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101B1 - 교량받침 교체장치 - Google Patents

교량받침 교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101B1
KR102332101B1 KR1020190076233A KR20190076233A KR102332101B1 KR 102332101 B1 KR102332101 B1 KR 102332101B1 KR 1020190076233 A KR1020190076233 A KR 1020190076233A KR 20190076233 A KR20190076233 A KR 20190076233A KR 102332101 B1 KR102332101 B1 KR 102332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
abutment
bracket
bridge bearing
replac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152A (ko
Inventor
강예석
조성완
노민호
오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7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1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52A/ko
Priority to KR1020210162767A priority patent/KR102368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더를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팅 수단; 상기 리프팅 수단이 거치되며,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각 또는 교대의 양쪽 측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상기 교각 또는 교대 측면에 고정시켜 지지하는 브라켓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교량받침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교량받침 교체장치는 체인에 의해 유압잭 설치를 위한 브라켓을 교대 또는 교각의 측면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유압잭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 설치를 위하여 기존의 교대 또는 교각에 앵커 볼트 등을 천공함이 없이 브라켓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존의 교대 또는 교각의 단면 손상을 최소화하여 교량받침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량받침 교체장치{REPLACEMENT EQUIPMENT OF THE BRIDGE SUPPORTER}
본 발명은 교량받침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받침 교체 시 유압잭 설치를 위한 브라켓을 교대 또는 교각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유압잭 설치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교량받침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구조물은 교대 또는 교각의 상부에 강재로 이루어진 거더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상부 슬라브를 설치하여 교량을 구축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교량 구조물은 상부 슬라브와 거더를 포함하는 상부구조와, 그 하부의 교대 또는 교각의 상부면 사이에는 교좌장치 등으로 불리우는 교량 받침(Bearing, Shoes)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교량받침은 상부 구조의 하중을 하부구조에 전달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충격 및 수평변위를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교량받침이 파손되면 교량 구조물의 안전에 치명적이므로 신속히 보수하거나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 한반도와 주변지역에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로 인해 구조물에 대한 지진 피해의 위협이 점차 증대하고 현실화되고 있는 실정으로 지진으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재해 및 재난 방지에 만전을 기하고자 내진성능평가 및 내진보강공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는 교량에 대하여 보강계획을 수집 과정에서 교좌장치 교체가 빈번히 발생된다.
이때, 기 시공된 교량 구조물의 교량받침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상부구조물(2)과 하부구조물(1) 사이에 유압잭(4)을 설치하고 상부구조물(2)을 인상한 후, 기존의 교량받침(3)을 보수하거나 새로운 교량받침으로 교체하는 것으로 교량받침을 보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교체방법은 상부구조물(2)과 하부구조물(1) 사이 공간이 협소하여 유압잭(4)을 설치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0166호.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305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받침 교체 시 유압잭 설치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교량받침 교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거더를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팅 수단; 상기 리프팅 수단이 거치되며,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각 또는 교대의 양쪽 측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을 상기 교각 또는 교대 측면에 고정시켜 지지하는 브라켓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교각 또는 교대의 측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의 상단에 상기 측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교각 또는 교대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면에 상기 리프팅 수단이 거치되는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상판과 측판 사이에, 상판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의 상판은, 상기 교각의 상면보다 기 설정된 높이만큼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상판에는, 상판의 수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평계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지지수단은, 상기 브라켓의 측판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 측판을 상기 교각 또는 교대의 측면에 고정시키는 앵커 볼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지지수단은, 상기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에 접하여 교각 또는 교대의 측면까지 연장되며, 교량받침의 