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810A -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와 그에 따른 통신 모드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와 그에 따른 통신 모드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810A
KR20110096810A KR1020100016279A KR20100016279A KR20110096810A KR 20110096810 A KR20110096810 A KR 20110096810A KR 1020100016279 A KR1020100016279 A KR 1020100016279A KR 20100016279 A KR20100016279 A KR 20100016279A KR 20110096810 A KR20110096810 A KR 20110096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mmunication
data
typef
communic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916B1 (ko
Inventor
성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6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916B1/ko
Priority to JP2010279469A priority patent/JP5767462B2/ja
Priority to US12/972,793 priority patent/US8537907B2/en
Priority to CN2010106180404A priority patent/CN102164009A/zh
Publication of KR2011009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72
    • H04B5/7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Abstract

수신 장치로 인가되는 데이터의 통신 프레임 패턴이 복수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의 어느 프로토콜에 속하는 지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통신 모드 검출방법이 개시된다. 그러한 통신 모드 검출 방법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 이니씨에이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통신 프레임 패턴을 미리 설정된 샘플링 클럭에 동기하여 수신하는 단계가 마련된다. 통신 모드의 검출은, 상기 통신 프레임 패턴 중의 스타트 패턴을 분석함에 의해 달성된다. 통신 모드가 신속하게 검출됨은 물론, 통신 모드 세팅을 위한 동작을 별도로 수행함이 없이도 데이터가 자동으로 수신되기 때문에, 수신 장치의 동작 퍼포먼스가 개선된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와 그에 따른 통신 모드 검출방법 {Receiving system for use in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mode detection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와 그에 따른 통신 모드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장치와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가 서로 수십 센티미터 내지 수 미터 이내의 근거리에 위치될 경우에 NFC(Near Field Commuication)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비접촉식의 전자결제나 정보인식을 위해 모바일 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는 정해진 NFC 프로토콜로 리더기와 통신할 수 있다.
NFC 시스템에서, 전송 데이터는 각기 정해진 코딩 방식으로 소오스 코딩(source coding)된 후에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예를 들어, ISO 18092의 이니씨에이터는 맨체스터 코딩된 신호를 NFC 타겟으로 전송한다.
상기 NFC 이니씨에이터(Initiator)는 전송 초기에 TYPEA 106kbps, TYPEB 106kbps, TYPEF 212kbps(FELICA 212kbps), 및 TYPEF 424kbps(FELICA 424kbps)의 통신 프레임 패턴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NFC 타겟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신 프레임 패턴이 NFC 프로토콜 중 어느 프로토콜인지를 우선 검출해야한다. 그렇지만, 다양한 프로토콜 중에서 어떤 한 통신 모드가 타겟에서 미리 설정된 후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NFC 타겟(Target)은 위와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의 통신 모드를 모두 검출하고 수신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데이터의 통신 프레임 패턴이 어느 프로토콜에 속해 있는 지를 판단하기 위해, NFC 통신 모드를 검출하는 전형적인 방법은 NFC 타겟 내에 TYPEA 106, TYPEB 106, FEILICA 212, FELICA 424 각각의 프로토콜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 장치를 모두 구비하여 두고, CPU 등과 같은 제어처리부에 의해 TYPEA 106, TYPEB 106, FELICA 212, FELICA 424를 주기적으로 하나씩 세팅하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모드가 세팅되었을 경우에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 모드는 그 세팅된 모드로서 결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형적인 모드 검출 방법은 통신 모드의 검출 시간을 비교적 오래 걸리게 하고, 소프트웨어적으로 복잡한 절차를 필요로 하므로, 수신 장치의 퍼포먼스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근거리 통신에서 신속히 통신 모드를 검출하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테크닉이 요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의 수신 시 신속히 통신 모드를 검출할 수 있는 통신 모드 검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가되는 데이터의 통신 모드를 신속하게 검출함은 물론, 통신 모드 세팅을 위한 동작을 별도로 수행함이 없이도,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신할 수 있는 방법 및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통신 모드 중의 하나를 통신 프레임 패턴의 일부를 이용하여 구별할 수 있는 통신 모드 검출방법 및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근거리 통신 타겟의 수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통신 모드 검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일 양상에 따른 통신 모드 검출방법은:
