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854A -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854A
KR20110100854A KR1020100019907A KR20100019907A KR20110100854A KR 20110100854 A KR20110100854 A KR 20110100854A KR 1020100019907 A KR1020100019907 A KR 1020100019907A KR 20100019907 A KR20100019907 A KR 20100019907A KR 20110100854 A KR20110100854 A KR 20110100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ridge
girder
pedestal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0166B1 (ko
Inventor
김경석
김용진
Original Assignee
김경석
김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석, 김용진 filed Critical 김경석
Priority to KR1020100019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16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형 거더가 설치된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과 상기 박스형 거더 저면 사이에 다수의 유압잭과 같은 승강수단을 설치하고, 박스형 거더의 내부에는 받침대와 그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스크류 잭이나 유압잭과 같은 높이조정수단을 설치하여 박스형 거더를 상승시킨 다음, 교량받침을 교체하도록 된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박스형 거더가 설치된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과 상기 박스형 거더 저면 사이에 다수의 유압잭과 같은 승강수단을 교량받침의 둘레에 설치하고, 상기 박스형 거더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수단의 승강 중심선에 일치하여 받침대를 직립(直立)으로 설치하며, 상기 받침대의 상단과 박스형 거더의 내측 저면 사이에는 상기 승강 중심선에 일치시켜 받침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스크류 잭이나 유압잭과 같은 높이조정수단을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ING BEARINGS OF BOX GIRDER BRIDGE}
본 발명은 박스형 거더의 손상없이 교량 구조물의 교량받침을 교체 또는 보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박스형 거더가 설치된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과 상기 박스형 거더의 저면 사이에 다수의 유압잭과 같은 승강수단을 설치하고, 박스형 거더의 내부에는 받침대와, 그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스크류 잭이나 유압잭과 같은 높이조정수단을 설치하며, 승상수단을 통해서 박스형 거더를 상승시켜 교량받침을 교체한 후에는 사용 부품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고, 수거가 용이하여 쉽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된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스형 강재 거더를 활용하는 교량 구조물은 교대 또는 교각의 상부에 강재로 이루어진 박스형 거더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상부 슬라브를 설치하여 교량을 구축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박스형 거더의 교량 구조물은 상부 슬라브와 박스형 거더를 포함하는 상부구조와, 그 하부의 교대 또는 교각의 코핑부(Copping) 상부면 사이에는 교좌장치 등으로 불리우는 교량 받침(Bearing, Shoes)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교량받침은 상부 구조의 하중을 하부구조에 전달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충격 및 수평변위를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교량받침이 파손되면 교량 구조물의 안전에 치명적이므로 신속히 보수하거나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한반도와 주변지역에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로 인해 구조물에 대한 지진 피해의 위협이 점차 증대하고 현실화되고 있는 실정으로 지진으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재해 및 재난 방지에 만전을 기하고자 내진성능평가 및 내진보강공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는 교량에 대하여 보강계획을 수집 과정에서 교좌장치 교체가 빈번히 발생된다.
이때, 기 시공된 교량 구조물의 교량받침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기존 박스형 거더의 승상이 필요하며, 코핑부 상면과 거더 저면에 유압잭을 설치하여 승상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박스형 거더의 교량 구조물은 그 승상 용량이 커서 박스형 거더의 구조적 보강 없이는 변형이 발생되고, 이와 같은 교량받침의 교체공사중, 차량이 진행되는 현장여건임으로 교량 안정성이 위험하여 박스형 거더의 내외부에 보강재를 추가 설치하여야 시공이 가능하다.
