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231A - 무선 단말, 단말 기지국, 채널 신호 형성 방법 및 채널 신호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 단말 기지국, 채널 신호 형성 방법 및 채널 신호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231A
KR20110099231A KR1020117012408A KR20117012408A KR20110099231A KR 20110099231 A KR20110099231 A KR 20110099231A KR 1020117012408 A KR1020117012408 A KR 1020117012408A KR 20117012408 A KR20117012408 A KR 20117012408A KR 20110099231 A KR20110099231 A KR 20110099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llocation control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1921B1 (ko
Inventor
세이고 나카오
다이치 이마무라
다카히사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99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20/08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among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6Acquisition of second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Abstract

상향 단위 밴드 및 이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를 사용해서 통신하는 경우에,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품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채널 신호 형성 방법, 및 채널 신호 수신 방법. 기지국(100)에서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PDCCH 신호가 일부 하향 단위 밴드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된다. 이로써, 중요도가 높은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대해 제로 패딩이 실시될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0)에서는,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의 PDCCH 신호에는, 하향 리소스 할당 정보만이 포함된다. 이 때문에,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의 개별 영역에서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이 항상 크기 조정 기준으로 되어, 정보 크기 조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로써,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제로 패딩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품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단말, 단말 기지국, 채널 신호 형성 방법 및 채널 신호 수신 방법{RADIO TERMINAL, RADIO BASE STATION, CHANNEL SIGNAL FORMING METHOD AND CHANNEL SIGNAL RECEIVING METHOD}
본 발명은 무선 단말, 단말 기지국, 채널 신호 형성 방법 및 채널 신호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 LTE에서는, 하향 회선의 통신 방식으로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채용되고 있다. 3GPP LTE가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미리 정해진 통신 리소스를 이용해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Channel:SCH) 및 통지 신호(Broadcast Channel:BCH)를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은, 우선, SCH를 파악함으로써 기지국과의 동기를 확보한다. 그 후, 단말은, BCH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기지국의 독자적인 파라미터(예컨대, 주파수 대역폭 등)를 취득한다(비특허 문헌 1, 2, 3 참조).
또한, 단말은, 기지국의 독자적인 파라미터의 취득을 완료한 후, 기지국에 대해 접속을 요구함으로써, 기지국과의 통신을 확립한다. 기지국은, 통신이 확립된 단말에 대해, 필요에 따라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이용해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은, 수신한 PDCCH 신호를 「블라인드 판정」한다. 즉, PDCCH 신호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분을 포함하고, 이 CRC 부분은 기지국에서, 송신 대상 단말의 단말 ID에 의해서 마스크된다. 따라서, 단말은 수신한 PDCCH 신호의 CRC 부분을 기기 자신(自機)의 단말 ID로 디마스킹해서 볼 때까지는, 기기 자신 앞으로의 PDCCH 신호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없다. 이 블라인드 판정에서는, 디마스킹한 결과, CRC 연산이 OK가 되면, 이 PDCCH 신호가 기기 자신앞이라고 판정된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에는, 기지국이 단말에 대해 할당한 리소스 정보 등을 포함하는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된다. 단말은, 복수의 포맷을 가지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 및 상향 할당 제어 정보 양쪽을 수신할 필요가 있다. 단말이 수신할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는,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 제어 방법이나 주파수 할당 방법에 따라, 복수의 크기가 정의되지만, 이들 중 일부 하향 할당 제어 정보 포맷(이하, 간단히 「하향 할당 제어 정보」라고 표기한다) 및 상향 할당 제어 정보 포맷(이하, 간단히 「상향 할당 제어 정보」라고 표기한다)은, 같은 크기를 가지는 PDCCH 신호로 송신된다. PDCCH 신호에는, 할당 제어 정보의 종별 정보(예컨대, 1비트의 플래그)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은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PDCCH 신호와 상향 할당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PDCCH 신호의 크기가 같아도, 할당 제어 정보의 종별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인지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인지를 분별할 수 있다. 한편,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송신될 때의 PDCCH 포맷은, PDCCH format 0이고, 상향 할당 제어 정보와 동일 크기의 PDCCH 신호로 송신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가 송신될 때의 PDCCH 포맷은, PDCCH format 1A이다.
단, 상향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즉, 송신에 필요한 비트수)와 하향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가 다른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향 대역폭이 작은 경우에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가 작아지고, 하향 대역폭이 작은 경우에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가 작아진다. 이와 같이 대역폭의 차이에 기인해서 정보 크기에 차이가 생기는 경우에는, 작은 쪽의 할당 제어 정보에 제로 정보를 부가함으로써(즉, 제로 패딩함으로써),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크기와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크기를 같게 한다. 이로써, 내용이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인지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인지에 관계없이, PDCCH 신호의 크기의 동일성이 유지된다.
이상과 같은 제어 정보의 크기 조정에 의해서, 수신측 단말에서의 블라인드 판정 횟수가 삭감된다. 그러나 기지국의 하향 송신 대역이 넓은 경우, 기지국에 의해서 한번에 많은 PDCCH 신호가 송신되기 때문에, 통상의 동작에서는 단말의 블라인드 판정 횟수의 삭감은 충분하지 않고, 단말의 회로 규모가 증대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단말의 블라인드 판정 횟수를 더 저감시키기 위해서, 단말이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물리 영역을 제한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즉, 각 단말에는 각 단말용 제어 정보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이 미리 통지되어 있고, 각 단말은 자신 장치용 제어 정보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단말 특유의 영역에서만, PDCCH 신호의 블라인드 판정을 행한다. 이 단말 특유의 물리 영역은, 「개별 영역(UE SS:UE specific Search Space)」이라고 불린다. 이 개별 영역은, 예컨대 단말 ID와 관련지어져 있다. 또한, 시간/주파수 인터리브가 채용됨으로써, 전체 개별 영역에서 시간 다이버시티, 주파수 다이버시티의 효과가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고안되어 있다.
한편, PDCCH 신호에는, 복수의 단말에 대해 동시에 통지되는 제어 정보(예컨대, 하향 통지 신호에 관한 스케쥴링 정보)도 포함된다. 이러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PDCCH 신호에는, 전체 단말에 공통인 「공통 영역(Common SS:Common Search Space)」이라고 불리는 물리 영역이 준비되어 있다.
단말에 있어서는 개별 영역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 및 공통 영역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 양쪽이 필요하기 때문에, 단말은 개별 영역에 포함된 상향 제어 정보 및 하향 제어 정보 및, 공통 영역에 포함된 상향 제어 정보 및 하향 제어 정보 모두를 블라인드 판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3GPP LTE보다 통신의 고속화를 더 실현하는 3GPP LTE-advanced의 표준화가 개시되었다. 3GPP LTE-advanced 시스템(이하, 「LTE-A 시스템」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은, 3GPP LTE 시스템(이하, 「LTE 시스템」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답습한다. 3GPP LTE-advanced에서는, 최대 1Gbps 이상의 하향 전송 속도를 실현하기 위해서, 20MHz이상의 광 대역 주파수로 통신 가능한 기지국 및 단말이 도입될 전망이다.
또한, 3GPP LTE-Advanced에서는, 상향 회선 및 하향 회선에 대한 스루풋 요구의 차이에 의해, 상향 회선과 하향 회선에서 통신 대역폭을 비대칭으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3GPP LTE-Advanced에서는, 하향 회선의 통신 대역폭을 상향 회선의 통신 대역폭보다 넓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여기서, LTE-A 시스템에 대응하는 기지국(이하, 「LTE-A 기지국」이라고 한다)은, 복수의 「단위 밴드」를 사용해서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위 밴드」는, 여기서는 최대 20MHz의 폭을 갖는 대역으로, 통신 대역의 기본 단위로서 정의된다. 또한, 하향 회선에 있어서의 「단위 밴드」(이하, 「하향 단위 밴드」라고 한다)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BCH 중 하향 주파수 대역 정보에 의해서 구분된 대역, 또는 하향 제어 채널(PDCCH)이 주파수 영역에 분산 배치되는 경우의 분산폭에 의해서 정의되는 대역으로서 정의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향 회선에 있어서의 「단위 밴드」(이하, 「상향 단위 밴드」라고 한다)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BCH 중 상향 주파수 대역 정보에 의해서 구분된 대역, 또는 중심 부근에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포함하여, 양 단부에 LTE용 PUCCH를 포함하는 20MHz이하의 통신 대역의 기본 단위로서 정의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단위 밴드」는, 3GPP LTE-Advanced에서, 영어로 Component Carrier(s)라고 표기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상향 회선과 하향 회선에서 통신 대역폭 및 단위 밴드 수가 비대칭으로 되는 LTE-A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채널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LTE-A 기지국은 단말에 상향 신호를 송신시키기 위해서, 2개의 하향 단위 밴드 양쪽으로부터 PDCCH를 이용해서 할당 제어 정보를 단말에 통지하고 있다. 상향 단위 밴드는 양쪽의 하향 단위 밴드와 관련지어져 있기 때문에, 어느 쪽 하향 단위 밴드의 PDCCH를 이용해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것으로 해도, 동일한 상향 단위 밴드로써 PUSCH가 송신된다. 또한,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대해서도 2개의 하향 단위 밴드 양쪽으로부터 송신되는 경우가 있어, 각각의 하향 리소스 할당 정보가 송신된 하향 단위 밴드 내에서의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단말에 지시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렇게 해서 할당 제어 정보를 받음으로써, LTE-A 단말은 동시에 복수의 단위 밴드를 수신할 수 있다. 단, LTE 단말은, 동시에 하나의 단위 밴드밖에 수신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복수의 단위 밴드를, 단일 통신에 대한 할당 밴드로서 모으는 것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이라고 부른다. 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에 의해서,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특허 문헌 1 : 3GPP TS 36.211 V8.4.0,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Release 8)", 2008년 9월 비특허 문헌 2 : 3GPP TS 36.212 V8.4.0,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Release 8)", 2008년 9월 비특허 문헌 3 : 3GPP TS 36.213 V8.4.0,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8)", 2008년 9월
그런데, 도 1에 있어서, LTE-A 시스템의 통신 대역폭은 하향 회선이 30MHz으로, 저주파수측에 20MHz의 하향 단위 밴드와, 고주파수측에 10MHz의 하향 단위 밴드의 합계 2개의 단위 밴드를 포함한다. 한편, 상향 회선은 20MHz으로, 상향 단위 밴드를 하나 포함한다.
