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845A - 바닥재 - Google Patents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845A
KR20170128845A KR1020160059399A KR20160059399A KR20170128845A KR 20170128845 A KR20170128845 A KR 20170128845A KR 1020160059399 A KR1020160059399 A KR 1020160059399A KR 20160059399 A KR20160059399 A KR 20160059399A KR 20170128845 A KR20170128845 A KR 20170128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anel
groove
receiving
tongu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5577B1 (ko
Inventor
오광석
Original Assignee
오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광석 filed Critical 오광석
Priority to KR1020160059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57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1Strips or bars, e.g. nail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조립되어 시공되는 바닥 패널들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체결부재가 견고한 결합을 위해 두 바닥 패널의 조립을 방해함으로써 바닥 패널들의 조립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닥 패널들 사이에 개재되는 기동지지부재가 두 바닥 패널의 조립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도 두 바닥 패널이 기동지지부재를 사이에 두고 조립된 상태에서 다른 바닥 패널의 결합에 따라 가해지는 정도의 외력 또는 별도의 간단한 외력으로 상기 조립된 두 바닥 패널 사이의 수용홈 내에서 기동을 하여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 패널들의 조립에 따른 보조적인 체결력을 제공하면서도 바닥 패널들의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는 바닥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닥재{FLOORBOARD}
본 발명은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조립식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재는 건물의 바닥을 치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설치 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 패널에 형성된 결합 요소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바닥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바닥 패널들은 목재(목분),코르크, 합판, MDF, HDF, PB , PVC, PLASTIC MATERIAL, STONE, CERAMIC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화합물등의 기본 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닥재의 기능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상기의 재질들을 서로 혼합하거나 혹은 적층하여 만들어진 재질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또한 상기의 재질로 형성된 바닥 패널들은 그의 상부에 장식층(인쇄된 종이,무늬목,인쇄된 PLASTIC MATERIAL)을 구비하고, 그의 상부에 Lacquer를 도포하거나 Al2O3가 함유된 보호층을 구비 하기도 하고, 하부에는 foam이나 cork등을 사용하여 바닥재의 균형을 잡거나 쿳션을 보강하기도 하며, 바닥 패널 상호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닥 패널의 모든 측면에 구조적 결합 요소를 구비하며 접착제나 못을 사용하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적 결합 요소에 의해 바닥 패널 상호간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바닥재에 관하여, 공개번호 US 2013/0309441, US 2014/0283477, US 2011/0131909, US 2012/0233948, US 2013/0291467, US 2014/0137506 등의 선행기술문헌 들을 통해 다양한 구조의 구조적 결합 요소를 갖는 바닥재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바닥 패널 자체의 구조적 결합 요소를 이용하여 바닥 패널 상호간을 조립하여 바닥재를 시공하는 경우, 강질의 소재를 사용하는 바닥재에서는 재질의 탄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결합(억지끼움 방식) 당시에 체결 요소들이 파손될 가능성이 높고 또한 연질의 소재를 사용하는 바닥재는 체결 요소들의 변화로 인하여 충분한 체결력을 확보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바닥 패널들의 체결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일 바닥 패널에 보조체결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다른 바닥 패널을 결합시키는 방식의 바닥재에 관한 기술도 등장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출원 제2010-7011609호, 특허출원 제2009-7012416호, 특허출원 제2016-7001077호 등의 선행기술문헌을 통해 바닥 패널 사이에 보조체결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조립이 이루어지는 바닥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상기 보조체결부재가 일 바닥 패널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일 바닥 패널을 조립할 때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을 하기 때문에, 상기 보조체결부재의 강성에 따라 바닥 패널의 조립이 매우 어렵거나 조립 과정에서 바닥 패널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보조체결부재를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바닥 패널 사이의 조립이 상기 보조체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이 되기 때문에 온도에 따라 상기 보조체결부재의 부피 팽창이 발생하는 경우 바닥 패널 사이의 조립이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닥 패널 내부와 상기 보조체결부재 사이에 적당한 간격(틈)이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그 간격만큼 바닥 패널이 고정되지 않고 