종래의 보강재 설치방법(1)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받침이 설치된 교각(10)의 코핑부(12) 상면에 플레이트나 "L"형강(20)을 잭업(Jack-Up)(30) 위치인 복부(40) 또는 다이아플램(42)에 앵커볼트(44)로 부착하여 보강하거나,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50)의 코핑부(52) 상면에 기존 복부(60) 및 다이아플램(62)의 천공에 의해 플레이트나 "L"형강(70)을 앵커볼트(72)로 부착하여 보강하고, 그 하부에 잭업(80)을 설치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보강재의 설치후에는 잭업(30,80)으로 박스형 거더(90)를 승상하고, 교각(10) 또는 교대(50)의 코핑부(12,52) 상면에 설치된 교량받침(92)을 교체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량받침(92)의 교체작업에서 종래의 보강재 설치방법은 박스형 거더(90)의 복부(40,60) 또는 다이아플램(42,62)에 구멍을 형성하고 앵커볼트(44,72)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기존 부재의 손상 발생으로 인하여 구조적 안정성 및 유지관리에 불리하며, 플레이트나 "L"형강(20,70)을 복부(40,60)에 설치하는 경우, 외부에 볼트(44,72)가 노출되어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 구조물의 손상없이 박스형 거더를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교량받침을 교체할 수 있고, 교량받침의 교체후에는 박스형 거더내에서 위치 변경이 용이하며, 사용 후에는 사용된 구성부품들의 수거가 쉬워서 재사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박스형 거더의 외관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게 되어 도시 미관을 저해시키지 않도록 된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스형 거더가 설치된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과 상기 박스형 거더 저면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2세트 또는 4세트) 유압잭과 같은 승강수단; 상기 박스형 거더의 내부에 상기 승강수단의 승강 중심선에 일치하여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상단과 박스형 거더의 내측 저면 사이에 상기 승강 중심선에 일치시켜 받침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크류 잭이나 유압잭과 같은 높이조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 받침대 및 높이조정수단은 각각 조립 설치되도록 하여 위치 변경 및 사용 후 수거가 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수단과 받침대 사이에 유압잭과 같은 승강수단의 승강시에 박스형 거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서 승강시키기 위한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도록 하는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는 H-형강 또는 원형 파이프와 같은 강재가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박스형 거더 내부 공간 및 높이에 따라 다수의 받침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스형 거더가 설치된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과 상기 박스형 거더 저면 사이에 다수의 유압잭과 같은 승강수단을 교량받침의 둘레에 설치하고(하중 크기에 따라 설치 갯수 조정, 거더당 2세트 또는 4세트), 상기 박스형 거더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수단의 승강 중심선에 일치하여 받침대를 직립(直立)으로 설치하며, 상기 받침대의 상단과 박스형 거더의 내측 저면 사이에 상기 승강 중심선에 일치시켜 받침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크류 잭이나 유압잭과 같은 높이조정수단을 설치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 받침대 및 높이조정수단은 각각 조립 설치되도록 하여 위치 변경 및 사용 후 수거가 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수단과 받침대 사이에는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유압잭과 같은 승강수단의 승강시에 박스형 거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서 승강시키는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는 H-형강 또는 원형 파이프와 같은 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스형 거더 내부 공간 및 높이에 따라 다수의 받침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설치하는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강 위치가 박스형 거더 내부의 상,하부에 설치된 리브에 간섭이 발생할 경우에는 리브 간섭을 피하여 설치 가능한 보강받침대를 설치함으로 승강시 박스거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와 함께 교량받침 교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박스형 거더의 외측에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과 상기 박스형 거더의 저면 사이에서 다수의 유압잭과 같은 승강수단을 교량받침의 둘레에 설치하고, 상기 박스형 거더의 내부에는 승강수단의 승강 중심선에 일치하여 받침대를 직립(直立)으로 설치하며, 상기 받침대의 상단과 박스형 거더의 내측 저면 사이에는 받침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스크류 잭이나 유압잭과 같은 높이조정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박스형 거더를 쉽게 보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박스형 거더의 구조적 손상없이 박스형 거더를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받침의 교체후에는 박스형 거더내에서 받침대 및 높이조정수단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며, 사용 후에는 수거가 쉬워서 재사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박스형 거더에 구멍을 형성하고 앵커볼트를 장착할 필요가 없게 되어 도시 미관을 저해시키지도 않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 교량받침을 교체 또는 보수하기 위하여 교각의 코핑부상에 다수의 잭업과, 플레이트나 "L"형강의 보강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 교량받침을 교체 또는 보수하기 위하여 교각의 코핑부상에 다수의 잭업과, 플레이트나 "L"형강의 보강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 교량받침을 교체 또는 보수하기 위하여 교대의 코핑부상에 다수의 잭업과, 플레이트나 "L"형강의 보강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b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 교량받침을 교체 또는 보수하기 위하여 교대의 코핑부상에 다수의 잭업과, 플레이트나 "L"형강의 보강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가 박스형 거더교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라서 교량받침을 교체 또는 보수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교량받침 교체장치를 박스형 거더교에 설치한 횡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서 교량받침을 교체 또는 보수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교량받침 교체장치를 박스형 거더교에 설치한 측단면도이다.
