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940A -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940A
KR20110099940A KR1020100018963A KR20100018963A KR20110099940A KR 20110099940 A KR20110099940 A KR 20110099940A KR 1020100018963 A KR1020100018963 A KR 1020100018963A KR 20100018963 A KR20100018963 A KR 20100018963A KR 20110099940 A KR20110099940 A KR 20110099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emergency
board
voip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167B1 (ko
Inventor
이주환
Original Assignee
이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환 filed Critical 이주환
Priority to KR102010001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1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99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은, 고속도로 터널내의 소화전함체 및 피난연락갱내에 설치되며 고속도로 터널에서 유고상황 발생시 이더넷신호를 이용하여 고속도로 터널의 관리동에 위치한 운영센터와 음성정보를 교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와, 상기 터널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의 주위에 일대일대응되어 위치하며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의 통화상태 및 운영센터 호출상태를 지정된 문안으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긴급전화 안내표시장치와, 운영센터에 설치되는 긴급전화 접수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와 연결되어 동일한 이더넷통신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외부 및 내부 전화망과 연계가 가능한 VoIP 긴급전화기 주제어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 중 피난연락갱에 설치된 VoIP 긴급전화기를 상기 이더넷통신네트워크와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무선랜 브릿지를 포함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과;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에게 유고상황을 포함하는 터널내 교통상황정보를 제공하는 터널교통관리시스템(TTMS)과; 터널내에 설치된 CCTV카메라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운영센터의 운영자에게 유고상황이 발생한 터널내 소정위치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터널내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정보처리시스템;및 유고상황 발생시 터널내에 설치된 비상방송용 무선스피커를 통해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에게 유고상황을 알릴 뿐만 아니라 터널외부와 터널 내부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터널무선중계통합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널내에 형성된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자동다이얼링 기능과 자가진단기능을 수행하는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여 유고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신속하게 고속도로 터널의 관리동에 위치한 운영센터와 통신함으로써 응급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긴급전화기의 고장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동시에 설치비와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 Disaster Prevention and Management System having VoIP Emergency-Telephone System In Tunnel }
본 발명은 고속도로 터널내에 설치된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내에 형성된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자동다이얼링 기능과 자가진단기능을 수행하는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여 유고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신속하게 터널의 관리동에 위치한 운영센터와 통신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긴급전화기의 고장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의 터널에 설치되는 긴급전화시스템은 평상시에는 사용되지 않다가도 교통사고 및 응급상황 발생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화기의 작동상황을 수시로 점검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 터널의 관리동에 위치한 운영센터와 신속하게 통신이 가능하게 하여 유고상황 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긴급전화시스템은 음성통신망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터널내에 설치된 각종 시스템에 연결된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지 못하여 유고상황 발생시 다른 시스템과 연동되는 효과적인 대처가 어렵고 다수의 통신선으로 인해 설치비와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터널내에 형성되어 있는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고상황 발생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뿐만 아니라 설치비와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도 활용도가 높은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터널내에 형성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하여 고속도로 터널 관리동의 운영센터와 음성정보를 교환하는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터널내에 설치된 긴급전화기의 송수화기가 훅 오프된 경우에 자동으로 운영센터와 음성통화가 연결되는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여 유고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신속하게 관리동의 운영센터와 통신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자가진단기능을 수행하는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여 긴급전화기의 고장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은, 고속도로 터널내의 소화전함체 및 피난연락갱내에 설치되며 고속도로 터널에서 유고상황 발생시 이더넷신호를 이용하여 고속도로 터널의 관리동에 위치한 운영센터와 음성정보를 교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와, 상기 터널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의 주위에 일대일대응되어 위치하며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의 통화상태 및 운영센터 호출상태를 지정된 문안으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긴급전화 안내표시장치와, 운영센터에 설치되는 긴급전화 