1은 3개의 피부 접촉 부재(24)가 프레임 내부벽(26,inner wall)의 2개의 대향하는 평행한 측면 안쪽으로 돌출되는 3개의 피부 접촉 부재(24)를 도시한다. 하기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2)은 프레임 구멍 범위에서 피부를 스트레칭하거나 텐션을 가하는 피부 접촉 부재(24)가 피부표면에 위치하게 설계된다. 즉, 각각의 피부 접촉 부재(24)는 프레임(22)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며, 피부표면에 접촉하고 일정 방식으로 피부표면에 고정되어, 바깥쪽 프레임을 향해 피부표면에 평행하게 외향으로 힘을 가한다.
하나의 특정한 실시예에 있어서, 확대된 도 2에서와 같이, 각각의 피부 접촉 부재(24)는 핑거(30,finger)의 원위단(distal end)에 미늘(barb) 또는 후크(28,hook)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핑거(30)는, 차례로 연장된 가요성 스트랜드(32,flexible strand)(또는 선택적으로 금속 와이어(32))와 연결되어 프레임의 내부벽(26)의 개구(opening)를 통해서 바깥쪽으로 통한다. 미늘 또는 후크(28)는 피부표면에 형성되는 절개(incision)를 통해서 삽입될 수 있으므로 피부 접촉 부재(24)는 외향으로 힘을 받을 때 텐션을 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후크(28)는 피부표면을 펀처링하기에 적합한 예리한 첨단(tip)을 가질 수 있으므로 미리 형성된 절개는 불필요하다. 더욱, 피부표면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대신에, 상기 후크(28)는 상이한 피부 접촉 부재에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단지 전체 텐션 메카니즘의 링크로서의 기능일 수 있다.
상기 피부 텐셔너(20)는 각각의 피부 접촉 부재의 외향 힘(outward force)을 제어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통합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가요성 스트랜드(32)는 프레임(22)의 개구를 통해서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차례로 피부 접촉 부재(24) 및 가요성 스트랜드(32)에 외향 힘을 가하는 다수의 방법들이 있다. 예컨대, 각각의 가요성 스트랜드(32)는 탄력적으로 프레임(22)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피부표면에 대응하는 미늘 또는 후크(28)와 결합하기 전에 스트레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례에 있어서, 각각의 가요성 스트랜드(32)는 프레임(22)에 장착되거나 프레임의 외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엘리먼트(separate element)로서 제공되는 텐션 조절기(40,tension adjuster)를 통과한다. 간단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텐션 조절기(40)는 스트랜드(32)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 구멍(through bore)을 갖춘 하우징(42,housing) 및 스트랜드에 마찰력(frictional force)을 가하는 관통 구멍을 교차하는 샤프트(미도시 도미)와 연결되는 노브(44,knob)를 포함한다. 예컨대, 노브(44)는 하우징(42) 내에 유사하게 스레드된 구멍(threaded bore)에 수용되는 스레드된 샤프트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샤프트는 고정 나사(set screw)의 방식으로 스트랜드(32)에 조여질 수 있다. 사용자가 노브(44)를 작동하는 지점에 하우징(42) 및 프레임(22)에 대해서 스트랜드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스트랜드의 자유단(free end)을 피부표면에 소정의 텐션이 설정될 때 까지 수동으로 바깥쪽으로 당길 수 있다. 이점에 있어서, 상기 스트랜드(32)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탄력적일 수 있으며,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와 같이 상대적으로 비탄력적일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나, 피부 접촉 부재(24)는 피부표면과 결합되어 피부표면에 바깥쪽으로 당기는 텐션을 발생시킨다.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 또는 어떠한 텐션 조절기(40)는, 연관된 가요성 스트랜드(32)를 당기기 위한 내부 스풀(inner spool) 또는 마찰 휠(미도시 됨)을 통합한다. 예컨대, 상기 가요성 스트랜드(32)는 노브(44)의 회전에 의해 스풀 주위를 감쌀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가요성 스트랜드의 텐션 양에 대한 보다 많은 조정권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다른 양상에 따라서, 피부 텐셔너(20)는 텐션의 양을 나타낼 수 있는데, 예컨대 가요성 스트랜드(32) 각각이 텐션의 양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바로 설명된 실시예에서 스풀, 노브(44,knob)를 갖춘 텐션 조절기(40)는 표시들(markings )을 지닐 수 있으므로 회전수는 회전 규모(extent of rotation)에 대해서 존재하는 텐션 레벨로 측정될(monitored)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노브(44)에 매달리는 샤프트는 하우징(42) 내의 직선 슬롯(50,linear slot)을 통해서 연관된 가요성 스트랜드(32,flexible strand)와 결합된다. 가요성 스트랜드(32) 또는 노브(44)와 연결되는 핀(52,pin)은 프레임(22)의 다른 직선 슬롯(54) 내에서 이동한다. 상기 핀(52)은 슬롯(54) 내에서 바깥쪽으로 스프링-바이어스되며, 가요성 스트랜드(32)의 텐션이 스프링 바이어스를 초과할 때 슬롯(54)을 따라 안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핀(52)이 안쪽으로 이동함으로 가요성 스트랜드(32)에 텐션 양의 시각 지시계(visual indicator)가 제공된다. 또한 보정된 표시는 슬롯(54)을 따라 바로 옆에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더 복잡하고 일반적으로 더 비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숫자로 나타낸 힘을 표시하는 장치와 같은, 가요성 스트랜드(32)에서 텐션을 표시하는 많은 다른 방법들이 있다. 본 출원은 가장 단순하고 가장 관련이 많은 지시계를 고려한다. 더욱이, 텐션 조종 메카니즘 및 텐션 지시계의 둥 중 하나 또는 양쪽이 여기에서 설명된 어떠한 피부 텐셔너에도 통합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텐션 지시계 또는 텐션 조종(tension control)은 하나를 제외함으로써 해석될 수 없다. 텐션 지시계(tension indicators)는 사용자가 적절한 피부 텐션을 설정하게끔 도와준다. 특히 모낭유닛(follicular units)을 똑바로 기립하도록 조장하고 피부표면에서 부드럽게 모낭을 제거하하기 위해서는 최소 텐션 레벨이 필요하다. 더욱이, 미리결정된 최소 텐션 레벨은, 모낭유닛 주위의 피부의 과도하게 절단하는 플랩(flaps) 없이도 피부를 찌르는 니들과 같은 제거 도구(removal tools)을 돕니다. 그러나, 텐션은 피부표면에 과도한 외상(trauma)을 피하도록 최대로 제한되어 진다. 마침내, 각각의 가요성 스트랜드의 텐션의 지시계는 사용자가 하나의 위치 또는 다른 위치에 너무 많이 가해지는 텐션량을 피하여 균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여기에서 설명된 피부 텐셔너에 사용될 수 있는 선택적인 피부 접촉 부재(60)의 사시도 및 측면 입면도(side elevational views)이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선택적인 피부 접촉 부재는, 도 2에 도시된 후크(28)과 같은 어떤 미늘을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상처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데 유익할 수 있다. 게다가, 상대적으로 큰 후크(28)의 적은 수(예컨대, 6 내지 10)를 사용하는 어떤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치료부위 전부에 충분하게 균일한 피부 스트레칭을 제공할 수 없을 것이다. 예컨대, 후크가 위치하는 주위 부위의 피부 텐션은 충분할 것이나 후크 사이의 공간에 있는 피부는 모발 모발 채취 및 이식과 같은 과정에서 충분한 스트레칭이나 텐션 형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대적으로 후크에서 약간 떨어져 있는 공간에 의해 확립된 텐션은 균일하지 않을 수 있어서, 일부 부위에서는 차선의 텐션(sub-optimal tension)이 유발되야 한다. 따라서, 도 2의 후크(28)는 완전히 회피할 수 있거나, 도 3a의 60번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선택적인 피부 접촉 부재에 중간 링크로써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비록 후크(20)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요성 스트랜드(32)를 피부 접촉 부재(60)와 연결하거나 결합하는 다른 방법들이 고려되어 있으나, 앞서 언급한 피부 접촉 부재(24)의 후크(28)는 전체 프레임(22)에서 빠르게 제거가능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후크(28)(또는 유사한 수단)는 포괄적이어서 많은 상이한 피부 접촉 부재와 결합한다.
한 예로 피부 접촉 부재(60)는 일반적으로 저부에 형성되는 피부 접촉면면(65)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평 플랜지(64,horizontal flange)를 갖춘 커플링 바디(62,coupling body)를 포함한다. 상기 커플링 바디(62)는 후크(28) 또는 다른 선택적인 커넥터(28,connector)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구멍(68,hole)과 통하는 상부 테이퍼진 구멍(66,upper tapered aperture)을 포함한다. 구멍(66,aperture)의 테이퍼진 형태는 커넥터(28)를 빠르게 삽입하도록 돕니다. 상기 플랜지(64)는 다수의 미세후크(microhooks) 또는 미세미늘(72,microbarbs)(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이 통과하는 다수의 천공(perforations) 또는 구멍(70,bore)을 포함하는데, 상기 미세후크(microhooks) 또는 미세미늘은 피부 접촉면(65) 아래로 돌출되는 예리한 단부를 가지며, 피부의 보다 넓은 부위에 걸쳐 힘을 분포함으로써 더욱 균일한 스트레칭을 발생시킨다. 추가적인 이익으로써, 상기 미세미늘(72)은 치료(healing)가 필요한 상처의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한 크기(size)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70,bore)은 피부 표면에 고정되는 미세미늘의 역량을 향상시키게끔 근위방향(proximal direction)의 아래쪽으로 경사지나, 구멍의 경사는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미세미늘(72)은 구멍(70) 내로 쉽게 삽입되며, 이를테면 적절한 접착제로서, 고정되는 곧은 핀(straight pins) 또는 니들(needles)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세미늘(72)은 구부러지거나 경사질 수 있으며, 조형과정(molding process) 동안에 플랜지(64) 재료에 고정될 수 있다. 당업자는 피부 접촉 부재에서 아래로 돌출하는 미세미늘을 제공하는 다수의 방법이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피부 접촉 부재(60)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늘(72)이 제공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피부 표면에 대한 파지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다수의 미늘이 포함된다. 게다가, 미늘(72)의 수량의 증가는 미늘의 크기 감소와 결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여기에서 "미세미늘" 이라 칭하게될 미늘(72)은 적어도 4개 및 바람직하게는 10개 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피부 접촉면(65) 아래로 연장하는 미세미늘(72,microbarbs)의 길이는 약 5㎜ 보다 적으며, 1 내지 4㎜ 사이가 바람직하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늘"(barb) 및 "미세미늘"(microbarb)는, 피부 접촉면(65)으로부터 아래로 향하는 많은 돌기들을 포함하도록 해석될 수 있는 다양한 "피부 파지기"(skin graspers) 또는 "피부 포착기"(skin grabbers)의 실례이다. 이러한 아래로 향하는 돌기(downward projections)들은, 예컨대, 피부 접촉 부재(60)의 밑면 상에 조형된 포인트(molded points), 핀(pins) 또는 리브(ribs) 일 수 있다. 피부표면을 찌를수 있는 미늘(72)과 같은 예리한 엘리먼트의 사용은 단지 하나의 선택이다.