도 6a는 박스형 거더 내부에 리브의 간섭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교량받침 교체장치에 구비된 받침대를 박스형 거더교의 내부에 직립으로 승강 중심선에 일치시켜 설치한 평면도이다.
도 6b는 박스형 거더 내부에 리브의 간섭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교량받침 교체장치에 구비된 받침대를 박스형 거더교의 내부에서 리브를 회피한 위치에 직립으로 승강 중심선에 일치시켜 설치한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교량받침 교체장치에 구비된 받침대를 박스형 거더교의 내부에서 리브를 회피한 위치에 직립으로 승강 중심선에 일치시켜서 복수의 기둥으로 설치한 측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100)는 도 3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 거더(110)가 설치된 교각 또는 교대(120)의 상면과 상기 박스형 거더(110) 저면 사이에 설치되는 승강수단(13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승강수단(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잭(Hydraulic Jack)(132)과 같은 동력식 장치로 이루어지며, 박스형 거더(110)가 설치된 교각 또는 교대(120)의 코핑부(122) 상면과 상기 박스형 거더(110)의 저면(112) 사이에서 교량받침(115)의 둘레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박스형 거더(110)의 내부에 받침대(150)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받침대(150)는 상기 승강수단(130)의 승강 중심선(S)에 일치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H-형강 또는 원형 파이프와 같은 강재가 이용될 수 있고, 상기 박스형 거더(110)의 내부 공간 및 높이에 따라 다수의 받침부재(152)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받침대(150)는 각각 복수의 받침부재(152)들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받침부재(152) 단부에는 볼트 구멍(154)을 형성한 플랜지(156)들이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볼트 구멍(154)에 볼트(158)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받침부재(152)들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일체화된 받침대(15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받침대(150)가 다수의 받침부재(152)들로 이루어진 현장 조립 및 분해식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내부 공간이 크지 않은 박스형 거더(110)의 내부에서 작업자가 운반하여 위치 변경시키기 용이하고, 사용 후에는 분해하여 수거가 용이하며,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받침대(150)의 상부에는 높이조정수단(170)이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높이조정수단(170)은 박스형 거더(110)의 내부 공간 높이가 다양하므로 이에 대응하여 받침대(15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높이조정수단(170)은 상기 받침대(150)의 상단(162)과 박스형 거더(110)의 내측 저면(118)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정수단(170)의 승강 중심선(S)에 일치시켜 받침대(15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스크류 잭(Screw Jack)(172)과 같은 장치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높이조정수단(170)이 스크류 잭(172)으로 이루어지면 작업자가 이를 상기 받침대(150)의 상단(162)과 박스형 거더(110)의 내측 저면(118) 사이에 설치한 다음, 중간의 레버(174)를 회전시켜서 스크류 잭(17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받침대(150)의 높이를 조정하여 상기 받침대(150)의 상단(162)과 박스형 거더(110)의 내측 저면(118) 사이에 받침대(150)를 고정시켜 상기 박스형 거더(110)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높이조정수단(170)은 상기와 같은 스크류 잭(172) 대신에 유압잭(미 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압잭으로 이루어지면, 작업자가 직접 인력(人力)으로 스크류 잭(172)을 조절시킬 필요없이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받침대(1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쉬워서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높이조정수단(170)은 