접수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와 연결되어 동일한 이더넷통신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외부 및 내부 전화망과 연계가 가능한 VoIP 긴급전화기 주제어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 중 피난연락갱에 설치된 VoIP 긴급전화기를 상기 이더넷통신네트워크와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무선랜 브릿지를 포함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과;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에게 유고상황을 포함하는 터널내 교통상황정보를 제공하는 터널교통관리시스템(TTMS)과; 터널내에 설치된 CCTV카메라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운영센터의 운영자에게 유고상황이 발생한 터널내 소정위치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터널내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정보처리시스템; 및 유고상황 발생시 터널내에 설치된 비상방송용 무선스피커를 통해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에게 유고상황을 알릴 뿐만 아니라 터널외부와 터널 내부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터널무선중계통합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널내에 형성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하여 고속도로 터널 관리동의 운영센터와 음성정보를 교환하는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기 때문에 설치비와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유고상황발생시 다른 시스템과 연계되어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한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널내에 설치된 긴급전화기의 송수화기가 훅 오프된 경우에 자동으로 운영센터와 음성통화가 연결되는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여 유고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신속하게 관리동의 운영센터와 통신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가진단기능을 수행하는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여 긴급전화기의 고장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세부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기에 포함된 통신보드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기에 포함된 메인보드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기에 포함된 제어보드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기에 포함된 전원공급보드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1)은, 고속도로 터널에서 유고상황 발생시 VoIP 긴급전화기(11)가 이더넷신호를 이용하여 고속도로 터널의 관리동에 위치한 운영센터와 음성정보를 교환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10)과;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에게 유고상황을 포함하는 터널내 교통상황정보를 제공하는 터널교통관리시스템(TTMS)(20)과; 터널내에 설치된 CCTV카메라(31)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운영센터의 운영자에게 유고상황이 발생한 터널내 소정위치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터널내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정보처리시스템(30); 및 유고상황 발생시 터널내에 설치된 비상방송용 무선스피커(43)를 통해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에게 유고상황을 알릴 뿐만 아니라 터널외부와 터널 내부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터널무선중계통합시스템(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VoIP 긴급전화시스템(10)은, 터널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11)와,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11)의 통화상태 및 운영센터 호출상태를 지정된 문안으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긴급전화 안내표시장치(12)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11)와 연결되어 동일한 이더넷통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VoIP 긴급전화기 주제어장치(13),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긴급전화기(11) 중 피난연락갱에 설치된 긴급전화기를 상기 이더넷통신네트워크와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무선랜 브릿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터널교통관리시스템(TTMS)(20)은,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을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차량감지기(21-1)로부터 차량속도 및 교통량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터널내 교통상황 및 유고상황을 포함하는 터널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VDS서버(21)와, 상기 VDS서버(21)로부터 터널상태데이터를 수신하여 터널내에 설치된 전광판(22-1)에 운영자가 지정하는 문안 및 터널내 주행속도를 포함하는 다양한 문구를 표시하는 VMS서버(22), 및 터널 운영센터의 운영자가 지정 하는 차로에 대한 이용정보를 터널내 설치된 차로정보표시기(23-1)에 표시하는 LCS서버(23)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정보처리시스템(30)은, 터널내의 소정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CCTV카메라(31)와, 상기 CCTV카메라(31)로부터 수집된 영상정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영상인코더(32)와, 상기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서버(33)와, 상기 영상정보저장서버(33)로부터 저장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정보로 변환하는 디지털영상디코더(34), 및 운영센터내에 위치하며 상기 디지털영상디코더를 통하여 변환된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영상정보표출장치(35)를 포함한다.