도 1에 있어서, 저주파수측의 하향 단위 밴드와 상향 단위 밴드는 대역폭이 같기 때문에, 이 페어에 관해서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와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가 거의 같아진다. 따라서, 제로 패딩은, 거의 실시되지 않는다. 이에 비해서, 고주파수측의 하향 단위 밴드와 상향 단위 밴드는 대역폭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이 페어에 관해서는 크기가 작은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비해서, 이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크기가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크기와 같아질 때까지, 많은 제로 정보가 부가된다. 그러나 제로 패딩은 크기 조정을 위해 행해지기 때문에, 제로 정보 자체에는 의미하는 정보가 없다. 즉,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본래 불필요한 신호가 포함되게 되기 때문에, 전체 전력을 일정하게 했을 때에는, 본래 필요한 정보 비트당 전력이 저하되어 버리게 된다.
또한,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중요도는, 일반적으로, 상향 할당 제어 정보보다 높다. 즉, 하향 할당 제어 정보는, 하향 데이터 채널의 리소스 할당 정보뿐만 아니라, 그 밖의 중요한 정보(예컨대, 페이징 정보, 통지 정보)의 스케쥴링 정보를 통지하기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비한 제로 패딩의 빈도가 저하될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PDCCH가 얻을 수 있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에 의존한다. 따라서, 좁은 대역폭의 하향 단위 밴드에서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가 작아지기 때문에,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을 가능한 한 제거하려 한다. 그러나, 제로 패딩에 관해서는, 좁은 대역폭의 하향 단위 밴드만큼, 제로 패딩될 가능성이 높아져 버린다.
이러한 상황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은 LTE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하향 주파수 대역쪽이 상기 하향 주파수 대역에 대응지어져 있는 상향 주파수 대역보다 크기 때문에, 일어날 수 없었다. 이에 비해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 도입되고, 또한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가 하나의 상향 단위 밴드에 대응지어지는 LTE-A 시스템에서는, 전체적으로 하향 주파수 대역폭 쪽이 상향 주파수 대역폭보다 넓어도, 단위 밴드에 착안하면 하향 단위 밴드가 상향 단위 밴드보다 좁아지는 상황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제로 패딩을 피하기 위해서, 상향 할당 제어 정보와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방법도 생각된다. 그러나 이 경우, 단말측에서는, 정보 비트수가 다른 2개의 할당 제어 정보를 별도로 블라인드 판정할 필요가 생긴다. 따라서, 블라인드 판정 횟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회로 규모가 증대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상향 단위 밴드 및 상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를 사용해서 통신하는 경우에,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대해 크기 조정 처리가 행해지는 빈도를 저감함으로써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품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채널 신호 형성 방법, 및 채널 신호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기지국은, 상향 단위 밴드 및 상기 상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로 이루어지는 단위 밴드 그룹을 무선 단말마다 할당하고, 상기 단위 밴드 그룹을 사용해서 무선 단말과 통신 가능한 무선 기지국으로서, 모든 무선 단말 사이에서 공통인 공통 영역과 각 무선 단말에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를 하향 단위 밴드마다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할당된 하향 단위 밴드로 송신되는 모든 채널 신호의 공통 영역 및 개별 영역에 포함시키고,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를, 개별 영역에 대해서는 일부 채널 신호에만 포함시키는 한편, 공통 영역에 대해서는 적어도 상기 일부의 채널 신호에 포함시키는, 형성 수단과, 상기 형성된 채널 신호에 포함된,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상향 제어 정보 및 하향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크기 조정 기준에 기초해서 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해 할당된 모든 하향 단위 밴드의 공통 영역에서는, 상기 공통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을 상기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고,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을 상기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며,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를 상기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는 정보 크기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무선 단말은, 무선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상향 단위 밴드 및 상기 상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를 포함하는 단위 밴드 그룹을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무선 단말로서, 모든 무선 단말 사이에서 공통인 공통 영역과 각 무선 단말에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개별 영역을 갖고 또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또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신호를 하향 단위 밴드마다 수신하는 무선 수신 수단과, 각 하향 단위 밴드의 채널 신호에 대해서 수신 처리에 이용하는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기준 정보 크기에 기초해서 채널 신호를 수신 처리하는 채널 신호 수신 처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정 수단은, 자기 장치에 할당된 모든 하향 단위 밴드의 공통 영역에서는, 상기 공통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에 기초해서 상기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하고, 자기 장치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가진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에 기초해서 상기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하며, 자기 장치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에 기초해서 상기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채널 신호 형성 방법은, 상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 각각에 채널 신호를 형성하는 채널 신호 형성 방법으로서, 모든 무선 단말 사이에서 공통인 공통 영역과 각 무선 단말에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를 하향 단위 밴드마다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채널 신호에 포함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크기 조정 기준에 기초해서 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하향 할당 제어 정보는,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할당된 하향 단위 밴드로 송신되는 모든 채널 신호의 공통 영역 및 개별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는, 개별 영역에 대해서는 일부 채널 신호에만 포함되는 한편, 공통 영역에 대해서는 적어도 상기 일부의 채널 신호에 포함되고,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해 할당된 모든 하향 단위 밴드의 공통 영역에서는, 상기 공통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이 상기 크기 조정 기준으로 되며,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이 상기 크기 조정 기준으로 되고,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가 상기 크기 조정 기준으로 된다.
본 발명의 채널 신호 수신 방법은, 상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 각각으로 채널 신호를 수신하는 채널 신호 수신 방법으로서, 모든 무선 단말 사이에서 공통인 공통 영역과 각 무선 단말에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개별 영역을 가짐과 아울러,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또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단계와, 각 하향 단위 밴드의 채널 신호에 대해서 수신 처리에 이용하는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정보 크기에 기초해서 채널 신호를 수신 처리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 정보 크기는, 자기 장치에 할당된 모든 하향 단위 밴드의 공통 영역에서는, 상기 공통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에 기초해서 결정되고, 자기 장치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에 기초해서 결정되며, 자기 장치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에 기초해서 결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품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채널 신호 형성 방법 및 채널 신호 수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상향 회선과 하향 회선에서 통신 대역폭(단위 밴드 수)이 비대칭으로 되는 LTE-A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채널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설명을 돕기 위한 도면,
도 5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크기 조정 기준의 결정 방법의 설명을 돕기 위한 도면,
도 6은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크기 조정 기준의 결정 방법의 설명을 돕기 위한 도면,
도 7은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크기 조정 기준의 결정 방법의 설명을 돕기 위한 도면,
도 8은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크기 조정 기준의 결정 방법의 설명을 돕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설명을 돕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중복되기 때문에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기지국(100)은 제어부(101)와, PDCCH 생성부(102)와, 정보 크기 조정부(103)와,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가부(104)와, 변조부(105, 106)와, SCH/BCH 생성부(107)와, 다중부(108)와, IFFT부(109)와, CP 부가부(110)와, 송신 RF부(111)와, 수신 RF부(112)와, CP 제거부(113)와, FFT부(114)와, 추출부(115)와, IDFT부(116)와, 데이터 수신부(117)를 갖는다. 기지국(100)은 상향 단위 밴드 및 상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로 이루어지는 단위 밴드 그룹을 사용해서 후술하는 단말(200)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단위 밴드 그룹은 단말(200)마다 설정된다. 제 1 단말(200)에 대해 할당된 단위 밴드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 밴드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 2 단말(200)에 할당된 단위 밴드 그룹의 구성 단위 밴드와 중복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부(101)는, 제어 정보(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포함함), 및 각 제어 정보를 개별 영역 및 공통 영역 중 어느 것에 할당할지를 나타내는 영역 할당 정보를 생성한다. 이 제어 정보에는, 각 단말(200)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되는 단위 밴드 그룹 설정 정보, 후술하는 「기본 단위 밴드 정보(Anchor Carrier)」 및 단위 밴드 그룹을 구성하는 단위 밴드에 있어서의 리소스 할당 정보 등의 개별 할당 제어 정보, 및 전체 단말(200)에 공통인 공통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된다. 각 단말(200)에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제어 정보에 대해서는, 개별 영역 할당 정보가 생성되는 한편, 전체 단말(200)에 공통되는 공통 제어 정보에 대해서는, 공통 영역 할당 정보가 생성된다.
