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990A - 보조 전원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보조 전원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990A
KR20110099990A KR1020100019038A KR20100019038A KR20110099990A KR 20110099990 A KR20110099990 A KR 20110099990A KR 1020100019038 A KR1020100019038 A KR 1020100019038A KR 20100019038 A KR20100019038 A KR 20100019038A KR 20110099990 A KR20110099990 A KR 20110099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power supply
base station
main power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
정기
하현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9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9990A/ko
Priority to US13/040,091 priority patent/US20110217988A1/en
Publication of KR20110099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34Powe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RF 통신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 부에 주 전력을 공급하는 주 전원부, 상기 주 전원부의 전력 공급 차단 시,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 상기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 부에 공급되도록 스위칭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주 전력 공급 차단을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RF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 전원의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보조 전원이 휴대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므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에게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 전원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USING SUB POWER SOURCE}
본 발명은 보조 전원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 전원의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보조 전원이 휴대 단말기에 보조 전력을 공급하여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에게 지속적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메일,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은 기능을 비롯하여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는 데이터 및 화상까지 전달하는 멀티미디어 기능도 계속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에는 SOS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 SOS 기능은 위급 상황 발생 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추적 기능을 이용하여 긴급 센터나 등록된 발신번호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알려주어 위급 상황을 탈출하도록 한다. 이러한 SOS 기능은 안전사고 또는 범죄가 증가되는 현대 사회에 거의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추가되어 안전사고 또는 범죄 발생 시, 본인 또는 주변에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런데, 기존 SOS 기능은 휴대 단말기의 전원(배터리)이 방전되기 전 또는 전원이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되기 전에만 동작한다. 반면, 휴대 단말기의 전원이 방전되거나, 전원이 휴대 단말기에서 분리된 이후에는 기지국이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므로 SOS 기능이 제대로 동작할 수 없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 이후라도, 휴대 단말기가 지속적으로 기지국과의 연결을 유지하여 기지국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에 공급되는 주 전력이 차단된 이후라도, 휴대 단말기가 지속적으로 기지국과의 연결을 유지하여 기지국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RF 통신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 부에 주 전력을 공급하는 주 전원부, 상기 주 전원부의 전력 공급 차단 시,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 상기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 부에 공급되도록 스위칭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주 전력 공급 차단을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RF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가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주 전력 공급의 차단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보조 전력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 부에 공급되도록 스위칭 연결하는 스위칭 연결 단계 및 상기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상기 보조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 전원의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보조 전원이 휴대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므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에게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사고와 범죄가 증가하는 시대에 사고율과 범죄율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SOS 기능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휴대 단말기(210)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 이후라도 기지국과의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1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 전원의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보조 전원의 보조 전력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휴대 단말기(210)가 주기적으로 기지국에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소모되는 전류 그래프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의 주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는 것은 휴대 단말기의 전원 오프(off), 전원 방전 또는 전원 분리 등의 원인으로 인해 의도하지 않게 주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가 기지국에 전송하는 위치 정보는 휴대 단말기의 실제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기지국으로 하여금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게 할 수 있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제 위치 정보는 휴대 단말기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게 할 수 있는 신호는 휴대 단말기의 초기 부팅 시 기지국과 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제어신호(Control Signal)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SOS 기능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복수 개의 기지국(110, 120, 130) 및 상기 각 기지국의 통신 커버리지(A, B, C)를 통해 구성된다. 기지국(110)은 A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기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지국(120)은 B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기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지국(130)은 C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휴대 단말기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만약 기지국(110)에 연결된 휴대 단말기가 A 커버리지를 벗어나 B 커버리지에 진입하면, 휴대 단말기는 종래 기지국(110)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신규 기지국(120)과 연결을 시도하는데 이를 핸드 오버(Hand Over) 또는 핸드 오프(Hand Off)라 한다.
한편, 휴대 단말기(140)가 현재 기지국(120)에 연결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40)는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게 되며 기지국(120)은 상기 휴대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기(140)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상위 엔티티에 보고한다. 휴대 단말기(140)는 전력이 공급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며, 기지국(120)도 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기(140)의 위치를 업데이트 한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14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휴대 단말기(14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없고 기지국(120)은 휴대 단말기(14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40)가 위치 정보를 최종적으로 전송한 위치가 a 지점이었고,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140)가 b 지점으로 이동한 후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140)의 실제 위치는 b 지점임에도 불구하고, 기지국(120)에 보고된 휴대 단말기의 최종 위치는 a 지점이다. 따라서 기지국(120)은 휴대 단말기(140)의 최종 위치를 a 지점으로 인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최근 휴대 단말기에는 SOS 기능이 탑재되고 있는 바, 휴대 단말기(14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기지국(120)이 휴대 단말기(14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면 SOS는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특히, 휴대 단말기(140)가 B 커버리지를 벗어나 C 커버리지의 c 지점으로 이동한 경우라면, 휴대 단말기(140)의 위치에 대한 오차가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140)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 이후라도, 휴대 단말기(140)가 지속적으로 기지국과의 연결을 유지하여 기지국이 상기 휴대 단말기(14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휴대 단말기(210)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된 이후라도 기지국과의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10)가 a 지점에서 최초로 전원이 온(on)되어 기지국(120)에 연결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210)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기지국(120)은 휴대 단말기(21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기(210)의 위치를 업데이트한다.