상기 터널무선중계통합시스템(40)은, 외부안테나로부터 수신된 RF신호를 광신호로 변환시켜 터널내로 송출하는 도너부(41)와; 상기 도너부(41)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RF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비상방송용 무선스피커(43)에 전송하는 리모트부(42);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1)은, 방재관리 및 네트워크 관리 프로그램을 탑재한 메인 응급방재관리서버(50)를 더 포함하여 유고상황 발생시 상기 VoIP 긴급전화시스템(10)과 상기 터널교통관리시스템(TTMS)(20)과 상기 영상정보처리시스템(30) 및 상기 터널무선중계통합시스템(40)을 상호 연동시켜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도록 운영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메인 방재 관리서버(50)는 상기 터널교통관리시스템(20)의 VDS서버(21), VMS서버(22), 및 LCS서버(23)와 통합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세부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시스템(10)은, 터널내의 소화전함체 및 피난연락갱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11)와; 상기 터널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11)의 주위에 일대일대응되어 위치하며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11)의 통화상태 및 운영센터 호출상태를 지정된 문안으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긴급전화 안내표시장치(12)와; 운영센터에 설치되는 긴급전화 접수대(15)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11)와 연결되어 동일한 이더넷통신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외부 및 내부 전화망과 연계가 가능한 VoIP 긴급전화기 주제어장치(13);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긴급전화기(11) 중 피난연락갱에 설치된 긴급전화기를 상기 이더넷통신네트워크와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무선랜 브릿지(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더넷통신네트워크는 터널내 데이터통신망을 구성하기 위하여 터널내에 물리적으로 설치된 광케이블, 광스위치, 및 유티피케이블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11) 중 어느 하나의 송수화기가 방치될 경우 자동으로 절체가 가능하여 다른 VoIP 긴급전화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VoIP 긴급전화기 주제어장치(13)는, 상기 이더넷통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11)와 상기 운영센터의 긴급전화접수대(15), 및 상기 무선랜브릿지(14) 사이에서 이더넷신호를 이용하여 음성통화교환기능 및 데이터 송수신기능을 제공하고 외부 및 내부 전화망과 연계되는 VoIP 주 교환기(13-1)와; 상기 VoIP 주 교환기(13-1)를 통해 상기 이더넷통신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11)의 진단상태 및 통화이력을 조회하고 상기 긴급전화 안내표시장치(12)의 문구를 지정된 문구로 변환하는 운영컴퓨터(13-2); 및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11)와 상기 운영컴퓨터(13-2) 상호간에 송수신되는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의 상태정보를 이더넷신호와 시리얼신호로 상호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장치(1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더넷통신네트워크는 도 1의 상기 터널교통관리시스템(20)과 상기 영상정보처리시스템(30) 및 상기 터널무선중계통합시스템(40)과 연결되기 때문에 유고상황발생시 운영센터에서 상기 각 시스템을 연계하여 효과적으로 대처가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VoIP 긴급전화시스템(10)을 통해 터널내에 설치된 VoIP 긴급전화기(11)의 훅 오프 상태정보가 VoIP 긴급전화시스템(10)의 주제어장치(13)를 통해 고속도로 터널의 관리동에 위치한 운영센터의 메인 방재관리 서버(50)로 전송되면, 상기 영상정보처리시스템(30)에 의하여 상기 훅 오프 상태정보가 발생한 VoIP 긴급전화기(11) 주변의 CCTV카메라(31)에서 습득한 영상정보가 운영센터내에 위치한 영상 표출장치(35)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어 유고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터널내에 형성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하여 고속도로 터널 관리동의 운영센터와 음성정보를 교환하는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기 때문에 설치비와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유고상황발생시 다른 시스템과 연계되어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기(11)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기(11)는, 통신보드(100)와 메인보드(200)와 제어보드(300)와 전원공급보드(400) 및 이더넷 변환보드(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신보드(100)는 이더넷 신호를 이용하여 관리동의 운영센터와 음성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메인보드(200)는 송수화기의 훅 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훅 오프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시리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훅 오프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보드(100)를 통하여 긴급전화시스템의 운영컴퓨터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보드(300)는 상기 통신보드(100)와 상기 메인보드(200)를 제어하여 상기 송수화기가 훅 오프된 경우에 상기 관리동의 운영센터로 자동으로 다이얼링 되도록 하고, 상기 전원공급보드(400)는 상기 통신보드(100)와 상기 메인보드(200) 및 상기 제어보드(300)에 상응하는 정상 동작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이더넷 변환보드(500)는 상기 메인보드(200)에서 생성된 시리얼 신호를 이더넷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보드(100)는 상기 메인보드(200)를 통하여 상기 제어보드(300)와 연결되고, 또한, 상기 통신보드(100)와 상기 제어보드(300) 모두 상기 메인보드(200)를 통하여 동시에 동작전원이 공급된다.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기에 포함되는 통신보드(100), 메인보드(200), 제어보드(300)및 전원공급보드(400)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기(11)는, 이더넷 신호를 이용하여 관리동의 운영센터와 음성정보를 교환하는 통신보드(100)와; 송수화기의 훅 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훅 오프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시리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훅 오프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보드(100)를 통하여 긴급전화시스템의 운영컴퓨터로 전송하는 메인보드(200)와; 상기 송수화기가 훅 오프된 경우에 상기 관리동의 운영센터로 자동으로 다이얼링 하도록 상기 통신보드(100)와 상기 메인보드(200)를 제어하는 제어보드(300); 및 상기 통신보드(100)와 상기 메인보드(200) 및 상기 프로세스 제어보드(300)에 상응하는 정상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보드(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 긴급전화기(11)는 상기 메인보드(200)에서 생성된 시리얼 신호를 이더넷 신호로 변환하는 이더넷 변환보드(500)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더넷 변환보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더넷 변환보드는 RS-232 프로토콜을 TCP/IP 프로토콜로 변환시키는 게이트웨이로서, RS-232 시리얼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긴급전화기를 이더넷 신호를 이용하여 TCP/IP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원격측정, 원격관리,및 원격제어를 가능케 한다.
