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313Y1 -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313Y1
KR200438313Y1 KR2020070008826U KR20070008826U KR200438313Y1 KR 200438313 Y1 KR200438313 Y1 KR 200438313Y1 KR 2020070008826 U KR2020070008826 U KR 2020070008826U KR 20070008826 U KR20070008826 U KR 20070008826U KR 200438313 Y1 KR200438313 Y1 KR 200438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tunnel
emergency telephone
main devic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8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왕현
Original Assignee
흥진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흥진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흥진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8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3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3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4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for emergency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전용도로 또는 고속도로 등에 설치되는 비상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방식은 터널장비실의 비상전화 주장치와 터널현장의 비상전화기 서로 간에 동선(PSTN)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터널 내 환경변화에 적응이 어려워 고장이 빈번하고, 타 설비(CCTV, 비상경보, 비상안내 방송, 및 도로안내 전광판)와 자동 연동하지 못하여 비효율적인 업무 환경과 함께 신고에 대한 후 처리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별 아이피를 갖는 다수개의 비상전화기를 광케이블에 병렬로 접속시켜 주장치와 연결하고, 상기 주장치는 타 설비를 자동 제어하며, CDMA통신망으로 촬영된 사고 영상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원거리에 위치한 신고자와 신고접수를 취급하는 운영자 간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고,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는 한편, 타 설비(CCTV, 비상경보, 비상안내 방송, 도로안내 전광판, 및 CDMA통신 장치)를 통해 사고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경보를 발령하여 사고의 확장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터널, 비상전화기, IP비상전화기, 터널사고

Description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IP emergency telephone system}
도 1은 본 고안에 대한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비상사태 발생시 CCTV 감시모니터 출력 화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원격감시실 110:회선 절체기
120:비상전화 접수대 130:비상마이크
140:감시모니터 200:터널장비실
210:회선 절체기 220:주장치
230:광 서버 240:메인앰프
250:CCTV서버 260:CDMA통신장치
300:터널현장 310:광 링크
320:비상전화기 330:스피커
340:CCTV
본 고안은 자동차 전용도로 또는 고속도로 등에 설치되는 비상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별 아이피를 갖는 다수개의 아이피 비상전화기를 터널장비실의 주장치에 병렬로 연결하고, 주장치는 비상전화기가 훅 오프될 때 터널내의 타 설비(CCTV, 비상경보, 비상안내 방송, 및 도로안내 전광판)의 연동제어 및 유관기관의 호출을 자동제어 처리하도록 하며 수Km에 이격 설치되는 주장치와 터널내 비상전화기를 일반전화 동선이 아닌 광 케이블을 사용함으로써 선로저항 값에 따른 통화손실이 없어 신고자와 운영자 간의 통화품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신고접수에 대한 사후처리를 자동으로 빠르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전화 시스템은 터널 또는 고속도로에서 비상사태 또는 그 밖의 긴급 통화를 요구하는 특정 사태가 발생할 경우, 도로 측면에 비치된 비상전화기를 이용하여 사고상황을 신속히 원격감시실의 운영자에게 접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한 종래의 비상전화 시스템은 크게 터널현장 설비와 터널장비실 설비 및 원격감시실 설비로 구분하여 구성되는데, 좀더 상세하게는 터널의 일 측벽에 일정간격으로 비상전화기가 설치되고, 원격감시실에는 신고자와 통화하여 사고상황을 접수하는 비상전화 접수대가 설치되며, 터널장비실에는 다수개의 비상전화기와 원 격감시실의 비상전화 접수대의 음성신호를 교환해주는 비상전화 주장치가 설치된다.
