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380U - 양방향 무인화상 방범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 무인화상 방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380U
KR20100004380U KR2020080013946U KR20080013946U KR20100004380U KR 20100004380 U KR20100004380 U KR 20100004380U KR 2020080013946 U KR2020080013946 U KR 2020080013946U KR 20080013946 U KR20080013946 U KR 20080013946U KR 20100004380 U KR20100004380 U KR 201000043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system
emergency
reporter
video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Original Assignee
김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수 filed Critical 김인수
Priority to KR2020080013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380U/ko
Publication of KR20100004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38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4Alarm signalling to a central station with two-way communication, e.g. with signalling bac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재 설치되고 있는 어린이 보호지역 방범시스템, 무인 방범시스템의 경우 단순히 비상벨을 누르는 방식 또는 음성을 통한 신고 형태의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신고자의 신상 파악이 어려운 점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허위 또는 장난 신고 등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신고 접수시 가까운 경찰 지구대에서 신고자의 신상을 영상으로 볼 수 있고, 신고자 또한 접수자의 얼굴을 보면서 응급 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 양방향 영상 통신 방안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운영 시스템 체계에 관한 것으로, 첨단 양방향 화상 통화를 통한 방범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서, 각종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범을 제시한다.
본 고안의 주요 기능은 보면 다음과 같다.
1) 비상 버튼을 누를 시, 자동으로 가까운 경찰 지구대의 방범시스템에 팝업창이 뜨면서 자동 접속이 되어, 신고자와 접수자 간의 화상을 통한 신고가 가능하다.
2) 사각지대 없는 영상 감시가 가능하도록 다수의 카메라를 장착하고, 고속 회전 카메라를 통해서 자동 추적이 이루어지도록 시스템이 구성된다.
3) 신고 음성의 잡음을 방지하고, 얼굴 영상을 선명하게 전송하기 위하여, 인터넷폰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의 기술을 접목한 첨단 방범시스템으로 완벽한 무인 방범시스템을 구축하여 어떠한 상황에도 조속한 대응이 가능하여, 국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안전 도시를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화상 방범시스템, 무인 방범시스템, 비상전화, 어린이보호구역 방범시스템, 그린 파크 방범시스템

Description

양방향 무인화상 방범시스템{Eemergency surveillance system via Bi-direction video communication}
본 고안은 무인 방범시스템에서 신고자가 응급 비상벨을 누를 경우, 자동으로 인근 경찰지구대와 상황실로 현장 화면이 전송되면서, 인근 경찰지구대의 신고접수자와 양방향으로 얼굴을 보면서 응급한 상황을 설명하는 시스템이며, 양방향 전송 영상화질 및 음성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인터넷폰 프로토콜을 채택하였고, 사각 없는 감시를 위하여 좌우에 고정형 전동줌 카메라를 장착하여 움직임 감지기능을 통해서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중앙의 고속 회전 카메라에 감지 발생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자동으로 움직이는 물체의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양방향 무인 영상 감시시스템 및 그 운영 방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설치되고 있는 무인 방범시스템을 분석하면, 많은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 및 개선하여 최상의 무인 방범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기존 시스템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대부분 비상벨로 신고만 끝나거나 혹은 음성을 통한 신고만 이루어지고 있어 신고자의 위급한 상황을 정확히 파악을 할 수 없고, 신고가 허위 또는 장 난인지 파악이 어렵고, 추후에 신고자 색출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미약하다.
둘째, 대부분 음성을 통한 신고만 이루어지고 있어 신고자의 위급한 상황을 정확히 파악을 할 수 없고, 신고가 허위 또는 장난인지 파악이 어렵고, 추후에 신고자 색출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미약하다.