양쪽에서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인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병렬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봉과, 상기 가로봉의 양단에서 상기 가로봉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인은, 상기 브라켓 측판의 후면에 구비된 연결고리가 상기 체인의 가로봉에 결착됨으로써 상기 브라켓을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량받침 교체장치는, 상기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과 브라켓 지지수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교각 또는 교대의 파손을 방지하는 보양 매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양 매트에는, 상기 체인의 가로봉과 가로봉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체인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보양 매트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기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준 돌기는, 상기 기준 돌기의 가로방향 중심선이 교량받침의 가로방향 중심선과 일치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가로방향 중심선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표가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 수단은, 유압잭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량받침 교체장치는, 교각 또는 교대에 설치된 교량받침 별로 각각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량받침 교체장치는, 교량받침 교체시, 배치된 유압잭들의 변위 기준 영점을 설정한 후, 상기 유압잭들을 동시에 잭업시키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위 기준 영점의 설정은, 각각의 유압잭들을 설정 변위량만큼 승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는, 체인에 의해 유압잭 설치를 위한 브라켓을 교대 또는 교각의 측면부에 고정시킴으로써, 교량 상부구조물인 상판 및 거더의 하중 및 형태에 관계없이 유압잭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실시예의 교량받침 교체장치에 사용되는 보양 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의 작업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교량받침 교체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100)는 크게 리프팅 수단(110)과, 브라켓(120)과, 브라켓 지지수단(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수단(110)은 상판과 거더를 포함하는 교량의 상부구조물(200)을 승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유압잭(Hydraulic Jack)과 같은 동력식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각 또는 교대(300)의 양쪽 측면(310)에 접하여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120)의 상판(122)은, 교대 또는 교각(300)의 상면(320)보다 기 설정된 높이만큼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교대 또는 교각(300)의 상면(320)과 거더 사이의 공간 높이에 관계없이 유압잭(11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유압잭(100) 설치를 위한 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 지지수단(130)이 앵커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앵커 볼트(130)는 브라켓(120)의 측판을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120) 측판(121)을 교각 또는 교대의 측면에 브라켓(12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현예의 교량받침 교체장치(100)는, 간단하게 유압잭 지지대인 브라켓(120)을 교각 또는 교대의 측면(310)에 고정시킴으로써, 상부구조물(200)의 하중이 가벼운 교량에 적용하는 경우 특히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100)의 정면도이며, 도 5는 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100) 또한 전술한 구현예와 동일하게 리프팅 수단(110)과, 브라켓(120)과, 브라켓 지지수단(130)을 포함한다.
본 구현예에 있어서 있어서, 상기 리프팅 수단(110)은 전술한 구현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리프팅 수단(110)이 거치되어 상부구조물(200)의 승강 시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120)은, 교각 또는 교대(300)의 측면(310)에 접하여 설치되는 측판(121) 및 상기 측판(121)의 상단에서 상기 측판(121)과 일체로 형성되는 상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122)은 교각 또는 교대(300)의 측면(310)에서 외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면에 상기 리프팅 수단(110)이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각 또는 교대(300)의 양쪽 측면(310)에 접하여 한 쌍이 설치되어 편심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브라켓(120)의 상판(122)은, 교대 또는 교각(300)의 상면(320)보다 기 설정된 높이만큼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교대 또는 교각(300)의 상면(320)과 거더 사이의 공간 높이에 관계없이 유압잭(11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높이는 상부구조물(200)의 하중 및 유압잭의 종류 등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유압잭은 승강 하중 용량에 따라 수용 하중이 클수록 부피와 길이가 커지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120)의 높이와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부구조물의 하중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유압잭 설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브라켓(120)의 상판(122)에는, 상판(122)의 수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평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20)은 브라켓 지지수단(130)에 의해 교각 또는 교대 측면(3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 지지수단(130)은 체인(1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체인(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병렬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봉(131)과, 상기 가로봉(131)의 