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127A -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7127A
KR20110097127A KR1020100016788A KR20100016788A KR20110097127A KR 20110097127 A KR20110097127 A KR 20110097127A KR 1020100016788 A KR1020100016788 A KR 1020100016788A KR 20100016788 A KR20100016788 A KR 20100016788A KR 20110097127 A KR20110097127 A KR 20110097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ck
subbase
assembly
guide pin
bogi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수
정원중
Original Assignee
(주)브이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브이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100016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7127A/ko
Priority to PCT/KR2011/000085 priority patent/WO2011105694A2/ko
Priority to CN2011800109329A priority patent/CN102781767A/zh
Publication of KR20110097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4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mproved accessi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8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nterchangeable parts, e.g. new part adapting to old desig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는, 지면을 기준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대차프레임과, 자동차 부품을 조립하고 대차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그 어셈블리와, 지그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베이스와, 서브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척핀 및, 대차프레임에 구비되고 척핀이 삽입되는 척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Assembling apparatus for car parts}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차종 혼류 생산을 위한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체의 조립라인에서 차체를 조립하는 때에는, 보조조립라인에서 후면차체, 차체측면패널 및 뚜껑물체 부재 등을 각각 보조조립한 후에 이들을 차체조립라인에 공급한다.
보조조립된 조립차체는 차체조립라인의 하부차체 조립스테이션에 이르고, 하부차체 조립스테이션에서는 복수의 위치 결정부재나 고정부재를 구비한 대차 위에 바닥패널, 전면차체 및 후면차체를 위치결정 고정시키고 임시용접 또는 고정용접을 하여 하부차체를 조립한다.
다음 단계로서 대차에 탑재되어 있는 하부차체를 대차와 함께 상부차체의 조립스테이션으로 이송하고, 상부차체 조립스테이션에서는 하부차체에 측면패널과 루프패널 등이 조립되고, 위치결정지그를 사용해서 위치결정 고정시키고 임시용접 또는 고정용접을 하여 상부차체를 조립한다.
이와같은 차체조립라인에서 사용되는 지그장치는 차체조립라인의 양 사이드에 구비되며, 차체의 사이드 패널 또는 차체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지그장치를 이용하여 사이드 패널 또는 차체를 고정시킨 다음에, 해당 부품을 로봇 용접으로 용접하거나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차체조립라인의 양 사이드에 구비되는 지그장치는 해당 차종의 전용 지그장치로서, 대차에 지그장치가 직접 조립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차종을 변경하여 차체를 조립 생산할 경우에는 차종 및 차형에 따라 별도의 지그장치가 구비되는 대차를 제작하여야 하므로, 설비 제작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별도의 대차가 많게 되면 지그장치가 조립된 대차가 저장되는 부지가 과다하게 필요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차종이 동일하더라도 해치백 또는 노치백 등등 차량의 형태가 다른 경우에는 별도의 대차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게되어, 별도의 대차를 제작하기 위한 기간 및 소요인원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차종 혼류 생산을 위한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는,
지면을 기준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대차프레임; 자동차 부품을 조립하고 상기 대차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그 어셈블리; 상기 지그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베이스; 상기 서브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척핀; 및상기 대차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척핀이 삽입되는 척;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대차프레임에 구비된 척과 서브베이스에 구비된 척핀에 의해 대차프레임과 서브베이스가 탈부착이 가능하게 되어, 차량의 변경 또는 차량은 동일하더라도 차형이 바뀌는 경우, 바뀐 형태에 따른 지그 어셈블리가 구비된 서브베이스만을 대차프레임에서 탈착하여 교체하면 되므로 차종 및 차형에 따라 지그 어셈블리가 구비된 대차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조립차체의 후방 및 사이드쪽 후방에 관련된 부품을 고정할 수 있는 리어 서브베이스에 의해, 차종은 동일하나 차형이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로 조립차체의 후방이 해치백(hatch back)과 노치백(notch back)의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경우에, 대차프레임에서 해당 형상에 대응하는 작업이 가능한 지그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리어 서브베이스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다차종 혼류 생산이 가능하고, 이러한 다차종 혼류 생산에 있어서도 별도의 대차를 제작하기 위한 기간이 필요치 않게되며, 별도의 대차 제작을 위한 소요인원을 추가적으로 배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가이드핀 홈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가이드핀이 가이드핀 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세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핀 홈에 가이드핀이 결합된 후에도 치수공차 및/또는 조립공차등에 의해 척에 척핀이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미세하게 이르지 못한 경우에, 서브베이스를 대차프레임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조정하여 척과 척핀이 대응되는 위치에 이르도록 할 수 있다.