한편, 터널에는 내부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CCTV와, 비상 안내방송 및 비상경보를 발령하는 스피커와, 도로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한 정보를 표시하는 도로안내 전광판이 설치되고, 원격감시실에는 비상사태에 터널내부로 방송하는 비상마이크와, 터널 내부의 영상을 표출하는 감시모니터가 설치되며, 터널장비실(200)에는 원격감시실의 음성이나 제어명령을 해당 장치로 전송하는 메인앰프와, CCTV로 촬영된 영상을 원격감시실의 감시모니터로 전송하는 CCTV서버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비상전화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최초 신고자가 비상전화기를 들 때, 터널장비실의 주장치는 훅 오프 신호를 해당 비상전화기로부터 입력받아 원격감시실의 비상전화 접수대로 전송하고, 상기 비상전화 접수대는 벨을 울려 운영자가 신고자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운영자는 신고상황을 확인하기 위해 CCTV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신고자의 신고내용을 확인하고, 비상사태 여부를 판단한 뒤 비상경보를 발령시키며, 비상 방송마이크로 안내방송을 함과 동시에 유관기관을 호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하는 비상전화 시스템은 구성과 동작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있는데, 먼저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주장치와 비상전화기 사이의 연결선이 동선(PSTN)이기 때문에 상기 주장치는 다수개의 비상전화기와 일대 일로 연결되어야만 하고 이에 따른 선로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함께 터널 내 환경변화에 적응이 어려워 고장이 빈번하고, 선로거리에 따른 저항값 상승으로 통화감도가 저하되며, 터널 내부 온도 또는 습도 또는 방진에 의한 부식이나 절연불량의 원인으로 고장이 잦아 유지보수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터널 장비실의 주장치와 메인앰프는 각각 상기 원격감시실의 비상전화 접수대 및 비상방송 마이크와 개별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터널장비실 설비들과 원격감시실 설비들 서로 간에는 다수의 통신선과 제어신호 선이 필요하고 이 또한 높은 설치비와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동작과정에 있어서, 비상전화기가 터널 내에 설치된 타 설비(CCTV, 비상경보, 비상안내 방송장치, 및 도로안내 전광판설비)와 연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원격감시실에서는 운영자가 해당 위치를 감시모니터로 확인하기 위해 CCTV를 직접조작하며, 확인이 끝나면 스피커나 도로안내 전광판 등의 기타 터널설비들로 비상 안내방송 및 비상경보를 발령할 뿐만 아니라, 유관기관을 호출하는 모든 작업을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운영자는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상황을 대비해 항상 감시모니터와 비상전화 접수대를 주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자칫 운영자가 자리를 비우게 되면 대형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유관기관은 사고상황에 관한 간단한 정보를 전화로 전해듣거나, 문자로 전송받아 사고내용을 확인하기 때문에 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 정확한 사고상황을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화품질이 우수하고, 타 설비와 자동연동할 수 있는 비상전화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터널장비실의 주장치와 원격감시실의 비상전화 접수대에 회선 절체기를 추가설치함으로써, 하나의 회선으로 다수의 터널현장설비(비상전화기, 스피커(비상 안내방송 및 비상경보를 발령), 도로안내 전광판)를 연동제어할 수 있도록 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 신고자의 신고 접수과정에서 주장치에서 자동으로 유관기관을 호출하되 사고현장의 영상을 함께 전송함으로써, 사고상황을 신속히 분석할 수 있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은 개별 아이피를 갖는 다수개 의 비상전화기를 광케이블에 병렬로 접속시켜 주장치와 연결하고, 상기 주장치는 타 설비를 자동으로 제어하며, CDMA통신망으로 촬영된 사고 영상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주장치와 원격감시실에 회선 절체기를 설치하여 하나의 회선으로 터널현장의 설비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대한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 도이다.
본 고안에서 터널에 내부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CCTV(340)와, 비상 안내방송 및 비상경보를 발령하는 스피커(330)와, 도로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한 정보를 표시하는 도로안내 전광판이 설치되고, 원격감시실(100)에는 비상사태에 터널 내부로 방송하는 비상마이크(130)와, 터널 내부의 영상을 표시하는 감시모니터(140)가 설치되며, 터널장비실(200)에는 원격감시실(100)의 음성이나 제어명령을 해당 장치로 전송하는 메인앰프(240)와, CCTV(340)로 촬영된 영상을 원격감시실(100)의 감시모니터(140)로 전송하는 CCTV서버(250)가 설치되는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나,
본 고안은 터널현장(300)설비에 있어서, 비상전화기(320)는 개별 아이피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훅 오프될 때 해당 아이피 번호에 해당되는 알람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비상전화기(32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식 신호를 광신호로 변경하여 터널장비실(200)로 전송하며 터널장비실(200)에서 출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광 링크(310)를 더 구성한다.
