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621A - 바닥재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체 - Google Patents

바닥재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621A
KR20110099621A KR1020100119642A KR20100119642A KR20110099621A KR 20110099621 A KR20110099621 A KR 20110099621A KR 1020100119642 A KR1020100119642 A KR 1020100119642A KR 20100119642 A KR20100119642 A KR 20100119642A KR 20110099621 A KR20110099621 A KR 20110099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groove
tongue
bottom panel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5963B1 (ko
Inventor
오광석
Original Assignee
오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광석 filed Critical 오광석
Publication of KR20110099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3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erpendicular to the mai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5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rotat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around an axis which i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possibly combined with a slid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69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rotat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around an axis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s and parallel to the main plane, possibly combined with a slid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23Separate tongues; Interlocking keys, e.g. joining mouldings of circular, square or rectangular shape
    • E04F2201/0552Separate tongues; Interlocking keys, e.g. joining mouldings of circular, square or rectangular shape adapted to be rotated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joint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패널들을 서로 조립할 때 수평 방향의 체결력은 물론 수직 방향의 체결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바닥패널들의 조립성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에 의한 결합력을 더욱 강하게 함으로써 바닥재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바닥재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복수개의 바닥패널이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는 바닥재에 있어서, 일 바닥패널의 일단에 형성되는 홈부; 다른 일 바닥패널의 일단에 상기 홈부에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혀부; 상기 홈부에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에 조립될 때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혀부를 고정시키며,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로부터 분리될 때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혀부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닥재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체{FLOORBOARD AND ROTATION MEMBER USED TO THE SAME}
본 발명은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조립식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는 건물의 바닥을 치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것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바닥재의 고급화 및 기능화의 수요에 목재를 소재로 하는 바닥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목재를 사용한 바닥재는 복수개의 바닥패널을 서로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바닥패널은 목재, 합판, MDF, HDF, PB, PVC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화합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닥패널 상호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닥패널의 장변 및 단변의 측면에 체결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양 측면을 조립식으로 체결하여 조립하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식 구성 중 하나로서 접이식 하방 회전이동(Folding Down) 방식에 의한 체결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체결 방식은 안정적인 수평 방향의 체결력을 제공하지만 수직 방향의 이탈을 저지하는 요소가 없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Folding Down 방식의 체결은 수평 방향의 체결은 안정적인 반면 수직 방향으로 바닥패널이 쉽게 이탈하는 것을 막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Folding Down 방식의 체결에 의해 바닥재를 형성할 때 두 바닥패널의 단변이 서로 맞닿도록 체결된 후 두 바닥패널의 장변 쪽에 제3의 바닥패널을 조립하게 되면 바닥패널의 수직 방향 이탈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는 수직 방향 체결력이 발생하게 되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체결된 두 바닥패널의 맞닿은 단변의 중앙 부분이 서로 갈라지며 어긋나게 솟아오르게 되어 바닥재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패널들을 서로 조립할 때 수평 방향의 체결력은 물론 수직 방향의 체결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바닥패널들의 조립성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에 의한 결합력을 더욱 강하게 함으로써 바닥재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바닥재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바닥패널들을 조립한 후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역방향으로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바닥재 시공에 따른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시키도록 하고 시공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하기 위한 바닥재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복수개의 바닥패널이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는 바닥재에 있어서, 일 바닥패널의 일단에 형성되는 홈부; 다른 일 바닥패널의 일단에 상기 홈부에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혀부; 상기 홈부에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에 조립될 때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혀부를 고정시키며,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로부터 분리될 때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혀부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체는, 상기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회전몸체부와, 상기 회전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혀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회전몸체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혀부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리브와, 