유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바닥 패널 사이의 조립이 상기 보조체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이 되기 때문에 한번 조립이 이루어진 후에는 바닥 패널의 분리가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서로 조립되어 시공되는 바닥 패널들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체결부재가 견고한 결합을 위해 두 바닥 패널의 조립을 방해함으로써 바닥 패널들의 조립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닥 패널들 사이에 개재되는 기동지지부재가 두 바닥 패널의 조립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도 두 바닥 패널이 기동지지부재를 사이에 두고 조립된 상태에서 다른 바닥 패널의 결합에 따라 가해지는 정도의 외력 또는 별도의 간단한 외력으로 상기 조립된 두 바닥 패널 사이의 수용홈 내에서 기동을 하여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 패널들의 조립에 따른 보조적인 체결력을 제공하면서도 바닥 패널들의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는 바닥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바닥패널 각각이 서로 혀부-홈부 결합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바닥재는, 일단에 상기 홈부를 형성하는 제1 바닥패널; 및 일단에 상기 혀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바닥패널의 홈부와 상기 혀부-홈부 결합하는 제2 바닥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닥패널의 상기 홈부가 형성된 면에 형성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바닥패널의 상기 혀부가 형성된 면에 형성되는 제2 수용부가 상기 제1 바닥패널과 제2 바닥패널의 상기 혀부-홈부 결합에 의해 서로 마주하여 수용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수용홈 내에서 상기 제1 바닥 패널과 상기 제2 바닥 패널의 조립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기동하는 기동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동지지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되는 크기의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일단부에서 소정 각도로 꺾여서 연장 형성되는 꺾임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바닥 패널과 제2 바닥 패널이 조립되고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기동지지부재를 상기 수용홈에 끼워넣기 위해 상기 꺾임부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제2 수용부로 진입하도록 기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동지지부재는, 상기 꺾임부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가 회동 동작 또는 휘어짐 동작 또는 회동 및 휘어짐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제2 수용부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기동지지부재가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에 걸쳐서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동지지부재는, 상기 꺾임부에 외력이 가해져도 형상이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경질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꺾임부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꺾임부가 만나는 모서리부와 상기 제1 수용부 벽의 접점에서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의 단부가 회동하면서 상기 제2 수용부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기동지지부재가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에 걸쳐서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동지지부재는, 상기 꺾임부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연질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부에는 형상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꺾임부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꺾임부가 만나는 모서리부와 상기 제1 수용부 벽의 접점에서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가 휘어짐 동작 또는 회동 및 휘어짐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제2 수용부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기동지지부재가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에 걸쳐서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동지지부재는, 상기 샤프트부의 폭이 상기 제1 수용부의 폭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샤프트부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꺾임부의 단부까지의 폭이 상기 수용홈의 폭보다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꺾임부의 단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꺾임부가 만나는 모서리부가 상기 제1 수용부 벽에 접점을 형성하면서 반발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는, 복수개의 바닥패널 각각의 장변끼리 서로 혀부-홈부 결합하고 단변끼리 서로 혀부-홈부 결합하여 서로 조립되는 바닥재로서, 단변에 돌출되는 하부립에 의해 형성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제1 바닥패널; 및 단변에 상기 제1 바닥패널의 홈부와 상기 혀부-홈부 결합하도록 혀부를 형성하는 제2 바닥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닥패널의 상기 홈부가 형성된 단변에 형성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바닥패널의 상기 혀부가 형성된 단변에 형성되는 제2 수용부가 상기 제1 바닥패널의 단변과 제2 바닥패널의 단변의 상기 혀부-홈부 결합에 의해 서로 마주하여 수용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수용홈 내에서 상기 제1 바닥 