즉, 상기 이더넷 변환보드는 프로토콜 컨버터로써 시리얼 모듈이 전송한 시리얼 데이터 신호를 TCP/IP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TCP/IP 데이터 신호를 시리얼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시리얼 모듈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VoIP를 이용한 긴급전화기(11)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보드(100)는, 이더넷 신호를 이용한 송수신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송수신 제어부(110)와, 긴급전화시스템의 운영컴퓨터와 메인보드(200)의 이더넷 신호를 교환하는 이더넷 브릿지(120)와, 음성정보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서로 변환하는 모뎀부(130), 및 상기 전원공급부(400)에서 공급된 동작전원을 상기 송수신 제어부(110)와 상기 이더넷 브릿지(120) 및 상기 모뎀부(130)로 공급하는 제 1 파워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송수신 제어부(110)는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이더넷 신호의 송수신 프로세스를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이더넷 브릿지(120)는 상기 메인보드(200)에서 입력되는 시리얼 신호와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이더넷 신호를 각각 긴급전화시스템의 운영컴퓨터 및 관리동의 운영센터와 교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보드(100)는 상기 메인보드(200)의 통신보드 이더넷 연결커넥터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더넷 신호를 상기 이더넷 브릿지(120)를 통하여 긴급전화시스템의 운영컴퓨터 및 관리동의 운영센터와 교환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통신보드는 상기 메인보드(200)의 통신보드 연결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제어보드(300)의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보드(200)는, 통신보드 연결컨넥터와 통신보드 이더넷 연결커넥터와 제어보드 연결컨넥터와 상기 송수화기의 연결컨넥터와 상기 송수화기의 훅 온/오프 스위치 연결컨넥터와 터널 또는 야간통화시 안내문구 식별을 위한 램프용 연결컨넥터와 긴급전화기가 실장되는 함체 도어의 온/오프 스위치 연결컨넥터 및 긴급전화 안내표시장치 연결컨넥터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210)와, 상기 송수화기의 통화감도를 증폭하는 통화감도증폭부(220)와, 긴급전화기의 상황에 상응하는 음성멘트를 저장하여 상기 음성멘트를 상황별로 송수화기로 전송하는 음성메시지 송출부(230),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210)와 상기 전원공급보드(400)를 점검하여 자가진단정보를 생성하는 자가진단부(240)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메인보드(200)는 긴급전화 안내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안내표시장치 통신부(250)와, 상기 관리동에 있는 운영센터에서 호출하였을 경우에 호출신호에 대한 검출 및 응답을 제어하는 링검출부(260)와, 아날로그 신호로 감지되는 동작전원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전원신호변환기(270), 및 상기 이더넷 변환부(50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 2 파워부(28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보드(100)는 상기 메인보드(200)의 통신보드 연결컨넥터 및 제어보드 연결컨넥터에 의하여 상기 제어보드(300)와 연결되고, 상기 통신보드(100)와 상기 제어보드(300)는 상기 각각의 연결컨넥터에 의하여 제어신호뿐만 아니라 상기 전원공급보드(400)으로부터 공급된 동작전원을 공급받는다.
한편, 상기 메인보드(200)의 송수화기 연결커넥터로 입력되는 음성정보와 상기 메인보드(200)에서 생성되는 시리얼 신호는 상기 통신보드 이더넷 연결커넥터를 통하여 상기 통신보드(100)의 이더넷 브리지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보드(300)는,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자가진단정보와 관리동에 있는 운영센터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명령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자동다이얼링 프로그램과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및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된 자동다이얼링 프로그램과 자가진단 프로그램에 의하여 긴급전화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RAM,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는 EPROM, 상기 제어부는 CPU를 가리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보드(300)는, 관리동에 있는 운영센터의 자가진단 요청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인보드(200)의 자가진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된 각 연결커넥터를 순차적으로 점검하고 상기 동작전원신호변환기에서 발생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점검결과 및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자가진단정보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자가진단정보를 상기 이더넷 변환보드를 통하여 이더넷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운영센터로 전송하고, 또한, 상기 제어보드 (300)는, 관리동에 있는 운영센터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긴급전화시스템의 운영컴퓨터로부터 문안 및 조도가 변경되면 상기 메인보드에 포함된 상기 안내표시장치 통신부(250)를 제어하여 긴급전화 안내표시장치의 문안 및 조도를 변경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보드(400)는, 상기 제어보드로 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동작전원신호변환기의 디지털신호에 대한 분석결과에 의하여 자가충전을 하는 자가충전기능과 야간에 동작전원을 차단하는 절전기능을 수행하고, 직류전원과 배터리전원 및 태양열전원을 공급전원으로 이용하며, 상기 각 공급전원의 정상 동작전원을 검출하는 전원검출부(410)와, 상기 전원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정상 동작전원을 상기 통신보드(100)와 상기 메인보드(200) 및 상기 