이후, 휴대 단말기(210)가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이동한 후 휴대 단말기(210)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었다고 가정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210)는 전력 공급 차단 이후, 더 이상 자신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120)에 전송할 수 없고, 기지국(120)은 휴대 단말기(21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210)는 전력 공급 차단 이후라도 기지국(120)과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120)은 지속적으로 휴대 단말기(210)의 위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210)가 B 커버리지를 벗어나 C 커버리지에 진입한 경우에는 비록,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라도 신규 기지국(130)과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210)의 위치를 휴대 단말기(210)의 전력 공급 차단에 상관 없이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1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10)는 RF 통신부(310), GPS 모듈(320), 표시부(330), 입력부(340), 저장부(350), 주 전원부(360), 보조 전원부(370), 스위치부(380),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90)는 위치 정보 전송부(390A)와 스위치 제어부(390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RF 통신부(310)는 휴대 단말기(21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RF 통신부(3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RF 통신부(3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390)로 출력하고, 제어부(39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통신부(310)는 휴대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GPS 모듈(320)은 GPS 수신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GPS 수신기에 연결되어 구현된다. GPS 모듈(320)은 상기 GPS 수신기를 통해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결정에 필요한 GPS 신호를 획득한다. 상기 GPS 모듈(3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210)가 구비할 수도 있고,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표시부(3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330)는 휴대 단말기(21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330)는 휴대 단말기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표시 화면, 통화 화면, 설정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을 출력한다.
입력부(340)는 휴대 단말기(21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390)에 전달한다. 입력부(340)는 숫자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210)의 일측 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210)의 표시부(330)가 터치스크린만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입력부(340)가 터치스크린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3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10)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이를 위한 상기 저장부(350)는 크게 프로그램 메모리 영역과, 데이터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 영역은 휴대 단말기를 부팅 시키는 운영체제, 휴대 단말기의 대기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휴대 단말기의 기타 옵션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휴대 단말기(2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 하는 경우,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 영역은 휴대 단말기(2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외장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등을 통해서 이동 또는 복제하는 컨텐츠 및 유무선 인터넷 망의 웹 서버 등을 통해 다운로드받는 컨텐츠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 영역은 상기 외부 컨텐츠뿐만 아니라, 기타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전술한 카메라 기능에 의한 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 및 오디오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350)는 주 전원의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보조 전원이 휴대 단말기(210)에 보조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다.
주 전원부(360)는 휴대 단말기(210)의 각 부에 구동을 위한 주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 전원부(370)는 주 전원부(370)의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휴대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 전송을 위해 필요한 각 부에 보조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보조 전원부(370)는 휴대 단말기(210)에 내장 또는 외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원부(370)는 주 전원부(370)의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RF 통신부(310), GPS 모듈(320), 제어부(390)에 보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RF 통신부(310)에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이유는 휴대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함이다. 또한 GPS 모듈(320)에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이유는 휴대 단말기(210)가 상기 GPS 모듈(320)을 구비하는 경우,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GPS 모듈(320)은 수신단만을 구비할 뿐, 송신단을 별도로 구비하지는 않으므로, 수신된 GPS 위치 정보는 상기 RF 통신부(310)를 통해 전송된다. 그리고 제어부(390)에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이유는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위치 정보에 대해 신호 처리 등의 절차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스위치부(380)는 주 전력의 공급 차단 시, 보조 전력이 휴대 단말기(210)의 각 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보조 전원부와 휴대 단말기(210)의 각 부를 스위칭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부(380)는 스위치 제어 신호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보조 전원부(370)에서 발생되는 보조 전력을 휴대 단말기(210)의 필요한 각 부에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10)의 각 블록간의 신호 전달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90)는 휴대 단말기(210)의 위치 추적 기능이 설정된 경우, 기지국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9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송신 데이터 처리부와 수신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데이터 처리부는 송신되는 신호(본 발명에서는 위치 정보가 될 수 있음)를 부호화하기 위한 코더(coder)와,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기(modulator)와, 상기 변조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더는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더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 데이터 처리부는 부호화되고 변조된 신호를 RF 통신부(310)로 출력한다.