도 1에 도시된 실례를 참조하면, 사용상에 있어서 사용자는 피부표면 상에 거리를 두고 2개 이상의 피부 접촉 부재(60)를 위치하고 부재를 분리시키려는 인장력(tensile foece)을 가한다. 예컨대, 각각의 커플링 바디(62)를 부착하는 6개의 후크(28)와 함께 6개의 피부 접촉 부재(60)는 도 1에 도시된 피부 텐셔너(2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가요성 스트랜드(32)를 프레임(22)으로부터 당김으로써 3개의 접촉 부재(60) 중 2개의 열 사이의 피부 표면에 텐션이 발생한다.
본 출원의 다른 양상에 따라서, 도 4a 및 4b는, 예컨대 도 1의 피부 텐셔너(20) 또는 다른 변형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피부 접촉 부재(80)의 사시도이며, 미늘 뿐만 아니라 흡입기(suction)도 통합한다. 상기 피부 접촉 부재(80)는 중앙 커플링 바디(82,central coupling body) 및 직접 대향하는 한쌍의 플랜지(84)를 포함한다. 텐션 인가 부재(86)는 커플링 바디(82)의 상부면(upper surface)과 결합한다. 상기 부재(86)는, 예컨대 도 1 및 2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한 피부 접촉 부재(24)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근위 방향(proximal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가요성 스트랜드(92,flexible strand) 및 원위 후크(90,distal hook)를 갖춘 핑거(88,fing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90)는 커플링 바디(82)의 상부면에 있는 작은 구멍(90,small aperture)에 결합될 수 있거나, 다른 유사한 형태의 것에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부재(86)는 커넥터(90)(후크 대신에)를 가질 수 있거나, 이와 달리 피부 접촉 부재(80)에 장착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84) 각각은 다수의 미세미늘(98)이 돌출하는 밑면에 피부 접촉면(96,skin contacting surfaces)을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프랜지(84)에는 이러한 미세미늘이 10개 있는데, 모두 근위 방향(proximal direction)의 아래쪽으로 경사진다. 상기 플랜지(84) 및 미세미늘(98)은 도 3a 및 3b 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상기 미늘 및 미세미늘은 다열(multiple rows)로 배열될 수 있으며, 또는 고밀도로 부착하기 위해 엇갈리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미늘은 다른 미늘과 비교하여 상이한 깊이를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미늘의 깊이는 대략 1 내지 4㎜의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미늘의 하나의 열은 1㎜의 동일한 깊이를 가질 수 있고, 한편 미늘의 다른 열은 2㎜ 이상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미세미늘에 더하여, 흡입기(suction)는 피부표면에 걸쳐 피부 접촉 부재(80)의 측면 이동(lateral movement)에 대한 저항을 향상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바디(82,coupling body)의 밑면은 중앙 공동(central cavity)이 형성되는 요족(100,hollow foot)을 포함한다. 커플링 바디(82)의 상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니플(102,nipple)은 중앙 공동에 대한 엑세스(access)를 제공한다. 튜브 또는 도관(conduit)은 니플(102)을 통해서 감소된 압력 또는 흡입을 중앙 공동에 전달한다. 요족(100)은 대략 플랜지(84)의 피부 접촉면(96)이 지니는 레벨까지 연장되기 때문에, 밀봉 형태로 피부표면과 접촉하여 중앙 공동 내에서 진공을 발생시킨다. 상기 요족(100)은 밀봉을 향상시키도록 탄력적인 재료일 수 있다.
도 5a 및 5b는 위에서 설명한 부재(80)와 매우 비슷한 다른 피부 접촉 부재(110)를 도시한다. 상기 부재(80)는 근위 및 원위로 향한 플랜지(84)를 갖추고 대체로 직선(rectilinear)이었다면, 상기 피부 접촉 부재(110)는 실질적으로 평면상으로 원형(circular)이며, 원형 외부 플랜지(114)에 둘러싸여진 원통형 커플링 바디(112,cylindrical coupling body)를 가진다. 미늘 및 미세미늘(116)의 원형 어레이는 플랜지(114)의 밑면의 피부 접촉면(118)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관형 요족(120,hollow tubular foot)은 커플링 바디(112) 내에서 거리를 두고 아래쪽으로 피부 접촉면(118)의 레벨까지 돌출한다. 게다가, 피부표면에 대하여 관형요족(120) 내에서 진공이 발생하도록 흡입튜브(suction tube)가 상부 니플(122,upper nipple)과 연결된다.
하나의 변형에 있어서, 관형 요족(120)은 다수의 포켓(pockets)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각의 포켓은 자체 부착물을 지니며, 자체 흡입기 또는 니플(122)과 연결되어 있다.(또는 하나의 흡입 포트 및 유체가 상이한 포켓과 소통하게 개방하게끔 하는 일부 종류의 선별기). 이런 방법으로, 관형요족(120)의 전체 표면 부위 내에 진공을 발생시키는 대신에 (또한 장기적 과정의 경우에는 잠재적인 출혈의 원인으로 "멍과 같은"(bruise-like) 검고 자줏빛 흔적이 남는다), 동일한 포켓 내의 특정 피부 표면상에 장기적인 압력을 피하도록 반복적으로 및/또는 순차적으로 온/오프하여 다수의 진공 부위를 발생시킨다.
가끔, 텐션 인가 부재(86)(도 4a)는 피부 접촉 부재(110)를 어느 정도 당겨서 피부 접촉 부재가 피부 표면에 대해서 회전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구멍 또는 개구(117,opening)가 미늘(116)에 근접하여 제공될 수 있다. 탄력적인 튜브 또는 유사한 풀링 커넥터(pulling connector)가 구멍(17)을 통해서 부착되어 피부 접촉 부재(110)에 모멘트 또는 회전이 발생하지 않게 적은 힘을 가하도록 텐션 인가 부재(86,tension-applying member)와 결합 될 수 있다.
도 6a는 위에서 기술된 것과 다른 피부 텐셔너(skin tensioner)(130)인데, 이는 이분화 된 다리(134)들을 지닌 컴퍼스(compass) 같은 프레임(132)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다리들 각각에는 피부 접촉 부재(136)가 있고, 피부 접촉 부재(136)에는 흡입기(suction) 및 미늘들(barbs)이 통합되어 있다. 프레임(132)에는, 수직 축선(142)을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연결된 베이스 부재(base member)(140a, 140b)들이 포함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132)에는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40a, 140b)들 사이에 이들을 서로 벌어지게 하는 스프링 또는 여타 바이어싱 부재(biasing member)가 통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는 도 6a의 피부 접촉 부재(136)들 중 하나의 밑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인데, 다리(134)들 각각은 중공의 관형 부재(tubular member)로서, 중앙 루멘(central lumen)으로 개방된 다수의 포트(port)(144)들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포트(144)들은 관련된 피부 접촉 부재(136) 내에 형성된 플리넘 챔버(plenum chamber)(146)에서 개방된다. 플리넘 챔버(146)는 피부 접촉면(148)에서 하향으로 개방된다. 각각의 관형 다리(134)들의 근위단(proximal end)은, 흡입 튜브가 부착될 수 있는 니쁠(nipple)(150)에서 끝난다. 피부 접촉면(148)을 피부 표면상에 놓고 관형 다리(134)의 루멘에 흡입력을 제공함으로써 각 플리넘 챔버(146) 내에 진공을 형성하여, 피부 접촉 부재(136)를 피부 표면에 맞대어 유지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이분화된 프레임(132)은, 베이스 부재들(140a, 140b)을 서로 벌려 결국 피부 접촉 부재(136)들을 벌리게 하는 스프링 또는 여타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피부 접촉 부재(136)들이 피부 표면을 파지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피부 접촉 부재(136)들 각각에는 미늘(152)들의 어레이(array)가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 피부 접촉 부재(148)의 피부 접촉면(148) 아래에 돌출된 10개의 미늘(152)들이 있지만, 이들 수량은 1개와 같이 작을 수도 있고 10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미늘(152)들은 하향으로, 그리고 반대편 피부 접촉 부재(136)로부터 멀게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미늘(152)들은 수직의 중앙 평면(154)에 대해 경사지게 있다. 한 피부 접촉 부재(136)에 있는 미늘(152)들이 다른 피부 접촉 부재(136)로부터 멀게 경사지는 것은, 이들이 피부 표면에 고정되는 능력 및 텐션(tension)을 일으키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도 7은 도 6a의 디바이스와 매우 유사한 피부 텐셔너(160)를 보여주는데, 여기서 하나의 프레임(162)이 이분화된 다리(164)들과 통합되어 있다. 프레임(162)의 중앙 부분에는 코일 스프링(166)이 포함되는데, 이는 피봇 역할을 하며, 만일 완화된 형태(relaxed configuration)로부터 변위가 일어나면 복귀 스프링 힘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완화된 형태는 다리(1640들의 원위부분(distal portion)이 평행하게 연장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여타의 배치도 가능하다.
