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967A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967A
KR20110100967A KR1020100020072A KR20100020072A KR20110100967A KR 20110100967 A KR20110100967 A KR 20110100967A KR 1020100020072 A KR1020100020072 A KR 1020100020072A KR 20100020072 A KR20100020072 A KR 20100020072A KR 20110100967 A KR20110100967 A KR 20110100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basket
hot water
main body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3799B1 (ko
Inventor
천아름
Original Assignee
천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아름 filed Critical 천아름
Priority to KR1020100020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79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2Controlling the drying process in dependence on liquid cont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수납되며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는 바스켓과; 상기 본체내에 설치되고 바스켓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수단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된 상태의 바스켓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온수를 내부 유동시키며 발열하여 상기 바스켓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해 난방용 온수의 열을 이용하므로 건조를 위한 전력소모가 없고,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담는 수거용기로서 바스켓을 적용함과 아울러 온수가 통과하는 방열튜브를 바스켓의 옆면에 근접 위치시키므로 방열튜브의 열이 음식물쓰레기 내부로 깊숙이 침투하여 그만큼 건조효율이 좋으며, 특히 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어차피 사용하는 난방수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가령 하루 종일 작동시켜 놓더라도 건조를 위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 바닥면에 떨어진 찌꺼기를 자동으로 물청소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garbag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테면 아파트단지나 식당 밀집지역 또는 학교나 군부대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총 쓰레기 발생량의 30%를 상회할 정도로 그 양이 막대하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의 발생량은 도시화가 심화되면서 가파르게 증가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이 다각도로 모색되고 있다.
상기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소각이나 매립 또는 비료화처리가 알려져 있다. 상기 소각처리방법은,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로에 투입하여 소각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소각처리방법은 소각과정에서 매우 많은 분진을 발생하고 특히 다이옥신과 같은 인체에 치명적인 공해물질을 배출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매립 방법은 매립지 확보의 어려움은 물론 매립지로부터 새어나오는 침출수로 인한 토양이나 지하수의 오염 가능성을 안고 있다.
상기 비료화 처리방법은 소각이나 매립에 비하여 환경부하가 적다는 나름대로의 잇점이 있어, 그동안 여러 종류의 비료화 처리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비료화 처리장치의 성능이나 종류가 어떻든 간에, 비료화를 위해서는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여 함수율을 낮추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하므로, 악취가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대도시에서는 운용 할 수 없었다.
한편, 예컨대 아파트의 경우 각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는, 플라스틱 수거통에 따로 담아 집 바깥에 마련되어 있는 공동 음식물쓰레기통에 버리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공동 음식물쓰레기통이 없거나 그 위치가 집으로부터 멀 경우에는 귀찮아 다른 일반 쓰레기에 보이지 않게 섞거나 작게 잘라 하수구에 흘려버리기도 한다.
하수구를 통해 버려지는 음식물찌꺼기는 하수관을 통해 해당 지역의 지하수나 하천을 크게 오염시킬 수 있고, 하수관에 쌓인 찌꺼기들은 배수를 불량하게 하여 집중 호우가 내릴 때 하수가 역류하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옥내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에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1)는, 내부에 전방으로 개방된 건조공간(19)을 갖는 전열건조부(17)와, 상기 전열건조부(17) 앞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5)와, 상기 건조공간(19)에 수납되는 수거용기(21)와, 상기 건조공간(19)의 상부에 설치되며 수거용기(21)측으로 열을 가하여 수거용기(21) 내부에 모여진 음식물쓰레기(23)를 건조시키는 전열건조부(17)를 갖는다.