수신 데이터 처리부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와,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복조기(demodulator)와, 상기 복조된 신호를 복호화하기 위한 디코더(decod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코더는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디코더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디코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90)는 위치 정보 전송부(390A)와 스위치 제어부(390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전송부(390A)는 휴대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인접한 기지국에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휴대 단말기(210)의 실제 위치 정보 뿐만 아니라 기지국으로 하여금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게 할 수 있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제 위치 정보는 휴대 단말기(210)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210)의 위치를 파악하게 할 수 있는 신호는 휴대 단말기의 초기 부팅 시 기지국과 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제어신호(Control Signal)일 수 있다. 위치 정보 전송부(390A)는 상기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위치 정보 전송부(390A)는 주 전원부(360)의 주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 하더라도, 보조 전원부(370)를 통해 보조 전력을 공급받으므로 계속하여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정보 전송부(390A)는 보조 전원부(370)로부터 보조 전력 공급 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주기를 종래 설정된 기간보다 연장할 수도 있다.
스위치 제어부(390B)는 주 전원부(360)의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보조 전원부(370)가 휴대 단말기(210)의 필요한 각 부에 스위칭 연결되어 보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SWC)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스위치 제어 신호를 수신한 스위치부(380)는 보조 전원부(370)와 휴대 단말기(210)의 각 부를 스위칭 연결하여 보조 전력을 상기 각 부에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 전원의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보조 전원의 보조 전력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제어부(390)는 S410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210)의 전원이 온(on)되는 것을 감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90)는 휴대 단말기(210)의 위치 추적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위치 추적 기능 설정 시 이하의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90)는 S420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210)의 각 부가 주 전원부(360)를 통해 주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390)는 S430 단계에서 주 전원부(390)의 주 전력 공급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210)의 주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는 것은 휴대 단말기(210)의 전원 방전 또는 전원 분리 등으로 인하여 의도하지 않게 주 전력 공급이 차단되었음을 의미한다. 만약, 주 전원부(390)의 주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가 아니라면, 제어부(390)는 S420 단계로 복귀하여 주 전원부(390)에서 공급되는 주 전력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21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주 전원부(390)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스위치 제어부(390B)는 S430 단계에서 주 전력 공급의 차단을 감지한다. 그러면 스위치 제어부(390B)는 S440 단계로 진행하여, 보조 전원부(370)가 휴대 단말기(210)의 필요한 각 부에 스위칭 연결되어 보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스위치부(380)는 상기 발생한 스위치 제어 신호를 감지하고, S450 단계에서 보조 전원부(370)와 휴대 단말기(210)의 각 부를 스위칭 연결하여 보조 전력을 상기 각 부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원부(370)는 주 전원부(360)의 전력 공급 차단 시, RF 통신부(310), GPS 모듈(320), 제어부(390)에 보조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면 위치 정보 전송부(390A)는 S460 단계에서, 비록 주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었다 하더라도 보조 전력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전송부(390A)는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해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주기를 종래 설정된 기간보다 연장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39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S470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통신 중인 기지국과 연결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통신 중인 기지국과 연결이 해제된 것이 아니라면 제어부(390)부는 S470 단계로 진행하여 보조 전력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반면, 통신 중인 기지국과 연결이 해제되었다면 제어부(390)는 S480 단계로 진행하여 신규 기지국으로의 연결을 시도한다. 만약, 신규 기지국으로의 연결이 성공하였으면, 제어부(390)는 S460 단계로 복귀하여 휴대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기지국에 전송한다.
도 5는 휴대 단말기(210)가 주기적으로 기지국에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소모되는 전류 그래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10)가 자신의 위치를 기지국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주기적(472ms)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해야 한다. 위치 정보 전송 시 소모되는 전류는 약 90mA 이며, 그 이외의 시간에서는 약 3mA의 전류만이 소모된다.
