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730A -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96730A KR20110096730A KR1020100016137A KR20100016137A KR20110096730A KR 20110096730 A KR20110096730 A KR 20110096730A KR 1020100016137 A KR1020100016137 A KR 1020100016137A KR 20100016137 A KR20100016137 A KR 20100016137A KR 20110096730 A KR20110096730 A KR 201100967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est compression
- handoff time
- display unit
- time
- handoff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2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atomic physics or neucleon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흉부 압박의 연습시 핸드오프시간을 표시기구에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핸드오프시간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핸드오프시간의 관리가 가능하여 심폐소생술을 보다 완벽하게 습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심폐소생술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은 심장마비나 익사 등과 같은 사고로 인하여 심장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멈추었을 때 사용하는 응급처치이다. 심폐소생술은 폐로 연결된 기도를 깨끗이 해주고 외부에서 가슴에 압력을 가해주는 심장 마사지를 시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심폐소생술의 실시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를 딱딱한 표면에 눕히고, 입과 기도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며, 턱이 올라가도록 머리를 뒤로 기울여 기도를 열어준다. 그리고, 환자의 기도로 공기를 불어넣어준 후 자연적으로 숨을 내쉬도록 인공 호흡을 시행하며, 맥박이 없으면 외부에서 흉부를 압박함으로써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켜 준다. 흉부 압박은 성인의 경우 1분당 100회 정도이며, 흉부 압박과 호흡주입을 30:2의 비율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심폐소생술은 정상적인 호흡과 심장 박동을 회복하거나 또는 전문의료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을 때까지 계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심폐소생술에 의해 위급한 환자의 생명을 건진 사례들이나, 또는 심폐소생술을 적기에 시행하지 못하여 구할 수 있는 생명을 잃는 사례들이 자주 매스컴에 보도되고 있다. 따라서, 선진국에서는 학생이나 직장인 등과 같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을 널리 보급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심폐소생술의 보급을 위하여 각종 교제와 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마네킹(manikin)을 이용하여 심폐소생술을 직접 실습할 수 있는 연습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이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는 심폐소생술의 실습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체와 매우 비슷한 모습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심폐소생술의 실습시 실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각종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심폐소생술의 연습시 흉부 압박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습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심폐소생술의 연습시 흉부 압박이 중단된 핸드오프시간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고, 적정 시간 내에 흉부 압박을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심폐소생술을 연습하기 위하여 인간 모양으로 형성된 마네킹, 상기 마네킹에 구비되고 상기 마네킹에 수행되는 흉부 압박과 인공 호흡을 감지하는 감지기구, 및 상기 감지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기구가 감지한 감지값을 이용하여 흉부 압박 도중에 흉부 압박이 중단된 핸드오프시간을 표시하는 표시기구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표시기구를 통해 핸드오프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심폐소생술의 실습시 핸드오프시간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다. 이 핸드오프시간은 인공 호흡이나 자동 제세동기 분석 등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흉부 압박 도중에 흉부 압박을 잠시 중단하는 시간이다. 이와 같은 핸드오프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으로 길어지면, 심폐소생술을 받는 환자에게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핸드오프시간에 대한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상기 표시기구는, 상기 감지기구와 연결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기구가 감지한 흉부 압박 상태를 표시하는 흉부 압박 표시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기구가 감지한 인공 호흡 상태를 표시하는 인공 호흡 표시부, 및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감지기구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흉부 압박 도중에 흉부 압박이 중단된 핸드오프시간을 표시하는 핸드오프시간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기구는 심폐소생술의 연습시 흉부 압박 상태, 인공 호흡 상태, 및 핸드오프시간을 모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심폐소생술을 연습하는 실습자는 상기 마네킹에 수행하는 자신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기구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심폐소생술의 잘못된 부분과 잘된 부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기구는, 상기 흉부 압박 표시부와 상기 인공 호흡 표시부 및 