또한, 제어부(101)는 임의의 단말(200)에 대해 설정된 단위 밴드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의 전부에 대해서 그 단말(200)에 관한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한편, 이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 중 일부에만 그 단말(200)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를 할당한다. 여기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할당되는 할당 대상 하향 단위 밴드가 「기본 단위 밴드」이고, 이 기본 단위 밴드에 관한 정보가 상기 「기본 단위 밴드 정보」이다. 이 기본 단위 밴드 정보는, 미리 임의의 단말에 대해 통지되어 있다. 한편, 이 기본 단위 밴드 정보가 임의의 단말(200)에 대해 공통인 경우에는, SCH/BCH 생성부(107)에서 BCH에 포함시켜서 통지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101)는, 기본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와, 이에 대응하는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의 대소를 나타내는 정보 크기 비교 정보를 정보 크기 조정부(103)로 출력한다.
PDCCH 생성부(102)는 제어부(101)에서 생성된 제어 정보 및 영역 할당 정보를 수취하고, 이들 제어 정보 및 영역 할당 정보에 기초해서, 각 하향 단위 밴드로 송신되는 PDCCH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PDCCH 생성부(102)는, 다음과 같이 해서 PDCCH 신호를 생성한다. PDCCH 생성부(102)는, 기본 단위 밴드 정보가 나타내는 하향 단위 밴드에 배치되는 PDCCH 신호에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 양쪽을 포함시키는 한편, 그 외의 하향 단위 밴드에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만을 포함시킨다. 이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배분 처리는, 기본 단위 밴드 정보에 기초해서 행해진다. 또한, PDCCH 생성부(102)는, 각 PDCCH 신호의 공통 영역에는 공통 할당 제어 정보를 매핑하는 한편, 개별 영역에는 개별 할당 제어 정보를 매핑한다. 이 공통 할당 제어 정보 및 개별 할당 제어 정보의 배분 처리는 영역 할당 정보에 기초해서 행해진다.
정보 크기 조정부(103)는, 제어부(101)에서 생성된 제어 정보 및 영역 할당 정보를 수취한다. 정보 크기 조정부(103)는, 이들 제어 정보 및 영역 할당 정보에 기초해서, PDCCH 생성부(102)로부터 수취하는 PDCCH 신호에 포함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크기 조정부(103)는 정보 크기 조정 대상인 PDCCH 신호가 기본 단위 밴드로 송신되는 것인지 그 외의 하향 단위 밴드로 송신되는 것인지를, 기본 단위 밴드 정보에 기초해서 판단한다.
그리고, 정보 크기 조정부(103)는,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로 송신되는 제 1 PDCCH 신호(즉,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PDCCH 신호)의 공통 영역에서는, 제 1 PDCCH 신호가 송신되는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대상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을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고, 이 크기 조정 기준에 기초해서,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조정한다. 또한, 제 1 PDCCH 신호의 개별 영역에서는, 정보 크기 조정부(103)는 제 1 PDCCH 신호가 송신되는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고, 이 크기 조정 기준에 기초해서,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조정한다.
한편, 정보 크기 조정부(103)는 기본 단위 밴드로 송신되는 제 2 PDCCH 신호(즉,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 양쪽이 포함되는 PDCCH 신호)에 있어서는, 제 2 PDCCH 신호가 송신되는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대상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을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고, 이 크기 조정 기준에 기초해서,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 크기 조정부(103)는 제어 정보에 제로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조정하는 패딩부(도시 생략)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패딩부는, 제 2 PDCCH 신호에 있어서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 및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가 같아질 때까지 정보 크기가 작은 쪽에 제로 정보를 부가한다. 하향 할당 제어 정보 및 상향 할당 제어 정보 중 어느 것에 제로 정보를 부가할지는, 정보 크기 비교 정보에 기초해서 판단된다.
또한, 패딩부는 제 1 PDCCH 신호의 공통 영역에서는, 제 1 PDCCH 신호가 송신되는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대상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으로부터 구해지는 목표 정보 크기와 같아질 때까지,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제로 정보를 부가한다. 한편, 패딩부는 제 1 PDCCH 신호의 개별 영역에서는,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와 이에 대응하는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의 대소 관계에 관계없이, 제 1 PDCCH 신호가 송신되는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로부터 구해지는 목표 정보 크기와 같아질 때까지,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제로 정보를 부가한다.
여기서, 제 1 단말(200)의 하향 단위 밴드와 제 2 단말(200)의 하향 단위 밴드가 중복하는 경우에도, 중복 하향 단위 밴드가 제 1 단말(200)에 있어서는 기본 단위 밴드이고, 제 2 단말(200)에 있어서는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단위 밴드인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중복 하향 단위 밴드로 송신되는 PDCCH 신호에 있어서는, 제 1 단말(200)에 대해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한편, 제 2 단말(200)에 대해서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만이 매핑된다.
따라서, PDCCH 생성부(102)에 있어서의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매핑 처리 및 정보 크기 조정부(103)에 있어서의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조정 처리는, 처리 대상 PDCCH 신호에 포함되는 각 할당 제어 정보에 대해, 상기 할당 제어 정보의 목적지 단말(200)에 적용되는 기준으로 행해진다.
CRC 부가부(104)는, 정보 크기 조정부(103)에서 크기 조정된 PDCCH 신호에 CRC 비트를 부가해서, CRC 비트를 단말 ID에서 더 마스킹한다. 단, 복수의 단말이 수신할 필요가 있는 통지 신호에 관한 스케쥴링 정보는,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공통으로 설정되어 있는 ID를 이용해서 마스킹한다. 그리고, CRC 부가부(104)는 마스킹 후의 PDCCH 신호를 변조부(105)로 출력한다.
변조부(105)는, CRC 부가부(104)로부터 입력되는 PDCCH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 후의 PDCCH 신호를 다중부(108)에 출력한다.
변조부(106)는, 입력되는 송신 데이터(하향 회선 데이터)를 변조하고, 변조 후의 송신 데이터 신호를 다중부(108)에 출력한다.
SCH/BCH 생성부(107)는, SCH 및 BCH를 생성하고, 생성한 SCH 및 BCH를 다중부(108)에 출력한다.
다중부(108)는, 변조부(105)로부터 입력되는 PDCCH 신호, 변조부(106)로부터 입력되는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즉, PDSCH 신호) 및 SCH/BCH 생성부(107)로부터 입력되는 SCH 및 BCH를 다중한다. 여기서, 다중부(108)는, 제어부(101)로부터 입력되는 단말 ID 및 상기 단말 ID에 대응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기초해서, 이 단말 ID에 대응하는 단말(200) 앞으로의 데이터 신호(PDSCH 신호)를 하향 단위 밴드에 매핑한다.
또한, 다중부(108)는, 변조부(105)로부터 입력되는 PDCCH 신호를, PDCCH 용으로 할당된 리소스 영역 내의 개별 리소스 영역 및 공통 리소스 영역에 각각 매핑한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단말만이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PDCCH 신호는, 개별 리소스 영역 내에서 송신 대상 단말의 단말 ID에 대응하는 리소스에 매핑하고, 복수의 단말이 한번에 수신해야 하는 하향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PDCCH 신호는, 공통 리소스 영역 내의 리소스에 매핑한다.
IFFT부(109)는 다중 신호를 시간 파형으로 변환하고, CP 부가부(110)는 이 시간 파형에 CP를 부가함으로써 OFDM 신호를 얻는다.
송신 RF부(111)는, CP 부가부(110)로부터 입력되는 OFDM 신호에 대해 송신 무선 처리(업 컨버젼, 디지털 아날로그(D/A) 변환 등)을 실시하여, 안테나를 통해서 송신한다. 이로써, 할당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OFDM 신호가 송신된다.
수신 RF부(112)는,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 대역으로 수신한 수신 무선 신호에 대해 수신 무선 처리(다운 컨버젼, 아날로그 디지털(A/D) 변환 등)을 실시하여, 획득한 수신 신호를 CP 제거부(113)에 출력한다.
CP 제거부(113)는, 수신 신호로부터 CP를 제거하고, FFT부(114)는 CP 제거 후의 수신 신호를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추출부(115)는, 제어부(101)로부터 입력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에 기초해서, FFT부(114)로부터 입력되는 주파수 영역 신호로부터 상향 회선 데이터를 추출하고,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부(116)는 추출 신호를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하고, 이 시간 영역 신호를 데이터 수신부(117)에 출력한다.