그리고, 터널장비실(200)설비에 있어서, 주장치(220)는 상기 전송받은 알람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상전화기(320)의 훅 온 또는 오프 정보를 분석하고, 훅 오프된 때 비상전화기(320)의 아이피 번호를 비상전화 접수대(120)로 전송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주장치(220)에는 원격감시실(100)의 제어신호를 하나의 KT전용회선으로 전송받아 상기 메인앰프(240)나 CCTV서버(250)로 회선을 절체하는 회선 절체기(210)를 더 구성하며, 상기 주 장치(220)에서 출력되는 전기식 신호를 광신호로 변경하여 다수개의 상기 광 링크(310)로 전송하고, 상기 광 링크(310)로부터 전송받은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경하여 하기 주장치(220)로 출력하는 광 서버(230)를 더 구성한다.
여기서, 터널현장(300)의 상기 광 링크(310)와 터널장비실(200)의 광 서버(230)는 통화품질을 향상시켜주는 광케이블로 연결한다.
또한, 원격감시실(100)에 있어서, 비상전화 접수대(120)는 하나의 KT전용회선을 통해 평상시 비상전화 회선으로 사용하고, 유고상황 발생시 비상마이크(130)와 터널장비실(200)의 메인앰프(240)를 제어하는 회선으로 사용하도록 회선을 절체 하는 회선 절체(110)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주장치(220)는 상기 비상전화기(320)의 훅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훅 오프된 비상전화기(320)의 아이피를 검색하고, 해당 아이피로 비상전화기(320)의 위치를 터널에 설치된 CCTV(340)에 전송하여 자동으로 신고자의 위치를 추적 및 제어하며, 상기 신고자 위치의 유고상황이 원격지의 운영자 감시모니터(140)로 실시간 표출되도록 상기 CCTV(340)와 자동연동제어 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주장치(220)는 상기 비상전화기(320)의 훅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비상전화기(320)가 훅 오프될 때 운영자가 10초이내에 해제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터널 내부로 비상안내 방송 및 비상경보를 자동연동하여 발령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주장치(220)는 상기 비상전화기(320)의 훅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비상전화기(320)가 훅 오프될 때 운영자가 10초 이내에 해제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고상황 메시지를 도로안내 전광판으로 자동 출력하여 사고상황을 도로나 터널 내에 표출하도록 상기 도로안내 전광판과 자동연동제어 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주장치(220)는 비상전화기(320)가 훅 오프될 때 CCTV(340)를 즉시 자동연동제어하되, 비상안내 방송과 비상경보 및 도로안내 전광판과의 자동연 동제어 명령은 오보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상전화기(320)가 훅 오프되고 일정시간 내에 운영자가 해제조치를 취하지 않을시 자동으로 제어를 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일정시간은 운영자가 감시모니터상에서 터널의 교통량에 따라 임의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신고자의 장난이나 주장치(220)의 오동작으로 인한 경우, 상기 주장치(220)가 비상안내 방송과 비상경보 및 도로안내 전광판과 연동하는 제어명령이 자동으로 취급되기 전에 운영자가 취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주장치(220)는 수개의 유관기관의 CDMA 휴대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비상전화기(320)의 훅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비상전화기(320)가 훅 오프된 때 CCTV(340)로 촬영된 영상을 유관기관의 CDMA 휴대전화로 전송하는 CDMA통신장치(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과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비상사태에 감시모니터 출력 화면이다.
먼저, 신고자가 터널 내에 비치된 비상전화기(320)를 들면 비상전화기(320)는 자신의 아이피 번호에 해당하는 알람데이터를 광 링크(310)로 전송하고, 광 링크(310)가 상기 알람데이터와 신고자의 육성을 광신호로 전환하여 광 서버(230)로 전송하면, 상기 광 서버(230)는 수신된 신호를 전기신호로 전환하여 주장치(220)로 출력하고, 상기 주장치(220)는 입력받은 알람데이터를 확인하여 훅 온 또는 오프 여부를 분석한다.
여기서 비상전화기(320)가 훅 오프일 경우 주장치(220)는 회선 절체기(210)를 통해 원격감시실(100)의 비상전화 접수대(120)로 상기 알람데이터를 전송하는 한편, 알람데이터에 대응하는 CCTV(340)를 제어하는 명령을 CCTV서버(250)로 전송한다.
그리고, 주장치(220)는 CCTV서버(250)로부터 CCTV(340)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받아 회선절체기(110)를 통해 감시모니터(140)로 전송한다.
또한, 주장치는 일정시간을 대기한 후 비상안내 방송과 비상경보 및 도로안내 전광판으로 사고발생을 발령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고, CDMA통신장치(260)를 통해 CCTV(340)로 촬영된 사고 영상을 유관기관의 CDMA 휴대전화번호로 전송한다.