상기 회전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혀부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회전몸체부가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턱은 상기 회전몸체부의 일단부 쪽에 소정 길이로 일부분만 형성되어 상기 혀부의 일측단부와 상기 홈부의 일측단부가 서로 맞대어진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혀부가 아래로 회전하여 상기 홈부에 결합될 때 상기 혀부의 타측단부가 상기 구동턱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회전몸체부가 회전하여 상기 걸림리브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회전몸체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리브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구동턱은 상기 혀부의 하단부와 상기 홈부의 바닥 상면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걸림리브가 상기 걸림홈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회전몸체부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리브는 상기 회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일부분만 형성되어 상기 혀부의 일측단부와 상기 홈부의 일측단부가 서로 맞대어진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혀부가 아래로 회전하여 상기 홈부에 결합될 때 상기 혀부의 타측단부가 상기 구동턱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회전몸체부가 회전하여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단변에 돌출되는 하부립에 의해 형성되는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홈부 내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1 바닥패널; 단변에 상기 홈부에 조립되는 혀부가 형성되고 상기 혀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제2 바닥패널; 및 상기 제1 바닥패널의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상기 제2 바닥패널을 상기 제1 바닥패널에 조립할 때 상기 혀부에 의해 구동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홈에 걸리며, 상기 제2 바닥패널을 상기 제1 바닥패널로부터 분리할 때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홈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도록 하는 회전체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바닥패널의 장변에 형성되는 제1 장변 홈부 및 상기 제2 바닥패널의 장변에 형성되는 제2 장변 홈부에 결합되는 장변 혀부를 형성하는 제3 바닥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바닥패널이 상기 제1 바닥패널 및 제2 바닥패널에 대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체가 고정되어 상기 제2 바닥패널에 대한 수직 방향 지지력이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는, 바닥패널의 홈부에 다른 바닥패널의 혀부가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는 바닥재에 이용되는 회전체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일 방향 및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회전몸체부; 상기 회전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혀부에 의해 상기 회전몸체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혀부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리브; 및 상기 회전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혀부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회전몸체부가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턱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리브와 상기 구동턱은 상기 회전몸체부의 회전 중심에 대해 소정 각도 위상차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몸체부, 상기 걸림리브 및 상기 구동턱은 비틀림에 대한 변형이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턱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은 상기 회전몸체부의 내부에 존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턱은 상기 회전몸체부의 일단부 쪽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리브는 상기 회전몸체부의 상기 구동턱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턱과 상기 걸림리브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턱은 상기 회전몸체부의 일단부 쪽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리브는 상기 회전몸체부의 타단부 쪽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턱과 상기 걸림리브는 상기 회전몸체부의 회전 중심에 대해 소정 각도 위상차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선에 수직을 이루는 임의의 수직선이 상기 구동턱과 상기 걸림리브 중 어느 하나만 만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체는 바닥패널들을 서로 조립할 때 수평 방향의 체결력은 물론 수직 방향의 체결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바닥패널들의 조립성을 용이하게 하고 조립에 의한 결합력을 더욱 강하게 함으로써 바닥재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바닥패널들을 조립한 후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역방향으로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바닥재 시공에 따른 시간, 노력 및 비용을 절감시키도록 하고 시공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에서 각 바닥패널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닥패널과 회전체에 관하여 좀 더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닥패널에 이용되는 회전체로서 도 3의 (a)는 사시도를, 도 3의 (b)는 정면도를, 그리고 도 3의 (c)는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또 다른 바닥패널을 결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과정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또 다른 바닥패널이 결합되는 과정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 내지 도 5의 과정에 따라 바닥패널이 결합된 상태에서 또 다른 바닥패널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결합된 바닥패널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체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기본적으로 목재, 합판, MDF, HDF, PB, PVC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화합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MDF는 Medium Density Fiberboard (중간밀도의 파이버보드)를 의미하고, HDF는 High Density Fiberboard (고밀도의 파이버보드)를 의미하며, PB는 Particle Board (파티클보드)를 의미한다. 그리고 PVC는 PolyVinyl Chloride (폴리염화비닐)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복수개의 바닥패널이 상호간의 조립을 통해 시공되는데, 하나의 바닥패널은 단변 및 장변을 가지고 각 단변 및 장변에는 조립을 위한 조립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패널의 일측 장변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타측 장변에는 혀부가 형성되어 바닥패널의 일측 장변의 홈부에 다른 바닥패널의 일측 장변의 혀부가 결합됨으로써 각 바닥패널의 장변끼리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고, 바닥패널의 일측 단변에 홈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변에 혀부가 각각 형성되어 바닥패널의 일측 단변의 홈부에 또 다른 바닥패널의 일측 단변의 혀부가 결합됨으로써 각 바닥패널의 단변끼리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 바닥패널은 다른 바닥패널과 단변끼리 조립되고 또 다른 바닥패널과는 장변끼리 조립되어 전체 바닥재가 이루어진다.