데이터 수신부(117)는, IDFT부(116)로부터 입력되는 시간 영역 신호를 복호한다. 그리고, 데이터 수신부(117)는, 복호 후의 상향 회선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단말(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단말(200)은 수신 RF부(201)와, CP 제거부(202)와, FFT부(203)와, 프레임 동기부(204)와, 분리부(205)와, 통지 신호 수신부(206)와, 정보 크기 결정부(207)와, PDCCH 수신부(208)와, 포맷 판정부(209)와, PDSCH 수신부(210)와, 변조부(211)와, DFT부(212)와, 주파수 매핑부(213)와, IFFT부(214)와, CP 부가부(215)와, 송신 RF부(216)를 갖는다.
수신 RF부(201)는,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 대역으로 수신한 수신 무선 신호(여기서는, OFDM 신호)에 대해 수신 무선 처리(다운 컨버젼, 아날로그 디지털(A/D) 변환 등)을 실시하고, 획득한 수신 신호를 CP(Cyclic Prefix) 제거부(202)에 출력한다.
CP 제거부(202)는 수신 신호로부터 CP를 제거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부(203)는 CP 제거 후의 수신 신호를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한다. 이 주파수 영역 신호는 프레임 동기부(204)에 출력된다.
프레임 동기부(204)는, FFT부(20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SCH를 서치함과 아울러, 기지국(100)과의 동기(프레임 동기)를 취한다. 또한, 프레임 동기부(204)는 SCH에 이용되고 있는 계열(SCH 계열)과 대응지어진 셀 ID를 취득한다. 즉, 프레임 동기부(204)에서는, 통상의 셀 서치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프레임 동기부(204)는, 프레임 동기 타이밍을 나타내는 프레임 동기 타이밍 정보 및 FFT부(20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리부(205)에 출력한다.
분리부(205)는, 프레임 동기부(204)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동기 타이밍 정보에 기초해서, 프레임 동기부(20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통지 신호(즉, BCH)와 제어 신호(즉, PDCCH 신호)와 데이터 신호(즉, PDSCH 신호)로 분리한다. 분리부(205)는, 통지 신호 수신부(206)로부터 하향 단위 밴드에 관한 정보를 수취하고, 이 정보에 기초해서, 하향 단위 밴드매의 PDCCH 신호를 추출한다.
통지 신호 수신부(206)는, 분리부(205)로부터 입력되는 BCH의 내용을 판독해서, 기지국(100)의 하향 밴드 및 상향 밴드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통지 신호 수신부(206)는, 예컨대 상향 단위 밴드 수, 하향 단위 밴드 수, 각 단위 밴드의 식별 번호 및 대역폭, 상향 단위 밴드와 하향 단위 밴드의 관련성 정보, 및 기본 단위 밴드 정보 등을 취득한다. 통지 신호 수신부(206)는 취득한 BCH의 정보를 정보 크기 결정부(207), PDCCH 수신부(208) 및 포맷 판정부(209)에 출력한다.
정보 크기 결정부(207)는, 분리부(205)로부터 PDCCH 신호를 수취하고, 이 PDCCH 신호를 블라인드 판정할 때의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한다. 이 기준 정보 크기는 통지 신호 수신부(206)로부터 수취하는 기본 단위 밴드 정보 및 각 단위 밴드의 대역폭에 기초해서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크기 결정부(207)는,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의 PDCCH 신호의 공통 영역(즉, 기기 자신 앞으로의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단위 밴드에 있어서의 PDCCH 신호의 공통 영역)에서는, 그 PDCCH 신호가 송신된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대상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에 기초해서 기준 정보 크기로 하는 한편, 개별 영역에서는,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에 기초해서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한다.
또한, 정보 크기 결정부(207)는, 기본 단위 밴드의 PDCCH 신호(즉, 기기 자신 앞으로의 상향 제어 정보 및 하향 제어 정보 양쪽을 포함하는 단위 밴드에 있어서의 PDCCH 신호)에 대해서는, 그 PDCCH 신호가 송신된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대상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에 기초해서 기준 정보 크기로 한다.
정보 크기 결정부(207)는, 결정한 기준 정보 크기에 관한 정보와, 이 정보에 대응하는 PDCCH 신호를 PDCCH 수신부(208)에 출력한다.
PDCCH 수신부(208)는, 정보 크기 결정부(207)에서 결정된 기준 정보 크기에 기초해서 PDCCH 신호에 대해서 블라인드 판정을 행한다.
즉, PDCCH 수신부(208)는, 정보 크기 결정부(207)에서 결정된 기준 정보 크기(페이로드 크기 : Payload size)를 이용해서, CRC 비트 상당 부분을 특정한다. PDCCH 수신부(208)는, 다음으로 특정된 CRC 비트 상당 부분을 개별 영역에서는 기기 자신의 단말 ID에 의해서 디마스킹한 후에, PDCCH 신호 전체에 대한 CRC 연산 결과가 OK이면, 그 PDCCH 신호를 기기 자신 앞으로 송신된 PDCCH 신호라고 판단한다. 단, 공통 영역에서는 기기 자신용 할당 정보 및 복수의 단말이 수신하는 할당 정보(예컨대 통지 신호의 스케쥴링 정보) 중 어느 쪽으로도 보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PDCCH 수신부(208)는 공통 영역에 있어서 기기 자신의 단말 ID에 의한 디마스킹 및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공통으로 설정되어 있는 ID에 의한 디마스킹 양쪽을 시험하여, CRC 연산을 실행한다. 이렇게 해서 기기 자신이 수신해야 한다고 판단된 PDCCH 신호는 포맷 판정부(209)로 출력된다.
포맷 판정부(209)는, PDCCH 수신부(208)로부터 수취하는 PDCCH 신호에 포함되는 할당 제어 정보의 종별 정보에 기초해서, 그 PDCCH 신호의 포맷이 format 0인지 format 1A인지를 판정한다. 포맷 판정부(209)는, format 0이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그 PDCCH 신호에 포함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를 주파수 매핑부(213)에 출력한다. 또한, 포맷 판정부(209)는 format 1A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그 PDCCH 신호에 포함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PDSCH 수신부(210)에 출력한다.
PDSCH 수신부(210)는, 포맷 판정부(209)로부터 입력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기초해서, 분리부(205)로부터 입력되는 PDSCH 신호로부터 수신 데이터를 추출한다.
변조부(211)는, 송신 데이터를 변조해서 얻어진 변조 신호를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부(212)에 출력한다.
DFT부(212)는, 변조부(211)로부터 입력되는 변조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해서 얻어진 복수의 주파수 성분을 주파수 매핑부(213)에 출력한다.
주파수 매핑부(213)는, 포맷 판정부(209)로부터 입력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에 기초해서, DFT부(212)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주파수 성분을, 상향 단위 밴드에 배치된 PUSCH에 매핑한다.
IFFT부(214)는 매핑된 복수의 주파수 성분을 시간 영역 파형로 변환하고, CP 부가부(215)는 이 시간 영역 파형에 CP를 부가한다.
송신 RF부(216)는, CP가 부가된 신호에 송신 무선 처리(업 컨버젼, 디지털 아날로그(D/A) 변환 등)를 실시하여 안테나를 통해서 송신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을 갖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 설명을 돕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는, 하나의 상향 단위 밴드(UB1)와 2개의 하향 단위 밴드(DB1, 2)와가, 제 1 단말(200)의 단위 밴드 그룹으로서 대응지어져 있다. 도 4에 있어서, UB1 및 DB1의 대역폭은 20MHz이고, DB2의 대역폭은 10MHz이다. 여기서는, 제 1 단말(200)에 있어서, DB1가 기본 단위 밴드로 되어 있다.
기지국(100)은 제 1 단말(200)에 대해 상향 회선 리소스로서 상향 단위 밴드(UB1)를 설정하고, 하향 회선 리소스로서 하향 단위 밴드(DB1, 2)를 설정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PDCCH 신호에 포함시켜서 단말(200)에 송신한다.
단, 기지국(100)은, 제 1 단말(200) 앞으로의 상향 할당 제어 정보를 제 1 단말(200)에 할당된 모든 하향 단위 밴드로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하향 단위 밴드만으로 상향 할당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한편, 하향 리소스 할당 정보는, 제 1 단말(200)에 할당된 모든 하향 단위 밴드로 송신한다.
도 4의 경우에는, 제 1 단말(200)에 있어서 DB1가 기본 단위 밴드이기 때문에, DB1로 송신되는 PDCCH 신호에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 양쪽이 포함되는 한편, DB2로 송신되는 PDCCH 신호에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만이 포함된다. 한편, 도 4에 있어서, PDCCH로부터 상향 데이터(UL Data)로의 화살표는, 이 PDCCH에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PDCCH로부터 하향 데이터(DL Data) 또는 D-BCH로의 화살표는, 이 PDCCH에서 하향 할당 제어 정보가 송신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PDCCH 신호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정보 크기의 조정이 이루어진다. 이 정보 크기의 조정은, 정보 크기 조정부(103)에 있어서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 양쪽을 포함하는 단위 밴드에 있어서의 PDCCH 신호(즉, 기본 단위 밴드의 PDCCH 신호) 및 기본 단위 밴드 이외로 송신되는 PDCCH 신호의 공통 영역에 포함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대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크기 조정부(103)는, 기본 단위 밴드에서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 및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가 같아질 때까지 정보 크기가 작은 쪽에 제로 정보를 부가한다. 또한, 정보 크기 조정부(103)는, 기본 단위 밴드 이외로 송신되는 PDCCH 신호의 공통 영역에 포함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대해서는, 상기 하향 할당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와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을 크기 조정 기준으로서 크기 조정을 행한다.