양단에서 상기 가로봉(131)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편(1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인(130)은 교량받침(400)의 양쪽에서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320)에 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인(130)은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각 또는 교대의 측면(3109)까지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교량받침(400)의 양쪽에서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310)에 접하여 교각 또는 교대의 측면(320)까지 연장되어 설치된 상기 체인(130)은, 브라켓(120)의 측판(121) 후면에 구비된 연결고리(124)가 상기 체인(130)의 가로봉(131)에 결착됨으로써 브라켓(120)을 고정시키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고리(124)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측판(1212)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의 설치되어 상기 체인(130)의 가로봉(131)을 교각 또는 교대의 측면(310) 외측에서 내측으로 걸침으로써 브라켓(120)을 전체적으로 교각 또는 교대의 측면(310)에 고정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체인(130) 양측에 동일한 하중이 가해지면 교각 또는 교대의 측면(310)에 동일한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므로, 상부구조물(200)의 승하강 위치 변화에 따른 수직항력에 대해 브라켓(120)이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유압잭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교각 또는 교대에 앵커 볼트 등으로 천공한 후 콘크리트 지지판 등을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교대 또는 교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상판(122)과 측판(121) 사이에, 상판(122)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부재(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유압잭(110)이 상부구조물(200)을 승강 시, 브라켓(120)의 상판(122)에 전달되는 수직하중이 상기 보강부재(123)에 의해 수평하중으로 분산되어 브라켓(120)의 측판(121)에 전달됨으로써 브라켓(120)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교량받침 교체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 또는 교대(300)의 상면(320)과 브라켓 지지수단(130) 사이에 보양 매트(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인(130)에 의하여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320) 특히 상면의 모서리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양 매트(140)는 고무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보양 매트(140)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보양 매트(140)에는, 보양 매트의 상면(141)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기준 돌기(1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돌기(142)의 상면(143) 두께 "t"는 상기 체인(130)의 가로봉(131)과 가로봉(131) 사이의 거리 "t"에 상응하며, 기준 돌기(142)의 길이 "l"은 체인(130)의 가로봉(131) 길이 "l" 보다 조금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양 매트(140)의 폭은 체인(13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양 매트(140)의 두께는 교량 상부구조물(200)의 하중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준 돌기(142)가 상기 체인(130)의 가로봉(131)과 가로봉(131)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체인(1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준 돌기(142)의 상면에는, 상기 기준 돌기(142)의 가로방향 중심선이 교량받침의 가로방향 중심선과 일치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가로방향 중심선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표(화살표)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교량받침 교체장치(100)는, 교각 또는 교대(300)에 설치된 교량받침(400) 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교각 또는 교대(300)에 복수 개의 교량받침(40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교량받침(400) 별로 각각의 교량받침 교체장치(100)가 설치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100)의 설치 및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 교체장치(100)의 설치 및 작동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320)에서 교량받침(400)의 양쪽에 교량받침(400)과 소정의 간격을 이격시켜 한 쌍의 체인(130)을 설치한다(S110).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인(130)을 설치하기 전에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에서 체인(130)을 설치할 위치에 보양 매트(14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양 매트(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준 돌기(142)에 표시된 기준표가 교량받침(400)의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설치한다. 이어서, 체인(13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가로봉(131)과 가로봉(131) 사이의 틈에 상기 보양 매트(140)의 기준 돌기(142)를 끼우게 되면 양쪽의 체인(130)이 동일한 기준에 의해 교량받침(400)의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체인(130)은 교대 또는 교각의 상면(320)을 지나 양쪽의 측면(310)까지 연장되게 된다.
이에 따라 교량받침(400)의 중심과 양쪽 보양 매트(140)의 기준표가 일치하게 되면, 양쪽 체인(130)이 교대 또는 교각의 상면(320)에서 동일 위치로 배치되게 되고 따라서 교대 또는 교각 측면(310)의 양쪽 체인(130)은 동일한 위치로 배치되게 된다.
이어서, 교대 또는 교각의 측면(310)에 연장된 체인(130)의 가로봉(131)에 브라켓(120)의 측판(121) 후면에 설치된 연결고리(124)를 걸어 브라켓(120)을 체인(130) 양쪽에 고정시킨다(S120).
이어서, 상기 체인(130)에 의해 교대 또는 교각의 측면(310)에 고정된 브라켓(120)의 상판에 유압잭(110)을 설치한다(S130).