패널과 상기 제2 바닥 패널의 조립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기동하는 기동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동지지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되는 크기의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일단부에서 소정 각도로 꺾여서 연장 형성되는 꺾임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바닥 패널의 단변과 제2 바닥 패널의 단변이 상기 혀부-홈부결합하고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닥 패널의 장변에 형성되는 제1 장변 홈부 및 상기 제2 바닥 패널의 장변에 형성되는 제2 장변 홈부에 결합되는 장변 혀부를 형성하는 제3 바닥 패널이 상기 제1 바닥 패널 및 제2 바닥 패널에 대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기동지지부재의 꺾임부에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제2 수용부로 진입하도록 기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패널은 목재(목분), 코르크,합판,, MDF, HDF, PVC, PLASTIC MATERIAL,STONE,CERAMIC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을 적층 조합하여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바닥 패널은 상부에 장식층(인쇄된 종이,무늬목,인쇄된 PLASTIC MATERIAL중에서 선택된)을 구비 하거나, 장식층의 상부에 UV MATERIAL를 도포하거나, Al2O3가 함유된 보호층을 구비 하며, 상기의 바닥 패널의 하부에는 foam, cork, 수지 함침층 등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바닥 패널들 사이에 개재되는 기동지지부재가 두 바닥 패널의 조립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도 두 바닥 패널이 기동지지부재를 사이에 두고 조립된 상태에서 다른 바닥 패널의 결합에 따라 가해지는 정도의 외력 또는 별도의 간단한 외력으로 상기 조립된 두 바닥 패널 사이의 수용홈 내에서 기동을 하여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 패널들의 조립에 따른 보조적인 체결력을 제공하면서도 바닥 패널들의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에서 두 바닥 패널 사이에서 '혀부-홈부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에서 단변에 홈부가 형성된 바닥 패널과 기동지지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에서 기동지지부재가 두 바닥 패널의 단변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바닥 패널들을 조립하는 과정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에서 제1 바닥 패널과 제2 바닥 패널이 서로 단변끼리 혀부-홈부 결합한 상태일 때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의 기동지지부재가 수용홈 내부에서 외력에 의해 기동하는 과정을 (a), (b) 및 (c)를 통해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에서 단변에 홈부가 형성된 바닥 패널과 연질 재질의 기동지지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에서 제1 바닥 패널과 제2 바닥 패널이 서로 단변끼리 혀부-홈부 결합한 상태일 때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의 연질 재질의 기동지지부재가 수용홈 내부에서 외력에 의해 기동하는 과정을 (a), (b) 및 (c)를 통해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바닥 패널들은 목재(목분),코르크, 합판, MDF, HDF, PB , PVC, PLASTIC MATERIAL, STONE, CERAMIC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화합물등의 기본 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닥재의 기능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상기의 재질들을 서로 혼합하거나 혹은 적층하여 만들어진 재질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또한 상기의 재질로 형성된 바닥 패널들은 그의 상부에 장식층(인쇄된 종이,무늬목,인쇄된 PLASTIC MATERIAL)을 구비하고, 그의 상부에 Lacquer를 도포하거나 Al2O3가 함유된 보호층을 구비 하기도 하고, 하부에는 foam이나 cork등을 사용하여 바닥재의 균형을 잡거나 쿠션을 보강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는 기본적으로 목재, 합판, MDF, HDF, PB, PVC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화합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MDF는 Medium Density Fiberboard (중간밀도의 파이버보드)를 의미하고, HDF는 High Density Fiberboard (고밀도의 파이버보드)를 의미하며, PB는 Particle Board (파티클보드)를 의미한다. 그리고 PVC는 PolyVinyl Chloride (폴리염화비닐)을 의미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에서 두 바닥 패널 사이에서 '혀부-홈부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재는 복수개의 바닥패널(1, 2, 3 등)이 상호간의 조립을 통해 시공되는데, 각각의 바닥패널(2)은 단변(2S1, 2S2) 및 장변(2L1, 2L2))을 가지고 각 단변 및 장변에는 조립을 위한 조립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패널(2)의 일측 단변(2S1)에는 홈부(22)가 형성되고 타측 단변(2S2)에는 혀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일 바닥패널(2)의 일측 단변(2S1)의 홈부(22)에 다른 바닥패널(3)의 일측 단변(3S2)의 혀부(42)가 결합됨으로써 각 바닥패널의 단변끼리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바닥패널의 단변끼리 홈부에 혀부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되는 것을 '혀부-홈부 결합'이라 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두 바닥패널의 단변끼리의 결합뿐만 아니라 장변끼리의 ㄱ결합 역시 상기한 '혀부-홈부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바닥패널의 일측 장변에 홈부가 형성되고 타측 장변에 혀부가 각각 형성되어 두 바닥패널의 단변끼리 서로 '혀부-홈부 결합'을 한 상태에서 또 다른 바닥패널의 장변이 상기 두 바닥패널의 장변에 '혀부-홈부 결합' 방식으로 조립됨으로써 다수의 바닥패널이 조립되어 바닥재를 형성하게 된다.