한편, 기본 단위 밴드 이외로 송신되는 PDCCH 신호의 개별 영역에 포함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크기는, 상기 하향 할당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여기서,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크기 조정 기준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크기 조정 기준의 결정 방법의 설명을 돕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5에 나타내는 단위 밴드 그룹이, 제 1 내지 제 3 단말(200)(도 6에서는, 각각 UE A, UE B, UE C라고 기재되어 있다)에 할당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단위 밴드 그룹은, 대역폭 20MHz인 하향 단위 밴드(대역 A), 대역폭 10MHz인 하향 단위 밴드(대역 B) 및 대역폭 15MHz인 상향 단위 밴드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는, 대역마다의 단위 밴드 종별(즉, 기본 단위 밴드(상향 할당 제어 정보(UL grant)이 송신되는 대역)인지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단위 밴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과, 각 대역의 개별 영역 및 공통 영역에서의 크기 조정 기준이, UE 마다 나타내어져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UE A에 있어서 대역 A가 기본 단위 밴드이다. 또한, UE B에 있어서는 대역 B가 기본 단위 밴드이다. 또한, UE C에 있어서는, 대역 A 및 대역 B 양쪽이 기본 단위 밴드이다.
여기서 착안해야 하는 점은, UE A의 대역 B의 개별 영역에서의 크기 조정 기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의 개별 영역에서는, 하향 단위 밴드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와 이에 대응하는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의 대소에 관계없이,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가 크기 조정 기준이 된다. 즉,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 중 정보 크기가 큰 쪽을 항상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는 기본 단위 밴드의 경우와 달리,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의 개별 영역에서는, 상향 단위 밴드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보다 하향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가 작아도,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가 크기 조정 기준이 된다. 이 경우에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대해 제로 패딩에 의한 크기 조정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공통 영역에 대해서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을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할 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어떤 하향 단위 밴드가 어떤 단말(200)에 있어서는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이더라도, 다른 단말(200)에 있어서는 기본 단위 밴드인 경우가 있고, 또한 공통 영역에서는 복수의 단말이 한번에 수신할 하향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도 송신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즉, 어떤 단말(200)에 대해서만 생각하면,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의 공통 영역에서는, 개별 영역과 마찬가지로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단말(200)에 있어서는 기본 단위 밴드이기 때문에, 이 기본 하향 단위 밴드에서는, 복수의 단말이 한번에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뿐만 아니라, 다른 단말(200)에 있어서 필요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송신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모든 단말(200)이 문제없이 복수의 단말이 한번에 수신해야 하는 하향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다른 단말(200)이 문제없이 상향 할당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공통 영역에서는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 중 정보 크기가 큰 쪽이 크기 조정 기준이 되는, 기본 단위 밴드와 같은 크기 조정 기준의 선택 기준이 이용되고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내는 단위 밴드 그룹이, 제 1 내지 제 3 단말(200)(도 8에서는, 각각 UE A, UE B, UE C로 기재되어 있다)에 할당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단위 밴드 그룹은 대역폭 15MHz인 하향 단위 밴드(대역 A), 대역폭 10MHz인 하향 단위 밴드(대역 B) 및 대역폭 20MHz인 상향 단위 밴드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대역마다의 단위 밴드 종별과, 각 대역의 개별 영역 및 공통 영역에서의 크기 조정 기준이, UE마다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착안해야 하는 점은, UE A의 대역 B의 개별 영역 및 UE B의 대역 A의 개별 영역에서의 크기 조정 기준이다. 즉,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의 개별 영역에서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가 크기 조정 기준이 되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내는 단위 밴드 그룹에서는, 상향 단위 밴드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보다 대역폭이 좁은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가, 항상 크기 조정 기준으로서 선택된다. 이 경우에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대하여 제로 패딩에 의한 크기 조정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할당 제어 정보의 매핑 처리 및 정보 크기 조정 처리가 실시된 PDCCH 신호는 단말(200)에서 수신된다.
단말(200)에 있어서는, 정보 크기 결정부(207)가 수신 PDCCH 신호를 블라인드 판정할 때의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한다. 이 기준 정보 크기는, 통지 신호 수신부(206)로부터 수취하는 기본 단위 밴드 정보 및 각 단위 밴드의 대역폭에 기초해서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크기 결정부(207)는,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의 PDCCH 신호의 공통 영역(즉, 기기 자신 앞으로의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PDCCH 신호의 공통 영역)에서는, 그 PDCCH 신호가 송신된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대상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에 기초해서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하는 한편, 개별 영역에서는,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에 기초해서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한다.
또한, 정보 크기 결정부(207)는 기본 단위 밴드의 PDCCH 신호(즉, 기기 자신 앞으로의 상향 제어 정보 및 하향 제어 정보 양쪽을 포함하는 PDCCH 신호)에 대해서는, 그 PDCCH 신호가 송신된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대상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에 기초해서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한다.
그리고, PDCCH 수신부(208)는, 정보 크기 결정부(207)에서 결정된 기준 정보 크기에 기초해서 PDCCH 신호에 대해 블라인드 판정을 행한다.
즉, PDCCH 수신부(208)는, 기준 정보 크기에 따라 PDCCH 신호에 포함되는 CRC 비트 상당 부분을 특정한다. 기준 정보 크기가 다르면, PDCCH 신호 내에서의 CRC 비트 상당 부분의 위치가 다르지만, PDCCH 수신부(208)는 정보 크기 결정부(207)에서 결정된, 각 하향 단위 밴드의 개별 영역 및 공통 영역에서의 기준 정보 크기를 수취함으로써, 각 영역에서 송신된 PDCCH 신호의 CRC 비트 부분을 특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PDCCH 수신부(208)가, 특정된 CRC 비트 상당 부분을 기기 자신의 단말 ID 또는 복수의 단말 사이에서 공통의 ID에 의해서 디마스킹한 후에, PDCCH 신호 전체에 대한 CRC 연산 결과가 OK이면, 그 PDCCH 신호를 기기 자신 앞으로 송신된 PDCCH 신호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포맷 판정부(209)는, PDCCH 수신부(208)로부터 수취하는 PDCCH 신호에 포함되는 리소스 할당 정보의 종별 정보에 기초해서, 그 PDCCH 신호의 포맷이 format 0인지 format 1A인지를 판정한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의 개별 영역에서 수신된 PDCCH 신호는, 반드시 하향 할당 신호이기 때문에, 리소스 할당 정보의 종별 정보는 항상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가리키게 된다. 즉, 리소스 할당 정보의 종별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패리티 비트와 같이 사용해도 되고, 별도의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단말(200)이 별도 기지국(100)으로부터 기본 단위 밴드의 정보를 통지받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상향 단위 밴드와 하향 단위 밴드가 비대칭인 경우에는, 예컨대 주파수가 낮은 하향 단위 밴드를 「기본 단위 밴드」라고 정의하면 사양으로 정해져 있어도 된다. 요점은, 「기본 단위 밴드」의 통지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기지국이 서포트하는 상향 단위 밴드 수와 하향 단위 밴드 수가 비대칭이라고 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요점은, 기지국이 서포트하는 상향 단위 밴드 수와 하향 단위 밴드 수가 대칭이어도, 각 단말에 개별적으로 할당된(즉, 각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지시된) 단위 밴드 수가 상향와 하향에서 비대칭이면, 본 실시예는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향 할당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PDCCH 신호를 일부 하향 단위 밴드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함으로써, 중요도가 높은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대해 제로 패딩이 행해질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의 PDCCH 신호에는, 하향 리소스 할당 정보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의 개별 영역에서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가 항상 크기 조정 기준이 되기 때문에, 정보 크기 조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제로 패딩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품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향 할당 제어 정보에 대해서도, 패딩수 및 패딩 빈도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단,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의 공통 영역에서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이 크기 조정 기준이 된다. 이로써, 단말(200) 사이에서 기본 단위 밴드가 다른 경우에도, 수신측의 단말(200)에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임의의 단말(200)에 대해,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에 있어서는, 개별 영역 및 공통 영역 양쪽에서 상향 할당 제어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이더라도, 공통 영역에서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해도, 공통 영역에서는, 크기 조정 기준의 선택 기준이 기본 단위 밴드의 선택 기준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 단위 밴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향 할당 제어 정보와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일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단말(200)의 블라인드 판정 횟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기지국(100)의 스케쥴러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요점은, PDCCH 생성부(102)가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200)에 대한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그 송신 대상 단말(200)에 할당된 하향 단위 밴드로 송신되는 모든 채널 신호의 공통 영역 및 개별 영역에 포함시키고, 이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200)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를, 개별 영역에 대해서는 일부 채널 신호에만 포함시키는 한편, 공통 영역에 대해서는 적어도 그 일부의 채널 신호에 포함시키고, 정보 크기 조정부(103)가, 그 송신 대상 단말(200)에 대해 할당된 하향 단위 밴드의 모든 채널 신호의 공통 영역에서는, 상기 공통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을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고, 그 송신 대상 단말(200)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을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고, 그 송신 대상 단말(200)에 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면 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향 회선과 하향 회선에서 통신 대역폭(단위 밴드 수)를 비대칭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공통 영역에서 LTE-A 시스템 전용의(즉, LTE 단말이 수신할 필요가 없다) 통지 정보(D-BCH+)와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지 정보(D-BCH)가 시분할로 교대로 송신되는 경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기지국(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기지국(300)은, 도 2에 나타내는 실시예 1에 따른 기지국(100)에 대해서, BCH+ 생성부(318)를 추가하고, 제어부(101) 대신 제어부(301)를 가지며, 정보 크기 조정부(103) 대신 정보 크기 조정부(303)를 갖고, 다중부(108) 대신 다중부(308)를 갖는다. 한편, 도 9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구성인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301)는, 제어부(101)와 마찬가지로 제어 정보(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각 제어 정보를 개별 영역 및 공통 영역 중 어느 것에 할당할지를 나타내는 영역 할당 정보 및 BCH/BCH+ 타이밍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제어 정보 및 영역 할당 정보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제어부(301)는, 임의의 단말(400)에 대해 설정된 단위 밴드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의 전부에 대해서 그 단말(400)에 대한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한편, 이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 중 일부에만 그 단말(400)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를 할당한다. 여기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할당되는 할당 대상 하향 단위 밴드가 「기본 단위 밴드」이고, 이 기본 단위 밴드에 관한 정보가 상기 「기본 단위 밴드 정보」이다.
