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898Y1 -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898Y1
KR200398898Y1 KR20-2005-0022313U KR20050022313U KR200398898Y1 KR 200398898 Y1 KR200398898 Y1 KR 200398898Y1 KR 20050022313 U KR20050022313 U KR 20050022313U KR 200398898 Y1 KR200398898 Y1 KR 2003988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vent
control
information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박기주
Original Assignee
박기주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주,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filed Critical 박기주
Priority to KR20-2005-0022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8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8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8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제가 필요한 각 설비에 필요한 센서를 설치한 후 이를 하나의 관제장치로 수신하여 종합관리하고 상황이 발생하면 이를 즉시 분석하여 현장의 상황을 관제실 뿐 아니라 관제실 외부의 관계자와 유관기관까지 모두 실시간으로 보고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에 있어서 관제가 필요한 건물의 각 설비에 설치한 센서, 방화·방수 가능한 금속재질의 외부케이싱, 상기 외부케이싱 전면에 구성하여 현장에 발생한 이벤트 상황을 텍스트와 그림형태의 정보를 모니터로 제공하는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건물의 각 설비에 설치한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시그날 중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화된 이벤트 시그날을 입력받는 입력중계모듈, 상기 입력중계모듈을 통해 입력된 이벤트 시그날과 일치하는 이벤트 시그날을 분석하여 해당하는 관제명령인 텍스트정보와 그림정보를 각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제어모듈 및 상기 중앙제어모듈로부터 관제명령을 받아 각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출력중계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Synthesis Control Apparatus For Equipment Of Building}
본 고안은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제가 필요한 각 설비에 필요한 센서를 설치한 후 이를 하나의 관제장치로 수신하여 종합관리하고 상황이 발생하면 이를 즉시 분석하여 현장의 상황을 관제실 뿐 아니라 관제실 외부의 관계자와 유관기관까지 모두 실시간으로 보고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시설물 관제는 관제실 내에서 종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지만 종래의 관제장치들로는 특별히 전기, 화재, 방범 및 침수 등 각각 특수한 부분에 있어서 기능을 집중시켜 그를 제외한 부분은 사건사고의 발생시 그에 대한 처리가 미숙하거나 조금만 더 일찍 알았더라면 대형 사고를 막을 수 있었던 안타까운 사건사고가 비일비재한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고 시설물 관제를 소홀히 할 수도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인력낭비 및 시스템 구축에 대한 비용의 낭비가 상당하고, 자금상황이 여의치 않은 건물의 대부분은 이를 그대로 방치하여 사건사고의 실시간 제어가 어려워 사회 전반에 걸친 악영향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관제가 필요한 각 설비에 필요한 센서를 설치한 후 이를 하나의 관제장치로 수신하여 종합관리하고 상황이 발생하면 이를 즉시 분석하여 현장의 상황을 관제실 뿐 아니라 관제실 외부의 관계자와 유관기관까지 모두 실시간으로 보고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에 있어서 관제가 필요한 건물의 각 설비에 설치한 센서(sensor), 방화·방수 가능한 금속재질의 외부케이싱, 상기 외부케이싱 전면에 구성하여 현장에 발생한 이벤트 상황을 텍스트와 그림형태의 정보를 모니터로 제공하는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건물의 각 설비에 설치한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시그날(signal) 중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converter),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화된 이벤트 시그날을 입력받는 입력중계모듈, 상기 입력중계모듈을 통해 입력된 이벤트 시그날과 일치하는 이벤트 시그날을 분석하여 해당하는 관제명령인 텍스트정보와 그림정보를 각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제어모듈 및 상기 중앙제어모듈로부터 관제명령을 받아 각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출력중계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각 건물의 설비상황에 따라 수위레벨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엘리베이터작동센서, 모터작동센서 및 출입문개폐센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관제명령은 상기에 텍스트정보와 그림정보 이외에 음성정보, 램프표시정보, 기록정보, SMS전송정보 및 유관기관자동신고발신정보를 포함하기도 하는데 이는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의 구성 여부에 따라 다르다.