물론 모든 바닥패널의 단변 및 장변에 반드시 조립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단변에만 조립구조가 형성되고 장변에는 아무런 조립구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고, 단변에는 조립구조가 형성되지 않고 장변에만 조립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바닥패널(2)의 일측 단변(2S1)에 형성된 제1 수용부(202)와 다른 바닥패널(3)의 일측 단변(3S2)에 형성된 제2 수용부(402)가, 두 바닥패널의 단변끼리 혀부(42) 및 홈부(22)의 결합에 따라 서로 대응되어 하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용공간을 수용홈이라 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에서는, 상기한 일 바닥패널의 일측 단변에 형성된 제1 수용부와 다른 바닥패널의 일측 단변에 형성된 제2 수용부가 대응되어 수용홈을 형성하고, 그 수용홈에 별도의 보조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두 바닥패널 사이에 보조적인 체결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방식의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에서는 상기한 보조체결부재로서 '기동지지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제1 바닥패널(200)의 단변에 형성되는 제1 수용부(202)에 기동지지부재(300)가 삽입되는 것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패널(200)의 일측 단변은 하부립(22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립(221)에는 다른 바닥패널의 혀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홈부(222)가 형성되며 다른 바닥패널의 혀부가 홈부(222)에 결합될 때 수평 방향 결합력을 제공하도록 홈부(222)에 단턱부(223)가 형성된다.
바닥패널(200)의 상판부(201)의 상면에는 특정한 무늬나 모양을 표현하기 위해 모양지, 무늬목, 인쇄 등으로 장식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장식층의 상측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패널(200)에서 상판부(201) 네 측면의 모서리는 경사지게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바닥패널의 측면에 수분의 침투를 억제하는 물질(파라핀, 수지, 오일등)을 도포 또는 함침시켜 수분 및 습기로부터 바닥패널을 보호해주는 기능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닥패널(200)의 하면에는 수지로 함침된 보호층 또는 상면에 형성된 층과 대응되는 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판부(201)와 하부립(221) 사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동지지부재(3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1 수용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기동지지부재(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용부(202)에 수용되는 크기로서 상기 제1 수용부(202)의 그루브된 형상에 맞도록 긴 막대 형상의 샤프트부(310)와, 상기 샤프트부(310)의 일단부에서 소정 각도로 꺾여서 연장 형성되는 꺾임부(320), 그리고 기동지지부재가 홈부 내부에서 기동함에 따라 회동 동작을 할 때 회동의 중심이 되는 모서리부(3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동지지부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부(310)가 제1 수용부(202)에 수용되도록 하는데, 이때 꺾임부(320)가 제1 수용부(202)의 외부로 소정 돌출되도록 한다.