또한, 제어부(301)는, 기본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와, 이에 대응하는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의 대소를 나타내는 정보 크기 비교 정보 및 BCH/BCH+ 타이밍 정보를, 정보 크기 조정부(303) 및 다중부(308)로 출력한다. 한편, BCH/BCH+ 타이밍 정보는 미리 모든 단말(400)과 공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301)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생성한 제어 정보 및 영역 할당 정보를 PDCCH 생성부(102)에 출력하고, 상향 할당 제어 정보를 추출부(115)에 출력하며, 단말 ID 및 공통 ID를 CRC 부가부(104)에 출력한다.
정보 크기 조정부(303)는, 제어부(301)에서 생성된 제어 정보, 영역 할당 정보 및 BCH/BCH+ 타이밍 정보를 수취한다. 정보 크기 조정부(303)는 이들 제어 정보, 영역 할당 정보 및 BCH/BCH+ 타이밍 정보에 기초해서, PDCCH 생성부(102)로부터 수취하는 PDCCH 신호에 포함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크기 조정부(303)는, 정보 크기 조정 대상의 PDCCH 신호가 기본 단위 밴드로 송신되는 것인지 그 외의 하향 단위 밴드로 송신되는 것인지를, 기본 단위 밴드 정보에 기초해서 판단한다.
그리고, 정보 크기 조정부(303)는,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로 송신되는 제 1 PDCCH 신호(즉,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PDCCH 신호)의 공통 영역에서,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로부터 LTE 단말을 향해 BCH가 송신되어야 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제 1 PDCCH 신호가 송신되는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대상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을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고, 이 크기 조정 기준에 기초해서,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조정한다. 또한, 제 1 PDCCH 신호의 공통 영역에서,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로부터 LTE-A 단말을 향해 BCH+이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정보 크기 조정부(303)는, 제 1 PDCCH 신호가 송신되는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고, 이 크기 조정 기준에 기초해서,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조정한다.
또한, 정보 크기 조정부(303)는, 제 1 PDCCH 신호의 개별 영역에서는, 제 1 PDCCH 신호가 송신되는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고, 이 크기 조정 기준에 기초해서,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조정한다.
한편, 정보 크기 조정부(303)는, 기본 단위 밴드로 송신되는 제 2 PDCCH 신호(즉,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 양쪽이 포함되는 PDCCH 신호)에 있어서는, 제 2 PDCCH 신호가 송신되는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대상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을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고, 이 크기 조정 기준에 기초해서,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 크기 조정부(303)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어 정보에 제로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조정하는 패딩부(도시 생략)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BCH+ 생성부(318)는, LTE-A 단말을 향한 통지 정보인 BCH+를 생성하여 다중부(308)에 출력한다.
다중부(308)는 변조부(105)로부터 입력되는 PDCCH 신호, 변조부(106)로부터 입력되는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즉, PDSCH 신호), SCH/BCH 생성부(107)로부터 입력되는 SCH 및 BCH, 및 BCH+ 생성부(318)로부터 입력되는 BCH+를 다중한다. 여기서, 다중부(308)는 제어부(301)로부터 입력되는 단말 ID 및 상기 단말 ID에 대응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에 기초해서, 그 단말 ID에 대응하는 단말(400)로의 데이터 신호(PDSCH 신호)를 하향 단위 밴드에 매핑한다.
또한, 다중부(308)는, 변조부(105)로부터 입력되는 PDCCH 신호를, PDCCH 용으로 할당된 리소스 영역 내의 개별 리소스 영역 및 공통 리소스 영역에 각각 매핑한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단말만이 수신해야 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PDCCH 신호는, 개별 리소스 영역 내에서 송신 대상 단말의 단말 ID에 대응하는 리소스에 매핑하고, 복수의 단말이 한번에 수신해야 하는 하향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PDCCH 신호는, 공통 리소스 영역 내의 리소스에 매핑한다.
또한, 다중부(308)는 제어부(301)로부터 입력되는 BCH/BCH+ 타이밍 정보에 기초해서, BCH를 송신할 타이밍에는 BCH를, BCH+을 송신할 타이밍에는 BCH+을, PDSCH 및 PDCCH와 다중한다. 즉, BCH와 BCH+는 시분할 다중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단말(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단말(400)은, 도 3에 나타내는 실시예 1에 따른 단말(200)에 대해, 분리부(205) 대신 분리부(405)를 갖고, 통지 신호 수신부(206) 대신 통지 신호 수신부(406)를 가지며, 정보 크기 결정부(207) 대신 정보 크기 결정부(407)를 갖는다. 한편, 도 10에 있어서, 도 3과 동일한 구성인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분리부(405)는 프레임 동기부(204)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동기 타이밍 정보에 기초해서, 프레임 동기부(20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통지 신호(즉, BCH 및 BCH+)과 제어 신호(즉, PDCCH 신호)와 데이터 신호(즉, PDSCH 신호)로 분리한다. 분리부(405)는 통지 신호 수신부(406)로부터 하향 단위 밴드에 관한 정보를 수취하고, 이 정보에 기초해서, 하향 단위 밴드마다의 PDCCH 신호를 추출한다. 또한, 분리부(405)는, 기지국(300)으로부터의 통지에 의해 미리 전체 단말(400)에서 공유된 BCH/BCH+ 타이밍 정보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 타이밍 정보에 기초해서 BCH 및 BCH+을, 프레임 동기부(20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분리한다.
통지 신호 수신부(406)는, 분리부(405)로부터 입력되는 BCH 및 BCH+의 내용을 판독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기지국(300)의 하향 밴드 및 상향 밴드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통지 신호 수신부(406)는, 예컨대 상향 단위 밴드 수, 하향 단위 밴드 수, 각 단위 밴드의 식별번호 및 대역폭, 상향 단위 밴드와 하향 단위 밴드와의 관련성 정보 및 기본 단위 밴드 정보 등을 취득한다. 통지 신호 수신부(406)는, 취득한 BCH 및 BCH+의 정보를 정보 크기 결정부(407), PDCCH 수신부(208) 및 포맷 판정부(209)에 출력한다.
정보 크기 결정부(407)는, 분리부(405)로부터 PDCCH 신호 및 BCH/BCH+ 타이밍 정보를 수취하고, 이 PDCCH 신호를 블라인드 판정할 때의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한다. 이 기준 정보 크기는 통지 신호 수신부(406)로부터 수취하는 기본 단위 밴드 정보, 각 단위 밴드의 대역폭, 및 BCH/BCH+ 타이밍 정보에 기초해서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크기 결정부(407)는,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의 PDCCH 신호의 공통 영역(즉, 기기 자신 앞으로의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단위 밴드에 있어서의 PDCCH 신호의 공통 영역)에 있어서, 상기 대상 하향 단위 밴드로부터 LTE 단말을 향해 BCH가 송신되어야 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그 PDCCH 신호가 송신된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대상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에 기초해서 기준 정보 크기로 하는 한편,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의 PDCCH 신호의 공통 영역에서, 상기 대상 하향 단위 밴드로부터 LTE-A 단말을 향해 BCH+이 송신되어야 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에 기초해서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한다.
또한, 정보 크기 결정부(407)는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의 PDCCH 신호의 개별 영역에서는,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에 기초해서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한다.
또한, 정보 크기 결정부(407)는, 기본 단위 밴드의 PDCCH 신호(즉, 기기 자신 앞으로의 상향 제어 정보 및 하향 제어 정보 양쪽을 포함하는 단위 밴드에 있어서의 PDCCH 신호)에 대해서는, 그 PDCCH 신호가 송신된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대상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에 기초해서 기준 정보 크기로 한다.