넷째, 척블록이 구비되어 척과 척핀이 결합할 때 치수공차 및/또는 조립공차 등에 의해 정확하게 결합하지 못하는 경우, 척과 척블록의 틈새에 조절심을 삽입하여 척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척과 척핀이 결합이 정확하게 행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척의 인접주위에 척의 오작동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척의 오작동시 제어부가 척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대차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부분의 부분확대도 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전지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2는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대차프레임(100)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부분의 부분확대도 이다.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는, 지면을 기준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대차프레임(100)과, 자동차 부품을 조립하고 대차프레임(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그 어셈블리(210 또는 220)와, 지그 어셈블리(210 또는 220)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와,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척핀(330) 및, 대차프레임(100)에 구비되고 척핀(330)이 삽입되는 척(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대차프레임(100)은 상측에 후술하는 지그 어셈블리(210 또는 220)가 배치되며, 지면을 기준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대차프레임(100)은 자동차 조립라인에 배치되는 것으로, 지면을 기준으로 이동하여, 자동차 조립라인의 전방, 측방 또는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프레임(100)은 자동차 조립라인의 조립차체가 이동되는 이동라인을 기준으로 양 사이드에 해당하는 측방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대차프레임(100)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그 어셈블리(210 또는 220)는 대차프레임(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지그 어셈블리(210 또는 220)는 대차프레임(100)의 이동시, 대차프레임(100)에 탑재되어 대차프레임(100)과 같이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프레임(100)이 자동차 조립라인의 측방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지그 어셈블리(210 또는 220)도 자동차 조립라인의 측방에 구비되어, 조립차체의 측방에서 조립차체를 조립한다.
지그 어셈블리(210 또는 220)는 조립차체의 사이드쪽 부품에 대하여 해당 부분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지그 어셈블리(210 또는 220)에는 조립차체의 해당부분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장치, 해당 위치로의 움직임을 위한 구동부, 위치결정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그 어셈블리(210 또는 220)는 상술한 장치가 하나의 지그유닛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지그유닛이 하나의 군을 형성할 수 있다.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에는 지그 어셈블리(210 또는 220)가 구비된다.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는 대차프레임(100)과 지그 어셈블리(210 또는 220)의 사이에 구비된 넓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의 상부에 지그 어셈블리(210 또는 220)가 구비된다.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각각의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그 어셈블리(210 또는 220)가 구비될 수 있다.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의 하부에는 척핀(330)이 구비된다. 척핀(330)은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차프레임(100)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척핀(330)의 형상은 후술하는 척(110)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척(110)은 대차프레임(100)에 구비된다. 척(110)은 대차프레임(100)에서 척핀(330)이 삽입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구비된다. 척(110)은 일종의 고정 장치로서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에 형성된 척핀(330)이 삽입된 후, 제어부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동되고, 기계적 구동에 의해 척(110)을 작동시켜 척핀(330)을 고정함으로써 대차프레임(100)에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를 고정시킨다. 또한 척(110)을 작동시켜 척핀(330)을 해방하여, 대차프레임(100)에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를 탈착 가능하도록 한다.
척(110)은 척핀(330)에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척핀(330)이 척(110)에 삽입되고, 척(110)이 작동되어 척핀(330)을 고정시킬 때, 척(110)과 척핀(330)의 형상은 상호 대응되어, 고정이 용이하도록 한다.