물론 모든 바닥패널의 단변 및 장변에 반드시 조립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단변에만 조립구조가 형성되고 장변에는 아무런 조립구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고, 단변에는 조립구조가 형성되지 않고 장변에만 조립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제1 바닥패널(100)의 장변(110)에 제2 바닥패널(200)의 장변이 결합된 상태인데, 제1 바닥패널(100)의 장변(110)에는 하부립(11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립(111)에는 홈부(112)가 형성되며, 제2 바닥패널(200)의 장변에 형성된 혀부(230)가 상기 제1 바닥패널(100)의 장변(110) 홈부(112)에 결합되어 조립이 이루어진다.
제2 바닥패널(200)은 상기 제1 바닥패널(100)과 결합된 쪽(혀부(230)가 형성된 쪽)의 반대쪽 장변(210)에 하부립(211)이 형성되고 그 하부립(211)에는 홈부(212) 및 단턱부(2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바닥패널(200)의 일측 단변(220)에도 하부립(221)이 형성되고 그 하부립(221)에 홈부(222) 및 단턱부(223)가 형성되어 또 다른 바닥패널의 일측 단변의 혀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패널의 일측 단변에 회전체(300)가 구비되어 일 바닥패널과 다른 바닥패널 사이의 단변끼리의 결합시 상기 회전체(300)가 동작하여 수직 방향의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회전체(300)에 관한 특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2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제2 바닥패널의 일측 단변 부분을 좀 더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고, 도 3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체의 구조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패널(200)의 일측 단변(220)은 하부립(2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립(221)에는 다른 바닥패널의 혀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홈부(222)가 형성되며 다른 바닥패널의 혀부가 홈부(222)에 결합될 때 수평 방향 결합력을 제공하도록 홈부(222)에 단턱부(223)가 형성된다.
바닥패널(200)의 상판부(201)의 상면에는 특정한 무늬나 모양을 표현하기 위해 모양지, 무늬목, 인쇄 등으로 장식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장식층의 상측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패널(200)에서 상판부(201) 네 측면의 모서리(201a)는 경사지게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바닥패널의 측면에 수분의 침투를 억제하는 물질(파라핀, 수지, 오일등)을 도포 또는 함침시켜 수분 및 습기로부터 바닥패널을 보호해주는 기능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닥패널(200)의 하면에는 수지로 함침된 보호층 또는 상면에 형성된 층과 대응되는 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판부(201)과 하부립(221)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3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20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체(300)는 상기 수용홈(202)에 수용된 채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체(300)는 상기 수용홈(202)에 일 방향 및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회전몸체부(310)와, 상기 회전몸체부(3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턱(320)과, 상기 회전몸체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리브(330)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체(300)의 구조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의 (a)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체의 사시도를, (b)는 회전체의 정면도를, 그리고 (c)는 회전체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회전체(300)는 기본적으로 두 바닥패널의 단변끼리의 결합시(일 바닥패널의 일측 단변의 홈부에 다른 바닥패널의 일측 단변의 혀부가 결합할 때) 결합된 두 바닥패널에 대한 수직 방향의 결합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부재이다.
즉 상기 회전체(300)는 홈부가 형성된 바닥패널의 수용홈에 수용되어 다른 바닥패널이 상기 바닥패널에 결합될 때 구동턱(320)을 밀어서 상기 회전몸체부(310)가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리브(330)가 상기 다른 바닥패널의 단부에 걸림으로써 수직 방향 결합력을 제공한다.