한편, 각 바닥 패널(100, 200 등)의 장변(104, 204 등)에는 혀부-홈부 결합을 위한 홈부(110, 21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동지지부재(300)를 제1 바닥 패널(200)의 단변의 제1 수용부(202)에 삽입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닥 패널(400)을 조립된 바닥패널(100)의 장변에 혀부-홈부 결합을 시키면서 folding down 방식으로 제1 바닥 패널(200)의 단변에 형성된 홈부에 제2 바닥 패널(400)의 단변(401)에 형성된 혀부(미도시)를 혀부-홈부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기동지지부재(300)는 샤프트부(310)가 제1 바닥 패널(200)의 단변에 형성된 제1 수용부(202)에 수용이 된 상태이므로, 제2 바닥 패널(400)의 단변(401)을 제1 바닥 패널(200)의 단변과 혀부-홈부 결합을 시킴에 있어 그 어떤 방해 없이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두 바닥 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체결부재가 두 바닥 패널의 단변끼리의 결합이 억지끼움으로 결합이 되도록 함으로써 두 바닥 패널 사이의 단변끼리의 결합이 보조체결부재에 의해 방해를 받는 구조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에서는 제1 바닥 패널(200)의 제1 수용부(202)에 기동지지부재(300)의 샤프트부(310)가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놓이기 때문에 제2 바닥 패널(400)의 단변(401)이 혀부-홈부 결합을 하는데 아무런 방해 없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면 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2 바닥 패널(400)의 단변(401) 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바닥 패널(200)의 단변에 형성된 제1 수용부(202)와 대응되는 제2 수용부(40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 바닥 패널(200)과 제2 바닥 패널(400)이 혀부-홈부 결합을 함에 따라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가 서로 맞대어져서 하나의 수용공간, 즉 수용홈을 형성하게 되며(도 1 참조) 그 수용홈에는 상기한 기동지지부재(300)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바닥 패널(200)과 제2 바닥 패널(400)이 단변끼리 혀부-홈부 결합을 하고 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동지지부재(300)가 두 바닥 패널(200, 400)의 단변끼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홈(H)에 삽입된 상태가 되고 상기 기동지지부재(300)의 꺾임부(320)가 수용홈(H)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제3 바닥 패널(500)의 장변(504)에 형성된 혀부를, 제1 바닥 패널(200)의 장변(204) 및 제2 바닥 패널(400)의 장변(404)에 형성된 홈부에 혀부-홈부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제3 바닥 패널(500)의 장변(504)이 제1 바닥 패널(200)의 장변(204) 및 제2 바닥 패널(400)의 장변(404)에 외력(F)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3 바닥 패널(500)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상기한 수용홈(H)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기동지지부재(300)의 꺾임부(320)의 단부에 상기한 외력(F)이 전달되고, 그 외력(F)에 의해 기동지지부재가 수용홈(H) 내부로 더 끼워넣어지게 되고 상기 수용홈(H)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기동지지부재의 샤프트부가 상기 수용홈(H) 내부에서 기동하여 제1 바닥 패널(200)의 단변과 제2 바닥 패널의 단변 사이의 결합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기동지지부재(300)를 수용홈 내부로 더 끼워넣어지게 하기 위해 제3 바닥 패널을 조립하도록 하면서 자연스럽게 외력을 가하게 되는 경우는 물론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임의로 외력을 가하여 상기 기동지지부재가 수용홈 내부로 더 끼워넣어지게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서는 제1 바닥 패널(200)과 제2 바닥 패널(400)이 서로 단변끼리 혀부-홈부 결합한 상태일 때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의 기동지지부재가 수용홈 내부에서 외력에 의해 기동하는 과정을 (a), (b) 및 (c)를 통해 단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1 바닥 패널(200)과 제2 바닥 패널(400)의 혀부-홈부 결합에 따라 제1 바닥 패널(200)의 홈부(222)에 제2 바닥 패널(400)의 혀부(422)가 결합되고 이때 제1 바닥 패널(200)의 단턱부(223)가 제2 바닥 패널(400)의 단턱수용부(423)에 수용되어 수평방향의 체결력을 발생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의 (a), (b) 및 (c)는 기동지지부재(300)가 수용홈(H)에 수용되어 기동하는 것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보는 시각으로 도시를 한 것이다.