이분화된 다리(134)들은, 피부 접촉 부재(170)의 원위단에서 끝나는데, 피부 접촉 부재(170)에는 하부의 피부 접촉면 아래로 돌출된 미늘(172)들이 통합되어 있다. 앞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피부 접촉 부재(170)들에 있는 미늘(172)들은 하향으로 그리고 다른 피부 접촉 부재로부터 멀게 경사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피부 텐셔너(160)에는 흡입기가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당업자라면 앞의 실시 예와 매우 유사한 흡입기가 제공될 수 있으리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사용시에는, 피부 접촉 부재(170)들을 피부 표면상에 누르기 전에, 사용자는 이분화된 다리(164)들을 서로를 향해 압박한다.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166)에 의해 생성되는 외향의 스프링 바이어스는 피부 접촉 부재(170)들을 떨어지게 벌리려고 하고(도면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음), 피부 접촉 부재(170)들 사이의 피부 표면에 텐션을 가하게 된다.
도 8에는 다시 컴퍼스 같은 프레임을 지닌 다른 피부 텐셔너(18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프레임에는 이분화된 다리(182)들이 있으며, 이 다리들 각각은 그 위에 피부 접촉 부재(184)를 가지고 있다. 도 6a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은 한 쌍의 베이스 부재들(186a, 186b)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수직 축선(188)을 중심으로 선회하게끔 배치되고, 이들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스프링(187)에 의해 멀어지게끔 바이어스된다. 갭의 두 측벽(189)들은, 다리(189)들 사이 및 그들 상의 피부 접촉 부재(184)들 사이의 최소 간격(spacing)을 세팅하기 위해 단단한 멈춤부(hard stop)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상기 측벽(189)들이 닿을 때까지 상기 베이스 부재들(186a, 186b)을 압박하고, 간격이 떨어진 피부 접촉 부재(184)들을 시술 부위에 가하고 프레임을 풀어놓는다. 스프링(187)은 상기 베이스 부재들(186a, 186b)에 외측방향의 힘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피부 접촉 부재(184)들 사이에 있는 시술 부위에 걸쳐서 텐션이 일어난다. 스프링(187)의 강도 및 그것이 압축되는 정도는, 요구되는 인장력이 얻어지게끔 조정된다.
각각의 피부 접촉 부재(184)들은, 피부 접촉면(192)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는 미늘들 또는 미세미늘(micribarb)(194)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앞서 실시 예들과는 달리, 피부 접촉면(192)들은, 환자의 두피(S, 가상선으로 도시됨)와 같은 곡선으로 이루어진 표면에 더 잘 일치하게끔 경사가 져있다.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피부 접촉 부재(184)들은, 피부 접촉 부재(184)들의 원위단들을 가로지르고, 대체로 수직 축선(188)에 대해 수직인 수평면에 놓이는 수평선과 각도를 형성한다. 피부 접촉면(192)은 편평할 수 있으며 또는 약간 오목하게 될 수도 있다.
도 9a 및 9b에는 다시 밀폐형 프레임(202)을 가지는 피부 텐셔너(2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약간 나비와 유사하여 "나비형"이라 칭한다. 도 9a에는 프레임(202)가 압축 또는 안쪽으로 찌그러진 상태가 도시되었고, 반면에 도 9b에는 외력이 제거된 뒤의 완화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202)은 가요성(flexible)이고 대체로 평면에 놓이며, 그리고 프레임(202)은 통상적으로 성형된 자재와 같은 단일 엘리먼트(single element)를 포함하고, 완화된 위치에서 안쪽으로 압축될 수 있는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은 본질상 탄성이 있는 탄력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가요성은, 예컨대 프레임 전체에 걸쳐 또는 부분적으로 통합된 재질의 선택, 구조, 형상 및/또는 갭들(gaps)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가요성의 프레임(202)은 4개의 측면부분(side section)(204)들을 포함하는데, 이 측면부분들은, 대각선 바깥쪽으로 돌출된 4개의 스프링 코너들(206)에 의해 연결된다. 여타의 짝수개 또는 홀수개의 프레임의 측면부분들 및 스프링 코너들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며, 다음에 4개의 측면부분들을 참조하여 기술한 것은 단지 예시적인 설명 목적뿐이다. 4개의 측면부분(204)들이 직선으로 도시되고 실질적으로 정방형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이들은 아치형이 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기하학적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4개의 측면부분(204)들 각각은 얇은 빔(thin beam)(208) 및 두꺼운 빔(thick beam)(209)를 가지는데, 이들은 인접한 2개의 측면부분(204)들로부터 바깥족으로 연장되어, 아치형 브릿지(bridge)(210)에 의해 연결된다. 스프링 코너들은 본질적으로, 좀더 좁고 유연한 빔(208) 및 브릿지(210)로 이루어진 스프링 부분과, 제2(베이스) 빔(209)을 가진다.
도 9a에는, 4개의 측면부분(204)들이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변위되어, 빔(208)들의 각 쌍 사이의 갭이 경사지고 좁아진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반대로, 도 9b의 완화된 상태에서는, 빔(208)들의 각 쌍 사이의 갭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사용자는, 도면상 내향(inward)의 화살표(211)로 표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측면부분(204)들을 함께 압박함으로써 프레임(202)을 압축하며, 이로 인해, 이에 수직한 측벽들도 그들이 내향으로 오목하기 때문에 중심을 향해 모여지게 됨을 유의해야 한다. 측면부분(204)들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opening)는, 프레임(202)이 압축된 상태에서가 완화된 상태에서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측면부분(204)는, 상술한 바와 같은 미늘들 또는 미세미늘들(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구멍들(212)을 특별히 포함한다. 도 9a 및 9b 모두는 프레임(202)의 저면도인데, 각 측면부분(204)들의 저면 상에 피부 접촉면(214)들이 도시되어 있다. 미늘들은 피부 접촉면(214)들 너머로 연장되어, 각 측면부분(204)들을 피부 표면상에 고정시켜 준다. 일부 실시 예들에 있어서, 프레임(202)은 예컨대 재사용 가능한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반면에 미늘들 및 미세미늘들은 일회용으로 제작되어, 재사용 가능한 프레임에 접착될 수 있거나, 이와 달리 일시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핀(pin)들과 같이 다수의 미늘들을 지닌 클립(clip)이 프레임에 또는 피부 접촉면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다른 변형으로서, 미늘들의 어레이를 프레임 표면에 일시적으로 부착하기 위해 접착제 또는 벨크로(Velcro)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안내(image guidance) 하에 볼 수 있는 다양한 기점들(fiducials)을 프레임에 유사하게 부착하여, 모낭 유닛(follicular unit) 채취 또는 이식 도구를 겨냥하는 데 편리한 기준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공할 수 있다.
피부 텐셔닝 절차에 있어서, 사용자는 2개의 대향하는 측면부분(204)들을 화살표 방향(211)으로 압박함으로써, 도 9a에 도시된 형태로 프레임(202)을 압축시킨다(기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2개의 측면부분들도 안쪽으로 구부려짐). 따라서, 신체 표면에 텐션을 가하는 방법은, 텐셔닝 디바이스의 프레임을 N보다 더 많은 방향으로 압축되게 하기 위해, 텐셔닝 디바이스의 프레임을 N 방향으로 압축하는 단계(예컨대 N=2)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텐셔닝 디바이스의 프레임을 압축된 형태로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텐셔닝 디바이스는 적어도 3개의 접촉 부재들을 가지고, 각 접촉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피부 파지기(grasper)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프레임을 완화된 형태로 풀어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을 압축하는 것은, 적어도 3개의 접촉 부재들 중 2개를 압축하여 적어도 3개의 접촉 부재들이 모여지게 하는 것을 포함하며, 프레임을 완화된 형태로 풀어주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피부 파지기가 신체 표면에 결합되었을 때 신체 표면의 텐셔닝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향하는 측면부분(204)들이 실질적으로 정방형으로 배치되므로, 결과적으로 측면부분(204)들의 코너(corner)들이 서로 만날 때 4개의 측면부분(204)들이 더 움직이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그러나 만일 화살표 방향(211)으로 압박되는 대향하는 측면부분(204)들이 여타 대향하는 측면부분(204)들보다 짧으면서, 대향하는 측면부분(204)들이 장방형으로 배치된다면, 결과적으로 텐셔닝이 향상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대향하는 측면부분들의 제원을 변화시킴으로써, 예컨대 대향하는 측면부분(204)들 상의 말단 구멍들(216 및 217)이, 구멍들(215, 216, 217 및 218)이 실질적으로 직선을 형성하게 되는 시점에 도달할 때까지 내측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멍들은 코너에서조차도, 등거리 구멍들의 정방형 배치를 형성하게끔 형성될 수 있어서, 균일한 텐션을 얻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다음, 4개의 측면부분(204)들은, 미늘들(또는 유사한 스킨 파지 수단)이 피부 표면과 결합하도록, 시술 부위를 둘러싸는 피부 표면상에 눌려질 수 있다. 프레임(202)이 풀어진 후에는, 4개의 측면부분(204)들은 스프링 코너(204)들의 탄력성에 의해 바깥쪽으로 바이어스되어서, 피부 표면이 텐션을 받게 한다. 도시된 프레임(202)의 형태 때문에 텐션이 주로 2축 방향(bi-axial)으로 일어나지만, 더 많은 전방향의 텐션을 위해, 환형(annular), 육각형, 삼각형 등과 같은 여타 형태의 프레임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0a 및 10b는 제각기, 시술 부위에서 혈액을 제거하기 위해 유체 세척(fluid flush)이 통합된 다른 나비형 피부 텐셔너(220)의 상부 및 저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텐셔너(220)의 프레임(222)의 엘리먼트들은, 도 9a 및 9b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며, 여기서 다시 설명은 않는다. 물론 독자들은, 유체 세척이 여기서 기술되는 어떠한 피부 텐셔너 설계들에도 통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프레임(222)의 측면부분(224)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분는 내부에 유체 흐름 채널을 포함한다. 식염수 또는 여타 비활성 유체가, 측면부분에 있는 포트(port)(226)를 통해 공급되어, 측면부분(224)를 통해, 또는 모든 측면부분(224)들을 통해 시술 부위의 주변 둘레로부터 프레임(222) 내의 시술 부위로 살포될 수 있다. 세척 유체는 시술 부위에 있는 어떠한 혈액 또는 여타 유체와 섞이게 될 것이며, 측면부분(224)에 있는 흡인 포트(228)들을 통해 잉여 유체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측면부분(224)의 밑에 있는 측방향 리세스(lateral recess)(230)는, 시술 부위의 한 측면을 따라 흡인력을 분포하는 리저버(reservoir)를 제공해주어서, 구배(gradient)가 생성되어 잉여 유체가 보다 효과적으로 흡인될 수 있다. 도 9a, 9b, 10a 및 10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한가지 특별히 유리한 특징은, 예컨대 2개의 측면부분(222)를 엄지와 한 손가락으로 밀어서, 디바이스를 한 손으로 작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4개의 모든 측면부분들이 움직인다는 것이다.