상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에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전원공급부, 및 상기 흉부 압박 표시부와 상기 인공 호흡 표시부 및 상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제2 전원공급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기구는 배터리와 외부 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는, 상기 핸드오프시간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표시기, 및 상기 핸드오프시간이 설정시간에 근접하면 경고 신호 또는 안내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기는 상기 핸드오프시간을 복수개의 시간 간격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는 복수개의 LED들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표시기를 통해 핸드오프시간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발생기를 통해 핸드오프시간의 위험을 신속하게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마네킹에 수행되는 흉부 압박을 감지하는 단계, 흉부 압박이 중단되면 흉부 압박이 중단된 핸드오프시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프시간을 핸드오프시간 표시부에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프시간이 설정 시간에 근접하면 상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가 경고 신호 또는 안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는, 상기 흉부 압박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흉부 압박이 감지되면 전원이 인가될 수 있고, 상기 핸드오프시간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흉부 압박이 중단되면 작동이 시작될 수 있으며, 상기 흉부 압박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흉부 압박이 재감지되면 초기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는 흉부 압박이 시작될 때마다 초기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는 상기 흉부 압박이 중단될 때마다 작동되어 핸드오프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드오프시간을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LED들이 상기 핸드오프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흉부 압박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핸드오프시간을 감지하는 단계 사이에 실시되어 상기 마네킹에 수행된 흉부 압박 여부, 흉부 압박 압력, 및 흉부 압박 위치를 흉부 압박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마네킹에 수행되는 인공 호흡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마네킹에 수행된 인공 호흡 여부, 인공 호흡 압력, 및 인공 호흡 속도를 인공 호흡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심폐소생술의 연습시 표시기구에 흉부 압박 상태와 인공 호흡 상태 및 핸드오프시간 등이 표시되므로, 심폐소생술을 보다 효과적으로 연습할 수 있다. 즉, 심폐소생술의 실습시 잘하는 부분과 잘못하는 부분을 명확히 체크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심폐소생술 방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핸드오프시간 표시부를 통하여 핸드오프시간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므로, 심폐소생술의 실습시 핸드오프시간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으며, 흉부 압박 시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심폐소생술의 연습시 핸드오프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으로 증가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심폐소생술을 보다 정확하고 간편하게 습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핸드오프시간이 설정 시간에 근접하면 핸드오프시간 표시부를 통하여 경고 신호 또는 안내 신호가 발생되므로, 심폐소생술의 실습시 핸드오프시간을 미확인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경고 신호 또는 안내 신호를 통해 적기에 흉부 압박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지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지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지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100)는 마네킹(110), 감지기구(120), 및 표시기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100)는 심폐소생술의 연습시 사용되는 교재로써, 실제 상황과 최대한 유사하게 제작된다. 마네킹(110)은 환자 역할을 수행하는 인간 형상의 모형으로써, 인공 호흡을 연습하기 위하여 구강(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흉부(114)가 압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기구(120)는 심폐소생술의 연습시 마네킹(110)에 수행되는 흉부 압박과 인공 호흡을 감지하는 기기이다. 감지기구(120)는 마네킹(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기구(120)는, 마네킹(110)의 구강(112)을 통해 실시되는 인공 호흡의 속도와 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마네킹(110)의 흉부(114)를 통해 실시되는 흉부 압박의 압력과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물론, 감지기구(120)는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심폐소생술과 관련된 다른 요소들도 감지할 수 있다.
도 2에는 흉부 압박 여부 및 흉부 압박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구(120)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감지기구(120)는, 마네킹(110)의 흉부(114)의 내부에 흉부 압박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 승강부(122), 승강부(122)와 마네킹(110) 사이에 배치되어 승강부(12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124), 및 승강부(122)의 승강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마네킹(110) 내의 복수의 위치에 배치된 감지부(126)(128)들을 구비할 수 있다.