단순히 다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삽입판(미 도시)을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즉 다수의 삽입판을 적층시켜서 상기 받침대(150)의 상단(162)과 박스형 거더(110)의 내측 저면(118) 사이에 삽입하고 받침대(1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수단(130)과 상기 받침대(150) 저면 사이에 보강부재(18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보강부재(180)는 두꺼운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유압잭(132)과 같은 승강수단(130)의 승강시에 박스형 거더(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넓은 면적을 통해서 분산시킬 수 있음으로써 박스형 거더(110)의 일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더 박스형 거더(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100)를 이용하여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115)을 교체시키는 방법(200)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방법(20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박스형 거더(110)가 설치된 교각 또는 교대(120)의 코핑부(122) 상면과, 상기 박스형 거더(110)의 저면(112) 사이에 다수의 유압잭(132)과 같은 승강수단(130)을 교량받침(115)의 둘레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박스형 거더(110)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수단(130)의 승강 중심선(S)에 일치하여 받침대(150)를 직립(直立)으로 설치하는데, 이와 같은 받침대(150)는 H-형강 또는 원형 파이프와 같은 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스형 거더(110)의 내부 공간 및 높이에 따라 다수의 받침부재(152)를 서로 동축(同軸)으로 볼트(158) 연결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받침대(15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형 거더(110)의 내부에서 상기 승강수단(130)의 승강 중심선(S)에 일치하여 하나의 직립된 기둥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받침대(150)가 나란하게 리브(190)를 회피하여 상기 승강수단(130)의 승강 중심선(S)상에 설치되어 더욱 견고하게 박스형 거더(110)의 내측을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받침대(150)의 상단(162)에는 박스형 거더(110)의 내측 저면(118) 사이에 스크류 잭(172) 또는 유압잭과 같은 높이조정수단(170)을 설치하고, 높이조정수단(170)의 길이를 신장시킴으로써 상기 승강수단(130)의 승강 중심선(S)에 일치시켜서 받침대(150)의 높이를 조정하여 받침대(150)의 상단(162)과 박스형 거더(110)의 내측 저면(118) 사이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 거더(110)의 내측 저면(118)에 리브(190)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상부 보강받침대(192)를 리브(190) 사이에서 높이조정수단(170)의 상부에 설치하고 높이조정수단(170)의 길이를 신장시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상기 승강수단(130)과 상기 받침대(150) 저면 사이에 보강부재(180)를 끼워 넣어서 설치한 다음, 상기 승강수단(130)의 유압잭(132)을 동작시켜서 박스형 거더(110)를 승상시키게 되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보강부재(180)는 박스형 거더(11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서 박스형 거더(110)의 부분적인 응력 집중을 방지하여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수단(130)을 통해서 박스형 거더(110)를 승상시키게 되면, 승강수단(130)의 작용력은 박스형 거더(110)의 하부면 뿐만 아니라, 내부에 설치된 받침대(150)와 높이조정수단(170)을 통하여 박스형 거더(110)의 상부면에도 전달되어 박스형 거더(110)의 단면 전체에 걸쳐서 효과적으로 분산됨으로써 박스형 거더(110)는 부분적인 변형없이 안정적으로 상승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박스형 거더(110)가 교각 또는 교대(120)의 코핑부(122) 상면으로부터 상승된 다음에 교량받침(115)을 교체 또는 보수하게 되며, 원하는 공정대로 교량받침(115)의 교체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와는 반대로 승강수단(130)을 하강작동시켜서 박스형 거더(110)를 최초의 위치에 안착시켜 원위치시킨다.