상기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는 외부케이싱 전면에 이벤트 발생시 단계별 상황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제어모듈로부터 LED표시정보를 받아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가지는 LED와, 외부케이싱의 좌우 내측 또는 외측에 관제실 인근에서도 설비에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도록 상기 중앙제어모듈로부터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하나이상의 스피커와, 상기 중앙제어모듈로부터 기록정보를 수신하여 이벤트 상황을 전부 출력하는 기록장치와, 상기 중앙제어모듈로부터 SMS전송정보를 수신하여 사전에 셋팅된 관계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SMS전송하는 SMS전송기 및 상기 중앙제어모듈로부터 유관기관자동신호발신정보를 수신하여 사전에 셋팅된 인근 유관기관을 긴급호출하는 자동신고발신기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이 모든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들이 구성된다면 현장상황에 대해 보다 신속히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의 구성 및 종합관제상황에 따른 적용예, 도 2a와 2b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설비 관제용 장치의 적용예 중 건물의 설비에 수위레벨감지센서로부터 침수 이벤트 시그날이 입력되었을 때의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 중 텍스트형태와 그림형태의 정보를 모니터로 출력하는 예,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설비 관제용 장치의 적용예 중 건물의 설비에 엘리베이터작동센서로부터 엘리베이터 고장 이벤트 시그날이 입력되었을 때의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 중 모니터로 출력되는 예,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설비 관제용 장치의 적용예 중 건물의 설비에 온도감지센서로부터 화재 이벤트 시그날이 입력되었을 때의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 중 모니터로 출력되는 예,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설비 관제용 장치의 적용예 중 건물의 설비에 출입문개폐센서로부터 침입 이벤트 시그날이 입력되었을 때의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 중 모니터로 출력되는 예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는 우선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제가 필요한 건물의 각 설비 즉, 물탱크, 엘리베이터, 기계장비, 지하주차장 및 출입문 등에 설치한 센서(sensor), 방화·방수 가능한 금속재질의 외부케이싱(20), 상기 외부케이싱(20) 전면에 구성하여 현장에 발생한 이벤트 상황을 텍스트와 그림형태의 정보를 모니터(30)로 제공하는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 상기 외부케이싱(20)의 내부에 상기 건물의 각 설비에 설치한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시그날(signal) 중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converter)(22), 상기 AD 컨버터(22)를 통해 디지털화된 이벤트 시그날을 입력받는 입력중계모듈(24), 상기 입력중계모듈(24)을 통해 입력된 이벤트 시그날과 일치하는 이벤트 시그날을 분석하여 해당하는 관제명령인 텍스트정보와 그림정보를 각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제어모듈(28) 및 상기 중앙제어모듈(28)로부터 관제명령을 받아 각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출력중계모듈(26)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본 종합관제용 장치의 외부케이싱(20)은 어떠한 사건사고가 발생하여 관제실에 설치된 종합관제용 장치에까지 영향이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그로부터 관제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방화·방수 가능한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고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각 건물의 설비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설치여부가 달라질 수 있는데 그 종류는 대표적으로 수위레벨감지센서(10), 온도감지센서(12), 엘리베이터작동센서(14), 모터작동센서(16) 및 출입문개폐센서(18)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관제명령은 상기에 텍스트정보와 그림정보 이외에 음성정보, 램프표시정보, 기록정보, SMS전송정보 및 유관기관자동신고발신정보를 포함하기도 하는데 이는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의 구성과 대응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기본적으로 모니터(30)만을 구비한 종합관제용 장치를 가지고 있다면 모니터(30)에 나타날 텍스트정보와 그림정보만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그 외에 음성정보, 램프표시정보, 기록정보, SMS 전송정보 및 유관기관자동신고발신정보 등은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로는 외부케이싱(20) 전면에 이벤트 발생시 단계별 상황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제어모듈(28)로부터 LED표시정보를 받아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가지는 LED(31)를 구비하여 만약에 이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3단계로 주의, 점검, 긴급으로 분류하여 각각 노랑색, 초록색, 붉은색과 같이 현장의 상황 심각성에 따라서 LED를 점등한다면 한눈에 사태의 심각성을 파악할 수 있어 훨씬 용이할 것이다.