이에 관한 두 바닥패널의 결합에 따른 상기 회전체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우선 상기 회전체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회전체(300)의 회전몸체부(310)는 하중을 견디면서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속이 꽉 찬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몸체부(310)는 하중에 의한 뒤틀림으로 말미암은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턱(320)은 회전몸체부(310)의 일측에 소정 길이로 일부분만 형성되며, 걸림리브(330)도 회전몸체부(310)의 타측에 소정 길이로 일부분만 형성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턱(320)과 걸림리브(330)는 회전몸체부(310)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위상차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몸체부(310)의 중심점(C)을 중심으로 구동턱(320)과 걸림리브(330)는 θ만큼의 각도의 차이를 이루는 위치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θ는 대략 90°정도가 되도록 할 수도 있고 그 보다 좀 더 큰 각도가 될 수도 있으며 그 보다 좀 더 작은 각도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턱(320)과 상기 걸림리브(330)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몸체부(3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L)과 수직을 이루는 임의의 수직선(V1, V2)을 그었을 때, 각각의 수직선(V1, V2)은 구동턱(320)이나 걸림리브(330) 중 어느 하나만 만나게 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동턱(320)의 안쪽 단부와 걸림리브(330)의 안쪽 단부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갭(gap)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갭의 값을 g라고 할 때, 상기 g는 0의 값을 가질 수도 있고 그 보다 더 큰 값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갖는 회전체를 이용하여 두 바닥패널의 단변끼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이에 따른 회전체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닥패널(100)에 제2 바닥패널(200)을 장변끼리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3 바닥패널(400)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3 바닥패널(400)과 상기 제1 바닥패널(100)은 장변끼리 결합하고 상기 제3 바닥패널(400)과 상기 제2 바닥패널(200)은 단변끼리 결합한다.
그리고 회전체(300)는 제2 바닥패널(200)의 단변과 제3 바닥패널(400)의 단변 사이에서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바닥패널(400)은 접이식 하방 회전이동 방식, 즉 Folding Down 방식에 의해 이미 결합된 부위의 기준점(SP)을 기준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조립이 이루어진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를 구성하는 모든 바닥패널이 상기한 바와 같은 Folding Down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바닥패널(400)이 Folding Down 방식으로 회전하며 결합,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바닥패널이 S1 상태에서 S2 상태로 기준점(SP)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3 바닥패널(40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 상태에서 S2 상태로 회전하는 동안 회전체(300)는 움직이지 않고 그대로 제2 바닥패널(200)의 수용홈에 수용되어 정지된 상태로 있다.
여기서 제3 바닥패널(400)의 S1 상태는 조립을 위해 제1 바닥패널(100)의 장변 쪽 홈부에 제3 바닥패널(400)의 장변 쪽 혀부를 끼우기 시작하는 상태이고, 제3 바닥패널(400)의 S2 상태는 상기 S1 상태에서의 제3 바닥패널(400)을 도면상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즉 Folding Down 시키면서 제3 바닥패널(400)의 하면이 회전체(300)의 구동턱(320)에 접촉되기 직전 상태이다.
제3 바닥패널(400)이 S1 상태에서 S2 상태로 회전하는 동안 제3 바닥패널(400)과 회전체(300)는 서로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3 바닥패널(400)은 자연스럽게 조립될 수 있다.
왜냐하면 회전체(300)의 구동턱(320)은 회전몸체부(310)의 일측에 일부분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3 바닥패널(400)이 S1 상태에서 S2 상태로 회전하면서 구동턱(320)과 만나지 않는 동안에는 회전체(300)가 움직이지 않는다.
상기 제3 바닥패널(400)의 조립 상태가 S2 상태일 때의 측단면을 도 6에서 나타내고 있다.
회전체(3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전에 바닥패널의 단변 쪽 구조에 관하여 먼저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닥패널(200)의 하부립(221)에 형성된 홈부(222)에는 제3 바닥패널(400)의 혀부(420)가 결합된다.
홈부(222) 쪽에는 상판부(201)와 하부립(221) 사이에 수용홈(20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02)에는 회전체(300)가 수용된다.