상기 전열건조부(17)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음식물쓰레기(23)의 함수율을 낮춘다. 아울러 상기 전열건조부(17)와 함께 배기팬(미도시)도 설치된다. 상기 배기팬은 건조공간(19)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1)는,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한 가열원으로 전기를 사용하므로 그만큼 전력소모가 많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전열건조부(17)가 건조공간(19)의 상부에만 위치하므로, 건조열이 음식물쓰레기(23)의 내부로 충분히 침투하지 못하여 건조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모됨은 물론, 음식물쓰레기(23)의 건조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아 내부가 축축한 상태로 남을 경우 악취나 벌레가 발생하게 되어 매우 비위생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해 전기에너지가 아닌 난방용 온수의 열을 이용하므로 건조를 위한 전력소모가 없고,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담는 수거용기로서 바스켓을 적용함과 아울러 온수가 통과하는 방열튜브를 바스켓의 옆면에 근접 위치시키므로 방열튜브의 열이 음식물쓰레기 내부로 깊숙이 침투하여 그만큼 건조효율이 좋으며, 특히 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어차피 사용하는 난방수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가령 하루 종일 작동시켜 놓더라도 건조를 위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 바닥면에 떨어진 찌꺼기를 자동으로 물청소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수납되며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는 바스켓과; 상기 본체내에 설치되고 바스켓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수단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된 상태의 바스켓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온수를 내부 유동시키며 발열하여 상기 바스켓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부는; 외부의 온수관과 연결되어 온수관으로부터 공급받은 온수를 내부 유동시킨 후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일정직경의 파이프로서, 다수 회 벤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향벽면에 근접 배치되는 방열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튜브에는, 방열튜브를 내부유동하는 온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전환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부에는, 상기 전환밸브와 연결되며 상기 전환 밸브의 동작에 의해 방열튜브를 내부 유동하는 온수를 공급받아 수용공간의 바닥면으로 분출함으로써 바닥면을 청소하는 세척수분출부와; 상기 세척수분출부로부터 분출된 세척수와, 상기 세척수에 의해 씻겨내려온 찌꺼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세척수분출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그 일측면에는 상기 바닥면을 향해 개방되며 상기 전환밸브를 통해 받아들인 온수를 바닥면측으로 분출하는 분출슬릿을 갖는 노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해 전기에너지가 아닌 난방용 온수의 열을 이용하므로 건조를 위한 전력소모가 없고, 또한 음식물쓰레기를 담는 수거용기로서 바스켓을 적용함과 아울러 온수가 통과하는 방열튜브를 바스켓의 옆면에 근접 위치시키므로 방열튜브의 열이 음식물쓰레기 내부로 깊숙이 침투하여 그만큼 건조효율이 좋으며, 특히 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어차피 사용하는 난방수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가령 하루 종일 작동시켜 놓더라도 건조를 위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 바닥면에 떨어진 찌꺼기를 자동으로 물청소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의 방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제어부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의 방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31)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전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39)을 갖는 본체(33)와, 상기 본체(33) 앞에 설치되며 수용공간(39)을 개폐하는 도어(35)와, 상기 수용공간(39)의 내부에 설치되며 음식물쓰레기를 담는 바스켓(45)과, 상기 바스켓(45)의 상부에 위치하고 수용공간(39) 내부의 공기를 본체(33)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41)과, 상기 바스켓(45)의 좌우면 및 후면에 대향 위치하고 외부의 온수관(55)으로부터 공급된 온수를 통과시키며 바스켓(45)측으로 열을 가하는 방열튜브(49)와, 상기 수용공간(39)의 바닥면을 물청소하기 위한 세척수분출부(61)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방열튜브(49)는, 일단부가 외부의 온수관(55)에 연결되어 온수관(55)을 통해 온수를 받아들이고 이를 내부 유동시키는 파이프로서 타단부가 온수배출관(57)과 연결된다. 따라서 온수관(55)을 통해 공급된 온수는 방열튜브(49)를 내부 유동한 후 온수배출관(5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온수관(55)과 온수배출관(57)은 난방에 사용되는 난방용 파이프이다. 본 실시예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의 방열튜브(49)는 상기한 난방용 파이프에 연결한 것으로서, 보일러의 동작이 계속되는 한 온수를 쉼없이 통과시킨다. 방열튜브(49)는 난방용 온수가 통과하는 경로의 하나인 것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방열튜브(49)를 난방용 파이프에 접속시키지 않고, 별도의 독립적 온수 순환루프를 구현하고 상기 순환루프에 접속시켜 적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상기 방열튜브(49)를 보일러실의 분배기에 직접 연결할 수 도 있다. 상기 방열튜브(49)는 난방용 배관에 많이 사용되는 동파이프로서, 다수 회 벤딩되어 수용공간(39)의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배관된다.
한편, 상기 방열튜브(49)의 유로 중간에는 전환밸브(63)가 구비된다. 상기 전환밸브(63)는 솔레노이드형 3way 밸브로서 후술할 제어부(37)에 의해 동작하여 유로를 전환함으로써, 온수가 방열튜브(49)로 계속 유동하거나 아니면 세척수분출부(61)로 향하도록 결정한다.
