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499B1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499B1
KR100716499B1 KR1020050029085A KR20050029085A KR100716499B1 KR 100716499 B1 KR100716499 B1 KR 100716499B1 KR 1020050029085 A KR1020050029085 A KR 1020050029085A KR 20050029085 A KR20050029085 A KR 20050029085A KR 100716499 B1 KR100716499 B1 KR 100716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rum
hopper
delete delet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6895A (ko
Inventor
김형중
Original Assignee
송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악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9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499B1/ko
Publication of KR20070026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가 탈수, 분쇄, 건조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호퍼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어댑터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식기세척대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유해가스를 촉매에 의해 제거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저장 및 처리시에도 쾌적한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촉매, 분쇄, 건조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Garbage Dispos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회전날과 제 2드럼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20: 유입부
21: 호퍼 22: 어댑터
23: 거름통 23a: 개폐부
25: 배수관로 27: 연결관로
30: 제 1드럼 31: 분쇄날
32: 플레이트 33,55: 이송스크류
35: 다공판 36: 브러쉬
40: 제 2드럼 41: 건조공간
43: 히터 45: 회전날
50: 제 3드럼 51: 유입구
53: 스플라인 60: 배출로
70: 촉매부 71: 흡입관로
73: 촉매 75: 흡입팬
M: 전기식 모터 10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가 탈수, 분쇄, 건조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호퍼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어댑터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식기세척대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유해가스를 촉매에 의해 제거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저장 및 처리시에도 쾌적한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조리하여 먹고 난 후 발생되는 음식물찌꺼기는 식기세척대의 유입구에 마련된 거름망에 걸려서 배수되는 물과 분리시킨 다음 별도로 처리하고 있으나, 상기 거름망에 의하여 추출되는 음식물찌꺼기는 상당한 양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 버리거나 땅속에 묻는 경우에는 쉽게 부패되거나 유출되는 침출수에 의해 심한 악취를 발생하게 되므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며, 소각 시에는 소각이 곤란하거나 소각시키기에는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린다.
이와 같이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버려지는 음식물찌꺼기는 부패되어 토양 및 수질을 오염시키므로, 음식물찌꺼기의 부패로 인한 토양, 수질오염 및 악취 등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즉, 음식물찌꺼기는 종전까지만 해도 가축사료로 이용되었으나 근래에는 인 력난과 취급 및 사용의 불편함으로 인해 농가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며, 더욱이 음식물찌꺼기에는 많은 종류의 양분이 들어있기 때문에 토양에 매몰하거나 하천에 방류하면 부패로 인해 방출되는 각종가스와 악취가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작물의 생육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킨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음식물처리기로 감량을 위한 고속건조, 악취제거 및 발효기가 장착되어 있는 음식물처리장치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처리장치는 그 장치가 매우 고가이며 대형이기 때문에 일반 가정이나 식당에서는 설치공간의 부족으로 설치가 불가능하며, 또한 주부들이 흔히 사용하는 식기세척대의 하부공간에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정의 식기세척대 하부공간에 설치한다 하더라도, 한정된 공간에서의 악취제거장치를 장착하기 쉽지않고, 또한 건조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를 체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식기세척대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쓰레기의 저장 및 처리시에 발생되 는 각종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식기세척대로부터 음식물쓰레기를 유입하기 위해 일측이 상기 식기세척대와 연결되는 유입부와;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의 타측과 연통되는 하우징와; 상기 유입부로부터의 음식물쓰레기가 유입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며, 내부에 유입된 음씩물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날과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분쇄날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스크류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 제 1드럼과; 상기 제 1드럼으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유입하고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제 1드럼과 연통되는 건조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건조공간의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히터와, 상기 건조공간 상에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날을 각각 구비하는 제 2드럼과; 일측 벽면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 2드럼으로부터 음식물쓰레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드럼의 내부에 형성되며,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타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3드럼과; 상기 제 3드럼의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드럼을 관통하여 상기 제 3드럼에 연통되는 배출관로와;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배출관로와 연통되는 촉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발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전날과 제 2드럼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크게 유입부(20), 하우징(10), 제 1,2,3드럼(30,40,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입부(20)는 식기세척대(미도시)로부터 음식물쓰레기를 유입하기 위한 호퍼(21)를 포함한다. 상기 호퍼(21)는 일측이 상기 식기세척대와 연결되며, 그 측부가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로(25)와 연통된다. 