브라켓(120)의 상판에 유압잭(110)을 설치한 후에는, 브라켓(120)의 상판(122)에 구비된 수평계를 이용하여 각각의 브라켓(120)에 대해 미세하게 수평을 조절한다(S140). 브라켓(120)의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 유압잭(110)에 의한 상부구조물(200)의 승강 시 하중의 불균형한 집중이 발생하여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정밀하게 브라켓(120)의 수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수평을 맞춘 브라켓(120)의 상판(122)에 설치된 유압잭(110)들을 각각 서서히 작동시켜 각각의 유압잭(110)에 대해 변위기준 영점을 설정한다(S150). 이때 유압잭의 상기 변위 기준 영점 설정은, 각각의 유압잭들(110)을 설정 변위량만큼 승강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각각의 유압잭(110)을 서서히 작동시켜 상부구조물(200)의 변위가 발생하기 직전의 지점을 유압잭의 변위기준 영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영점을 맞춘 각각의 유압잭들(110)을 동시에 동일한 속도로 잭업(jack-up)시켜 상부구조물(200)을 승강시킨다(S160). 이때 유압잭(110)의 위치에 따라 유압잭에 걸리는 하중이 상이하므로 중앙의 관제소에서는 상부구조물(200)의 승강시 상부구조물(200)에 국부적인 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각의 유압잭에 걸리는 하중을 정밀하게 제어한다.
상부구조물(200)을 승강시킨 후 교량받침(400)을 교체 또는 보수한 후 유압잭(110)의 압력을 서서히 감소시켜 상부구조물(200)이 원래의 위치에 안착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의 교체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체인(130)에 고정된 브라켓(120)을 분리한 후 체인(130) 및 보양 매트를 철거함으로써 교량을 교체공사 이전의 상태와 동일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받침의 교체작업 이후, 교량받침 교체를 위한 시설물의 흔적이 나지 않게 되어 도시 미관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교량받침 교체 시 유압잭(110) 설치를 위한 브라켓(120)을 교대 또는 교각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앵커 천공 및 콘크리트 단면 확대에 의한 교대 또는 교각의 단면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교량받침 교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교량받침 교체장치는 체인(130)에 의해 유압잭(110) 설치를 위한 브라켓(120)을 교대 또는 교각의 측면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유압잭(110)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 설치를 위하여 기존의 교대 또는 교각에 앵커 볼트 등을 천공함이 없이 브라켓(12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존의 교대 또는 교각의 단면 손상을 최소화하여 교량받침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교량받침 교체장치 110 : 리프팅 수단
120 : 브라켓 121 : 측판
122 : 상판 123 : 보강부재
124 : 연결고리 130 : 체인
131 : 가로봉 132 : 연결편
140 : 보양 매트 141 : 보양 매트 상면
142 : 기준 돌기 200 : 상부구조물
300 : 교대 또는 교각 310 : 측면
320 : 상면 400 : 교량받침

Claims (11)

  1. 거더를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팅 수단과;
    상기 리프팅 수단이 거치되며,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각 또는 교대의 양쪽 측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상기 교각 또는 교대 측면에 고정시켜 지지하는 브라켓 지지수단; 그리고
    상기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과 브라켓 지지수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브라켓 지지수단에 의한 상기 교각 또는 교대의 파손을 방지하는 보양 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교각 또는 교대의 측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측판; 및
    상기 측판의 상단에 상기 측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교각 또는 교대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면에 상기 리프팅 수단이 거치되는 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 지지수단은,
    상기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에 접하여 교각 또는 교대의 측면까지 연장되며, 교량받침의 양쪽에서 거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인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병렬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봉과,
    상기 가로봉의 양단에서 상기 가로봉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브라켓 측판의 후면에 구비된 연결고리가 상기 체인의 가로봉에 결착됨으로써 상기 브라켓을 고정시키며:
    상기 보양 매트에는,
    상기 체인의 가로봉과 가로봉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체인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보양 매트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기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기준 돌기는,
    상기 기준 돌기의 가로방향 중심선이 교량받침의 가로방향 중심선과 일치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가로방향 중심선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표가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교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수단은,
    유압잭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교체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량받침 교체장치는,
    교량받침 교체시, 배치된 유압잭들의 변위 기준 영점을 설정한 후, 상기 유압잭들을 동시에 잭업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교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기준 영점의 설정은,
    각각의 유압잭들을 설정 변위량만큼 승강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교체장치.