상기 도 5에서는 위치 정보 전송에 소모되는 전류는 극히 소량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210)가 주 전원부(360)보다 전력 용량이 작은 보조 전원부(370)를 통하여 보조 전력을 공급받는다 하더라도, 상당한 시간동안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주기를 연장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210)가 보조 전력만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기간은 더 연장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 전원의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보조 전원이 휴대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므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에게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120, 130 : 기지국
140 : 휴대 단말기(종래)
210 : 휴대 단말기(본 발명)
<휴대단말기>
310 : RF 통신부 320 : GPS 모듈 330 : 표시부
340 : 입력부 350 : 저장부 360 : 주 전원부
370 : 보조 전원부 380 : 스위치부 390 : 제어부
390A : 위치 정보 전송부
390B : 스위치 제어부

Claims (9)

  1.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RF 통신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 부에 주 전력을 공급하는 주 전원부;
    상기 주 전원부의 전력 공급 차단 시, 보조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부;
    상기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 부에 공급되도록 스위칭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주 전력 공급 차단을 감지하여 상기 스위치부의 스위칭 연결을 제어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RF 통신부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신호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RF 통신부, 상기 제어부에 공급되도록 스위칭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RF 통신부, 상기 GPS 모듈, 상기 제어부에 공급되도록 스위칭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주기를 미리 설정된 주기 이상으로 연장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휴대 단말기가 기지국에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 전력 공급의 차단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보조 전력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각 부에 공급되도록 스위칭 연결하는 스위칭 연결 단계; 및
    상기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상기 보조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전송 단계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PS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연결 단계는,
    상기 주 전력 공급 차단 시, 상기 보조 전력이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각 부에만 공급되도록 스위칭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주기를 미리 설정된 주기 이상으로 연장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전송 방법.









KR1020100019038A 2010-03-03 2010-03-03 보조 전원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100999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038A KR20110099990A (ko) 2010-03-03 2010-03-03 보조 전원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13/040,091 US20110217988A1 (en) 2010-03-03 2011-03-03 Mobile device having auxiliary power supply unit for transmission of location information and relate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038A KR20110099990A (ko) 2010-03-03 2010-03-03 보조 전원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990A true KR20110099990A (ko) 2011-09-09

Family

ID=4453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038A KR20110099990A (ko) 2010-03-03 2010-03-03 보조 전원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217988A1 (ko)
KR (1) KR201100999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9303B2 (en) 2012-04-23 2014-09-30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wireless device's location after shutdow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2443B4 (de) * 1999-05-10 2009-05-28 Panasonic Corp., Kadoma Notfallmeldegerät für ein Fahrzeug
US7103365B2 (en) * 2001-02-21 2006-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n alternate communication mechanism in case of a failur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747371B2 (en) * 2002-04-17 2004-06-08 Micrologic, Inc. Method of regulating power consumption by electronic equipment containing integral rechargeable backup batteries and used in systems where the equipment operates from a vehicle engine battery and the like, and improved apparatus therefor
US8031067B2 (en) * 2005-03-09 2011-10-04 Stephen Jay Greenberg Tracking system and portable virtual fence
GB2428351B (en) * 2005-07-12 2008-03-12 Siemens Ag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data from a mobile terminal to a base station in a network
GB2455451B (en) * 2006-08-29 2011-10-12 Satellite Tracking Of People Llc Active wireless tag and auxiliary device for use with monitoring center for tracking individuals or objects
EP1918733A1 (en) * 2006-10-30 2008-05-07 Paradigm Services Limited Position locating device and position determining system
US8467804B2 (en) * 2007-10-16 2013-06-18 Sony Corporation Mobile terminals and methods for regulating power-on/off of a GPS positioning circuit
US8478311B2 (en) * 2008-03-24 2013-07-02 At&T Mobility Ii Llc Intelligent forwarding of short message service and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essages
US20100124896A1 (en) * 2008-11-20 2010-05-20 Kumar Dinesh J Dual battery mobile phone
CN107071895A (zh) * 2009-08-17 2017-08-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止定位进程的方法与装置
US8325061B2 (en) * 2010-01-07 2012-12-04 Emilcott Associat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environmental measurements and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17988A1 (en) 201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103B1 (ko) 통신단말 및 위치감시방법
US5710986A (en) Dual mod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selectively designating analog or digital mode
EP1762011B1 (en) Disguised power-off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972639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移動体通信方法
TWI414175B (zh) 用於在可攜式通信裝置中之省電方法及可攜式通信裝置
JP4651697B2 (ja) 移動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385252B2 (en)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87748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PLMN list management in mobile terminal
KR100547824B1 (ko) 블루투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구조요청방법
CN1909696A (zh) 移动通信系统和移动终端设备
EP190157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luetooth in portable terminal
US201101195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portable terminal
KR20160030508A (ko) 셀룰러 운영 시스템들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 상에서 필수 기능들의 빠른 가용성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20070707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158489B2 (ja) 無線端末装置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110099990A (ko) 보조 전원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0422173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複合携帯端末
JPH0621875A (ja) 携帯形移動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着信報知補助装置
KR100661371B1 (ko) 이동 단말기의 거짓 전원 오프방법
JP200426047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4591295B2 (ja) 移動体通信の待ち受け方式と移動体通信装置
JP2001156707A (ja) 移動通信装置
US90948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in portable terminal
JP4962479B2 (ja) 送信電力制御機能を備えた無線通信機
KR2008005683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