척(110)은 유체에 의한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척(110)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공기압을 이용한 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스프링 등의 탄성력을 이용한 척(110)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압을 이용한 척(110)으로 설명하나, 이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압을 이용한 척(110)은, 척(110)에 공기를 공급하면 잠금이 풀려 척핀(330)을 해방하도록 하며, 공기를 차단하면 척핀(330)이 고정되도록 척(110)이 잠금되게 한다.
대차프레임(100)에 구비된 척(110)과,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에 구비된 척핀(330)에 의해 대차프레임(100)과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가 탈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차량의 변경 또는 차량은 동일하더라도 차형이 바뀌게 되면, 종래에는 각각의 변경된 형태에 따른 전용 지그를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는 변경된 형태에 따른 지그 어셈블리(210 또는 220)가 구비된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만을 대차프레임(100)에서 탈착하여 교체하면 되므로 상술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따라서, 종래의 양 사이드에 구비되는 일체형 지그장치를 차종 및 차형에 따라 별도 제작하여 설비 제작비가 상승하는 문제를 막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의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는, 프런트 서브베이스(310)와 리어 서브베이스(320)를 포함하며, 프런트 서브베이스(310)에는 제1지그 어셈블리(210)가 구비되고, 리어 서브베이스(320)에는 제2지그 어셈블리(220)가 구비된다.
프런트 서브베이스(3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베이스 중, 전방에 구비되는 서브베이스(310)이며, 프런트 서브베이스(310)에는 상술한 척핀(33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대차프레임(100)에는 프런트 서브베이스(310)의 척핀(330)이 구비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부분에 척(110)이 구비될 수 있다. 프런트 서브베이스(310)에 구비되는 제1지그 어셈블리(210)는 복수개의 지그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서브베이스(310)는 후술하는 리어 서브베이스(320)와 별개로 형성되어, 프런트 서브베이스(310) 부분만 다른 지그 어셈블리가 구비된 서브베이스로 교체가 가능하다.
리어 서브베이스(3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베이스 중, 후방에 구비되는 서브베이스(320)이며, 리어 서브베이스(320)에는 상술한 척핀(33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대차프레임(100)에는 리어 서브베이스(320)의 척핀(330)이 구비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부분에 척(110)이 구비될 수 있다. 리어 서브베이스(320)에 구비되는 제2지그 어셈블리(220)는 복수개의 지그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서브베이스(320)는 조립차체의 후방 및 사이드쪽 후방에 관련된 부품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차종은 동일하나 차형이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로, 예를 들어 조립차체의 후방이 해치백(hatch back)과 노치백(notch back)의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대차프레임(100)에서 해당 형상에 대응하는 작업이 가능한 제2지그 어셈블리(220)가 구비되는 리어 서브베이스(320)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다차종 혼류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해치백과 노치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할 뿐이며 다양한 형태의 다차종 혼류생산이 실시될 수 있고, 이러한 다차종 혼류 생산에 있어서도 별도의 대차를 제작할 필요가 없게되고, 별도의 대차를 제작하기 위한 기간 및 소요인원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의 하부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핀(340)이 형성되고, 대차프레임(100)은 가이드핀(340)이 삽입되어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가 대차프레임(100)에 탈부착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핀 홈(140)이 형성된다.