근거리 통신 이니씨에이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통신 프레임 패턴을 미리 설정된 샘플링 클럭에 동기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프레임 패턴 중의 스타트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통신 프레임 패턴이 복수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의 어느 프로토콜에 속해 있는 가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타트 패턴은 TYPEA 106인 경우에 S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타트 패턴은 TYPEB 106인 경우에 SOF 패턴일 수 있으며, TYPEF 212 및 424인 경우에 각기 SYNC 패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스타트 패턴의 분석 시 상기 TYPEA 106인 경우에는 상기 TYPEF 212와의 구별을 위해 상기 S패턴 뒤의 데이터 1비트가 상기 스타트 패턴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설정된 샘플링 클럭은 TYPEF 424의 데이터를 8배 오버 샘플링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 모드의 검출 후에 대응되는 프로토콜에 의한 디코딩 및 디그레이딩을 수행하는 단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른 양상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는:
인가되는 데이터의 통신 프레임 패턴 중 스타트 패턴을 미리 설정된 샘플링 클럭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통신 프레임 패턴이 복수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의 어느 프로토콜에 속해 있는 가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검출 및 수신부와;
상기 통신 모드의 검출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프로토콜에 의한 디코딩 및 디그레이딩을 수행한 후 디그레이딩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디코딩 및 메모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가 근거리 통신 이니씨에이터로부터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 장치는 TYPEA 106, TYPEB 106, TYPEF 212, 및 TYPEF 424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타겟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디코딩 및 메모리부로부터 인가되는 리퀘스트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그레이딩 데이터를 리드하고 검출된 통신 모드를 확인하는 처리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스타트 패턴의 분석 시 상기 TYPEF 424에 기준 하여, 상기 TYPEF 212와 TYPEA 106의 데이터는 2배 오버샘플링되고, TYPEB 106의 데이터는 8배 오버샘플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이니씨에터와;
데이터의 통신 프레임 패턴 중 스타트 패턴을 미리 설정된 샘플링 클럭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통신 프레임 패턴이 복수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의 어느 프로토콜에 속해 있는 가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검출 및 수신부와, 상기 통신 모드의 검출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프로토콜에 의한 디코딩 및 디그레이딩을 수행한 후 디그레이딩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디코딩 및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타겟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이니씨에이터는 카드 리더기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 타겟은 스마트 카드를 내장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장치로 인가되는 데이터의 통신 프레임 패턴이 복수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의 어느 프로토콜에 속하는 지가 신속하게 검출됨과 아울러 통신 모드 세팅을 위한 동작을 별도로 수행함이 없이도 데이터가 자동으로 수신된다. 따라서, 수신 장치의 동작 퍼포먼스가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근거리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근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통신 프레임 구조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통신 프레임들 중 스타트 패턴을 각기 비교적으로 나타낸 타이밍도
도 4는 도 1의 근거리 통신 시스템 중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타겟의 세부적 블록도
도 5는 도 4중 검출 및 수신부의 통신 모드 검출 동작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
도 6은 도 1의 근거리 통신 시스템을 리더기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적용한 예시적 블록도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이해의 편의를 제공할 의도 이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개시된 내용이 보다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소자 또는 라인들이 대상 소자 블록에 연결된다 라고 언급된 경우에 그것은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어떤 다른 소자를 통해 대상 소자 블록에 간접적으로 연결된 의미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급적 나타내고 있다. 일부 도면들에 있어서, 소자 및 라인들의 연결관계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나타나 있을 뿐, 타의 소자나 회로 블록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될 수 있음을 유의하라.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근거리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근거리 통신 시스템은 NFC 이니씨에이터(10)와 NFC 타겟(20)을 포함한다. 상기 NFC 타겟(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로서 기능하며 검출 및 수신부(25)를 구비한다. 상기 NFC 이니씨에이터(10)가 TYPEA 106, TYPEB 106, TYPEF 212, 또는 TYPEF 424의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 상기 NFC 타겟(20)은 상기 검출 및 수신부(25)를 통하여 전송되어진 데이터의 통신 프레임 패턴이 복수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의 어느 프로토콜에 속하는 지를 신속하게 검출하고, 통신 모드 세팅을 위한 동작을 별도로 수행함이 없이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신한다. 따라서, NFC 타겟(20)의 동작 퍼포먼스가 개선된다.
이하에서는 통신 모드의 검출에 관한 예가 세부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2에는 도 1의 근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통신 프레임 구조들이 나타나 있다. 도 2의 통신 프레임 210은 TYPEA 106을 나타내고, 통신 프레임 220은 TYPEB 106을 나타낸다. 또한, 통신 프레임 230은 TYPEF 212 또는 TYPEF 414를 나타낸다.