이때, 상기 호퍼(21)는 상기 호퍼(21)의 일측에 결합되는 어댑터(22)를 매개로 상기 식기세척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상기 어댑터(22)에 의해 식기세척대에 연결되는 단부의 직경이 가변될 수 있다. 즉, 필요시 상기 식기세척대의 물과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는 부분에 상응하는 크기의 어댑터(22)를 상기 호퍼(21)의 일측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호퍼(21)와 식기세척대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퍼(21)와 어댑터(22)의 결합은 나사 결합, 볼트 너트 결합, 단순 끼움 결합, 치형 결합 등에 의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호퍼(21)와 어댑터(22)가 치형 결합에 의해 결합됨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호퍼(21)에는 거름통(23)이 내설되는데, 상기 거름통(23)은 일정 크기의 입자만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배수관로(25)로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거름통(23)의 밑면에는 개폐부(23a)가 마련된다. 상기 개폐부(23a)는 사용자에 의해 열고 닫음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음식물쓰레기가 하우징(1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23a)를 구성함에 있어, 판과 같은 부재가 상기 거름통에 힌지결합되고 외면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구성이 가능하며, 이는 지극히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별도의 설명 또는 도시를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호퍼(21)의 타측(도면상 하부측)에는 상기 호퍼(21)와 후술될 하우징(10)과의 연결매개로서 연결관로(27)가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관로(27)는 일측이 상기 호퍼(21)의 타측과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10)과 연통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관로(27)는 그 길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관이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후술되는 각 드럼(30,40,50) 등을 비롯한 구성품들을 수용하기 위해 일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20)의 타측(식기세척대와 연결된 측의 반대측)과 연통된다.
상기 제 1드럼(30)은 상기 유입부(20)로부터의 음식물쓰레기가 유입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0)에 내설된다. 상기 제 1드럼(30)의 내부에는 분쇄날(31)과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분쇄날(31)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스크류(33)가 구동수단인 전기식 모터(M)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1드럼(30)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 2드럼과 제 3드럼 또한 상기 제 1드럼과 마찬가지로 수평면 을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된다는 것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이송스크류(33)와 분쇄날(31) 사이에는 다수개의 홀(미도시)이 형성된 플레이트(3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드럼(30)의 일측 단부에는 물만이 통과될 수 있는 다공판(35)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 1드럼(30)에는 상기 이송스크류(33)와 동반 회전가능하며 상기 다공판(35)에 면접촉하도록 브러쉬(3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드럼(30)의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제 1드럼(30)의 내부 일측에 일시적으로 축적되고, 상기 다공판(35)에 의해 축적된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물은 분리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1차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는 이송스크류(33)에 의해 분쇄날(31) 측으로 이송되어 분쇄날(31)에 의해 분쇄된다. 또한, 상기 다공판(35)에 면접촉하는 브러쉬(36)는 상기 다공판(35)에 부착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실시간 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다공판(35)의 구멍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 2드럼(40)은 상기 제 1드럼(30)으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유입하고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공간(41)을 포함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건조공간(41)은 상기 제 1드럼(30)과 연통되며, 상기 건조공간(41)의 벽면에는 상기 건조공간(41)의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히터(4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공간(41) 상(바람직하게는 낮은 측)에는 구동수단인 전기식 모터(M)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회전날(45)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2드럼(40)의 내부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히터(43)에 의해 고온을 유지하게 되는 건조공간(41)에서 건조된다. 이때, 전술한 바 있듯, 상기 제 2드럼(40)은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구 성되어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회전날(45) 측으로 모이게 되고, 상기 회전날(45)은 음식물쓰레기를 보다 작은 입자로 재차 분쇄시킴은 물론,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건조공간(41)에서 반복적으로 날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보다 빠른 건조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 3드럼(50)은 상기 제 2드럼(40)의 내부에 형성되는데, 일측 벽면에는 상기 제 2드럼(40)으로부터 음식물쓰레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유입구(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에는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타측, 즉 후술되는 배출관로(60)가 형성된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55)가 구동수단인 전기식 모터(M)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3드럼(50)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날(45)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형태로 스플라인(5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플라인(53)은 별도의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 3드럼(50)의 성형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상기 제 3드럼(50)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53)이 상기 회전날(45)과 더불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키도록 하여 분쇄효율을 보다 높일 수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51)는 상기 유입구(51)로 통과 가능한 크기의 음식물쓰레기 입자만을 유입시키게 되어 상기 제 3드럼(50)에는 작은 입자의 음식물쓰레기 만이 유입되게 된다.
한편, 도면 부호 60은 배출관로(60)로서, 상기 배출관로(60)는 상기 제 3드럼(50)의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배출관로(60)는 상기 제 2드럼(40)을 관통하여 상기 제 3드럼(50)에 연통된다.