셋째, 사각이 없는 감시를 하기 위하여, 다수의 카메라를 추가 설치하여야 하나, 지금의 방식은 좌우에 고정형 카메라를 장착하거나, 파노라마 카메라를 장착하는 방식이나, 이 카메라는 고정 줌렌즈 형태여서 원거리 감시가 어렵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완벽한 무인 방범시스템을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참고 문헌*
[문헌 1] 공고특허 10-0817753 2008.03.27
[문헌 2] 공개특허 10-2006-0116758 2006.11.15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고자가 비상벨을 누르면, 자동으로 인근 경찰지구대로 자동 통보되어 신고자와 접수자 상호 간의 영상 화면을 보면서 급박한 상황을 신고하는 방안과 상호 간의 통화 및 영상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범인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추적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완벽한 무인방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무인화상 방범시스템은 신고자가 비상벨을 누르고 접수자의 얼굴을 볼 수 있는 장치 및 통화를 할 수 있는 통신부분이 포함된 비상신고부; 원격에 있는 접수자로부터 범인을 수동 추적하거나, 자동으로 추적할 수 있는 영상감지부; 비상신고부 및 영상감지부의 영상 및 음성을 디지털화하여 네트워크망을 통해서 원격지와 교신을 할 수 있는 데이터통신부; 조명등, 경광등 및 앰프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는 기기제어부, 인근 경찰지구대나 종합상황실에서 현장의 영상을 보고 원격에서 현장의 무인방범대를 제어할 수 있는 관제시스템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비상신고부에는, 응급한 상황에서 신고를 할 수 있는 비상벨, 신고자의 신상을 볼 수 있는 소형카메라, 접수자의 신상을 볼 수 있는 엘씨디 액정화면, 접수자와 통화를 할 수 있는 마이크와 스피커, 낮은 대역폭에서 상호 영상과 음성을 교신 할 수 있는 인터넷폰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있다.
영상감지부에는, 전후좌우를 볼 수 있는 고속 회전형 카메라, 좌측과 우측을 볼 수 있는 전동줌 카메라, 좌우에 달려있는 카메라에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을 경우 고속 회전형 카메라로 자동 추적을 할 수 있는 물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모션감지기를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통신부에는, 영상감지부의 카메라 및 비상신고부의 카메라와 마이크 및 스피커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고, 기기제어부의 조명등, 경광등 및 앰프를 구동하는 릴레이 출력, 비상벨의 신호를 받아들이는 알람 입력, 네트워크망과 접속할 수 있는 통신 포트, 각 카메라의 줌, 초점 맞추기 및 회전을 제어할 수 시리얼 포트, 각 카메라 및 마이크와 스피커의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 등의 장비 및 기능을 하는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와 네트워크망에 연결할 통신 모뎀과 스위칭 허브를 포함하고 있다.
기기제어부에는 데이타통신부의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의 릴레이 출력을 받아서 경광등 및 앰프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는 기능과 빛 감지를 통해서 야간에 조명등의 전원을 구동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관제시스템부에는 원격지에 있는 무인방범 시스템의 영상과 장비를 제어하는 관제프로그램과 관제프로그램을 운용할 수 있는 컴퓨터, 신고자와 통화할 수 있는 화상전화기, 경고 방송을 할 수 있는 마이크, 컴퓨터와 화상 전화기를 연결할 수 있는 스위칭 허브로 구성된다.