제어보드(300)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20)와, 상기 전원검출부(410)에 공급되는 각 공급전원의 작동상태를 LED로 표시하는 전원상태지시부(430)와, 상기 배터리전원의 과충전과 방전을 방지하는 배터리제어부(440), 및 전원공급보드(400)의 각 구성요소를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전원제어부(45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터널내에 형성된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하여 고속도로 터널 관리동의 운영센터와 음성정보를 교환하는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기 때문에 설치비와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유고상황발생시 다른 시스템과 연계되어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한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널내에 설치된 긴급전화기의 송수화기가 훅 오프된 경우에 자동으로 운영센터와 음성통화가 연결되는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여 유고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신속하게 관리동의 운영센터와 통신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가진단기능을 수행하는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여 긴급전화기의 고장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VoIP 긴급전화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10 : VoIP 긴급전화시스템
11 : VoIP긴급전화기 12 : 긴접전화 안내표시장치
13 : VoIP 긴급전화기 주제어장치 14 : 무선랜 브릿지
15 : 긴급전화 접수대 20 : 터널교통관리시스템
21 : VDS서버 21-1 : 차량감지기(VDS)
22 : VMS서버 22-1 : 전광판(VMS)
23 : LCS서버 23-1 : 차로정보표시기(LCS)
30 : 영상정보처리시스템 31 : CCTV카메라
32 : 디지털영상 인코더 33 : 영상정보저장서버
34 : 디지털영상 디코더 40 : 터널무선중계통합시스템
41 : 도너부 42 : 리모트부
43 : 비상방송용 무선스피커 50 : 메인 응급방재관리서버
100 : 통신보드 110 : 송수신 제어부
120 : 이더넷브릿지 130 : 모뎀부
140 : 제1파워부 200 : 메인보드
210 : 인터페이스부 220 : 통화감도증폭부
230 : 음성메시지 송출부 240 : 자가진단부
250 : 안내표시장치 통신부 260 : 링검출부
270 : 동작전원신호변환기 280 : 제2파워부
300 : 제어보드 310 : 데이터 저장부
320 : 프로그램 저장부 330 : 제어부
400 : 전원공급보드 410 : 전원검출부
420 : 전원공급부 430 : 전원상태지시부
440 : 배터리제어부 450 : 전원제어부
500 : 이더넷변환보드

Claims (19)

  1. 고속도로 터널내의 소화전함체 및 피난연락갱내에 설치되며 고속도로 터널에서 유고상황 발생시 이더넷신호를 이용하여 고속도로 터널의 관리동에 위치한 운영센터와 음성정보를 교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와, 상기 터널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의 주위에 일대일대응되어 위치하며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의 통화상태 및 운영센터 호출상태를 지정된 문안으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긴급전화 안내표시장치와, 운영센터에 설치되는 긴급전화 접수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와 연결되어 동일한 이더넷통신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외부 및 내부 전화망과 연계가 가능한 VoIP 긴급전화기 주제어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 중 피난연락갱에 설치된 VoIP 긴급전화기를 상기 이더넷통신네트워크와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무선랜 브릿지를 포함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과;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에게 유고상황을 포함하는 터널내 교통상황정보를 제공하는 터널교통관리시스템(TTMS)과;
    터널내에 설치된 CCTV카메라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운영센터의 운영자에게 유고상황이 발생한 터널내 소정위치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터널내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영상정보처리시스템;및
    유고상황 발생시 터널내에 설치된 비상방송용 무선스피커를 통해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에게 유고상황을 알릴 뿐만 아니라 터널외부와 터널 내부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터널무선중계통합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VoIP 긴급전화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이더넷통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와 상기 운영센터의 긴급전화접수대, 및 상기 무선랜브릿지 사이에서 이더넷신호를 이용하여 음성통화교환기능 및 데이터 송수신기능을 제공하고 외부 및 내부 전화망과 연계되는 VoIP 주 교환기와;
    상기 VoIP 주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더넷통신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의 진단상태 및 통화이력을 조회하고 상기 긴급전화 안내표시장치의 문구를 지정된 문구로 변환하는 운영컴퓨터; 및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와 상기 운영컴퓨터 상호간에 송수신되는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의 상태정보를 이더넷신호와 시리얼신호로 상호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VoIP 긴급전화기는,
    이더넷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센터와 음성정보를 교환하는 통신보드와, 송수화기의 훅 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훅 오프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시리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훅 오프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보드를 통하여 긴급전화시스템의 운영컴퓨터로 전송하는 메인보드와, 상기 송수화기가 훅 오프된 경우에 상기 운영센터로 자동으로 다이얼링 하도록 상기 통신보드와 상기 메인 보드를 제어하는 제어보드와, 상기 통신보드와 상기 메인보드 및 상기 제어보드에 상응하는 정상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보드, 및 상기 메인보드에서 생성된 시리얼 신호를 이더넷 신호로 변환하는 이더넷 변환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신보드는,