승강부(122)에는 복수개의 감지돌기(122a)(122b)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돌기(122a)(122b)들은 승강부(122)의 승강 위치에 따라 감지부(126)(128)들에 감지되는 개수가 서로 다르도록 승강부(122)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감지돌기(122a)(122b)가 승강부(122)에 형성되고, 두 개의 감지부(126)(128)들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도 2의 (a)에는 흉부(114)가 압박되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두 개의 감지부(126)(128)들에 감지돌기(122a)(122b)들이 모두 미감지된다. 그리고, 도 2의 (b)에는 흉부(114)가 정상적으로 압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두 개의 감지부(126)(128)들 중 하나에만 감지돌기(122a)(122b)가 감지된다. 또한, 도 2의 (c)에는 흉부(114)가 과도하게 압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두 개의 감지부(126)(128)들에 감지돌기(122a)(122b)들이 모두 감지된다.
한편, 감지기구(120)와 표시기구(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감지기구(120)의 감지값을 처리함과 아울러 감지기구(120)의 감지값에 따라 표시기구(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40)에는 심폐소생술의 연습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타이머(14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기구(130)는 감지기구(120)에 의해 감지된 감지값, 및 그 감지값으로부터 산출된 핸드오프시간(hand-off time)을 표시하는 기기이다. 표시기구(130)는 감지기구(120)와 신호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표시기구(130)는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마네킹(110)의 외면에 장착되거나 마네킹(110)과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마네킹(110)과 별도로 표시기구(130)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감지기구(120)의 감지값으로는 인공 호흡의 속도와 압력, 흉부 압박의 압력과 위치 등이 있다. 그리고, 핸드오프시간은 흉부 압박의 실시 도중에 흉부 압박을 잠시 중단한 시간이다. 즉, 흉부 압박은 인공 호흡이나 자동 제세동기 분석 등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잠시 중단될 수 있으며, 이 핸드오프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으로 길어지면 환자가 매우 위험해질 수 있다. 따라서, 심폐소생술의 실습시 핸드오프시간을 관리하기 위한 연습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핸드오프시간은 감지기구(120)에 의해 감지되는 흉부 압박 여부와 흉부 압박 시점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표시기구(130)는 케이스(131), 흉부 압박 표시부(132), 인공 호흡 표시부(133),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 제1 전원공급부(135), 및 제2 전원공급부(13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31)는 감지기구(120)와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131)에는 전원 스위치(131a)와 같은 조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흉부 압박 표시부(132)는 감지기구(120)에 의해 감지된 흉부 압박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케이스(13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흉부 압박 표시부(132)에 표시되는 흉부 압박 상태로는 흉부 압박 여부, 흉부 압박 압력, 및 흉부 압박 위치 등이 있다. 즉, 흉부 압박 표시부(132)는, 마네킹(110)에 흉부 압박이 실시되고 있는지를 표시하는 제1 흉부 압박 표시부(132a), 흉부 압박시 마네킹(110)의 흉부(114)에 작용되는 흉부 압박 압력이 적절한지를 표시하는 제2 흉부 압박 표시부(132b), 흉부 압박시 마네킹(110)의 흉부(114)에 작용되는 흉부 압박 압력이 과도한지를 표시하는 제3 흉부 압박 표시부(132c), 및 흉부 압박시 마네킹(110)의 흉부(114)에 작용되는 흉부 압박 위치가 정확한지를 표시하는 제4 흉부 압박 표시부(132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공 호흡 표시부(133)는 감지기구(120)에 의해 감지된 인공 호흡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케이스(131)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인공 호흡 표시부(133)에 표시되는 인공 호흡 상태로는 인공 호흡 여부, 인공 호흡 압력, 및 인공 호흡 속도 등이 있다. 