수용홈(202)의 상부 쪽으로는 벽부(203)가 형성되고, 수용홈(202)의 하부 쪽으로는 안착부(224)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24)는 홈부(222)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부(222)의 단부에는 단턱부(22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혀부(420)는 제3 바닥패널(400)의 상판부(401) 아랫부분에 형성되는데, 상기 홈부(222)에 안착되는 혀하단부(422)가 형성되며, 상기 혀하단부(422) 안쪽에는 상기 단턱부(423)를 수용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단턱수용부(423)가 형성되고 상기 혀하단부(422) 바깥쪽에는 상기 안착부(224)에 대응되는 작용부(42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용부(424)와 상판부(401) 사이에는 걸림홈(425)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홈(425)은 바닥패널 사이의 혀부와 홈부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회전체(300)의 걸림리브(330)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3 바닥패널(400)을 아랫방향으로 좀 더 회전시키면 상기 혀부(420)의 혀하단부(422) 또는 작용부(424)는 회전체(300)의 구동턱(320)과 만나게 되고 상기 구동턱(320)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구동턱(320)이 상기 혀부(420)의 혀하단부(422) 또는 작용부(424)에 의해 가압되어 구동되면 상기 회전몸체부(310)는 상기 수용홈(202)에 수용된 상태로 그대로 도면상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몸체부(310)가 회전하면서 걸림리브(330)는 혀부(420)의 걸림홈(425)에 수용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구조를 이루게 된다.
정리하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바닥패널(400)을 제2 바닥패널(200)에 대해 Folding Down 방식으로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제3 바닥패널(400)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키는데, 이때 S1 상태에서 S2 상태까지, 즉 제3 바닥패널(400)의 하단이 구동턱(320)과 만나기 전까지는 회전체(300)가 제3 바닥패널(40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자연스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3 바닥패널(400)의 혀하단부(422) 또는 작용부(424)가 구동턱(320)을 가압하면서 회전몸체부(310)가 회전체(300)의 회전 중심(C)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걸림리브(330)가 혀부의 걸림홈(425)에 걸리게 됨으로써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회전체(300)의 회전 중심(C)은 회전몸체부(3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300)의 회전 중심(C)은 실질적으로 회전몸체부(310)의 중심점이 되도록 한다.
즉 회전체(300)는 구동턱(320)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될 때 수용홈(202)을 벗어나지 않고 그 자리에서 회전 중심(C)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걸림리브(330)를 걸림홈(425)에 걸리도록 한다.
그런데, 제2 바닥패널(200)과 제3 바닥패널(400)을 서로 회전체(300)를 매개로 조립한 것만으로 수직 방향의 체결력이 완전하게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 바닥패널(200)의 홈부에 제3 바닥패널(400)의 혀부를 결합시키고 이에 따라 회전체(300)의 걸림리브(330)가 혀부의 걸림홈(425)에 걸린 상태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3 바닥패널(400)을 위로 들어 올리면(Folding Down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들어 올리면) 회전체(300)는 반대로 회전하여 걸림리브(330)가 걸림홈(425)으로부터 이탈되어 제3 바닥패널(400)은 손쉽게 분리가 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 바닥패널(200)에 제3 바닥패널(400)을 결합시킨 후 회전체(300)에 의한 결합력이 확정적으로 발생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바닥패널,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바닥패널(500)을 제2 바닥패널(200)의 장변과 제3 바닥패널(400)의 장변에 동시에 결합시킴으로써 비로소 상기 회전체(300)에 의한 결합력이 확정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즉 제1 바닥패널(100)에 대해 제2 바닥패널(200)의 장변을 결합시키고 제2 바닥패널(200)의 단변에 대해 제3 바닥패널(400)을 결합시키며, 이때 제2 바닥패널(200)의 단변과 제3 바닥패널(400)의 단변 사이에는 회전체(300)가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바닥패널(200)의 장변과 제3 바닥패널(400)의 장변에 대해 제4 바닥패널(500)의 장변을 결합함으로써 회전체(300)에 의한 결합력이 발생하여 제2 바닥패널(200) 또는 제3 바닥패널(400)의 수직 방향 이탈을 안정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되고 제2 바닥패널(200)과 제3 바닥패널(400)의 맞닿은 단변의 중앙 부분이 서로 갈라지며 어긋나게 되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바닥패널들을 서로 조립하다가 어느 바닥패널에 문제가 발생하여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회전체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문제가 된 바닥패널을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문제가 된 바닥패널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조립된 바닥패널들을 분리하여야 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4 바닥패널을 제거하게 되면 제3 바닥패널(400)을 도면상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제2 바닥패널(200)의 장변과 제3 바닥패널(400)의 장변에 대해 결합되어 있는 제4 바닥패널(미도시)을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제4 바닥패널을 분리하게 되면 회전체(300)는 확정적인 결합력을 잃게 되어 가고정의 상태가 되어 제3 바닥패널(400)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은 제3 바닥패널(400)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닥패널(200)에 제3 바닥패널(400)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3 바닥패널(400)을 위로 회전시키면서 들어올리게 되면, 제3 바닥패널(400)의 걸림홈(425)에 걸린 회전체(300)의 걸림리브(330)가 가압되면서 회전몸체부(310)가 회전 중심(C)을 중심으로 반대로 회전하게 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바닥패널(400)이 손쉽게 분리된다.