상기의 비상신고부, 영상감지부, 데이터통신부 및 기기제어부의 제품을 효율적으로도 1의 형태로 제품을 장착하여 주변 환경과 어울릴 수 있는 양방향 무인화상 방범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방범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신고자의 얼굴을 자동 녹화하기 때문에 신원을 확실하게 알 수 있고, 사고 발생시 정확한 증빙 자료를 제시할 수 있고 사건 정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허위나 장난 신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비상벨을 누를 시, 현장의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의 하드디스크, 인근 경찰지구대 사건접수 컴퓨터 및 종합상황실에 자동 녹화가 되어, 녹화물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양방향 무인화상 방범시스템 체계는 도 3에서와 같이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에 설치될 무인 방범대, 비상 신고를 접수할 수 있는 인근 경찰지구대의 영상관제 시스템, 모든 방범시스템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종합상황실 영상관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범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요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제품을 효과적으로 위치하여 설치한 방범대 모형으로 주변 환경과 잘 어울리고 친밀감을 줄 수 있는 디자인을 채택하였다. 또한, 기능에서 있어서 조명등(38)을 화상방범대(13)에 같이 부착하여 야간에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경광등(33)을 화상방범대(13)의 맨 위쪽에 설치하여 먼 거리에서도 쉽게 찾을 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비상신고대(1)를 화상방범대(13)의 외부에 장착을 하지않고, 화상방범대(13)를 절개하여 화상방범대(13)의 내부로 들여 장착을 하였다. 이유는 외부에 장착할 경우, 화상방범대(13)를 지나가는 사람이 비상신고대(1)에 부딪혀서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개폐부(3)는 비상신고대(1)을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화상방범대(13)의 뒤편을 절개하였다. 함체(2)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되어있고, 내부에는 모든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30), 인터넷폰 게이트웨이(35), 모션(움직임) 감지기(36), 스위칭 허브(39) 및 제어 보드(40)가 장착이 되며, 그 결선 방식은 도 4 설명에서 자세히 하도록 한다.
도 2는 비상신고대(1)의 세부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우측 그림처럼 화상방범대(13)에 장착할 수 있는 사각 형태로 제작되어 조임 나사(14)로 화상방범대(13)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 1의 측면도에서 보듯이 45도로 화상방범대(13)를 절개하여 비상신고대(1)를 설치하도록 하였다. 인근 경찰지구대의 접수자의 얼굴을 선명히 볼 수 있도록 4인치 티에프티 엘씨디 액정화면(11)를 채택하였고, 야간에도 볼 수 있도록 발광 다이오드를 내장한 비상벨(B1), 잡음이 적은 고성능 마 이크(34), 저조도 소형 카메라(C4)를 적용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의 운용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응급 상황이 발생시 신고자가 비상벨(B1)을 누를 경우, 경광등(33)이 자동으로 동작을 하면서, 인근 경찰지구대에 설치되어 있는 화상전화기(54)로 자동 연결되어, 인근 경찰지구대의 관제시스템(52)에 팝업으로 관제프로그램이 도 5와 같이 나타나면서 자동 녹화를 시작하고, 종합상황실의 관제시스템(62)에도 이벤트 발생이 표시되면서 자동 녹화를 시작한다. 현장의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30)에 현장 화면이 고속 회전 카메라(C1), 좌측 카메라(C2), 우측 카메라(C3) 및 비상신고대(1)의 카메라(C4)의 영상과 비상신고대(1)의 마이크(34) 음성과 스피커(32)의 음성이 자동 녹화를 시작한다. 인근 경찰지구대의 화상전화기(54)를 접수자가 받으면, 비상신고대(1)의 엘씨디 액정화면(11)에 신고자의 얼굴이 나타나면서 상호 간에 화상 통화를 통해서 긴급 상황에 대한 신고를 할 수 있다. 만약, 인근 경찰지구대의 관제시스템(52)을 통해서 현장 상황을 파악하고. 신고가 허위나 장난일 경우 상황을 종료하나, 긴급 상황일 경우, 현장 인근의 경찰이나 출동대기조에 출동을 지시하고, 인근 경찰지구대의 관제시스템(52)에서 원격의 앰프(31)의 전원을 켜고, 경찰 지구대의 마이크(52)를 통해서 원격에서 경고 방송과 동시에 고속 회전 카메라(C1)를 조절하면서 현장의 상황을 파악하고 증거 자료를 획득하는데 주력한다. 만약, 상황이 종료되면 지구대 관제시스템(52)에서 사고현장의 경광등(33) 및 앰프(31)의 전원을 끈다. 종합상황실에서는 관제시스템(62)을 통해 현장의 상황을 파악하고, 인근 경찰지구대의 조치가 미흡할 경우, 직접 출동 지시를 하고, 처리 현황을 모니터 화면을 통해서 감시 감독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 필요한 시스템 구성과 구성품 간의 결선에 관한 것이다.