또한, 외부케이싱(20)의 좌우 내측 또는 외측에 관제실 내에 배치인원이 부재상태이거나 그 주변에 사람이 있을 때에는 인근에서 설비에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도록 상기 중앙제어모듈(28)로부터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상황을 알려주는 하나이상의 스피커를 구비한다면 관제실이 비어있는 상황에서도 얼마든지 인근까지는 상황에대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중앙제어모듈(28)로부터 기록정보를 수신하여 이벤트 상황을 전부 출력하는 기록장치(33)를 연결해두면 이벤트진행에 대한 레포트(40)가 생성되어 상황이 발생하고 이를 해결 한 이후에도 사고발생의 원인파악 및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모듈(28)로부터 SMS전송정보를 수신하여 사전에 SMS전송기(34)에 셋팅된 관계자의 이동통신단말기(42)로 SMS전송을 한다면 현재 관제실의 인원 뿐 아니라 관련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42)를 통해 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어 마치 현장에 있는 것처럼 보다 많은 인원이 신속히 대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중앙제어모듈(28)로부터 유관기관자동신호발신정보를 수신하여 사전에 셋팅된 인근 유관기관(44) 즉 관할 소방서, 경찰서, 응급실 및 방송국 등을 긴급호출하는 자동신고발신기(35)를 추가구성한다면 관제실 인원은 현장에 바로 출동하여 상황을 체크하고 대처하는 동안에 보다 전문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유관기관(44)들이 출동하여 작업이 연결되므로 효율적이고 종합적인 관제장치를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를 사용하면, 적은 비용을 투자하여 건물 전체에 설비를 종합적으로 관제하여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히 대응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설비관제에 투입하여야했던 개별적인 시스템 구축비용 및 인력비용이 절약되고 자원의 낭비도 줄일 수 있어 관제용 장치의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을 수 있는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의 구성 및 종합관제상황에 따른 적용예,
도 2a와 2b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의 적용예 중 건물의 설비에 수위레벨감지센서로부터 침수 이벤트 시그날이 입력되었을 때의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 중 텍스트형태와 그림형태의 정보를 모니터로 출력하는 예,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의 적용예 중 건물의 설비에 엘리베이터작동센서로부터 엘리베이터 고장 이벤트 시그날이 입력되었을 때의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 중 모니터로 출력되는 예,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의 적용예 중 건물의 설비에 온도감지센서로부터 화재 이벤트 시그날이 입력되었을 때의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 중 모니터로 출력되는 예,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의 적용예 중 건물의 설비에 출입문개폐센서로부터 침입 이벤트 시그날이 입력되었을 때의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 중 모니터로 출력되는 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위레벨감지센서 12 : 온도감지센서
14 : 엘리베이터작동센서 16 : 모터작동센서
18 : 출입문개폐센서 20 : 외부케이싱
22 : AD컨버터 24 : 입력중계모듈
26 : 출력중계모듈 28 : 중앙제어모듈
30 : 모니터 31 : LED
32 : 스피커 33 : 기록장치
34 : SMS전송기 35 : 자동신고발신기
40 : 이벤트상황레포트 42 : 관계자의이동단말기
44 : 유관기관

Claims (8)

  1.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에 있어서,
    관제가 필요한 건물의 각 설비에 설치한 센서(sensor);
    방화·방수 가능한 금속재질의 외부케이싱(20);
    상기 외부케이싱(20) 전면에 구성하여 현장에 발생한 이벤트 상황을 텍스트와 그림형태의 정보를 모니터(30)로 제공하는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
    상기 외부케이싱(20)의 내부에 상기 건물의 각 설비에 설치한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시그날(signal) 중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converter)(22);
    상기 AD 컨버터(22)를 통해 디지털화된 이벤트 시그날을 입력받는 입력중계모듈(24);
    상기 입력중계모듈(24)을 통해 입력된 이벤트 시그날과 일치하는 이벤트 시그날을 분석하여 해당하는 관제명령인 텍스트정보와 그림정보를 각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제어모듈(28) 및
    상기 중앙제어모듈(28)로부터 관제명령을 받아 각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출력중계모듈(2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수위레벨감지센서(10), 온도감지센서(12), 엘리베이터작동센서(14), 모터작동센서(16) 및 출입문개폐센서(18)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관제명령은