가이드핀(340)은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의 하부에 돌출되어 대차프레임(100)쪽을 향해 형성된다. 가이드핀(340)은 프런트 서브베이스(310) 및/또는 리어 서브베이스(3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대차프레임(100)에는 가이드핀(340)이 삽입되는 가이드핀 홈(140)이 형성된다. 가이드핀 홈(140)에 가이드핀(340)이 삽입되도록 하며, 가이드핀 홈(140)에 가이드핀(340)이 삽입되면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가 대차프레임(100)에 탈부착되는 위치가 안내된다.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가 가이드핀(340)과 가이드핀 홈(140)에 의해 안내되면, 대차프레임(100)의 척(110)과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의 척핀(330)이 삽입되도록 안내된 상태에 이른다.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핀 홈(140)과 척(110)은 동일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대차프레임(100)의 상면에 가이드핀 홈(140)과 척(110)이 상호 동일평면상에 구비되면,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에 구비된 가이드핀(340)과 척핀(330)이 가이드핀 홈(140)과 척(110)에 각각 결합되어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의 하면과 대차프레임(100)의 상면이 맞닿아 부착된다. 이 경우 척(110)과 척핀(330) 및/또는 가이드핀(340)과 가이드핀 홈(140)은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와 대차프레임(100)을 고정하기 위하여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핀 홈(140)과 척(110)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대차프레임(100)의 상면에 가이드핀 홈(140)과 척(110)이 상호 동일직선상에 구비되면,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에 구비된 가이드핀(340)과 척핀(330)이 가이드핀 홈(140)과 척(110)에 각각 결합되어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의 하면과 대차프레임(100)의 상면이 맞닿아 부착되도록 하고, 하나의 척(110)과 하나의 척핀(330)만으로 결합하여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와 대차프레임(100)을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핀 홈(140)은 가이드핀(340)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핀(340)의 단면이 원형 또는 이에 근사한 타원으로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핀 홈(140)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가이드핀(34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치수공차 및/또는 조립공차 등에 의해 가이드핀(340)과 가이드핀 홈(140)의 형상이 일치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이드핀(340)과 가이드핀 홈(140)의 결합 시, 가이드핀 홈(140)에 일정한 결합여유가 있어야 한다. 가이드핀(340)의 단면이 원형 또는 이에 근사한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가이드핀(340)과 가이드핀 홈(140)의 결합이 결합여유에 의해 용이하게 되도록 가이드핀 홈(140)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핀 홈(140)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가이드핀(340)이 가이드핀 홈(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세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가이드핀 홈(140)에 가이드핀(340)이 결합된 후에도, 치수공차 및/또는 조립공차 등에 의해 척(110)에 척핀(330)이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미세하게 이르지 못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를 대차프레임(100)상에서 밀거나 당겨,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조정해야 하는데, 이 때, 가이드핀 홈(140)이 타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가이드핀 홈(140)에 삽입된 가이드핀(340)이 결합여유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미세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서브베이스(310 또는 320)를 대차프레임(100)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조정하여 척(110)과 척핀(330)이 대응되는 위치에 이르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척(110)의 인접주위에는 척(110)과 틈새(130)를 두어 이격되는 척블록(120)이 구비되고, 척(110)과 척블록(120)의 사이의 틈새(130)는 조절심이 삽입되어 척(11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한다.
척블록(120)은 척(110)의 인접주위에 구비된다. 척블록(120)은 대차프레임(100)에 구비된 척(110)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며, 척(110)의 인접주위의 일부분 만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척블록(120)은 척(110)과 일정한 틈새(130)를 두어 구비된다.
척블록(120)은, 가이드핀(340)과 가이드핀 홈(140)에 의해 안내된 척(110)과 척핀(330)이 결합할 때 치수공차 및/또는 조립공차 등에 의해 정확하게 결합하지 못하는 경우 척(110)과의 틈새(130)에 조절심을 삽입하여 척(11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도록 한다. 조절심은 척(110)과 척블록(120)의 틈새(130)에 끼워질 수 있는 다양한 물체를 포함한다.