그러면 CCTV(340)는 해당 아이피의 비상전화기(320)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은 감시모니터(140)와 CDMA통신장치(260)로 전송되며, 터널 내부에는 경보음이 울리면서 비상사태가 발생 되었음을 알려주는 녹음 방송이 나온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원격감시실(100)의 비상전화 접수대(120)에는 사고위치가 표시되고, 운영자는 신고자와 통화함과 동시에 감시모니터(140)로 신고내용을 확인하는데, 이때 운영자는 허위신고일 경우 비상연동제어 취소명령을 비상전화 접 수대(120)로 입력할 수 있고, 주장치(220)는 상기 비상전화 접수대(120)로부터 취소명령을 전송받아 비상안내 방송과 비상경보 및 도로안내 전광판의 자동연동제어 명령을 해제한다.
또한 원격감시실(100)의 운영자는 허위신고가 아닐 경우 회선 절체기(110)를 비상마이크(130)로 전환하여 안내방송을 하게 되고 운영자의 육성은 주장치(220)의 회선 절체기(210)와 메인앰프(240)를 통해 스피커(330)를 통해 방송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터널 내 환경변화(온도, 습도, 빗물, 방진 등)에 무관한 광케이블에 비상전화기(320)를 병렬접속시켜 주장치(220)에 연결함으로써, 설치비를 절감하고, 원거리에서 신고자와 운영자 간 통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비상전화기(320)에 아이피를 부여하고, 주장치(220)에서 훅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비상전화기(320)가 훅 오프된 때 타 설비(CCTV, 비상경보, 비상안내 방송장치, 도로안내 전광판, 및 CDMA통신장치(260))와 자동으로 연동하여 경보 하도록 함으로써, 사고의 확장을 예방하고, 사고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초기대응조치를 취함으로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고 사고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6)

  1. 터널현장(300)설비와 터널장비실(200)설비 및 원격감시실(100)설비로 터널의 비상사태에 운영하는 비상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터널현장(300)에 설치되어 개별 아이피를 부여받아 훅 오프될 때 해당 아이피 번호에 해당되는 알람데이터를 하기 주장치(220)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비상전화기(320)와; 터널현장(300)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비상전화기(320)와 하기 주장치(220) 서로간의 전기적인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다수개의 광 링크(310)와; 터널장비실(200)에 설치되어 병렬로 접속된 상기 다수개의 광 링크(310)와 하기 주장치(220) 사이에서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경하고,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경하여 전송하는 광 서버(230)와; 터널장비실(200)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광 링크(310)와 상기 광 서버(230) 사이를 연결하여 통화품질을 향상시켜주는 광케이블과; 터널장비실(200)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비상전화기(320)의 훅 온 또는 오프 정보를 분석하고, 훅 오프된 때 해당 비상전화기의 아이피 번호를 원격감시실(100)의 비상전화 접수대(120)로 전송하는 주장치(220)와; 원격감시실(100)에 설치되어 상기 주장치(220)를 통해 신고자와 운영자 간 음성정보를 교환하는 비상전화 접수대(120)와; 상기 주장치(220)와 상기 비상전화 접수대(120)에 설치되고 하나의 통신전용회선을 통해 평상시 비상전화 회선으로 사용하고, 유고상황 발생시 원격감시실(100)의 비상마이크(130)와 터널장비실(200)의 메인앰프(240)를 제어하는 회선으로 사용하도록 회선을 절체하는 터널장비실(200)의 회선 절체기(210), 및 원격감시실(100)의 회선 절체기(1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주장치(220)는 상기 비상전화기(320)의 훅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훅 오프된 비상전화기(320)의 아이피를 검색하고, 해당 아이피로 비상전화기(320)의 위치를 터널에 설치된 CCTV(340)에 전송하여 자동으로 신고자의 위치를 추적, 제어하며, 상기 신고자 위치의 유고상황이 원격지의 운영자 감시모니터(140)로 실시간 표출되도록 상기 CCTV(340)와 자동연동제어 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220)는 상기 비상전화기(320)의 훅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비상전화기(320)가 훅 오프될 때 운영자가 10초이내에 해제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터널 내부로 비상안내 방송 및 비상경보를 자동연동하여 발령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220)는 상기 비상전화기(320)의 훅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비상전화기(320)가 훅 오프된 때 사고상황 메시지를 도로안내 전광판으로 출력하여 사고상황을 도로나 터널 내에 표시하도록 상기 도로안내 전광판과 자동연동제어 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220)는 비상전화기(320)가 훅 오프될 때 CCTV(340)를 즉시 자동연동제어하되, 비상안내 방송과 비상경보 및 도로안내 전광판과의 자동연동제어 명령은 오보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상전화기(320)가 훅 오프되고 일정시간 내에 운영자가 해제조치를 취하지 않을시 자동으로 제어를 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일정시간은 운영자가 감시모니터상에서 터널의 교통량에 따라 임의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220)는 수개의 유관기관의 CDMA 휴대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비상전화기(320)의 훅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비상전화기(320)가 훅 오프된 때 CCTV(340)로 촬영된 영상을 유관기관의 CDMA 휴대전화로 전송하는 CDMA통신장치(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