현장시스템 구성도를 보면, 신고자가 비상벨(B1)을 누르면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30)의 알람 입력포트(E1)에 신호를 인가되고,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30)는 알람 입력포트(E1)에 신호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내장 하드디스크에 비디오 입력포트(V1)에 연결된 고속 회전 카메라(C1), 비디오 입력포트(V2)에 연결된 좌측 전동줌 카메라(C2), 비디오 입력포트(V3)에 연결된 우측 전동줌 카메라(C3), 비디오 입력포트(V4)에 신고자의 얼굴을 전송할 비상신고대(1)의 카메라(C4) 및 오디오 입력포트(A1)에 연결된 비상신고대(1)의 마이크(34) 및 스피커(12)의 음성을 녹화하면서, 릴레이 출력포트(R2)로 전원을 인가하여 제어 보드(40)를 통해서, 경광등(33)의 전원을 인가한다. 동시에 인터넷망(71)에 연결된 인터넷폰 게이트웨이(35)를 통해 인근 경찰지구대의 화상전화기(54)에 전화를 걸고, 관제시스템(52)에 설치된 영상감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팝업하여 현장의 영상을 자동 전송한다. 릴레이 출력포트(R1)은 인근 경찰지구대에서 현장에 경고 방송을 할 경우, 원격의 명령에 따라서 제어 보드(40)를 통해서 앰프(31)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것으로 앰프(31)에 연결된 외부스피커(32)를 통해서 방송을 한다. 또한, 인근 지구대의관제시스템(52)에서 현장의 카메라(C1, C2, C3)를 제어하는 명령을 보낼 경우, 네 트워크 비디오 녹화기(30)의 시리얼 포트(S1)에 데이지 체인방식으로 연결된 각 카메라(C1, C2, C3)의 시리얼 포트를 통해서 카메라의 줌, 포커스 및 회전을 시킬 수 있다. 인터넷폰 게이트웨이(35)와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30)의 네트워크 포트(N1)는 모뎀(41)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허브(39)를 통해서 인터넷망(71)에 연결된다. 점멸기(37)는 빛을 감지하면 동작하여 야간에 조명등(38)의 전원을 인가하는 장치이다.
인근 경찰지구대의 시스템 구성을 보면, 원격지 현장의 상황을 볼 수 있는 관제시스템(52)과 현장으로부터 긴급 호출에 응답할 화상전화기(54)는 스위칭 허브(51)에 연결된다. 관제시스템(52)는 인터넷망(71)를 통해 현장의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30)에 직접 연결되어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고, 스트리밍 서버(72)를 통해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72)는 다수의 사용자가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30)에 직접 접속하여 영상을 획득할 경우, 네트워크에 부하가 생겨서 실시간 화면 전송을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지구대의 마이크(53)는 현장의 스피커를 통해서 경고 방송을 하기 위한 장비이다.