    이더넷 신호를 이용한 송수신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송수신 제어부와, 상기 긴급전화시스템의 운영컴퓨터와 상기 메인보드의 이더넷 신호를 교환하는 이더넷 브릿지와, 음성정보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서로 변환하는 모뎀부, 및 상기 전원공급보드에서 공급된 동작전원을 상기 송수신 제어부와 상기 이더넷 브릿지 및 상기 모뎀부로 공급하는 제 1 파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보드는,
    직류전원과 배터리전원 및 태양열전원을 공급전원으로 이용하며, 상기 각 공급전원의 정상 동작전원을 검출하는 전원검출부와, 상기 전원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정상 동작전원을 상기 통신보드와 상기 메인보드 및 상기 제어보드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검출부에 공급되는 각 공급전원의 작동상태를 LED로 표시하는 전원상태지시부와, 상기 배터리전원의 과충전과 방전을 방지하는 배터리제어부, 및 전원공급보드의 각 구성요소를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통신보드 연결컨넥터와 통신보드 이더넷 연결컨넥터와 제어보드 연결컨넥터와 송수화기 연결컨넥터와 상기 송수화기의 훅 온/오프 스위치 연결컨넥터와 터널 또는 야간통화시 안내문구 식별을 위한 램프용 연결컨넥터와 긴급전화기가 실장되는 함체 도어의 온/오프 스위치 연결컨넥터 및 긴급전화 안내표시장치 연결컨넥터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송수화기의 통화감도를 증폭하는 통화감도증폭부와, 긴급전화기의 상황에 상응하는 음성멘트를 저장하여 상기 음성멘트를 상황별로 송수화기로 전송하는 음성메시지 송출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원공급보드를 점검하여 자가진단정보를 생성하는 자가진단부와, 상기 긴급전화 안내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안내표시장치 통신부와, 상기 관리동에 있는 운영센터에서 호출하였을 경우에 호출신호에 대한 검출 및 응답을 제어하는 링검출부와, 아날로그 신호로 감지되는 동작전원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전원신호변환기, 및 상기 이더넷 변환보드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 2 파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자가진단정보와 관리동에 있는 운영센터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명령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자동다이얼링 프로그램과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및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된 자동다이얼링 프로그램과 자가진단 프로그램에 의하여 긴급전화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운영센터의 자가진단 요청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인보드의 자가진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된 각 연결커넥터를 순차적으로 점검하고 상기 동작전원신호변환기에서 발생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점검결과 및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자가진단정보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자가진단정보를 상기 이더넷 변환보드를 통하여 이더넷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운영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보드는,
    상기 제어보드로 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동작전원신호변환기의 디지털신호에 대한 분석결과에 의하여 자가충전을 하는 자가충전기능과 야간에 동작전원을 차단하는 절전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널교통관리시스템(TTMS)은,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을 주기적으로 감지하는 차량감지기로부터 차량속도 및 교통량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터널내 교통상황 및 유고상황을 포함하는 터널상태데이터를 생성하는 VDS서버와;
    상기 VDS서버로부터 터널상태데이터를 수신하여 터널내에 설치된 전광판에 운영자가 지정하는 문안 및 터널내 주행속도를 포함하는 다양한 문구를 표시하는 VMS서버; 및
    터널 운영센터의 운영자가 지정 하는 차로에 대한 이용정보를 터널내 설치된 차로정보표시기에 표시하는 LCS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처리시스템은,
    터널내의 소정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CCTV카메라와;
    상기 CCTV카메라로부터 수집된 영상정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영상인코더와;
    상기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영상정보저장서버와;
    상기 영상정보저장서버로부터 저장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정보로 변환하는 디지털영상디코더; 및
    운영센터내에 위치하며 상기 디지털영상 디코더를 통하여 변환된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영상정보표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터널무선중계통합시스템은,
    외부안테나로부터 수신된 RF신호를 광신호로 변환시켜 터널내로 송출하는 도너부와;
    상기 도너부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RF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비상방송용 무선스피커에 전송하는 리모트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12. 고속도로 터널내의 소화전함체 및 피난연락갱내에 설치되며 고속도로 터널에서 유고상황 발생시 이더넷신호를 이용하여 고속도로 터널의 관리동에 위치한 운영센터와 음성정보를 교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와;
    상기 터널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의 주위에 일대일대응되어 위치하며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의 통화상태 및 운영센터 호출상태를 지정된 문안으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긴급전화 안내표시장치와;