즉, 인공 호흡 표시부(133)는, 마네킹(110)에 인공 호흡이 실시되고 있는지를 표시하는 제1 인공 호흡 표시부(133a), 인공 호흡시 마네킹(110)의 구강(112)에 작용되는 인공 호흡 압력이 적절한지를 표시하는 제2 인공 호흡 표시부(133b), 인공 호흡시 마네킹(110)의 구강(112)에 작용되는 인공 호흡 압력이 과도한지를 표시하는 제3 인공 호흡 표시부(133c), 및 인공 호흡시 마네킹(110)의 구강(112)에 작용되는 인공 호흡 속도가 빠른지를 표시하는 제4 인공 호흡 표시부(133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는 핸드오프시간을 표시하기 위하여 케이스(131)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는 표시기(134a), 및 신호발생기(134b)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기(134a)는 핸드오프시간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기기이다. 즉, 표시기(134a)는 복수개로 분할된 바 타입의 LED(137)들로 형성될 수 있으며, LED(137)들은 핸드오프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다. 이 LED(137)들은 후술하는 설정시간까지 핸드오프시간의 변화를 단계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개수가 형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LED(137)들이 모두 점등된 후 LED(137)들이 하나씩 소등되는 방식으로 핸드오프시간의 변화를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표시기(134a)는 핸드오프시간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심폐소생술의 실습시 표시기(134a)를 통해 핸드오프시간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표시기(134a)는 바 타입의 LED(137)들로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핸드오프시간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기(134a)는 핸드오프시간을 문자나 기호로 표시하기 위하여 LCD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표시기(134a)는 핸드오프시간을 점멸 속도 또는 밝기의 변화로 표시하기 위하여 램프로 형성될 수 있다.
신호발생기(134b)는 핸드오프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면 경고 신호 또는 안내 신호를 발생하는 기기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경고 신호 또는 안내 신호를 음성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신호발생기(134b)가 스피커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신호발생기(134b)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경고 신호 또는 안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호발생기(134b)는 핸드오프시간이 설정시간에 근접함에 따라 심폐소생술을 실습하는 사람에게 경고음이나 안내 음성으로 핸드오프시간이 위험 수위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100)의 사용자는 표시기(134a)를 통해 핸드오프시간을 파악하지 못하더라도 신호발생기(134b)에 의해 핸드오프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으로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전원공급부(135)와 상기 제2 전원공급부(136)는 표시기구(130)에 전원을 제공하는 기기이다. 제1 전원공급부(135)는 흉부 압박 표시부(132)와 인공 호흡 표시부(133) 및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에 배터리(B)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2 전원공급부(136)는 흉부 압박 표시부(132)와 인공 호흡 표시부(133) 및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에 외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기구(130)는 배터리(B)와 외부 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심폐소생술의 실습 환경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원공급부(135)는, 케이스(131)에 형성되어 배터리(B)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 수납부(135a), 및 배터리 수납부(135a)에 장착된 배터리(B)의 전원을 흉부 압박 표시부(132)와 인공 호흡 표시부(133) 및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에 제공하는 전원회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원공급부(136)는, 케이스(131)에 형성되어 어댑터(adapter)(A)가 연결되는 어뎁터 연결부(136a), 및 어댑터 연결부(136a)에 연결된 어댑터(A)를 통해 외부 전원을 흉부 압박 표시부(132)와 인공 호흡 표시부(133) 및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에 제공하는 전원회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100)의 작동 및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100)에 전원을 인가한다. 특히, 표시기구(130)는 제1 전원공급부(135) 또는 제2 전원공급부(13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배터리(B) 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다.