또한 이와 같이 교량받침(115)의 교체 또는 보수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박스형 거더(110)의 내부에서 받침대(150) 및 높이조정수단(170)을 각각 분해시켜 이동시키거나, 위치 변경하여 재장착하게 되며, 박스형 거더(110)의 외부에서는 승강수단(130)을 이동시키거나 위치변경한 다음, 재차 작업하거나 또는 수거하여 추후에 재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100) 및 방법(200)은 박스형 거더(110)의 외측에서 교각 또는 교대(120)의 상면과 상기 박스형 거더(110)의 저면 사이에 다수의 유압잭(132)과 같은 승강수단(130)을 교량받침(115)의 둘레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박스형 거더(110)의 내부에는 승강수단(130)의 승강 중심선(S)에 일치하여 받침대(150)를 직립(直立)으로 설치하며, 상기 받침대(150)의 상단(162)과 박스형 거더(110)의 내측 저면(118) 사이에는 받침대(15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스크류 잭(172)과 같은 높이조정수단(170)을 설치함으로써 박스형 거더(110)를 쉽게 구조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받침(115)의 교체작업에 관련하여 박스형 거더(110)의 구조적 손상, 예를 들면 복부나 다이아플램등에 볼트 구멍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구조적인 손상없이, 박스형 거더(110)를 구조적으로 쉽게 보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교량받침(115)의 교체 후에 박스형 거더(110) 내에서 받침대(150) 및 높이조정수단(170)의 분해작업이 용이하여 좁은 공간내에서도 받침대(150) 및 높이조정수단(170)의 이동 및 위치 변경이 용이하며, 사용 후에는 수거가 쉬워서 재사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교량받침(115)의 교체 후에 종래와 같이 별도로 박스형 거더(110)에 구멍을 형성하고, 앵커볼트(44,72)를 장착할 필요가 없게 되어 박스형 거더(110)의 외관이 양호하게 보존되므로 도시 미관을 저해시키지 않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종래의 보강재 설치방법 10...... 교각
12,52..... 코핑부 20,70....... 플레이트나 "L"형강
30,80..... 잭업(Jack-Up) 40,60...... 복부
42,62..... 다이아플램 44,72...... 앵커볼트
50...... 교대 90...... 박스형 거더
92...... 교량받침 100...... 교량받침 교체장치
110..... 박스형 거더 112...... 저면
115..... 교량받침 118..... 박스형 거더 내측 저면
120...... 교각 또는 교대 122..... 코핑부(Copping)
130..... 승강수단 132...... 유압잭(Hydraulic Jack)
150..... 받침대 152..... 받침부재
154...... 볼트 구멍 156..... 플랜지
158...... 볼트 162..... 받침대 상단
170..... 높이조정수단 172..... 스크류 잭
180..... 보강부재 190..... 리브
192..... 상부 보강받침대 200...... 교량받침 교체방법
S...... 승강 중심선

Claims (6)

  1. 박스형 거더가 설치된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과 상기 박스형 거더 저면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압잭과 같은 승강수단;
    상기 박스형 거더의 내부에 상기 승강수단의 승강 중심선에 일치하여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의 상단과 박스형 거더의 내측 저면 사이에 상기 승강 중심선에 일치시켜 받침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크류 잭이나 유압잭과 같은 높이조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 받침대 및 높이조정수단은 각각 조립 설치되도록 하여 위치 변경 및 사용 후 수거가 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과 받침대 사이에 유압잭과 같은 승강수단의 승강시에 박스형 거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서 승강시키기 위한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H-형강 또는 원형 파이프와 같은 강재가 이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박스형 거더 내부 공간 및 높이에 따라 다수의 받침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4. 박스형 거더가 설치된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과 상기 박스형 거더 저면 사이에 다수의 유압잭과 같은 승강수단을 교량받침의 둘레에 설치하고, 상기 박스형 거더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수단의 승강 중심선에 일치하여 받침대를 직립(直立)으로 설치하며, 상기 받침대의 상단과 박스형 거더의 내측 저면 사이에 상기 승강 중심선에 일치시켜 받침대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크류 잭과 같은 높이조정수단을 설치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 받침대 및 높이조정수단은 각각 조립 설치되도록 하여 위치 변경 및 사용 후 수거가 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과 받침대 사이에는 보강부재를 설치하여 유압잭과 같은 승강수단의 승강시에 박스형 거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서 승강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H-형강 또는 원형 파이프와 같은 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스형 거더 내부 공간 및 높이와 교좌받침 용량에 따라 다수의 받침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일체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방법.