종합상황실의 시스템 구성을 보면, 원격지 현장의 상황을 볼 수 있는 관제시스템(62)은 스위칭 허브(61)를 통해 현장의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30)에 직접 연결되어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고, 스트리밍 서버(72)를 통해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인근 경찰지구대의 관제시스템(52)의 관제프로그램의 예제 화면을 표 시한 것이다. 프로그램상에 고속 회전 카메라(C1), 좌측 카메라(C2), 우측 카메라(C3) 및 비상신고대(1)의 카메라(C4)의 영상을 4분환 표시하고 자동 녹화를 하며, 상황의 조치 사항을 기록할 수 있는 부분, 신고 상황의 접수 표시부, 신고 현장의 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부분으로 구성하여 표시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인화상 방범시스템 디자인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인화상 방범시스템의 비상신고대 부분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인화상 방범시스템의 운용 흐름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인화상 방범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인근 경찰지구대 관제시스템 예제화면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비상신고대 2: 함체 3: 개폐부
11: 엘씨디 액정화면(LCD) 12: 스피커
13: 화상방범대 14: 조임나사
A1: 오디오 입력포트 B1: 비상벨
C1, C2, C3, C4: 폐쇄회로 카메라
E1: 알람 입력포트 N1: 네트워크 연결포트
R1, R2: 릴레이 출력포트 S1: 시리얼 포트
V1, V2, V3, V4: 비디오 입력포트

Claims (1)

  1. 무인 화상방범 및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현장에 설치되는 방범 시스템에서 응급 상황에서 신고자가 비상벨을 누르면 자동으로 인근 경찰지구대에 화상 전화 형태로 접속이 되어 신고자와 접수자 간의 긴급 상황을 양방향 화상을 통해서 신고 체계를 구현방식;
    현장에서 고속 회전 카메라로 자동 추적을 하기 위해 움직임(모션) 감지기를 이용하여 움직임의 정보를 고속 회전 카메라에 전송하여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방식;
    비상벨을 포함하는 비상신고대(1)의 형태를 시스템 지지 폴대를 절개하여 내부로 장착하는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방범시스템.
KR2020080013946U 2008-10-21 2008-10-21 양방향 무인화상 방범시스템 KR201000043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946U KR20100004380U (ko) 2008-10-21 2008-10-21 양방향 무인화상 방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946U KR20100004380U (ko) 2008-10-21 2008-10-21 양방향 무인화상 방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380U true KR20100004380U (ko) 2010-04-29

Family

ID=4419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946U KR20100004380U (ko) 2008-10-21 2008-10-21 양방향 무인화상 방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38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296B1 (ko) * 2012-06-21 2014-06-30 강대영 실시간 비상구호 시스템 및 방법,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KR102141179B1 (ko) * 2020-03-09 2020-08-04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자동 초점 기반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296B1 (ko) * 2012-06-21 2014-06-30 강대영 실시간 비상구호 시스템 및 방법,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KR102141179B1 (ko) * 2020-03-09 2020-08-04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자동 초점 기반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173B1 (ko) 가정용 홈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832446B1 (ko) 단일 망으로 비상벨에서의 양방향 통화 기능이 구현된 비상벨-cctv 통합 시스템
US6778084B2 (en) Interactive wireless surveillance and security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20110121940A1 (en) Smart Door
KR100995569B1 (ko) 범죄예방 지능형 씨씨티브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범죄예방 시스템 및 방법
US20090027498A1 (en) Security clock device and system
KR101610026B1 (ko) 하이브리드형 방범용 가로등시스템
KR102241529B1 (ko) 구역 설정이 가능한 무인 복합 감시시스템
CN1489116A (zh) 银行安防系统和方法
JP5436256B2 (ja) 監視システム
KR20070000643A (ko) 감시카메라와 비상벨 장치가 결합된 방범시스템
KR100775867B1 (ko) 이동 물체 자동 추적 시스템
KR20100004380U (ko) 양방향 무인화상 방범시스템
KR10128149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지능형 카메라 자동제어 시스템
CN205080724U (zh) 可视报警装置
KR20010008215A (ko) 실시간동영상원격감시제어시스템 및 방법과 그인터페이스장치
KR20080045101A (ko) 이동용 보안 시스템
KR100368448B1 (ko) 다목적 경보 시스템
JP2002245572A (ja) 遠隔監視方式の動画警備システム
KR101075874B1 (ko) 영상전송장치
JP3035932U (ja) 画像伝送による警備装置
KR20150049595A (ko) 위급상황 경보 영상 보안 시스템
JP2006216005A (ja) 防犯システム
KR101600401B1 (ko) 비상벨 인터폰 연동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3368019B2 (ja) セキュリティ玄関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