정보 크기 결정부(407)는, 결정한 기준 정보 크기에 관한 정보와, 이 정보에 대응하는 PDCCH 신호를 PDCCH 수신부(208)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을 갖는 기지국(300) 및 단말(4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4 및 도 11을 원용해서 설명한다. 단, 도 4는 기지국(300)으로부터 오른쪽의 하향 단위 밴드에 있어서 LTE 단말을 향해 BCH가 송신되는 타이밍에서의 개념도, 도 11은 기지국(300)으로부터 오른쪽의 하향 단위 밴드에 있어서 LTE-A 단말을 향해 BCH+이 송신되는 타이밍에서의 제어 신호의 개념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과 도 4의 차이는, 공통 영역의 PDCCH를 이용해서 송신되는 Format 1A에 의해서 (D-)BCH의 스케쥴링 정보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지, (D-)BCH+의 스케쥴링 정보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는지의 차이, 및 Format 1A의 크기이다. 즉, 도 4에는 (D-)BCH의 스케쥴링 정보가 송신되는 제 1 서브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는 한편, 도 11에는 (D-)BCH+의 스케쥴링 정보가 송신되는 제 2 서브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300) 및 단말(400)은, 기본 단위 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 밴드의 PDCCH 신호의 공통 영역에서, 상기 대상 하향 단위 밴드로부터 LTE-A 단말을 향해 BCH+이 송신되어야 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에 기초해서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하기 때문에, 상기 대상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보다 대응하는 상향 대역폭이 넓은 경우에도 Format 1A에 대해 패딩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통 영역에서의 Format 1A에 대한 쓸데없는 패딩을 피할 수 있다. 단, 상기 대상 하향 단위 밴드로부터 LTE용 BCH가 송신되는 타이밍에는, LTE 단말과 공통의 패딩 처리를 행함으로써, 백워드 컴패티빌리티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한편,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의 BCH에 의해서 하향 단위 밴드와 상향 단위 밴드의 관련성이 통지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단말은 상향 단위 밴드와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일부) BCH를 수신할 때까지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 및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 양쪽을 고려해서 정해져야 하는 Format 1A의 정보 크기를 계산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단말측에서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이 미지인 경우, Format 1A의 크기는, 기지의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과 미지의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이 동일하다는 것을 전제로, 계산되게 된다.
단, 이 경우, 실제의 상향 단위 밴드의 주파수 대역폭과 하향 단위 밴드의 주파수 대역폭의 관계에 의해서는, 실제로 기지국이 이용하는 Format 1A의 크기와, 단말이 상향 단위 밴드의 정보를 얻기 전에 가정한 Format 1A의 크기가 다른 경우가 있다.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상향 단위 밴드의 주파수 위치 또는 주파수 대역을 통지하기 위한 특수한 BCH의 스케쥴링 정보에 관해서만, Format 1A 이외의 특수한 포맷을 이용해서 전송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하드웨어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 칩화되어도 되고,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도록 1 칩화되어도 된다. 여기서는, LSI로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의해서,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할 수도 있다. LSI 제조후에,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프로세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를 대체하는 집적 회로화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해서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된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2008년 12월 1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8-306742 호 및 2009년 3월 27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9-079674 호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무선 단말, 무선 기지국, 채널 신호 형성 방법, 및 채널 신호 수신 방법은,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품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7)

  1. 상향 단위 밴드 및 상기 상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로 이루어지는 단위 밴드 그룹을 무선 단말마다 할당하고, 상기 단위 밴드 그룹을 사용해서 무선 단말과 통신 가능한 무선 기지국으로서,
    모든 무선 단말 사이에서 공통인 공통 영역과 각 무선 단말에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를 하향 단위 밴드마다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할당된 하향 단위 밴드로 송신되는 모든 채널 신호의 공통 영역 및 개별 영역에 포함시키고,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를, 개별 영역에 대해서는 일부 채널 신호에만 포함시키는 한편, 공통 영역에 대해서는 적어도 상기 일부의 채널 신호에 포함시키는
    형성 수단과,
    상기 형성된 채널 신호에 포함된,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상향 제어 정보 및 하향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크기 조정 기준에 기초해서 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해 할당된 모든 하향 단위 밴드의 공통 영역에서는, 상기 공통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을 상기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고,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을 상기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며,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를 상기 크기 조정 기준으로 하는
    정보 크기 조정 수단
    을 구비하는 무선 기지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크기 조정 수단은, 제로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하향 할당 제어 정보 및 상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조정하는 패딩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LTE-A 기지국이고,
    LTE 단말을 향해서 송신되는 통지 채널 신호와, LTE-A 단말을 향해서 송신되는 통지 채널 신호를 시분할 다중하여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정보 크기 조정 수단은,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이 LTE-A 단말인 경우에, LTE-A 단말을 향해서 송신되는 통지 채널 신호가, 상기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공통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로부터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상기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공통 영역에서의 크기 조정 기준을, 상기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공통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로 하는
    무선 기지국.
  4. 무선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상향 단위 밴드 및 상기 상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를 포함하는 단위 밴드 그룹을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무선 단말로서,
    모든 무선 단말 사이에서 공통인 공통 영역과 각 무선 단말에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개별 영역을 갖고 또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또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신호를 하향 단위 밴드마다 수신하는 무선 수신 수단과,
    각 하향 단위 밴드의 채널 신호에 대해서 수신 처리에 이용하는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기준 정보 크기에 기초해서 채널 신호를 수신 처리하는 채널 신호 수신 처리 수단
    을 구비하며,
    상기 결정 수단은, 자기 장치에 할당된 모든 하향 단위 밴드의 공통 영역에서는, 상기 공통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에 기초해서 상기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하고,
    자기 장치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가진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에 기초해서 상기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하며,
    자기 장치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에 기초해서 상기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하는
    무선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은 LTE-A 단말이고,
    상기 결정 수단은,
    LTE-A 단말을 향해서 송신되는 통지 채널 신호가, 상기 자기 장치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공통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로부터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상기 자기 장치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공통 영역에서의 기준 정보 크기를, 상기 자기 장치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공통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로 하는
    무선 단말.
  6. 상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 각각에 채널 신호를 형성하는 채널 신호 형성 방법으로서,
    모든 무선 단말 사이에서 공통인 공통 영역과 각 무선 단말에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를 하향 단위 밴드마다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채널 신호에 포함되는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및 하향 할당 제어 정보의 정보 크기를 크기 조정 기준에 기초해서 조정하는 단계
    를 구비하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하향 할당 제어 정보는,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할당된 하향 단위 밴드로 송신되는 모든 채널 신호의 공통 영역 및 개별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는, 개별 영역에 대해서는 일부 채널 신호에만 포함되는 한편, 공통 영역에 대해서는 적어도 상기 일부의 채널 신호에 포함되고,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해 할당된 모든 하향 단위 밴드의 공통 영역에서는, 상기 공통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이 상기 크기 조정 기준으로 되며,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이 상기 크기 조정 기준으로 되고,
    상기 임의의 송신 대상 단말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가 상기 크기 조정 기준으로 되는
    채널 신호 형성 방법.
  7. 상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 밴드 각각으로 채널 신호를 수신하는 채널 신호 수신 방법으로서,
    모든 무선 단말 사이에서 공통인 공통 영역과 각 무선 단말에 개별적으로 할당하는 개별 영역을 가짐과 아울러, 상향 할당 제어 정보 또는 하향 할당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채널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단계와,
    각 하향 단위 밴드의 채널 신호에 대해서 수신 처리에 이용하는 기준 정보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준 정보 크기에 기초해서 채널 신호를 수신 처리하는 단계
    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 정보 크기는,
    자기 장치에 할당된 모든 하향 단위 밴드의 공통 영역에서는, 상기 공통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에 기초해서 결정되고,
    자기 장치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및 상기 하향 단위 밴드와 대응지어진 상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상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 중 큰 쪽에 기초해서 결정되며,
    자기 장치에 대한 상향 할당 제어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개별 영역에서는, 상기 개별 영역을 갖는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 밴드의 대역폭으로부터 결정되는 하향 할당 제어의 정보 크기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채널 신호 수신 방법.