상기 통신 프레임 210은 스타트 패턴(S:211), 데이터 패턴들(212,214,216), 패리티 패턴들(213,215), 및 엔드 패턴(2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 프레임 220은 스타트 패턴으로서의 파일 스타트(SOF:221), 데이터 패턴들(223,225,227), 패리티 패턴들(213,215), 스타트 구간(222,226), 스탑 구간(224,228) 및 엔드 패턴으로서의 파일 엔드(2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 프레임 230은 프리앰블 패턴(231), 스타트 패턴으로서의 동기패턴(SYNC:232), 길이 패턴(233), 데이터 패턴으로서의 페이로드(234), 및 CRC 패턴(2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TYPEA의 경우 스타트 비트(Start bit)이 존재하고, TYPEB의 경우 SOF 패턴(Pattern)이 존재하며, TYPEF의 경우 SYNC 패턴이 존재하므로, 이를 비교시 어느 프로토콜인 지를 구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통신 프레임들 중 스타트 패턴을 각기 비교적으로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타임 구간 T10에서 로우 및 하이 레벨을 갖는 스타트 패턴 211A는 TYPEA 106이고 데이터가 O인 경우의 S패턴 파형을 나타낸다.
타임 구간 T11에서 로우 및 하이 레벨을 갖는 스타트 패턴 211B는 TYPEA 106이고 데이터가 1인 경우의 S 패턴 파형을 나타낸다.
타임 구간 T20에서 로우 레벨을 갖는 스타트 패턴 221은 TYPEB 106인 경우의 SOF 패턴 파형을 나타낸다.
타임 구간 T22에서 하이 및 로우 레벨을 갖는 스타트 패턴 232A은 TYPEF 212의 SYNC 패턴 파형을 나타낸다.
타임 구간 T24에서 하이 및 로우 레벨을 갖는 스타트 패턴 232B는 TYPEF 424의 SYNC 패턴 파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3에서 보여지는 상기 통신 프레임 패턴 중의 스타트 패턴을 분석하여 신속하게 통신 모드를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스타트 패턴의 분석은 도 4의 검출 및 수신부(25)에 의해 수행된다.
도 4는 도 1의 근거리 통신 시스템 중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타겟의 세부적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신 장치로서의 NFC 타겟은 검출 및 수신부(25), 클럭 발생기(21), 디코딩 및 메모리부(22), 및 처리 제어부(23)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 및 수신부(25)는 인가되는 데이터의 통신 프레임 패턴 중 스타트 패턴을 미리 설정된 샘플링 클럭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통신 프레임 패턴이 복수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의 어느 프로토콜에 속해 있는 가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클럭 발생기(21)는 상기 샘플링 클럭을 발생하여 라인(L3)을 통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샘플링 클럭의 주파수는 TYPEF 424의 데이터를 8배 오버 샘플링하는 주파수일 수 있다.
상기 디코딩 및 메모리부(22)는 상기 통신 모드의 검출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프로토콜에 의한 디코딩 및 디그레이딩(degrading)을 수행한 후 디그레이딩된 데이터를 FIFO 메모리에 저장한다.
상기 처리 제어부(23)는 상기 디코딩 및 메모리부(22)로부터 인가되는 리퀘스트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FIFO 메모리에 저장된 디그레이딩 데이터를 리드하고 검출된 통신 모드를 확인한다.
도 4와 같이 구성된 근거리 통신 타겟은, 상기 데이터가 근거리 통신 이니씨에이터로부터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 장치는 TYPEA 106, TYPEB 106, TYPEF 212, 및 TYPEF 424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스타트 패턴을 미리 설정된 샘플링 클럭에 따라 분석할 경우에, 상기 TYPEA 106의 스타트 패턴에는 S 패턴이 기본적으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TYPEF 212와의 구별을 위해서는 상기 S패턴 뒤의 데이터 1비트가 상기 스타트 패턴에 더 포함될 수 있다. 결국, 스타트 패턴들을 비교 시, TYPEF 424와 TYPEB 106은 타이밍적으로 서로 차이가 있지만 TYPEA 106과 TYPEF 212는 타이밍적으로 서로 차이가 없다. 따라서, 통신 모드의 구별이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TYPEA 106의 경우에는 스타트 패턴 뿐만 아니라 스타트 패턴 S 후의 데이터 1비트를 검출할 스타트 패턴에 추가한다.