제1 바닥 패널(200)의 제1 수용부(202)와 제2 바닥 패널(400)의 제2 수용부(404)가 형성하는 수용홈(H) 내부에서 상기 기동지지부재(30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부(310)가 제1 수용부(202)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부(310)의 폭(b-b')이 상기 제1 수용부(202)의 폭(d-d')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부(310)가 상기 제1 수용부(202)에 수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샤프트부(310)가 제1 수용부(202)에 완전히 수용이 되도록 함으로써 제1 바닥 패널(200)에 대해 제2 바닥 패널(400)이 조립될 때 상기 기동지지부재(300)가 그 조립을 전혀 방해하지 않게 되어 조립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동지지부재(300)는 상기 샤프트부(310)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꺾임부(320)의 단부까지의 폭(B-B')이 상기 수용홈(H)의 폭(W-W')보다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꺾임부(320)의 단부에 가해지는 외력(F)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310)와 상기 꺾임부(320)가 만나는 모서리부(321)가 상기 제1 수용부(202) 벽에 접점(Q)을 형성하면서 외력(F)에 대한 반발력이 상기 접점(Q)에서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샤프트부(310)가 수용홈(H) 내에서 상기 모서리부(321)를 중심으로 하여 제2 수용부(402) 쪽으로 화살표(r) 방향으로 회동하여 진입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기동지지부재(300)의 꺾임부(320)에 외력(F)이 가해짐에 따라 꺾임부(320)가 수용홈(H) 내에 끼워지면서 상기한 모서리부(321)와 제1 수용부 벽의 접점(Q)에서 반발력이 발생하여 그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샤프트부(310)가 회전하여 제2 수용부(402) 쪽으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제1 바닥 패널(200) 및 제2 바닥 패널(400)의 단변끼리의 조립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3 바닥 패널(500, 도 5 참조)의 장변이 결합되거나 간단한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기동지지부재(300)가 상기 수용홈(H) 내부에서 제1 수용부(202)와 제2 수용부(402)에 걸쳐서 수용되어 제1 바닥 패널 및 제2 바닥 패널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동지지부재(300)의 샤프트부(310)가 회동하여 그 단부가 제2 수용부(402)의 벽에 밀착되면서 수용홈(H)의 벽과 상기 ㄱ기동지지부재(300)가 C1, C2 및 C3의 접점에서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기동지지부재(300)가 제1 바닥 패널과 제2 바닥 패널의 조립에 대한 보조적인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꺾임부(320)의 단부(321)에는 상단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라운딩 처리를 함으로써 비스듬하게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도 쉽게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6에서 나타낸 기동지지부재(300)는 꺾임부(320)에 외력(F)이 가해져도 형상이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경질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도 6의 (a) 내지 (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질 재질의 기동지지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바닥 패널들 사이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어서 바람직한데, 조립된 바닥 패널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수용홈에 기동지지부재가 견고하게 박혀있어서 기동지지부재를 수용홈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기동지지부재를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형상이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연질 재질로 구성할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도 2 등에 도시된 경질 재질의 기동지지부재와 동일하게 샤프트부(310)와 꺾임부(320)를 포함하며, 외력에 의해 쉽게 휘어짐이 발생하도록 샤프트부(310)에 소정 간격으로 절개부(312)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연질 재질의 기동지지부재(300)에 관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동일하며, 도 7에 도시된 연질 재질의 기동지지부재(300)가 바닥재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바닥 패널들 사이의 결합과 관련해서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앞서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적용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의 (a), (b) 및 (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질 재질의 기동지지부재(300)가 수용홈(H)에 수용되어 기동하는 것을 위에서 아래로 바라보는 시각으로 도시를 한 것이다.
제1 바닥 패널(200)의 제1 수용부(202)와 제2 바닥 패널(400)의 제2 수용부(404)가 형성하는 수용홈(H) 내부에서 상기 기동지지부재(30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부(310)가 제1 수용부(202)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부(310)의 폭과 제1 수용부(202)의 폭의 관계, 샤프트부(310)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꺾임부(320)의 단부까지의 폭(B-B')과 수용홈(H)의 폭(W-W')과의 관계 등은 앞서 도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꺾임부(320)의 단부에 외력(F)이 작용하면, 꺾임부(320)가 수용홈(H) 내에 끼워지면서 상기한 모서리부(321)와 제1 수용부 벽의 접점(Q)에서 반발력이 발생하여 그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샤프트부(310)가 회전하여 제2 수용부(402) 쪽으로 진입하도록 한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동지지부재(300)가 밀려서 수용홈(H) 내부로 들어가다가,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F)으로 인해 접점(Q)에서 발생하는 반발력은 샤프트부(310)가 연질이기 때문에 샤프트부(310)의 단부까지 전달되지 못함으로 샤프트부가 중간에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외력(F)으로 인하여 접접(Q)에서 발생하는 반발력은 수용홈(H) 내부의 면들과 기동지지부재(300)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의 방해를 받고 또한 샤프트부(310)가 연질이기때문에 샤프트부(310)의 단부까지 전달되지 못함으로 샤프트부(310)는 중간에서 휘어지게 된다.