도 11a 및 11b에는, 다른 나비형 피부 텐셔너(240)가, 이의 배치를 용이하게 해주는 보조기(aid) 또는 도구(tool)(242)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피부 텐셔너(240)는 대체로 평면상에 놓이고, 프레임, 예컨대 대각선 외향으로 돌출되는 4개의 스프링 코너(245)들에 의해 연결된 4개의 측면부분(244)들을 포함한다. 각 측면부분(24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부 파지기, 예컨대 다수의 미늘들 또는 미세미늘(248)들이 놓여있는 피부 접촉면(246)을 특징으로 한다. 피부 텐셔너(240)의 프레임 밑에는 약간 오목하게 되어 있어서, 볼록한 피부 표면 둘레의 피부 접촉면과 일치하거나 둘러싸는 데 도움이 된다.
비교적 작은 크기의 나비형 프레임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프레임을 압축시키면서, 동시에 프레임을 시술 부위 위에 놓고 미늘들이 결합하도록 누르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절차를 간단히 하기 위해 압축 도구(242)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압축 도구(242)의 일 예는, 힌지부(hinge)(251)에서 연결된 이분화된 다리들(250)을 지닌 컴퍼스 같은 클램프(clamp)를 포함한다. 이분화된 다리들(250) 사이의 간격은 작은 손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줄어들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크기로 될 수 있다. 다리들(250)의 자유단(free end)은 블록(block)(252)들에서 끝나는데, 본 예에서 블록(252)들 각각은 측면부분(244)들 중 한의 외측 가장자리와 일치하는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형상을 일치하게 하는 것은 양호한 끼워 맞춤에 유리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블록(252)들은 각각, 대향하는 측면부분(244)들의 오목한 립(lip)(254)을 수용하는 볼록한 그루브(groove)(256)를 가진다. 이러한 특정한 형태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압축 도구(242)의 일반 평면(generak plane)이 신체 표면 텐셔닝 디바이스(240)의 프레임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게끔, "상부에 장착된"(top-mounted) 형태로 압축 도구(242)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블록(252)들을 대향하는 측면부분(244)들에 결합시켜서, 도구가 텐셔닝 디바이스의 외측 가장자리 상에 파지하게끔 하고, 한 손으로 핑거 그립(finger grip)(258)들을 압박하여 프레임을 압축할 수 있다. 핑거 그립(258)들 및 핑거 그립(258)이 연장되는 부위의 크기와 형상은, 다양한 손의 크기를 수용하고 작동시 사용자 손에 가해지는 힘이 줄어들게끔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도구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때때로, 프레임으로부터 압축 도구를 분리하는 것이 신체 표면의 형상에 일치하게끔 된 텐셔너의 프레임에 의해 방해받음을 발견할 수도 있다.
도 11c에 도시된 또 다른 형태의 텐셔너에서, 실질적으로 편평한 프레임에 있는 리세스(recess)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텐셔닝 디바이스로부터 압축 도구를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1c에 도시된 피부 텐셔너(253)는, 피부 텐셔너(253)의 외측 가장자리들에 형성된 리세스(255)들을 가지고 있다. 이들 리세스(255)들은, 적합한 도구가 텐셔닝 디바이스(253)를 파지하고 압축할 수 있는 특정의 장소를 제공해준다. 이들 리세스(255)들은, 텐셔닝 디바이스의 프레임의 형상이 신체 표면의 형상에 일치하게끔 변경되든 아니든 간에, 텐셔닝 디바이스의 프레임으로부터의 분리를 촉진하기 위해, 도구가 보다 쉽게 조정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해준다. 이러한 리세스 특징으로 인해 사용자는 보다 쉽게 한 손만으로 피부 텐셔너를 압축하고 완화할 수 있다.
도 11d에 도시된 도구는, 피부 텐셔닝 디바이스(261)의 외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리세스(259)들을 통해 피부 텐셔닝 디바이스(261)를 잡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 도구(257)의 전반적인 면이 신체 표면 텐셔닝 디바이스(261)의 프레임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사용하는 데에도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장착(sidemounted)" 압축 도구(257)를 리세스들이 있는 텐셔닝 디바이스(261)와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프레임을 압축할 때 텐셔닝 디바이스(261)가 겪을 수 있는 비틀림(twisting)을 줄일 수 있다.
도 11d에 도시된 압축 도구는, 힌지부(265)에서 연결된 이분화된 다리들(263)을 지닌 컴퍼스 같은 클램프를 포함한다. 앞에 기술된 도구와 유사하게, 이분화된 다리들 사이의 거리와, 핑거 그립들의 크기 및 핑거 그립이 연장되는 부위의 크기는 의도된 사용자에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성능이 최적이 되게끔 형성될 수 있다. 다리(263)들의 자유단은, 대향하는 측면부분(244)들 중 하나의 외측 가장자리에 상응하는 형상을 지닐 수 있는 말단 부분(267)의 원위단에서 끝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말단 부분은, 대향하는 측면부분(244)들에 위치하는 리세스 또는 노치(notch)에 상응하게 형성된 돌출부분(protruding section)과, 대향하는 측면부분(244)들에 인접하게 놓이게끔 형성된 측면부분을 포함한다. 이런 특정한 형태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도구(257)의 일반 평면이 신체 표면 또는 피부 텐셔닝 디바이스(261)의 프레임과 실질적으로 편평하게 압축 도구(257)를 잡는다. 사용자는 돌출부분(269)을 예컨대 대향하는 측면부분(244)들 상의 리세스들 또는 노치들 속에 결합하고, 한 손으로 핑거 그립들을 내측으로 압박하여서, 프레임을 압축한다. 신체 표면 텐셔닝 디바이스(261)가 신체 표면 상에 놓여지고, 피부 파지기, 예컨대 미늘들이 신체 표면과 결합되면, 사용자는 압축 도구(257)를 잡았던 것을 해제하여, 텐셔닝 디바이스(261)의 프레임은 그의 완화된 형태로 돌아갈 것이며, 돌출부분(269)들은 프레임의 리세스들로부터 분리된다.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압축 도구를 사용하는 방식에 의해 또한 텐셔닝 디바이스의 프레임의 비틀림을 줄이는 것이 용이 해진다. 도시된 양 압축 도구들의 이분화된 다리들은 힌지부에서 연결되어, 상기 다리들의 단부들은 힌지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움직인다. 상부장착 압축 도구형태를 사용할 때, 방사형 움직임은 프레임에 전달되어 평면의 비틀림(planar distorsion), 예컨대 프레임이 압축 및/또는 완화될 때 프레임의 형태가 비틀리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측면장착 방식의 압축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다리들의 단부들의 방사형 움직임은, 특히 프레임에 리세스들이 형성되어 있다면, 텐셔닝 디바이스의 프레임에 영향을 덜 미치게 된다. 부가적인 장점으로는, 사용자가 시술 부위를 살펴보는 것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도 12a 및 12b는 제각기 또 다른 피부 텐셔너(260)의 상부 및 저부에 대한 사시도들인데, 상기 피부 텐셔너(260)는 밀페된 루프(closed-loop) 프레임(262)과, 각기 미늘들을 통합하고 있는 4개의 접촉 부재(264)들을 가진다. 상기 프레임(262)은 4개의 동일한 4분면(quadrant)들을 가지면서 실질적으로 정방형 형태를 지닌다. 물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버전(version)에 구현된 원리들은 여타의 다른 형태로, 심지어 밀페형과 반대되는 개방된 프레임에로 바꾸어질 수도 있다.