KR1020190076233A 2019-06-26 2019-06-26 교량받침 교체장치 KR102332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33A KR102332101B1 (ko) 2019-06-26 2019-06-26 교량받침 교체장치
KR1020210162767A KR102368433B1 (ko) 2019-06-26 2021-11-23 교량받침 교체용 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33A KR102332101B1 (ko) 2019-06-26 2019-06-26 교량받침 교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767A Division KR102368433B1 (ko) 2019-06-26 2021-11-23 교량받침 교체용 가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52A KR20210002152A (ko) 2021-01-07
KR102332101B1 true KR102332101B1 (ko) 2021-12-01

Family

ID=741267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233A KR102332101B1 (ko) 2019-06-26 2019-06-26 교량받침 교체장치
KR1020210162767A KR102368433B1 (ko) 2019-06-26 2021-11-23 교량받침 교체용 가설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767A KR102368433B1 (ko) 2019-06-26 2021-11-23 교량받침 교체용 가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32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101B1 (ko) * 2019-06-26 2021-12-01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교량받침 교체장치
CN115369782A (zh) * 2022-08-02 2022-11-22 中铁二十五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一种高铁桥梁的临时支撑结构及支撑点转换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833B1 (ko) * 2007-03-02 2007-09-21 인중건설 주식회사 개별 조립식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지지인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995B1 (ko) * 2002-11-01 2005-11-09 노윤근 강판을 이용한 단위 내측 및 외측 브라켓으로 이루어진교량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보수보강 시공방법
KR100880708B1 (ko) 2008-06-04 2009-02-03 민경기술 주식회사 다변형 교량 인상장치 및 교량 인상방법
KR101130166B1 (ko) 2010-03-05 2012-03-28 김용진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
KR101230599B1 (ko) 2012-07-27 2013-02-06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앵커소켓 수용관을 이용한 교량받침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받침 교체방법
KR20190143101A (ko) * 2018-06-20 2019-12-30 수형산업개발 유한회사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시스템 및 컴퓨터 제어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 구조물 인상공법
KR102332101B1 (ko) * 2019-06-26 2021-12-01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교량받침 교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833B1 (ko) * 2007-03-02 2007-09-21 인중건설 주식회사 개별 조립식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지지인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433B1 (ko) 2022-03-02
KR20210148028A (ko) 2021-12-07
KR20210002152A (ko)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8433B1 (ko) 교량받침 교체용 가설장치
KR101300073B1 (ko) 거더 인상장치
KR101248838B1 (ko) 교량 상판의 인상용 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 공법
KR100707312B1 (ko) 안전강화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의 인상 및 보수방법
KR102024665B1 (ko)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
KR101971274B1 (ko) 교량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빔 인상방법
KR101704550B1 (ko) 안전장치를 포함한 유압잭과 컴퓨터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무손상 인상 공법
KR101704552B1 (ko) 안전장치를 포함한 유압잭과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무손상 인상 공법
CN109457980A (zh) 一种牛腿装置及悬挑卸料平台的安装方法
KR102581845B1 (ko) 전자동 다중 안전장치가 구비된 유압잭을 이용한 컴퓨터 제어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
KR20210131702A (ko) 교량 받침 보수용 유압잭
KR101130166B1 (ko)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
KR20050009806A (ko) 교량 상부구조물의 승상 및 보수, 보강방법
JP2012102468A (ja) 橋梁下面補修用移動式足場および該足場の設置方法
CN112761081B (zh) 现役超宽梁体支座更换结构及施工方法
JP2016142097A (ja) 可搬式昇降装置および水平部材の解体方法
KR20040076348A (ko) 아이형강빔의 인상과 낙교방지를 위한 교좌장치 및 그설치방법
KR100474299B1 (ko) 교량의 교좌교체 및 전도방지를 위한 쐐기식 안전장치
KR101214531B1 (ko) 교량 상판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판 인상 방법
CN108589905B (zh) 桁架连廊整体后提升施工系统及其施工方法
CN206986701U (zh) 一种钢箱梁桥结构体系转换系统
KR101885472B1 (ko) 지반침하대응 교량
KR101745548B1 (ko) 이동 가능한 교좌장치 보수용 브라켓
KR100544334B1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상승용 잭 받침장치
AU2019253822A1 (en) Levell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