특히, 샤프트부(310)에 다수의 절개부(3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더욱 쉽게 휘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동지지부재(300)의 꺾임부(320)에 외력(F)이 가해짐에 따라 꺾임부(320)가 수용홈(H) 내에 끼워지면서 그 힘에 의해 샤프트부(310)가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짐으로써 제2 수용부(402) 쪽으로 샤프트부(310)가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바닥 패널(200) 및 제2 바닥 패널(400)의 단변끼리의 조립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3 바닥 패널(500, 도 5 참조)의 장변이 결합되거나 간단한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기동지지부재(300)가 상기 수용홈(H) 내부에서 제1 수용부(202)와 제2 수용부(402)에 걸쳐서 수용되어 제1 바닥 패널 및 제2 바닥 패널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연질 재질의 기동지지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바닥 패널들 사이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적절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한 재질이므로 조립된 바닥 패널을 분리할 때 수용홈으로부터 기동지지부재를 제거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므로, 조립된 바닥 패널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00: 제1 바닥 패널, 202: 제1 수용부
222: 홈부, 300: 기동지지부재
310: 샤프트부, 312: 절개부
320: 꺾임부, 321: 모서리부
400: 제2 바닥 패널, 402: 제2 수용부
H: 수용홈, 500: 제3 바닥 패널

Claims (8)

  1. 복수개의 바닥패널 각각이 서로 혀부-홈부 결합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바닥재로서,
    일단에 상기 홈부를 형성하는 제1 바닥패널; 및
    일단에 상기 혀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바닥패널의 홈부와 상기 혀부-홈부 결합하는 제2 바닥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닥패널의 상기 홈부가 형성된 면에 형성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바닥패널의 상기 혀부가 형성된 면에 형성되는 제2 수용부가 상기 제1 바닥패널과 제2 바닥패널의 상기 혀부-홈부 결합에 의해 서로 마주하여 수용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수용홈 내에서 상기 제1 바닥 패널과 상기 제2 바닥 패널의 조립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기동하는 기동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동지지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되는 크기의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일단부에서 소정 각도로 꺾여서 연장 형성되는 꺾임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바닥 패널과 제2 바닥 패널이 조립되고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기동지지부재를 상기 수용홈에 끼워넣기 위해 상기 꺾임부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제2 수용부로 진입하도록 기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지지부재는,
    상기 꺾임부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가 회동 동작 또는 휘어짐 동작 또는 회동 및 휘어짐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제2 수용부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기동지지부재가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에 걸쳐서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지지부재는,
    상기 꺾임부에 외력이 가해져도 형상이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경질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꺾임부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꺾임부가 만나는 모서리부와 상기 제1 수용부 벽의 접점에서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의 단부가 회동하면서 상기 제2 수용부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기동지지부재가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에 걸쳐서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지지부재는,
    상기 꺾임부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연질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부에는 형상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꺾임부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꺾임부가 만나는 모서리부와 상기 제1 수용부 벽의 접점에서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가 휘어짐 동작 또는 회동 및 휘어짐 동작을 함으로써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제2 수용부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기동지지부재가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에 걸쳐서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지지부재는,