    음성정보, 램프표시정보, 기록정보, SMS전송정보 및 유관기관자동신고발신정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제명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는
    외부케이싱 전면에 이벤트 발생시 단계별 상황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제어모듈로부터 LED표시정보를 받아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가지는 LED(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는
    외부케이싱의 좌우 내측 또는 외측에 관제실 인근에서도 설비에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도록 상기 중앙제어모듈로부터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하나이상의 스피커(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는
    상기 중앙제어모듈로부터 기록정보를 수신하여 이벤트 상황을 전부 출력하는 기록장치(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는
    상기 중앙제어모듈로부터 SMS전송정보를 수신하여 사전에 셋팅된 관계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SMS전송하는 SMS전송기(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상황 출력장치는
    상기 중앙제어모듈로부터 유관기관자동신호발신정보를 수신하여 사전에 셋팅된 인근 유관기관을 긴급호출하는 자동신고발신기(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
KR20-2005-0022313U 2005-08-01 2005-08-01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 KR2003988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313U KR200398898Y1 (ko) 2005-08-01 2005-08-01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313U KR200398898Y1 (ko) 2005-08-01 2005-08-01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898Y1 true KR200398898Y1 (ko) 2005-10-17

Family

ID=4369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313U KR200398898Y1 (ko) 2005-08-01 2005-08-01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8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083B1 (ko) 2010-11-22 2012-09-21 천승호 중앙 통제가 가능한 통합 환경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083B1 (ko) 2010-11-22 2012-09-21 천승호 중앙 통제가 가능한 통합 환경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4103B2 (en) Cellular home security system
JP5245054B2 (ja) 警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
CN102063116A (zh) 楼宇信息综合管理系统及方法
US20080258924A1 (en) Fire alarm system
KR100553032B1 (ko) 소수력발전시스템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CN103247125A (zh) 一种高速公路隧道消防联动系统及控制方法
KR100472081B1 (ko) 방조제 배수갑문의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
US68448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warning system breach
KR101673768B1 (ko)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
KR200398898Y1 (ko) 건물의 설비 종합관제용 장치
KR200438313Y1 (ko) 아이피 비상전화 시스템
CN115035690A (zh) 地质灾害监测预警方法
KR20100002104A (ko) 무선 디지털 통합 방재시스템
CN101922307A (zh) 电力电缆隧道安全防范系统
KR100981625B1 (ko) 유비쿼터스형 설비관제 시스템
CN201420568Y (zh) 矿用避灾指挥与撤离指示系统井下分站
CN201439721U (zh) 电力电缆隧道安全防范系统
KR100978101B1 (ko) 비상호출 신속 대응을 위한 인터라넷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씨씨티브이 통합 보안 시스템
KR100515056B1 (ko) 통신네트워크로 연결된 비상상황제어관리시스템과 이를이용한 비상상황제어관리사업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 의해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ITMI992146A1 (it) Sistema automatico di rilevazione e segnalazione di situazioni di pericolo
KR200449583Y1 (ko) 공동구의 신호를 아이피 기반신호로 전송하는 현장컨트롤러를 구비한 공동구 관리시스템
CN105303733A (zh) 智能防盗水文水资源遥测终端机
KR100609735B1 (ko) 인터넷 망을 이용한 무인원격 화상경비 장치
JPH07336459A (ja) 建設工事における安全管理システム
KR200199006Y1 (ko)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한 방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