프레임(262)은, 코너 갭(272)들을 가로질러 결합된 4개의 측면 세그먼트들(side segments)(270a-d)을 포함한다. 인접한 측면 세그먼트들(270)은 샤프트(274)들을 통해 서로를 향해 그리고 서로로부터 멀리 움직이며, 스프링(276)에 의해 서로로부터 멀리 바이어스되어 있다. 상술한 나비형 프레임과 매우 유사하게, 4개의 측면 세그먼트들(270a-d)은 스프링(276)의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샤프트(274)들을 따라 서로를 향해 안쪽으로 압축될 수 있다. 엄지 탭(thumb tab)(278)들이 측면 세그먼트들(270a-d)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측면 세그먼트들(270a-d)을 조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각각의 측면 세그먼트들(270a-d)은, 가요성 정크션(flexible junction)(282)(예컨대 리빙 힌지(living hinge))을 통해 측면 세그먼트들(270a-d)에 연결된, 안쪽으로 향하는 접촉 부재(26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요성 정크션(282)으로 인해, 접촉 부재 또는 패드(pad)(264)가 측면 세그먼트들(270)의 평면 바깥에서 회전 및 이동하여, 예컨대 환자의 머리 위에서 작업할 때 피부 표면의 구배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접촉 부재(264)들은, 측면 세그먼트들(270a-d)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그리고 대체로 수직 상태로 구부러질 수 있다. 각 패드(264)의 바닥면에 있는 피부 접촉면(284)으로부터 미늘들(266)의 어레이가 하향 돌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각의 접촉 부재(264)들은, 프레임(262)의 중심을 향해 넓어지는, 라운드(round)진 사다리꼴 형태를 지닌 패드를 포함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늘(266)들은 바깥쪽으로 당겨질 때 피부 상에 더 좋은 파지를 위해 프레임(262) 중심으로부터 멀리 바깥쪽으로 경사져 있다.
사용시에는, 기술자 또는 여타 사용자가 프레임(262)을 압축하여, 갭(272)들이 좁아지게끔 측면 세그먼트들(270a-d)이 스프링(276)에 대항하여 서로를 향해 움직이게 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프레임(262)이 시술 영역을 둘러싸고 미늘(266)들이 피부 표면에 결합하게끔, 피부 텐셔너(260)를 환자에 기대어 눌러준다. 접촉 부재(264)들의 유연한 성질은, 두피와 같은 둥근 표면에 패드들의 집합체를 일치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프레임(262)을 해방하면, 측면 세그먼트들(270a-d)은 서로로부터 멀리 움직이려하며, 이로 인해 접촉 부재(264)들 및 미늘(266)들은, 시술 부위에 있는 피부 표면에 4개의 외측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게 된다.
도 13은 또 다른 "나비형" 신체 표면 텐셔닝 디바이스 또는 텐션너(290)의 완화된 상태에 대해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프레임(292)은 유연하며, 완화된 상태에서 안쪽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292)은 예시적으로 4개의 접촉 부재들(294a-d)을 포함하며, 이들의 상면이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접촉 부재들(294a-d) 각각은, 위에서 설명한 미늘들 또는 미세미늘들(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피부 파지기들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선택적인 구멍(296)들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멍들이 접촉 부재들(294a-d) 상면에서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접촉 부재들의 아래 또는 바닥면에서 접촉 부재들의 상부면까지 완전히 연장되지 않고 리세스들과 같은 여타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구멍(296)들이 없을 수도 있으며, 피부 파지기들은 예컨대 접촉 부재들의 아래(또는 바닥) 표면(306)에 놓이거나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접촉 부재들의 아래(또는 바닥) 표면(306)에 달리 연결될 수도 있다. 미늘들은 접촉 부재들의 아래 또는 바닥 표면(306) 아래로 연장되어 신체 표면상에 앵커(anchor)를 제공한다. 본 특정한 형태에서, 접촉 부재들(294a-d)의 상면들은, 접촉 부재들이 접촉하게 될 신체 표면에 대해 각이 지거나 경사지게 도시되어 있다. 경사진 상면은 개구부(302)의 중심을 향해 아래로 경사진 연속의 표면으로 도시되었지만, 예컨대 하나 이상의 계단들 또는 챔퍼들(chamfers)과 같이, 경사를 이루는 다른 형태들 또는 다른 기하학적 구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진 상면은, 텐셔너가 시술 도구(예컨대 모발 채취 도구)와 함께 사용될 때 유용할 수 있으며, 접촉 부재들(294a-d)의 안쪽을 향하는 가장자리들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302)에 의해 경계 지워진 시술 부위에 대해 도구가 쉽게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진 상면은, 텐셔닝 디바이스(290)가 로봇식 또는 자동화된 도구와 함께 사용될 때 특히 유용할 수 있다. 게다가 자동화된 또는 로봇식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때, 접촉 부재들 상면의 경사진 형태는, 사용되는 이미징 디바이스(imaging device)에 의해 관찰될 수 있는 더 많이 개방된 또는 넓은 각도의 뷰(view)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
이 실시 예에서 접촉 부재들(294a-d)이 일반 평면 상태로 놓여있지만, 4개의 측면 부분들을 연결하는 4개의 가요성 코너(298)들이 상기 일반 평면 상태에 대해 경사질(예컨대 하향으로) 수 있다. 경사진 가요성 코너(298)들에 의해 생성된 프레임의 곡률(curvature)은, 사용시 프레임(292)이 문제되는 신체 표면에 보다 밀접하게 놓이게끔 한다. 상기 곡률은 프레임(292)을 가로질러 대칭적 또는 비대칭적일 수 있으며, 문제되는 신체 표면에 잘 맞춰지도록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프레임(292)은, 그 내부에 스트랜드(strand)(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채널들 또는 그루브들(300)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랜드는 이것이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비교적 가요성이거나 비가요성이며, 비교적 탄력적이거나 비탄력적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논의된 스트랜드(32)와 유사하게, 스트랜드의 사용 가능 용도에는, 예컨대 신체 표면에 접촉 부재들(294a 및 294b)의 결합을 유지하는 것 및/또는 신체 표면을 가로질러 추가적인 텐션을 생성하는 것이 포함된다. 텐셔닝 디바이스(290)가, 피부상의 공여부위(donor area)로부터 모발을 채취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프레임(292)이 신체 표면상에 놓일 때 접촉 부재들(294a-d)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302) 내의 신체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모낭들의 각도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스트랜드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스트랜드(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 그루브(304)들을 하나 이상의 접촉 부재들 내에 가질 수 있다. 이들은 예컨대 시술 중에 프레임(292)을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 표면에 접촉하게끔 형성된 접촉 부재들의 바닥면들, 예컨대 참조부호 306으로 표기된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편평하다. 그러나 도 14a 및 14b의 텐셔너(310)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접촉 부재들(312a-d)의 바닥면(306)은 곡이 지거나, 사용시 프레임이 문제되는 신체 표면에 더 잘 일치하게끔 형성될 수 있다. 곡률은 접촉 부재들(312a-d)의 바닥면을 가로질러 대칭적 또는 비대칭적일 수 있으며, 문제되는 신체 표면에 잘 맞춰지도록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특정한 형태에 있어서, 예컨대 두피 상의 공여부위로부터 모발 채취를 도와주는 데 사용될 때, 접촉 부재들(312a-d)의 하나 이상의 바닥면(306)은 두피의 형상에 적합한 구형 반경(spherical radius)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한 접촉 부재의 바닥면의 구형 반경의 중심이 다른 인접한 접촉 부재의 바닥면의 구형 반경의 중심과 일치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도 14a 및 14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2세트의 대향하는 접촉 부재들 바닥면들이 제각기 그들의 구형 반경 오프셋(offset)을 가져서, 한 세트의 대향하는 접촉 부재들이 다른 세트의 대향하는 접촉 부재들보다 먼저 신체 표면, 이 경우엔 두피,에 접촉하게 될 수 있다.