따라서 종래에 바닥패널들을 조립한 후 문제가 된 바닥패널을 제거하기 위해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복잡했던 문제점을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회전체의 구조적 특징으로 말미암아 분리를 매우 용이하게 함으로써 완전히 해결하고 있다.
100:제1 바닥패널 200:제2 바닥패널
202:수용홈 210:장변
220:단변 221:하부립
222:홈부 223:단턱부
224:안착부 300:회전체
310:회전몸체부 320:구동턱
330:걸림리브 400:제3 바닥패널
420:혀부 422:혀하단부
423:단턱수용부 424:작용부

Claims (15)

  1. 복수개의 바닥패널이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는 바닥재에 있어서,
    일 바닥패널의 일단에 형성되는 홈부;
    다른 일 바닥패널의 일단에 상기 홈부에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혀부;
    상기 홈부에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에 조립될 때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혀부를 고정시키며,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로부터 분리될 때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혀부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며 그의 양 단부를 일치 시켜 중앙을 기준으로 접었을 때 서로 비대칭인 회전체;
    를 포함하는 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회전몸체부와,
    상기 회전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혀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회전몸체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혀부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리브와,
    상기 회전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혀부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회전몸체부가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턱은 상기 회전몸체부의 일단부 쪽에 소정 길이로 일부분만 형성되어 상기 혀부의 일측단부와 상기 홈부의 일측단부가 서로 맞대어진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혀부가 아래로 회전하여 상기 홈부에 결합될 때 상기 혀부의 타측단부가 상기 구동턱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회전몸체부가 회전하여 상기 걸림리브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회전몸체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리브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구동턱은 상기 혀부의 하단부와 상기 홈부의 바닥 상면 사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혀부가 상기 홈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걸림리브가 상기 걸림홈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회전몸체부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리브는 상기 회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일부분만 형성되어 상기 혀부의 일측단부와 상기 홈부의 일측단부가 서로 맞대어진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혀부가 아래로 회전하여 상기 홈부에 결합될 때 상기 혀부의 타측단부가 상기 구동턱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회전몸체부가 회전하여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7. 단변에 돌출되는 하부립에 의해 형성되는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홈부 내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1 바닥패널;
    단변에 상기 홈부에 조립되는 혀부가 형성되고 상기 혀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제2 바닥패널; 및
    상기 제1 바닥패널의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상기 제2 바닥패널을 상기 제1 바닥패널에 조립할 때 상기 혀부에 의해 구동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홈에 걸리며, 상기 제2 바닥패널을 상기 제1 바닥패널로부터 분리할 때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홈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도록 하는 회전체;
    를 포함하는 바닥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패널의 장변에 형성되는 제1 장변 홈부 및 상기 제2 바닥패널의 장변에 형성되는 제2 장변 홈부에 결합되는 장변 혀부를 형성하는 제3 바닥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바닥패널이 상기 제1 바닥패널 및 제2 바닥패널에 대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체가 고정되어 상기 제2 바닥패널에 대한 수직 방향 지지력이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9. 바닥패널의 홈부에 다른 바닥패널의 혀부가 서로 조립됨으로써 형성되는 바닥재에 이용되는 회전체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일 방향 및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회전몸체부;
    상기 회전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혀부에 의해 상기 회전몸체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혀부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리브; 및
    상기 회전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혀부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회전몸체부가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턱;