KR2020070008826U 2007-05-29 2007-05-29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 KR2004383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826U KR200438313Y1 (ko) 2007-05-29 2007-05-29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8826U KR200438313Y1 (ko) 2007-05-29 2007-05-29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313Y1 true KR200438313Y1 (ko) 2008-02-04

Family

ID=4133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8826U KR200438313Y1 (ko) 2007-05-29 2007-05-29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31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167B1 (ko) * 2010-03-03 2011-09-15 이주환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KR101553925B1 (ko) * 2014-03-21 2015-09-17 박창용 소화전 통화 시스템
CN110593957A (zh) * 2019-10-08 2019-12-20 上海市东方海事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隧道巡检方法
KR20200105569A (ko) * 2019-02-28 2020-09-08 (주)뉴콤시스 증설 가능한 구조를 갖는 비상 인터폰 시스템
KR102651332B1 (ko) * 2023-11-20 2024-03-26 주식회사 온품 음성회선 점유상태를 자동제어하는 음성회선전환모듈을 구비한 민방위경보방송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167B1 (ko) * 2010-03-03 2011-09-15 이주환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KR101553925B1 (ko) * 2014-03-21 2015-09-17 박창용 소화전 통화 시스템
KR20200105569A (ko) * 2019-02-28 2020-09-08 (주)뉴콤시스 증설 가능한 구조를 갖는 비상 인터폰 시스템
KR102167394B1 (ko) * 2019-02-28 2020-10-20 (주)뉴콤시스 증설 가능한 구조를 갖는 비상 인터폰 시스템
CN110593957A (zh) * 2019-10-08 2019-12-20 上海市东方海事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隧道巡检方法
CN110593957B (zh) * 2019-10-08 2021-09-28 上海市东方海事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隧道巡检方法
KR102651332B1 (ko) * 2023-11-20 2024-03-26 주식회사 온품 음성회선 점유상태를 자동제어하는 음성회선전환모듈을 구비한 민방위경보방송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313Y1 (ko)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
JP5245054B2 (ja) 警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
JP2007174542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297087B1 (ko) 무선 영상을 이용한 자동 화재 속보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통합속보기
KR101064167B1 (ko) VoIP 긴급전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터널내 응급 방재관리 시스템
KR100872868B1 (ko) 방송장비의 상호간 이상 체크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구내방송장치
CN103130056A (zh) 跨地域电梯监控方法
KR100840977B1 (ko) 전동차량의 동영상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6663B1 (ko) 지역/울타리 감시 및 경보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
KR200205015Y1 (ko) 방범 시스템 가입자용 양방향 무선 단말장치
KR100913310B1 (ko) 비상 경보 시스템
JP3344226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20130072036A (ko) 화재수신반 감시 시스템
KR20150099915A (ko) Ip pbx 기반의 긴급호출 시스템
KR200449583Y1 (ko) 공동구의 신호를 아이피 기반신호로 전송하는 현장컨트롤러를 구비한 공동구 관리시스템
CN208422080U (zh) 一种智能语音识别报警系统
KR20130012456A (ko) 화재 속보 기능을 겸한 화재 수신 장치
CN219392775U (zh) 一种即时报警监控系统
CN214756551U (zh) 一种煤矿胶带运输报警的音视频联动系统
CN220564046U (zh) 一种可语音报站的电梯对讲装置
CN212516085U (zh) 一种应用于报警区域的联动报警系统
KR200398898Y1 (ko)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
JPH09222915A (ja) 故障通知装置
KR20100004380U (ko) 양방향 무인화상 방범시스템
JP3349063B2 (ja) 集合住宅用防災警報監視統合盤及びこれを用いた集合住宅用防災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