아울러, 도면 부호 70은 촉매부(70)로서, 상기 촉매부(70)는 상기 배출관로 (60)와 연통되는 흡입관로(71)와 상기 흡입관로(7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촉매(73)와 상기 촉매(73)의 외측에 결합되는 흡입팬(75)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면 상기 배출관로(60)로 배출되는 음시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는 상기 흡입팬(75)에 의해 상기 흡입관로(71)로 강제 흡입되고 강제 흡입된 유해가스는 촉매(73)에 의해 제거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가 탈수, 분쇄, 건조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퍼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어댑터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식기세척대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유해가스를 촉매에 의해 제거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저장 및 처리시에도 쾌적한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식기세척대로부터 음식물쓰레기를 유입하기 위해 일측이 상기 식기세척대와 연결되며 그 측부에 물을 배수하도록 배수관로(25)를 구비한 호퍼(21)와, 상기 호퍼(2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식기세척대의 단부 직경을 가변시킬 수 있는 어댑터(22)와, 상기 배수관로(25)로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호퍼(21)에 내설되는 거름통(23)과, 상기 거름통(23)의 밑면에 위치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낙하 유입시키는 개폐부(23a)와, 일측이 상기 호퍼(21)의 타측과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10)과 연통되되, 그 길이가 변경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관이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되는 연결관로(27)로 이루어진 유입부(20);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부(20)의 타측과 연통되는 하우징(10);
    상기 유입부(20)로부터 음식물쓰레기가 유입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0)에 내설되며, 일측 단부에 결합되고 축적된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분리된 물을 배출하는 다공판(35)과, 상기 다공판(35)에 부착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다공판(35)과 면접촉하도록 구성된 브러쉬(36)와 내부에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날(31) 및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분쇄날(31) 측으로 이송하며 상기 브러쉬(36)와 동반회전하는 이송스크류(33)가 모터(M)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 1드럼(30);
    상기 제 1드럼(30)으로부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유입하고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제 1드럼과(30)과 연통되는 건조공간(41)이 형성되고, 상기 건조공간(41)의 온도를 높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히터(43)와 상기 건조공간(41) 상에서 모터(M)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날(43)을 각각 구비하는 제 2드럼(40);
    일측 벽면에 형성된 유입구(51)를 통해 상기 제 2드럼(40)으로부터 음식물쓰레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드럼(40)의 내부에 형성되며,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타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55)가 모터(M)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 3드럼(50);
    상기 제 3드럼(50)의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드럼(40)을 관통하여 상기 제 3드럼(50)에 연통되는 배출관로(60);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배출관로(60)와 연통되는 촉매부(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33)와 분쇄날(31) 사이에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3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50029085A 2005-04-07 2005-04-07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16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085A KR100716499B1 (ko) 2005-04-07 2005-04-07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085A KR100716499B1 (ko) 2005-04-07 2005-04-07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806U Division KR200388684Y1 (ko) 2005-04-11 2005-04-1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895A KR20070026895A (ko) 2007-03-09
KR100716499B1 true KR100716499B1 (ko) 2007-05-11

Family

ID=3810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085A KR100716499B1 (ko) 2005-04-07 2005-04-07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5073A (zh) * 2022-01-18 2022-05-13 绍兴纳亭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控温的厨余垃圾处理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158B1 (ko) * 2013-11-07 2014-12-22 이종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5997B1 (ko) * 2015-11-26 2017-02-10 박동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9351760A (zh) * 2018-11-21 2019-02-19 武汉轻工大学 一种厨余垃圾预处理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825A (ko) * 2000-06-28 2002-01-05 장대훈 낸드형 플래시 메모리의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20030000772A (ko) * 2001-06-27 2003-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제조설비의 가스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825A (ko) * 2000-06-28 2002-01-05 장대훈 낸드형 플래시 메모리의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20030000772A (ko) * 2001-06-27 2003-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제조설비의 가스 공급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825100000 *
200377244000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85073A (zh) * 2022-01-18 2022-05-13 绍兴纳亭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控温的厨余垃圾处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895A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94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79200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27452B1 (ko) 소용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음식물 쓰레기내에함유된 수분 및 염분의 제거방법
KR20050018727A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11352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3891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0633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1649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000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88684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53808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KR101491133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장치
KR100716500B1 (ko) 유해가스 소멸 기능을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8004858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45258Y1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76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653205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0253524U (zh) 一种干湿分离垃圾分类处理设备
KR19990030372A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200397933Y1 (ko) 유해가스 소멸 기능을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122359A (ko) 음식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03979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199330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8233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65952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