상기 세척수분출부(61)는 수용공간(39)의 바닥면(67)을 청소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바닥면(67)에는 음식물쓰레기의 찌꺼기가 떨어져 오염되기가 쉬우므로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청소하여야 한다. 상기 세척수분출부(61)는 막대의 형태를 취하며 그 일측면에 분출슬릿(61a)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체(61b)로서, 상기 전환밸브(63)의 동작시 온수를 받아 상기 분출슬릿(61a)을 통해 분사한다.
상기 분출슬릿(61a)을 통해 분출된 온수는, 바닥면(67)을 가로질러 이동하며 바닥면에 떨어져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배수구멍(65)으로 쓸어 배출한다. 상기 배수구멍(65)에는 배수관(53)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바닥면(67)의 일측 귀퉁이부에 노즐체(61b)와 전환밸브(63)를 설치함으로써 필요시마다 상기 전환밸브(63)를 동작시켜 바닥면(67)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39)에 수납되는 바스켓(45)은 금속망이나 플라스틱 소쿠리 형태의 바구니로서 그 내부에 음식물쓰레기를 담아 수용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쓰레기를 담는 수거함으로 바스켓을 사용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물기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바닥면(67)으로 떨어져 미리 배출된다. 이와 같이 물기가, 본격적 건조과정에 앞서 미리 제거되므로 그만큼 음식물쓰레기의 함수율이 낮아져 방열튜브(49) 및 배기팬(41)의 부하가 작아지고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부호 47은 상기 바스켓(45)을 지지하는 지지브라켓(47)이다. 상기 지지브라켓(47)은 본체(33)의 내벽면에 고정된 상태로 바스켓(45)의 상단 테두리부를 걸어 바스켓(45)을 수평으로 지지한다. 특히 상기 바스켓(45)은 지지브라켓(47)에 걸려 지지된 상태로 바닥면(67)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바스켓(45)의 상부에는 받침판(43)이 고정된다. 상기 받침판(43)은 중앙부에 관통구(43a)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배기팬(41)을 지지한다. 상기 배기팬(41)은 받침판(43)에 지지된 상태로 외부의 전력에 의해 동작하여 수용공간(39) 내부의 공기를 본체(33)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배기팬(41)은 모터(41a)에 의해 구동한다.
도면부호 69는 배기팬(41)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가 빠져나가는 배기구멍으로서 배기관(51)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본체(33)의 외측에는 제어부(3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7)는 바스켓(45)에 담겨져 수용공간(39)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37)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건조버튼(37a)과 배기버튼(37b)과 세척버튼(37c)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건조버튼(37a)은 온수가 방열튜브(49)를 온전히 통과하도록 하여 방열튜브(49)의 열이 음식물쓰레기에 전달되도록 하는 버튼이다. 상기 건조버튼(37a)을 누르면 차단밸브(도 7의 59)는 개방되고 전환밸브(63)도 방열튜브(49)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이다. 방열튜브가 개방된 상태라 함은, 방열튜브(49)와 세척수분출부(61)가 차단된 상태이다.
또한 배기버튼(37b)은 배기팬(41)을 구동하는 온오프밸브이다.
상기 세척버튼(37c)은 전환밸브(63)를 전환하여, 방열튜브(49)를 흐르는 온수가 노즐체(61b)를 통해 바닥면(67)측으로 분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수용공간(39)의 내부에 바스켓(4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스켓(45)의 외측에 방열튜브(49)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45)의 상부에는 배기팬(4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팬(41)의 모터(41a)에 전기를 공급하면 배기팬(41)이 동작하여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방출되는 악취를 화살표 c 방향으로 뽑아내어 외부로 방출한다.
도 7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바스켓(45)에 담아 수용공간(39)에 수납 한 후 음식물쓰레기를 건조 처리하기 위해서는 제어부(37)의 건조버튼(37a)을 누른다. 상기한 바와같이 건조버튼(37a)을 누르면 차단밸브(59)가 개방되고 전환밸브(63)는 방열튜브(49)측으로 전환되어 온수가 방열튜브(49)를 통과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건조버튼(37a)을 누른 상태를 기본모드로 설정해 놓을 수 도 있다. 이 경우 건조버튼(37a)이 없어도 된다.
상기 건조버튼을 눌러 온수를 순환시키는 동안 배기버튼(37b)을 눌러 배기팬(41)을 구동한다. 상기 배기팬(41)이 동작하면 수용공간(39) 내부의 악취나 습증기가 본체(33)의 외부로 배출되어 음식물쓰레기의 건조가 촉진된다.