    을 포함하는 바닥재에 이용되는 회전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리브와 상기 구동턱은 상기 회전몸체부의 회전 중심에 대해 소정 각도 위상차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몸체부, 상기 걸림리브 및 상기 구동턱은 비틀림에 대한 변형이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턱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은 상기 회전몸체부의 내부에 존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턱은 상기 회전몸체부의 일단부 쪽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리브는 상기 회전몸체부의 상기 구동턱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턱과 상기 걸림리브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턱은 상기 회전몸체부의 일단부 쪽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리브는 상기 회전몸체부의 타단부 쪽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턱과 상기 걸림리브는 상기 회전몸체부의 회전 중심에 대해 소정 각도 위상차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선에 수직을 이루는 임의의 수직선이 상기 구동턱과 상기 걸림리브 중 어느 하나만 만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턱은 상기 회전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부 쪽에 소정 길이로 일부분만 형성되고 상기 걸림리브는 상기 구동턱이 형성된 반대 쪽의 일단부에 다른 위상차를 갖고 소정 길이로 일부분만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체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선에 수직을 이루는 임의의 수직선이 상기 구동턱과 상기 걸림리브 중 어느 하나만 만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턱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은 상기 회전몸체부의 중심 혹은 그의 부근에 존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바닥패널의 홈부에 상기 제2 바닥패널의 혀부가 결합함에 따라 상기 회전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걸림리브가 상기 제2 바닥패널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림리브가 상기 걸림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닥패널의 혀부를 상기 제1 바닥패널의 홈부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상기 회전체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걸림리브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홈부와 혀부의 분리가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KR1020100119642A 2010-03-02 2010-11-29 바닥재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체 KR101245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8434 2010-03-02
KR1020100018434 2010-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621A true KR20110099621A (ko) 2011-09-08
KR101245963B1 KR101245963B1 (ko) 2013-03-21

Family

ID=4454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642A KR101245963B1 (ko) 2010-03-02 2010-11-29 바닥재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90250B2 (ko)
KR (1) KR101245963B1 (ko)
CA (1) CA2791696C (ko)
WO (1) WO201110881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0724A1 (en) * 2018-10-05 2020-04-09 Nhon Hoa Nguyen Clamping device for joining boar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3633B (zh) 2010-01-14 2016-03-02 巴尔特利奥-斯巴诺吕克斯股份公司 地板组件及其采用的地板
DE102010012572B3 (de) * 2010-03-23 2011-07-14 Fritz Egger Gmbh & Co. Og System von wenigstens zwei Paneelen
DE212010000195U1 (de) 2010-04-15 2012-08-06 Spanolux N.V. Div. Balterio Bodenplattenanordnung
US8806832B2 (en) 2011-03-18 2014-08-19 Inotec Global Limited Vertical joint system and associated surface covering system
US9725912B2 (en) 2011-07-11 2017-08-08 Ceraloc Innovation Ab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US8650826B2 (en) 2011-07-19 2014-02-18 Valinge Flooring Technology Ab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US8857126B2 (en) 2011-08-15 2014-10-14 Valinge Flooring Technology Ab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US9216541B2 (en) 2012-04-04 2015-12-22 Valinge Innovation Ab Method for producing a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building panels
CN104870726B (zh) 2012-09-19 2017-11-07 依诺泰克环球有限公司 饰面板材及相关锁扣系统
JP6397009B2 (ja) 2013-06-27 2018-10-10 ベーリンゲ、イノベイション、アクチボラグVaelinge Innovation Ab 機械式係止システムを持つ建材パネル
DE102013113874A1 (de) * 2013-12-11 2015-06-11 Guido Schulte Wand-, Boden oder Deckenpaneelsystem mit Wechseldiele
WO2015144726A1 (en) 2014-03-24 2015-10-01 Ivc N.V. A set of mutually lockable panels
US9260870B2 (en) 2014-03-24 2016-02-16 Ivc N.V. Set of mutually lockable panels
US10246883B2 (en) 2014-05-14 2019-04-02 Valinge Innovation Ab Building panel with a mechanical locking system
CN107002411B (zh) 2014-11-27 2020-06-16 瓦林格创新股份有限公司 用于地板镶板的机械锁定系统
KR102434995B1 (ko) 2014-12-22 2022-08-23 세라록 이노베이션 에이비 플로어 패널들용 기계적 잠금 시스템
EP3247844B1 (en) 2015-01-16 2022-03-16 Ceraloc Innovation AB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MX2021008215A (es) 2019-01-10 2021-08-11 Vaelinge Innovation Ab Conjunto de paneles que se pueden desbloquear verticalmente, un metodo y un dispositivo para eso.