공여부위로부터 모발을 채취하는 데 사용자를 도와주기 위해 텐셔닝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예시에 있어서, 사용자는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은 도구를 가지고 텐셔닝 디바이스(290)의 두 측면을 함께 압박함으로써 프레임을 압축한다. 이렇게 한 다음에 사용자는 접촉 부재들(294a-d)을 신체 표면 위에 밀어서 미늘들/ 피부 파지기들이 신체 표면과 결합하게끔 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압축 도구와 연계된 접촉 부재들(예컨대 도 13의 294c 및 294d)을 통해 미늘들이 신체 표면에 결합하도록 사용자가 충분한 힘을 제공하는 동안, 압축 도구에 안 잡혀 있는 접촉 부재들(294a 및 294b)이 신체 표면으로부터 떠 있거나 완전한 접촉을 이루지 못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접촉 부재들(294a 및 294b)을 신체 표면을 향해 밀기 위해 한 손을 사용하고, 다른 손은 텐셔닝 디바이스(290)를 잡고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도 14b는 도 14a의 텐셔너(310)의 저부도(bottom view)인데, 접촉 부재들(312a-d)의 바닥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전 도 13에 도시된 실시 예와는 달리, 접촉 부재들(312a 및 312b)의 가시적인 바닥면들이 접촉 부재들(312c 및 312d)의 가시적인 바닥면들과는 상이한 일반 평면(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는 곡이 진 일반 평면일 수 있음)에 놓여져 있다. 달리 말하자면, 이들 바닥면들이 신체의 시술 부위 상에 놓이게 되면, 이들 바닥면들의 대향하는 세트 중 하나(예컨대 접촉 부재들(312a 및 312b))가 다른 세트보다 먼저 시술 부위에 접촉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형태를 이룰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여기서 이들 중 하나를 설명한다. 도 14a 및 14b에는 모든 접촉 부재들(312a-d)의 상면이 제1 일반 평면 내에 있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접촉 부재들(312a 및 312b)의 바닥면들은 제2 일반 평면 내에 놓여 있으며, 접촉 부재들(312c 및 312d)의 바닥면들은 제3 일반 평면 내에 놓여 있다. 사용상에 있어서, 이러한 특정한 형태는, 사용자가 텐셔너를 단지 한 손으로 보다 쉽게 작동하는 데 도움을 준다. 사용자가 도 14a 및 14b에 도시된 실시 예를 사용하면서, 접촉 부재들(312a 및 312b)이 접촉 부재들(312c 및 312d)보다 먼저 신체 표면과 결합하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이러한 특정한 실시 예에서, 상술한 형태는, 두 접촉 부재들(312a 및 312b)의 높이를 다른 두 접촉 부재들(312c 및 312d)의 높이와 상이하게 형성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접촉 부재들(312a-d)의 상면이 놓인 제1 일반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접촉 부재들(312a 및 312b)의 깊이(314)가 접촉 부재들(312c 및 312d)의 깊이보다 더 크다. 공여부위로부터 모발을 채취하는 데 사용자를 도와주기 위해 텐셔닝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예시에 있어서, 사용자는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은 도구를 가지고 텐셔닝 디바이스(310)의 두 측면을 내향 화살표(320)로 표시된 방향으로 함께 압박함으로써 프레임을 압축할 것이다. 도 14a 및 14b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는, 접촉 부재들(312a 및 312b)이 다른 접촉 부재들(312c 및 312d)보다 먼저 신체 표면과 결합하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접촉 부재들 내에 수용된 미늘들이 신체 표면을 붙잡게 될 것이며, 사용자가 잔여의 두 접촉 부재들(312c 및 312d)을 계속 밀어 신체 표면에 결합시킬 때, 미늘들이 신체 표면으로부터 들리는 것이 덜 조장될 것이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해당 접촉 부재들과 연관된 바닥 평면들(곡진 평면들 포함)의 배치에 있어서 차이는 여타의 방식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며, 이들이 여기서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텐셔닝 프로세스 동안 및 시술 절차 시간 동안에 나비 프레임 타입의 디바이스가 적절히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서, 기술된 미늘들은 신체 표면에 대해 수직이 아닌 여타의 경사를 지닌다. 이러한 방향에서 미늘들은 신체 표면으로부터 저항을 접하게 되고, 신체 표면 내에 보다 쉽게 유지된다. 도 15a는, 대체로 편평한 텐셔닝 디바이스(330)의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15a에는 완화된 또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디바이스(33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b에는 압축된 상태의 디바이스(33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특정한 도시에서 프레임은 접촉 부재(332)들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부재(332)들은 이들로부터 연장되는 피부 파지기(334)들을 가지고 있다. 사용시에는, 프레임 형태를 도 15a의 완화된 형태에서 도 15b의 압축된 형태로 바꾸기 위해, 사용자는 프레임에 압축력을 가해야 한다. 만일 사용자가 도 11a 또는 11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도구를 사용코자 한다면, 일반적으로 텐셔닝 디바이스를 위에서 잡아, 도 15b에 참조부호 336으로 표기된 지점에 압축력이 가해질 것이다. 압축력이 가해지면, 프레임은, 실질적으로 프레임의 평면 내에서, 그리고 완화된 또는 압축되지 않은 형태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미늘들이 유지되게끔 압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력이 가해지는 지점(336)들은 프레임 그 자체 상에서 비교적 높은 부분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식으로 압축되면, 대체로 텐셔너 그 자체의 프레임과 동일 평면 내에서 압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미늘들의 움직임은 대체로 병진운동(translational)이며, 회전은 일어나지 않는다. 즉 신체 표면에 대한 미늘들의 방향은 실질적으로 그대로 유지된다. 신체 표면에 대한 미늘들의 요구되는 각도는, 통상적으로 시술절차에서 완전한 절차 또는 단계에 필요한 시간에 걸쳐서 미늘들이 신체 표면 내에 충분히 유지될 수 있도록 최적화된다. 그러나 충분히 유지되게끔 설계된 미늘들의 각도는, 사용자가 초기에 미늘들을 신체 표면 내에 결합시키는데 어려움을 겪는 데 이바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리고 나비 프레임들의 비교적 작은 크기로 인해, 사용자가 프레임을 압축하고 동시에 시술 부위 위에 배치하면서, 사용자가 환자 신체 표면에 내리눌러 미늘들이 신체 표면에 결합시키는 데 있어서 어려움을 경험할 수도 있다.
도 16a 및 16b에는, 텐셔너가 신체 표면에 결합하는 것이 향상된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a는 도 15a의 것과 유사하다. 피부 파지기들, 예컨대 미늘(334)들은 도 15a에서와 같이, 신체 표면(BS)에 대해 제1 각도 θF 로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압축력은, 텐셔닝 디바이스(330)의 프레임 평면에 대해 낮은 지점(338)에 가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압축력은, 도 11c 및 11d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압축 도구를 사용하여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의 도구는, 텐셔너(330)를 측면에서 잡는 것을 용이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낮은 지점에서 잡는 것도 용이하게 해준다.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압축 도구(수직의 선 위치에서 사용되는 도구)도, 요망되는 위치에 그것이 압축력을 가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상태에서 이런 식으로 압축되면, 프레임의 참조부호 340으로 표기된 부분들이 올라가고, 피부 접촉 부재(332)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해당 부재들(332 및 340)의 움직임으로 인해, 텐셔너에 대한 미늘(334)들의 방향은 제1 각도 θF 가 아닌 θS 로 변하게 되며, 이 경우에 있어서 신체 표면(BS)에 더욱 수직이 된다. 미늘(334)들의 방향 변화는, 사용자가 신체 표면(BS)에 미늘(334)들을 결합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신체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면, 미늘들은 신페 표면으로부터 저항을 덜 받게 되어 신체 표면을 관통하기가 더욱 쉬워진다. 일단 결합이 되면, 사용자는 잡았던 것을 완화하여, 압축력을 해제한다. 해당 접촉 부재들 또는 부분들(332 및 340)의 움직임으로 인해, 신체 표면 텐셔닝 디바이스에 대한 미늘(334)들의 방향은 한번 더 변화를 일으켜 제1 각도 θF 로 되돌아가며, 신체 표면(BS)에 덜 수직을 이루어 저항을 더 많이 받게 되어서, 미늘들이 신체 표면 내에 유지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방법은, 텐셔닝 디바이스의 프레임을 압축된 형태로부터 완화된 형태로 변화시켜서, 프레임 상에 위치하는, 미늘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피부 파지기가 신체 표면에 대해 제1 각도로부터 신체 표면에 대해 제2 각도로 변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텐셔닝 디바이스의 프레임(프레임은, 다수의 피부 파지기들을 지닌 피부 접촉 부재를 포함함)을 압축된 형태로 압축시켜서, 다수의 피부 파지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신체 표면에 대해 제1 각도로 배열되게 하는 단계; 및 프레임을 해방시켜서, 다수의 피부 파지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신체 표면에 대해 제1 각도로부터 신체 표면에 대해 제1 각도가 아닌 제2 각도로 변하게 하여, 이로 인해 다수의 피부 파지기들 사이의 시술 부위 내 피부 표면을 가로질러 인장력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인장력을 받고 있는 피부 표면 부위로부터 이식될 모발을 분리하는 단계, 또는 인장력을 받고 있는 피부 표면 부위로 이식될 모발을 심어 넣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또 다른 대안의 텐셔닝 디바이스(342)와, 이에 상응하는, 인장력 가하는 방법을 설명해주고 있는데, 상기 방법은, 도 16a 및 16b와 연관하여 기술된 특성들을 보여준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요성 프레임(342)은 4개의 접촉 부재(346)들을 포함하며, 접촉 부재(346)들 각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미늘들 또는 미세미늘들(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선택적인 구멍(348)들을 특징으로 삼고 있다. 도 15a에 도시된 것과 상응하는 완화된 형태에서, 접촉 부재(346)의 상면은 신체 표면에 대해 프레임(342)의 중심을 향해 하향 형식으로 경사져 있다. 상기 구멍(348)들이 있다면, 이들 또한 경사를 이루며, 만일 구멍들이 없다면, 피부 파지기들이 경사를 이룬다.
피부 텐셔닝 절차에 있어서, 사용자는, 리세스(344)들을 가지는 두 개의 측면 부분들을 압박함으로써, 프레임을 도 17에 도시된 형태로 압축한다. 이전의 실시 예들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두 개의 측면 부분들 또한 안쪽으로 굽어진다. 프레임의 가요성 때문에, 측면 부분들이 안쪽으로 움직임에 따라, 피부 접촉 부재(또는 접촉 부재)(346)들의 좀 더 중앙 부분은 들리게 되고, 접촉 부재(346)들의 좀 더 외측에 배치된 부분은 실질적으로 같은 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압축의 결과로, 초기의 경사각을 지닌 피부 파지기들은 방향이 바뀌어져, 신체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게 되며, 따라서 신체 표면 내에 보다 쉽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접촉 부재(346)들은, 시술 부위를 둘러싸는 신체 표면상에 눌러져서, 방향이 변화된 미늘들(또는 유사한 피부 파지 수단)은 피부 또는 신체 표면과 결합하게 된다. 프레임(342)의 압박을 풀어주면, 접촉 부재(346)들은 그들의 완화된 형태로 복귀하고, 미늘들은 그의 원래 경사진 형태를 취하게 되며, 이로써 텐셔너가 신체 표면에 유지되는 것이 향상된다.