이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100)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을 연습할 경우, 마네킹(110)의 구강(112)을 통해 인공 호흡을 실습할 수 있으며, 마네킹(110)의 흉부(114)를 통해 흉부 압박을 실습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공 호흡과 흉부 압박은 함께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흉부 압박은 분당 100회(0.6초당 1회)의 속도로 실시되어야만 하며, 흉부 압박 30회 이후에 인공 호흡 2회를 수행한다. 이때, 2회의 인공 호흡을 위한 핸드오프시간이 10초를 초과해서는 안되는 것으로 ‘CPR guideline 2005’에 개시되어 있다.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100)의 마네킹(110)에 심폐소생술이 실시되면, 마네킹(110) 내의 감지기구(120)가 흉부 압박 상태, 인공 호흡 상태, 및 핸드오프시간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기구(120)와 연결된 표시기구(130)가 흉부 압박 상태, 인공 호흡 상태, 및 핸드오프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심폐소생술의 연습 과정에서 흉부 압박 상태, 인공 호흡 상태, 및 핸드오프시간이 표시기구(130)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므로, 심폐소생술을 연습하는 실습자는 표시기구(130)를 통해 마네킹(110)에 수행하는 심폐소생 동작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실습자는 심폐소생술 동작에서 잘못된 부분과 잘된 부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표시기구(130)를 통해 핸드오프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심폐소생술의 실습시 핸드오프시간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100)의 핸드오프시간을 처리하는 제어 방법은 흉부 압박을 감지하는 단계(10~12), 핸드오프시간을 감지하는 단계(14,15), 핸드오프시간을 표시하는 단계(16), 및 경고 신호 또는 안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1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흉부 압박을 감지하는 단계(10~12)에서는 감지기구(120)가 마네킹(110)의 흉부(114)에 수행되는 흉부 압박을 감지한다. 이때, 흉부 압박이 감지기구(120)에 감지되면,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의 LED(137)들이 모두 점등될 수 있다.
상기 핸드오프시간을 감지하는 단계(14,15)에서는 감지기구(120)에 흉부 압박이 중단된 것으로 감지되면 흉부 압박이 중단된 시간, 즉 핸드오프시간을 감지한다. 이때,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는 작동을 시작하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의 LED(137)들은 핸드오프시간에 따라 소등될 준비를 한다. 핸드오프시간은 감지기구(120)의 흉부 압박 여부와 흉부 압박 시점, 및 타이머(142)의 측정 시간으로부터 제어부(140)가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프시간을 표시하는 단계(16)에서는 핸드오프시간을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에 단계적으로 표시한다. 즉,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의 LED(137)들이 핸드오프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소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에 10개의 LED(137)들이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며, 각각의 LED(137)들은 1초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소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핸드오프시간의 경과량 및 남은량을 시각적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심폐소생술의 실습시 핸드오프시간에 대한 감각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경고 신호 또는 안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17~20)에서는 핸드오프시간이 설정 시간에 근접하면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가 경고 신호 또는 안내 신호를 발생한다. 만약, 핸드오프시간이 설정 시간에 도달되기 이전에 흉부 압박이 다시 감지되면,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를 초기화할 수 있으며, 흉부 압박을 감지하는 단계(10~12)로 다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는 흉부 압박이 시작될 때마다 초기화될 수 있으며, 흉부 압박이 중단될 때마다 작동되어 핸드오프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의 경고 신호는 부저음이거나 또는 경고성 코멘트일 수도 있다. 또한, 핸드오프시간 표시부(134)의 안내 신호는 핸드오프시간에 따라 다양하게 저장된 음성 코멘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고 신호와 안내 신호는 핸드오프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서로 다른 음성 재생되거나 또는 반복적으로 재생 간격도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흉부 압박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흉부 압박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13)는 흉부 압박을 감지하는 단계(10~12)와 핸드오프시간을 감지하는 단계(14,15) 사이에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흉부 압박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13)에서는 심폐소생술의 연습시 마네킹(110)에 수행된 흉부 압박 상태를 흉부 압박 표시부(132)에 표시할 수 있다. 흉부 압박 표시부(132)에 표시되는 흉부 압박 상태로는 흉부 압박 여부, 흉부 압박 압력, 및 흉부 압박 위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인공 호흡을 감지하는 단계(미도시) 및 인공 호흡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 호흡을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심폐소생술의 연습시 마네킹(110)에 수행되는 인공 호흡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인공 호흡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마네킹(110)에 수행된 인공 호흡 상태를 인공 호흡 표시부(133)에 표시할 수 있다. 인공 호흡 상태로는 인공 호흡 여부, 인공 호흡 압력, 및 인공 호흡 속도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110: 마네킹