상기 TYPEB 106인 경우에 상기 스타트 패턴은 SOF 패턴이 되며, 상기 TYPEF 212인 경우나 상기 TYPEF 424인 경우에 상기 스타트 패턴은 SYNC 패턴이 된다.
상기 스타트 패턴의 분석 시 상기 TYPEF 424에 기준 하여, 상기 TYPEF 212와 TYPEA 106의 데이터는 2배 오버샘플링되고, TYPEB 106의 데이터는 8배 오버샘플링되어진다. 상기 TYPEF 424의 샘플링은 상기 샘플링 클럭의 주파수가 6.78MHz 인 경우에 8배 오버 샘플링된다.
도 5는 도 4중 검출 및 수신부의 통신 모드 검출 동작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단계 S500에서 초기화 수행이 이루어진 후, 단계 S501에서 통신 프레임 패턴 중의 스타트 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에지 검출의 유무가 체크된다. 즉, 하이에서 로우로 천이되거나 로우에서 하이로 천이되는 에지가 있으면, 스타트 패턴의 데이터 레벨은 하이("1") 또는 로우("0")로서 판정된다.
단계 S510, 단계 S511, 및 단계 S512는 수신 데이터의 NFC 프로토콜이 TYPEA 106인가를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다. 샘플링 클럭을 사용하여 에지를 검출한 결과로서, 상기 단계 S510에서 2비트의 "0"이 서치되었다면 상기 단계 S511에서 몇비트의 "1"이 서치되었는 지가 체크된다. 2개(2비트)의 "0"이 서치된 이후에 6~8개의 "1"이 서치된 경우라면 도 3의 211A 파형이 검출된 것이므로, 단계 S512에서 TYPEA 106 모드가 판정되고 시작 데이터(S_DATA)는 "O"으로서 판정된다. 한편, 2개의 "0"이 서치된 이후에 10~12개의 "1"이 서치된 경우라면 도 3의 211B 파형이 검출된 것이므로, 단계 S512에서 TYPEA 106 모드가 판정되고 시작 데이터(S_DATA)는 "1"로서 판정된다. 상기 시작 데이터(S_DATA)의 논리 레벨과, 상기 TYPEA 106 모드의 코딩정보, 및 오버 샘플링에 대한 디그레이딩 정보는 SDATA, MIL(Miller 코딩), 및 BN/2 (Bit Number/2)로서 각기 출력되어 버스 라인(L2)를 통해 도 4의 디코딩 및 메모리부(22)로 인가된다. 이에 따라 디코딩 및 메모리부(22)는 라인(L1)에서 인가되는 데이터를 상기 버스 라인(L2)을 통해 받고 상기 MIL 정보에 따라 밀러 디코딩을 행한다. 디코딩된 데이터는 상기 BN/2 정보에 따라 디그레이딩된다. 이 경우에 디코딩된 데이터의 비트 수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상기 디그레이딩 데이터는 수신용 FIFO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후 데이터의 엔드 패턴(End pattern)이 검출되면 상기 디코딩 및 메모리부(22)는 수신 인터럽트(RX_INT)를 라인(L4)를 통해 처리 제어부(23)로 인가한다. 상기 FIFO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RX_DARA)는 라인(L5)를 통해 상기 처리 제어부(23)로 인가되며, 이 때 검출된 모드 신호(MODE)도 라인(L6)을 통해 상기 처리 제어부(23)로 인가된다. 상기 처리 제어부(23)는 노이즈(Noise)에 의해 데이터 오검출의 확률을 줄이기 위하여, 수신 인터럽트(RX_INT), 데이터(RX_DARA), 및 상기 모드 신호(MODE)를 수신하고 REQA, REQB, ATR REQ 인지를 판단함으로써, 모드 검출의 정확성 확인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다시 도 5로 돌아가면, 단계 S520과 단계 S521은 수신 데이터의 NFC 프로토콜이 TYPEB 106인가를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다. 단계 S520에서 80~88개의 0이 서치된 경우라면 도 3의 221 파형이 검출된 것이므로, 단계 S521에서 TYPEB 모드가 판정된다. 상기 TYPEB 모드의 코딩정보와 오버 샘플링에 대한 디그레이딩 정보는 NRZ(NRZ 코딩), 및 BN/8로서 각기 출력되어 버스 라인(L2)를 통해 도 4의 디코딩 및 메모리부(22)로 인가된다. 상기 디코딩 및 메모리부(22)는 상기 버스 라인(L2)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NRZ 정보에 따라 NRZ 디코딩을 행한다. 디코딩된 데이터는 상기 BN/8 정보에 따라 1/8로 디그레이딩된다.