KR1020117012408A 2008-12-01 2009-11-30 단말 장치,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1571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06742 2008-12-01
JP2008306742 2008-12-01
JP2009079674 2009-03-27
JPJP-P-2009-079674 2009-03-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536A Division KR101618398B1 (ko) 2008-12-01 2009-11-30 통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집적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231A true KR20110099231A (ko) 2011-09-07
KR101571921B1 KR101571921B1 (ko) 2015-11-25

Family

ID=422330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536A KR101618398B1 (ko) 2008-12-01 2009-11-30 통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20117012408A KR101571921B1 (ko) 2008-12-01 2009-11-30 단말 장치,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536A KR101618398B1 (ko) 2008-12-01 2009-11-30 통신 장치, 송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8) US8620338B2 (ko)
EP (2) EP3448104B1 (ko)
JP (3) JP5414695B2 (ko)
KR (2) KR101618398B1 (ko)
CN (2) CN104244418B (ko)
BR (1) BRPI0922835B1 (ko)
CA (1) CA2742668C (ko)
MY (2) MY174247A (ko)
RU (1) RU2537375C2 (ko)
WO (1) WO2010064398A1 (ko)
ZA (1) ZA20110400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502A1 (ko) * 2015-04-02 2016-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Fcp-ofdm 방식을 이용한 인-밴드(in-band) 다중화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74247A (en) * 2008-12-01 2020-04-01 Panasonic Ip Corp America Radio terminal, radio base station, channel signal forming method and channel signal receiving method
BRPI1008961B1 (pt) * 2009-03-12 2021-04-27 Sun Patent Trust Terminal, estação base, método para receber um canal de controle em um terminal, método para formar um canal de controle em uma estação base e circuito integrado
US8879437B2 (en) * 2010-08-13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Backward compatible LTE system design for asymmetric uplink/downlink spectrum
US9660782B2 (en) * 2011-10-19 2017-05-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access system
CN104968056B (zh) * 2011-11-07 2019-03-01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息传输方法
US20130194997A1 (en) 2012-02-01 2013-08-01 Fujitsu Limited Low Power Narrowband Operation By An Endpoint
US9326217B2 (en) 2013-11-08 2016-04-26 Gogo Llc Optimizing usage of modems for data delivery to devices on vehicles
US9967020B2 (en) 2013-11-08 2018-05-08 Gogo Llc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etween on-board electronic devices and terrestrial devices
US9197314B1 (en) 2013-11-08 2015-11-24 Gogo Llc Data delivery to devices on vehicles using multiple forward links
US9369991B2 (en) 2013-11-08 2016-06-14 Gogo Llc Hybrid communications for devices on vehicles
US9577857B2 (en) 2013-11-08 2017-02-21 Gogo Llc Adaptive modulation in a hybri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10798685B2 (en) * 2015-05-27 2020-10-06 Qualcomm Incorporated Cyclic redundancy check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on control and data channels
JP6776337B2 (ja) * 2015-08-25 2020-10-28 ノキア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ンド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無線フレーム構成
WO2018126456A1 (zh) 2017-01-06 2018-07-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测量方法、基站及终端
KR20200109357A (ko) * 2018-01-17 2020-09-22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주파수 포인트 구성 방법, 네트워크 기기, 단말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CN113748732B (zh) * 2019-03-29 2022-12-13 Lg电子株式会社 发送和接收用于副链路通信的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US11388662B2 (en) * 2020-02-14 2022-07-12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distributing policy in wireless networks
US11599633B1 (en) 2020-07-28 2023-03-07 Ansys, Inc. Security information extraction and probe insertion for side-channel analysi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6175B (fi) * 1997-08-18 2000-11-30 Nokia Mobile Phones Ltd Datansiirto matkaviestinverkossa
WO1999041853A1 (en) 1998-02-14 1999-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dedicated control channel
US6067290A (en) 1999-07-30 2000-05-23 Gigabit Wireless, Inc. Spatial multiplexing in a cellular network
US7346347B2 (en) 2001-01-19 2008-03-18 Raze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WLAN service in a fixe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TWI318847B (en) * 2002-05-29 2009-12-21 Interdigital Tech Corp Packet switched connections using dedicated channels
KR100938103B1 (ko) * 2003-10-14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데이터 제어 채널의 제어 메시지 수신 장치 및 방법
SE0303607D0 (sv) * 2003-12-30 2003-12-30 Ericsson Telefon Ab L M Brandwidth signalling
JP2006109270A (ja) * 2004-10-07 2006-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パケット通信機
US7961700B2 (en) * 2005-04-28 2011-06-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rrier operation in data transmission systems
WO2007029066A2 (en) * 2005-08-05 2007-03-15 Nokia Corporation Power control for discontinuous uplink control channels
JP2008172366A (ja) * 2007-01-09 2008-07-24 Sharp Corp 基地局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制御情報送信方法および制御情報受信方法
EP2120471A1 (en) * 2007-02-28 2009-11-18 NTT DoCoMo, Inc.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1995366B1 (en) * 2007-05-21 2015-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maintaining a balanced state of laundry thereof
JP2009079674A (ja) 2007-09-26 2009-04-16 Jtekt Corp ころ軸受用保持器
KR101448309B1 (ko) * 2007-09-28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CN101309523B (zh) * 2008-06-23 2014-09-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物理下行控制信道信号的方法
JP4752880B2 (ja) 2008-07-11 2011-08-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ビデオカメラ
KR101549021B1 (ko) * 2008-08-20 2015-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papr을 줄이기 위한 프리코딩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155594B2 (en) * 2008-09-09 2012-04-10 At&T Mobility Ii Llc Asymmetrical multicarrier interference avoidance
KR101597142B1 (ko) * 2008-09-29 2016-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를 위한 물리계층 제어 정보 할당 방법 및 MBMS를 위한 물리계층 제어정보 수신 방법
ES2670989T3 (es) * 2008-10-30 2018-06-04 Fujitsu Limited Estación base, dispositivo terminal y método de asignación de canal de control
MX2011004192A (es) * 2008-10-31 2011-05-24 Panasonic Corp Equipo de estacion base de comunicacion inalambrica, dispositivo de terminal de comunicacion inalambrica y metodo de establecimiento de espacios de busqueda.
CN103402228B (zh) * 2008-10-31 2016-08-10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基站装置、终端装置、通信方法和集成电路
US20100120442A1 (en) * 2008-11-12 2010-05-13 Motorola, Inc. Resource sharing in relay operations with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031670B2 (en) * 2008-11-13 2011-10-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the size of a control region of a downlink subframe
US20110222629A1 (en) * 2008-11-20 2011-09-15 Nokia Corporation Pre-coding for downlink control channel
US20100130137A1 (en) * 2008-11-21 2010-05-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carrier util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MY174247A (en) * 2008-12-01 2020-04-01 Panasonic Ip Corp America Radio terminal, radio base station, channel signal forming method and channel signal receiving method
US8929307B2 (en) * 2008-12-26 2015-01-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terminal, and channel signal formation method
WO2010112086A1 (en) * 2009-04-03 2010-10-07 Nokia Siemens Networks Oy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strategy
US9705653B2 (en) * 2009-05-04 2017-07-11 Qualcomm Inc. Downlink control transmission in multicarrier operation
US9351293B2 (en) * 2009-09-11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carrier indication an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teraction
US8433251B2 (en) * 2009-09-28 2013-04-30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information signaling
WO2016142006A1 (en) * 2015-03-09 2016-09-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ducing reference signals when communicating multiple sub-subframes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wireless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502A1 (ko) * 2015-04-02 2016-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Fcp-ofdm 방식을 이용한 인-밴드(in-band) 다중화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291452B2 (en) 2015-04-02 2019-05-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in-band multiplexing using FCP-OFDM scheme, and devic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064398A1 (ja) 2012-05-10
CN104244418B (zh) 2017-12-05
US20140029544A1 (en) 2014-01-30
JP5414695B2 (ja) 2014-02-12
US20180160444A1 (en) 2018-06-07
US20110223926A1 (en) 2011-09-15
CA2742668C (en) 2017-03-07
US11057920B2 (en) 2021-07-06
CA2742668A1 (en) 2010-06-10
EP2355605A1 (en) 2011-08-10
CN102232318A (zh) 2011-11-02
KR20120062822A (ko) 2012-06-14
US11910394B2 (en) 2024-02-20
EP2355605B1 (en) 2018-11-14
KR101571921B1 (ko) 2015-11-25
JP5756878B2 (ja) 2015-07-29
EP3448104A1 (en) 2019-02-27
US20160226615A1 (en) 2016-08-04
ZA201104006B (en) 2012-08-29
US8620338B2 (en) 2013-12-31
MY174247A (en) 2020-04-01
US20210289530A1 (en) 2021-09-16
US20200100274A1 (en) 2020-03-26
RU2537375C2 (ru) 2015-01-10
CN102232318B (zh) 2014-07-16
US9923691B2 (en) 2018-03-20
US9432165B2 (en) 2016-08-30
US20240147482A1 (en) 2024-05-02
EP2355605A4 (en) 2016-08-10
JP5595576B2 (ja) 2014-09-24
JP2014225913A (ja) 2014-12-04
EP3448104B1 (en) 2020-02-26
JP2014057346A (ja) 2014-03-27
BRPI0922835A2 (pt) 2020-08-04
US10531482B2 (en) 2020-01-07
WO2010064398A1 (ja) 2010-06-10
KR101618398B1 (ko) 2016-05-04
CN104244418A (zh) 2014-12-24
BRPI0922835B1 (pt) 2021-09-28
MY156098A (en) 2016-01-15
RU2011122106A (ru) 2013-01-10
US20230120645A1 (en) 2023-04-20
US11558888B2 (en)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0394B2 (en) Radio terminal, radio base station, channel signal forming method and channel signal receiving method
US11171752B2 (en) Integrated circuit
KR20120096566A (ko) 기지국 장치 및 송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