120: 감지기구 130: 표시기구
131: 케이스 132: 흉부 압박 표시부
133: 인공 호흡 표시부 134: 핸드오프시간 표시부
135: 제1 전원공급부 136: 제2 전원공급부
140: 제어부
120: 감지기구 130: 표시기구
131: 케이스 132: 흉부 압박 표시부
133: 인공 호흡 표시부 134: 핸드오프시간 표시부
135: 제1 전원공급부 136: 제2 전원공급부
140: 제어부
Claims (10)
- 심폐소생술을 연습하기 위하여 인간 모양으로 형성된 마네킹;
상기 마네킹에 구비되고, 상기 마네킹에 수행되는 흉부 압박과 인공 호흡을 감지하는 감지기구; 및
상기 감지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기구가 감지한 감지값을 이용하여 흉부 압박 도중에 흉부 압박이 중단된 핸드오프시간을 표시하는 표시기구;
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구는,
상기 감지기구와 연결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기구가 감지한 흉부 압박 상태를 표시하는 흉부 압박 표시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기구가 감지한 인공 호흡 상태를 표시하는 인공 호흡 표시부; 및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감지기구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흉부 압박 도중에 흉부 압박이 중단된 핸드오프시간을 표시하는 핸드오프시간 표시부;
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구는,
상기 흉부 압박 표시부와 상기 인공 호흡 표시부 및 상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에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전원공급부; 및
상기 흉부 압박 표시부와 상기 인공 호흡 표시부 및 상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제2 전원공급부;
를 더 구비한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는,
상기 핸드오프시간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표시기; 및
상기 핸드오프시간이 설정시간에 근접하면 경고 신호 또는 안내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기;
를 구비한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상기 핸드오프시간을 복수개의 시간 간격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는 복수개의 LED들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 마네킹에 수행되는 흉부 압박을 감지하는 단계;
흉부 압박이 중단되면 흉부 압박이 중단된 핸드오프시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프시간을 핸드오프시간 표시부에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프시간이 설정 시간에 근접하면 상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가 경고 신호 또는 안내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의 제어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는,
상기 흉부 압박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흉부 압박이 감지되면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핸드오프시간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흉부 압박이 중단되면 작동이 시작되며,
상기 흉부 압박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흉부 압박이 재감지되면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의 제어 방법.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시간을 표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핸드오프시간 표시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LED들이 상기 핸드오프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단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의 제어 방법.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흉부 압박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핸드오프시간을 감지하는 단계 사이에 실시되어 상기 마네킹에 수행된 흉부 압박 여부, 흉부 압박 압력, 및 흉부 압박 위치를 흉부 압박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의 제어 방법.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네킹에 수행되는 인공 호흡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마네킹에 수행된 인공 호흡 여부, 인공 호흡 속도, 및 인공 호흡 압력을 인공 호흡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6137A KR20110096730A (ko) | 2010-02-23 | 2010-02-23 |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6137A KR20110096730A (ko) | 2010-02-23 | 2010-02-23 |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6730A true KR20110096730A (ko) | 2011-08-31 |
Family