단계 S530과 단계 S531은 수신 데이터의 NFC 프로토콜이 TYPEF 212 인지 아닌지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다. 단계 S530에서 2비트씩 9A5965A6 Hex가 서치된 경우라면 도 3의 232A 파형이 검출된 경우이므로, 단계 S531에서 TYPEF 212(FELICA 212)모드가 판정된다. 결국, TYPEF 212의 SYNC 패턴(B24D Hex)를 서치할 경우에 상기 SYNC 패턴은 맨체스터 코딩(Manchester coding)된 후 수신되기 때문에, 9A5965A6 Hex를 검출해야 한다. 또한 여기서 TYPEF 212의 경우에는 TYPEF 424에 비해 2배씩 오버 샘플링(Over sampling)되었으므로 2비트씩의 9A5965A6 Hex를 서치하게 된다. 상기 TYPEF 212 모드의 코딩정보와 오버 샘플링에 대한 디그레이딩 정보는 MCS(맨체스터 코딩), 및 BN/2로서 각기 출력되어 버스 라인(L2)를 통해 도 4의 디코딩 및 메모리부(22)로 인가된다.
단계 S540과 단계 S541은 수신 데이터의 NFC 프로토콜이 TYPEF 424 인가를 검출하기 위해 마련된다. 단계 S540에서 1비트씩의 9A5965A6 Hex가 서치된 경우라면 도 3의 232B 파형이 검출된 경우이므로, 단계 S541에서 TYPEF 424(FELICA 424)모드가 판정된다. 상기 TYPEF 424 모드의 코딩정보와 오버 샘플링에 대한 디그레이딩 정보는 MCS(맨체스터 코딩), 및 BN 으로서 각기 출력되어 버스 라인(L2)를 통해 도 4의 디코딩 및 메모리부(22)로 인가된다. 이 경우에 BN은 1이므로 데이터의 디그레이딩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스타트 패턴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통신 모드를 신속하게 검출함과 동시에 통신 모드 세팅을 위한 동작이 별도로 수행됨이 없이 데이터가 자동으로 수신된다.
도 6은 도 1의 근거리 통신 시스템을 리더기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에 적용한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리더기(10a)는 도 1의 NFC 이니씨에이터(1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스마트 카드를 내장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20a)는 도 1의 NFC 타겟(20)과 동일하게 검출 및 수신부(25)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20a)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화면 표시부(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더기(10a)가 TYPEA 106, TYPEB 106, TYPEF 212, 또는 TYPEF 424의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20a)는 도 5와 같은 검출 제어흐름을 수행하는 상기 검출 및 수신부(25)를 통하여 신속하게 통신 모드를 검출하고, 통신 모드 세팅을 위한 동작을 별도로 수행함이 없이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신한다. 따라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20a)의 근거리 통신의 수신 동작 퍼포먼스가 개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장치로 인가되는 데이터의 통신 프레임 패턴이 복수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의 어느 프로토콜에 속하는 지가 신속하게 검출됨과 아울러 통신 모드 세팅을 위한 동작이 별도로 수행됨이 없이 데이터가 자동으로 수신된다. 따라서, 수신 장치의 동작 퍼포먼스가 개선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근거리 통신 타겟으로서의 수신 장치에 관하여 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다른 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가 확장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주로 도면을 따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다른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수신 장치 내의 세부적 회로구성 또는 이와 연결되는 회로 블록들의 배치순서 및 세부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NFC 이니씨에이터 20 : NFC 타겟
25 : 검출 및 수신부 22 : 디코딩 및 메모리부

Claims (10)

  1. 근거리 통신 이니씨에이터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통신 프레임 패턴을 미리 설정된 샘플링 클럭에 동기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프레임 패턴 중의 스타트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통신 프레임 패턴이 복수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의 어느 프로토콜에 속해 있는 가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 검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패턴은 TYPEA 106인 경우에 S 패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 검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패턴은 TYPEB 106인 경우에 SOF 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 검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패턴은 TYPEF 212인 경우에 SYNC 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 검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패턴은 TYPEF 424인 경우에 SYNC 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 검출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트 패턴의 분석 시 상기 TYPEA 106인 경우에 상기 S패턴 뒤의 데이터 1비트가 상기 스타트 패턴에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 검출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샘플링 클럭은 TYPEF 424의 데이터를 8배 오버 샘플링하는 주파수를 가지는 클럭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 검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드의 검출 후에 대응되는 프로토콜에 의한 디코딩 및 디그레이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모드 검출방법.