척(110)의 인접주위에는 척(110)의 오작동을 감지하는 센서(150)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150)는 척(110)의 동작을 감지하여 척(11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로 센싱한 값을 전달하고, 제어부는 감지값을 기초로 척(110)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여, 척(11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210 : 제1지그 어셈블리 220 : 제2지그 어셈블리
310 : 프런트 서브베이스 320 : 리어 서브베이스
100 : 대차프레임 110 : 척
140 : 가이드핀 홈 120 : 척블록
130 : 틈새 330 : 척핀
340 : 가이드핀 150 : 센서

Claims (9)

  1. 지면을 기준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대차프레임;
    자동차 부품을 조립하고 상기 대차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그 어셈블리;
    상기 지그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베이스;
    상기 서브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척핀; 및
    상기 대차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척핀이 삽입되는 척;
    을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베이스는 프런트 서브베이스와 리어 서브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프런트 서브베이스에는 제1지그 어셈블리가 구비되고,
    상기 리어 서브베이스에는 제2지그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베이스의 하부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핀이 형성되고,
    상기 대차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상기 서브베이스가 상기 대차프레임에 탈부착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핀 홈이 형성되는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 홈과 상기 척은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 홈과 상기 척은 동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 홈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의 인접주위에는 상기 척과 틈새를 두어 이격되는 척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척과 상기 척블록의 사이의 틈새는 조절심이 삽입되어 상기 척의 위치를 조절하는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은 유체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척인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의 인접주위에는 상기 척의 오작동을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비되는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KR1020100016788A 2010-02-24 2010-02-24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KR20110097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788A KR20110097127A (ko) 2010-02-24 2010-02-24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PCT/KR2011/000085 WO2011105694A2 (ko) 2010-02-24 2011-01-06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CN2011800109329A CN102781767A (zh) 2010-02-24 2011-01-06 汽车部件组装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788A KR20110097127A (ko) 2010-02-24 2010-02-24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127A true KR20110097127A (ko) 2011-08-31

Family

ID=44507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788A KR20110097127A (ko) 2010-02-24 2010-02-24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10097127A (ko)
CN (1) CN102781767A (ko)
WO (1) WO201110569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7338B1 (fr) * 2012-02-27 2017-11-2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Ossature de preparation mecanique comprenant un chassis reglable pour le montage d’un reservoir sur un vehicule
CN102990256B (zh) * 2012-10-30 2015-07-15 天津博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车身焊接装置
CN114406666B (zh) * 2022-01-04 2023-02-21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利用组装装置组装轴箱内置式转向架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9882A (ja) * 1993-06-01 1994-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産業用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H07102486B2 (ja) * 1993-06-01 1995-11-08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レット位置決め装置
JP2000246551A (ja) * 1999-02-26 2000-09-12 Kanto Auto Works Ltd パレット式搬送装置および搬送システム
JP2003089021A (ja) * 2002-05-28 2003-03-25 Nissan Motor Co Ltd 車体搬送台車の治具切換装置
EP2052808B1 (de) * 2007-10-22 2010-03-10 Erowa AG Spanneinrichtung mit einem Spannfutter zum lösbaren Fixieren eines Werkstückträg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81767A (zh) 2012-11-14
WO2011105694A2 (ko) 2011-09-01
WO2011105694A3 (ko) 201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5355A1 (en) Reset mechanism for suspension-based battery swapping device, suspension-based battery swapping device, and battery swapping method
KR101230850B1 (ko) 자동차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
KR101220384B1 (ko) 차량용 후드패널 지그장치
CN103857553B (zh) 充电站
WO2010064488A1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N107804389B (zh) 一种汽车前端模块总成自动居中的装配工装及方法
US9399411B2 (en) Sliding structure for vehicle seat
DE112014002567T5 (de) Bremsvorrichtung und Bremsanlage
CN110001599A (zh) 换电平台、换电机器人及充换电站
KR20110097127A (ko) 자동차 부품 조립장치
CN103313908A (zh) 车身组装装置
WO2017022342A1 (ja) 電動車両
US20150239370A1 (en) Vehicle sea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5083233A (zh) 一种用于电动乘用车动力电池更换的锁紧系统
US9796439B2 (en) Method for coupling a sunroof glass apparatus to a vehicle body
JP2011126451A (ja) 電動車両用バッテリのコネクタ構造
CN108380809B (zh) 一种用于汽车模具的零件铆接设备
CN107486856B (zh) 一种汽车前端模块装配机械手及汽车前端模块装配方法
CN103863418B (zh) 用于汽车仪表板横梁的固定装置及汽车
KR101315711B1 (ko) 다차종 대응 fem 그리퍼
US20220226942A1 (en) Bracket presenter for ultrasonic welder
CN102431005B (zh) 一种轿车后盖装配工具
CN104608095A (zh) 一种中门铰链辅助装配工装及其装配方法
CN109015587A (zh) 一种设有手爪库的agv车
CN205168461U (zh) 一种电动乘用车动力电池更换的插座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