    운영센터에 설치되는 긴급전화 접수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와 연결되어 동일한 이더넷통신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외부 및 내부 전화망과 연계가 가능한 VoIP 긴급전화기 주제어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VoIP 긴급전화기 중 피난연락갱에 설치된 VoIP 긴급전화기를 상기 이더넷통신네트워크와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무선랜 브릿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VoIP 긴급전화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이더넷통신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와 상기 운영센터의 긴급전화접수대, 및 상기 무선랜브릿지 사이에서 이더넷신호를 이용하여 음성통화교환기능 및 데이터 송수신기능을 제공하고 외부 및 내부 전화망과 연계되는 VoIP 주 교환기와;
    상기 VoIP 주 교환기를 통해 상기 이더넷통신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의 진단상태 및 통화이력을 조회하고 상기 긴급전화 안내표시장치의 문구를 지정된 문구로 변환하는 운영컴퓨터; 및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와 상기 운영컴퓨터 상호간에 송수신되는 상기 각 VoIP 긴급전화기의 상태정보를 이더넷신호와 시리얼신호로 상호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
  14. 청구항 12 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VoIP 긴급전화기는,
    이더넷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센터와 음성정보를 교환하는 통신보드와, 송수화기의 훅 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훅 오프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시리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훅 오프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보드를 통하여 긴급전화시스템의 운영컴퓨터로 전송하는 메인보드와, 상기 송수화기가 훅 오프된 경우에 상기 운영센터로 자동으로 다이얼링 하도록 상기 통신보드와 상기 메인 보드를 제어하는 제어보드와, 상기 통신보드와 상기 메인보드 및 상기 제어보드에 상응하는 정상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보드, 및 상기 메인보드에서 생성된 시리얼 신호를 이더넷 신호로 변환하는 이더넷 변환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통신보드는,
    이더넷 신호를 이용한 송수신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송수신 제어부와, 상기 긴급전화시스템의 운영컴퓨터와 상기 메인보드의 이더넷 신호를 교환하는 이더넷 브릿지와, 음성정보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서로 변환하는 모뎀부, 및 상기 전원공급보드에서 공급된 동작전원을 상기 송수신 제어부와 상기 이더넷 브릿지 및 상기 모뎀부로 공급하는 제 1 파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보드는,
    직류전원과 배터리전원 및 태양열전원을 공급전원으로 이용하며, 상기 각 공급전원의 정상 동작전원을 검출하는 전원검출부와, 상기 전원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정상 동작전원을 상기 통신보드와 상기 메인보드 및 상기 제어보드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검출부에 공급되는 각 공급전원의 작동상태를 LED로 표시하는 전원상태지시부와, 상기 배터리전원의 과충전과 방전을 방지하는 배터리제어부, 및 전원공급보드의 각 구성요소를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는,
    통신보드 연결컨넥터와 통신보드 이더넷 연결컨넥터와 제어보드 연결컨넥터와 송수화기 연결컨넥터와 상기 송수화기의 훅 온/오프 스위치 연결컨넥터와 터널 또는 야간통화시 안내문구 식별을 위한 램프용 연결컨넥터와 긴급전화기가 실장되는 함체 도어의 온/오프 스위치 연결컨넥터 및 긴급전화 안내표시장치 연결컨넥터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송수화기의 통화감도를 증폭하는 통화감도증폭부와, 긴급전화기의 상황에 상응하는 음성멘트를 저장하여 상기 음성멘트를 상황별로 송수화기로 전송하는 음성메시지 송출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원공급보드를 점검하여 자가진단정보를 생성하는 자가진단부와, 상기 긴급전화 안내표시장치를 제어하는 안내표시장치 통신부와, 상기 관리동에 있는 운영센터에서 호출하였을 경우에 호출신호에 대한 검출 및 응답을 제어하는 링검출부와, 아날로그 신호로 감지되는 동작전원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전원신호변환기, 및 상기 이더넷 변환보드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제 2 파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메인보드로부터 수신되는 자가진단정보와 관리동에 있는 운영센터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명령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자동다이얼링 프로그램과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및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된 자동다이얼링 프로그램과 자가진단 프로그램에 의하여 긴급전화기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운영센터의 자가진단 요청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메인보드의 자가진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된 각 연결커넥터를 순차적으로 점검하고 상기 동작전원신호변환기에서 발생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점검결과 및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자가진단정보를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자가진단정보를 상기 이더넷 변환보드를 통하여 이더넷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운영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보드는,
    상기 제어보드로 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동작전원신호변환기의 디지털신호에 대한 분석결과에 의하여 자가충전을 하는 자가충전기능과 야간에 동작전원을 차단하는 절전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oIP 긴급전화 시스템.