EP3971364A1 (de) * 2020-09-17 2022-03-23 Surface Technologies GmbH & Co. KG Paneel
CN112854646B (zh) * 2021-03-04 2022-05-17 惠州市山宝实业有限公司 基于建筑装饰的保温隔板结构
KR102551273B1 (ko) 2021-10-07 2023-07-04 (주)신화 회전형 데크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9076C2 (sv) * 2005-07-11 2007-04-24 Pergo Europ Ab En fog till paneler
DE102006011887A1 (de) * 2006-01-13 2007-07-19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Sperrelement, Paneel mit separatem Sperrelement, Verfahren zur Installation eines Paneelbelags aus Paneelen mit Sperrelementen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ormontage eines Sperrelements an einem Paneel
KR200428422Y1 (ko) 2006-07-13 2006-10-11 이멕시스 주식회사 복합목 바닥재
DE102006037614B3 (de) * 2006-08-10 2007-12-20 Guido Schulte Fußbodenbelag und Verlegeverfahren
KR100753474B1 (ko) 2006-09-05 2007-08-29 조중하 복합창호새시
SE531111C2 (sv) * 2006-12-08 2008-12-23 Vaelinge Innovation Ab Mekanisk låsning av golvpaneler
US8220217B2 (en) * 2007-07-20 2012-07-17 Innovaris Ag Flooring system
US7726088B2 (en) * 2007-07-20 2010-06-01 Moritz Andre Muehlebach Flooring system
DE102007042250B4 (de) * 2007-09-06 2010-04-22 Flooring Technologies Ltd. Einrichtung zur Verbindung und Verriegelung zweier Bauplatten, insbesondere Fussbodenpaneele
BE1018627A5 (nl) * 2009-01-16 2011-05-03 Flooring Ind Ltd Sarl Vloerpaneel.
KR100918281B1 (ko) 2009-04-16 2009-09-18 주식회사 마이 샤시 프레임 결합구조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0724A1 (en) * 2018-10-05 2020-04-09 Nhon Hoa Nguyen Clamping device for joining boa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90250B2 (en) 2013-11-26
KR101245963B1 (ko) 2013-03-21
CA2791696C (en) 2015-05-12
CA2791696A1 (en) 2011-09-09
WO2011108812A3 (ko) 2011-12-29
WO2011108812A2 (ko) 2011-09-09
US20120317916A1 (en)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963B1 (ko) 바닥재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체
RU2322557C2 (ru) Система настила полов и способ ее установки (варианты)
RU2285777C2 (ru) Покрытие для пола
KR102067469B1 (ko) 플로어 패널들을 위한 기계적 잠금 시스템
JP7051828B2 (ja) 鉛直方向の変位により組み付けられ鉛直方向及び水平方向に一体に係止されるパネルのセット
US8234830B2 (en)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US8776473B2 (en)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CA2213757C (en) Flooring panel or wall panel and use thereof
KR102058467B1 (ko) 플로어 패널용 기계적 잠금 시스템
RU2602850C2 (ru) Система механического замк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ля панелей напольных покрытий
CA2969191A1 (en)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HUE033147T2 (en) Panel that can be connected to similar panels to create a floor covering
HU229772B1 (hu) Négyszögletes padlóelemekbõl kialakított padlózat
PT1642751E (pt) Revestimento de pavimentos
BR112014002872B1 (pt) painéis de construção providos com um sistema de travamento
RU2415234C2 (ru) Ламинатные панели пола
KR101885577B1 (ko) 바닥재
JP6486064B2 (ja) 框組扉
JP2015172310A (ja) 枠材及びこれを備えた建具装置
JP2009127367A (ja) 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