  9.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에 있어서:
    인가되는 데이터의 통신 프레임 패턴 중 스타트 패턴을 미리 설정된 샘플링 클럭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통신 프레임 패턴이 복수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중의 어느 프로토콜에 속해 있는 가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를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검출 및 수신부와;
    상기 통신 모드의 검출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프로토콜에 의한 디코딩 및 디그레이딩을 수행한 후 디그레이딩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디코딩 및 메모리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근거리 통신 이니씨에이터로부터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수신 장치는 TYPEA 106, TYPEB 106, TYPEF 212, 및 TYPEF 424의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타겟임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
KR1020100016279A 2010-02-23 2010-02-23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와 그에 따른 통신 모드 검출방법 KR101610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279A KR101610916B1 (ko) 2010-02-23 2010-02-23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와 그에 따른 통신 모드 검출방법
JP2010279469A JP5767462B2 (ja) 2010-02-23 2010-12-15 近距離通信のための受信装置による通信モード検出方法
US12/972,793 US8537907B2 (en) 2010-02-23 2010-12-20 Receiving system for use in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mode detection method therefore
CN2010106180404A CN102164009A (zh) 2010-02-23 2010-12-31 在近场通信中使用的接收系统及其模式检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279A KR101610916B1 (ko) 2010-02-23 2010-02-23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와 그에 따른 통신 모드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810A true KR20110096810A (ko) 2011-08-31
KR101610916B1 KR101610916B1 (ko) 2016-04-11

Family

ID=44465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279A KR101610916B1 (ko) 2010-02-23 2010-02-23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와 그에 따른 통신 모드 검출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37907B2 (ko)
JP (1) JP5767462B2 (ko)
KR (1) KR101610916B1 (ko)
CN (1) CN1021640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872A (ko) * 2016-09-08 201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101875D0 (en) * 2011-02-03 2011-03-23 Roke Manor Research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analysis
FR2980874B1 (fr) * 2011-09-30 2018-06-08 Proton World International N.V. Configuration du type de modulation d'un routeur de communication en champ proche
FR2980873B1 (fr) 2011-09-30 2015-08-07 Proton World Int Nv Configuration d'un routeur de communication en champ proche en type de modulation
US8942623B2 (en) 2011-12-02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NFC peer mode connection times
US9054750B2 (en) 2012-04-23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F discovery for peer mode communications
US8923761B2 (en) * 2012-05-17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NFC RF discovery loop tuning based on device sensor measurements
US9143201B2 (en) 2012-07-16 2015-09-22 Samsung Elecronics Co., Ltd. Data receiver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3218643B (zh) * 2013-05-08 2017-02-15 岳流锋 一种电子标签读写器的基带处理方法
JP2014235595A (ja) 2013-06-03 2014-12-15 株式会社リコー 非接触型通信方式判定回路、非接触型通信回路及びicカード
US9306628B2 (en) * 2013-10-01 2016-04-05 Intel Corporation Mechanism for generating a hybrid communication circuitry for facilitating hybrid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9312921B2 (en) 2014-02-21 2016-04-12 Sony Corporation Retrieving/authorizing content on user equipment based on information from connectable accessory with NFC circuit
US9345050B2 (en) * 2014-02-21 2016-05-17 Sony Corporation NFC collision avoidance with controllable NFC transmission delay timing
US9408238B2 (en) 2014-02-21 2016-08-02 Sony Corporation Removable conductive layer that shields and/or shorts nodes of an NFC circuit to control transmissions therefrom
JP2015169949A (ja) 2014-03-04 2015-09-28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US9305194B2 (en) 2014-03-27 2016-04-05 Intel Corporation One-touch input interface
KR102255361B1 (ko) * 2014-11-18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텐트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46074B1 (ko) 2015-02-09 2021-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생성 방법
US9680632B2 (en) 2015-02-12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ymbol time tracking
US10212576B2 (en) * 2016-09-08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KR102460071B1 (ko) 2017-12-21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모뎀 전단의 통신신호 식별 장치 및 방법