KR1020100019907A 2010-03-05 2010-03-05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 KR101130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907A KR101130166B1 (ko) 2010-03-05 2010-03-05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907A KR101130166B1 (ko) 2010-03-05 2010-03-05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854A true KR20110100854A (ko) 2011-09-15
KR101130166B1 KR101130166B1 (ko) 2012-03-28

Family

ID=4495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907A KR101130166B1 (ko) 2010-03-05 2010-03-05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1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8892A (zh) * 2018-11-17 2019-02-15 湖南金海钢结构有限公司 一种钢结构桥梁安装分段线型调整及桥梁整体下降装置
CN109930493A (zh) * 2019-04-24 2019-06-25 中铁二十四局集团有限公司 一种盖梁拼装辅助装置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330B1 (ko) * 2012-03-22 2014-01-15 민경기술 주식회사 외부소켓 연결대 및 패드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방법
KR102332101B1 (ko) 2019-06-26 2021-12-01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교량받침 교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447B1 (ko) * 1999-05-04 2002-01-12 김영환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KR100549798B1 (ko) * 2003-04-02 2006-02-13 (주)케이돔엔지니어링 구조물 인상 장치
KR200326710Y1 (ko) 2003-05-27 2003-09-19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교량받침의 교환을 용이토록 하는 강상형 구조
KR100707312B1 (ko) 2006-01-20 2007-04-16 황병호 안전강화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의 인상 및 보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8892A (zh) * 2018-11-17 2019-02-15 湖南金海钢结构有限公司 一种钢结构桥梁安装分段线型调整及桥梁整体下降装置
CN109930493A (zh) * 2019-04-24 2019-06-25 中铁二十四局集团有限公司 一种盖梁拼装辅助装置及其施工方法
CN109930493B (zh) * 2019-04-24 2024-01-23 中铁二十四局集团有限公司 一种盖梁拼装辅助装置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166B1 (ko)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073B1 (ko) 거더 인상장치
KR101026012B1 (ko) 교각과 일체화시킨 인양잭을 이용한 교량상판 해체공법
JP5405337B2 (ja)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方法
KR101130166B1 (ko)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
JP2006090026A (ja) 既設鋼部材アーチ橋の補修・補強構造
KR101527782B1 (ko) 합성형 교량의 변위관리 및 반전합성 경사지보공 설치방법
KR102024665B1 (ko)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
KR20040004819A (ko) 철도교의 강교를 콘크리트교로 치환시켜 유도상화하는공법
KR101214528B1 (ko) 교량 상판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
JP2018003559A (ja) 柱梁架構改修方法及び改修柱梁架構
JP3595517B2 (ja) 線路下構造物構築工法
JP7136309B2 (ja) 上部工部材運搬設備および上部工部材運搬方法
KR101282333B1 (ko) 십자형 지지대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 지지구조 및 인상 지지구조의 시공방법
KR101214531B1 (ko) 교량 상판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
KR100348632B1 (ko) 역방향 가설 브래키트를 이용한 교량빔의 인상장치 및 그방법
JP6969646B2 (ja) 上部工部材運搬設備および上部工部材運搬方法
KR20190122925A (ko)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JP4339778B2 (ja) 橋梁の撤去方法
KR100454387B1 (ko) 상부구조물 인상용 부축식 가벤트 및 그 형성방법 및 그를이용한 상부구조물 인상방법
JP6586305B2 (ja) 既設橋梁の架替工法
JP5437876B2 (ja)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工程における支持部材の解体撤去方法
KR100519718B1 (ko) 교량받침의 교환을 용이토록 하는 강상형 구조
JP2020153104A (ja) 橋脚の改修方法
KR102578491B1 (ko) 램프교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거더 해체 공법
KR100660036B1 (ko) 교량의 교각간격 확장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