아울러 상기 과정 중에 세척버튼(37c)을 누르면, 차단밸브(59)가 차단됨과 동시에, 전환밸브(63)가 세척수분출부(61) 측으로 전환되어, 분출슬릿(61a)으로부터 온수가 분출하여 상기 바닥면(67)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건조과정과 배기과정을 통해 바스켓(45) 내의 음식물찌꺼기가 건조되었다면 도어(35)를 열고 내부의 바스켓(45)을 꺼내어 건조된 찌꺼기를 처리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31: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5,35:도어 17:전열건조부
19:건조공간 21:수거용기 23:음식물쓰레기
33:본체 37:제어부 37a:건조버튼
37b:배기버튼 37c:세척버튼 39:수용공간
41:배기팬 41a:모터 43:받침판
43a:관통구 45:바스켓 47:지지브라켓
49:방열튜브 51:배기관 53:배수관
55:온수관 57:온수배출관 59:차단밸브
61:세척수분출부 61a:분출슬릿 61b:노즐체
63:전환밸브 65:배수구멍 67:바닥면
69:배기구멍

Claims (4)

  1.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수납되며 음식물쓰레기가 담겨지는 바스켓과;
    상기 본체내에 설치되고 바스켓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수단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납된 상태의 바스켓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온수를 내부 유동시키며 발열하여 상기 바스켓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외부의 온수관과 연결되어 온수관으로부터 공급받은 온수를 내부 유동시킨 후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일정직경의 파이프로서, 다수 회 벤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향벽면에 근접 배치되는 방열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튜브에는, 방열튜브를 내부유동하는 온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전환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부에는, 상기 전환밸브와 연결되며 상기 전환 밸브의 동작에 의해 방열튜브를 내부 유동하는 온수를 공급받아 수용공간의 바닥면으로 분출함으로써 바닥면을 청소하는 세척수분출부와;
    상기 세척수분출부로부터 분출된 세척수와, 상기 세척수에 의해 씻겨내려온 찌꺼기를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분출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그 일측면에는 상기 바닥면을 향해 개방되며 상기 전환밸브를 통해 받아들인 온수를 바닥면측으로 분출하는 분출슬릿을 갖는 노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00020072A 2010-03-05 2010-03-05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03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072A KR101203799B1 (ko) 2010-03-05 2010-03-05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072A KR101203799B1 (ko) 2010-03-05 2010-03-05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967A true KR20110100967A (ko) 2011-09-15
KR101203799B1 KR101203799B1 (ko) 2012-11-22

Family

ID=4495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072A KR101203799B1 (ko) 2010-03-05 2010-03-05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7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069B1 (ko) * 2011-11-23 2013-08-12 이동언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CN107192252A (zh) * 2017-05-17 2017-09-22 中车哈尔滨车辆有限公司 可转换式粮食烘干机换热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289Y1 (ko) * 2005-01-29 2005-04-19 장탁진 소각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구조
KR200432540Y1 (ko) * 2006-09-12 2006-12-05 길현익 음식물 발효 및 소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069B1 (ko) * 2011-11-23 2013-08-12 이동언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CN107192252A (zh) * 2017-05-17 2017-09-22 中车哈尔滨车辆有限公司 可转换式粮食烘干机换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799B1 (ko)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40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WO2005061134A1 (en) Food-trash processing unit for kitchen
KR10120379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736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자동세척장치 및 이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896657B1 (ko)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 배출 시스템
CN210989940U (zh) 一种无异味气动热厕具
KR101826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KR101086922B1 (ko)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KR10071649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323839B1 (ko) 음식물쓰레기감량처리장치
KR1007976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74497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WO2006013611A1 (en) Bio-grinding machine for the treatment and separate collection of organic refuse
KR200388684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17081691A (ja) ごみ収容装置
JP4341850B1 (ja) 集合住宅用生ごみ処理活用システム
KR100611800B1 (ko) 씽크볼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979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663702B1 (ko) 음식물쓰레기 자동 건조 장치
KR10117976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물 건조용 통풍유도체
CN218074763U (zh) 一种无水型生态环保厕所
JPH0337020A (ja) 便器装置
CN112482526B (zh) 一种蹲便器
CN108755867B (zh) 厨房垃圾处理机
KR20100002054A (ko) 전동회전 핸들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