EP3584948A1 (en) * 2018-06-19 2019-12-25 STMicroelectronics razvoj polprevodnikov d.o.o. Protocol detection and decoding in multiprotocol tag, and corresponding integrated circuit
DE102019101621B3 (de) * 2019-01-23 2020-06-04 Infineon Technologies Ag Kommunikation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mpfangen von daten über ein funksignal
KR20210063967A (ko) 2019-11-25 202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 장치 및 근거리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FR3114186A1 (fr) * 2020-09-17 2022-03-18 Otodo Procédé de décodage d’un signal radio émis par un objet domestique connecté
CN112565026B (zh) * 2021-02-20 2021-06-04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测试帧的生成方法、装置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6421B2 (en) * 2001-11-15 2006-03-21 Hrl Laboratories, Llc Time-interleaved delta sigma analog to digital modulator
JP3951298B2 (ja) * 2002-12-17 2007-08-0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0560770B1 (ko) * 2003-09-15 200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프로토콜 전환 기능을 갖는 비접촉 집적회로 카드및 그것을 포함한 카드 시스템
JP4483271B2 (ja) * 2003-11-19 2010-06-16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の応答データ処理方法
US7917088B2 (en) 2004-04-13 2011-03-29 Impinj, Inc. Adaptable detection threshold for RFID tags and chips
JP2006060363A (ja) * 2004-08-18 2006-03-02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集積回路及び非接触icカード
US7375616B2 (en) * 2004-09-08 2008-05-20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near field communication enabled multifunctional device and method of its operation
JP4432787B2 (ja) * 2005-01-31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471200B2 (en) * 2005-06-30 2008-12-30 Nokia Corporation RFID optimized capability negotiation
JP4378643B2 (ja) * 2005-08-01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8093254A1 (en) * 2007-01-31 2008-08-07 Nxp B.V. Demodulation circuit for ask coded or amplitude modulated signals as well as nfc and rfid devices comprising the same
JP5148251B2 (ja) * 2007-11-19 2013-02-20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Icカード、情報処理装置、通信方式の判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06702B2 (ja) 2007-12-28 2011-06-22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9271861A (ja) * 2008-05-09 2009-11-19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非接触型通信装置、その復号部
JP5295657B2 (ja) * 2008-06-27 2013-09-1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半導体集積回路を実装したicカード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5225816B2 (ja) * 2008-11-20 2013-07-0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5339138B2 (ja) * 2009-03-25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872A (ko) * 2016-09-08 201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67462B2 (ja) 2015-08-19
KR101610916B1 (ko) 2016-04-11
JP2011175627A (ja) 2011-09-08
CN102164009A (zh) 2011-08-24
US8537907B2 (en) 2013-09-17
US20110206142A1 (en) 201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916B1 (ko)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신 장치와 그에 따른 통신 모드 검출방법
US7308516B2 (en) Bi-directional serial interface for communication control
US8543056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5225816B2 (ja) 半導体装置
JPH07296125A (ja) リーダライタ及び非接触icカードシステム
US20100226461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CA2914226C (en) Non-contact communication method determination circuit, non-contact communication circuit, and ic card
US9912567B2 (en) Method of handling NFC device with non-fixed low power polling number and NFC device using the same
JP5428364B2 (ja) 非接触型通信装置、その復号部
US9686041B2 (en) End of communication detection
US20180070220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EP1877952B1 (en) Circuit for 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transmission
US20130083787A1 (en) Configuration of a near-field communication router according to the modulation type
CN103136856A (zh) 一种基于音频接口的支付装置
US8045648B2 (en) Amplitude-shift-keying (ASK) radio-frequency (RF) signal decod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06506416B (zh) 用于射频发射器的脉冲整形的方法和装置
KR102008996B1 (ko) Spi 수신 버퍼의 스턱비트 에러발생 판별방법
CN112235218A (zh) 曼彻斯特信号解码方法及装置
JP2009271775A (ja) 受信装置
US9805730B2 (en) Dynamic decoding of communication between card reader and portable device
CN114070341B (zh) 胎压检测信号接收电路、系统及方法
KR101957159B1 (ko) 보안 요소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0676969B1 (ko) 전자태그 리더기의 디코딩 장치 및 방법
CN103310508B (zh) 一种门禁系统的控制方法及门禁系统
CN110490015A (zh) 一种提升超高波特率(vhbr)通信兼容性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