방향의 변경은, 도 15 내지 도 17의 예시들을 참조로 하여 상술한 바와 다른 수단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미늘들의 방향이 변할 수 있게끔 텐셔닝 디바이스에 압축력을 가하는 어떤 방식으로 압축 도구가 형성되거나, 또는 텐셔닝 디바이스의 형상이, 압축력이 확실히 원하는 위치에 가해지게끔 형성되거나, 또는 원하는 방식으로 프레임이 압축될 수 있도록 재질들이 선정되거나, 또는 텐셔닝 디바이스 및/또는 압축 도구의 전반적인 설계가, 모든 관련된 엘리먼트들이 최종의 결과를 촉진하게끔 이루어지거나, 및/또는 미늘들의 방향 변경을 촉진하기 위해 여타의 수단들이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단어들은 설명을 하기 위한 단어들이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기서 기술된 발명에 다양한 변형들 및 개선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게다가 일 실시 예의 개별적 특징들이 여기서 논의되거나 일 실시 예에 대한 도면들에 도시되고, 다른 실시 예들에서는 아니 되었지만, 일 실시 예의 개별적 특징들은 다른 실시 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 또는 다수의 실시 예들로부터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진정한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첨부된 청구항들 내에서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8)

  1. 신체 표면(body surface)에 인장력(tension)을 가하는 디바이스(device)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피부 파지기(skin grasper)를 가지는 피부 접촉 부재(skin contact member)를 포함하는 가요성 프레임(flexible frame)를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본래의 가요성(flexibility) 때문에, 압축된 형태(compressed configuration) 및 완화된 형태(relaxed configuration) 사이에서 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요성 프레임은 상기 완화된 형태로 바이어스되어(biased) 있으며, 상기 완화된 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부 파지기가 신체 표면 내에 결합하면, 상기 가요성 프레임은 상기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제공하게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프레임의 적어도 한 부분은 탄력적 재질(resilient materia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프레임은, 상기 가요성 프레임이 가요성으로 되게끔, 형상(shape) 및/또는 두께를 지닌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가요성 코너들(flexible corner)들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3개의 측면 부분(side section)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프레임은, 서로 탄력적으로 상호 연결된 다수의 피부 접촉 부분(skin contact section)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프레임은, 내부에 개구부(opening)를 형성하는 밀폐된 루프 형태(closed-loop configura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프레임이 신체 표면상에 상기 완화된 형태로 위치하게 되면, 상기 가요성 프레임은 상기 신체 표면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균일한 인장력(substantially uniform tension)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프레임은 상기 신체 표면에 일치하게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측면 부분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측면 부분들 중 2개를 압축하면, 상기 측면 부분들 중 적어도 3개가 모여드는 것(converge)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파지기는 하나 이상의 미늘(barb), 미세미늘(microbarb), 접착제(adhesive) 또는 거친 표면 질감(rough surface textur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파지기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미늘 및 제2 미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미늘은 상기 제2 미늘로부터 멀어지게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파지기는 미늘 또는 미세미늘이며, 상기 피부 파지기가 신체 표면 상에 위치하면, 상기 압축된 형태에서 상기 미늘은 상기 신체 표면에 대해 제1 각도로 향하고, 상기 완화된 형태에서는 상기 미늘이 상기 신체 표면에 대해 제2 각도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신체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며(substantially orthogonal),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신체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아닌 다른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피부 접촉 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피부 접촉 부재들이 상기 완화된 형태로 신체 표면상에 위치하면, 상기 적어도 3개의 피부 접촉 부재들은 하나보다 많은 축선(axis)을 따라 상기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개의 피부 접촉 부재들 중 첫 번째 것은 제1 평면(first plane) 내에 놓이고, 상기 적어도 3개의 피부 접촉 부재들 중 두 번째 것은 상기 제1 평면과 다른 평면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대체로 평행한 2개의 다른 측면 부분들에 대해 수직인 대체로 평행한 2개의 측면 부분들을 지닌 나비형 형상(butterfly-style shape)을 가지며, 상기 가요성 코너들은, 상기 측면 부분들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의 중심으로부터 대체로 대각선 바깥쪽으로(generally diagonally outward)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프레임은 상기 완화된 형태에서 대체로 편평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요성 프레임이 압축될 때, 상기 프레임의 일 부분이 상기 평면의 밖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표면에 유체(fluid)를 전달하기 위한 인풋 포트(input port)와, 상기 신체 표면으로부터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아웃풋 포트(output por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 부재는 챔버(chamber)를 포함하여, 상기 신체 표면상에 위치할 때, 상기 접촉 부재 및 상기 신체 표면 사이에 흡인력(suction)이 생성되게끔, 상기 챔버 내에 진공이 생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장력을 받는 신체 표면으로부터 모낭들(hair folicles)을 채취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낭들을 포함하고 있는 신체 표면을 팽팽하게 하게끔, 상기 장치가 구성되고 크기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프레임 상에, 상기 신체 표면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크기를 나타내주는 지시계(indicator), 및/또는 상기 가요성 프레임 상에, 상기 신체 표면에 가해지는 인장력의 크기를 조절 가능케 해주는 텐션 컨트롤(tension contro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디바이스.
  22. 청구항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압축 도구(compression tool)로서, 상기 도구는 가요성 프레임과 결합하게끔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상기 가요성 프레임을 압축된 형태 및 완화된 형태 사이에서 변화시키게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도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프레임은 대체로 제1 평면(first plane)에 놓이며, 상기 압축 도구가 상기 가요성 프레임을 압축된 형태 및 완화된 형태 사이에서 변화시킬 때, 상기 압축 도구는 대체로 제2 평면(second plane)에 위치하게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도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면은 상기 가요성 프레임의 일반 평면(general plane)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도구.
  25.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피부 파지기를 가지는 피부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가요성 프레임(flexible frame)의 본래의 가요성(flexibility)를 이용하여, 상기 가요성 프레임을 완화된 형태로부터 압축된 형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상기 가요성 프레임의 피부 접촉 부재를 상기 신체 표면상에 배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부 파지기가 상기 신체 표면과 결합하게 하는 단계;
    상기 가요성 프레임이 상기 압축된 형태로부터 상기 완화된 형태로 변하게끔 상기 가요성 프레임을 해방시켜, 상기 신체 표면 내의 시술 부위(treatment area)를 가로질러 인장력이 생성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프레임을 결합하고, 상기 가요성 프레임을 상기 압축된 형태 및 상기 완화된 형태 사이에서 변화시키기 위해, 압축 도구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방법.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프레임을 압축하는 것은, 상기 프레임을 N 방향들로 압축하여 상기 프레임이 N 방향들보다 많은 방향들로 압축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방법.
  28.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프레임이 상기 압축된 형태로부터 상기 완화된 형태로 변함으로 인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부 파지기가 상기 신체 표면에 대한 제1 각도(first angle)로부터 상기 신체 표면에 대한 제2 각도(second angle)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표면에 인장력을 가하는 방법.
KR1020117017185A 2009-01-23 2010-01-19 모발 이식을 위한 피부 텐셔너 KR101343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87209P 2009-01-23 2009-01-23
US61/146,872 2009-01-23
US12/688,430 US8388631B2 (en) 2009-01-23 2010-01-15 Skin tensioner for hair transplantation
US12/688,430 2010-01-15
PCT/US2010/021353 WO2010085438A1 (en) 2009-01-23 2010-01-19 Skin tensioner for hair transplan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219A true KR20110101219A (ko) 2011-09-15
KR101343255B1 KR101343255B1 (ko) 2013-12-18

Family

ID=4235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7185A KR101343255B1 (ko) 2009-01-23 2010-01-19 모발 이식을 위한 피부 텐셔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8388631B2 (ko)
EP (1) EP2389117B1 (ko)
JP (1) JP5356542B2 (ko)
KR (1) KR101343255B1 (ko)
CN (1) CN102292031B (ko)
AU (1) AU2010206872B2 (ko)
BR (1) BRPI1007353A2 (ko)
CA (2) CA2850358C (ko)
HK (1) HK1164095A1 (ko)
WO (1) WO20100854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165A1 (ko) * 2021-09-07 2023-03-16 주식회사 오대 식모위치 결정용 빗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8689B1 (en) 1999-05-20 2002-12-03 Aaron V. Kapla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ericardial left atrial appendage closure
AU2004248138B2 (en) 2003-05-29 2009-09-03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Targeted delivery to legumain-expressing cells
US7846168B2 (en) 2003-10-09 2010-12-07 Sentrehear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ligation of tissue
CA2659772C (en) 2006-08-03 2016-05-2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Devices and bandages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scars and/or keloids and methods and kits therefor
DK2574287T3 (en) 2007-03-30 2015-07-27 Sentreheart Inc Devices for closing the left forkammervedhæng
US9358009B2 (en) 2007-08-03 2016-06-07 Neodyne Biosciences, Inc. Skin straining devices and methods
AU2010232589B2 (en) 2009-04-01 2014-11-27 Atricure, Inc. Tissue ligation devices and controls therefor
BR122020025483B1 (pt) 2009-08-11 2021-11-23 Neodyne Biosciences, Inc Dispositivo de tratamento
US8465498B2 (en) * 2010-01-15 2013-06-18 Restoration Robotics, Inc. Tensioning device and method for hair transplantation
CN103108597B (zh) 2010-04-13 2015-09-16 森特里心脏股份有限公司 用于向心脏介入和置放装置的方法和装置
AU2012204174B2 (en) 2011-01-07 2016-07-21 Neodyne Biosciences, Inc.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US20120226214A1 (en) 2011-03-03 2012-09-06 Neodyne Bioscience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skin tightening
CA2838539C (en) * 2011-06-08 2020-08-04 Sentreheart, Inc. Tissue ligation devices and tensioning devices therefor
US10561359B2 (en) 2011-12-02 2020-02-18 Neodyne Biosciences, Inc. Elastic devices, methods, systems and kits for selecting skin treatment devices
US10213350B2 (en) 2012-02-08 2019-02-26 Neodyne Biosciences, Inc. Radially tensioned wound or skin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EP4005499A1 (en) * 2012-08-14 2022-06-01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Apparatus for tissue harvesting