ID=4493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6137A KR20110096730A (ko) | 2010-02-23 | 2010-02-23 |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96730A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7466B1 (ko) * | 2015-06-30 | 2016-06-07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 |
KR20160074259A (ko) | 2014-12-18 | 2016-06-28 |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 심폐소생술 훈련 품질 모니터링 장치 |
KR101679237B1 (ko) * | 2015-12-14 | 2016-12-06 | 이승영 |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
WO2017078300A1 (ko) * | 2015-11-04 | 2017-05-11 | 주식회사 베스트씨피알 |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
KR20180097334A (ko) | 2017-02-23 | 2018-08-31 | (주)세이프인 | 심폐 소생술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 |
KR20180097324A (ko) | 2017-02-23 | 2018-08-31 | (주)세이프인 | 심폐 소생술 훈련 방법 |
KR20180097343A (ko) | 2017-02-23 | 2018-08-31 | (주)세이프인 | 심폐 소생술 훈련 시스템 |
KR102274034B1 (ko) | 2020-10-26 | 2021-07-09 | 주식회사 예쉬컴퍼니 | 증강 현실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가이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
-
2010
- 2010-02-23 KR KR1020100016137A patent/KR2011009673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74259A (ko) | 2014-12-18 | 2016-06-28 |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 심폐소생술 훈련 품질 모니터링 장치 |
KR101627466B1 (ko) * | 2015-06-30 | 2016-06-07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심폐소생술 관리 시스템 |
WO2017078300A1 (ko) * | 2015-11-04 | 2017-05-11 | 주식회사 베스트씨피알 |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
KR101679237B1 (ko) * | 2015-12-14 | 2016-12-06 | 이승영 |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
WO2017104982A1 (ko) * | 2015-12-14 | 2017-06-22 | 이승영 | 심폐소생술 연습 기기 |
KR20180097334A (ko) | 2017-02-23 | 2018-08-31 | (주)세이프인 | 심폐 소생술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 |
KR20180097324A (ko) | 2017-02-23 | 2018-08-31 | (주)세이프인 | 심폐 소생술 훈련 방법 |
KR20180097343A (ko) | 2017-02-23 | 2018-08-31 | (주)세이프인 | 심폐 소생술 훈련 시스템 |
KR102274034B1 (ko) | 2020-10-26 | 2021-07-09 | 주식회사 예쉬컴퍼니 | 증강 현실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가이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96730A (ko) |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605383B1 (ko) | 심폐소생술 훈련용 마네킹 | |
JP5529991B2 (ja) | 換気を感知および促進する自動化蘇生装置 | |
US4850876A (en) | Training device for practicing emergency life saving techniques | |
KR101973139B1 (ko) | 자가학습 및 평가를 위한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 | |
BRPI0707744A2 (pt) | instrumento que auxilia um paramÉdico na administraÇço de cpr | |
KR20100031116A (ko) | 소생술에서 구조자를 보조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 | |
US20060184052A1 (en) | Blood-pressure monitor | |
JP2007244879A5 (ja) | 換気を感知および促進する自動化蘇生装置 | |
KR100985078B1 (ko) | 심폐소생 시술 훈련 마네킹을 이용한 심폐소생 시술 훈련시 실습상태와 정확도 표시장치 및 그 방법 | |
JP6693950B2 (ja) | 有効な人工呼吸を教授、演習及び遂行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 |
JP2017512321A (ja) | 心肺蘇生訓練装置 | |
KR101883321B1 (ko) |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 |
JP2009217082A (ja) | 気管挿管訓練装置 | |
JP2009103824A (ja) | 心肺蘇生訓練システム | |
KR20120053727A (ko) | 심폐소생 시술 훈련 마네킹을 이용한 심폐소생 시술 훈련시 인공호흡 량 검출 및 표시장치 | |
KR20170013091A (ko) | 자동제세동기의 사용 및 교육안내 시스템 | |
KR20120053728A (ko) | 심폐소생 시술 훈련 마네킹을 이용한 심폐소생 시술 훈련시 흉부압박 정확도 검출 및 표시장치 | |
KR20160055624A (ko) |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 |
KR101833128B1 (ko) | 심폐 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장치 | |
JP2011030990A (ja) | 携帯用人工呼吸器の人命救助ナビゲーション装置 | |
KR101737448B1 (ko) | 모바일기기와 센서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훈련 시스템 및 방법 | |
KR101972865B1 (ko) |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 |
US11488495B2 (en) | Patient simulator | |
JP7164147B2 (ja) | 胸骨圧迫訓練モデ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