    상기 샤프트부의 폭이 상기 제1 수용부의 폭보다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샤프트부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꺾임부의 단부까지의 폭이 상기 수용홈의 폭보다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꺾임부의 단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꺾임부가 만나는 모서리부가 상기 제1 수용부 벽에 접점을 형성하면서 반발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6. 복수개의 바닥패널 각각의 장변끼리 서로 혀부-홈부 결합하고 단변끼리 서로 혀부-홈부 결합하여 서로 조립되는 바닥재로서,
    단변에 돌출되는 하부립에 의해 형성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제1 바닥패널; 및
    단변에 상기 제1 바닥패널의 홈부와 상기 혀부-홈부 결합하도록 혀부를 형성하는 제2 바닥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닥패널의 상기 홈부가 형성된 단변에 형성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바닥패널의 상기 혀부가 형성된 단변에 형성되는 제2 수용부가 상기 제1 바닥패널의 단변과 제2 바닥패널의 단변의 상기 혀부-홈부 결합에 의해 서로 마주하여 수용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수용홈 내에서 상기 제1 바닥 패널과 상기 제2 바닥 패널의 조립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기동하는 기동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동지지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되는 크기의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의 일단부에서 소정 각도로 꺾여서 연장 형성되는 꺾임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바닥 패널의 단변과 제2 바닥 패널의 단변이 상기 혀부-홈부결합하고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제1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닥 패널의 장변에 형성되는 제1 장변 홈부 및 상기 제2 바닥 패널의 장변에 형성되는 제2 장변 홈부에 결합되는 장변 혀부를 형성하는 제3 바닥 패널이 상기 제1 바닥 패널 및 제2 바닥 패널에 대해 결합됨에 따라 상기 기동지지부재의 꺾임부에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제2 수용부로 진입하도록 기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은 목재(목분), 코르크,합판,, MDF, HDF, PVC, PLASTIC MATERIAL,STONE,CERAMIC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을 적층 조합하여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재질로 제조된 바닥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의 바닥 패널은 상부에 장식층(인쇄된 종이,무늬목,인쇄된 PLASTIC MATERIAL중에서 선택된)을 구비 하거나, 장식층의 상부에 UV MATERIAL를 도포하거나, Al2O3가 함유된 보호층을 구비 하며, 상기의 바닥 패널의 하부에는 foam, cork, 수지 함침층 등을 사용하여 제조된 바닥재.
KR1020160059399A 2016-05-16 2016-05-16 바닥재 KR101885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399A KR101885577B1 (ko) 2016-05-16 2016-05-16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399A KR101885577B1 (ko) 2016-05-16 2016-05-16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845A true KR20170128845A (ko) 2017-11-24
KR101885577B1 KR101885577B1 (ko) 2018-08-06

Family

ID=6081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399A KR101885577B1 (ko) 2016-05-16 2016-05-16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5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619A (ko) * 2014-03-03 2015-09-11 오광석 조립식 바닥재와 보조물 및 조립 방법이 합쳐진 바닥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619A (ko) * 2014-03-03 2015-09-11 오광석 조립식 바닥재와 보조물 및 조립 방법이 합쳐진 바닥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577B1 (ko) 201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12864A1 (en) Wall or ceiling panel and wall or ceiling assembly
US10697187B2 (en)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US10519676B2 (en)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KR102067469B1 (ko) 플로어 패널들을 위한 기계적 잠금 시스템
US8640424B2 (en) Mechanical locking system for floor panels
KR101245963B1 (ko) 바닥재 및 이에 이용되는 회전체
US8341915B2 (en) Mechanical locking of floor panels with a flexible tongue
RU2549629C2 (ru) Система механической фиксации панелей для пола
EP3037604A2 (en) Interlocking floor panels and floor system
KR20090023554A (ko) 바닥재 프로파일
KR20080091475A (ko) 방습 마루판 세트 및 마루
KR20080002884A (ko) 바닥 패널용 기계적 로킹 시스템 및 바닥 패널을분리시키는 방법
KR101885577B1 (ko) 바닥재
KR20200025970A (ko) 바닥재
JP2015172310A (ja) 枠材及びこれを備えた建具装置
JP2003227229A (ja) リフォーム用巾木材およびリフォー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