KR1020100018963A 2010-03-03 2010-03-03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KR101064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963A KR101064167B1 (ko) 2010-03-03 2010-03-03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963A KR101064167B1 (ko) 2010-03-03 2010-03-03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940A true KR20110099940A (ko) 2011-09-09
KR101064167B1 KR101064167B1 (ko) 2011-09-15

Family

ID=4495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963A KR101064167B1 (ko) 2010-03-03 2010-03-03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16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0339A (zh) * 2013-03-11 2013-07-10 北京世纪东方国铁科技股份有限公司 隧道应急通信系统及方法
KR20150099915A (ko) * 2014-02-24 2015-09-02 천중영 Ip pbx 기반의 긴급호출 시스템
KR101632302B1 (ko) * 2016-04-01 2016-07-08 주식회사 시큐렉스 비상 연결 시스템
CN108632477A (zh) * 2018-07-13 2018-10-09 天信中科(天津)电子有限公司 一种井下广播报警电话远程供电装置
CN108632834A (zh) * 2018-03-05 2018-10-09 郑州华力信息技术有限公司 电力隧道无线综合通信装置
CN111245686A (zh) * 2020-03-10 2020-06-05 中国人民解放军32181部队 一种指挥车系统节点单体检测诊断设备
KR20200097538A (ko) * 2019-02-08 2020-08-19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터널내 비상방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827Y1 (ko) * 2003-03-05 2003-06-12 이태수 긴급전화용 안내 표시장치
JP2005050109A (ja) 2003-07-28 2005-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ンネル監視装置
JP2006155495A (ja) 2004-12-01 2006-06-15 Eight Consultants Co Ltd トンネル非常用設備
KR200438313Y1 (ko) * 2007-05-29 2008-02-04 흥진정보통신 주식회사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0339A (zh) * 2013-03-11 2013-07-10 北京世纪东方国铁科技股份有限公司 隧道应急通信系统及方法
KR20150099915A (ko) * 2014-02-24 2015-09-02 천중영 Ip pbx 기반의 긴급호출 시스템
KR101632302B1 (ko) * 2016-04-01 2016-07-08 주식회사 시큐렉스 비상 연결 시스템
CN108632834A (zh) * 2018-03-05 2018-10-09 郑州华力信息技术有限公司 电力隧道无线综合通信装置
CN108632477A (zh) * 2018-07-13 2018-10-09 天信中科(天津)电子有限公司 一种井下广播报警电话远程供电装置
CN108632477B (zh) * 2018-07-13 2024-04-12 天信中科(天津)电子有限公司 一种井下广播报警电话远程供电装置
KR20200097538A (ko) * 2019-02-08 2020-08-19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터널내 비상방송 시스템
CN111245686A (zh) * 2020-03-10 2020-06-05 中国人民解放军32181部队 一种指挥车系统节点单体检测诊断设备
CN111245686B (zh) * 2020-03-10 2024-04-19 中国人民解放军32181部队 一种指挥车系统节点单体检测诊断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167B1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167B1 (ko)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KR101195703B1 (ko) 중계기능을 갖는 아이피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WO2005082764A1 (ja) エレベーターの監視用端末及びエレベーターの監視装置
JP5130092B2 (ja) 地震警報システム、および地震警報機能を有した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01763705A (zh) 一种城市电气火灾远程集中监控系统及实现方法
KR101062964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배전 전력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0438313Y1 (ko)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
KR100913310B1 (ko) 비상 경보 시스템
KR101577750B1 (ko) Ip pbx 기반의 긴급호출 시스템
WO2016104836A1 (ko) A i s 메시지를 이용한 선박 감시 장치 및 방법
CN215979490U (zh) 煤矿井下无人区巡检系统
JP2008024428A (ja) ビル遠隔監視装置
KR101072785B1 (ko) VoIP 긴급전화기
CN204454114U (zh) 一种带监控功能的无线对讲装置
KR200449583Y1 (ko) 공동구의 신호를 아이피 기반신호로 전송하는 현장컨트롤러를 구비한 공동구 관리시스템
CN113446062A (zh) 煤矿井下无人区巡检系统
CN101565140A (zh) 电梯远程无线报警系统
JP2018206259A (ja) 非常警報設備
CN111232790A (zh) 电梯紧急报警装置、系统
KR100609735B1 (ko) 인터넷 망을 이용한 무인원격 화상경비 장치
CN211945789U (zh) 电梯紧急报警装置、系统
KR20030042966A (ko) 네트워크 서버형 인텔리젼트 원격 및 구내 감시/제어/보안시스템
CN220564046U (zh) 一种可语音报站的电梯对讲装置
CN201201831Y (zh) 电梯远程无线报警系统
CN212003177U (zh) 数字化矿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