US9510913B2 (en) * 2012-09-12 2016-12-06 Restoration Robotics, Inc. Skin tensioning devices and methods of their use
BR112015019440A8 (pt) 2013-02-20 2019-11-12 Cytrellis Biosystems Inc curativo regulável, kit, uso e método para fortalecimento da pele
WO2014164028A1 (en) 2013-03-12 2014-10-09 Sentreheart, Inc. Tissue ligation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US9408691B2 (en) * 2013-03-14 2016-08-09 Restoration Robotics, Inc. Locator device for medical procedures on the body surface and method of its use
US9392965B2 (en) 2013-03-14 2016-07-19 Restoration Robot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change in tension of a body surface
US9167999B2 (en) 2013-03-15 2015-10-27 Restoration Robo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lanning hair transplantation
US10258408B2 (en) 2013-10-31 2019-04-16 Sentreheart, Inc. Devices and methods for left atrial appendage closure
DE102014209995A1 (de) * 2014-04-10 2015-10-15 Gereon Lill Vorrichtung zur Verminderung der Retraktion einer Faszie bei geöffnetem Abdomen
US10245039B2 (en) * 2014-05-30 2019-04-02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tensile force to tissue
JP2017533774A (ja) 2014-11-14 2017-11-16 サイトレリス バイオ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皮膚のアブレーション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US10130369B2 (en) 2015-03-24 2018-11-20 Sentreheart, Inc. Tissue ligation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PL3273866T3 (pl) 2015-03-24 2024-05-13 Atricure, Inc. Urządzenia do zamykania uszka lewego przedsionka
EP3123947A1 (de) * 2015-07-31 2017-02-01 Kantonsspital Basselland Dehneinrichtung zum dehnen einer bauchdecke
EP4331509A3 (en) 2016-02-26 2024-05-15 AtriCure, Inc. Devices for left atrial appendage closure
WO2017151806A1 (en) 2016-03-01 2017-09-08 Kitotech Medical, Inc. Microstructure-bas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wound closure
AU2017330298B2 (en) 2016-09-21 2022-09-29 Cytrellis Biosystem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smetic skin resurfacing
JP7246967B2 (ja) * 2019-02-25 2023-03-28 Juki株式会社 植毛装置
US20220379018A1 (en) 2019-12-10 2022-12-01 Neodyne Biosciences, Inc. Tensioned infusion systems with removable hubs
WO2021168345A1 (en) 2020-02-19 2021-08-26 Kitotech Medical, Inc. Microstructure systems and methods for pain treatment
CN113197602B (zh) * 2021-04-09 2022-08-12 南昌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腹腔镜甲状腺用皮肤牵拉装置
KR102639390B1 (ko) * 2021-07-19 2024-02-23 서울대학교병원 두피 봉합용 보조 장치
CN114224410B (zh) * 2022-01-10 2023-06-09 河北医科大学第三医院 一种空腔入路腔镜甲状腺切除腔隙牵引器
US11957346B2 (en) 2022-02-18 2024-04-16 Kitotech Medical, Inc. Force modulating deep skin staples and instruments
CN114587641A (zh) * 2022-02-28 2022-06-07 磅客策(上海)智能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皮肤固定器及其固定方法
CN116211423B (zh) * 2023-05-08 2023-08-22 浙江伽奈维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介入布针适配装置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50403A (en) 1924-04-09 1925-08-18 Turkus Edward Newton Retractor for amputation purposes
US4370979A (en) 1981-04-21 1983-02-01 Erickson Dale L Suspensory urinal sheath expander
US4434791A (en) 1982-03-15 1984-03-06 Humboldt Products Corp. Surgical retractor array system
GB8406333D0 (en) 1984-03-10 1984-04-11 Sharpe D T Holding devices
GB8702983D0 (en) 1987-02-10 1987-03-18 Hirshowitz B Surgical apparatus
US5089009A (en) 1989-06-27 1992-02-1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Inwardly biased skin fastener
US5486196A (en) 1992-02-13 1996-01-23 Medchem Products, Inc. Apparatus for the closure of wide skin defects by stretching of skin
FR2690840B1 (fr) 1992-05-07 1994-08-19 Patrick Frechet Dispositif d'extension de tissu vivant.
US5449374A (en) 1993-04-01 1995-09-12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Center Tissue spreading forceps
US5441540A (en) 1993-09-20 1995-08-15 Kim; Paul S. Method and apparatus for skin tissue expansion
DE4444130A1 (de) 1993-12-13 1995-06-14 Wim Dr Med Fleischmann Haut-Distraktor
US5662714A (en) 1994-01-21 1997-09-02 M.X.M. Device for extending living tissues
JPH10503387A (ja) 1994-04-21 1998-03-31 メッドケム・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単一針皮膚引き伸し装置
WO1996018345A2 (de) 1994-12-12 1996-06-20 Wim Fleischmann Haut-distraktor
CA2197614C (en) 1996-02-20 2002-07-02 Charles S. Taylor Surgical instruments and procedures for stabilizing the beating heart dur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US5964697A (en) 1996-04-22 1999-10-12 Lone Star Medical Products, Inc. Surgical retractor stay apparatus
US5769783A (en) 1996-06-27 1998-06-23 Lone Star Medical Products, Inc. Surgical retractor stay apparatus
US5785649A (en) 1997-03-31 1998-07-28 Lone Star Medical Products,Inc. Surgical retractor stay apparatus
US5957835A (en) 1997-05-16 1999-09-28 Guidan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ardiac stabilization and arterial occlusion
US5971920A (en) 1997-06-18 1999-10-26 Nagel; Gunther Peter Surgical retractor
US5972021A (en) 1997-11-12 1999-10-26 Bionix Development Corporation Tissue approximation forceps and method
US6033425A (en) 1997-11-12 2000-03-07 Genzyme Corporation Lifting rib retractor
US5931777A (en) 1998-03-11 1999-08-03 Sava; Gerard A. Tissue retractor and method for use
AU6288099A (en) 1998-10-06 2000-04-26 Progressive Surgical Products External tissue expansion device for breast reconstruction, male pattern baldness and removal of nevi and keloids
ATE291382T1 (de) 1999-01-24 2005-04-15 Teleflex Ct Devices Inc A Dela Schlittenanordnung für einen chirurgischen retraktor sowie für ein medizinisches instrument
US6190312B1 (en) 1999-03-04 2001-02-20 Lone Star Medical Products, Inc. Variable geometry retractor and disposable retractor stay clips and method of use
US6120525A (en) 1999-07-14 2000-09-19 Westcott; Mitchell S. Skin tensioning device
US6585746B2 (en) * 2000-04-20 2003-07-01 Philip L. Gildenberg Hair transplant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277008A (zh) * 2000-07-07 2000-12-20 卫裕智 皮肤牵张带
US6702739B2 (en) 2000-08-30 2004-03-09 Ricardo Levisman Holder
US6464634B1 (en) 2000-09-27 2002-10-15 Depuy Acromed, Inc. Surgical retractor system
DE10209122B4 (de) 2002-03-01 2006-04-13 Fleischmann, Wilhelm, Dr.med. Instrument zur Gewebedehnung der Haut
US20040049206A1 (en) * 2002-09-06 2004-03-11 Rassman William R. Scalp tensioner
KR100596156B1 (ko) 2003-06-26 2006-07-03 이의태 봉합 보조 및 유지 기구
US7972347B2 (en) 2003-06-27 2011-07-05 Surgical Security, Llc Device for surgical repair, closure, and reconstruction
CN2633218Y (zh) * 2003-07-24 2004-08-18 徐维贤 一种医用皮肤外牵张器
EP1835856B1 (en) 2005-01-14 2013-07-31 Radi Medical Systems Ab Medical closure device
US20060270909A1 (en) 2005-05-25 2006-11-30 Davis John W Sur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for use in reduced-access surgical sites
JP4896434B2 (ja) 2005-06-06 2012-03-14 凸版印刷株式会社 しわ伸ばしシート貼り付け器具
US7846179B2 (en) * 2005-09-01 2010-12-07 Ovalis, Inc. Suture-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septal defects
US20070078466A1 (en) 2005-09-30 2007-04-05 Restoration Robotics, Inc. Methods for harvesting follicular units using an automated system
US7837706B2 (en) * 2006-05-31 2010-11-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attach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DE102007011570A1 (de) 2007-03-08 2008-09-11 Fleischmann, Wilhelm, Dr.med. Vorrichtung zum Dehnen der Haut
US8491611B2 (en) 2009-12-18 2013-07-23 DePuy Synthes Products, LLC. Neural tissue retraction and preservation device
US8465498B2 (en) 2010-01-15 2013-06-18 Restoration Robotics, Inc. Tensioning device and method for hair transplant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165A1 (ko) * 2021-09-07 2023-03-16 주식회사 오대 식모위치 결정용 빗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모발 이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44309A1 (en) 2013-06-06
WO2010085438A1 (en) 2010-07-29
JP5356542B2 (ja) 2013-12-04
CA2850358C (en) 2016-12-20
CN102292031B (zh) 2014-05-07
US9597098B2 (en) 2017-03-21
CA2749927C (en) 2014-07-22
KR101343255B1 (ko) 2013-12-18
EP2389117A1 (en) 2011-11-30
BRPI1007353A2 (pt) 2016-02-16
AU2010206872A1 (en) 2011-08-11
CA2850358A1 (en) 2010-07-29
AU2010206872B2 (en) 2013-08-22
JP2012515619A (ja) 2012-07-12
CN102292031A (zh) 2011-12-21
HK1164095A1 (en) 2012-09-21
US20100191253A1 (en) 2010-07-29
US8388631B2 (en) 2013-03-05
CA2749927A1 (en) 2010-07-29
EP2389117B1 (en)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255B1 (ko) 모발 이식을 위한 피부 텐셔너
US2024005075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sertion and fixation of implantable devices
US8465498B2 (en) Tensioning device and method for hair transplantation
US20190083197A1 (en) Wound closure product
US2003013964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anipulation of organ tissue
US20090005794A1 (en) Suture Holding Device
US20170079736A1 (en) Skin Tensioning Devices and Methods of Their Use
CN215688175U (zh) 一种无创皮肤伤口闭合装置
CN113081120A (zh) 一种无创皮肤伤口闭合装置及其使用方法
JP6193125B2 (ja) リトラクションシステム
US20110319937A1 (en) Side-loading interspinous process spacer an installation tool
WO2013049400A1 (en) Suture delivery system
US11389647B2 (en) Neurological stimulation lead anchors and associated tools, and methods
JP2023512755A (ja) 人体組織に対して細長い可撓性要素のu字形部を支持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210267805A1 (en) Wound dressing module, device, and system
KR101373287B1 (ko) 척추체 극돌기간 스페이서 이식 시술용 의료기구
CN207101382U (zh) 一种可更换冲头的打孔器
CN107735131B (zh) 使用振动减轻皮肤穿刺的疼痛
AU200321967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anipulation of organ tiss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